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많은 전철 노선 중에는 노선은 하나 그런데 운영 기관이 둘인 노선들이 많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여러 숨은 이야기들도 함께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인천교통공사
Пікірлер: 211
@Uwoana_2912 ай бұрын
정확하게는 한노선을 두개가 운영하는게 아니라 상호직통중인 운행계통을 노선이름 하나로 퉁쳐버린거죠
@퓨츠7 ай бұрын
06:34 에 오타가 난거 같네요
@슈퍼마리오-v9e19 күн бұрын
구간간 서로 다른 철도사가 운영하는 노선이어도 자전거 휴대승차 규정은 왜 동일 노선에서는 서로 다른구간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하나요?
@jangwoosung02012 жыл бұрын
7:24 열차운영 때로 ->열차운영 따로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프리미어 자동 자막 기능이 오타가 많습니다 (ㅠㅠ) 고친다고 고치는데 만들고 나서도 자주 나오네요..
@민트김치2 жыл бұрын
진접선 어질어질하네 유지보수는 코레일이 하는데 정작 코레일이 못들어오고 서교공열차만 왔다갔다하는 아이러니한 상황.. 이건 외관 내부시설은 롯데마트가 만들고 관리하고 안에는 이마트직원이 이마트옷,명함차고 일하고있고 건물관리는 홈플러스가 하는 막장보다 더 막장인 상황인데..?
@별빛하늘-y5l Жыл бұрын
서해선도 코레일 이레일 서교공 짬뽕인듯 합니다..
@시공석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근데 6:35에 이 공원은이라고 잘못 나왔네요 헛..
@이준엽-j7i Жыл бұрын
4:49 이거 때문에 vvvf 직교류 차량번호가 450부터 시작한 건가요?
@김동신-t3p2 жыл бұрын
내가. 로또 맞을 확율은?
@권상덕-b4u Жыл бұрын
9호선 언주 중앙보훈병원 구간 서울교통공사 9호선 운영이 맡고 있습니다 완전 직영이 아닙니다
@totosai629 Жыл бұрын
진접차량기지가 완공되면 오이도발 진접행도 사당처럼 운영한다고 합니다
@neaf_clover2 жыл бұрын
1개인데 2개에요. (1,3,4,7,9) 1개 아닌데 1개에요. ([9,공항],수인분당,경의중앙) 1개인데 3개에요. (신분당) 1개인데 4개에요. 그리고 다 따로 놀아요. (진접선)
@dracus174 Жыл бұрын
SR도 포함해주시지… 한국에선 사철이 국철 등골을 뜯어먹습니다!
@hyeongjeon75617 ай бұрын
7호선도 옥정라인 청라라인 연장되면 3사 운영될라나요? 조만간 까치울 부터 청라는 인천3호선 된다는 얘기 있던데..
@슈퍼마리오-v9e Жыл бұрын
9호선 1단계구간 개화~신논현 구간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며, 2,3단계 구간 언주~중앙보훈병원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합니다.
@tenbeuTV2 жыл бұрын
운영사는 2곳인 9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전동차가 없네요
@깐프궁수 Жыл бұрын
발음이 깔끔해서 좋네용~~
@별빛하늘-y5l Жыл бұрын
2호선에서 코레일 알바차를 보고싶네요.. ㅋ
@강수묵-p3o2 жыл бұрын
6분46초정도입니다
@KTX-1BusLines2 жыл бұрын
해당 부분을 검토한 결과, 오류 아니고 정상입니다. 부평구청 - 까치울 구간은 2012년 개통이 맞습니다.
@Gyodong Жыл бұрын
비슷하게 이름은 하나이지만 관할 주민센터는 2곳인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의 2가지 사례인데, '미시령로3359번길' 을 경계로 동쪽지역은 이름이 같은 '교동 주민센터' 관할이지만 서쪽지역은 '노학동 주민센터' 관할이며 노학동 주민센터가 법정동인 '교동' 의 중심지 정도 위치에 있습니다.
@피아노치는이2 жыл бұрын
0:44 약간 수정하자면 1호선은 처음부터 직통한거는 아니고 서지공은 서울역 ~ 청량리 만을 운행하다가 추후에 80년대 이후에 직통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user-pq4pd4jv7q2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직결운행 했습니다.
