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대학교 어디 나왔어요?ㅣ현직자들의 출신학교, 합격스펙

  Рет қаралды 1,784,071

캐치TV

캐치TV

Күн бұрын

▼제휴/출연 문의 및 사연 제보▼
catch@jinhak.com
→ 인사담당자, 취준생, 현직자, 퇴직자 등 다 환영!!

Пікірлер: 1 800
@catch_tv
@catch_tv Жыл бұрын
기업분석리포트부터 최신 합격 꿀팁까지 보고 싶다면? 속 깊은 취업콘텐츠 플랫폼, 캐치 👉👉👉 www.catch.co.kr
@9k249
@9k249 Жыл бұрын
삼성은 학벌 가장 안보는 대기업이 맞음. 다만 서류와 면접에서 성실한 사람들을 뽑아보니 대체로 인서울이 많은거라고 볼 수 있음. 수능성적이 높을수록 성실한 사람이 많다는 통계는 예전에 뉴스에서도 본것 같음. 삼성에서 일하면서 부산대, 경북대, 영남대, 전남대 등등 출신들도 많이 많이 봤고 그 외 지방대도 많이 봤음. 게다가 전문대, 고졸분들도 많이 봄. 학벌을 탓하기 전에 본인의 노력과 자소서, GSAT 점수를 탓하는게 좋지 않을까?
@KD-119
@KD-119 Жыл бұрын
통계라고 할것도 없이 너무나 당연한거 아닐까 학생시절의 성실도가 대부분 학벌로 나타나니까
@카즈-s8c
@카즈-s8c Жыл бұрын
​@@KD-119 학벌이랑 성실은 다른 것 같은데요 그 사람이 학벌 안 좋아도 40살에 500억 자산가 된 성실한 사람도 존재하는데요..
@night7863
@night7863 Жыл бұрын
@@카즈-s8c 맞말인데 ㅋㅋㅋ굳이 예외적인 케이스를 가져와가지고ㅋㅋㅋㅋ한 마디만 할게 병x새x
@카즈-s8c
@카즈-s8c Жыл бұрын
@@night7863 에휴
@카즈-s8c
@카즈-s8c Жыл бұрын
@@night7863 kzbin.info/www/bejne/oYeqlnmGgLxql6M 이분 무시하노
@joyh1280
@joyh1280 Жыл бұрын
나도 한때 학벌사회를 극혐했지만 막상 사회생활하며 밑에사람 써보니 학벌 좋은 직원이 지능이 높고 낮음을 떠나 책임감이 강하고 끈기와 문제해결에 대한 승부욕이 높아 일을 시킬때 확실히 신뢰감이 감. 우리나라 같은 학벌사회에서 좋은 인재들은 다른길을 가기보다 일단 다들 좋은대학을 가고보니 어쩔수 없는것 같음
@하나님의사랑은혜
@하나님의사랑은혜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술만 처 먹어도 달라도 달라...
@서동현-f9s
@서동현-f9s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학벌낮은 애들은 대체로 집중력도 낮고 인내심도 없죠. 그리고 머리도 나쁩니다. 알려줘도 이해가 느려요 출신학교로 사람을 가를수 밖에 없어요 아직 우리나라는
@용가리-x5u
@용가리-x5u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보다 미국, 일본은 학벌이 더 중요함. 선진국에서는 학벌 중심이고 후진국일수록 출신계급 부모찬스가 중요.
@바톤-n4p
@바톤-n4p Жыл бұрын
@@용가리-x5u 서구 선진국일수록 부모계급 세습을 당연시 여기는 문화가 강해요. 아직까지 왕정과 귀족계급이 존재하는 서부유럽이나 특정가문들이 한세기동안 정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 그리고 서구 선진국 대부분이 상속세가 아예 없거나 있어도 소득세보다 훨씬 낮은 세율등을 봤을때 국민들이 부와 계급 세습에 한국만큼의 반감이 없는거죠 어찌보면 공동체 의식보다 개인주의가 강해 비교문화가 없고 철저한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 가족간의 부의 이전도 하나의 권리로 인정하는 정서, 기득권층에 대한 도덕적 신뢰 및 법치주의가 계급에 상관없이 평등하게 적용된다는 믿음이 있기에 어느 정도있기에 가능하다고 봄
@myskynet2
@myskynet2 Жыл бұрын
맞음 학벌이ㅜ능력을 만드는게 아니라 학벌 자체가 검증된 사람을 보여줌
@egg_bread_origin
@egg_bread_origin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중요하지 않다고 대부분 말하지만 결과를 보면 중요한게 맞네요. 저도 비슷한 생각인데, 대부분의 대기업에서 학벌이 높을 수록 합격한다는 아니지만, 경쟁을 위한 라인에 서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학교를 나와야 된다고 봅니다. 인터뷰에 나온 지방 사립대는 특수 케이스일 확률이 높구요(지역 할당제 등) 중고등학생 분들 중에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대학교 이상은 나와야 한다 라면 어디 가서 손해 보지 않을 만큼의 대학교는 꼭 가시길 바랍니다!
@jeajea884
@jeajea88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에는 학벌이 중요한게 아니라 똘똘한사람 뽑았는데 뽑아보니 학벌좋은사람이더라가 맞는거 같아요
@Latest.issues
@Latest.issues Жыл бұрын
삼성 채용 블라인드 맞구요, 뽑아보니 높은 스펙의 학생인 경우가 많은 겁니다
@Latest.issues
@Latest.issues Жыл бұрын
@@ggggsvxa 논리가 좀 이상한데? ;;
@Latest.issues
@Latest.issues Жыл бұрын
@@ggggsvxa 님 말이 맞음
@michaeljang7190
@michaeljang7190 Жыл бұрын
저는 회계사라 지방대출신이 주류인 중소기업과 서울상위권대 출신이 주류인 대기업 사람들과 모두 일하고 있는데 출신대학에 따라 맨파워 갈립니다 능력이 같지 않습니다 정보력 따위로 갈리는게 아닙니다
@houseon4178
@houseon4178 Жыл бұрын
어릴땐 '행복이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됐어 그런 가르침은 됐어' 하며 학벌 사회를 비판 했지만 지금 사람을 뽑는 입장에서 여러사람을 써본 입장에서 이력서를 받아보면 각종 스펙들중에 가장 믿을 수 있는 항목은 어쩔수 없이 학벌이다. 학벌이 높아서 똑똑한 느낌 보다는 학벌 높은 사람들의 공통점은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다는 것. 학벌 낮아도 머리 좋은 사람들은 많다. 단지 그 좋은 머리가 엉뚱한 쪽으로 갈 뿐이다.
@점근선과만남을추구
@점근선과만남을추구 Жыл бұрын
서울대생 IQ 평균도 그닥 높지 않았던 걸로 아는데 차이점은 성실도와 학습효율이겠죠
@otadd
@otadd Жыл бұрын
삼성이 제일 학벌 안보긴 해요. 주변에 보면 지방대나 수도권 중하위권 출신도 많아요. SK나 LG는 상대적으로 학벌 좀 봅니다. (제가 다닐땐 그 중에서도 LG가 학벌 더 좋긴 했음) 다녀보고 하는 이야기에요~
@중도-f7m
@중도-f7m 4 ай бұрын
연구직은 학벌봅니다
@Cutiefruit02
@Cutiefruit02 4 ай бұрын
생산직은 고졸을 더 많이 뽑는거같던데
@ver2916
@ver2916 Ай бұрын
그것도 옛말이고 최근 한 5년쯤 전부터 학벌 많이 보기 시작함
@Cutiefruit02
@Cutiefruit02 Ай бұрын
@ver2916 생산직은 안따지긴하는데
@이건우-e4l6f
@이건우-e4l6f 10 күн бұрын
생산직은 안따지긴하죠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Жыл бұрын
삼성전자 반도체 면접가서 면접비 받느라 학교 봤는데 진짜 전국 모든 학교가 다 있다는 느낌 들 정도로 삼전이 가장 학교는 안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sk 들어왔는데 확실히 학교가 훨 좋은거 같아요
@김동하-v1g
@김동하-v1g Жыл бұрын
헛된희망 쌓아주지 마쇼 ㅋㅋ 영상 나온사람중에 디폴트 건동홍숙 이상이고만 무슨 ㅋㅋ 지방사립이나 광운대는 그냥 0.1%로 들어간거지 ㅋㅋㅋㅋㅋ
@커렄
@커렄 Жыл бұрын
@@김동하-v1g 맞긴함
@밥먹고하자-h5w
@밥먹고하자-h5w Жыл бұрын
​@@김동하-v1g 광운대는 많이 들어가는데
@maHappyEnding
@maHappyEnding Жыл бұрын
​@@김동하-v1g 지방 사립대 , 지방 국립대 많이 들어갔어요. 삼성은 학벌 진짜 많이 안보는편이에요
@jason020907
@jason020907 Жыл бұрын
@@밥먹고하자-h5w 이사람 광운대 떨어졌대요
@lee-qk6ez
@lee-qk6ez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운도 따르겠지만 초중고 학창생활의 성실도의 집합체와 성과가 대학의 학벌을 결정하니 회사가 원하는 성실도나 직무충성도를보면 학벌과 정비례관계가 되겠지요 물론 대학별로 조금 뒤쳐져도 개인의 브릴리언트함이 보이면 취업 가능성이 큽니다
@muzikk6649
@muzikk6649 Жыл бұрын
외람된 이야기지만 지방대에서 어떻게든 올라가 보려고 공모전, 인턴, 대기업 대외활동 다 해보니까 인서울, 적어도 수도권 대학 애들은 확실히 다름 내 지방대 친구들은 학기 중 시험 기간 아니면 거의 80%는 공부 안 함 근데 공모전이나 대외활동 하면서 만난 인서울 애들 평소에 뭐하나 보면 잘 놀면서도 토익, 자격증 이런 자기개발 잘 챙김 난 내가 나름 열심히 살았다 생각했지만 결국 우물 안 개구리였던 것임 어쩌겠는가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야지… 대학 졸업하며 느낀 건 타인 과의 비교는 끝이 없기에 비교 대상을 나로 잡고 지금 상황에서 더 높은 곳을 바라보며 발전해야 한다는 것..
