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댓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으나..^^ 안녕하세요.저는 고1 남자아이 엄마예요. 아이가 문해력이 부족해 전반적인 학업이 어렵습니다. 국어학원 시간대가 맞지않아서 제가 국어내신 도와주고 있어요. 이번 고1내신 중간고사범위가 딱 이거였는데 막막했던 저와 제 아들에게 빛처럼 임하셨습니다❤ 감사해요. 저는 학부때 영어전공해서 현직영어강사구요, 석사는 한국어교육했었던 터라 ㅋㅋ부끄럽지만 간만의 국어공부 넘 잼났습니다. 전공공부할때 음운론 젤 좋아했었는데 그래서 더 흥미롭게 봤습니다. 고등내신 출제와 수능출제 범위에 대해서 알려주신 부분도 감사해요. 과목은 다르지만 제가 강의하는 방식에도 적용하고 배울 부분이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1시간 후딱 갈 정도로 유익하고 재밌었어요.
@qkralstjr3 ай бұрын
아이고 한참 부족한 수업을...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ㅠㅠ 댓글만 달아주셔도 감사한데 아이고 ㅠㅠ 감사합니다 더 많은 친구들에게 제대로 도움될 수 있게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영상 찍어서 업로드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XIZXI3 жыл бұрын
와.. 2학기 중세국어 예습하는 고1입니다. 중세문법이랑 세종어제훈민정음 계속 봐도 어려워서 여러 강의영상 찾아보며 지식만 혼재된 상태였는데 이 영상보고 딱 정리되면서 소름이.. 거기다 공유해주신 pdf파일 퀄리티 진짜 대박입니다. 이렇게 무료로 좋은자료, 강의 영상 보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됐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sangsangyong9 күн бұрын
25:24 여기서 7종성법이면 원래 ㄷ이 사라져야 됩니다 . 그리고 ㅅ이 있어야 되요
@김듀듀-d7f Жыл бұрын
큰아이 고1인 아빠입니다. 저는 중세 국어를 배우지 않았어서 막연하게 궁금했는데... 우연하게 찾아보다 듣게 되었습니다. 쉽고 완벽히 이해가 되도록 깔끔하게 교육해주시니 재미있게 잘 보고 갑니다.
@Dddprr122 жыл бұрын
50:00 홇.배이 다시
@고민지-z1h3 ай бұрын
인강 사이트에도 분석하는 영상이 없어서 곤란했는데 영상에 자료까지 감사합니다 구독 박아요
@아그맷3 жыл бұрын
진짜 메가스터디 인강보다 더 도움이 많이 되네요..이런게 공짜라니…ㄷ. 감사합니다 ㅠㅜㅠㅜ
@성이름-c9m3p21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국어학원도 안다니고 학교선생님 수업도 잘 이해가 안되었는데 이 영상으로 쉽게 이해할수 있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tomatomato-to Жыл бұрын
수업듣고도 이해 안가서 학교수업때는 필기만 따라적고 도움이 될만한 영상이 있을까하고 찾아보다가 보게되었는데요 진짜 도움되고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ㅠㅠ
@h0ran92 жыл бұрын
아진짜너무소름돋아요어떻게이렇게지식을쉽고정확하게전달하시지?............
@h0ran92 жыл бұрын
진짜 최고예요 진짜 수업을 듣는 느낌
@h0ran92 жыл бұрын
진짜 감동 받음
@h0ran92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습니다선생님................너무.......즐거워요
@ces84682 жыл бұрын
고1인데 1학기에 음운변동 진짜 유익하게 봤던 기억이 있는데 이번 2학기 중간에서도 또 유익하게 시청하네요 감사합니다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박동열-l9nАй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쌤. 영상보고 바로 이해했어요.