@user-xh3fc5ud2u2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직결운행 했습니다 다만 전편성 직결이 아닌 일부열차 직결 형식이었던거 뿐이죠
@강태환-n2o2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당ㅋ
@DeGulDeGul_life2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밥먹듯이 고장나는 구간인데 전장연때문에 스트레스 받아 미치겠습니다 4호선
@김건우-v7x2 жыл бұрын
4호선이 많이고장나요?
@DeGulDeGul_life2 жыл бұрын
@@김건우-v7x 네 4호선타고 3년째 통학중인데 열차고장이든 단선이든 지연운행이 아주 흔해요
@조영준-u7n2 жыл бұрын
제가 4호선 끝에서 끝까지 많이 다녀봤는데 전장연문제 제외하고 수인분당선이랑 공유하고 있는 구간에서만 유독 문제가 많이 발생했던거 같음
@@MG-it3lt 쟤네들 이동권 시위 아닙니다. 탈시설화 요구하는 시위를 지하철에서 벌이고 있기에 불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동권 시위면 합법이었겠지요.
@Gyodong Жыл бұрын
또 다른 사례는 '설악금강대교로' 와 '동해대로' 를 경계로 안쪽지역은 이름이 같은 '조양동 주민센터' 관할이지만 건너편 해안가 쪽은 '청호동 주민센터' 관할입니다. 그래서 이름만 보고 조양동 주민센터에 전입신고하러 왔다가 헛걸음하고 다시 청호동 주민센터를 찾아가는 민원인들이 종종 있습니다.
@oddie1427 Жыл бұрын
사당 북쪽에서 오이도행 열차를 구분하는 방법은 코레일열차를 타면 보통 안산이나 오이도까지 감
@서석현2 жыл бұрын
운영사가 다르다 보니 해당 노선들에서 사고가 나면 운영사들끼리 서로 책임을 미루는 모습도 보입니다.
@Rotem3091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가요
@tenbeuTV2 жыл бұрын
진접선은 광역철도라서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합니까? 왜 그런거죠? 그러면, 대구1호선 하양연장은 대구선 폐선부지를 활용한 광역철도 사업인데 왜 대구교통공사가 운영하나요?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선로유지보수만 한국철도공사에서 합니다. 대구1 연장은 국가철도공단에서 시행한 사업이 아니므로 진접선과 같은 운영은 아닐것으로 예상됩니다.
@pineapplepizza5700 Жыл бұрын
신분당선 미만 잡
@Gyosang_traffic2 жыл бұрын
6:34 오타가 있는데 공원이 아니라 구간 아닌가요?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ㅠㅠ) 프리미어 자동자막 기능이 약간 오류가 많은데 워낙 많다보니 몇 개 빼먹었네요
@강수묵-p3o2 жыл бұрын
오류 있습니다 2021년인데 2012년으로 나왔습니다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프리미어 자동 자막 기능이 약간 오류가 많은데 워낙 많다보니 미처 못고친부분이 있었습니다 ㅠㅠ 다음부턴 확인 한 번 더 해보도록 할게요.
@user-tm1di3yl5w2 жыл бұрын
서울지하철1호선 구간이 저렇게 짧은거 처음 알았을 때 대충격을 받은 나
@Ol름없음2 жыл бұрын
7:24 *때→따
@하은수-f9e2 жыл бұрын
왜 4호선만 실시간 도착 시간을 볼 수 없고 시간표도 전혀 안 맞나요?
@유리날개-m7k2 жыл бұрын
4호선은 서교공 코레일 구간이 반반이라 어떤 운영사차가 올지 알아내는 재미가 있죠 8호선은 광주대단지 보상차원으로 성남까지 연장한건데 국가에서 보상하는 만큼 원래 철도청에서 하려했었군요
@ajh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4호선에서 열차를 기다리는데 서교공 차가 왔다고 좋아서 소리를 지르는 한 철덕의 모습이 밈이 된 적도 있었죠 ???: 어? S차다 나이스 나이스! 좋아 좋아!
