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does Korea rebuild buildings without preserving them like the West?

  Рет қаралды 1,135,227

셜록현준

셜록현준

2 жыл бұрын

#rebuild #rebuilding #seoul #wooden #structure
Why does Korea rebuild buildings without preserving them like the West?

Пікірлер: 1 300
@beaumoon8581
@beaumoon8581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고층 목조 건물들은 원주민들이 사용하던 몇백년된 거대한 고목들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통 engineered wood라고 고강도 목재들로 지은 건축물들입니다. 공장에서 나무 톱밥이나 작은 나무 들을 적당한 사이즈로 부숴서 글루와 열처리등으로 원하는 사이즈 모양을 만든 재료들입니다. 사실 비씨주 수백년된 나무들은 거의 다 잘라서 없고 지금은 거의 처음 벌목하고 심은 100년 이내된 나무들을 벌목하고 있습니다. 다주택 건물같은 경우 전에 6충정도가 최고 허용치였으나 상업용으로 짓는 경우 BC주에서 현재 12층까지 허용하고 있습니다. 건물들은 물론 방화, 방음, 방수되는 재료들을 적절히 섞어서 빌딩코드에 맞게 사용합니다. 목조 건물이라고 100% 나무로 짓지 않고 60-70 정도가 나무이고 나머지는 석고 보드, foam board, 철판, 돌, 콘크리트 여러가지 사용합니다.
@user-bd4rd5so9h
@user-bd4rd5so9h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새로운 목구조는 몇년 정도를 버티는 건가요?
@user-oe8uy3kx7m
@user-oe8uy3kx7m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뭘 말하고 싶은거요? 한국은 어떻게 해야 된다고?...
@American-drone
@American-drone 2 жыл бұрын
그런 엔지니어드 우드는 흰개미 피해는 없나요
@mkimber9210
@mkimber9210 2 жыл бұрын
@李昶 비뚤어지셨네요. 교수님 말씀 듣고 자기가 사는 곳은 이러하다는 정보를 추가해서 더 다양한 사례나 방법 등에 대해 알 수 있으니 댓글일지라도 좋은 토론이 될 수 있는 느낌으로 받아들여도 될 것을 요즘 세상에 캐나다 사는 게 무슨 큰 자랑도 아니고 그렇게 꼬아들으실 필요까지 있을까요.
@why6207
@why6207 2 жыл бұрын
@李昶 이 글의 포인트를 요약하자면 목조 건물의 장점으로 교수님이 언급하셨던 목조 건물의 친환경성에 대한 현실적 비판이라고 보여집니다. 교수님이 목조 건물을 친환경적인 차세대 건축물로 해석하신 이유는 나무의 탄소흡수저장량의 미분 계수는 시간이 지나고 나무가 성체가 될수록 0에 수렴하고 결국은 탄소흡수율의 미분계수가 0에 가까워진 나무는 그대로 두는 것 보다 썩지 않도록 건자재로써 이용하고 새로운 나무를 심어서 키우는게 탄소중립성의 면에서 더 효율이 좋다는 이유였는데, Moon 님이 말씀하신 대로 현실적으로 그러한 성체 나무들은 이미 다 쓰여져 공급량이 부족하고 수요를 뒷받침 하기 위해 아직 탄소흡수저량 미분계수가 유의미하게 잔존하는 탄소중립적으로 active 한 나무를 베어 쓰게되는게 현실이라는 점이며, 목조 건물도 100퍼센트 나무 원목만을 건자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40퍼센트 정도 기존 건자재들 (철근 콘크리트, 석고 보드, foam board 등) 을 혼용하며 원목 가공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탄소 중립 효과가 설명하신 것 보다 적을 수 있다는 취지의 말씀이 아닌가 싶네요
@TUMI7777
@TUMI7777 2 жыл бұрын
5:17 정말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럽 선진국 말하면서, 전면 철거 방식의 재개발은 파괴적이라고 말하는데 그러면 그 재개발 지역을 그대로 보전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요. 재미있는 것은 그 지역 주민들은 개발을 원하고, 그 지역에서 안 사는 사람들이 보전을 말하는 아이러니...