@SHJ980
@SHJ980 Жыл бұрын
같은 부서내에서도 과만 어디나왔냐 묻지 학교 어디나왔냐고는 거의 안물어보더라고요. 저도 지방국립대 나왔지만 삼성전자 잘 다니고있습니다. 학점, 대외활동 GSAT는 기본이고 면접때 조직에 잘 융화될수있을지 보는거 같습니다.
@UruseiYatsura
@UruseiYatsura Жыл бұрын
금오공대?
@goggle02
@goggle02 Жыл бұрын
​@@UruseiYatsura경북대 부산대 충남대중 하나것지
@UruseiYatsura
@UruseiYatsura Жыл бұрын
@@goggle02 부경전충은 지거국이잖아요;;
@준그럴수있지
@준그럴수있지 4 ай бұрын
금오공대도 삼전 들어가요
@정호진-x8u
@정호진-x8u 20 күн бұрын
지방거점국립대랑 지방국립대 달라여?
@cho7273
@cho7273 Жыл бұрын
1:39 다니시는 분 중에 지방사립대를 나오신 분도 봤어요. 지방대 나온 사람이 여길 어떻게 들어왔지? 신기하다는 듯이 말합니다. 14명 인터뷰 했지만 지방대 출신, 고졸자 없습니다. 영상에 나온 사람만 14명 이고, 실제로는 더 많은 사람과 인터뷰 했을거 같습니다. 인터뷰한 사람들 출신 대학을 보면 0:32 한양대 전자공학과 0:48 국민대 영어영문,경영학 1:02 광운대 전자통신공학 1:08 인디애나주립대 경제,경영 1:31 학부는 경희대 건축공학, 대학원은? 1:47 이화여대 컴퓨터공학 1:57 성균관대 컴퓨터공학 2:15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2:28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2:33 서울대 2:42 건국대 컴퓨터공학부 2:55 경희대 기계공학과 3:07 KAIST 항공우주공학 석사 3:33 성균관대 기계공학
@iyi4332
@iyi4332 Жыл бұрын
부서마다 달라요 고졸로 들어오신 분들은 보통 다른 사업부에 많이계심..
@Sharodenizen
@Sharodenizen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보여주는건 학벌이 절대적인건 아니지만 어느정도는 영향을 준다는게 느껴지네요 그걸 엄청난 노력으로 극복하신 분들도 계시는듯 합니다
@이샛별-v9m
@이샛별-v9m Жыл бұрын
삼성은 다른 대기업에 비해 각 대학 골고루 채용하죠. 이유는 노조 못만들게 하고, 학연으로 뭉치는 것 못하게 하려고 그런다고 들었음.
@갱이척결
@갱이척결 Жыл бұрын
​@@이샛별-v9m 나라 말아먹는 강성노조는 없어져야조^^
@바름-r6i
@바름-r6i Жыл бұрын
학벌이 노력인데..
@gary6583
@gary6583 Жыл бұрын
​@@바름-r6i 대학가서 뒤늦게 노력한사람을 말하는거임
@peachmousse
@peachmousse Жыл бұрын
@@바름-r6i 본문에서의 노력 = 학벌의 갭, 즉 패널티를 줄이고자 한 노력 단순히 높은 학벌이 노력이냐 아니냐를 평하려 쓴 댓글이 아니잖아요? 대학이 다가 아니고요...
@정의의지팡이
@정의의지팡이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삼성입사를 경험한 입장으로 후배들을 위해 글을 남깁니다, 저는 16년도 입사한 사람이고, 3번의 GSAT합격 그리고 각기 다른 계열사 면접을 본 사람입니다. 또한 SVP라고 신입시절입문교육서 1위 팀을 맡았었던 팀장이기도 합니다. 자랑하는걸 좋아하지 않는 제가 굳이 이 얘기를 하는건 여러분도 할 수 있다 이런 얘기고, 중요한건 대학보다 본인이 얼마나 본인의 인생을 사랑했고, 그에 걸맞는 철학이나 방향성을 가지고 살아가는가가 기업이 원하고 찾을 인재라는 것입니다. 부디 컨텐츠 제작자의 단편적 시각이나 스펙에 본인의 가능성을 끼워 맞추시지 마시고 참고만 하세요. 제 동기들이나 선후배들을 보면 학벌이나 출신들이 다양합니다. 그리고 팀이나 개인전을 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생각하는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것이 삼성의 힘이고 글로벌 기업의 저력이라고 느꼈습니다. 암튼 오래 또는 단기라도 민간기업을 느껴보고 싶으시다면 삼성 ㅊㅊ 드려요!
@leahshin10
@leahshin10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것은 이미 다들 과반수 이상이 고만고만하거나 그 이상의 비슷한 수준의 대학출신이 널리고 널렸기에 그런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는ㅋㅋㅋ
@호리병-k1f
@호리병-k1f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정답.
@주사위8y
@주사위8y Жыл бұрын
나도 바로 이생각먼저 났음.. 주변이 다 고딩때까진 반에서 탑 전교에서 랭킹에 있는 사람들이였을테니
@ko_korea
@ko_korea Жыл бұрын
그렇진 않아요 제 친구가 지방국립대 나왔는데 면접때 다양한 경험위주로 소개를했더니 질문이 쏟아지더랍니다. 거의 비슷한 길을 걸어온 사람들만 보다보니 특별한 경험이 기억하게 하는듯 합니다
@KH-tp1rk
@KH-tp1rk Жыл бұрын
현직자 입장에서 보면 그래도 타대기업보다는 학벌이 다양한 사람들이 많은것 같아요ㅎㅎ
@Halloong
@Halloong Жыл бұрын
“학벌은 중요하지 않다고”했을때 저기 영상에 나온 학교 출신으로서 드는 생각은,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는 의미=SKY, 서성한 급은 아니어도 된다는 의미로 느껴집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다 인서울 급의 실력이니 ’이정도 급 이상이면‘ 학벌은 중요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정리 되겠네요 학벌 중요합니다, 삼성전자가 탑이라고 학업도 탑이 아니어도 될뿐😂
@user-zp7mk7xu8n
@user-zp7mk7xu8n Жыл бұрын
삼성그룹 임직원 대학별 인원 순위 1.성균관 2.인하 3.한양 4.연세 5.광운 6.고려 7.건국 8.중앙 9.서울대 10.경희대
@dorivercom
@dorivercom Жыл бұрын
왜 학벌이 중요한지 바로 확인 가능한 영상이네요. 경험해보니 진짜 학교가 중요하긴 하드라구요.
@MZ-zp6qw
@MZ-zp6qw Жыл бұрын
삼성전자 들어가는법 학벌이 뛰어나거나(학벌이 뛰어나다=기본능력치가 높다) 학점이 높거나(학점이 높다=대학교때 성실하게 생활했다) + 다양한 자격증, 경험을 토대로 한 철저한 준비(gsat, 반도체공정의 숙지) +조직에 융화 될수있는 인성(면접을 통한 긍정적 마인드, 사회성등)
@여름아놀자
@여름아놀자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상위권 학생들이 너무 많이 지원을 하니깐 학벌 자체 만으로는 메리트가 없다(=학벌이 낮으면 학벌이 낮은 거에 대한 추가 검증이 들어감) 경험이 중요하다=학과가 뜬금 없거나 다른 학과에 비해 관련성이 적으면 이 사람이 제대로 직무를 알고 지원했는지, 준비를 했는지에 대한 검증 인성이 중요하다=학벌이 좋다고 해서 자기 말이 곧 무조건 맞다고 우기는 사람일지, 학벌이 낮다고 해서 위축되어 조직에 적응을 못하는 사람일지. 즉, 그냥 일 주어진거 불만 없이 잘 할 사람일지 검증
@artta0812
@artta081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보고 다들 대기업만 바라보면 안됩니다.대부분 취준생들이 꿈꾸는 대기업,공기업,공공기관 다 합해봐야 전체 근로자수 대비 18.6%입니다.자기가 저 18.6%근로자 숫자 안에 들어가기 위해 학자금 다 때려박고 책상에 앉아서 공부만 해도 승산이 있는지 차라리 이런 저런 일들을 하며 경험을 쌓는게 더 확률이 높을지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설령 대기업 취업했다해도 퇴직나이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입니다.버티기도 쉽지않습니다.20대 초반에는 서로 급을 나눌것이 대학밖에 없으니 서로 대학으로 서열을 가르고 20대 후반에는 다니는 회사가 어디인지로 서열을 가릅니다.30대 넘어가면 어떻게 되는지 아십니까?너 얼마벌어?이렇게 질문 나옵니다.100세 시대 기준으로 고작 20대 인생의 20%의 가오를 위해 대학대학하는겁니다.20대만 넘어가면 얼마버는지를 따지기에 취업취업만 할것이 아니라 빠르게 변하는 돈의 흐름을 따라가며 당장 돈을 버는 일을 해야한다는겁니다.대학도 사실 부모님이 자식 대학비 다 대주고도 노후자금 문제 없는 집안만 가야합니다.우리나라 대부분 가정의 현실은 부모가 자식 대학비를 감당을 못하여 학자금 대출을 받는게 현실입니다.한 학기에 400으로 잡고 4년이면 3200이고 밥 먹어야지 놀기도 해야지 자격증도 준비해야지 해외봉사도 다녀와야지 등등 다 따지면 대학다니는동안 아무리 못해도 5000은 쓸겁니다.나와서 바로 취업이 되느냐 그것도 아니죠.기업마다 인재상이 다르기 때문에 다 다르게 취업준비하고 그러는 동안에도 부모님 노후자금을 계속 쓰게되겠죠.그렇게 힘들게 취업을 하게되면 남자기준으로 빠르면 27~28살쯤에 취업하고 학자금대출상환시작,부모님 노후자금 다 쓸어갔으니 매달 30씩이라도 보내드릴거며 이제 20대 후반이니 여자도 만나야지 밥도 먹어야지 집 살돈 모아야지 회사 다니니 옷도 사야지 차도 사고싶지 이러다보면 돈 남는것 없이 살다가 30대 중반쯤에 학자금대출 다 상환하면 이제 부모님이 50대 후반~60대이셔서 은퇴하실 연세시며 하나둘씩 몸이 아프기 시작하시며 병원비가 나가는 시기가 옵니다.그러면 진짜 남는게 없습니다.이게 현 직장인들의 현실입니다.다들 똑같은 길이 성공이라 생각하며 똑같은 곳으로만 향해서 달려가니 발생하는 현상입니다.눈을 조금만 돌리면 고졸이어도 청년창업도 많고 청년지원사업도 많으며 고급 기술도 지원받으며 배워서 바로 취업도 할 수 있고 정말 다양한 길이 많은데 도대체 왜 정말 부자가 되기 가장 힘든 대기업 사무직 취업으로만 달려드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가없습니다.워라밸이요?현실적으로 워라밸이라는게 정말 가능하다고 생각합니까?하나를 취하면 하나를 잃는다는게 진리인데 둘 다 밸런스있게 가지고 싶다라...허허허 그리고 삶의 질 운운 하시는 분들도 많던데 사무직이 기술직보다 좋다고 할거라고는 추울때 따뜻한곳에서 일하고 주말에 놀러다닐수있다는것 말고는 더 있습니까?진짜 삶의 질은 부모님이 아프시거나 내가 아플때 최고의 의료서비스 비용을 감당할수있는것,내가 가지고 싶은것을 가질수있는것 이런것 아닙니까?맨날 주말에 친구만나서 pc방 가고 커피마시고 할 시간이 생기는게 삶의 질이 아니라.현재 한국 청년들 모두가 마치 경주마처럼 양 눈 옆을 가리개로 가리고 달리는것 같습니다.하고싶은일?아 좋죠.근데 어떤 취미를 가지고 있던 일이 되면 싫어지고 스트레스로 다가오게되어있습니다.페이커가 게임이 좋아서 시작했지만 쉬는 날에도 롤 할것같습니까?손흥민은 쉬는날 축구할것같나요?다들 제발 대학이라는 굴레에서 부모님 노후자금 갉아먹으며 똑같이 살지 말고 전략적으로 살길 바랍니다.