@ellyl7591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이보다 더 자세할 순 없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
@Amudaki3 ай бұрын
와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력 최고입니다 이걸 무료로 볼 수 있다니 ... 학교에서 초집중 해도 하나도 모르겠던데 완전 이해했어요 ❤
@oliviasday10862 ай бұрын
쌤..진짜 감사합니다..ㅜ 쌤 덕분에 포기 안합니다..!진짜 사랑해요🫶
@i_am_midzy3 ай бұрын
우와 진짜 제가 살면서 만나 본 국어 선생님 중에 젤 최고세요ㅠㅜㅠㅜㅜ 중세문법 학교에서 수업 듣고 하나도 이해 안 돼서 걱정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정말로요
@무돡5 ай бұрын
대박…………최고의 스승님
@꽃.보다춘자16 күн бұрын
진짜대박입니다. 학교수업들어도이해안됏는데 다 이해돼요이런분들이 선생님해야하는데말이죠
@김민정-j2g8c13 күн бұрын
구독 바로햇읍니다..
@seaovon2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세요 진짜.. 이런 명강의를 무료로 볼 수 있다니.. 너무 큰 도움이 됐어요 감사드려요 ㅜㅜ 🥹🤍🤍
@user-ns2vg3uw9s Жыл бұрын
이거보고 국어공부 너무 잘했습니다 감사해요
@larkspur62002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서 한국학교를 다니고 있어서 학원이나 주변에서 도움 받기가 힘든데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국어 제일 잘 가르쳐 주셔서 전부터 보고 있는 학생인데요.. 15:50 정도에 '아래아 + ㅣ' 글자가 양성 모음이라고 하셨지만 저의 학교 선생님께서는 음성 모음으로 완전히 반대로 가르쳐 주셨습니다..ㅜㅜ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아이구 선생님께 확인이 필요하겠네요
@maedaryo3 жыл бұрын
내신공부에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헤헤-f9l26 күн бұрын
개쩔어요 ㄷㄷ
@쿄-m5q2 жыл бұрын
진짜 최고예요 ㅠㅠ
@아현-e6w Жыл бұрын
선생님!! 06:27 학교에서 ‘엉’의 초성을 옛이응으로 가르쳐 주시고 초성에 나타난 동국정운식 표기 방식이라고 수업해주셨는데 다뤄주지않으셔서 여쭤봐요
@jsa83802 ай бұрын
정말 최고ㅜㅜ
@illllill-hy7cj Жыл бұрын
진짜 자료, 강의 완벽합니다 이런걸 무료로 해주신다는게 정말 대단합니다
@vvinn.8Ай бұрын
찐 이거 듣고 1학기때 40점이엿던 제가 80점을 받앗네요…..진짜 감사해요 ㅜㅜㅜㅜㅜ
@나햄스터에요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시애틀-g1n3 ай бұрын
선생님~ 항상 좋은 강의를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 바쁘실텐데 죄송하지만 질문 좀 드릴게요😅 모음 초출자 아래아 + ㅣ랑 .ㅣ (기본자에 ㅣ가 붙은 경우-중등창비 2-2 3단원)랑 어떻게 다른가요??
@qkralstjr3 ай бұрын
초출자에서 아래아와 'ㅣ'가 만났다는 것은 글자로서의 설명입니다. 눈으로 보이는 기호에 대한 이야기이죠! 이 표기는 매우 불편했기 때문에 바로 아래 아가 얼마 지나지 않아 '획'으로 바뀌어 오늘날의 'ㅓ'와 같은 모습이 되었습니다. 말씀하신 아래아에 ㅣ가 추가로 '발음적으로' 붙은 경우는 '이중 모음'이 되어 '아래 아' 이후에 'ㅣ' 발음한다고 생각해주시면 되는 소리가 됩니다. 문제에 나오면 어떻게 구별하냐를 궁금하실 수 있을 것 같은데 '제자 원리'에 대해 묻는 문제가 아니면 아래 아와 'ㅣ'가 합쳐진 형태는 무조건 이중 모음으로서의 그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애틀-g1n3 ай бұрын
@@qkralstjr 너무 감사합니다~~♡♡
@저예요-w9v Жыл бұрын
23:28 여기 교과서에는 이응이 아니라 옛이응으로 되어있는데 그러면 형식 종성이 아니라 실제 종성인건가요ㅠㅠ?