@user-zz4vt7li5h
@user-zz4vt7li5h 2 жыл бұрын
형이 여기서...
@rayhong6020
@rayhong6020 2 жыл бұрын
박원순이 서울을 10년간 얼마나 퇴보시켰는지 알 수 있네....
@chonulgwiin5051
@chonulgwiin5051 2 жыл бұрын
저기... 보전이라는 것이 잘못하면 도시의 슬럼화를 가속화 시킬수도 ...!
@user-eu1yo6fk9c
@user-eu1yo6fk9c 2 жыл бұрын
전면 철거 방식을 문제로 삼았던 이유는 건축의 품질 문제 보다는 그 과정에서 홀대 당한 세입자 처우 문제와 관련 깊지요. 말씀하신 개발을 원하는 주민은 토지와 건물 소유주인 듯 합니다. 옮겨갈 곳이 막막한 상가나 주거 공간의 세입자는 보존을 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떤 집단의 말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오세훈과 박원순의 정치적 판단이 갈렸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갈등이 생겼던 것 같습니다.
@bourbon8
@bourbon8 2 жыл бұрын
@@rayhong6020 재개발이 능사는 아니죠.. 과거를 잊지않고 상생하려는 시민공동체가 중요합니다. 요즘따라 광기스러운 재건축 뉴스를 보면 박시장님의 판단이 틀리지 않았다는걸 보여주는것같습니다.
@SkimOnWest
@SkimOnWest 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살면서 100년된 목구조 하우스들이 어떻게 이렇게 멀쩡하고 여전히 비싸게 팔리는지 궁금했는데 목구조가 유지보수가 훨씬 유리하군요!
@user-jg9ur1os2c
@user-jg9ur1os2c 2 жыл бұрын
앗 션킴님이다!!
@d.d5510
@d.d5510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뵈니 반갑네요! :D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100년된 상류층 목조건축물... 서민목구조는 진작에 재건축임. ㅋㅋ.
@November441
@November441 2 жыл бұрын
@@KrMorgan12 저 동부에 사는집은 70년된 서민 주택인데요. 여기 60-70년된 일반 주택은 흔합니다. 대부분 여기저기 고쳐가면서 사는거구요.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November441 70년이면, 1950~60년인데? 여이도 아파트도 60년대 후반임. 오래된거 아님.
@SA-pu2od
@SA-pu2od 2 жыл бұрын
과거에 억지로 의미를 부여하지 말고, 현재를 역사로 만들라는 부분에서 박수가 절로 나옴!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그러기엔 전후 달동네 재건축하면서 전국에 콩크리트 아파트를 너무 많이 지었죠....... 이미 수백만개 지어졌을텐데... 어느 세월에 저런 도시를 구상하나...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2 жыл бұрын
유럽넘들은 중세때 건물을 계속쓴다 과거에 너무집착을함
@modernandantique2861
@modernandantique2861 Жыл бұрын
@@user-hc8mt4tu8u 걔네는 그 시절이 찬란했으니까 그런 거고 우리는 저 시절이 제일 못살던 때니까 보존 가치가 없다는 거고
@mindoohong_Fan
@mindoohong_Fan Жыл бұрын
@@user-hc8mt4tu8u 영상안봄?
@efukillar-l3s
@efukillar-l3s 2 жыл бұрын
상대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유럽은 100년 전이 전성기였고, 우리나라는 이제 전성기인 셈인데, 유럽의 100년 전 건물과 우리의 100년 전 건물이 어떻게 같은 퀄리티겠어요. 우리는 이제 100년 넘게 가는 건물을 만들어야지.