@bennyspapa9510
@bennyspapa9510 Жыл бұрын
삼전 출신 이곳저곳 다있었던 사람으로써 이야기하자면 저기는 소위 세트부문의 본진인 수원사업장인데 세트 부문의 특징이 같은 회사임에도 배리에이션이 어마어마하게 넓다는거임 사실 삼전은 사업부만 달라도 월급 이 서의 30 퍼센트정도는 달라지는 회사라 입사자들의 스펙도 사업보에 따라 갈리는 경우가 많음. 한마디로 삼전 수원 사업장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삼전에 다니는 삼성맨과 이름은 삼성인데 중소기업인 삼성맨이 섞여있는 곳임 통계학적으로 애초에 모집단이 하나가 아닌데 평균을 생각하는건 의미가 없음 예를들자면 경복궁앞에서 님 연봉얼마임 하고 물어본 다음 그게 한국인들 평균 연봉입니다 하고 결론내는거랑 똑같음. 그 사람이 한국인인지 중국인인지 미국인인지는 확인하고 한국인한테만 물어봐야하는데 외국인 관광객들 다 같이 물어봐서 평균때리는것 같은 느낌의 오류…. 저기 수원 사업장에서 아무 생각없이 몇명 인터뷰 따면 가전사업부 사람들이 삼전에 대부분 지방대 출신이다 라고 말하는 표본과 종합기술원사람이 내주위에 카이스트 이하는 없다라고 말하는 거랑 표본이 섞일텐데 평균을 따지는게 극히 힘듬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무리뉴 거기는 어디 삼성이신가요? 10년차에 PS 빼고............... 1억이면 석사 이신가요??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삼전 11만명이라 평균을 잡기가 애매함
@허성우-v2f
@허성우-v2f Жыл бұрын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삼전 생활가전사업부 다녔던 사람인데 이 분 말씀이 거의 정확합니다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무리뉴 그래서 어딘데요? 20면 물산? 앤지니어링?
@bennyspapa9510
@bennyspapa9510 Жыл бұрын
@무리뉴 ps 를 빼도 하는 말이 나오는거 부터가 일단 밖에서 삼전 하면 생각나는 그런 곳은 아니라는뜻 간단히 말하자면 삼전 연봉에서 ps를 빼면 lg 보다 연봉이 작아짐 엘지 보다 연봉이 작은 삼성 다니면서 삼성다닌다고 목에 힘주고 다니는거 보면 되게 민망하고 좀 그래 아니 뭐 그냥 타이틀에 뽕차서 기분좋은건 이해하는데 내가 선배로서 한마디 하자면 삼전에서 연봉 1억으로 자랑하면 좀 민망하지 않냐? 내가 수석달고 딱 삼전 평균 넘고 이직했는데 그 평균이 사실 남들이 보는 삼전 연봉임. Ps가 0에 가까우면 남들보다 월급 1/3빼고 받는건데 그거 쪽팔린줄도 모르고 자랑하는건 좀 보기 그러네…. 내가 ps적은 사업부 욕하는게 아니고 그냥 삼전이라는 회사가 워낙 사람도 많고 배리에이션이 큰 회사라 평균으로는 아무것도 설명할수가 없다라고 하는 의견을 낸건데 설마 평균이하의 사람이 자신감 뿜뿜하는 반박글을 달줄은 상상도 못했네 ㅋㅋㅋ
@수박김-g3t
@수박김-g3t Жыл бұрын
학벌이 다는 아니지만 좋은 직장을 가진 사람들보면 다 좋은 학벌을 가졌더라 우리나라 수능이 아무리 쓸모없고 어려운 입시시험라고해도 결국 그 쓸모없고 어려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 어느분야에서든 좋은 성과를 얻는건 당연한게 아닐지..
@woogimyeng95
@woogimyeng95 Жыл бұрын
아주 예~~전에 네이버 초창기부터 다니시던분이 강연한게 있었는데.. 거기서도 그 말씀 하시더라고요 학벌이 안좋은사람보단 좋은사람이 말도 더 잘듣고 일도 성실하게 할 확률이 높은데 어떤 기업이 학벌 안좋은사람을 뽑으려고 하겠냐고.. ㅋㅋ
@yungu
@yungu Жыл бұрын
쓸모없지 않아요. 잘 모르셔서 쓸모 없다고 생각하시는거임.
@ily6485
@ily6485 Жыл бұрын
학벌이 다는 아니지만~ 이라고 했으면 학벌이 중요하다는건 아는거같은데 수능이 쓸모없는 시험이라는건 뭔 개짖는소리임..?
@수박김-g3t
@수박김-g3t Жыл бұрын
수능으로 인해 얻는 학벌은 당연히 가치있지만 수능이 취업과는 별개니까요 명문대 비메이저 문과보다 평범한 대학의 메이저과가 취업이 더 잘되는것처럼 수능을 잘 보는것 만으로 취업할 수는 없잖아요? 단순히 수능의 결과는 취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죠 수능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위해한 노력이 사람의 기본 베이스가 된다는 겁니다
@우기욱이욲이깅
@우기욱이욲이깅 Жыл бұрын
​@@수박김-g3t 맞습니다 다만 같은메이져공대라면 명문대뽑는게맞는것같습니다
@2tv82
@2tv82 Жыл бұрын
기업이 원하는 사람은 능력있고 시간 대비 많은 아웃풋을 뽑아내고 성격이 모나지 않고 둥글둥글 한 사람을 뽑는것 같습니다.
@_7_45
@_7_45 Жыл бұрын
학벌 좋으면 잘 들어갈 확률이 높긴 해요. 특히 DX같은 경우 삼성전자 내에서도 사업부 별 편차가 좀 있는편인데 학벌도 평균적으로는 차이가 있어보입니다. 그렇지만 채용프로세스에서 학벌만으로 컷하는건 아니에요. 저도 지방국립대 나와서 MX에서 일 열심히 하고있고요. 면접요원 갔다온 후배들 말 들어보면 지원자들 학벌 봤을때도 서성한 이상이 많긴 하지만 광운,인하,아주 정도의 중위권 학교도 꽤 있고, 드물지만 금오공대, 조선대, 동아대 등의 학벌도 면접까지 오고 또 최종합격해서 잘들 다닙니다
@Banbaksinimalmaza
@Banbaksinimalmaza Жыл бұрын
삼전은 확실히 학벌의 다양성이 있다. 내친구 광운대 공대 졸업하자마자 공채로 입사했고. 친구랑 같이 준비했던 광운대 공대생 5명 동시 합격했다. 물론 성적들도 좋고 취준도 열심히 하던 사람들이었다. (광운대 공대는 원래 학교 명성대비 유명하긴 함) 아무튼 입사하고보니 생전 처음 들어본 대학 졸업한 사람부터 연대,고대,서울대까지 다 있었다고 한다. 입사해서 지금까지 업무하면서 누군가를 학벌로 차별하거나 차별받는 건 한번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입사지원 자소서 검토가 부서의 과장들한테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자소서 내에 본인이 상위권 대학 나왔다는 걸 티내는 문구가 보일 경우 바로 ㅡ 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이에
@이이에 Жыл бұрын
저 광운대생인데 삼전 많이 가요!ㅎㅎ
@정민혁-d2x
@정민혁-d2x Жыл бұрын
광운대는 좀..
