미대채점 미대합격? 입시미술 채점장 공개!

  Рет қаралды 5,138,900

S

S

8 жыл бұрын

미대입시닷컴 공개 된 미대채점장 현장
입시미술 미대입시 실제 채점장 영상
현재 본 영상은 TAD 태드미술학원(미사강변도시)에서 저작권을 보유 중 입니다.

Пікірлер: 11 000
@user-wf2ks7lm1n
@user-wf2ks7lm1n 6 жыл бұрын
댓글들의 내용을 현직 입시미술 미대입시 관계자분들이 반드시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user-hu3hv7dt7i
@user-hu3hv7dt7i 6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력서거를때도 저렇게하는데ㅋㅋ
@jjiyakim
@jjiyakim 6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안거르면 어떻게 합/불 가르는지 작성자분이 제시해보세요
@user-bk1hz6qp4s
@user-bk1hz6qp4s 6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무슨 미술 채점을 저렇게 하냐고 비판하고 아는척하는 댓글들 이 많았음. 아마 이 영상 업로더는 그 댓글들을 저격으로 이런 글 쓴 것 같은데.. 미술입시관계자들이 댓글 읽고 좀 고쳐야 된다는게 아니라
@SH-pb8nc
@SH-pb8nc 6 жыл бұрын
남지수 혹시 댓글등등 상황설명이 가능하실까요? ㅜㅜ 입시미술은 전혀몰라서 뭐가 옳은소리고틀린소린지모르겠어요
@frorish_7693
@frorish_7693 5 жыл бұрын
ᄂSH 미대입시생들은 몇년에걸쳐 입시준비를 하잖아요 보통 방학때 특강하면 막바지에는 하루도 빠짐없이 12시간을 학원에서 그림만그려요 그렇게 시험장을 가면 일단 주제를줍니다 소묘를하는 학교도 있고 안하는학교도 있는데요 보통 네시간에서 다섯시간안에 3절혹은4절에 완성해야해요 그걸하면 저영상과같이 모든그림을 다 깔아놓고 몇분도아니고 몇초도 안봐요 그냥 쓰윽지나다니다가 자기눈에 띈다하면 그걸 선택하는거죠 그렇게 대학을 붙여요 이입시제도는 너무 화가난다는거죠 근데 저위에 말하는저분들은 이력서 거를때도 저렇게한다 하시는데 정말 화가나네요 안해보면 모르죠
@user-lb4xb4wz5w
@user-lb4xb4wz5w 4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몇년의 고생이 저 한장에 다 담겨있을거 생각하니까 착잡하다....
@Susie_Lee
@Susie_Lee 4 жыл бұрын
그게 몇초만에 판가름난단게 안타까운 현실이죠.
@user-df4oc5uz6i
@user-df4oc5uz6i 4 жыл бұрын
그걸 얼마나 담아내느냐에 따라서 희비가 갈리는거 아닐까요?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Susie_Lee
@Susie_Lee 4 жыл бұрын
@@user-df4oc5uz6i ㄷ..당연한거 아님?
@user-df4oc5uz6i
@user-df4oc5uz6i 4 жыл бұрын
@@Susie_Lee ^w^
@jae7721
@jae7721 4 жыл бұрын
근데 막대기로 툭툭 치면서 쓰레기 줍듯이 주워담음ㅋㅋ
@user-rm8dq8ms2i
@user-rm8dq8ms2i 5 жыл бұрын
뭔가 보면볼수록 묘하게 좆같고 희망없는 영상이다ㅋㅋㅋㅋ 잔인한 장면 1도 없이 이런 분위기 내기 쉽지 않은데ㅋㅋㅋ
@dsfhsdfh3456
@dsfhsdfh3456 4 жыл бұрын
어시장에서 물고기 낙찰받을때랑 비슷함
@hellthe153
@hellthe153 4 жыл бұрын
3년동안 입시준비한 학원비 바로 날라가버리네 .. 1년 또 준비해야하죠..;
@leehosik3168
@leehosik3168 4 жыл бұрын
저거 거르는 거 맞는 것 같은데 미대입시 특유의 명암 쫙 넣고 하이라이트 뽝 넣은 그림은 남겨두고 좀 2d 비슷한 미완성작 가져가는듯
@ABC-qq2zw
@ABC-qq2zw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들이 뭔데 예술을 저렇게 평가하는지 모르겠다 피카소도 남들 그림 저딴식으로 평가 안할듯
@newg6135
@newg6135 4 жыл бұрын
@@ABC-qq2zw 입시미술은 예술보다는 기술에 가깝지
@user-yh7uo1gs2r
@user-yh7uo1gs2r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교수들이 자기들이 가르칠 학생 뽑는건데 제일 잘 그리고 재능있어보이는 그림을 골라 골라 뽑겠지 결국 그게 자기학교 아웃풋이 될텐데 절대 대충 뽑지는 않을듯
@user-wi7ld9ci4c
@user-wi7ld9ci4c 2 жыл бұрын
@@user-gl9xy7wb5n 맥락 못읽는 찐따.....
@user-eq2vi5bz9t
@user-eq2vi5bz9t 2 жыл бұрын
해당 대학 교수님들이 뽑진않는답니다 타 대학 교수님들이 와서 뽑죠
@user-nx9jx6fi5o
@user-nx9jx6fi5o 2 жыл бұрын
@@user-eq2vi5bz9t 이건무슨말이죠? 해당대학 학생들을 타 대학교수가 선발한다니요?
@user-eq2vi5bz9t
@user-eq2vi5bz9t 2 жыл бұрын
@@user-nx9jx6fi5o 채점을 그렇게 하세요! 학원에서 듣기로 그래요 그러니깐 예를들어 한성대 채점은 한성대 교수님들이 아닌 근처 성대나 성신여대 교수님들이 와서 하신다는거죠
@user-eq2vi5bz9t
@user-eq2vi5bz9t 2 жыл бұрын
@@user-nx9jx6fi5o 다시 말해 그냥 입시 비리를 줄이기위한 수단이라고 보시면 댈거같아요.
@starrygalaxy
@starrygalaxy 3 жыл бұрын
2:39 여기서 나비랑 그 옆에 청록색 가면 쓴 그림 보며 왜 나비가 탈락 됐는지 아실겁니다 둘다 당연히 잘 그렸지만 나비는 입체감이 없게 느껴져요 그만큼 어둠과 밝음의 대비가 적다보니 눈길이 안가요.. 1차?는 표현력 정도 보고 그 뒤는 그림 하나씩 재대로 보면서 창의력도 보고.. 하는걸로 알아요 탈락된 작품들도 다시 다 펼쳐놓고 상의해서 패스시키고 그럴겁니다
@Zero-wl6vp
@Zero-wl6vp 3 жыл бұрын
헐...그렇네요
@shibuya-ku7if
@shibuya-ku7if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기보다는 형태가너무단순함. 변화를하나도안줘서문제인거임 꽃도그렇고 나비도그렇고
@user-jw2fn9xx7c
@user-jw2fn9xx7c 3 жыл бұрын
죄송하지만 중학교 때 이후로 미술 수행평가 따윈 개나 줘버린 저로서는 뭔 소린지 모르겠습니다.
@bb-tt3te
@bb-tt3te 3 жыл бұрын
@@user-zh1ez2uf8p 나비 그리신분인가봐요..많이 안타깝네요 힘내세요.. 화이팅
@user-uj3lu3it6j
@user-uj3lu3it6j 3 жыл бұрын
@@bb-tt3te 시밬ㄱㅋㄱㄱㅋㅌㅌ
@hje2515
@hje2515 4 жыл бұрын
저거 알바했었는데 저 심사위원들도 아 정말 이그림 아쉽다하시면서 넘어가는것도 꽤있음. 되게 슬퍼하시는분 한분 봤는데
@user-bw4tv6ey1d
@user-bw4tv6ey1d 4 жыл бұрын
알바에서 뭐하셨어요?
@user-pp8jx4kp7i
@user-pp8jx4kp7i 4 жыл бұрын
입시에 알바를 쓰나요? 어떤 알바하신건지 저도 궁금...
@kfdkkskq8799
@kfdkkskq8799 4 жыл бұрын
뭐 종이 줍는 거 햇나 보죠 종이깔거나 치우거나 찢거나 버리거나
@doroshe3890
@doroshe3890 4 жыл бұрын
@@user-pp8jx4kp7i 보통 그 대학교 학생들이 지원하고 하는 일은 교수님이 고르신 그림 모으거나 정리하는 일입니다
@user-pp8jx4kp7i
@user-pp8jx4kp7i 4 жыл бұрын
@@doroshe3890 답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user-fs9zq9sh2o
@user-fs9zq9sh2o 4 жыл бұрын
근데 멀리서 보면 "다 잘 그려보이는데..ㅠㅠ"이러잖아? 가까이서 보면 일반인들도 걍 못 그린거 골라냄. ㄹㅇ 슥 지나가도 다 보일정도로 못그린 것들이 있음. 저건 그걸 골라내는 현장이지. 미묘한 차이를 가려내는 건 여기서 안 탈락된 그림들 가지고 하는거임
@user-fs9zq9sh2o
@user-fs9zq9sh2o 4 жыл бұрын
@@hanye116 바로 탈락인지는 우리가 알 수 없지만 딱 봐도 못 그려보이는 그림들 걸러내는 과정은 맞음. 혹은 딱봐도 잘 그린 그림도 같이 고를 수도 있고. 내말은 저기서 하는 대충 슥 보면서 채점하는 건 디테일 보는 단계가 아니라 그렇게 대강 A~C, F(미완성) 나누는 단계라는 거임. 그렇게 나뉘고 나면 상위권은 확실히 디테일 봐서 조정하는데 하위권은 모르겠음. 아마 안하지 싶다(더 잘그린 그림도 많은데 굳이 한눈에 봐도 별로인 그림 디테일을 봐줄리가 없을 듯). 그래서 입시학원쌤들이 눈에 확띄게 그리는 게 입시에서 유리하다는 거임. 디테일로 반등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이 가버리지 않게
@developp
@developp 4 жыл бұрын
@@user-fs9zq9sh2o 굿 글
@user-yt4jq2oc9q
@user-yt4jq2oc9q 4 жыл бұрын
아하
@user-pq9xi1wi3w
@user-pq9xi1wi3w 4 жыл бұрын
아하 ............
@user-gw1bg2cs1v
@user-gw1bg2cs1v 3 жыл бұрын
그런거였노..
@user-ls1ob3ug6u
@user-ls1ob3ug6u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입시 준비 전에 봤을 땐 그냥 잔인하고 이해가 안됐는데 이제보니 당연한 걸 하는거였음... 누가 딱 봐도 형태감 없고 주제 안맞고 기본기 없는 그림을 뽑아주겠음...
@user-ur4yn5xs4w
@user-ur4yn5xs4w 3 жыл бұрын
그것 때문도 있지만 예중 예고 미대 진짜존나 힘들어서...
@user-le8nx9to7c
@user-le8nx9to7c 2 жыл бұрын
@@user-ur4yn5xs4w 원댓이랑 뭐가 이어지는 건지 모르겟는 내용이당..
@endless9633
@endless9633 3 ай бұрын
@@user-ur4yn5xs4wㅋㅋㅋㅋㅋ 예중 예고 나오면 고생했으니까 뽑아주리 ㅋㅋ?
@Jun_o529
@Jun_o529 3 жыл бұрын
0:44 왼쪽분 마리온줄 ㅋㅋㅋㅋㅋ 또잉! 또잉! 또잉!
@user-zz4qr8ms7h
@user-zz4qr8ms7h 3 жыл бұрын
아 뭐냐ㅋㄹㅋㅎㅋㄹㅋ개웃김ㄹㅋㄹㅋㄹㅋㄹㅋ
@user-yp2uu4wu4b
@user-yp2uu4wu4b 2 жыл бұрын
개귀엽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와중에 그걸 보셨나요
@Jun_o529
@Jun_o529 2 жыл бұрын
@@user-yp2uu4wu4b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d8km5mg9q
@user-td8km5mg9q Ай бұрын
또잉 너무 귀여운데요 ㅋㅋ
@aerrang_dofkd
@aerrang_dofkd Ай бұрын
귀엽네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jt6eh2rx5g
@user-jt6eh2rx5g 3 жыл бұрын
본인들도 5분짜리 영상 보고 사람 판단해놓고 왜 이분들은 이 분야 전문가인데 지나가면서 보는 걸로 판단하지 말라는 건지
@user-gd8px9fl6n
@user-gd8px9fl6n 3 жыл бұрын
이게맞다
@ILLIT_MOKAWONHEE
@ILLIT_MOKAWONHEE 3 жыл бұрын
자기가 노력한걸 무시하고 지나가니까 그렇죠;
@user-jt6eh2rx5g
@user-jt6eh2rx5g 3 жыл бұрын
@@ILLIT_MOKAWONHEE 무시했는지 안 했는지 님이 어떻게 아세요 그리고 여기가 애들 노는 곳이에요? 대학교 들어가는 곳이지 실력으로 누가 잘했는지 뽑는 곳인데 뭔 똥고집이야
@user-jt6eh2rx5g
@user-jt6eh2rx5g 3 жыл бұрын
@@ILLIT_MOKAWONHEE 으휴 신지민 빠는 거 보면 답 나오네
@user-mi5ec9du2b
@user-mi5ec9du2b 3 жыл бұрын
@@ILLIT_MOKAWONHEE 그럼 하나 지날 때 마다 박수치고 지나가야하나 ? 👏
@user-ic3wy4dz1c
@user-ic3wy4dz1c 7 жыл бұрын
무슨 수산물 경매장에서 생선 고르는 풍경같다..