@user-ln5vu5by7y
@user-ln5vu5by7y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ㅋㅋ
@tankbefor8640
@tankbefor8640 Жыл бұрын
전라도에 아파트 무너지는거랑 요즘 신축 아파트 퀄리티 보면 절대 100년 못감
@user-rv1ss6ey5x
@user-rv1ss6ey5x Жыл бұрын
싸게 건축하는 집만있어요
@mcy2756
@mcy2756 Жыл бұрын
대리석 집과 국내 건축 비교가 되나요 어떻게든 싸게 지으려고하는데 교통도 마찬가지 싸게하니까 아스팔트도 비오면 맨날 파이죠 배합비를 정확히해야하는데
@user-rv1ss6ey5x
@user-rv1ss6ey5x Жыл бұрын
아파트도 빌딩처럼 철골로 기둥을 만들고 1등급단열시스템을 하면 100년이상가요 너무 엉망진창으로 빨리만들어서 맨날하자생긴고 감리가 문제입니다 정부에서도 건축법을 개정해서 지금부터 엉격하게 건축시공에 문제을 진단해야합니다 지금공무원들은 너무 무식해요
@birdyoh11
@birdyoh11 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외국의 도시들을 보면서, '그네들은 옛 건물들도 잘 보존하고 역사와 전통이 그대로 보이는데 우리 나라의 도시들은 왜 전부 갈아 엎기만 하나?' 이런 의문이 항상 있었습니다. 교수님의 설명을 들으면서 아주 쉽게 이해되었네요... 그런면에서 보면 우리 나라 사람들, 우리 부모님 세대의 근면 성실이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우리의 도시들은 앞으로 100년 후, 200년 후 세계에 중요한 롤모델이 될 수 있는 도시로 발전하기를 기대하게 됩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mn8ms9wx8m
@user-mn8ms9wx8m Жыл бұрын
응 나라 멸망하는 중~
@gaedae
@gaedae Жыл бұрын
50년이면 나라 멸망할텐데 뭐 ㅋㅋ
@hterius95
@hterius95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출산율 0.78명 세계 꼴지다 거기에 국가소멸국가 1위가 한국 ㅉㅉ 근데 세계 꼴지2위 이탈리아 출산율은 1.24명이다 진짜 100년후 대한민국 인구는 현재 5200만명에서 100만명으로 줄어 들것이다 ㅉㅉ
@noinstein7041
@noinstein7041 10 ай бұрын
⁠​⁠@@hterius95소멸같은소리하네ㅋㅋㅋㅋ 이민자떼거지로 받을텐데
@hterius95
@hterius95 10 ай бұрын
@@noinstein7041 뉴스 좀 보고오세요 2000년 이후 태어난 10대 초중고등학생 꼬마야 ㅉㅉㅉ
@hayake_2237
@hayake_2237 2 жыл бұрын
지금 뉴트로 유행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60~80년대의 미국과 일본의 문화를 담은 (건축을 포함해서) 물질적인 모든 유산들이 다 그 나라들이 끝장나게 잘 살았던 시절의 물건이라고 생각하면 한국의 보존할 물건, 건축은 이제 시작됬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whiskyguide
@whiskyguide Жыл бұрын
매일 아침 운동하며 전부 정주행중입니다. 너무 잘버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unjung7742
@sunjung7742 10 ай бұрын
1. 바닥 보일러 / 건물의 노후화 빨리 진행 2. 내부수도배관 / 노후화로 인한 교체 힘듬 3. 판상형 구조 / 방음취약 4. 건설비리 / 철근빼먹기 공사 . 물타기 콘크리트 5. 근시안적인 부동산정책 / 높은건물로 인한 교통체증, 일조권부족. 6 전세사기근절안됨 / 사회초년생,노인등. 부동산지식부족 .전세사기범죄 방관 7. 전세대출 / 국민가계대출에 빠짐. 세계유일한 대출- 집값폭등원인 8. 모르쇠 정치인 / 등기소에 등록된 권리증도 인정안되는 한심함. 책임없는 공무원 9. 혈연,학연,지연에 물든 사회..묻지마 투표 10. 사기꾼. 범죄에 대한 전관예우 (없애야하는 병폐]. 11. 사회적 신뢰(자본) 없는 사회....삿대질하는 사회만연
@user-uq4xt5py1s
@user-uq4xt5py1s 2 ай бұрын
일단 울나라의 문제점을 건축적 시각이 아니라 사회적 관점 또는 정치적 관점이 뒤섞여 바라보시는 것 같습니다. 외국도 마찬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합니다. 외국의 건축학적인 의미가 있는 건축물들을 동급의 우리나라 건축물과 비교를 하면 우리나라도 뒤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많은 전쟁 중 특별히 625란 것의 패허로부터 일어선 나라이기에 그 후유증도 일부 존재하는 것이고요.