@ohbae12
@ohbae12 Жыл бұрын
@@정민혁-d2x 그쵸..광운대..ㅋㅋㅋ
@정민혁-d2x
@정민혁-d2x Жыл бұрын
공대가 좋다좋다 해도 애초에 대학인지도 자체가 좀 많이 딸림;;
@Banbaksinimalmaza
@Banbaksinimalmaza Жыл бұрын
여기 잘난 사람들 많네… 잘난 게 아니라 발작버튼인가ㅎㅎ광운대가 sky급이라고 말한 것도 아니고 삼성전자 학벌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한 게 우선인데ㅎㅎ 90년대생 서울 기준 인서울하는 게 쉽지는 않았습니다. 한학년 전교생 400명, 반에서 40명 중 겨우 5,6등 안에는 들어야 인서울 가능했어요. 그리고 대학이라는게 지원하는 방식이 삐끗하면 성적대비 하향지원할 수도 있는거고 광운대 자체도 인서울입니다; 제 친구 지금은 연대 의대 졸업했지만 첫입시때 하향지원때문에 서울끝자락 대학에 입학한 기억이 있지요.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기에 본인 성적대비 대학 조금 못간다고 해서 모두 재수를 해서 다시 준비할 수는 없어요. 어쨌거나 여기서 광운대가 그렇게 까일만큼 안좋은 학교는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실제로 윗 댓글에 언급한 친구도 실제는 건동홍 입학 성적이었으나 하향지원에 붙음. 전교권에서 놀기도 하고 반에서 2등은 항상 유지) 그리고…. 그렇게들 말씀하시는 게 광운대든 어디든 입학을 위한 학생들의 노력을 무시하는 것과 같다고 봅니다. . . . 그리고 이런 댓글 남기시는 분들보면 겨우 광운대 윗대학 진학했거나 광운대생 누군가와 사이가 안좋다거나 학벌주의에 찌든 사람처럼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 . . . 이 댓글 아래로 광운대 무시하는 댓글 남기시려는 분들, 그냥 님들 말이 맞으니 더이상 댓글 남기지말아주세요^^ 반박시님말맞음 똑똑함 굿굿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스카이가 아니라도 괜찮다임
@냥아치-v5w
@냥아치-v5w Жыл бұрын
고졸입장에서볼때 참 부럽습니다. 어릴때 목표를 세우고 공부해서 좋은대학을간다는게 대단한거같아요 그 결과 좋은 직장도다닐수있고 왜 어릴때 공부를해야하는지 몰랐을까요 후회스럽네요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삼성 3분의1이 고졸임다
@도치-p3s
@도치-p3s Жыл бұрын
그 고졸분들이 같은 처우 받으면서 같은 위치에서 일하지는 안죠...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도치-p3s 음.... 무슨 차이를 말하는지 모르겠으나..... 직급의 차이와 그에 따른 연봉제 시급제 차이는 있는데 이부분은 시간이 해결에 주는거라...... 타 회사의 계약직 정규직 그런 차이는 없습니다.
@김찬호-h3z
@김찬호-h3z Жыл бұрын
동기부여 한마디 해주세요
@짐고고중
@짐고고중 Жыл бұрын
고졸로부럽네요
@QWER-j3s
@QWER-j3s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한건 맞음 좋은 대학 나왔다고 무조건 합격하는건 아니지만 좋은 대학이 스펙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나 인맥 면에서 넘 편함 그런 인프라가 잘 되어 있다 해야 되나
@Enishida-m6y
@Enishida-m6y 6 ай бұрын
@라일락-t7o
@라일락-t7o Жыл бұрын
원래 삼전이 1티어 대기업중에 가장 학벌 안봐서 지방대출신의 워너비 회사이기도 하고, 대다수 인터뷰어인 생활가전분야는...삼성전자내에서도 가장 핫바리 직군이고 연봉도 낮은 축에 속함. 같은 삼전이어도 부서에 따라 원천징수 1.5배 이상 차이남
@밀레공
@밀레공 Жыл бұрын
진짜 캐치tv 역대급 컨텐츠가 확실하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다른지역이나 회사도 해죠
@드리블누가막을건데
@드리블누가막을건데 Жыл бұрын
인터뷰 하는 사람이 좀 별로다 국민대 건대 나온 사람들한테는 '학벌은 별로 안중요한가요?' 이걸 물어보고 있고 서울대 연대 나온 사람한테는 안물어봄 ㅋㅋ
@크고단단한두부
@크고단단한두부 Жыл бұрын
모두가 궁금해하는게 그거 아닌가요? 최고의 직장으로 생각하는데 국민대 건대는 최고의 학교는 아니잖아요. 오히려 그 사람 능력이 더 좋았다는건데 어떻게 보면 능력칭찬이기도함
@파도풀러-3
@파도풀러-3 Жыл бұрын
학벌은 무조건 중요합니다 공부가 뭐가 중요하냐고하죠? 그 중요하지않은 공부조차 노력하지않은사람들이 회사일이라고 똑바로하겠나요? 일정 수준 이하의 학벌들은 대체적으로 하등한수준으로 일하는게 맞습니다. 반례들어봐야 극소수일뿐이고 학벌이 그사람의 능력은 몰라도 의지나 어떤 일에대한 자세를 평가하는건 100프로 동일시해도 맞는겁니다. 절대아니라고하는분은 그냥 하위권대학이라고 생각하고 무시할게요
@마등이
@마등이 7 ай бұрын
뭘 학벌이 무조건 중요해 실무 경험과 성실성이 제일 중요하지 ;;;
@파도풀러-3
@파도풀러-3 7 ай бұрын
@@마등이 내가 실무가 안중요하다고했니혹시? 학벌이 중요하긴하다는말을하는데 헛소리하는거보니 딱 너가 학벌이 안좋은만큼 이해력이 딸리는 친구구나
@굿텍스
@굿텍스 Жыл бұрын
어느직장을 들어가건 첫직장은 전문직이 아닌 이상 학벌이 중요하고 이직하거나 그 다음직장을 들어갈때는 학벌보다는 그전 직장과 담당했던 업무가 훨씬 중요함
@김아무-u7r
@김아무-u7r Жыл бұрын
국민대 경영 영어영문학과 나오신 분 진짜 대단하시다 혼자 문과시네
@gfhak3135
@gfhak3135 Жыл бұрын
이과는 마케팅을 잘 지원안하지 않나 ? 미치지 않고서야 굳이..
@QWER-j3s
@QWER-j3s Жыл бұрын
마케팅은 보통 문과에서 가죠
@ertdsw4234
@ertdsw4234 Жыл бұрын
지잡대 공대 나온것보다 훨나음
@abcabcab5861
@abcabcab5861 Жыл бұрын
@@ssmo3526 보여진게 학교랑 학과인데 안뽑음 ㅇㅈㄹ하네 ㅋㅋㅋㅋ 그러니 삼성이 닐 안 뽑음
@science-q1697
@science-q1697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과탑일듯..
@하아-t3q
@하아-t3q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모르겠으나~8년전만해도 삼성이. 대구에 있는 경북대를 지방대 인데 서울 명문대 처럼 추천이나 엄청 밀어주더라구요. 서울 명문대 급으로. 심지어. 그 당시. 삼성 계열사 사장출신 학교가 경북대 출신이 많았음 많이
@vscode12382
@vscode12382 Жыл бұрын
586세대때 경북대 특히 전자과면 못해도 현 서성한급정도니까요.
@yadcc
@yadcc Жыл бұрын
고졸 전졸 대졸 인서울 상위권 나뉘는 이유가 있어요 저도 면접보면서 느낀거지만 얼추 좋은학교 나온사람은 성취감 이라는걸 몸으로 느낀 사람들 입니다 끈기나 성적에 대한 도전을 스스로 아는사람들 이에요 거기다 인성도 좋으면 회사 입장에서는 땡큐 입니다
@user-nd4xp7yd6q
@user-nd4xp7yd6q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학벌 높은사람들은 그동안 꾸준히 노력했다는 결과고 그게 그사람의 태도로 이어지죠
@기회비용이커
@기회비용이커 8 ай бұрын
진짜 고졸 전졸 애들하고 일해봤는데 그냥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고 일이 잘못되면 남탓에 회피하려고만 하더군요. 욕하는것도 쉽게쉽게 하고 사람이 이렇게 저급할수 있구나를 너무 확연히 느꼈습니다
@jasonlee9654
@jasonlee9654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입니다. 대학은 입학 당시 지능을 나타낸다고 볼 수있는데 4~6년간의 개인의 노력에 따라 결과물이 나옵니다. 근데 평균적으로 높은 대학간 사람들이 노력도 더합니다. 결국 평균적으로는 학벌이 맞으나 지방대 상위 5%> 명문대 상위 6~70% 정도는 될수 있을 것 같네요
@DeliciousPass
@DeliciousPass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ㄹㅇ 서울 애들보다 똑똑하고 이해도 높은 사람이 어중간하게 학원 다닌 애들보다 훨씬 사람으로서 가치가 높은 듯
@Wowwow-wl3kx
@Wowwow-wl3kx Жыл бұрын
다 같은환경에서 자랐으면 그럴지도... 대학은 입학당시 지능? 개가 웃고 갈 말이네...
@김대두-f4i
@김대두-f4i Жыл бұрын
삼성은 의외로 신입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는 잘 안 뽑음. 삼성은 기업에 튈만한 사람은 비선호함. 최상위권의 사람보다는 상위권에서 열심히 일하고 삼성에 충성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함. 서연고 출신들은 기본적으로 자신감이 넘치고 자신들이 잘난것을 알고있음. 이건 우리나라 1등기업 입장에서 보면 좋은 성격이 아님. 스타드업이나 중소기업에서는 한명한명의 능력이 중요한 반면 대기업은 시스템에 의해 돌아가기 때문에 적당한 지능에 열정있는 애들 뽑는게 좋음. 진짜 그룹을 이끌어갈만한 인재들은 경력직으로 영입하거나 하면되니 신입공채나 일반직원들은 학벌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음.
@김태훈-t2m
@김태훈-t2m Жыл бұрын
마케팅 직무는 고대이상 널렸습니다...
@김태훈-t2m
@김태훈-t2m Жыл бұрын
@@생각-e1m ㅋㅋㅋ현직자에요... 아 그래요 현직자인 것 과는 상관없이 제 주관적인 생각은 맞네요.ㅋㅋ
@민-e1r6d
@민-e1r6d Жыл бұрын
서울대 ㅈ나 많은데요..?
@lilll1llil1ilii
@lilll1llil1ilii Жыл бұрын
문과는 sky가 많은듯 공대는 좀 다양하지만
@assi-qj1ij
@assi-qj1ij Жыл бұрын
이 댓글이 팩트임 (상경계열 제외) 핵심인력은 다 스카이이상인데 나머지는 지거국도 많음
@주사위8y
@주사위8y Жыл бұрын
최상위권 한국 대기업에서 학력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시는건 이런 그룹에서는 평균적으로 인서울 대학교 메인학과를 나온사람들이죠..