@user-RINACHICHI
@user-RINACHICHI 7 жыл бұрын
송똘이 ㅇ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c5vg5rz2t
@user-wc5vg5rz2t 7 жыл бұрын
송똘이 미친뭐야ㅋㅋㅋㅋㅋㅋㅋ개웃겨ㅋㅋㅋㅋ
@user-fj3hf8bb2z
@user-fj3hf8bb2z 7 жыл бұрын
비유 적절하닼ㅋㅋㅋ
@user-kb1ij7qv5m
@user-kb1ij7qv5m 7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ㅋㅋㅋㅋㅋ맞앜ㅋㅋ어디서 비슷한거 봤나 했더니ㅋㅋ
@user-dd2ov5kd1t
@user-dd2ov5kd1t 7 жыл бұрын
우리나리 교육의 현실... 절대 웃을일이 아닌 것 같음...
@User52916
@User52916 3 жыл бұрын
우와오,,, 약 8년전 이 실기 고사 봤던 사람입니다,,, 제가 받았던 주제는 [ 발상과 표현 ] 소재 이미지: 가면 주제: 가면 속에 감춰진 인간의 희, 노, 애, 락을 표현하시오 였던걸로 기억해요
@user-zv2tj8gd4o
@user-zv2tj8gd4o 3 жыл бұрын
붙으셨나요?
@user-kt6xt7my3t
@user-kt6xt7my3t 3 жыл бұрын
시발 문제해석하느라고 시간다가겠노;
@user-cz9mg3qi5f
@user-cz9mg3qi5f 3 жыл бұрын
희,노,애,락이 뭔가요?
@user-sm3nn6du9m
@user-sm3nn6du9m 3 жыл бұрын
@@user-cz9mg3qi5f 희:기쁨, 노:노여움, 애:슬픔, 락:즐거움
@Ha_ruA
@Ha_ruA 3 жыл бұрын
진짜머리터질것같습니다
@user-mi6ib4ip4s
@user-mi6ib4ip4s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까 지들도 프듀 한시간짜리에 몇십명을 몇분 보고 투표로 데뷔조 결정하는데 이걸보고 잔인하다 함 ㅋㅋㅋㅋㅋㅋ +아 맥락 못짚나 프듀랑 미술입시랑 미슷한건 한순간에 평가한다는건데 주작이녜 뭐녜 이지랄 하고 있음
@user-tr1zc1wf5x
@user-tr1zc1wf5x 3 жыл бұрын
프듀는.........
@user-xq2zl4ly8j
@user-xq2zl4ly8j 3 жыл бұрын
걔네는 주작이잖아 ㅋㅋ 주작 아니여도 이거랑 비교는 좀 아니지
@cheese_ball_
@cheese_ball_ 3 жыл бұрын
ㅋㅋ이게 맞지 프듀도 주작이긴 했지만 볼래 실력과 외모를 보고 아이돌 될 사람을 뽑는거잖아 이것도 마찬가지지
@user-kp8rr3cq8j
@user-kp8rr3cq8j 3 жыл бұрын
자도 프듀생각.. 스타성 있는애들은 그냥 봐도 눈에 띄어요
@user-mi6ib4ip4s
@user-mi6ib4ip4s 3 жыл бұрын
@@nsh8023 무대도 몇년간 연습하고 몇분만에 그사람이 어떻게 살아갈지 결정하는건데 어떤점이 다른거임
@user-ik7pt9lc7v
@user-ik7pt9lc7v 4 жыл бұрын
내가 일반인이라서 그런것 같긴한데 뽑아가는것들이 합격작품인줄알고 봤을때는 와 확실히 눈에띄게 잘 그렸네...하다가 댓글보고 탈락작품인거 알고보면 또 못그린것 같음ㅋㅋㅋㅋ
@user-do5th8lh9c
@user-do5th8lh9c 4 жыл бұрын
ㅇㅈㅋㄹㅋㄹㅋㄹㅋㄹㅋㄹㅋ
@soleepdo
@soleepdo 4 жыл бұрын
쌉인정ㅋㅋ
@user-qu2nb4qz2f
@user-qu2nb4qz2f 4 жыл бұрын
헐..댓글 보고 알았어요......뽑아가는거 합격작품인줄 알았는데..
@user-lv5co6is2w
@user-lv5co6is2w 4 жыл бұрын
아아..진짜 어쩐지 ㄹㅇ 개잘그린것 같은건 안뽑뜨라..
@user-mf7bl7fn8l
@user-mf7bl7fn8l 4 жыл бұрын
합격작품인줄ㅠㅠㅋㅋㅋ 음.. 디게 특별한걸 좋아하나보네 하면서 봤는데
@user-br2gz3pk9v
@user-br2gz3pk9v 4 жыл бұрын
모든 과목엔 시험이 붙으면 그 자체가 스트레스임;; 설민석이 tv에서 역사얘기하는거 듣는거는 ㄹㅇ개꿀잼인데 "방금 설민석이 말한걸 시험지에 3줄이상으로 자신의 생각이 담기게 작성하시오" ㅇㅈㄹ하면 안빡치는 새끼 없을듯
@user-wj5zd6oo1r
@user-wj5zd6oo1r 3 жыл бұрын
나는규현이 맞아요... 저도 학교 역사시간에서 질문들이 써져있는 종이를 주고 동영상을 틀어준 다음 영상에서 답을 찾으라고 하면 왠지모를 압박감 느끼고 동영상 자체에 집중하기보단 답 찾기 바쁘더라고요.
@mylee4248
@mylee4248 3 жыл бұрын
@@user-wj5zd6oo1r 인정합니다..그냥 동영상만 보면 재미있는데 "그 동영상을 보고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시오" 이러면 진짜 때려치고 싶어요..
@user-np5ms9gn6o
@user-np5ms9gn6o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당장 공부하라고 하면 하는거 기분 좋고 실력 느는 느낌도 들어서 조금 정도는 할 수 있는데 내일 시험 땜에 하라고 하면 좆같음 미루다가 망치지
@user-of6sv3fh7y
@user-of6sv3fh7y 3 жыл бұрын
진심 공부에는 강제성이 들어가는 순간 그 즉시 흥미도 0으로 떨어지는듯..
@rhdtkrhdtka7939
@rhdtkrhdtka7939 3 жыл бұрын
생각을 정리하라는건 ㄱㅊ은뎅 정답을 찾으라는게 ㅈ같지
@GilJJoock
@GilJJoock 3 жыл бұрын
3:39 처음엔 잘하는거 뽑는건줄 알았는데 "왜 코난 범인이 뽑힌거지?" 하고 역시 미술의 세계는 신비롭다 생각했는데 댓글 보니 탈락작품 뽑는거였구나...
@user-hk1dq1zy2x
@user-hk1dq1zy2x 2 жыл бұрын
코난 범인 ㅋㄱㅋㅋㅋㅋㅋㅋㅋ
@jec2115
@jec2115 2 жыл бұрын
바봌ㅋㄴㄱ
@Saty_design
@Saty_design 3 жыл бұрын
팩트: 여기 천재는어쩌고 떨어진다 뭐녜 하는데 천재는 저런거 시켜도 잘함ㅋㅋ 합격하는 애들 보면 진짜 그림을 잘그리는애, 열심히 그린애, 운좋은애 로 나뉘고 그게 훤히 보여서 그림 잘그리는 애는 뭘 그리든 뽑힐거니까 그런소리 할 필요 없음
@curemake
@curemake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너 대학이...?
@Saty_design
@Saty_design 3 жыл бұрын
@@curemake 지잡인데 현역때 미대 5관왕 먹고 들어감
@user-nc1uf9rb9o
@user-nc1uf9rb9o 3 жыл бұрын
@@curemake 응ㅋ갑자기 대학은 왜물음?ㅋ 너나말해
@user-jt6gd2bt2r
@user-jt6gd2bt2r 2 жыл бұрын
@@curemake 니나 잘해라 니나
@user-yw8ub9jn8j
@user-yw8ub9jn8j 2 жыл бұрын
@@curemake 넌 서울대 나와도 아무도 안믿어줄듯ㅋㅋ
@th7726
@th7726 5 жыл бұрын
저거 그냥 미완성작이나 조건안지킨거 거르는거같은데 미완성작은 그냥 학생시켜도 다거를수있음 그거보다는 요즘기디는 패턴화가 제일큰문제인듯 애들그림이 다똑같음
@user-gl8he7hx4v
@user-gl8he7hx4v 5 жыл бұрын
Th 7 그래서 대학들도 계속 보는걸 다르게하려하죠..건대라단가..
@user-mo6vn2rn9j
@user-mo6vn2rn9j 5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cg5gq5rg1v
@user-cg5gq5rg1v 5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거같음ㅇㅇ 중간에 채색 다 못한걸로 보이는거 찝어내는뎅
@user-gh1xj1er7s
@user-gh1xj1er7s 4 жыл бұрын
Th 7 지금 저거 못 그린 거 찝는 거에요??
@user-hk4pt7rv6m
@user-hk4pt7rv6m 4 жыл бұрын
@@user-gh1xj1er7s 미완성이나 실격작 고르는 거같은데요
@naga7647
@naga7647 4 жыл бұрын
미대듀스 101
@user-yq4hk1gv5g
@user-yq4hk1gv5g 4 жыл бұрын
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ㅋㅋㅋ
@nibg9720
@nibg9720 4 жыл бұрын
개터젺넼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ㅋㅋㅌㅋ
@karl-anthonytownskr6301
@karl-anthonytownskr6301 4 жыл бұрын
1001
@user-yeahyeah
@user-yeahyeah 4 жыл бұрын
@@karl-anthonytownskr6301 나도그얘기하려했는디
@user-kz9ut7pr8t
@user-kz9ut7pr8t 4 жыл бұрын
AMD ㅁㅊㅋㅌㅋㅋㅋ
@sexkingsexmachine
@sexkingsexmachine 3 жыл бұрын
2:27 에잇 씻팔 도우너 어서가고 ㅠ
@user-hq2kj8rh9j
@user-hq2kj8rh9j 3 жыл бұрын
아 진심 개웃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l2fb1hj6u
@user-il2fb1hj6u 2 жыл бұрын
둘리야 ㅠㅠㅜㅜㅜㅜㅜㅜ
@user-kp5vo5qh2d
@user-kp5vo5qh2d 3 ай бұрын
아ㅅㅂㅋㅋㅋㄱㅋㅋㄱㅋㄱㅋㄱㅋㅋㄱㅋㄱㅋㄱㅋㅋ
@mimau1669
@mimau1669 2 ай бұрын
어서가고 ㅇㅈㄹㅋㅋㅋ
@YoungukJo
@YoungukJo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kr3kd3uz9b
@user-kr3kd3uz9b 3 жыл бұрын
근데 이 영상 왠지 모를 중독성 있음 보면 기분좋은 영상이나 asmr처럼ㅋㅋㅋㅋ 여러 음향요소나 시각적인거나 맘이 편안해짐 뜰때마다 들어오게 됨
@user-ck1re9gx7n
@user-ck1re9gx7n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미대입시 전혀 모르지만 추천 뜰 때마다 들어와서 소리 키워놓고 멍 때림 댓글은 각자 말도 다르고 답글로 계속 싸우고 있어서 그냥 그림 구경하면 힐링 ㅆㄱㄴ
@yoling-1004
@yoling-1004 2 жыл бұрын
기분이 좋아지진 않고 많은 생각을 하게되는 영상.
@user-qj1xc4kd6v
@user-qj1xc4kd6v 2 жыл бұрын
미술지망은 아닌데 현 고3이라 그런지 숨막혀서 다시 못보겠음 ㅠㅋㅋㅋㅋㅋ
@key2007prchoi
@key2007prchoi Ай бұрын
​​@@user-qj1xc4kd6v일반고 학생에 빗대면 마킹지 컴퓨터로 인식해서 점수매기는 장면인가? 이후에 주관식은 따로 채점하고
@user-nh8xi7in2u
@user-nh8xi7in2u 4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입시 그림을 몇 천, 몇 만 장을 봤을텐데 저렇게 훑어도 다 보이겠지ㅋㅋ 바로바로 지나가는 것도 아니고 가져갈지 말지 고민하는 모습도 보이는구만
@user-ry2hw2xj5j
@user-ry2hw2xj5j 4 жыл бұрын
최민욱 가져가는거 탈락임
@user-pd2xh3jv3g
@user-pd2xh3jv3g 4 жыл бұрын
@@user-ry2hw2xj5j 그니까 탈락시킬지 말지 고민한다는 거잖아요?
@user-om2tt4rm2k
@user-om2tt4rm2k 4 жыл бұрын
서건영 아?? 그렇게 생각하고 보니까 뭔가 낌이 다르네
@user-gi6uv9xj7h
@user-gi6uv9xj7h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1차로 골라내고 또 자세하게 검사하는거라..