@jykssu51
@jykssu51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면적의 70%가 산이라지만 목재 자급률은 아직도 20%이하입니다. 녹화, 사방을 목적으로 식재했기 때문에 크고 균일한 목재가 별로 없어요. 건축에 쓸만한 목재는 더 적겠죠.. 그래서 지금 산림청에서 예정보다 10년 일찍 벌채를 실시하고 재조림하려 하는데 환경단체의 반발때문에 이 또한 쉽지않은 상황입니다. 목재건축이 주류가 되려면 어느정도 가격이 내려가야 할텐데 시간이 좀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HissingGeotrauma
@HissingGeotrauma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소나무 위주라고 알고 있어요.
@oxo6282
@oxo6282 2 жыл бұрын
꽂가루 날리는거보단 나은듯...
@kyneky3940
@kyneky3940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은데 목재는 왜 수입해올수밖에 없는지도 궁금하네요
@oxo6282
@oxo6282 2 жыл бұрын
@@kyneky3940 조경용으로밖에 보질 않아서 그런것 같아요 실제로 산에 가보면 소나무 뿐이기도 하구요 다른나라 가면 두꺼운 나무가 거의대부분인데 한국은 죄다 얇은나무만 심어져있죠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2 жыл бұрын
@@kyneky3940 구한말까지만 해도 주거지 인근의 산은 대부분이 민둥산이었습니다. 건축자재로서 수령 100년 이상의 나무를 찾기가 어려웠죠.
@brandlee5089
@brandlee5089 2 жыл бұрын
매번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로 교수님 의견이 궁금해서 댓글 작성합니다. 어제 언론 매체를 통해서 한국도 3D 프린터를 활용한 2층 주택을 제작하였다고 보도되었습니다. 가격도 7천여만원, 친환경적이고 전문가의 설비가 없어도 제작 가능하다고 언급됏는데, 건축가인 교수님의 의견도 궁금합니다. 좋은 부분들은 더 없는지? 혹은 아쉽거나 개선되어야 할 점은 없는지? 등 교수님의 입장에서 자세하게 들어보고 싶습니다. ;)
@duddn03
@duddn03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시골(고흥)에서 주택건축을 하고있습니다. 선생님의 영상을 보면서 논리적이만 감성적인 부분을 놓치지 않고 미래지향적인데? 과거의 데이타를 잘 분석하여 사람들에게 설득할 수 있는 모습들이 너무 부럽고.. 롤모델을 넘어,,.. 그냥 넘사벽이에요. 배우고 닮고 싶지만 너무너무 멀리 높히 계신분 같아 감히 다나갈 수 도 없는 그런 느낌.. 빈말이 아니라 그냥 솔직한 생각입니다. 요즘.. 건축일이 많이 힘들어요. 서로 다들 단가경쟁뿐이라, 새로운 시도는 커녕 똑같은 자재, 똑같은 구조,.. CTRL+C, CTRL+V .. 그래서 저도 "어떻게든 단가를 낮추자!!"만을 연구하는 제모습이 현타가 옵니다.
@wonjinpark8911
@wonjinpark8911 2 жыл бұрын
늘, 좋은 강의 재밌게 유익하게 듣고 배웁니다! 이번 건축의 보존과 관련해서 늘 고민하고 아쉬워하는 점이 있어 교수님의 생각과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한국의 개화시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건축된 근대 건축물의 가치와 보존에 대해, 그리고 소위 적산가옥 또는 뾰족집이라 불리우는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서양식 일본 가옥(?)의 건축학적 가치와 보존의 필요성에 대해서입니다. 한국의 역사 중 아픈 시기에 지어진 건축물이지만 개인적으로 그 가치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과, 지역 개발이라는 상황 속에 점점 사라져가는 안타까움에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user-mr8jb1qr6c
@user-mr8jb1qr6c 2 жыл бұрын
건축전공자는 아니지만 건축의 인문학적인 해석에 매우 감탄하며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yhamlee1997
@yhamlee1997 2 жыл бұрын
작년 이맘 때 JTBC 다큐에서 나무에 관해 다루면서 초고층 목조건물이 가능한 공법과 목조건물의 장점을 소개한걸 본 적이 있습니다. 목조건물에 대한 편견이 사라지고 원래 전통적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양식인 목조에 대해 다시보게 되었죠. 한편으로 물의 순환이 미래 건축에 있어 화두라고 보는데, 이러한 건물에 대해서도 듣고 싶습니다. 물은 은근히 제한적이고 희소한 자원이니까요.
