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희원 교수_6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kzbin.info/www/bejne/emXUn5yMrdeJaNk 👉 2부. kzbin.info/www/bejne/fZfVpoyVfr-aqaM 👉 3부. kzbin.info/www/bejne/qYOqZnqLr9qanZY 👉 4부. kzbin.info/www/bejne/iaOohWmafsl0i8k 👉 5부. kzbin.info/www/bejne/ioicaHmOjtl_o7c 👉 6부. kzbin.info/www/bejne/f6DdXn2geJyhrc0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kzbin.info/www/bejne/kJrHd4aHhbFmlas
@hjy981 Жыл бұрын
😊😊
@은숙이-x5s Жыл бұрын
❤❤❤😊😊😊❤❤❤❤❤❤❤❤❤❤❤❤❤❤❤❤❤❤❤❤❤❤❤❤❤❤❤❤❤❤❤❤❤ㅣ
@은숙이-x5s Жыл бұрын
❤❤❤😊😊😊❤❤❤❤❤❤❤❤❤❤❤❤❤❤❤❤❤❤❤❤❤❤❤❤❤❤❤❤❤❤❤❤❤ㅣ❤
@minjakoh1827 Жыл бұрын
❤❤❤❤❤❤❤❤❤❤❤❤❤❤❤❤❤❤❤
@정남주-g7q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 맞는말이시네요
@petricorjk778 Жыл бұрын
배운사람의 말을 들으면 지식적 즐거움이 느껴짐 그리고 마니 배운사람일수록 쉽게 설명하는듯
@나인nine-h4g8 ай бұрын
ㄴㄴ많이 배운사람들 설명 못하는 사람 엄청 많아요 저 선생님이 최대한 여러분 수준에 맞게 말할려고 엄청 노력한 결과임 저 선생님 전문 의학용어도 거의 안쓰잖아요 현장에서만 굴러먹던 사람하고 이야기 해보세요 무슨말인지 못알아들음
@hobag7144 ай бұрын
지식과 지혜를 겸비하신분~^^
@pittkhan605917 күн бұрын
많이 아는거랑 잘 가르치는거 다른건 어느분야든 공통사항 정희원 교수님은 많이 알기도 아는데 가르침의 전달력 또한 대단하셔서 더욱 멋집니다!
@덕후맘81 Жыл бұрын
미국서 살다보니 동안은 항상 봉사하며 남들 도와주고 일도 있고 바쁘게 살며 적절하게 운동하며 긍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임. 이거 다 빼고 딱 한가지 꼽자면 남들 돕고 봉사하는 분들 보면 뭔가 모를 웃음 표정 행복함 건강이 얼굴에 있음.. 뭔지 모르겠으나 항상 빛이나서 그런지 동안으로 보이더라구요.
@tfor7055 Жыл бұрын
1.잠은 7시간~8시간정도 충분히 자자. 회복수면은 치매예방의 첫걸음. 스마트폰은 침대에서 치우자. 독실아민, 졸피뎀은 수면의 질을 낮춤 2. 적극적인 인지활동, 다면적인 근력운동 3. 내재역량 관리-젊을때부터 관리 4. 걷기-4000~1만보 정도
@라온라라-b8y Жыл бұрын
요점정리 감사합니다 ^^
@Bluewindsong-w5u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요점정리~~^^
@희노애락喜怒哀樂 Жыл бұрын
요점 정리로 다시 한번 새기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s레아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amcham2127 ай бұрын
이거 다하는데 나이보다 10-15살 젊게 보기는 하더군요
@김아마빌래9 ай бұрын
정교수님. 이시대에 바른정신으로 자신의 좋은몸 만들기 강의꼭 필요합니다. 감사드려요.