@Hey-h3g
@Hey-h3g Жыл бұрын
공대는 인서울 아닌사람도 많아요.
@gfhak3135
@gfhak3135 Жыл бұрын
@@Hey-h3g 절대적인 수로 볼 때 그런거지 비율로 보면 적음 인서울 수준인 부산 경북 빼면 뭐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Жыл бұрын
아니근데 인서울이 다 똑같은게 아닌데 인서울이면 싸잡아 학벌좋다해버리네ㅜㅋㅋ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Жыл бұрын
@JR S 아니 저는 서울대랑 건국대 차이가 어마무시한데 건국대 서울대 다 학벌좋네 취급하는거 말한거에여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삼전이 최상위권??? 재밌다 ㅋㅋㅋㅋ
@경지경-y4o
@경지경-y4o Жыл бұрын
물론 모두가 SKY를 갈수는 없고 그럴 필요도 없음. 하지만 주변 사람들 보면서 느낀게 적어도 인수도권 4년제(마지노선 협수용강) 정도는 나와야 그나마 대기업 노려볼 수라도 있고 졸업후 대학 인맥도 의미가 있는 것 같음. 졸업 후 서로서로 자기 회사 자리나면 추천해주거나 해서 괜찮은 자리 들어갈 기회 만들어주는 등 학교인맥을 어느정도 활용할 수 있고, 인턴&대외활동 등 스펙 열심히 쌓는 생각있는 애들이 어느정도 포진해 있는 학교가 수도권 마지노선 라인임. 서울,수도권 안에 일부 과가 지방대랑 입결 겹치는 학교들도 있는데 그렇더라도 무조건 위치가 수도권 안에 있는 학교로 가야 함. 수도권과 지방은 학교 주변 인프라나 학교 내로 들어오는 정보의 양이 다름.
@아이고-e5u
@아이고-e5u Жыл бұрын
상위권 지거국vs인서울 인서울 추천하시나요?
@잘태어나고싶었어
@잘태어나고싶었어 Жыл бұрын
협수용강 갈 바에 지거국 가지 ㅋ
@hcj7511
@hcj7511 Жыл бұрын
​@@아이고-e5u최하위 인서울 하느니 지거국 가서 지역인재 티오 노릴것 같네요
@goggle02
@goggle02 Жыл бұрын
GSAT 자체가 학벌필터링 시험이라ㅋㅋ 수능이랑 비슷해서 자연스레 걸러짐
@salcazoid
@salcazoid Жыл бұрын
삼성이든 다른기업이든 자기가 일하는 부서에서 일하다보면 느낄거임. 신입때는 아무것도 몰라서 못느끼거야, 근데 경력이 어느정도 쌓이면 자기의 위치를 알게되는거 같더라. 자기가 일하는곳에 배경지식이 없으면 더이상 발전이 없다는걸. 특히 배경지식 없으면 업무관련 지식을 쌓으려고해도 이해하는 속도가 점점 떨어짐. 솔직히 경력직 뽑는데선 자기가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가 아닌 배경지식에 대해 얼마나 알고있냐를 물어본다. 그 배경지식이 딸리면, 절대로 통과못함.
@가나다라마-i9e
@가나다라마-i9e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는 무조건 sky였는데 이제는 인서울만 돼도 대기업 충분히 갈 수 있음. 특히 대기업은 경력이 ㅈㄴ 중요함 근데 지방대는 아직까지는 좀 힘들것으로 보이는데 그래도 케바케라고 봄... 학벌이 자신 없다면 공기업 강추!!
@mub1611
@mub1611 Жыл бұрын
지방 거점 국립대 등은 지역 할당 정도가 있어서 대기업 취업 등에 더 유리한 점도 있소이다. 부산대 경북대야 예전부터 워낙 잘 나가는 대학이고.
@forever5473
@forever547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그냥 인서울만 나와도 됨 sky대 못나온다고 대기업 못들어가는 세대는 끝났음
@goggle02
@goggle02 Жыл бұрын
이제 스카이 서성한 아니면 진짜 안보이던데ㅋ 대기업들 취업문이 바늘구멍 되어서
@가나다라마-i9e
@가나다라마-i9e Жыл бұрын
@@goggle02 서울대가도 취업 못함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7 ай бұрын
@@가나다라마-i9e 서울대에서 학점 평타치고 인턴 한 두개 깔짝하면 다 뚫음 물론 설공대생 친구들은 석박이 목표인 친구들이 많긴함
@mechanic6465
@mechanic6465 Жыл бұрын
삼전...예전에 다녔었는데...동기들이 PS 얼마받았네 되도 안은걸로 도토리 키재기하던 기억이 나네요...지금은 수능 다시보고 진로를 바꾼상태지만 ㅋㅋ
@현-j9b-i9f
@현-j9b-i9f Жыл бұрын
왜 자꾸 학벌 인서울은 넘어야하네 무슨 이런 반응이지? 인서울 이하를 보기 어려운 이유는 학교가 안좋아서가 아니라 대학교 들어가는 노력도 대충한 사람이 취업을 위해서 갑자기 열심히 할 확률이 낮을뿐인거임 학교 탓 하기 전에 본인의 박살난 자소서나 탓하셈
@수박김-g3t
@수박김-g3t Жыл бұрын
근데 생각보다 학점이 중요하구나 아무리 학점 잘받아도 실무경험이랑은 상관 없다고 생각했는데 학점은 기본 베이스로 가는구나 토익이 실제 영어능력과는 별개여도 일단 따고보는것과 같은건가
@jeajea884
@jeajea884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성실함의 척도니까요 학점은 꾸준히 잘헀다 느낌이 있어서
@지수-z4z
@지수-z4z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고 면접 때 무조건 공격이 들어오기 때문임. 학점을 만회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 있으면 상관없음
@hdy2452
@hdy2452 Жыл бұрын
들어간친구들 이상적스펙이 3.8이었어요
@hdy2452
@hdy2452 Жыл бұрын
@@user-sm7hh1wf5e 약5년전이야기긴하지만 3.5가 마지노선이라는 이야기가많았어요
@이건우-e4l6f
@이건우-e4l6f 10 күн бұрын
토익 지방대출신아니면 딱히 거의 안따고 학점하고 토익하고 비교하는건 좀 아닌것 같은데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Жыл бұрын
난 이영상보면 대학이 1도 안중요하구나... 라고 생각이 되는데 누군가에겐 중앙대고 광운대고 이러면 명문대라고 인식되어서 대학이 중요하다 생각하구나
@My-Dear
@My-Dear Жыл бұрын
모든 건 상대적이니까요. 대학 이후로 동질성 높은 집단에 섞여있다 보면 망각하기 쉬운 사실이지만 중앙대보다 낮은 대학을 나온 사람이 이 나라의 90% 이상인걸요.
@이건우-e4l6f
@이건우-e4l6f 10 күн бұрын
중앙대보다 높은학교 나왔지만 중앙대면 명문대고 일반적인 고등학교에서는 한반에 1~2명 갈까말까인데 명문대가 아닐 수 없죠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9 күн бұрын
@@이건우-e4l6f 그것도 그런데 삼성전자 연봉이나 이런거 생각했을때 광운대에서 간다는건 엄청 대학을 안보는구나 생각들어야되지않나??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9 күн бұрын
@@이건우-e4l6f 전 의대생인데 이 나라는 왤케 공대생,노동자만 살기 좋은지 모르겠음.. 뭐 그동안 전문직 너무 좋았어서 정반합에 반에 있는거같기두하고
@reshmanf2987
@reshmanf2987 Жыл бұрын
학벌은 안중요하지만 인터뷰 한 사람들은 (거의) 다 인서울!
@aptpieim8543
@aptpieim8543 Жыл бұрын
다 인서울인데?
@트로
@트로 Жыл бұрын
1:08
@aptpieim8543
@aptpieim8543 Жыл бұрын
@@트로 해외대는 논외지;;
@라이프초이스
@라이프초이스 Жыл бұрын
경희대 공대는 수원입니다
@aptpieim8543
@aptpieim8543 Жыл бұрын
@@라이프초이스 성균관도 수원임
@novip5159
@novip5159 Жыл бұрын
지원서가 수천개 들어오는데 몇명이서 그 많은 지원자를 어떻게 분류할까요? 학벌이 좋고 노력한 흔적이 보이면 일단 기회는 주겠죠? 학벌이 안좋으면 재수없게 면접전에 필터링 당할 확률이 높습니다. 기본적으로 머리 좋은 학생들이 좋은 학교 간다는 믿음이 있으니까요.
@김가람-v9e
@김가람-v9e Жыл бұрын
인사과에서 거르고 파트 실장님께 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부바부이긴 한데 개발 직군에서는 파트 힘이 HR보다 더 쌘걸로 알고잇습니다 우리 파트장임 .. 피셜
@크흡-f8t
@크흡-f8t Жыл бұрын
학벌안중요하다고 하는데 인터뷰하는 사람들보면 못해도 경희대 이상은 나온듯 경희대 이상 학벌은 나오고 그 이후에 학벌이 안중요하다고 하는거 같음 애초에 경희대 갈려면 전국 상위 10%에는 들어야되는데 그이하 대부분 90%의 사람들이 볼때는 10% 이상의 학벌 가진사람이 별로 안중요하다고 하는거 공감 1도안감ㅋㅋㅋ
@ovo7777
@ovo7777 Жыл бұрын
‘국가직’ 공무원편 기대하겠습니다~ 세종정부청사나 지방정부청사 주변이요~~
@흰둥-y6i
@흰둥-y6i Жыл бұрын
스카이가 대부분이에요
@user-ou22g8z22
@user-ou22g8z22 Жыл бұрын
​@@흰둥-y6i 9출은 서성한~중경외시라인아님?
@sysgdyegysys9789
@sysgdyegysys9789 Жыл бұрын
지랄한다진짜..ㅋㅋㅋ
@ovo7777
@ovo7777 Жыл бұрын
@@user-ou22g8z22 지방직, 서울시, 국가직 각각 9출 분위기가 좀 다른데요~ 지방직은 보통 지거국,인서울하위권~지방사립대 비율이 가장 높구요 서울시는 인서울 중위권~하위권 국가직은 인서울 중하위~지거국 비율이 많습니다. 세종정부청사는 9출은 소수이고 대부분 7,5급 출신이 많습니다.