@user0user12 жыл бұрын
서교공차만 엄청나게 보입니다 급행은 무조건 코레일차이지만 완행은 서교공이 한 2번 오고 사당행은 대부분 서교공이고 그래야 이제 코레일차 와서ㅠ 주둥이 보기가 어렵고 밥통이 꽤 탑니다
@noob_tube11 Жыл бұрын
@@user0user1 사당행은 대부분이 아니라 전부다 서교공 차입니다.
@Djdiendn2 жыл бұрын
3호선 대화행좀 늘려줘라... 진짜 너무함
@kimshanha Жыл бұрын
되지도 않는 약쟁이 정책으로 지자체 만들더만 배가 산으로 가는 꼴이네 전국의 기차 고속철은 한국철도에서 맡고 지역의 전철 지하철은 전철공사가 맡고 각 역사 청결유지등의 관리는 해당 시군에서 맡으면 될 껄 이권 카르텔 지자체 만들어 뭔 짓들 인지 한심함.
@jhh7933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한노선에 회사가 몇개가 됬든 일본처럼 회사마다 따로 환승비용을 받는것만 아니면 크게 문제될일은 없다고 봄
@김준호-n2u8w2 жыл бұрын
7호선 인천구간 공익요원으로 일했는데요 ㅋ 서울교통공사 공익요원이였는데 2022년 부터 갑자기 인천교통공사 공익으로 전환되었습니다 ㅋㅋㅋㅋ 역무원들도 모두 바뀌고 역무원보다 공익요원이 역에 더 오래있었던 상황을 봤죵 ㅋㅋ
@daekwon2 жыл бұрын
공익은 애초에 병무청소속이라 바뀔일도 거의 없고 역무원들은 지역교통공사 소속이니 운영기관이 바뀌면 역무원들도 바뀐 운영기관소속으로 바뀔수밖에요
@striea04212 жыл бұрын
과거 1호선이 빨간색을 써서 지금도 서울메트로 차량을 보면 외부에 빨강 랩핑이 남아있죠
@태평댁2 жыл бұрын
0:46 여기서 갑자기 목소리가 팍 커지는
@낭만-f9i2 жыл бұрын
굿^^ 지하철 정보 최고
@오솔길-q8w2 жыл бұрын
예전에도 이권이 작용했기 때문이죠....그냥 이권에 따라 협의해서 나눴을 뿐... 요즘은 민영화라는 이름으로 매각할 때 비싸게 팔아 많이 남길 수 있도록 알짜 노선을 분리하는 것으로 좀 더 진화했죠. 덕분에 적자 노선은 더 심하게 적자가 되고 세금으로 돌려막고....점점 나빠지게 됩니다.
@슈퍼마리오-v9e11 ай бұрын
9호선 1단계 구간 개화역~신논현역 구간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고, 2,3단계 구간 언주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합니다. 서울메트로와 5678서울도시철도가 서울교통공사로 합병되기 이전에 9호선 2,3단계 구간은 서울메트로가 운영했나요, 5678서울도시철도가 운영했나요?
@레크20 күн бұрын
서울메트로 였을겁니다.
@한규와지하철기차여행2 жыл бұрын
원레는 저도 이게 어려웠는데.... 역쟁이TV님께서 알려주시니깐 더 쉬워진것 같아요^_^ 감사합니다^^
1,3,4호선이 운영기관이 여러개인 이유는 국가에서 지은 국철은 철도청에서 건설, 운영했기때문에 이어져 온겁니다. 단순히 적자탓이라면 하남선은 왜 교통공사가 운영합니까ㅎㅎ 진접선도 국철이기 때문에 철산법에 의해 유지보수는 코레일이 맡는거고 운영은 입찰해서 남양주가 맡게 된겁니다.
@redcarpetJH2 жыл бұрын
진접선은 참으로 복잡하기 짝이 없군요. 아마도 창동기지를 이전하라고 압박하면서 이렇게 꼬인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근데 이 영상에서 신분당선에 대한 내용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여기는 라인은 1개인데 운영사가 3개가 되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신분당선인가!? 여긴 요금이.. 달라진다는데... 그보다 사람들은 그리 신경 안 쓸 듯.. 솔직 모르는 사람들도 상당할 듯하네요 ㅋㅋ 뭐 알아보면 알 수 이겠지만...
@ssunyim2 жыл бұрын
진짜 4호선은 각자 운영, 소유가 전부 분리되어 있는 특이한 노선이네요!