@user-oq8wr3vk8p
@user-oq8wr3vk8p 4 жыл бұрын
지팡이로 갈팡질팡할때 내 마음도 조마조마함ㅠㅠ 제발 걸러지지 마라 평가 한번만이라도 받을 수 있게ㅜㅜㅜ
@onehalfpeople
@onehalfpeople 3 жыл бұрын
뭔가 수많은 시체더미 사이에서 총들고 살아있는 사람 찾아서 확인사살하는 기분이다
@blue_isjustblue
@blue_isjustblue 3 жыл бұрын
비유 ㄹㅈㄷ
@user-nz8wg2lb9f
@user-nz8wg2lb9f 3 жыл бұрын
@임슬기 잼민이 어서오고
@user-qy4qw2oq8g
@user-qy4qw2oq8g 3 жыл бұрын
와ㅅㅂ 이거다 기시감해결
@user-bv4ou8rc1o
@user-bv4ou8rc1o 3 жыл бұрын
와 쩐다 이거다 진심 ㄹㅇ
@user-gq6iy2bt4o
@user-gq6iy2bt4o 3 жыл бұрын
@@user-nz8wg2lb9f 슬기가 뭐라했는데요?
@user-ub3mt8yq9k
@user-ub3mt8yq9k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처음 떴던 5년전에는 입시를 안할때라 그냥 아무말도 못하고 안타깝다고 생각했는데, 대학생인 지금에와서는 사실 저럴 수 밖에 없다는걸 다 알게된게 너무 신기하다ㅋㅋㅋ 전문가 눈에는 일단 마감안된건 바로 눈에 보이고 또 마찬가지로 얘는 진짜 미쳤다 싶은건 바로 눈에 보입니다.. 어쩔 수 없어요. 저렇게 좌르륵 놓여져있는데 어떻게 비교가 안되겠어요. 저 많은 사람을 다 뽑을 수 없으니 특출나고 그래도 잘하는 친구들을 뽑지요:>
@user-lx6no5jm4z
@user-lx6no5jm4z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ㅋㅋ 저도 올해 고3 인데 고1때 기디시작하기도전에 이거보고 의아감느꼇는데 학원에서 선생님들도 이러케 평가하시길래 뭐지했는데 말하실때 형태,명도차이, 구도, 대비 등등 정말 꼼꼼이 설명하시더라구요.. 역시 선생님은 선생님인듯요..
@user-dy6kl7jj2v
@user-dy6kl7jj2v 4 ай бұрын
제일 쩔었다 싶은 작품 뭔가요ㅋㅋㅋ일반인으로써 궁금합니다
@--_--9
@--_--9 3 ай бұрын
신기하네ㄷㄷ
@diary_angel
@diary_angel 2 жыл бұрын
저는 지금 서양화 입시를 하고 있는데 최근에 모델 시험 봤는데 저렇게 그림들을 다 펼쳐졌고 저렇게 평가했어요! 이제 수시가 한달 남았어요! 열심히해 꼭 대학에 가면 좋겠네요! 다들 코로나 조심하세요!
@Ni_Whyrano
@Ni_Whyrano 4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댓글보다가 답답해서요.. 이거 탈락작품뽑는거구요 미술계에서 오랫동안하신분은 딱 보면 기본기없는그림들 보입니다 그거만 일단 1차적으로 골라내는거고요 합격작품은 또 별도로회의과정을 거칩니다 사람말마따나 인생걸린문젠데 막하겠습니까?;; 인간이기에 완벽한답은없겠지만 그게 최선을 다하지않는다는건 아니라는걸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taegeukdangsu8214
@taegeukdangsu8214 4 жыл бұрын
@@LightGreenDay 인터넷에 본인피셜 교수집안에 독일유학중 대학은 스탠포드희망 어쩌구하는애들 족히 수십명은 본거같슨데 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y8co3rc4d
@user-my8co3rc4d 4 жыл бұрын
응 너도 한국인 ㅋㅋㅋ
@Arhee
@Arhee 4 жыл бұрын
@@nakohir8396 모를 때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던데...
@moralless
@moralless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애초에 수천장중 진짜 걸러야될꺼는 먼저 거르는게 학생들한테 이득임.저기서 떨어지면 ㄹㅇ 투시구도하나도안맞는 말그대로 미완성작품그려서 낸거
@Arhee
@Arhee 4 жыл бұрын
@@nakohir8396 가르쳐줘도 발끈거리는 수준보솤ㅋㅋ 나는 아니까 가만히 안 있짘ㅋㅋ
@user-tc4oq4eq6q
@user-tc4oq4eq6q 4 жыл бұрын
잘하는 사람 뽑는게 아니라 떨어질 사람 고르는거같은디.. 그림에 물감이 묻었다던가 선이 고르지 않다던가 그런거
@user-fb2dq9vp4p
@user-fb2dq9vp4p 4 жыл бұрын
@@user-zf3yd7ir2z 신중하게 뽑아야되는데 저렇게 한번에 뽑으면 놓치는 것들이 많겠죠 아닌것부터 걸러나가는게 맞음
@user-yv7bv7nz5r
@user-yv7bv7nz5r 4 жыл бұрын
수달 미대를 가보긴하셨나 모르겠는데 원래 미대입시는 잘그린애들 고르는게 아니라 못그린애들빼고 남은 나머지중에서도 단점을 찾아서 빼는 방식임 100점을 기본적으로 주고 감점하는 식으로. 전국적으로 많이오는 대학교에 잘하는애들이 얼마나 많이오는데 잘하는걸보고 뽑으면 과 터짐
@Dragon-ie1tc
@Dragon-ie1tc 2 жыл бұрын
우리 딸이 미대 디자인학과 목표로 수능 준비중이데 채점 영상을 보니 너무나도 어렵다는걸 느꼈습니다 저의 눈으로 봐서는 다들 끝내주게 잘그리는데 거기서 선택된다는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눈물이 날걸 같습니다 정말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불쌍하게 느껴지네요!
@hye6690
@hye6690 2 жыл бұрын
미대 붙고 나서 보니까 감회가 남다르네. 죽을만큼 그려야 하고 그 와중에 성적도 챙겨야하고, 성적 안나오면 그만큼 더 잘그려야하는데 특히 현역 입장에선 그게 쉽지 않아요. 힘내요.
@lin-the_fine_arts
@lin-the_fine_arts 2 ай бұрын
현역 중3입니다 미대 입시이자 예고 입시 하려합니다 적어도 끝은 보려고요, 감사합니다.
@wememe681
@wememe681 4 жыл бұрын
잔인한장면 1도없이 존나잔인한 영상;; 그림하나에 학생들 대입당락과 수천만원의 학원비가 담겨있는데
@user-zc3rh3lx8p
@user-zc3rh3lx8p 4 жыл бұрын
밍링 예체능은 과정보단 결과주의적일 수 밖에 없죠 잔인하다면 잔인하지만 어찌보면 당연한 거 아닌가여 그리고 저건 기본기가 없는 그림들만 빼는 거라 기본기가 없다는 건 열심히 안했다는 소리죠 예체능이 힘들다고 해도 예체능 이라고 다 열심히 하는 건 아니니까요 공부하기 싫어서 선택했던 학생들 그림이 빠지겠죠 대부분
@user-to9qx9xd9m
@user-to9qx9xd9m 4 жыл бұрын
핸핸 당연하든 당연하지 않든 저 분위기가 차갑고 잔인한건 맞는거 같고요 저기서 걸러지는 그림을 그린 학생이 열심히 했든 안했든 암튼 그 학생이 학원비를 엄청 냈다는거에요
@ybisang9862
@ybisang9862 4 жыл бұрын
학원비를 엄청 내놓고 열심히 하지도 않은 사람은 떨어져야 마땅하죠 열심히는 절대적인게 아니라 상대적인거예요 자기가 아무리 노력해도 남이 더 노력하면 열심히 한게 아닙니다
@user-to9qx9xd9m
@user-to9qx9xd9m 4 жыл бұрын
YHB 전 이 원댓 분이 한 말씀하신 의도하곤 전혀 다르게 댓을 다는 대댓분께 반박한거에요 .. 노력 하지 않는 학생은 잘못이고 떨어질만 하지만 이 원댓 분이 말씀하시는 ‘수천만원’ 은 노력하는 학생들이 쓴 돈을 뜻하는거 같아서요 그래야 잔인하다는 분위기와 맞으니까요
@user-oh7mk3df4n
@user-oh7mk3df4n 4 жыл бұрын
저 미술 전공하는 사람인데요. 오해없으시길 바래서 몇자 적어요~ 저 분들은 지금 제대로 심사하고 있습니다. 미술 잘 모르시는 분들이 대충 고르는 거라고 하시는데 입시 미술은 테크닉이 정형화되어 있고 시각적으로 구조, 명암, 형태력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저렇게 심사하는게 맞아요 ㅋㅋㅋ 그리고 저 장면이 다가 아니고 합격선에 걸린 비슷한 작품들은 따로 회의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POKRYEOL-THE_MAD_WIZARD
@POKRYEOL-THE_MAD_WIZARD 4 жыл бұрын
어중간한 작품이 제일 불쌍한거야......... 그런 작품은 주변 그림이 부족하면 뽑힐수 있지만 운없으면 걸러지지.
@hoyunii
@hoyunii 4 жыл бұрын
누가 그랬죠. 천재적인 재능은 신이 내린 보물이랬지만, 어중간한 재능은 악마가 내린 저주라고요...
@user-tv6pu2qi1t
@user-tv6pu2qi1t 4 жыл бұрын
운도 실력이지
@user-tx9ww7fc8o
@user-tx9ww7fc8o 4 жыл бұрын
@@hoyunii 그런데 아예 없는것보다는 낫죠. 수정+어중간한 재능은 뭐라 ㅇㅈㄹ하는데 어중간하면서 도전 안 하면 되지 그러면 미술 왜함? 아니 유명세를 얻어야만 가능한거임?? 재능 어처피 입시미술은 재능 거의 필요안함. 그냥 노력빨로 하면 되는거임. 어처피 아무리 창의적이고 멋진 발상을 해내어도 재능이 뛰어나도 교수들에게 멋죠보이는 기준을 잡고 기준 외에면 전부 다 탈락시켜버리는데 재능이 왜 필요하다거림? 자꾸 재능재능 운운하면서 입시미술은 왜 ㅊ가는데. 입시미술 아예 하지마 그냥. 입시미술은 재능빨이 아니라 그냥 노력빨에 가까움. 그냥 교수들 기준에만 맞춰주면 되는데 왜 재능이 필요함? 그 재능이란거 예술분야의 재능은 창의적이고 독창적이고 가학적인 그런 분야인데 무조건 한가지 기준에만 맞춰져있는 입시미술은 재능 오히러 필요없지. 예술감각은 재능빨인데 그 감각을 모조리 배제해야만 하고 다 똑같은 그림체와 스타일을 고수해야하는데 재능빨이 크다고? 아무리 똥손이라도 그림 못 그려도 입시미술은 오히러 크게 격차가 나기 힘든 분야다. 여기에 필요한 재능은 거의 공간감각정도가 아니면 필요없으니까. 왜냐면은 개성은 무조건 박살내고 교수한테만 맞춰주면 되니까. 아니 열등감 개 심하네?? 이해가 안간다.
@hoyunii
@hoyunii 4 жыл бұрын
@@user-tx9ww7fc8o '어중간한 재능은 악마가 내린 저주다'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에요 ㅎㅎ 만약 본인이 아예 재능이 없었다면 미술 쪽으로 발을 들였을까요... 재능이 보였기에 미술을 시작했지만 그리 특출나지 않은 실력으로 영상에서처럼 걸러지는 것이죠 ㅠㅠ
@user-tx9ww7fc8o
@user-tx9ww7fc8o 4 жыл бұрын
@@hoyunii 만화를 너무 많이 보셨네요
@user-gu2do4bl4k
@user-gu2do4bl4k 2 жыл бұрын
탈락하는거 보니 마음이 아프다..저분들은 얼마나 열심히 하나하나 그리신거겠어...ㅠㅠ
@leesoojin6610
@leesoojin6610 3 жыл бұрын
미대 수시, 정시 채점 보조 알바 해봤는데 대학교 마다 다르겠지만 우리 학교에서는 한 5-6명의 교수님께서 오시면 한분당 잘한 거 10장-15장 씩 뽑으시고 진짜 떨어뜨릴 그림들도 한분당 몇장 씩 골랐던 거 같음 (미완성등) 분류 1차로 다 끝나면 잘한거 - 보통 - 탈락 이렇게 세 그룹으로 분류 > 비는 자리 없이 대열 맞춰서 정리 잘한거 다 모으면 총 한 60장정도 되는데 (수합했을 때 정해둔 장수 보다 비면 다시 돌면서 고름) 그 중에서 위로 올릴 거(A권대) 한분당 몇 장씩 뽑으시고 모으고 - 아래로 내릴 꺼 (C권대) 한분당 몇 장 뽑으시고 그것대로 또 모아서 A-B-C 점수 별로 그림 분류 > 비는 자리 없이 대열 맞춰서 정리 (이때도 정해둔 장수보다 비면 아래 점수대 다시 둘러보면서 올릴 거 또 고름) 크게 나눠 놓고 그 중에서 + - 나눌 거 다시 분류 > 비는 자리 없이 대열 맞춰서 정리 이렇게 하는 와중에 본인이 뽑아야 할 할당량 다 채우셔도 각자 돌아다니면서 몇번씩 그림 돌면서 올릴거 없나 슥 전체적으로 돌기도 하고 분류해서 모아놓은 거 보시기도하면서 돌아다님 어느 정도 점수대 끼리 그림 분류 끝나면 이제 다 모이셔서 이때 의견 조율하면서 상의함. 얘가 올라가야 한다. 얘가 더 낫다. 이렇게 조율하면서 점수권대 확정 지음 그리고 점수대 별로 그림 추려지면 같은 점수대 안에서도 얘가 더 낫다 하면서 상의해서 등수 정함 - 등수대로 정리 (등수대로 숫자 번호표 붙임 + 내가 기억하기로는 전체 그림 다 등수 정했음 > 즉 탈락 그룹에서도 등수 다 갈림 / 모여서 그 안에서도 상의해서 다 등수 정함) 점수대 별 - 등수 순서대로 최종 분류 - 정리 다 끝나면 각자 테블릿 패드 들고 다니시면서 점수 입력 - 점수 채점 끝나면 보조들이 그림 점수대 별로 모아서 순서 맞춰서 봉투에 정리하고 검수하고 끝 다해서 채점 한 2-3시간 정도 걸림 한 분이 최소 3초만 보셔도 6분이 도시면 18초 - 근데 모든 점수권대 안에서 다 등수 정해야 하기 때문에 점수대 별로 모아둔 거 등수 정해야 돼서 모여서 그거 또 보고 그 안에서 순서 정함 즉 몇초 만에 갈리는 거 아니에요. 처음에 ' 러프하게 잘한 거 한분당 ~~장씩 뽑아주세요' 이렇게 할 때만 눈에 띄는 거 위주로 고르니깐 빨리 빨리 진행되는 거지 그리고 미대 가서 채점 알바 해본 사람들은 알거에요. 교수님들이 잘했다고 고른 그림은 이유가 있음 납득이 됨 그리고 내가 그중에서 뽑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음
@user-qm6hx6gn8i
@user-qm6hx6gn8i 5 жыл бұрын
저 여자분 열심히 살펴보는거 같은데 나만그래 느끼나..