@Jeky11. Жыл бұрын
21:10 달아
@박성원-n7y8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강의 여러 번 돌려보면서 궁금증 해소하는 데 너무 큰 도움이 되었어요!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댓글 남겨봅니다. 홇배이셔도에서 여린히읗이 절음 부호라고 하셨는데 학교에서는 된소리 부호로 배워서요! 이 부분에서 여린히읗이 절음부호의 역할을 하면서 경음부호의 역할까지 동시에 맡은 건가요? 아니면 절음부호의 역할로 인해 된소리되기 현상이 일어난다고 봐야 할까요? 만약 경음부호라고 하면 절음은 하지 않아야 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 좋을지 궁금합니다ㅜㅜ
@moonsesufus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이해가 잘됬어요🥹 혹시 용비어천가는 이런 영상 따로 없을까요?
@현-n7r15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요즘 kbs 한국어시험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중세국어 파트에서는 대부분 훈민정음이 나옵니다. 가끔 극강의 난이도로 나올 때가 있어 검색하다가 해당 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너무 많은 도움을 받게 되어 감사 인사 올립니다. 추신) 시험 며칠 안 남았는데, 같은 내용이더라도 제목과 썸네일을 조금 바꾸어 다시 올리시면 조회수에 도움되지 않을까 합니다. ^^ 물론 이 채널의 타겟은 수능 준비하는 사람들 같긴 하오나.. 괜히 첨언해봅니다. 추운 겨울 건강히 잘 보내셔요.
@현예강2 жыл бұрын
와이해가너무 쌉쌉쌉잘돼요 감사합니다'
@박현정-r4i2l3 жыл бұрын
꼼꼼한 설명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어요! 1. 워ᇙ 왼쪽에 점이 하나가 있다면 거성이면서 입성인가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시험지에 보면 이걸 거성이라고 설명한 답이 틀린 답이라고 되어 있던데 왜 그럴까요? 그리고 ᄡᅮ메: 여기서 '에'가 처소 부사격 조사라고 자료에 나와 있는데요. 왜 처소인지 모르겠어요.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여린 히읗인 게 맞으면 거성이면서 입성이죠 그냥 부사격 조사로만 아셔도 괜찮습니다
@chiliilil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혹시 용비어천가 강의는 없을까요?😢😢
@최은경-d3t Жыл бұрын
챕터마다 딱떨어지는 강의 해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 궁금이 하나 있습니다. '원이 아버지께' 라는 편지 서두 중 자내 샹해 날ᄃᆞ려 닐오ᄃᆡ 둘히 머리 셰도록 (자네 늘 나더러 이르되 둘이 머리 세도록)이 있습니다. 그중 날ᄃᆞ려 를 1:1하자면 -> 나더러 인데 'ㄹ'은 문법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이민준-v8z2 жыл бұрын
'듕귁에'에서 듕귀게로 끊어적기가 안된 이유가 있을까요? 앞에이 한자어라서 그런가요?