@ITX_MAUM-z8g2 жыл бұрын
Feat 좌,우측통행까지
@물사조-Aqu4mpere_112 жыл бұрын
@@ITX_MAUM-z8g feat atc,ats 그리고 직교류까지
@user-kr5bv92 жыл бұрын
1호선도 마찬가지죠
@물사조-Aqu4mpere_112 жыл бұрын
@@user-kr5bv9 1그래도 1호선은 좌측 통일이고 신호도 같ㅈ죠
@user-kr5bv92 жыл бұрын
@@물사조-Aqu4mpere_11 일산선은 3호선과 통행방식, 전압, 신호 등등이 완전히 일치해서 1,4호선과는 다르게 절연구간이 아예 없네요
@SPRITELEFT2 жыл бұрын
7호선은 잘못하면 운영기관이 셋이 될수도??(가능성은 적지만)
@しらさぎ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직통이 가능한 수준에서 가장 이질적인 규격을 가진게 4호선 같은
@solution6702 жыл бұрын
왜 모의고사도 시ㆍ도 교육청서 실시하기도 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도 실시하잖아요 그거랑 비슷한거죠 뭐
@Nayeon66472 жыл бұрын
옛날 4호선 코레일 열차가 왜 주황색이었는지도 궁금해요 츄파춥스 오렌지 색이라 개인적으로 젤 좋아했던 열차 ㅎㅎ
@옛방송자료2 жыл бұрын
주황색 차량이 도입된 이유가 그 당시에는 시흥차량기지가 없었던 시절이어서 경정비는 안산에서 담당하고 중정비는 분당에서 담당했기 때문에 분당선 주황색 차량과 같은 사양으로 뽑은거고 외형도 따로 변화를 줄 필요가 없겠다고 생각한 것이지요. 2000년 이전 노선통일을 하기 전이기도 하구요.
@옛방송자료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저당시 4호선 K차는 충무로 연결선을 통해서 그리고 수서 연결선을 통해서 분당차량기지로 갔었죠 ㅎㅎ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사실 그땐 코레일 차량은 노선색과 통일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서울교통공사(서울지하철공사)도 이 당시 다녔던 GEC 차량을 보면 1, 2호선은 노선색과 맞지만 3, 4호선은 달랐지요.
@chajaemyung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지하철 1호선 수요가 줄었지만 철도청이 저런 제안을 했을때만 하더라도 지하철 1호선 수입이 짭짤했음 ㅎㅎㅎ
4호선이 과거에 역번호가 따로 논거는 처음 알았네요 ㄷㄷㄷ 마치 경의중앙선 보는 느낌이네요 경의선이랑 중앙선이랑 한 노선인데 역번호는 경의선은 K300번대고 중앙선은 K100번대던데...
@たくみゐん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신분당처럼 요금 따로 내지 않아서 다행이다
@Chris1o_o12 жыл бұрын
이쯤이면 공영기관 시영기관 다 분리해서 통합하는게 비용이나 효율적에서 나을정도 그리고 아예 사철을 고속도로처럼 인정하는 방법도 좋을듯.
@Hear_the_Wind_Sing2 жыл бұрын
7호선... 석남행 열차 더 늘려주세요 ㅠㅠ
@Lee-yf8bf2 жыл бұрын
먼 미래지만 청라까지 연장되면 헬게이트 열릴거같네요ㄷㄷ
@우희힝-p7w2 жыл бұрын
독특하네요
@sangokbupyeong51052 жыл бұрын
전직 역무원이면서 과거에 7호선 부평구청역 개통 전부터 공익을 했었던 사람입니다. 수정 부분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까치울역에서 석남역까지 큰 틀에서 보자면 인천교통공사 운영이 맞습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것은 역사는 석남역과 부평구청역이고, 승무는 석남역과 까치울 구간입니다. 그리고 인천교통공사 자회사인 인천메트로서비스가 산곡, 굴포천, 삼산체육관, 상동, 신중동, 부천시청, 부천종합운동장, 까치울입니다.