@정은이-u1y Жыл бұрын
저는 운동 거의 안하는 40대 중후반 여자인데 3년전 기침하는데 허리가 너무 아파 기침도 조심조심 하다보니 이러다 사래들리면 기침도 못하고 죽겠다 싶어 계단운동 시작한지 2년 반 지났습니다 엉덩이 종아리근육 심지어 허벅지안쪽근육이 생겨 이런몸을 가져본적이 없는 저는 신기할 따름입니다 치질, 허리통증, 다리저림이 완화 되었습니다 자극에 대한 반응도 빨라지고 인지기능도 좋아진거 같습니다 심지어 사레들리는 빈도도 줄어든거 같습니다 운동은 보약입니다 ^^
@초코렛빛저녁 Жыл бұрын
어떻게 하셨어요?
@정은이-u1y Жыл бұрын
@@초코렛빛저녁 처음 1년은 하루에 10층 10번 주6일 1년 지난 후에는 주 3~4일 했어요 ㅠㅠ 처음엔 죽을거같이 힘들어서 10층 2번 하고 집에와 10분 쉬고 또하고 그랬어요 최근 인바디 해보니 근육량은 적당하다고 나왔습니다
@joyk6145 Жыл бұрын
40대중반 여성입니다 요즘 근력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네요 계단운동으로도 근력이 좀 붙을까요 뭐든 꾸준히가 힘든데 존경스럽네요
@아몬드나무-q2n Жыл бұрын
우와~~ 희망적이네요! 혹시 mri로 진단같은거 받으신적 있을까요? 단순 통증였는데 계단운동 하고 나으신건지 아님 통증의 원인이 확실했는데 운동을 해서 나으신건지 궁금해서요~ 전 최근에 mri찍고 결과가 안좋았는데 계단운동 해봐야겠네요!
@정은이-u1y Жыл бұрын
@@joyk6145답이 늦어 죄송합니다 제가 아는 짧은 지식으로는 우리몸의 큰 근육을 발달시켜야 된다고 알고 있어 대퇴 엉덩이 근육을 발달할수 있는 운동중 계단운동을 시작 했습니다(사실 시간적 금전적으로도 부족했고 프로 중단러라서 하기 쉬운 계단운동을 시작했습니다 ^^) 1년반까지는 하기 힘들었구요 종아리 근육까지 붙은 후에는 하기 훨씬 수월했어요😅 엉덩이, 대퇴,종아리, 허벅지 안쪽, 허리, 등아래쪽 확실히 근육 생깁니다. 인바디에서 허리아래쪽 근육이 이 있는걸로 나왔고 근육량은 더하거나 모자람이 없는걸로 나왔습니다 ^^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없습니다(올해거는 다음주에 결과 나오지만요) 내과든 정형외과든 병원가면 우선 반나절씩 시간을 들여야 하니 그 비용과 노력이면 운동으로 예방하는게 좋을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ㅠㅠ감사합니다
@최명희-p6m11 ай бұрын
정말 모든국민이 이 방송보고 실천했으면 좋겠습니다
@호진장-l7u Жыл бұрын
잠을 저녁 10시에서 10시반 사이에 자고 다섯시에서 여섯시 사이에 일어나니 피곤했던 몸이 완전히 좋아졌습니다. 예전에는 열두시 한시에 잤는데.. 지금은 계속 일찍 자고 있어요^^ 컨디션 완전 최고에요~~ 자기만의 몸이 언제자고 일어나야 편한지 시간을 경험해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일찍 자니 하루종일 에너지가 넘칩니다.
@Glifh Жыл бұрын
혹시 커피는 드시나용? 저도 10시자고 5시반기상하는데 피곤해서 원인이뭔가..ㅠㅠ
@뤼다-c3d Жыл бұрын
오 저도요!! 지금 자려고 누웟는데 .. 보던거 마저 보느라 폰을 보고있네여..근데 이거만 쓰고 자려구여 ㅎㅎ 진짜로 컨디션도 좋아지고 스트레수지수도 낮아지는 기분이랄까요. 원래도 스트레스를 잘 안받는 성격인데 유일하게 시분이 나빠지는 때가 정해져잇거든요. 근데 그런상황에도 아무렇지 않고 기분이 나빠지지않더라구요. 그리고 피부도 좋아졌어요. 물을 많이 마시고 있긴한데.. 수면도 영향을 준거 같아요.