@sleepy_infp_0302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송지안-t4g4 жыл бұрын
와.감사합니다. 수능대비도 강의도 너무 좋은데. 내신까지 해 주셔서요. 수능때까지 선생님강의 열심히 듣고 좋은결과로 보답하겠습니다. 저는 고1인데 당장 기말고사가 걱정입니다. 지난번 중간을 못 쳐서요. 문학파트였는데 제가 낯선시를 너무 어려워하네요.ㅠㅠ 이번 시험도 문학 시가 또 들어갑니다.ㅠㅠ 그리고 중세국어 훈민정음서문.용비어천가 1.2.125장. 용비어천가. 1,2,125장도 해설해 주시면 안 될까요? 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과 1.2.125장은 내신문제도 구하기쉽지않은것 같네요.ㅠㅠㅠ 좋은 강의와 자료 진짜 저처럼 혼자 공부하는 학생들한테는 은인이세요.감사합니다.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네 준비해서 진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지안-t4g4 жыл бұрын
@@qkralstjr 선생님 강의 따로 알람 설정해서 듣고있어요.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송지안-t4g 감사해요 열심히 공부해서 올리께요😊
@영찬장-w9s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학교에서 홇배가 피수식어가 수식어의 의미상 목적어여서 들어간 특수 선어말어미 라는데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qkralstjr29 күн бұрын
쫌 어려운데 쉽게 생각하려구 노력하시면 좋아요 선어말어미 -오-가 있다. 1. 종결형 혹은 연결형에 쓰이는 경우 : 그 문장의 주어가 1인칭임을 표시 예> 내 이를 위하여 스물여덟자를 '맹가노니' 2. 관형사형에 쓰인 경우 : 꾸밈 받는 말이 원래 문장에서 목적어 or 부사어였음을 나타냄. 예>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원래 문장 -하는 바를 이르다 : 그래서 목적어 추가 예시 > 그림 그린 사람 (사람은 주어라서 -오- 추가 안 됨) 그림 그룐 벽 (벽은 부사어라서 추가됨) 아이 나흔 겨집 (겨집은 주어라서 추가 안 됨) 겨집 나혼 아이 (아이는 목적어라서 오 추가 됨) 사람이 그림을 그리다 그림을 벽에 그리다 겨집이 아기를 낳다. (겨집 : 주어, 아기: 목적어) 질문 주신 경우는 목적어라서! 그렇게 쓰인 거예요 쉽게는 1. 관형사형이 아닐 때 : 주어가 1인칭임을 표시 2. 관형사형일 때 : 꾸밈 받는 말이 원래 목적어나 부사어였음을 표시 예요
@영찬장-w9s21 күн бұрын
@@qkralstjr감사합니다!😊
@요나-t1o2 жыл бұрын
혹시 모음 조화,비교부사격조사와 공동 부사격 조사의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아 그리고 선생님 영상 다 너무 도움되요 ㅠㅠ 특히 이 영상도 도움 진짜 많이 되었고 소설 읽는 법 진짜 도움 많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ㅜㅜ
@송지안-t4g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내일 시험이라 급해서 질문여기다 드려요. 용비어천가2장에 내히 이러 ㅂㆍㄹㆍ래 가나니에서 '이러'가 이어적기인가요? 훈민정음은 강의 듣고 궁금한 부분도 해결되었어요.감사합니다.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일다(생겨나다의 뜻)'라는 말에 연결 어미 '어'가 붙어 '이러'로 표기한 것이어서 이어적기라고 볼 수 있겠으나 훈민정음 부분에서 쌍이응이 포함된 '해여'를 '하여금'으로 대충 해석하는 것처럼 '이루어져'라고 대충 분석되어 있을 거라서 그 부분을 묻는다면 이어적기라고 보고 판단해야겠지만, 물어볼 가능성이 낮은 부분은 맞지 않을까! 요렇게 생각을 합니다!
@언어그외모든것Ай бұрын
질문드립니다. 말씀이. 달아. 달아. 에서는 ㅇ 발음이 있어 이어적기가 안 된다고 하셨는데, 말쓰미는 왜 '이'가 연음되나요? 이 설명을 빠뜨린 거 같습니다.
@Water_Ranker22 күн бұрын
솅에서 ㅇ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인건 이해하겠는데 셰에서 왜 세로 발음이 되는건가요?