4호선은 중간에 운영기관도 바뀌고, 직교류 절연구간도 있고, 통행방식도 바뀌고, 신호체계도 바뀌네요 이렇게보니 4호선은 중간에 바뀌는게 참 많은 노선인거같아요 ㅋㅋ
@HwanSangHyang2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운영회사는 많을지언정 일반 승객 입장에서는 신경쓸일이 별로 없는데 반해 부산은 같은 노선도에 표기되어 있어도 운영사에 따라 천차만별로 바뀌죠 (부산교통공사 / 부산김해경전철 / 코레일) 1회용 승차권의 경우 부교공은 종이 마그네틱 승차권, 부김경, 코레일은 RF 토큰식 승차권 요금제의 경우 부교공은 10km를 기준으로 2구간제 (200원 오르고 끝), 부산김해경전철은 거리와 상관없이 미리 정해놓은 3개 구간중 2개 이하로 걸치면 1구간 / 3개구간을 모두 이어서 타면 2구간 요금이며, 코레일은 과거엔 부교공과 같은 10km 2구간제 요금이였으나 울산(태화강) 연장 이후 10km를 기본요금으로 두고 10km에 200원씩 오르는 요금제를 사용중이며 울산시계를 넘어가면 계산식이 좀 더 복잡해지죠 환승체계의 경우 부산은 2회환승 (3회탑승) 까지 가능한데 서로 다른 회사끼리는 전부 간접환승이며 환승횟수가 까인다는점. 부교공 - 부김경, 부교공 - 코레일 모두 환승이 가능하지만, 부김경 - 부교공 - 동해선은 환승이 되지 않아 기본요금이 한번 더 나가죠. 환승횟수로는 2회환승이지만 협정이 안되어 부김경 - 동해선 상호간 환승은 불가능합니다. 그외 부산일대는 환승제도가 잘 갖춰져 있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울산시내버스는 부산,양산 버스는 물론 동해선도 환승이 되지 않죠)
@샌주tv2 жыл бұрын
월계역 우리동네인데...
@Rhykma2 жыл бұрын
신분당선은?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예전 영상에 한 번 다룬바 있어 이번에는 제외했어요 😥
@Gyodong2 жыл бұрын
2호선은 순환선이면서 서울 중심부만 운행되서 100% 구)서울메트로가 운영했던 건가요?
@옛방송자료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솔개-p7x2 жыл бұрын
2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대표핵심노선이죠 강남 잠실 시청 을지로 동대문 홍대 신도림 서울의 주요도시들을 지나가는 핵심노선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여긴 1호선과는 달리 서울시가 아예 따로 만든 노선이므로 그냥 서울시 산하에서 계속 운영을 해왔던 것이죠~!
@정재웅-b8u2 жыл бұрын
자기부상철도 휴업
@wonbumlee47762 жыл бұрын
3호선이 하남 교산신도시를 지나감에 따라 여기도 운영주체가 나뉠 가능성이 있는데,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경기교통공사가 맡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재영-n6r2 жыл бұрын
제가 어릴때 3호선을 타면 궁금했던 겁니다. 왜 서울메트로 구간에 코레일 열차가 들어올까?하며 궁금해했는데 이러한 사례가 있었군요.
@장희한-f7g2 жыл бұрын
한숨만 나온다
@박성철-c8r2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1호선은 뭐고 국철은 뭔가 항상 궁금했는데 커서 알아보니 별거 아니었음ㅎㅎㅎㅎ
@지테TV역사교양지식2 жыл бұрын
운영 주체에 따라서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도 다른 노선이 있고, 운영하는 역사만 다른 노선이 있죠.
@jaemjaem75752 жыл бұрын
그럼 이 경우에는 관할이 달라지는 경계역에선 기관사들도 교대를 하는 건가요??
@gurorapid2 жыл бұрын
코레일-서울교통공사 이렇게 운영하는 1,3,4호선은 그렇지 않고 해당 소속 차량을 운영기관 구역과 상관없이 쭉 운행했다가(즉 코레일 소속차량이더라도 서울교통공사 구간으로 넘어갈때 교대 없이 쭉 운행) 각 노선별 지정된 승무교대역에서 승무교대하는데요 제가 알기론 7호선의 경우 운영사가 달라지는 역에서 승무교대한다 합니다. 즉 인천교통공사 소속 기관사는 온수~석남만 운행하고 그러는 식이라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