@chonulgwiin5051
@chonulgwiin5051 2 жыл бұрын
그 친숙한 양식인 목조 건물들이 과거 1950년 625 시절 거의다 불타 버렸다는 역사가 있는데 !
@user-ec7hf8fn9n
@user-ec7hf8fn9n Жыл бұрын
@@chonulgwiin5051 그 시절이면 콘크리트도 다 사람 못살정도로 무너지지 않았을까요..?
@osogrande7802
@osogrande7802 Жыл бұрын
전문가라 그렇겠지만 한 분야에 대해 이렇게 깊이 있게 알고 또 그걸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한테까지 흥미 느끼게끔 설명하시는 게 존경스럽습니다
@AvaPilates
@AvaPilates 2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 역사적 프랑스건축과 비교해 풀어주셔서 가려웠던 부분이 해소가 되었네요. 궁금한 부분이 한가지 있는데요~~ 길가로수에 메타세콰이어 나무와 같이 큰 나무들은 미적으로는 수려하지만 뿌리가 너무 깊고 굉장해서 도로 지면을 뚫고 나오고 건물벽면 균열에 영향을 준다고 들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한 교수님의 말씀 듣고 싶습니다^^
@user-yn8ml6qf6k
@user-yn8ml6qf6k 2 жыл бұрын
기업들 사옥에 관한 리뷰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애플이나 아마존 사옥의 구조를 보면서 기업들이 표현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 기업들 사옥이랑 차이점은 무엇인지 등등.. 교수님의 시선으로 풀어주시면 정말 재밌을 거 같아요!!!
@chameleonmask
@chameleonmask 2 жыл бұрын
이미 쓰신 책에 있고 한번 한거 아니에요?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Жыл бұрын
SK 사옥의 풍수지리학
@user-lu5yw1vj3u
@user-lu5yw1vj3u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식견처럼 굳이 따라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파리나 로마 같은 유럽 도시들은 더이상 변혁이 어려우니까요. 누누히 말씀하셨던 고밀화, 물류개혁을 성공한다면 스마트시티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2 жыл бұрын
한국식 재건축은 너무 폐쇄적인거 같아요. 아파트 단지 단지 마다 빙 둘러서 다 막아놓으니까 시내를 걸어다니면 어디 들어갈만한 곳이 없더라구요. 예를 들면 잠실 아파트촌은 몇 블록에 걸쳐서 할 수 있는게 걷는 거 밖에 없음. 이런식의 아파트 재개발만 밀어부치면 안락하고 안전하지만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는 도시가 되어버리지 않을까 합니다. 익선동 같은 복잡복잡하지만 재미있는 공간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재료도 재료지만 도시공간에 대한 합의가 더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의견 제시해봅니다! 어떤 철학으로 도시공간을 만들어나갈것인가 어떤 정체성을 담을 것인가 하는 것들말이죠
@sadanjang
@sadanjang 2 жыл бұрын
건축물 좋아하는 사람인데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여행가서 도시들 둘러보면 참 부럽기도 하고 멋지기도 했는데 앞으로 100년 동안 우리가 그런 건물들로 채우면 다른 도시 사람들도 놀러와서 제가 받은 느낌을 느끼겠네요.
@user-nv5os8tw9v
@user-nv5os8tw9v 2 жыл бұрын
건축이 괜찮지 않다고 느끼는거 자체만으로 제대로 건축을 하고 있구나 생각도 듭니다. 어릴때 꿈처럼 마냥 재밌지 만도, 신비하지도 않지만...사람의 마음을 여는 직업이라 생각 합니다. 오늘도 막차타고 퇴근하면서도 초심 잃지 않게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어려운 사회에서 어렵게 일하지만 좋은 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homes_everything
@homes_everything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건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게 되는것 같아요~~^^
@user-pq2du9uh2p
@user-pq2du9uh2p 2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재건축을 자주하는 이유를 몰랐는데 이번에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이 채널 보면서 건축에 대한 많은 내용을 알 수 있었고 매력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user-lf8zc3lw9w
@user-lf8zc3lw9w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께서는 공간이 사람들의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주시는 거 같은데 이 관점에서 볼 때 정신병원은 어떤 구조로 어떤 곳에 위치해야 환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민감한 질문일 수 있지만 교수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yodapapa
@yodapapa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되시면 건축물과 항상 공존하는 길에 대한 이야기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zg4fm8hy1c
@user-zg4fm8hy1c 2 жыл бұрын
다음주 교수님과 개방장과의 합방.. 기대하고있겠습니다!