@ovo7777
@ovo7777 Жыл бұрын
@@user-ou22g8z22 보편적으로 7출이 서성한중경외시 9출은 건동홍국숭세단 정도입니다
@-_goodboy
@-_goodboy Жыл бұрын
학벌은 내가 가고자희망하는 회사 문턱을 넘기위한 수단. 막상 들어가면 업무자체 난이도는 학벌 의존도는 극히 낮고, 어느정도 하면 다 할수 있는 일을 함. 동료들과 잘 어울리고 업무에 모나지않게 하는 직원을 원하지.
@tedkim4020
@tedkim4020 Жыл бұрын
삼성은 GSAT을 뚫어야하는데 이게 은근 허들이 높아서 서성한급 이상 취준생들도 서합하고나서 은근 지쌋에서 많이 털립니다..
@ddavidd1648
@ddavidd1648 Жыл бұрын
학벌은 중요한 거 아니고 그저 뽑는 사람의 입장에서 학벌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좋은 이유는 그저 그 사람의 성장과정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임. 학생일때 학생의 본분으로 공부를 그만큼 성실히 했다는 결과물이 학벌과 성적이기 때문이라 어쩔 수 없고 그런 사람이 그만큼 높은 확률로 회사에 들어와서도 성실하게 좋은 성과물을 줄 수 있다는 기대치가 다른 사람에 비해 높기 때문임.
@박제승-o7x
@박제승-o7x 7 ай бұрын
들어갈때는 학벌이 중요함 삼성이 유독 학벌을 안보는 편이고 Sk하닉이랑 현대모비스만 봐도 서성한 밑으로는 잘 안뽑을려고 하는 편인데
@warmingpan
@warmingpan Жыл бұрын
과거엔 취직할땐 학벌보단 학점. 취직후엔 학점보단 학벌. 요즘 mz세대는 기성꼰대세대들이랑 달라서 직장에 별로 크게 집착하지 않으니 학점이든 학벌이든 그닥 뭐. 기업에서도 특정기준이상만 충족하면 오래버틸것 같은 직원위주로 뽑는 듯.
@붉은태양msne
@붉은태양msne Жыл бұрын
그런 좋은 학교를 나왔기때문에 학벌이 중요치 않다고 자신있게 말할수 있는거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각국을 대표하는 유수 대기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MarketIsWrong
@MarketIsWrong Жыл бұрын
학벌에 엄청 초점을 맞추는데, 결국 회사에 잘적응할수있는사람을 뽑는거라고보여지는데요. 어차피 학벌을 안볼순없을거지만 원하는 인재상에 가깝다면 갭을 매꾸면서 채용이되지않을까싶네요
@Forwarding-n8x
@Forwarding-n8x Жыл бұрын
우리 언니 성신여대나오고 형부 충청도에있는 국립대 출신 둘다 삼성 학벌 크게안보는데 학교에서 성실하고 공부잘하고 대외활동 많이했어
@qwertyair
@qwertyair 5 ай бұрын
지금도 아주, 인하, 광운은 공대 강자인 건 맞죠!!
@akfh0111
@akfh0111 8 ай бұрын
0:50 학벌보다 경험,프로젝트경력 최대한 직무경험늘리기 2:20 다른거... 특이한거..
@zinod7988
@zinod7988 Жыл бұрын
삼성전자는 워낙 큰 회사라서 학벌은 어떤 조직에 들어갈 수 있는 지에 더 영향이 미칩니다. ex) 삼성 리서치, 종기원, MX사업부
@배연서-g7w
@배연서-g7w Жыл бұрын
삼성 sds 같은 곳 본사는 건동홍 학벌도 들어가기 힘든 곳임 중경외시 이상은 좀 보인다 하더라
@xeexaxam
@xeexaxam Жыл бұрын
@@배연서-g7w sds는 it회사인데 중경외시 건동홍은 문과 서열이고...
@kaioh1384
@kaioh1384 Жыл бұрын
@@배연서-g7w 아무것도 모르면서 개소리 지껄이는게 웃음도 안차네
@배연서-g7w
@배연서-g7w Жыл бұрын
@@xeexaxam 문과 서열이긴 한데 내가 말했던 건건동홍 공대임
@배연서-g7w
@배연서-g7w Жыл бұрын
@@kaioh1384 문과 서열이긴 한데 내가 말하는 건 건동홍 공대임
@dakson5298
@dakson5298 Жыл бұрын
어떤 사람에 대해 잘 알수 없기때문에 학벌로 대신 가늠해 보는거겠죠. 죽을병 걸리면 지방대 의대병원 가겠어요 아니면 서울대병원 가겠어요? 지방대 병원에도 실력있는분 많겠지만 굳이 찾고 있진 않겄죠
@TheYKSONG
@TheYKSONG Жыл бұрын
인서울대학 기준으로는 예전에 삼성에서 공채원서 뿌리고 설명회 하는 대학의 마지노선이 광운대 공대라인 이라고 들었음.
@재미있게살자-y5t
@재미있게살자-y5t Жыл бұрын
근데, 삼성전자는 확실히 학벌 좀 덜 보긴 하는것 같다. 나 경남 진주에 있는 국립경상대학교 나왔는데, 경남 지역 거점 국립대이긴 하지만, 이름이 마산에 있는 사립대학인 경남대학교에서 경남을 쓰고 있으니 지역 거점 국립대학인 줄 잘 모르니 인지도가 좀 떨어지는 편이라 졸업하는 사람중에 삼성 같은 대기업에 공채로 들어가는 사람 있을까 생각했는데, 많지는 않아도 의외로 좀 있더라. 선배들 중에 아는 분들 몇명이 입사 하기 위해 준비한 내용 일일 특강도 하는데, 진짜 노력 엄청하긴 했더라. 삼성전자는 그런면에서 학벌은 좀 덜 보긴 하는것 같다.
@피아노치는이
@피아노치는이 Жыл бұрын
근데 학벌이 안중요하다.. But. 뒤집어보면 학과가 더 중요하다 아닐까요? 어떤 현직자는 연고대 문사철보다 부경전충 전화기가 대기업 가기 훨씬 쉽다고 말할 정도니까요.
@lee-uc7ve
@lee-uc7ve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아님
@jpsteelers287
@jpsteelers287 Жыл бұрын
연고대 문사철보다 지거국 공과대학의 취업이 수월한건 너무당연한거같은데요. 우리나라 제조업 국가입니다. 학교에서배운것을 기반으로 그대로 써먹습니더. 문사철 같은 학문이 필요없다는게 아니라 그냥 전공에 대한 뜻없이 대학을 가서 그것을 공부한 사람중 전공을 살려 일하는사람이 ..아무리 명문대라 해도 몇이나 될까요.
@꿀벌-o5t
@꿀벌-o5t Жыл бұрын
서울대 나와도 눈치도 잼병이고 어리버리 하는거보면 바보같고 사람들하고 어울리지도 못하고 그냥 할줄아는거라곤 공부하는 재능 하나만 달랑 가지고 태어난 사람 살면서 몇번 겪었다. 진짜 눈치가 하나도 없고 정말로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 같이 대화해봐도 특별히 똑똑한지도 모르겠고,단지 외우거나 기억하는거 하나는 잘하더라. 그외에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부분도 잼병이고 그냥 그건 누구의 이론이고 누가 무슨 말을했다 등 창의적인 자기생각은 없고 유명한 남들이 일궈논 학문적 성과를 그냥 앵무새처럼 줄줄꿰는건 잘하더라. 일상에서 겪다보면 그렇게 똑똑한거 못느끼겠던데..
@뉴욕커-d2x
@뉴욕커-d2x Жыл бұрын
0:58 딱봐도 최소 5-60대 아져씨인거 같은데, 항상 상대방이 존중해서 예의 차리고 질문하거나 말걸어도 저렇게 반말을 찍찍하는 건 아무리 삼전이여도 좀 보기 안좋은것 같습니다
@ijh7705
@ijh7705 Жыл бұрын
아무리 학벌을 안본다 해도 기본 스팩이 어마어마 하네ㄷㄷㄷ
@Yumyumchad
@Yumyumchad Жыл бұрын
저도 컴공생인데 교수님들도 맨날 구글링 많이 해야된다고 그러심요 ㅋㅋ 짧은 영상이지만 도움 많이 받고가요 다들 화이팅
@서부산-n5s
@서부산-n5s Жыл бұрын
네이버 검색 무시하나
@windbless
@windbless Жыл бұрын
왜요?
@EeeSu
@EeeSu Жыл бұрын
학벌 좋은사람 안골라내도 학벌 좋은 사람이 스펙도 좋고 직무관련 경험도 많음 블라인드 해도 뽑아놓고 보면 대부분 학벌 괜찮음 그냥 학벌 좋은 애들이 인생을 더 알차게 사는 경향이 있음 물론 알차게라는 개념이 사람마다 다르지만 학벌 괜찮은 애들이 시간딱딱 잘 나눠쓴다는 느낌이 확실히 있다
@성이름-s6y9x
@성이름-s6y9x Жыл бұрын
지샷으로 일단 무식한 애들은 자연스레 걸러짐.....
@cygnus940937
@cygnus940937 Жыл бұрын
삼전은 학벌 스펙트럼이 넓어요. 워낙 많은 인원을 뽑기 때문에 입사가 쉬운건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난이도는 낮죠
@cocoria7
@cocoria7 Жыл бұрын
DS면접관경력 다수 있는 CL4급 40대입니다. 사전에 인사에서 뭔가 있는지 까지 모르겠고, 면접관앞에 놓인 서류만 봐선 출신학교를 알수 없습니다. 학점은 기본이고 얼마나 경험이 있는지, 조직에 적응을 잘할수 있는지등 태도랑 발표 자세가 중요합니다. 실제 업무 능력관점에선 엑셀/파워포인트/(+파이썬 류?) 잘하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좋습니다.