@user-lb3jx5gh6q
@user-lb3jx5gh6q 4 жыл бұрын
ㅇㅇ 걍 느낌임
@user-zd4dj2sp2o
@user-zd4dj2sp2o 4 жыл бұрын
나도 그렇게 느낌ㅋㅋㅋㅋ대충하는거면 저렇게 머뭇거리지 않고 바로바로 걸러냈겠지
@A-glutton
@A-glutton 3 жыл бұрын
@@user-lb3jx5gh6q 응 아니야
@user-ik7ss7en6x
@user-ik7ss7en6x 3 жыл бұрын
@@user-lb3jx5gh6q ㅗ
@misemonji
@misemonji 3 жыл бұрын
ᄋ ㅗ
@MIYAAAON
@MIYAAAON 3 жыл бұрын
아 탈락한거 고르는거였구나... 괜찮은거 고르는줄...
@MINI0724
@MINI0724 3 жыл бұрын
아..나도
@Kan1735
@Kan1735 3 жыл бұрын
아 진짜요?
@user-hg8bm5qy5m
@user-hg8bm5qy5m 3 жыл бұрын
@user-qv1bf7ml7s
@user-qv1bf7ml7s 3 жыл бұрын
원래 저런거 고를때는 탈락할만한거 뽑는게 더 빠름. 그리고 어느정도 추려지면 그때 진짜 잘된거 뽑고
@dbm3757
@dbm3757 3 жыл бұрын
어쩑지 ㅋㅋㅋㅋ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3 жыл бұрын
06:00 같은 미술학원.
@user-lf7qy6ty2i
@user-lf7qy6ty2i 3 жыл бұрын
무슨뜻임?
@user-mf6xg4tj1d
@user-mf6xg4tj1d 3 жыл бұрын
@@user-lf7qy6ty2i 그림이 비슷해보여서 비교해보고 있는거 같아용
@user-seoulcityGirL0320
@user-seoulcityGirL0320 2 жыл бұрын
@@user-lf7qy6ty2i 같은미술학원 주제대충예상하고 무슨주제나와도 방식비슷하게 패턴준거임
@user-hk1dq1zy2x
@user-hk1dq1zy2x 2 жыл бұрын
@@user-seoulcityGirL0320 아하
@user-le8nx9to7c
@user-le8nx9to7c 2 жыл бұрын
아그림 까막눈이라 뭐가 비슷한지 모르겠네
@user-ne5bf7tl3b
@user-ne5bf7tl3b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시국에 미대입시 수시추가합격 막날에 합격했는데 준비 뒤늦게 해서 8개월밖에 못하고 9월부터 6주동안 6개 대학 보러 다녔습니다 늦게 시작했다고 기죽거나 그러실 필요없고 끝까지 홧팅하세요!! 그리고 3~5대1이라고 붙겠지라는 생각하시면 안되요ㅠ 아무리 잘그려도 정시가는 사람있고 불합격 되는 사람도 있어요 마지막으로 진짜 학원 잘 고르세요 막 뭐 실수하고 잘 못그린다고 "다른 옆학원 갈래?"나 다른 학원 깎아내리고 세뇌아닌 세뇌시키는 곳은 가지마세요 저 다녔던 학원 근처에 저런 학원 실제로 있었고 아직도 저러고 있답니다 제가 다녔던 학원으로 학원 바꾼 학생이 말해줬고요 잘 가르치지도 못한다고 하더라고요 네임있는 학원이라고 학생은 4~50명되는데 기디합격 고작 5명 됐다고 합니다 물론 저도 네임있는 학원 다니긴했지만요 선생님 역량 차이인거 같긴하네요
@user-gtk850
@user-gtk850 4 жыл бұрын
댓글로 욕하시는 대부분 미술안하시는분들이 욕하시는듯.. 맨날그림만보는 사람들은 슥~지나가도 월등한건 그냥 다보여요..
@wememe681
@wememe681 4 жыл бұрын
저 교수들은 디자인과라서 저런그림 1년에 채점날밖에 안봐요~
@user-mj9kh4cp5m
@user-mj9kh4cp5m 4 жыл бұрын
밍링 디자인과 교수들은 아니까 채점하는거에요~ 다 저 짓해서 교수까지 된건데 모를까요~
@user-vk1cz6cp6m
@user-vk1cz6cp6m 4 жыл бұрын
교수들도 입시생이랑 똑같이 몇년 내내 저런 그림만 보고 된거에요~
@user-ul4uq4mi7l
@user-ul4uq4mi7l 4 жыл бұрын
안녕_ 그랬던 게 몇년동안 쌓인겁니당.. 수시 정시 실기대회까지치면 적은 날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gklxxo4286
@gklxxo4286 4 жыл бұрын
이게 참 세월에 따라 생각도 조금씩 달라지는거 같네요. 우연히 떠서 들어와서 보는데 별로 안잔인한..ㅎ 저분들 보다보면 당연히 눈 생기고 그냥 쓱쓱 보는거 같아도 아 저건 아니다 싶겠죠. 어떠한 일이던 계속 하다보면 눈이 생기고 감이 생기게 되는..ㅎ 옛날에 이 영상봤을땐 좀 학생들 입장에서는 씁쓸하겠다 싶은 마음이 조금은 있었던거 같은데 지금은 그냥 당연한 절차를 하고 있다는 생각만ㅎㅎㅎ
@banbanmoomany
@banbanmoomany 4 жыл бұрын
지금 생각해 보면 유튜브만 보더라도 이 영상을 계속 볼지말지는 10초 이내에 구독 할지말지는 1분 이내에 결정되는 것 보면 우리도 수많은 작품이라 칭할 수 있는 영상들을 고르고 있는 것 아닐까
@user-to9bg5zp6h
@user-to9bg5zp6h 4 жыл бұрын
ㄷㄷ 팩트
@juccy7274
@juccy7274 4 жыл бұрын
ㅎㄷㄷㄷㄷ와 띵언 띵언
@user-yt7ux9nl2f
@user-yt7ux9nl2f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알고리즘, 운빨로 눈에 띄거나 제목이나 화면을 눈에 띄게 만들어서 뜨거나...입시미술뿐만 아니라 모든게 다 그렇네요 눈에 띄려고 아둥바둥하고 자소서 면접도 신기한 멘트 준비해가고ㅠ
@lorentz4764
@lorentz4764 4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에 좇같은 의미부여하네
@user-yg8tb7pm3c
@user-yg8tb7pm3c 4 жыл бұрын
@@lorentz4764 의미부여를 안할필요는 없잖아요? ㅎ
@user-gf8el8sr2i
@user-gf8el8sr2i 3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저 많은 그림을 보는 것도 일이다..
@watame6974
@watame6974 2 жыл бұрын
예를들면 가게의 음식 같은거에요. 저는 요리사인데도 다른 사람과 똑같아요 음식을 하나 사먹을때 가성비나 맛을 따지지 이 요리에 들어간 시간? 노력 정성? 그걸 다 이해해주지 않아요 어딜가든 똑같습니다
@ParkKongKong
@ParkKongKong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대학원생인데 몇주전에 대학교 수시전형으로 학생들 그림 평가하는거 도와드렸었음. 다 바닥에 깔고 abcd순으로 나열해서 교수님들 평가하는거 도와드리고 했는데 교수님들 다 시간내서 오셔서 진지하게 평가하셨음 하나하나 빛의표현,밀도,묘사,구도,형태등 a올려야할건 진짜 누가봐도 잘한 작품들이였음. 저 6분짜리 영상만으로는 미대입시가 이렇게 치열하고 잔인해보이겠지만 현실적으론 어쩔수 없다 생각함...ㅠ 근데 이건 미대뿐만이 아니라 모든 과 또한 입시란 치열할테니까ㅠㅠㅠ 일반화시키는건 아니라봄...
@user-md9tf5rp9r
@user-md9tf5rp9r 3 жыл бұрын
괜히 전문가가 아님
@user-vv2hn1bb4l
@user-vv2hn1bb4l 2 жыл бұрын
다른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수험생들에게는 허무하지만 어쩔수없는부분인것도 맞는듯합니다.
@user-ru3ml7bl1i
@user-ru3ml7bl1i 2 жыл бұрын
댓글 탈락한새끼들임 이해좀 고딩따리들이 봐온 그림보다 훨씬더 많은 그림들을 봐온교수이고 체계적인 평가 단계를 구축해온분들일텐데 딱보면 알지ㅋㅋ 지들이 뭐 세계적인 화가야? 입시미술 딱보면 각 나오는거지
@user-vr8td1uk8t
@user-vr8td1uk8t Жыл бұрын
@@user-vv2hn1bb4l 특히 논술 생각해보면....ㅎㄷㄷ
@user-zb9zh8wm8d
@user-zb9zh8wm8d Жыл бұрын
@@gtl1686 그럼 기본기가 없는 학생을 뽑아요? 그림 1장으로 평가하는데 뭘 더 알 수 있겠어요.
@bae981
@bae981 3 жыл бұрын
저 교수님은 그래도 착하신겁니다...... 주워 주시잖아요 ... 원래 툭하면 옆에서 보조하시는 분이 땀 뻘뻘 흘리면서 줍습니다
@user-uz6ek8we3m
@user-uz6ek8we3m 3 жыл бұрын
ㅜㅜㅜ그건 예의없는거아니가
@bae981
@bae981 3 жыл бұрын
@@user-uz6ek8we3m 다들 그렇게 하세요 그게 보조의 역할이니까요 ..
@user-uz6ek8we3m
@user-uz6ek8we3m 3 жыл бұрын
@@bae981 보조도 힘들겠군요..
@Park-mo7wq
@Park-mo7wq 3 жыл бұрын
@@user-uz6ek8we3m 그거 시키려고 보조 쓰는겁니다
@user-cz9mg3qi5f
@user-cz9mg3qi5f 3 жыл бұрын
다른영상 보니까 다른 교수님은 옆으로 툭하는데 저 여자 교수님은 다 주워주시네요
@user-yb9xh2jr9n
@user-yb9xh2jr9n Жыл бұрын
와 우연히 지나가다 봤는데 입시미술학생때가 벌써.. 12년이상이 지났네.. 잊고있었던 학생시절 풍경에 아련해지는 영상이네요
@user-nx1zj9yv5p
@user-nx1zj9yv5p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어떤 일 하시나요..
@Aile967
@Aile967 7 ай бұрын
저런거 해도 일하는건 걍 XX디자이너임
@user-bk2bk6mo9r
@user-bk2bk6mo9r 2 жыл бұрын
지금 입시 치루는 고 3인데 이 영상만 보면 진짜 존나 눈물남 빠지는 그림이 진심 내 그림처럼 보이고 ㅅ비ㅏㄹ 나 운다 울어
@user-mr4gf8zn7c
@user-mr4gf8zn7c 3 жыл бұрын
대학원 조교 시절.. 저렇게 작품 쭉 깔아놓고 하는 미술입시에 동원됐었는데, 교수님 옆에 따라다니면서 막대로 짚는거 옆에 들고다니는 역할..입시 중에서도 체력적으로 힘들어서 조교들 사이에서 이삭줍기입시라고도 불렸음.. (허리를 계속 굽혔다 폈다 해야돼요.) 미대가 아닌 타과조교였기에 작품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저기에서 네단계로 선별해서 선별한 작품들 중에서 교수님들끼리 또다시 회의를 거쳐 계속 올렸다 내렸다 했음.. 미대전공이 아닌 내가 봐도 교수님들이 올려야겠다 내려야겠다 하는거 보면 확실히 차이가 나는게 보이던... 교수님들 회의하는 건 거의 1,2시간씩 걸려서 신중하게 회의하셨고 2일동안 대략 700장씩 거의 1,400장을 깔았음... 한가지 주제의 그림을 1,400장 정도 자세하게 관찰하고 점수매기는 거 절대 쉬운일이 아니다 느꼈음.. 정말 전문가들이구나. 절대 대충 보고 판단하는거 아닙니다.. 교수님들도 주말 내내 오셔서 하루종일 채점하는데..정말 신중에 신중을 기해서 하시던.. 작품들 보면서 입시생분들도 정말 대단하고 학생들 데리고 오신 학부모님들도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user-yt4zo7js9e
@user-yt4zo7js9e 3 жыл бұрын
원래 잘 모르는 사람이 용감함ㅋㅋㅋ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틀리지 않음
@wingwish5920
@wingwish5920 3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궁금해서 그런데 남아있는 작품은 합격이고 줍는 작품은 탈락인건 가요?