@뤼다-c3d Жыл бұрын
@@Glifh도 비슷한데 저는 커피 하루에 두잔씩도 먹고 그러고 있습니당 운동가기전에 오전에 한잔먹고 오후엔 피곤할때 마셔요
@호진장-l7u Жыл бұрын
@@Glifh 제 경험으로는 내 상황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일, 여러가지 환경적으로 일어나는 일에 에너지를 빼앗겨 과도한 신경을 써서 뇌가 피곤해서인 경우가 많았어요. 타인이 아닌 나를 중심으로 나를 사랑하다보니 완전 건강해졌어요^^
@호진장-l7u Жыл бұрын
커피도 아침에 한잔씩 마십니다.
@서용훈-t2t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잠 충분히 자야지
@Riton7738 Жыл бұрын
영상 초반에 말했는데?
@hyonjeonganderson4563 Жыл бұрын
정말 어쩜 이렇게 차분히 말씀을 조근조근 알아듣게 잘해 주시는지.. 자궁적출술 직후 재채기를 했는데 그 때 깨달았습니다 코어근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가만히 누워서 살짝살짝 두다리 올리기 50개씩만 매일 하면 한 달 후 50대 중년 아줌마도 4팩 만들 수 있답니다 아울로 플랭크 3분! 매일 아침 꾸준히 해 보셔요 💪👍
@최현숙-u4o11 ай бұрын
50개 해 봤어요 매일 해야겠어요 고맙습니다~*
@아씨-f1t Жыл бұрын
김작가님은 전문가님도 잘-모시고 내가 묻고싶은걸 다 물어주셔서 자주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소리울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고맙고 감사합니다 직접 시범을 보여주시고 교수님 열심히 하겠습니다 허리 아파서 병원도 자주 갔는데 요즘은 교수님께서 알려주신데로 하니까 많이 좋아요 병원도 안가요 교수님도 건강하시고요 많이많이 행복하세요
@긍정이-d5b Жыл бұрын
걷기는 기본입니다 다른 운동은 힘들어서 유일하게 걷기만 하고있네요
@jgkim1947 Жыл бұрын
호주에서 교정 치료사로 일하고 있는데 너무나 공감이 가는 말씀이십니다!
@soyeon0315 Жыл бұрын
너무 영상이 재밌어서 , 잠을 잘 수 가 없네요..교수님 ..ㅠㅠ 정말 이거까지만 보고 공부하고 자야겠어요...
@clarajayoungsung9483 Жыл бұрын
김작가님 채널에 오시니 정희원 교수님 되게 밝아보이세요~~^^ 귀에 쏙쏙 들어오는 귀한 말씀 잘 새기고 실천하겠습니다. 두분 감사해요~💙
하루에 만보 안팎을 걷는데 확실히 도움이 많이 됩니다. 육체건강은 당연하고 정신건강에 완전 도움되고 있습니다
@신지영미옥6 ай бұрын
녹즙 매일 먹는것도 맛이 없어 힘들고 맛있는 음식들 못먹는것도 힘들고 근육운동도 힘을 써야 해서 힘겹기는 매한가지 인것 같아요ᆢ 근데 길게 보면 얻는것도 많은것 같아요ᆢ
@naomi934 Жыл бұрын
김작가님 채널은 항상 진정성이 느껴집니다 정교수님도 역시 최고이십니다 여러면에서 대단하시네요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suss1294 Жыл бұрын
머니머니해도 건강이 쵝오죠~~~ 걷고 근력운동`~~꾸준히~~^^
@YongSon-si6ey Жыл бұрын
You are wonderful 😊
@YongSon-si6ey Жыл бұрын
I think your interpretation of American medical studies are very accurate and you explain them so simply for us to understand. You are a special gift to us, especially aging seniors like myself. I am grateful that I have found you across the Pacific Ocean. I live in the State of Washington in the US. Thank you very much for all you do!!
@23aiden19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니는 직장에 이렇게 훌륭한 교수님이 계시다는게 기쁘네요 건강에 관심이 많은데 교수님 컨텐츠 넘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funus3257 Жыл бұрын
Thanks!