@qawsed-fl9hu
@qawsed-fl9hu 2 жыл бұрын
헐 진짜에요..?ㅋㅋㅋ 어디 떴나요..?
@NorthKoreanCeleb
@NorthKoreanCeleb 2 жыл бұрын
침착맨이라고요??
@user-em7nh6ic3x
@user-em7nh6ic3x 2 жыл бұрын
침착맨 카페 공지에 있습니다~
@Akaps3321
@Akaps3321 2 жыл бұрын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어이! 시간 책임져!
@user-lt8xy4qd9j
@user-lt8xy4qd9j 2 жыл бұрын
건축민수 감사하다
@euooheedschi2830
@euooheedschi2830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Hwajio
@Hwajio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교실 보다는 공원에서 편하게 듣는 느낌이라 더 듣기 좋아요! 게다가 우리나라와 유럽의 건축물 차이도 이번 시간에 좀 더 느낌이 확 오네요! (물론 복잡해서 어렵지만 ㅋㅋㅋ) 미래 서울 아파트 재개발은 목구조로 해 볼 수 있다면 풍경이 사뭇 달라질 것도 같네요!
@user-zx3hz2to6g
@user-zx3hz2to6g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찐팬입니다 알쓸신잡때부터~ 어려운내용도 채밌고쉽게 설명해주셔서 즐겨듣게되네요 귀에 쏙쏙들어옵니다 교수님 책도 재밌게 읽고있어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유현준지음
@ellalee5284
@ellalee5284 2 жыл бұрын
유럽살아요~ 여기서 이사만 8번정도 했는데 집 구할때마다 놀라는게 건축년도 18xx이런 건물도 종종 보인다는것 ㅎㅎㅎ 내부 리모델링 기술도 좋고 일단 그런 건물은 기념비법에 걸려있어서 함부로 재건축도 못해요. 문제는 그런집은 진짜 무지춥다는것…. 재건축비용도 어마어마하구요. 솔직히 밖에서보기에나 멋있지 들어가서 살아보면 신축이 그냥 짱입니다. 집값 고가를 견인하는것도 다 신축이예요(바닥보일러깔린집 점점 대세가되는중)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2 жыл бұрын
에어컨이없어서 쩌죽는다 여름에는 유럽건물보면 실외기가 없다
@elise8239
@elise8239 Жыл бұрын
여긴 독일인데, 여름이 한국과 달라서 습하지 않고 그리 안더워요. 에어컨 필요없음. 선풍기도 여름 내내 며칠 안쓰는데요.
@GeorgeCANADDY
@GeorgeCANADDY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교수님 항상 건강하십시오. ^-^
@user-ji7gc2nt4v
@user-ji7gc2nt4v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선생님 강의를 듣게되어 감사합니다,
@Jamsil_Yubunam
@Jamsil_Yubunam 2 жыл бұрын
건축에 관해 더 관심을 갖게되고, 너무 재미있습니다.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일본도 막번체제(幕藩体制)라는 일본식 봉건제 덕분에 지방도시들이 죠카마치(城下町) (성 밑 마을) 에서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죠. 일본이 한국에 비해 지방자치가 잘 되어 있고, 지방자치 의식이 높은 것도 이러한 수백년 간의 봉건제 시스템에 기인한 것이죠.