@user-vm8dl3hu4h
@user-vm8dl3hu4h 3 жыл бұрын
@@wingwish5920 줍는게 탈락이라고 위에 댓에 써있더라고요
@user-ir7qi9ez5w
@user-ir7qi9ez5w 3 жыл бұрын
근데 줍는게 탈락한거에요 합격한거에요?
@tastyjin6606
@tastyjin6606 3 жыл бұрын
@@user-ir7qi9ez5w 불합격,탈락자 가려내는거랍니다~
@user-wv4px2uc4x
@user-wv4px2uc4x 6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입시미술은 예술이 아님. 분야만 다르지 결국은 입시지옥... 대학마다 원하는 스타일 분석하고 표준적으로 잘 뽑히는 그림체를 찾아 거기에 맞춰서 내 그림을 뒤집어 엎어버리는. 그런걸 예술이라고 부를 수는 없음 그냥 대학 합격을 위한 수단이지... 입시미술이 진짜 예술이었으면 미술학원에서 애들이 맨날 머리쥐어짜고 울고 졸면서 그릴리가 없다.
@user-un1el9ny6f
@user-un1el9ny6f 5 жыл бұрын
하아..정말 입시 경험자로서 공감하는 이야기입니다 입시지옥..;;;
@user-ys1yb1wy1f
@user-ys1yb1wy1f 5 жыл бұрын
간신히 머리쥐어짜서 아이디어 짜면 막상 빠꾸당함 ㅜㅜ
@user-un1el9ny6f
@user-un1el9ny6f 5 жыл бұрын
@@user-qg2iq5hv8j 와 저도 입시 한 사람으로서 ㅇㅈ ㅆ씹공감입니다..제가 하고 싶은말 시원하게 해주십니다..그래도 꼭 합격하길 바래요...ㅜ
@spigelvin8307
@spigelvin8307 5 жыл бұрын
예술이 아니지 당연히 입시미술은 주제에 대한 해석능력보단 기본적인 조형감각을 보는 시험임.
@user-hm9ld2vr7u
@user-hm9ld2vr7u 5 жыл бұрын
입시미술은 예술이 '절대' 아닙니다
@Ss-zv3ln
@Ss-zv3ln 3 жыл бұрын
어 이거 내 미래..)) 아직까지도 예체능은 공부 내신성적 안좋아도 된다고 아시는 분들 많은데 절대 안그럼. 인문계보다 더 하면 더 했지 덜 하지 않아요ㅠ 그림그리면서 성적관리 하시는 분들이 얼마나 많으신데. 진짜 대단하신거고. 여러분들의 꿈이 꼭 이뤄지길 바랍니다!
@user-vh2er3fk2w
@user-vh2er3fk2w 2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안하잖음 대신
@asiow-moplie
@asiow-moplie 2 жыл бұрын
@@user-vh2er3fk2w 수학하는애들은 그림안그리잖아? ㅋ 그렇게 따지면
@user-vh2er3fk2w
@user-vh2er3fk2w 2 жыл бұрын
@@asiow-moplie 그림그리는건 쉽잖아;;
@asiow-moplie
@asiow-moplie 2 жыл бұрын
@@user-vh2er3fk2w 쉽긴 뭐가 쉬움? 님 저기서 몇등안에 들꺼같음? 원래 자기가 안해본길은 쉽게 말할수있음
@mayoo10101
@mayoo10101 Жыл бұрын
@@user-vh2er3fk2w 잘 모르면 입 닫고있자
@bb-tt3te
@bb-tt3te 3 жыл бұрын
내 심장이 두근거려..뭔가 내 그림도 저기 있는 느낌.. 하나하나 뽑을때마다 내 심장이 철렁거리네.. ㅎㄷ
@cw4129
@cw4129 2 жыл бұрын
ㅇㅈㅋㅎㅋㅎㅎㅋㅋㅋㅋ
@user-lg3ve3ix2m
@user-lg3ve3ix2m 4 жыл бұрын
씁쓸하긴 한데 입시미술만 저렇게 휙휙 넘기는 게 아니라 모든 분야가 다 저렇게 함. 극작문창 애들도 마찬가지임 보통 2500자에서 3000자를 써서 내는데 교수들은 딱 3줄만 봄. 글씨체 개판이면 그냥 안 봄. 노래랑 연기도 똑같음 딱 세마디하면 교수들 맴 속에선 이미 갈려있음. 대학을 떠나 회사는 다를 거 같음? 인사팀도 입사원서 끝까지 다 안 읽음. 맨 윗 칸에서 몇초 안에 합격 불합격 나누는 거임. 몇년간 고생한게 단 몇초만에 결과가 나오다니...는 너무 감상적인 말임. 상식적으로 한 해 지원자 수를 생각하셈. 심사위원들은 심사가 일이기 때문에 딱 보면 앎. 겨우 몇초를 보더라도 뽑힐만한 사람은 뽑히게 되어 있음. 영상부터가 불통받는 그림들은 그럴만한데.
@dlrud6822
@dlrud6822 4 жыл бұрын
일없다 대학 취업센터에서도 다 그렇게 말하고 인사팀에서 취업 특강 와도 그렇게 말합니다 대학 자소서도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자소서에는 두괄식을 사용하거나 어떻게든 눈에 띄는 말을 쓰라고 합니다
@user-dl9zm1em6b
@user-dl9zm1em6b 4 жыл бұрын
@userisnotdefined_
@userisnotdefined_ 4 жыл бұрын
존나 제가 하고싶은말....저런 입시그림만 10년 넘게 봐온 사람들은 걍 척보면 각나옴 제발 미알못들 닥쳤으면
@user-cn3fx6yt1i
@user-cn3fx6yt1i 4 жыл бұрын
별로 씁쓸하지도 않음 그냥 나 고생한거 알아주고 신경써달라고 떼쓰는게 애같은마인드고 수천개 결과물을 하나하나 꼼꼼히 보는게 시간낭비 인력낭비임 1차 2차 3차 이렇게 거르는게 수천명을 전부 스펙과 자소서와 면접을 볼라면 너무힘드니까 일단 체로걸러내는거임
@user-jd7hk8dw2p
@user-jd7hk8dw2p 4 жыл бұрын
자소서도 똑같음 소제목만보고 별로다 싶으면 2초내로 넘김
@XOOCKE
@XOOCKE 5 жыл бұрын
누가 이거보다가 자기그림나오면 소름이겠다;
@user-qm3bw5bl8v
@user-qm3bw5bl8v 5 жыл бұрын
긴생머리스님 아니 찐따가 나대길래요..
@user-wb4is5ln2u
@user-wb4is5ln2u 5 жыл бұрын
거 좀 그릴 수도 있나 보지. 진정해~
@user-mo2gr9tg3y
@user-mo2gr9tg3y 5 жыл бұрын
@@user-qm3bw5bl8v 존나 쎄네
@user-ry5mg5eq1f
@user-ry5mg5eq1f 5 жыл бұрын
@@user-qm3bw5bl8v 갑자기? 욕 쓴다고??
@user-bx7hm8jc5y
@user-bx7hm8jc5y 5 жыл бұрын
@@user-ry5mg5eq1f 이유가 있는 듯 일단 좀 더 상황을 보시게... 욕했다고 눈 뒤집어지지 말고
@user-fg9it2lw2n
@user-fg9it2lw2n 3 жыл бұрын
오우야 다들 너무 잘 그리네 저렇게 그리기 위해서 얼마나 노력했을까..
@dundunaenge
@dundunaenge 10 ай бұрын
채점까진아니고 고사감독 몇번 들어가봤는데.. 경력 짧은 대학생 감독관 입장에서도 밀도 색감의 차이가 다 보이는데 십몇 년을 매년 채점 오는 교수 입장에선 얼마나 잘 보이겠어...
@Liu_Yi
@Liu_Yi 3 жыл бұрын
0:42초 아닠ㅋㄱㄱㄱㄱ 왼쪽 끝에서 중간으로 뛰어가시는거 왤캐 귀여우셔ㅠㅋㄱㅋㅋㅋ
@user-qx9nq7qd4n
@user-qx9nq7qd4n 3 жыл бұрын
오도도돗~가시는것 같아요ㅋㄱㅋㅋ
@vhgkdgkd
@vhgkdgkd 3 жыл бұрын
그림 안밟고 지나감 ㅋㅋㅋㅋㅋㅋㅋㅋ
@Hompose
@Hompose 3 жыл бұрын
He is 임팔라
@user-hl8sz7te2c
@user-hl8sz7te2c 3 жыл бұрын
@@vhgkdgkd 와 저러다가 그림밟으면 쭉 미끄러지는데 저건 고수임
@user-ow6tn6ng7n
@user-ow6tn6ng7n 3 жыл бұрын
저러다 밟아버리면..(아찔
@user-ed5wn8bq3k
@user-ed5wn8bq3k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 존나 좋은거 쓰네 확대해도 다보이네 [깔ㅡ끔ㅡ스]
@user-fp9dl5xd9v
@user-fp9dl5xd9v 3 жыл бұрын
5:28 미쳤다
@user-ed5wn8bq3k
@user-ed5wn8bq3k 3 жыл бұрын
@@user-fp9dl5xd9v ㅇㅈ 지리노
@usre951
@usre951 3 жыл бұрын
누?
@user-ed4ff3vf1o
@user-ed4ff3vf1o 3 жыл бұрын
누???? 누무현이노???
@Saebori
@Saebori 3 жыл бұрын
노노와 왈람프노?
@jiwon9608
@jiwon9608 3 жыл бұрын
저때도 입시하고 아직도 입시판에 있는 사람입니다. 요샌 특히 더 성적 중요하니까 공부 더 열심히 하세요 저땐 그래도 밀도 높은 그림, 열심히 그리는 학생작품이 많이 뽑혔지만 이제는 기디도 변별력이 없고 그림 추세가 기조로 많이 변했기 때문에 오히려 더 공부 하셔서 현역에 대학 가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너무 서서 그리지 말고, 허리 조심하시고 중간중간에 일어나서 확인하시면서 그리세요~!
@user-ke3vi8cz1v
@user-ke3vi8cz1v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봤을 때는 ㅎㄷㄷ 저걸 어떻게 판단해 이랬는데 입시생이 된 지금 걍 슥 봐도 잘한거 못한거 보여요... 교수님들은 진짜 휙 봐도 보이시겠죠..
@rosefragrance6639
@rosefragrance6639 4 жыл бұрын
그림알못이 댓글안썼으면좋겠네 입시미술 중학교때부터 시작해서 재수까지 최소 6년이상까지한사람입니다. 저거 대충보는거아니에요 ㅋㅋㅋ 저렇게 지나가면서 살짝만 봐도 잘한건 눈에꽂혀서 그냥지나갈수가없어요 *강한표현에 맘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어떤분야건 존중받을 필요가 있는데 너무 폄하하는것 같아 맘이 안좋았었어요. 그래도 비전공자들을 무시하는 듯한 어조는 옳지않으니 반성합니다 맘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artz8993
@artz8993 4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
@user-dm3uh3vb6v
@user-dm3uh3vb6v 4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도 저딴식으로 평가하더냐 ㅋㅋㅋ
@rosefragrance6639
@rosefragrance6639 4 жыл бұрын
@@user-dm3uh3vb6v 중국은 더심해요^.^ 몇만명 지원자라 촛불집회마냥 수두룩 빽빽해요 그리고우리나라도 한예종같은곳은 1박2일동안 실기, 프레젠테이션, 글쓰기 심층면접, 팀과제까지 골고루 시험보는걸로 알고있어요. 해외라고 무조건 좋고 우리나라라고 무조건 안좋다는 편견은 버리시길바랍니다.
@rosefragrance6639
@rosefragrance6639 4 жыл бұрын
@@user-dm3uh3vb6v 그렇게 말씀하시는 베르테르님은 입시해보시고 하시는말씀인지 궁금하네요. 한번이라도 그림깔아놓고 봐본사람이면 바로비교돼서 떨어지는거 이해할수있을텐데요
@rosefragrance6639
@rosefragrance6639 4 жыл бұрын
@@user-it2fj8mq8q ^.^ 항상에이플받았어요 걱정하지않으셔도될듯
@user-np6hz8qd9m
@user-np6hz8qd9m 3 жыл бұрын
이거 입시미술했던 사람들은 학원쌤들이 다 한번씩은 얘기해주는데..먼저 이렇게 탈락작품 골라내니까 무조건 기본기탄탄하게 가고 덩어리 잘잡고 가라고..
@babynamgung396
@babynamgung396 3 жыл бұрын
저거 유희사항 안지켜서 저렇게 걸러내는거예요
@user-go1et3hb5i
@user-go1et3hb5i 3 жыл бұрын
지호이 유희...왕?