@YWNKHIA
@YWNKHIA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독자 중에도 CL4가 먼지 알아듣는 사람이 있다면 찐 DS인인데 말입니다.... ^^
@8528845444555
@8528845444555 Жыл бұрын
CL4: 차장~부장급
@진라면-l6k
@진라면-l6k Жыл бұрын
Cl4 면 그냥 부장임
@redout-bj5je
@redout-bj5je Жыл бұрын
여기 43기 있나요?
@flelavie
@flelavie Жыл бұрын
cl4 부장, 수석
@야미-i6m
@야미-i6m Жыл бұрын
학벌은 입사에서 그렇게 중요하진 않으나 입사 후 승진이나 이런 면에서 학벌 좋은거 무시 못함
@KKoolsg
@KKoolsg Жыл бұрын
승진이 늦어도 들어가는게 중요함. 중견 부장찍느리 삼전 과장이 연봉도 더 쌔고 학벌을 뛰어넘는 스펙이 생기는거라
@great5429
@great5429 Жыл бұрын
ㅋㅋ이번 삼전부회장 인하대학사출신임
@아인슈타인급두뇌
@아인슈타인급두뇌 Жыл бұрын
ㅋㅋㅋ입사에서 더중요하지 뭐라냐 ㅋㅋㅋㅋㅋㅋㅋ
@zddeden1079
@zddeden1079 Жыл бұрын
@@great5429 인하대 공대 학사면 좋은거지 그면ㅋㅋ머가 문제인가 무슨 서연고한성서는 돼야 된다 생각한건가 단국대 공대만 돼도 학벌 좋은거란다
@juliokim3786
@juliokim3786 2 ай бұрын
@@great5429 그 부회장이 학부시절이었을때 인하대랑 지금 인하대 수준을 동급시하면 안됨
@쩡이-o4x
@쩡이-o4x Жыл бұрын
삼전은 학벌 잘 안보긴한다 하지만 그래도 다들 중경외시 급이네 ㄷㄷ 알짜공대도잇고
@바른-b4h
@바른-b4h Жыл бұрын
댓글을 보면서 드는 생각인데, 학벌을 안보는 사회가 공정한 사회인가요? 블라인드로 채용해야공정한 것일까요? 사견입니다만, 블라인드 왜하는지 이해가 안가고 오히려 정치권의 불순한 의도가 들어있다는생각이 듭니다. 그 사람의 살아온 단면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 학벌이게도 할텐데,,,좋은학교 입학을 위해 그사람은 노력했을것이고 남들 피씨방에서 놀때 힘들게 공부했을걸요. 목표 성취를 위해 노력했고, 어려움이 이겨내고 근성있게 노력했는지가 학벌에 녹아져 있는 것일텐데. 물론 학벌이 채용의 절대적인 기준이 되어서는 안되고, 업종에 따라 다양한 면을 봐야하는 것 맞다 생각하지만, 적어도 학창시절의 노력과 지식습득과정을 가리고 다른 것만 본다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채용방식이 불공정을 초래하고 극단적으로는 교육체계에도 악영향을 끼칠것이라 보고요.
@user-vh7wr6ou7u
@user-vh7wr6ou7u Жыл бұрын
뒤늦게라도 정신 차려서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주는 기회가 아닐까 싶네여 님 의견도 맞는 듯
@Lovelexy-forever
@Lovelexy-forever 11 ай бұрын
​@@user-vh7wr6ou7u그 기회를 남꺼를 갉아서 주면 안됨
@더레이
@더레이 Жыл бұрын
삼성전자 출신들이 말하기를 연수원들어가면 우리나라에 저런대학교가 있어 라고 할정도록 삼성만큼 학벌을 덜 본다고해요 그 만큼 열려있다고 우수한대학 나온학생들은 이미 실력이 되었기에 좀 수월할테고 학창시절 공부안하고 못해서 지방사립대가서 뒤늦게 정신차리고 엄청난 노력해서 갈수있는곳이 삼성이라고
@gerrardchoi900
@gerrardchoi900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좋은 사람이 일머리와 공부머리 둘 다 좋을 확룰이 상당히 높음, 근데 학벌 안 되는 애덜이 일머리와 공부머리는 다르다고 우김, 근데 학벌이 낮으면 공부머리도 일머리도 낮음, 이거 경험임, 특히 2000년 이후 돈 없어서 학벌이 낮은 경우가 적어서 더 그럼... 그래서 채용할 때, 학벌을 볼 수밖에 없음
@germanjijinhee
@germanjijinhee Жыл бұрын
와우 리얼한 정보 많은 도움 되네요~ 마지막 분 욱겨요 ㅋㅋㅋ
@전-r7v
@전-r7v Жыл бұрын
3:54 처럼 기업에 들어갈 때 기업들이 사업부,전략기획 이런 담당이여도 경영,경제 쪽 학과보다는 공학쪽을 선호하나요?
@won8259
@won8259 Жыл бұрын
부서이동일 가능성 농후
@user-xd9kz
@user-xd9kz Жыл бұрын
@@won8259 공학출신은 기획쪽에 신입으로는 들어가기 어렵나요?
@OPR-ye6ei
@OPR-ye6ei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문과직렬도 이공계 선호합니다
@user-xd9kz
@user-xd9kz Жыл бұрын
@@OPR-ye6ei 근데 아무리 선호한다고 해도 관련 경험이 없으면 경쟁력이 떨어지지 않나요..?
@OPR-ye6ei
@OPR-ye6ei Жыл бұрын
@@user-xd9kz 문과 경험이라는 게 각종 공모전, 대외활동, 인턴 경험일텐데 이건 전문지식을 요한다기 보다는 조직에서의 생활, 문이과를 불문한 기본적인 업무 처리 능력을 요하죠. 즉 문과’만‘ 수행 가능한 활동 혹은 업무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그나마 회계 재무 법무 직렬은 문과가 아직 우세지만 그 외 다른 업무는 이공계 지식을 쌓은 사람을 선호합니다.
@트리플스타
@트리플스타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미치도록 마음에듭니다!! 구독누르고 자주 오겠습니다!!
@soran6413
@soran6413 Жыл бұрын
신선한 콘텐츠네요 감사합니다!
@cchocopie
@cchocopie Жыл бұрын
삼성이 학벌 안 본다고 해도 그 댓글 쓰시는 분들 100명 중 95명은 이 콘텐츠 인터뷰자들과 비교해 본인은 해당이 안 되는 스펙입니다
@user-so6ij5oh6k
@user-so6ij5oh6k Ай бұрын
학벌 자체를 본다기 보다는 한국 사회 학벌의 배경엔 끈기 책임감 노력 성실 등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끈기있고 성실하게 노력한 능력 있는 사람은 학벌이 좋은 것" 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보니 위조한 학벌이나 부모 능력 덕에 좋은 대학 입학한 사람이라도 학점 유지가 안되면 입사가 불가능합니다. 실제로 삼성에서는 학점 낮은 사람은 안 뽑겠죠. 결국 대학이라는 집단에서도 끝까지 끈기 성실 노력 능력 을 보여준 사람이 입사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케이스가 아니라면 포트폴리오가 있는 경력직이나 고졸 사원일듯요
@jakeb1381
@jakeb1381 Жыл бұрын
삼성다녀본 경험으론 학벌이나 스펙도어느정도는 보겠지만 인성을 제일많이 보는듯. 대부분 직원들이 그냥 유하고 착하고 충돌을 싫어하는 성향이 강했음
@dlts1303
@dlts130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충돌싫어하는 성격
@tedkim4020
@tedkim4020 Жыл бұрын
앗 지금은 사업하시나요
@jincyber1626
@jincyber1626 Жыл бұрын
학벌 다 좋구만 ㅋㅋㅋ 그리고 경험 얘기하는거보니 면접때 대회나 이런데 입상경험 이런거 보는거같고.. 학점도 보는걸보니 학교다닐때 꾸준히 공부하고 학점관리했는지도 중요하고 조직에 융화잘되는 사람 따지는거보니 성격 모난사람, 잔다르크같은 사람 싫어하네 ㅋㅋㅋ gsat도 봐야되고 스펙도 좋아야하고 겁나 빡세다..
@zSTEAMz
@zSTEAMz Жыл бұрын
지방사립대 나와서 개발직군 삼전합격했음. 학점 3.98이었고 전국대회 입상 실적 있었음. 코딩공부 열심히 했고 최상위권이라고 자부했음. 들어와서 보면 서울대 나왔고 똑똑한기 업무능력 형편없는 사람있고 나처럼 지잡대 나와서 업무에 영혼까지 갈아넣는 사람 많음. 삼성은 서울대나와서 본인 똑똑하고 갈곳 많으니까 대충하는 사람들보다 나처럼 갈아넣는 인력 좋아함. 그래서 학벌 낮아도 뽑는거 같다고 느낌ㅋ
@user-vh7wr6ou7u
@user-vh7wr6ou7u Жыл бұрын
어느 학교 나오셨는지 궁금해여
@ybs387
@ybs387 Жыл бұрын
당신들이 한국의 미래입니다 고생하셨고 격하게 박수와 함께 응원합니다
@user-zp7mk7xu8n
@user-zp7mk7xu8n Жыл бұрын
삼성그룹 임직원 출신 대학별 순위 1.성균관 2.인하 3.한양 4.연세 5.광운 6.고려 7.건국 8.중앙 9.서울대 10.경희대
@ifkeoeosjosos
@ifkeoeosjosos Жыл бұрын
일단 수치도 약간 틀렸지만 건대 성대 인하대 광운대 이런 출신이 많은거보면 왜 삼성이 과거와 달리 경쟁력이 떨어지고 중국기업들에 밀려나는지 설명해주네요
@user-zp7mk7xu8n
@user-zp7mk7xu8n Жыл бұрын
@@ifkeoeosjosos ? 어떻게 틀렸죠? 삼성전자에서 매년 공식 발표하는건데ㅋㅋ
@user-zp7mk7xu8n
@user-zp7mk7xu8n Жыл бұрын
@@ifkeoeosjosos 그리고 저기서 인하 광운 아주는 수십년째 삼성전자 입사 탑5안에 들어요 무슨ㅋㅋㅋ 니 말대로면 삼성 전성기는 한 50년전인가?