@_songofmongsim7796
@_songofmongsim7796 2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각도 시야를 열어주시니 감사하네요 ᆢ목구조 건물에 맘이 확 끌리고 그 힐링감이 이미 들어오네요 꾸벅ᆢ오늘도 좋은날 하세요 ❤
@peterkim1741
@peterkim1741 2 жыл бұрын
역사와 기후에 대한 설명이 곁들여져 건축이 이해 됩니다.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LHKtube
@LHKtube 2 жыл бұрын
세종시 계획이 왜 실패한 건축계획인지 교수님의 의견을 또 따로 듣고싶네요. 그리고 목구조에 대한 내용중에 못질을 하는것과 맞춤으로 짜는것중에 하나를 고르자면 어떤걸 선택하시겠나요? 아니면 둘 다 적절하게 잘 써야 하는걸까요? 구조체로 쓰이지 않고 가벽이나 벽체고정에 쓰기 위해 각목에 카타를 치는것과 같은것을 제외하고 목구조의 특성상 못질을 잘못하면 틈이 벌어지거나 손상이 갈거라 생각하여 저는 웬만하면 못질은 최대한 안하는게 좋지 않겠냐고 생각하거든요.
@Sol-Chan23
@Sol-Chan23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과 설명이었습니다 :)
@zipsa_storage
@zipsa_storage 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궁금했었는데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d3by3kj6p
@user-ud3by3kj6p 2 жыл бұрын
정말... 유현준 교수님의 강의를 보면서 하나의 강의 같다는 느낌보다는 공원 같은 편안한 공간에 앉아서 가볍게 말씀을 듣는 느낌입니다.! 심지어 어떤 영상에서는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하셨었을 때 비로소 강의 영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정도로 ㅋㅋㅋ 편하게 설명해 주시고 현재 20살 이란 나이에 건축사 사무소에 다니며 점심시간에 간간이 보는데 와.... 이런 창의적인 생각이 있구나!!! ㅎㅎ 하며 흐뭇하게 봅니다! ㅋㅋㅋ 언제나 건강하시고 좋은 강의 많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팅이에요!!
@huni3070
@huni3070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오늘도 강의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제가 조선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배를 만드는 과정이 흔히들 건축하는거랑 비슷하다고 하더라구요. 그 재료가 바뀌는 것도 건축이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이번에 들으면거 과연 배도 다시 목구조로 돌아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되면 배도 엄청 가벼워질거구요. 많은 인사이트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l3ku3fx4t
@user-pl3ku3fx4t 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진짜 궁금했던 내용인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e9862
@ke9862 2 жыл бұрын
오랫동안 가져왔던 질문에 답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국 집들이 왜 나무로 지어진지에 대한 답도 함께 해주신 것 같어요. 감사합니다. 저의 언니는 교수님 책을 모두 사서 읽고 미래에 자신의 집을 교수님께서 디자인해 주시면 좋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말 멋진 꿈이지요!
@cheonga8668
@cheonga8668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침착맨 강의에서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건축이 이렇게 흥미로울 수 있다니 놀랍네요^^
@user-fw3tb3kp7q
@user-fw3tb3kp7q 2 жыл бұрын
재미나게 듣고 있어요 ^^
@wnqfkr
@wnqfkr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볼수록 식견이 넓어져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amureable
@Jamureable 2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에서 인상 깊었던 점이 '새로운 도시의 조건' 이네요. 전에 행정학도 이었을 때 제가 관심 가지던 주제가 지방균형, 지방자치 였는데요. 그 당시 세종시나 혁신도시제도에 아쉬움을 크게 느꼈습니다. 머 예전일은 부차적으로 넘긴다고 치고, 다시 만들어 질 서울과 같은 메가 시티가 만들어 질 경우 강제성은 지양하면서 교통 혁신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도시가 조성되길 기대해보면서, 각계 각층에서 고심해봐야 될 주제인 듯 해요.
@user-zi2tt3zz7b
@user-zi2tt3zz7b Жыл бұрын
혹시왜 세종시가 아쉬움을 많이 남겼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영상에서 실패라고 하고 넘어가서 잘모르겠네요
@user-pt4qy3ng8t
@user-pt4qy3ng8t 2 жыл бұрын
오 저랑 완전 생각이 똑같아요! 저도 솔직히..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물과 그렇지않은것이 있다고 생각해요 이런 얘기를 한국사회에서 하면 비난받을수 있지만 무조건적인 보존이 답은 아니라생각합니다.