@user-mr7ce2xl4m
@user-mr7ce2xl4m 3 жыл бұрын
@@babynamgung396 유희사항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pring938
@spring938 3 жыл бұрын
@@babynamgung396 유희사항 레전듴ㅋㅋㅋㅋ
@mmnn3603
@mmnn3603 3 жыл бұрын
@@babynamgung396 잼민이는 가서 구몬풀으렴
@Doctor041
@Doctor041 3 ай бұрын
알고리즘 간택 받았습니다 예체능과 대학이 가기 정말 어렵다고 들은 적 있고,제가 전문가는 아니라서 뭐라 말씀 드릴게 없네요 예체능에 도전하시고,시험 치시는 학생분들 응원합니다 꼭 원하시는 대학교 들어가셨으면 좋겠네요 실패,불합격 당하지 않을까를 무서워 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하고 노력하신다면 꼭 꿈을 이루어 내실꺼예요 예체능 아니더라도 모든 대학 준비 학생 분들 응원합니다
@user-zh2tx9hn3m
@user-zh2tx9hn3m 2 жыл бұрын
슥슥 골라내는 거 멋지다... 한분야의 전문가는 무슨 느낌일까 ㅠㅠㅠㅠ
@dokite7084
@dokite7084 6 жыл бұрын
한순간 꿈이 무너지는 현장.
@haerangq
@haerangq 5 жыл бұрын
따봉충이다ㅋㅋㅋㅋㅋㅋ
@user-jc6ww7np1q
@user-jc6ww7np1q 5 жыл бұрын
@최인석 ㅆㅇㅈ
@user-kv1hi4tx6l
@user-kv1hi4tx6l 5 жыл бұрын
최인석 싸가지없어보이긴 하지만 뭣도 아닌건 아니죠 저사람도 미술 분야의 전문가일텐데 저기까지 다다르기 위해서 힘들게 노력하셨겠죠 저 출전자들 못지않게 오히려 더 많이 노력했을수도 있죠
@user-rl5vw2ih2b
@user-rl5vw2ih2b 5 жыл бұрын
@@user-kv1hi4tx6l 교수임
@user-kv1hi4tx6l
@user-kv1hi4tx6l 5 жыл бұрын
Cleaner Vacuum 알아요...ㅎ 그러니까 전문가라고 한거죠ㅎㅎ
@beat_sb_up_Private_Ryan
@beat_sb_up_Private_Ryan 3 жыл бұрын
미대 간 우리 누나가 갑자기 웅장해 보인다ㅋㅋㅋ +(내가 잘못했어요 ㅅㅂ 그만 좀 싸우셈..) +(겁나 말랐어요) +(홍대임)
@Pekawon
@Pekawon 3 жыл бұрын
@오빠사랑해 뭐지 컨셉인가..?
@leelay5495
@leelay5495 3 жыл бұрын
@오빠사랑해 손에 들린 치킨 마저 배달 잘 하고
@user-ILLHVHL
@user-ILLHVHL 3 жыл бұрын
@오빠사랑해 진지충 꺼져
@user-gk6ru3su2v
@user-gk6ru3su2v 3 жыл бұрын
@오빠사랑해 ㅋㅋㅋ
@user-jq1im6yg5f
@user-jq1im6yg5f 3 жыл бұрын
@오빠사랑해 욕 잘하심?
@user-dy1vq1vy9g
@user-dy1vq1vy9g 3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볼때면 진짜 난 뽑힌거 너무 감사하다. 사랑합니다 교수님.
@user-xv7dk3op8w
@user-xv7dk3op8w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사랑하니까 교수님이 그 보답으로 과제를 내려주시나봐요....
@user-dy1vq1vy9g
@user-dy1vq1vy9g 2 жыл бұрын
@@user-xv7dk3op8w ㅎ...그거랑 저건 별개로 과제를 끊임없이 내려주실땐 절교하구 싶어요ㅎ
@user-xv7dk3op8w
@user-xv7dk3op8w 2 жыл бұрын
@@user-dy1vq1vy9g 하나를 끝내면 또 주시고... 자기 수업만 듣는게 아닌데 왜 그렇게 많이 주시는지
@ppilmim
@ppilmim 2 жыл бұрын
물론 잘하는 사람을 뽑는 게 당연하지만 저 많은 그림 중 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걸러지는 게 나라고 생각하면 정말 울고싶어질걸… 미술은 아니지만 같은 예체능이라 진짜 울고싶어지고 한편으로는 목숨걸고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 듬
@BIRDYYYYYYY
@BIRDYYYYYYY 3 жыл бұрын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TMI 수시의 경우 저런 그림 약 500여장 중 10~15장이 최종으로 선택됩니다 학교별로 상이하지만 비슷함
@user-xx7sv9vb7z
@user-xx7sv9vb7z 3 жыл бұрын
미대는 실기 100인가요? 10~15장 뽑기엔 예비주기엔 넘 적지 않나요 실기 100 아니면 점수까지 매겨서 다른 점수랑 합해야하기도 해서 세세하게 분류할 거 같은데
@starbound4678
@starbound4678 3 жыл бұрын
@@BIRDYYYYYYY 정시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수시에선 실기1차뽑고 면접 진행학교도 있고 그냥 실기 100퍼로 뽑고 시험 성적은 안보는 곳도 있어요... 이번 수원대 커뮤디자 지원했었는데 40:1나오더라구요... 아무튼 이런 대학들은 어중이떠중이도 오지만 진짜 6수생 7수생까지도 와서 비빌게 못되는곳.....
@user-yq9sr7of9l
@user-yq9sr7of9l 3 жыл бұрын
@@user-xx7sv9vb7z 학교마다 다릅니다. 실기 비중이 높은 대학과 낮은 대학이 있고, 면접이 있는 대학도 있어요:)
@moralless
@moralless 3 жыл бұрын
@@user-xx7sv9vb7z 실기 100은 왠만해선 없음 아 성적 100은 있다 홍세대....보통 70대30~50대50 으로 내신이랑 실기봅니다 그래서 그림A급이 성적 좆망해서 떨어지고 그림B급이 성적 좋아서 붙은 경우도 꽤나 보여요.그냥 미술할껌 실기는 무조건 B급이상 찍어야 희망있고 성적도 학교마다 다르긴한데3~4는 찍어놔야 편함
@y27ud55
@y27ud55 3 жыл бұрын
@@moralless 대학은 실기 100 많이 없는듯 예중이면 몰라도..
@user-jh1hh4wj2v
@user-jh1hh4wj2v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유료광고 포함인줄 누가 알았겠어
@user-dr5cb6gn4o
@user-dr5cb6gn4o 3 жыл бұрын
???-??--?-?-!먼 소리야 광고야?
@ryu-miremire
@ryu-miremire 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깤ㅋㅋㅋ 광고 언급된 댓 찾고 있얶닼ㅋㅋㅋ
@user-cp3os9kv2g
@user-cp3os9kv2g 3 жыл бұрын
ㄹㅈㄷ네 알고리즈때문에 5년전 영상보는데 하루전 댓글에 추천 180개
@user-SJarmy
@user-SJarmy 3 жыл бұрын
댓글 찾아보니깐 저작권때문이라는 글을 봤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user-fv6hq8yg2s
@user-fv6hq8yg2s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 광고임
@user-gm6bs1jy2w
@user-gm6bs1jy2w 2 жыл бұрын
5:07 이거 센과 치히로에 나오는 무슨 강의 신? 닮았다
@naedongdang2_18
@naedongdang2_18 2 жыл бұрын
아 그 오물 다 빼고 나온 쪼끄만 신 말하시는 거죠?,
@user__0
@user__0 2 жыл бұрын
@@naedongdang2_18 ㅋㅋㅋㅋㅋㅋ쪼끄만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큐ㅠㅠㅠㅠㅠ
@user-kd9ew3go6j
@user-kd9ew3go6j 3 жыл бұрын
재수학원 다닐때 예체능반이 따로 있었는데 여기반애들이랑 졸라 친해지면서 예체능이 진짜 생각한거보다 더 빡세고 대단한걸 느낌 우리 문이과는 주말에도 나와서 자습하는데 얘네는 주말내내 실기가느라 공부 할 시간이 평일밖에 없고 또 심지어 수시까지 챙기는 애들은 평일에도 실기간다고 나가고..가끔보면 애들 거의 다 실기나가서 예체능반 불꺼져있고 텅 비어있어서 애들끼리 놀랜적도 있었는데ㅋㅋ근데도 그 와중에 우리반애들보다 공부 더 잘했음..ㅋㅋㅋ물론 잘하는애들이 있는가하면 실기챙기느라 성적놓친애들도 있겠지만..나랑 친했던 예체능반애들은 뭔 사탐을 매달 보는 모의고사마다 만점받아서 11 찍고 국어도 2는 찍더라..수능끝나고 연락했을때도 다들 211 아니면 222찍었다하고..얘넨 진짜 내가 봐도 존나 멋졌음 실기땜에 우리보다 공부하는 시간이 2배이상은 더 부족했는데도 공부 졸라 한 우리랑 비슷한 성적받거나 우리보다 잘본애들도 있고.. 예체능애들이 존나 빡세다는건 말만들어선 문이과애들은 실감못하고 재수학원 다녀보면 이해하게됨 우리랑 전혀 다른 시간표..나도 걍 고등학교다닐때 미술하는 친구 힘들겠다고만 생각했지 이정도일줄은 몰랐음..ㅋㅠㅠ 같이 감옥에 갇혀서 공부해보니까 실기 챙기랴 공부챙기랴 얼마나 바쁜지 알겠더라..
@user-ts4qm9op9x
@user-ts4qm9op9x 3 жыл бұрын
저 현역 고삼 이번 수시 미대 붙었어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user-nl5dq3uv7r
@user-nl5dq3uv7r 3 жыл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sy-ss5wf
@sy-ss5wf 3 жыл бұрын
수고했고 잘했어요🎉
@soheeyu7246
@soheeyu7246 3 жыл бұрын
축하해요!!!
@eunganiya
@eunganiya 3 жыл бұрын
너무축하해요🥺👍👍👍
@user-ke5lc2fv9s
@user-ke5lc2fv9s 3 жыл бұрын
축하드려요ㅠㅜ (이제 막 고2들어가는 미대 입시생)크흛
@user-gz2zl6bd4c
@user-gz2zl6bd4c 3 жыл бұрын
2:26 도우너 어서오고
@MingMangMoong
@MingMangMoong 3 жыл бұрын
왜이리 얼굴이 죽상이야?
@there_sai
@there_sai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
@user-hs6bs6ml6z
@user-hs6bs6ml6z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미친거 아니냐 개웃기네ㅜㅜ
@Kamer530
@Kamer530 3 жыл бұрын
이미 떨 대여섯대 한 얼굴
@JSKIM_
@JSKIM_ 3 жыл бұрын
아~이 싯팔!
@user-bk1jj8sx3i
@user-bk1jj8sx3i 3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다 진짜 ㅈㄴ잘 그렸다...
@user-rk9dh3mz2q
@user-rk9dh3mz2q 7 ай бұрын
혹시라도 이 글을 보는 미대입시준비생이라면 가장 중요한건 ‘완성’이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실력향상에만 집중해서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시험장에 가서 완성만 하면 붙는다는 말이 있듯이 특히 현역분들은 시험장에서 완성을 못해서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우선 시간내에 완성을 하는 연습을 먼저하고 실력을 차근차근 올리는걸 추천드려요..! 정시에서 수학빼고 올 1등급받고 완성을 못해서 국민대 떨어진 사람을 봤어서..그럼 너무 억울하잖아요🥹 (지나가는 미대화석졸업생이) 그럼 화이팅입니다!!!
@juile7103
@juile7103 6 жыл бұрын
저거 알바 했었는데 A랑 F 먼저 뽑고 B C D 나눔 근데 내 기준 A B는 사실 뭔 차인지 모르겠는데 A 보다가 F 보면 못한 게 티남... 교수님들도 A+ A 제로 나눌 때 고민들 많이 하시고 D에서 F로 내릴 때도 고민 많이 하심 B로 내릴 때 되게 안타까워 하시고 ㅇㅇ
@NSEkr
@NSEkr 5 жыл бұрын
@류승룡기모찌 E없어요
@orr9001
@orr9001 5 жыл бұрын
@@user-zo9du3zo9k 그렇게 남을까내리고싶나;모를수도잇지
@jhr74242
@jhr74242 5 жыл бұрын
근데 학교마다 방식이 조금식 다르더라구용 다르곳에서는 밑에서부터 짤른다고해요 끝까지 남아있는게 잘하는거
@Bi_DDo
@Bi_DDo 5 жыл бұрын
@@orr9001 모르는게 죄는 아닌데 모르면 아는척하질 말아야지.