@해바라기-s8p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과학자 같아요 😊
@juyeonpark6727 Жыл бұрын
의사니까 과학자 맞습니다. 의과학자입니다.
@joneqk9375 Жыл бұрын
양력 보니까 이학으로도 학위 있으시더라구요
@lovelys8639 Жыл бұрын
카이스트 박사님이십니다 ㅎ
@rosa_k Жыл бұрын
@@joneqk9375 약력
@DB.733 Жыл бұрын
그럼 어릴수록 가장 좋은기회고 그래서 뇌를 많이쓰고 운동이라던가 모든 인지활동을 최대한 하라는거군요 어르신들이 하신 말씀이 사실이군요...
@나인nine-h4g8 ай бұрын
맨날 똑같은 장소 똑같은 운동장만 걷는사람들 많던데 그렇게 하지말고 오늘은 어디를 갔다 오겠다 목표를 정하고 거기를 다녀오는게 좋음 오늘은 번화가 나가서 아이쇼핑좀 하고 오겠다 또는 오늘은 옆동네 꽃많이핀곳 가보겠다 이렇게 걷는게 더 좋음 맨날 똑같은 장소에 똑같은 시간에 걷고있는 사람들 보면 불쌍하더라 그건 하루 할당량 채우기지 위에 선생님이 말한 뇌힐링 효과는 거의 없음 걷기가 근력운동이 될리도 없고
@공모주린이 Жыл бұрын
동안은 타고 난겁니다..
@최광미-v9z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wj2791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저두 차를 두고 다닙니다. 일부러 백화점 지하철 타고 가서, 라운지에서 커피마시고, 쇼핑하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운동하는만큼 더 산다. 전덕으로 동의 합이다
@억순이-o4e Жыл бұрын
전걷기운동많이했더니 근육이많이생겼어요
@임채원-j8b Жыл бұрын
김작가님,기본이 아는게 많으시고,거기다 적절한 표현력,또 거기다 진짜 아는게 많으신 전문가님까지,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Sharon-d6e Жыл бұрын
주류의학에서 기능의학을 언급하는 시대가 되었어요!
@Libre2460110 ай бұрын
수면 스트레스 운동
@LEK61111 ай бұрын
장수와 건강도 다 과학이군요. ^^
@최정남-l8q Жыл бұрын
늘ㆍ감사합니다 😊
@skk2090 Жыл бұрын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말씀 정말 좋네요~~
@a880208ify Жыл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soyounkim7813 Жыл бұрын
東京공원곳곳에서 새벽6시 ?? 아침에 라디오체조 합니다 전 아침밥하느라 못가네요 ㅎㅎ
@sbd9760 Жыл бұрын
다면운동이라면 크로스핏이 최고네요
@대한조국만세 Жыл бұрын
걷기는 무릎이 아프기전에나 좋은 운동이에요 아프기전에 했어야는데 저는 38살때 왜 저생각을 못했을가요
잠을 어떻케야 잘자나요 잠땜에 괴롭습니다 수면제를 먹어도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운동도 열심히 합니다
@만달레이-l2i11 ай бұрын
1. 자기 1시간점에 족욕으로 체온 높이기 2. 자기전 멜라토닌 먹기 3. 스마트폰 1시간전부터 보지 않기 저도 잠이 안와서 수면내과 의사샘 유튜브보고 일아낸 사항입니다….
@후스-h4h Жыл бұрын
21:30 머리로 아는 것
@혜윤-x7r Жыл бұрын
21:24 건강운동관리사 언급 감사합니다🙏🏻🤍
@혜윤-x7r Жыл бұрын
습관교정 중요!
@혜윤-x7r Жыл бұрын
이동성➰마음건강!