@Skderei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 1.현실적 한자음과 이상적 한자음이 서로 많이 달랐나요? 2. 그럼 이상적 한자음은 중국 원음이므로 중국 사람들이 낸 발음이라는 건가요? 3. 그 정확한 발음을 '한글'이라는 글자를 창조해서 각 한자에 표기해둔 것일까요..? 4. 그럼 중국인들이 세종어제 훈민정음을 읽을 때 우리가 읽는 것이랑 비슷하게 들리는건가요..?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영어 발음을 지금의 한글로 표기해서 안내한다고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될 거 같아요 이상적 영어음을 아무리 우리가 써도 실제 발음과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겠죠!? '이상'은 세종 대왕님이 생각하는 이상이었다. 이렇게 보는 게 적절할 거예요
@유준영-b9dАй бұрын
세종어제훈민정음 마지막에 ㅅㄷ되어잇는 부분은 왜 어두자음군인가여? ㅅ계인데
@gimoti30 Жыл бұрын
30:31
@지은-z3c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희 학교 선생님께서 하니라~에서 하다를 의미이동이라고 가르치셨는데 잘못된거죠? 자습서, 국어학자분들 등 그 어디에도 의미이동이라고 되어있지 않아서요. 수행평가가 ‘하다’를 통해 알 수 있는 중세국어의 특징을 쓰는거였는데 정답이 뭘까요ㅜㅠㅜ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오늘날의 '하다'와 의미가 다른 건 맞지만 의미의 이동은 아니라고 봐야겠죠!? 특징을 한마디로 쓸 건 딱히 없지만 '하다(아래아)'가 오늘날의 하다 의미였고 '하다'는 '많다'의 의미였다 이 정도겠네요
@지은-z3c3 жыл бұрын
@@qkralstjr 오앙 감사합니다 :)
@kim-me3vi2 жыл бұрын
질문입니다. 한자음 옆에 적힌 한글은 모두 동국정운식 한자음이라고 하셨는데 왜 참고서에는 솅, 엉, 졩만 동국정운식 한자음이라고 적혀 있을까요? 그리고 다른 동영상을 봐도 그렇게 말씀하시는 사람들이 꽤 있던데...
@qkralstjr2 жыл бұрын
동국정운식 한자음의 특징이 더 잘 드러난 예시라 그렇게 써 있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동국정운은 책 이름이었고 그것에 따라 모든 한자음의 표기가 이루어졌습니다. 말씀하신 예시는 형식 종성의 표기가 이루어진 예시라고 보시면 됩니다.
@양진중3김하린 Жыл бұрын
‘나랏’에서 ㅎ종성체언이 사용되지 않았나요??
@메롱-j7p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어린백성이 할때 셩이 동국정음식 한자음이 적용된건가요?
@3108서강2 жыл бұрын
혹시 사맛디 아니할쌔에서 사맛디는 현재 쓰이지 않으므로 의미 소실로 볼 수 있나요?
@짱짜짱2 ай бұрын
달아 가 끊어적기가 아니라고 하셨는데 학교에서는 이어적기가 아니라고 배웠어요. 둘이 똑같은 말인가요?ㅜ
@박서진-v8h Жыл бұрын
니겨(익혀):현대국어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이 되고 중세땐 안되서 두음법칙이 적용이 안된다는것 같은데 그럼 현대국어 어디 부분에서 두음법칙이 적용 된다는건가요?
@songyeonhoIloveu Жыл бұрын
48:05
@러시아순댓국-z8r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9평 14번 있잖아요 4번 선지에서 장미였다-> 장미+이+었+다. 이다(서술격 조사)+었(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라서 조사와 직접 결합하기 때문에 틀린건가요? 아니면 조사랑도 직접 결합하지 않은건가요?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명사(혹은 체언)은 조사와 결합하는 게 일반적이구요 용언의 어간은 어미와 결합하는 게 일반적인데 여기에서는 1차적으로 명사와 어미가 결합한다고 했으니까 대놓고 틀린 선택지예요 '장미'라는 명사가 왔고 뒤에는 조사가 결합했는데, 이 조사가 좀 특이한 종류의 것이죠. 서술격 조사인 '이다'가 붙었는데, 이것은 조사 중에 유일하게 활용을 하는 녀석입니다. 그래서 '이-'라는 어간이 있고 '-다'로 제시되었지만 그 자리에 여러 종류의 것들이 붙을 수 있는 어미 자리로 이루어진 조사인 것이죠. 질문주신 내용처럼 분석하면 일부 맞고 '장미'라는 명사에 1. 조사가 결합해 서술어의 자격을 부여받았습니다. 2. 조사 중의 어떤 부분과 직접 결합을 했는가를 보면 그건 ''어간'부분이겠죠. 그래서 '어미'와 결합했다는 내용은 여러모로 적절하지 않은 내용이 됩니다! 