@orr9001
@orr9001 5 жыл бұрын
@@Bi_DDo 저게 아는척으로보이나 ㅋㅋ 그냥 장난식으로 던진말처럼 보이는데; 그리고 니댓글에 자추하지마라 역겹다^
@kangdanny1027
@kangdanny1027 4 жыл бұрын
여기 존나 징징대는 애들 교수가 무슨 딱지치기해서 된사람들인줄 아나본데 교수는 교수임 저거 대충 슥한번 보는거같아도 볼껀다보고 이건이거다 하는거 뽑는거임 그러니까 힘내라 다들 ㅠㅠ 사회나오면 실전이다
@user-ic7rk7oq2o
@user-ic7rk7oq2o 4 жыл бұрын
딱지치기ㅋㅋㅋㅋㅋㅋㅋ
@9inne
@9inne 4 жыл бұрын
교수씹새끼ㅋㅋ쫌만쓸만하면학생이용해먹고대타뛰어줘도십만원쥐어주는학생개씹호구로보는교수천지걍교수들은인간정내미가없나봄존나이타주의
@sj9133
@sj9133 4 жыл бұрын
ㄹㅇ 고등학교까지 축구했던 나도 다른사람 패스 한번하는 것만 봐도 답 나옴
@user-mk6sc9iw7g
@user-mk6sc9iw7g 4 жыл бұрын
@di03145 나도 입시 4년햇지만 교수급은아니더라도 머가 낫고 머가 안좋은그림인지 구분은함 근데 교수는 얼마나 잘보겟냐
@user-mk6sc9iw7g
@user-mk6sc9iw7g 4 жыл бұрын
@di03145 그리고 교수가 그림볼때 오차가문제가아님 오차는 거의없고 그냥 교수 스타일임. 그래서 입시때 내가 가고싶은 대학 골라서 몇년치 합격작들 분석하ㅕㅁㄴ서 교수진들이 좋아하는 스타일 뽑아서 써먹는거임. 수능치기전에 우리가 평가원 기출을 보는거 유형익힐라고하는거랑 같음
@user-nv9jc1on9m
@user-nv9jc1on9m 2 жыл бұрын
내가 이 동영상 처음 봤을땐 내가 미술할지 몰랐지....ㅋㅋㅋㅋㅋ 뿌앵
@marangf
@marangf Жыл бұрын
미술 입시 준비하면서 느끼는건데 작품 그리고 나서 저정도 거리에서 보면 누가 잘했고 누가 못했는지 보임 저렇게 1차 통과는 눈에 띄고 잘 그린 작품이 통과되는 거고 그 뒤로 2차 3차에서 주제에 맞는 그림을 그렸나와 투시와 인체는 똑바로 돼 있나 등 여러 기본기들을 체크해나가면서 등급을 매깁니다 교수님들 말씀으로도 우선 기본기가 탄탄한 그림이 잘 뽑힌다고 하고요 이런 그림 한 장으로는 그 사람을 함부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제일 기본중에 기본인 기본기를 우선으로 본다고 하네요 자기한테는 열심히 그린 그림이 한 순간의 판단으로 인해서 탈락이 된다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인거 같아요 아마 더 좋은 방법이 있었으면 진작에 바꼈겠죠 입시 준비 전에는 너무 무례하다고만 생각됐던 게 입시 준비 시작하고 나서 보니까 평가하시는 분들 마음도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거 같네요... + 보통 1차에서 탈락하는 그림들은 미완성 작품이거나 채색이 엉망인 작품일 경우가 크다고 하네요 완성만 하면 일단 1차는 거의 통과입니다
@lim_lionaire
@lim_lionaire 3 жыл бұрын
같은 주제로 저렇게 다양한 그림이 나오는게 정말 신기하고 대단하다
@user-md9iv2ue2z
@user-md9iv2ue2z 2 жыл бұрын
ㄹㅇ
@user-tc7if1re5k
@user-tc7if1re5k Жыл бұрын
@@AWG47 논리는 니 으미한테나 가서 찾으시구여
@TT-fr3dr
@TT-fr3dr Жыл бұрын
@@AWG47 논리 따지기 전에 책부터 읽고 와야겠네
@yeeeeeee
@yeeeeeee Жыл бұрын
그게 사람마다의 개성인 듯
@user-tm9lj2fy2p
@user-tm9lj2fy2p 3 жыл бұрын
저기 얼마나 많은 꿈들이 담겨 있을까 + 싸우지 마세요.. 많은 그림을 심사하기 위해선 어쩔수 없지만저도 예체능 전공자라 안타까워서 그래요.
@ajygtr0816
@ajygtr0816 3 жыл бұрын
사정없는 사람없지
@user-jv8oh2xo2v
@user-jv8oh2xo2v 3 жыл бұрын
@@user-jz3xh6yc6o 울지 마셔유ㅠㅠ
@user-zl7yl9jl1o
@user-zl7yl9jl1o 3 жыл бұрын
짱이다 그러네요ㅜㅠㅠ
@user-my1xx6gj3g
@user-my1xx6gj3g 3 жыл бұрын
자신의 꿈이 저 3초에 판단되어 걸려졌다면 문제는 누구한테 있는 걸까
@atocanimals8499
@atocanimals8499 3 жыл бұрын
꿈이 더 크고 욕심있는사람이 뽑히겠죠
@som2507
@som2507 2 жыл бұрын
저 이 영상을 아마 1년전에 봤던걸로 기억하는데 저 열심히 해서 미대 합격했습니다 ㅠㅠ 진짜 꿈만같고 저 치열한 현장에서 제가 뽑혔다는게 믿기지 않아요😍😍 저는 산업디자인학과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bingsinna
@bingsinna 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존나 슬프고 내가 다 숨이 막힌다 이건 고구마로 막히는 정도가 아니야;
@Malbbo_
@Malbbo_ 4 жыл бұрын
주제가 뭐길래 가면이 왤케 많음
@jihunei
@jihunei 4 жыл бұрын
주제가 가면임
@user-se8vf4db6x
@user-se8vf4db6x 4 жыл бұрын
ㅌㅋㅋㅋㅋㅋㅋㅋㅋㅁㅊ
@user-xq8bu6tn3z
@user-xq8bu6tn3z 4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g2td6uo7w
@user-ng2td6uo7w 4 жыл бұрын
?아
@Ccwhizle
@Ccwhizle 4 жыл бұрын
짤하
@user-js7gf1lg2f
@user-js7gf1lg2f 3 жыл бұрын
무림 고수들은 발걸음만 보고도 상대의 내공을 짐작할 수 있다고 하죠. 뭐 비슷한 맥락인 것 같습니다.
@user-vb5fk7xj8z
@user-vb5fk7xj8z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교수님들이 고른 그림들 보면 주변 다른 그림들이랑 확실히 실력차가 나긴 함 매정하다 어쩐다 그러지만 어쩌겠음 대학은 배우러 가는 곳이고 더 잘 하는 사람이 가야하려면 상대적으로 못하는 누군가가 떨어져야 하는 건 사실이니
@user-zf6bg7ko9i
@user-zf6bg7ko9i 3 жыл бұрын
아니 화질 개후지고 이렇게 멀리서 본 영상에서도 잘하고 못하고가 눈에 보이는데, 교수가 눈 앞에서 보면 얼마나 눈에 확 보일까. 저런 그림을 수만장은 봤을 사람들인데. 애들이 어려서 그런지 몰라도 전문가 라는 단어가 가진 무게를 잘 모르는거 같음.
@5pp019
@5pp019 3 жыл бұрын
4분대에 코난 범인처럼 생긴거 딱봐도 탈락할만 했음
@user-co7cq9ov6t
@user-co7cq9ov6t 3 жыл бұрын
도대체 2015년에 무슨 카메라를 쓰셨길래 이렇게 화질이 좋죠?
@user-bc2rz7no2p
@user-bc2rz7no2p 3 жыл бұрын
@@5pp019 3:39
@dudalsrnjs6426
@dudalsrnjs6426 2 жыл бұрын
@@user-qv3cr1cw8i 정답은 없지만 우열은 가릴 수 있는게 입시미술임. 아무리 유행이 바뀌어도 기초디자인같은 과목은 결국 디자인의 기초 원리를 보는 과목이고 그 기본을 제일 잘 지킨 사람의 그림이 뽑히는건 불변임. A+받는 합격작이 A0권대 그림들 사이에 두고보면 비교했을 때 기본기의 차이가 명확하게 보일 수 밖에 없음.
@dudalsrnjs6426
@dudalsrnjs6426 2 жыл бұрын
매년 대학마다 기준이 바뀌어도 그건 구성적인 연출면이지 결국 형태력, 질감, 공간감, 대비같은 기본 원리가 가장 큰 합격 요인임. 그게 지켜지지 않으면 아무리 트렌디한 연출을 해도 결국은 밀려남.
@_vanessa3582
@_vanessa3582 5 жыл бұрын
제가 지금 화실을 다니는데요 화실 선생님께서 저 미대 평가하시는 분이었는데 딱 그림을 보면 어느 학원에서 왔는지 딱 티가 난데요. 그래서 딱 보고'어 얘는 어느 곳에서 온 애지?'라고 보이는 개성있는 그림만 합격이 되는거래요
@monglemanglehae
@monglemanglehae 5 жыл бұрын
[ARMY]*'린' 학원마다 공유하는 그림의 패턴이 있으니까요. 디자인입시로 보자면 사고의 전환과 발상과 표현이 위주였던 옛날은 지금보다 더 심했죠. 지금은 그나마 제시물을 가지고 배치하기만 하는 기초디자인이기때문에 티가 덜나는겁니다. 다만 한가지 말해주자면 개성있는 그림만이 합격되는것은 아니고 개성도 그림의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지만 가장 중요한건 완성도랍니다ㅎㅎ. 린님은 꼭 개성있고 완성도 또한 높은 그림 만드시길 바랄게요.
@user-pm7ur2fe9u
@user-pm7ur2fe9u 5 жыл бұрын
음 개성보다는 완성도. 그리고 발상의 전환이나 사고는 패턴이 생겨날 수 밖에 없는 입시 그림이에요.
@user-zq4jq5vv9k
@user-zq4jq5vv9k 5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user-eu4pv1pc6t
@user-eu4pv1pc6t 5 жыл бұрын
기디도 학원마다 스타일 다 다른 건 확실한 거 같아요!! 학원에 다른 학원이 합쳐져서 다양한 스타일 많이 봤는데 확실히 구분가능하더라구요!
@skelox9092
@skelox9092 5 жыл бұрын
낙서 그리면 되는거 아님??
@user-rz5ty3fl1n
@user-rz5ty3fl1n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오래된건 맞는듯..구도가 딱 일차원적임ㅋㅋㅋㅋ 여기서 tmi는 저렇게 앞으로 살짝 빼놓는 그림은 애매해서 그렇고 그냥 두는건 1차 합격자일듯..? 보면은 다 주제가 모호한 그림들 딱 보이는거랑 완성도 좀 낮은거 훅훅 가져가시넹ㅋㅋㅋ잠깐 망설이시는것도 왜 망설이는지 알것같음ㅋㅋㅋㅋㅋ 여러분들 입시하면서 제일 위험한게 내가 잘 그린다고 해서 주제에 어긋나도 괜찮다는건 없어요..딱 시험지에 주제 별표쳐놓고 딱 10번 속으로 되뇌이고 난 뒤에 주제 설정하고 스토리 풀어나가야합니다..!홧팅!!
@jmpark598
@jmpark598 2 жыл бұрын
2021년입시 딸아이가 안되고 좌절많이했지만 재수하고 올해 2022년입시 진짜 열심히 해서 성신여대 수시 높은 경쟁을뚫고 합격했습니다. 대한민국 모든 미대입시준비하는 아들딸들 결과에 상관없이 이미 승자라는거 잊지마시길~
@asiow-moplie
@asiow-moplie Жыл бұрын
따님 멋지네여 인서울 수시합격 축하드립니다
@Imhotsexygay
@Imhotsexygay 7 ай бұрын
저도 이번에 성신여대 수시 쳤는데 꼭 만날 수 있었음 좋겠네요…
@user-fu6eg9ts4p
@user-fu6eg9ts4p Ай бұрын
열심히일해서 공부시키고 재수까지시켜놨더니 한다는게 고작 페미 ㅋㅋㅋㅋㅋ
@user-yx3lr5fo5r
@user-yx3lr5fo5r 5 жыл бұрын
너무 교수들을 불신하는거 아니냐.. 저 사람들도 감각이 있는데 좋은그림은 티가 남..
@dawisdead
@dawisdead 4 жыл бұрын
좋은 그림이라는건 도대체 뭔가요? 이분법적으로 생각해보면 교수들 눈에 들지 않는 그림은 덜 좋은그림이고 더 나아가면 그저그런 작품인가요? 2000년대 미술계의 화두라는 현대미술도 엄청난 잡음이 나고 있는데 저것들이 그것들과는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요. 저것들의 문제점은 교수눈에 걸려야만 합격하는 바보같은 시스템이 문제인겁니다. 교수를 믿고말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린 친구들에게는 저것들이 인생의 갈림길일 수도 있는데 그냥 한번 눈에 들어오는 것으로 끝나는, 마치 바닷가에서 예쁜 돌줍기 마냥 평가 되는게 문제죠. 누군가는 혼신의 힘을 다했는데 다만 자리가 별로이거나 눈에 안들어온다는 이유로 그림에 쏟아부은 사소한 생각들과 빛나는 영감들이 잊혀지는건 문제가 되지 않나요? 그것들이 기업의 일, 혹은 무언가 이익을 창출해내야 하는 것들이라면 수긍하겠습니다. 시장논리라는 거대한 회색논리라고 이해해보지요. 그러나 저 현장은 교육을 위한 시험인 것인데 그리고 거창하게 말해서 미래의 컨버스위를 자유롭게 연필로, 붓으로 춤출 친구들인데 벌써부터 말도 안되는 시스템의 논리로 저렇게 치부해버릴껍니까.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드는 시스템들은 변해야하고 변할 수 없다면 송두리째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user-gamestick
@user-gamestick 4 жыл бұрын
교수눈에 걸려야하는거 아닌가요?? 교수 자신이 맡은 커리큘럼 내에서 지지고 볶고 졸업할 학생들 일텐데요
@user-sl8wq2xg5u
@user-sl8wq2xg5u 4 жыл бұрын
그럼 시발 그냥 학교가지말고 그림만그려서 인정받든가;;
@ikonic7918
@ikonic7918 4 жыл бұрын
@@dawisdead 이건 자격미달, 미완성작 걸러내는 영상인데요? 설마 교수들이 자기가 가르칠 제자들을 대충 뽑을까요
@user-yx3lr5fo5r
@user-yx3lr5fo5r 4 жыл бұрын
이송 왜 욕질임 근데 그렇게 생각하는 마인드 자체가 문제아니냐
@noang5106
@noang5106 4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면서 갑자기 든 생각인데 제발 예체능하는 사람들더러 멍청하다는 편견은 버렸으면 좋겠다
@_a_b_c
@_a_b_c 4 жыл бұрын
ㄴㄴㄴㄴ소수의 체육쌤은 예외
@jmsneo3163
@jmsneo3163 4 жыл бұрын
체육은 머가리 멍청한건 펙트아닌가 ㅋㅋ
@_a_b_c
@_a_b_c 4 жыл бұрын
@@jmsneo3163 근데 아주 적은 확률로 좋은사람 많음 근데 무식한 사람들이 더...