@비담-o6s Жыл бұрын
적게먹기 많이 움직이기 이게답이군역시
@냥-e3d Жыл бұрын
1:32 여보 자기전에 수분/당분 많은거 먹으면 코곤대
@열매-d7c Жыл бұрын
다른거 다 하겠는데 일찍 자는거 불가능. ..그냥 나이만큼 늙을래요ㅋㅋ 야행성이 어떻게 일찍자요ㅠ
@sabrinahodge359811 ай бұрын
저도요
@missqlinedance32169 ай бұрын
저두요 👋 그래도 푹자요ㆍㆍ
@yc176 Жыл бұрын
Sleeping habit 😢
@LEEDAEHYEONG10 ай бұрын
저 하루에 4만보씩 걷는데 최근에 우울증 심하게왔어요ㅜ
@김샬롬-j2h8 ай бұрын
너무많이. 걸어도. 안좋다는데.
@ryooha88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보다가 체질량 20.x인데 2-3만보 걷네요.. 중용을 지키겠습니다.
@almamuhi-nh4fz Жыл бұрын
수면은 무적권 양보다질이지
@감사혜연 Жыл бұрын
밤새 꿈을 꾸고 수시로 자다깨서 7~8시간 자는 걸로는 회복이 안됩니다 항우울제 신경안정제 불안장애 약도 먹는데도 잠을 푹 자는 시간이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런건 어찌 해야 회복수면이 될까요 주 3회 수영 주2회 필라테스 주2회 유산소 운동도 하지만 잠을 푹 자는게 제일 어려워요
@zebra2453 Жыл бұрын
피로도의 문제가 아니라 뇌에 세로토닌이 부족하신 것 같네요
@dawngim Жыл бұрын
운동을 줄이세요
@광개토여왕-b1d Жыл бұрын
마그네슘영양제를 먹어보세요. 도움되실거에요. 명상도 도움되구요, 아니면 매일 자기자신에게 말하세요. 나는 괜찮다라구요
@호진장-l7u Жыл бұрын
책을 읽으면 잠이 스르륵 옵니다. 복잡하지 않은 편한게 볼 수 있는 책을 읽어보세요. 또 한가지 누워서 온몸에 힘을 빼고 마취할 때 천천히 의식이 없어지는 것처으럼 어깨, 손, 발 등 모든 걸 이완하고 코의 호흡을 느껴 보면 잠들 수 있어요.
@Roondy_seung Жыл бұрын
ㅠㅠ 많이 힘드시겟어요 힘내요 우리!!!
@장순옥-i6y6 ай бұрын
18:42
@홍용애-l1s Жыл бұрын
걷기는 뇌운동이다.
@은주김-t6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저는 50대중반으로 BMI가 18이예요. 물론 잡곡밥에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고 있어요. 하루 8000보에서 10000보정도 걸어요. 그럼 습관을 어떻게 바꾸는 것이 좋을까요?
@zebra2453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드시면 단백질 섭취 하시고 근력운동 하셔야 돼요
@dawngim Жыл бұрын
오래 걷기는 독입니다. 무릎 아작나요 근력 운동하셔야 합니다. 걷기는 20분 미만으로 허세요
@은주김-t6e Жыл бұрын
@@zebra2453 말씀 감사해요. 저는 60대가 넘어서는 고기위주의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지만 50대 중반정도는 괜찮다 생각하는데 어떤가요? 하루 두끼는 단백질 필요량 섭취하고 있어요.
@jhermit1224 Жыл бұрын
분리유청단백질이 소화흡수율이 압도적으로 좋다고 합니다.
@zebra2453 Жыл бұрын
@@은주김-t6e BMI가 비만 정도를 측정하는데 일반적인 지수이긴 하지만 단순히 키와 체중만 놓고 보기 때문에 정확하게 비만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는 아닙니다. 근육량이 부족한 마른 비만인 경우에도 BMI 지수는 좋게 나올 수 있어요. 날씬하신 여성분들 특히 그런 경우가 많이 있어서 내 몸에 근육량과 지방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걷기 운동은 좋지만 근육을 많이 만들어주지는 않아요. 나이가 30대가 되면서부터 노화가 되면 점점 근육이 빠집니다. 근육을 잘 붙이는데에는 역시 헬스장이 가성비가 제일 좋긴 하더라고요. 왜 사람들이 그렇게 헬스장 가서 운동하는지 요새 깨닫고 있어요. 지금 식사 조절 잘 하고 계시니 근육량 너무 빠지지 않게 운동 루틴만 점검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