@ifkeoeosjosos
@ifkeoeosjosos Жыл бұрын
@@user-zp7mk7xu8n 당연히 공식출처도 없는 님 댓글에 하는 소리구요ㅋㅋ 50년 드립치면서 세탁기 팔던 시절 헛소리는 거르고 글로벌 시총 10위권대에서 20위권대로 하락, 23년 분기영업익 95% 폭락으로 소니에도 추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중국에 밀려서 사업 접거나 하락세, 트슴에 파운드리 밀려나서 점유율 대폭축소 이게 바로 최근인데 집에 인터넷안되죠? 그게 당장 저 위 1, 2위부터 나오듯 건대급도 안되던 학교들 재단 지원이나 사트로 채워넣고 허리층 얇아진거랑 관련 없지 않다구요. 요새 왜 삼성종기원 사장이 저기 많은 학교들 말고 연대 카이스트 돌면서 반도체 인재 확보하려는지 아는건 맞죠?ㅋㅋ
@user-pz1ye6vo1f
@user-pz1ye6vo1f 5 ай бұрын
부산 경북이 없다..? 그 시절이면 인하 아주 이상 혹은 준할 텐데
@성이름-u7u5u
@성이름-u7u5u 8 ай бұрын
현직인데 대졸입사자 중에도 지거국은 널리고 널렸고, 그 아래 지방대도 은근 많습니다 한동대, 부경대, 금오공대, 영남 동아 등 물론 인서울보다 적기는 하지만 면접까지만 오면 학벌 안봐요 단, 엔지니어, 개발자 기준이고 문과직무는 학벌컷 높습니다
@wonderful78100
@wonderful78100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영상내용이 유익하네요!👍
@attorneycountry
@attorneycountry Жыл бұрын
나도 미국에서 로스쿨나와서 변호사 하는 이유가 의사/ 변호사 해야지만 편안하게 살수있음... 의사는 당연히 최고고.. 미국에서 변호사의 좋은점은... 어느주나 검사 자리가 항상 사람을 뽑고 언제든지 검사는 일자리가 넘쳐남 ㅎㅎㅎ 특히 검사는 attorney 1,2,3 호봉도 공무원으로 계산해줘서.. 검사 7년차정도 되면 어느주를 가나 항상 15만불-18만불은 보장해줌 아마존,구글,페북 이런데 들어가려고 백날 공학박사 따봐야 7년정도 일하면 다 짤라버림 ㅠㅠ 젊을때 (20-40대)는 아마존 구글 이런데서 우쭈쭈쭈 잘해주면서 데리고 있지만 흰머리 60대가 되면 극소수 이사진 빼고는 아무도 없음 ㅋㅋㅋ 미국변호사는 60대에 검사만 달아도 대부분 그 주 검찰청에서 제일 높은 직위에 오름 ㅋㅋㅋ 게다가 일단 라이센스 따면 본인이 자신의 인사권을 마음대로 할수있음 ㅋㅋㅋ 대형로펌 못들어가도 자기가 살고싶은 아무주에 가서 검사 7년만 하면 명예와 적당한 연봉 (15만불-20만불)을 보장해줌 ㅋㅋㅋ 미국변호사는 라이센스 한장으로 기소권력을 갖게되면 영예로운 직업임 (물론 의사보단 돈을 훨씬 못범 ㅋㅋㅋㅋㅋ 의사가최고임) 10대학생들 빡세게 공부해서 의사>변호사 이 두개중에 직업을 고르시길 바람 (둘다는 좀 시간낭비임)
@abcdee634
@abcdee63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꿈이 있는 사람들도 많아요 저같은 경우는 기후위기를 막는데 조금이라도 일조하고싶어서 에너지쪽 공대로 진학했고, 제 동기들 다 같은 꿈이구요 요즘엔 우주산업쪽에 관심이 생겨서 대학원도 생각해보고있어요 물론 전문직.. 넘 멋있고 부럽지만 각자 목표와 꿈을 가지고 입사한 사람들도 정말 많을거에요
@attorneycountry
@attorneycountry Жыл бұрын
@@abcdee634 climate change 중요하고 꼭 필요한 공부죠! respect합니다!
@야수의본능
@야수의본능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인터뷰 개꿀잼
@Samuel-hv4dv
@Samuel-hv4dv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은 당연히 인재를 뽑아야하고 회사에 이익이되는 사람을 뽑아야하니까 그 기준이 학벌이 되는건 당연하죠 눈에 보이는 지표가 학벌인데 지원자들을 일일히 알아가는 시간도 없을뿐더러 이력서를 보고 그 사람을 판단할수 밖에없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뽀뽀-u4f
@뽀뽀-u4f Жыл бұрын
영남대 금오공대 전자공학이면...부족할까요 ㅠㅠ 채용설명회는 매년 상하반기때 마다 왔었어요..😢
@Miri8271
@Miri8271 Жыл бұрын
금오공대 출신인데, 이번 상반기 공채 합격했습니다:) 열심히하면 돼요.
@예쓰-g5z
@예쓰-g5z Жыл бұрын
빌게이츠는 독서 습관>하버드 졸업장이라고 말함. 학창시절 독서하는데 시간 엄청 소비해서 공부 못해서 무명대 간다면 삼성 무조건 합격하지 않을까? 독서 많이한건 면접과 자소서를 통해 증명할수 있고.
@hmg1886
@hmg1886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좋은 콘텐츠예요!
@미비된동작-p4g
@미비된동작-p4g Жыл бұрын
철수형님 오크형님 둘 다 취튜버답게 질문이 날카롭네요
@snowbellk1166
@snowbellk1166 Жыл бұрын
삼성 학벌 안보기로 유명 하지만 뽑힌 친구들 학교랑 관계없이 똑똑해,,, 엊그제 입사동기 모임 다녀왔는데, 우리가 입사한지 34년 되었다는데 동기중 현역으로 지역총괄 사장도 있고 작년에 퇴임한 부사장도 있고 임원하다 자회사 간 임원, 안맞는다고 일찍 그만두고 지금 교장 선생하던 친구도 있고 꽉꽉 눌러 정년퇴직한친구 계열분리 되기전 전자 안맞는다고 유통사 가서 점장하다 건물관리자로 소방관리사 시험 3번째 도전 하는 친구 진작에 나와 무선 협력사 사장, 해외 지사장 하다. 지금는 코트라 계약직으로 있는친구, 중간에 퇴사 타사에서 임원달고 지금은 모 중견그룹 부회장 하는친구,,, 천태 만상이고 이제 60이 넘어 다시보니 당시 애를 나도 병원 가서 지켜볼수 있는 환경도 아니고 맨날 밤세고 일류 되겠다고 쓰러지고 병원가고 난리도 아니었지만 지나고 보니 그만큼 치열 하게 살았기에 지금은 다들 잘살아 왔구나 생각이 드네~~ 친구녀석 부사장 했던 사업부도 나오고 내가 다녔던 사업부도 나오네~~~ 젊은 패기가 부럽네,,,, ㅎㅎㅎ
@ahsvsockco1462
@ahsvsockco1462 Жыл бұрын
학교 분위기가 달라서그럼.. 인서울 4년대 공대생 40~50군대 자소서쓰는거 당연한데 지방4년제는 공기업 준비할 확률이높음 사기업 쓰는비중이 적다는말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를 나와도 50살 전후에 퇴직압박 팍팍 들어 옵니다. 20년 후 팍팍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죠. ㅠㅠ 이공계라면 빚을 내서라도 미국대학 가야죠....그리고 현지 취직. 이공계는 쉬움. 연봉등 모든 부분에서 우위에 있고 퇴직부담 그런거도 없고... =후회없는 삶=.
@비머30
@비머30 Жыл бұрын
그나이에 퇴직하면 중소중견 임원으로 많이가요
@LeonSKennedy-hi5df
@LeonSKennedy-hi5df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잘리기 더 쉬운디.. 연봉은 많이 주겠지만..
@chickchokmania
@chickchokmania Жыл бұрын
서울대 나오시고 50대 이신가요?
@Dlslslaql1284
@Dlslslaql1284 Жыл бұрын
​@@beee1394 거 영상보니 미래 노비는 본인일거같은데ㅋㅋ
@Kmkim-g2n
@Kmkim-g2n Жыл бұрын
@@Dlslslaql1284 쟤 보니까 연무기계공업고나온 공고딱인데 걍 좆소에서 노가다하다 때려치고 엄마한테 코인한다하고 자본주의 운운하면서 난리피는애니까 우리가 그냥 관심안주는게 맞는거같음
@user-tw2pq4nt9u
@user-tw2pq4nt9u 5 ай бұрын
학벌이야 좋을수록 좋은거지 다만 직무관련성 인적성 실무경험이 있으면 어디가나 에이급 인재인거고 학벌이 덜해도 능력있으면 어디라도 좋은데 갈수 있는 시대인거고 그래봐야 월급쟁이 따리이니 의사가 짱이란 인식이 박히는건 어쩔수 없네
@JinWonLee
@JinWonLee Жыл бұрын
수원에 다양한 사업부가 있는데 생활가전 분들이 엄청 많이 인터뷰하셨네요 ㅎㅎ
@bom_noeul
@bom_noeul Жыл бұрын
촬영지인 중앙문쪽에 생활가전동이 있어서 ㅋㅋ
@dobbyisfree104
@dobbyisfree104 Жыл бұрын
중앙문이라 그런듯 ㅎㅎ
Кровавый лидер #сталин #китай #мао
00:55
Послезавтра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Cape Coral, Florida Fire Department rescues alligator stuck in storm drain
00:30
ПОДРИФТИЛ С БАБУЛЕЙ #shorts
00:22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упс #aminkavitaminka #aminokka
00:12
Аминка Витаминка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공대, 취업깡패의 현실은?
32:16
육식캠퍼스
Рет қаралды 148 М.
大小姐移民加拿大:别播,给老百姓留点幻想!
32:47
56BelowTV 零下56
Рет қаралды 865 М.
'혹시 집에 금 있어요?' 묻는 사람들이 많아진 이유
18:20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Рет қаралды 588 М.
Кровавый лидер #сталин #китай #мао
00:55
Послезавтра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