@jmsneo3163
@jmsneo3163 4 жыл бұрын
@@user-dk8kv4qq9j 체대 머리나쁩니다 정유라도 거른 한국체대
@user-theonegarden
@user-theonegarden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체교는 제외해요.. 사범대입니다
@user-yo9pq5ei8g
@user-yo9pq5ei8g 3 жыл бұрын
시험 보러가기 전날 이 영상을 봤었는데.. 기분이 참 미묘했었징..ㅋㅎ
@user-hq9iu7bc5o
@user-hq9iu7bc5o 3 жыл бұрын
예비 고3 기디 준비하는 한 학생입니다 꼭 대학붙어서 이 영상 보러올게용~^^
@user-xs8bb7rz3w
@user-xs8bb7rz3w 7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빼는건 별로인것부터 빼는거에요~ 합격그림을 저렇게 쉭쉭지나갈리없죠
@user-wo9hi9jc9w
@user-wo9hi9jc9w 7 жыл бұрын
그쵸? 그런것같았어요 난 왜 더 이상한 작품들을 고르는지 이해가 안갓는데 역시나 못난거부터 빼는거였군요
@user-jh6vm5ld2j
@user-jh6vm5ld2j 7 жыл бұрын
흐음 생각해보니까 그러네
@user-vn8or8mc4u
@user-vn8or8mc4u 7 жыл бұрын
음악 못난것보다는 주제에 맞지않는것같은것들을 먼저 빼는것같아요! 그다음에 그림실력으로 판단합니당ㅎㅎ
@user-xs8bb7rz3w
@user-xs8bb7rz3w 7 жыл бұрын
이뚱​ 네 결국 그소리한거에요~ 제시물을 안그렸다던지 너무 수준이하로 미완성이던지 주제해석을 완전 엉뚱하게 했다던지 보통 A부터 D인가 E등급까지 있는데 제일아래가 E라면 이런 E등급부터 골라내는거죠 잘하는순부터가 아니라
@user-vn8or8mc4u
@user-vn8or8mc4u 7 жыл бұрын
흐음 음악님께서 못난거라 하셔서 음악님께 한 소리에요~! 오해없으시길..~
@Xiidd
@Xiidd 3 жыл бұрын
저거 아무리 잘 그려도 잘 그린 그림 옆에 있으면 탈락 할 수도 있음. 미대입시 하는 언니가 항상 말하는데 미술은 운빨도 좋아야한다고함. 채점 할 때 내 그림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탈락여부가 결정 될 수도 있다고 함.
@wowjeon8251
@wowjeon8251 3 жыл бұрын
그냥 빼는게 아니라 모든 그림을 보고 A, B, C, D, E 이런식으로 분리합니다. 처음엔 학과와 주제별로 분리한 그림을 주제별로 각각 다른 교수님들께서 채점하고, 그 그림들을 A, B, C, D, E로 분리한 후 모든 분리가 끝나면 다시 전체 교수님들이 모여서 각 등급별로 정해진 장수 내에서 위아래로 조정하며 다시 평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위치만으로 잘못평가되는 일은 없습니다. 애들 인생이 걸린 일인데 단순하게 하지 않습니다. 심사만 몇 시간씩 합니다.
@Ah_Ah_Ah_A
@Ah_Ah_Ah_A 3 жыл бұрын
이건 뭔 소리지
@user-sx9ls5kn1s
@user-sx9ls5kn1s 3 жыл бұрын
@@vonrae-et9pr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h_Ah_Ah_A
@Ah_Ah_Ah_A 3 жыл бұрын
클진반 저 글이 뭔말인지는 아는데요.. 저렇게 평가한다는게 말이 안되서 뭔소리냐고 한거에요
@BangSa02
@BangSa02 3 жыл бұрын
@@Ah_Ah_Ah_A 어디가 말이 안된다는거죠?
@user-mw5uu2eu6j
@user-mw5uu2eu6j 2 жыл бұрын
진짜 미대 들어간 사람들 너무 대단함 기준점이 없다는 게 얼마나 사람을 힘들게 하는데
@rrraaa.
@rrraaa. Жыл бұрын
교수 취향이 다 달라서 그 학교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맞춰서 그려야됨ㅜㅜ썅
@lud4light
@lud4light Жыл бұрын
국어 많이 보는 곳 국어 점수 조지고 갔는데 예비 13나옴.. 그림도 ㅈㄴ못그렸는데.. 합격권은 아니지만 교수 취향차?존나맞다..
@user-kk5bc2zh4k
@user-kk5bc2zh4k 7 ай бұрын
기준이 아예 없지는 않아요 입시미술은 분변력을 보기 위한 입시 도구일 뿐 기초가 탄탄한 그림을 가장 많이 보는 것 같음 입시미술로 저는 대학도 갔습니다... 다 학원마다 방법을 알려주고 그에 따르면 될 뿐 그리고 어차피 학교마다 원하는 스타일이 무엇인지 알기 때문에 거기에 부합하게 그리면 될 뿐... 그냥 미술도 공부입니다
@user-el7gi3xm6w
@user-el7gi3xm6w 3 жыл бұрын
4:27 탈락한 그림만 확대해서 보여주네.. 애처롭게ㅠㅠ
@hyc743
@hyc743 3 жыл бұрын
저거 탈락안한거 일걸요
@interest9
@interest9 3 жыл бұрын
안가져가는ㄷ
@user-mn3lj8fy3w
@user-mn3lj8fy3w 3 жыл бұрын
잘해서 위로 올려둔거에요
@user-kw4qm6px2f
@user-kw4qm6px2f 3 жыл бұрын
@@user-bc2rz7no2p 하...... 주제는 여러개고 잘해서 옆에 둔거임...........
@user-bc2rz7no2p
@user-bc2rz7no2p 3 жыл бұрын
@@user-kw4qm6px2f 잘하면 그냥 지나치는데요 위에서 아래로 밀렸던 그림 같아요
@user-bg8ns9ei5r
@user-bg8ns9ei5r 7 жыл бұрын
어색한거 미완성인거 빼내는거임 그리고 요즘은 그림을 외우기도하고...학원에서 배우고...평가하는사람들은 몇년간 그림만 본사람들인데 어색한게 눈에 확들어옴 그리고 그 어색한거는 자기도 잘 앎 광광...
@user-hf3ry2ce1l
@user-hf3ry2ce1l 6 жыл бұрын
Lilium terrarium 우럭따
@user-ih7ny6qx9x
@user-ih7ny6qx9x 6 жыл бұрын
외워봤자 주제다르게 나와서 말짱도루묵
@ReptileStory
@ReptileStory 6 жыл бұрын
제눈엔 표현력이 중딩급... 걸러낸 느낌입니다; 주제가 얼굴(?)같은데.. 주제가 전혀 연상안되도 우선 두긴하는거같아요..
@k1219dy
@k1219dy 6 жыл бұрын
ReptileStory 네 아닙니다
@user-my4do8ex8l
@user-my4do8ex8l 6 жыл бұрын
니이 지랄ㅋㅋㅋㅋㅋ 이미 디자인된 문제를 분석해서 푸는것을 비유를 들고있놐ㅋㅋ 대학은 페르마의 정리를 서술하시오. 라고 주제를 던져놓고 핵심적인 단어가 서술 안된 답안지를 1~5초만에 걸러낸 후 핵심 단어가 들어가 있는 답안지 안에서 등수를 매긴다. 급식아.ㅉㅉ 저긴 떨어뜨릴려고 하는 시험장이니 그 필터가 더 짙겠지
@begg6855
@begg6855 3 жыл бұрын
3:00 삽 에이스들
@user-tb1wi1qo8m
@user-tb1wi1qo8m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hr9sf2ty8w
@user-hr9sf2ty8w 3 жыл бұрын
@도수진 이름은 알고 까... 베리나 아니고 배리나
@omuksa
@omuksa 3 жыл бұрын
@우동워리어tv 우리게이는 고가마스터는 땄노?
@user-ih9gd7fx7q
@user-ih9gd7fx7q 3 жыл бұрын
남아있는게 잘한거에요??
@caohs2767
@caohs2767 3 жыл бұрын
@@user-ih9gd7fx7q 네 별로인 걸 먼저 추려내고 잘한 것들만 남겨놓고 거기서 또 고르는 거예용
@KIJJ099GGA
@KIJJ099GGA 2 жыл бұрын
와.. 어제 대학 실기시험 치고왔는데 이게 알고리즘으로 뜨다뇨.. 내 그림도 저렇게 걸러질 상상 해보니까 지금 너무 착잡하고 눈물나고 제발 나를 뽑아 추합이라도 좋으니까 제발 ㅜㅜ ㅜ ㅜㅜ
@0dduudd00
@0dduudd00 Жыл бұрын
미술하고싶었는데 반대로 못하다가 고3 1월 말부터 입시미술 학원 드디어 들어가서 3월 중반부터 물감 첨 쓰기 시작함. 근데 기디 하다가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고 너무 어려워서 진전도 없고 4시간 시험보면 완성 직전도 턱없이 부족해서 걍 마음속으론 이미 포기했었음. 근데 9월 14일날부터 갑자기 쌤이 발상과 표현 한번 해보자고 카피 함 해자고 하심 그래서 하는데 기디랑 다르게 머리속에서 아이디어도 쑥쑥 나오고 너무 재밌는거임. 담임쌤한테도 너무 재밌다고 칭찬받고 처음으로 4시간 시험 완성까지 가보고... 내가 만화를 좋아해서 이런게 잘 맞는거라고 원장님이 그러셨다. 근데 오늘 첫수시 시험인데 이런 분야가 있다는걸 여태 몰랐던게 진짜 너무 아깝고 후회된다.. 한달도 못해보고 대학 시험이라니 그래도 이건 완성까지 갈 수 있어서 다행이다 오늘 제발 퀄리티 떨어지지 않게 실수 안하고 완성까지 하고 올 수 있으면 좋겟다
@user-qf6ml7mh5i
@user-qf6ml7mh5i Жыл бұрын
후기 좀 알 수 있을까요...?
@0dduudd00
@0dduudd00 Жыл бұрын
@@user-qf6ml7mh5i 후기를 말씀드리자면 사실 제가 중증 adhd 를 앓고 있는데요 그 때문에 첫 시험에서 배경을 블랙으로 채워야 하는데... 블랙을 학원에 죄다 두고 가서 미완성으로 제출했습니다. 두번째도 재료를 몽땅 학원에 두고 갔지만 밤 12시에 선생님께 죄송하다고 연락했더니 그 밤에 학원으로 가서 재료를 밖에 꺼내두고 가주셨어요 그래서 무사히 시험을 치뤘구요. 세번째 네번째도 다섯번째 시험도 모두 무사히 잘 끝냈습니다! 마지막 사험은 제가 원서 접수를 발상과 표현으로 해야하는데 기디로 넣어버린거 있죠... 그래서 그건 재현작 볼 필요도 없는.. 거의 스케치만 하고 제출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어요 ㅋㅋㅋ ㅠ 아무튼 이렇게 모든 시험을 끝내고 결과가 나왔는데요. 원서 접수 잘못한 학교 빼고 다 합격 !!! 했습니다!!! 물론 제가 경쟁률 제일 낮은 곳만 넣어서... 그런거예요 ㅎㅎ 그래서 첫시험 미완성도 예비 7번 받고 합격까지 했습니다 ㅋㅋㅋㅋ 사람이 없다고...^^ 그 당시엔 어디든 내가 뭘하든 상관없었고 그냥 오로지 '대학교' 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ㅎㅎ 고민하다가 국립대인 강원대 삼척캠을 선택해서 이번 달 말에 기숙사로 갑니다! 저와 저희 가족 모두 기적이라고 생각해요ㅎㅎ 후기끝!
@user-qf6ml7mh5i
@user-qf6ml7mh5i Жыл бұрын
@@0dduudd00 앞으로도 하시는 일들 모두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ㅇㅌ!
КАКОЙ ВАШ ЛЮБИМЫЙ ЦВЕТ?😍 #game #shorts
00:17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347 М.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7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75 М.
SUB) My portfolio website received a job offer from Google
11:52
Interactive Developer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10년 전 미대입시 시절 그림 변천사
25:03
예랑가랑
Рет қаралды 483 М.
A man who uses gold powder to paint an artpiece worth $ 3 million, Who is he? / VIDEOMUG
5:45
강남 엄마들이 아동 지능검사 꼭 하려는 이유 (feat. 이병훈 소장)
54:00
정전부부 : 난장판육아
Рет қаралды 38 М.
[ASMR] 입시미술 강사 RP
25:02
강유미 yumi kang좋아서 하는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КАКОЙ ВАШ ЛЮБИМЫЙ ЦВЕТ?😍 #game #shorts
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