좀 더 제대로 분석한다면 장미(명사) + 이(서술격 조사의 어간) + 었(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 다(평서형 종결 어미)가 되겠습니다. 그럼 '이다'라는 형태를 말할 게 아니라 '이-'만 조사로 쳐야 되는 거 아닌가 싶은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그렇습니다. 가령 '먹다'라는 동사를 말할 때도 우리는 기본형을 기준으로 얘기하지만 사실 기본형이 그대로 실현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기본형이 출발점이 되어 다른 형태로 막 변하는 그런 활용이 나타나는 것도 아닙니다. 사실 '먹-'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죠 그냥 말하기 편하게 '이다'라는 형태를 얘기하는 것이고 사실은 '이-'(어간은 고정되어 있고 다양한 어미가 결합할 수 있는 상태)라고 말해야 서술격 조사의 정확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러시아순댓국-z8r4 жыл бұрын
@@qkralstjr 아 선생님 근데 서술격 조사가 어간이 있을수도 있나요??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러시아순댓국-z8r 네 서술격 조사만 그래요 특이하게 활용을 하는 조사라고들 하잖아요 활용의 정의는 막 변하는 것이 아니고 어간+어미 의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활용이라고 부릅니다 즉 무조건 어간 부분과 어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는 거죠
@러시아순댓국-z8r4 жыл бұрын
@@qkralstjr 그러면 이다 가 활용해서 입니다로 활용되잖아요 그러면 입니(어간)이고 다(어미)에요?
@qkralstjr4 жыл бұрын
@@러시아순댓국-z8r 이가 어간이니까 이는 안 바뀌게 지켜주시면.. 쫌 쉬워질 거 같은데요! 이 + ㅂ니다 어간+어미 요러케요
@hyxnn.i3 жыл бұрын
내일 당장이 시험이라 귀에 쏙쏙 박히는 강의를 찾아야 해서 평소에 즐겨 듣던 선생님 강의 재생목록에 제발 세종어제훈민정음이 있기를 기도하면서 들어가봤는데 웬걸 한 시간으로 완벽하게 끝내는 강의가 있더라고요!! 선생님 수업은 항상 이해가 잘 됐었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하고 자료도 뽑아서 같이 공부했는데 이제는 백지에다 대고 설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게 이해했어요 ㅠㅠㅠ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qkralstjr3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수업이지만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냠-n9p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홇배이셔도’ 애서 여린히읗은 뒤에 ‘바+ㅣ’를 ‘빠’로 발음해주는 된소리 부호 즉, 경음 부호로 알고 있는데 왜 절음부호인가요?? 이해가 잘 안됐어요ㅜㅜ
@냠-n9p2 жыл бұрын
된소리 부호가 절음부호인가요?
@qkralstjr2 жыл бұрын
절음부호라서 결과적으로 뒷소리를 된소리로 바꾸기도 하는 겁니다! 울림소리를 안울림소리처럼 바꿔주니까요
@tv-lg1km2 ай бұрын
따름이니라에서 ㅅ계 합용병서에서 ㅅ과ㄷ 둘다 발음되나요? 그리고 ㅅ계 합용병서도 어두자음군인가요?
@콩순이-c8b2 ай бұрын
일단 대신 답변 죄송합니다 아시다시피 과거엔 ㅂ계 합용병서와 ㅅ계 합용병서가 존재했었습니다 영상에서 설명했듯 ㅂ계 합용병서는 어두자음군으로 분류하며, 두 자음의 소리를 모두 발음합니다 반면 학교에서 가르치는것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ㅅ계 합용병서는 어두자음군이 아닌 된소리 표기로 분류하며, 현재의 ㄲ, ㄸ 등의 된소리를 과거에는 ㅅ계 합용병서를 사용해 ㅅㄱ, ㅅㄷ라고 표기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발음은 ㅂ계 합용병서와 달리 ㅅ의 소리를 내지 않고 ㅅ 뒤에 오는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kelly-mw6mn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도 내일 시험이라서요 그 스믈여듧자에 해당하는 자음 모음 좀 다 알려주실래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