@user-yd3pk1mz3o
@user-yd3pk1mz3o 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너무 유익해요! 이건 정말 늘 궁금했던 거였는데 궁금증이 말끔히 해결됐어요. 전 요즘 지하공간에 대한 것도 궁금해요 지하주자장 지하철 등 지하공간이 많아지고, 오래된 지하공간들도 늘어나는데 과연 안전한지. 지하공간에 대한 이야기도 듣고 싶어요
@seul_low659
@seul_low659 2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어요! :) 감사합니다!!
@deliciousfoods8694
@deliciousfoods8694 2 жыл бұрын
_듣고만 있어도 재밌네요 👍_
@ming5319
@ming5319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지루하지가 않아 좋아합니다. 해박하신 인문학.건축학. 사회학 등 여러지식의 융합적 해석을 하셔서 그런거 아니가 싶어요😅 볼때마다 좋아요는 자동으로 꾹누르고 갑니다. ㅎㅎ ㅎ
@dododonggang367
@dododonggang367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책을 많이 읽었던 사람입니다. 교수님이 재개발을 반대하고 과거 단독주택을 강조하시길래 읽으면서 속으로 '보존이 능사라고 생각하지않고 동의하지않는다고 생각한다. 5060년대 전쟁후 다급히 대충 지어진 콘크리트 덩어리들이 무슨 보존가치가 있지?' 란 생각을 했는데 저만 그렇게 생각한게 아녔군요
@dododonggang367
@dododonggang367 2 жыл бұрын
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목조건물도 답일수있다
@mobimora
@mobimora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볼 좋은 꺼리 만들어주셧습니다. 감사합니다
@peterkim1542
@peterkim1542 Жыл бұрын
좋은 활동 감사드립니다. 미국에서 25년째 건축사로 일하고 있는데 한국도 건축시장의 크기를 키울 수 있는 단계로 발전하면 좋겠네요.
@user-uw8sf3xu7v
@user-uw8sf3xu7v 2 жыл бұрын
세바시에사 우연히 보고 집사부일체에도 출연하셔서 찾아보고 했는데요~ 원래 건축에 관심이 많았지만 말씀해주시는 하나하나가 너무 와닿고 감동이였습니다~ 😍 건축으로 소통하고 마음을 읽어주시는것 같아 펜이 되었습니다 ^^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서울이 정말 원하시는 21세기형 건축물로 새롭게 탈바꿈하면 정말 멋질것 같아요~응원합니다!!👏
@JP-sw4it
@JP-sw4it 2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했던 질문인데 참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Oieho99
@Oieho99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팬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나중에 테라스 관련 건폐율이 완화되어 기존 아파트에 테라스 확장 리모델링이 가능하게 된다면 누구는 거실쪽 하고싶고 누구는 안방쪽에 하고 싶을텐데 지그재그식으로 하기 위해선 법적으로 어떻게 정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 Жыл бұрын
평소 티비에서만 가끔 뵙던 교수님... 유튭 검색하다가 셜록현준 발견!! 일주일동안 역주행해서 20개 정도의 영상을 몰아봤네요. 최근 20여개 영상 본것 중에서 제일 인상적이었던게 7광구 관련이야기... 말씀하시는 속도가 약간 빠른듯하지만 목소리 톤도 일정하시고...머리에 쏙쏙 잘 박히는 방송입니다. 좋은 방송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fox-cg
@fox-cg 2 жыл бұрын
신세계 본점 건물이 원형 보존을 위해서 건물을 들고 아래 주차장을 건설 했다고 들은 것 같습니다. 그런 첨단 건축 기술의 방법에 대해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
@oep_21
@oep_21 Жыл бұрын
정말 매번 궁금했던건데 감사합니다!
@whiskeywoods5822
@whiskeywoods582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구독합니다
@bradjang7473
@bradjang7473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다 상상력을 자극하고 호기심도 채워주고 지식도 많아지고
@user-sl309jd90
@user-sl309jd90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본 영상 중에 가장 재밌게 봤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평소에는 댓글을 안다는데 댓글을 많이 읽는다고 하셔서 괜히 감동이 들어 댓글 남겨봅니다 ㅋㅋ 여론이나 정치로 안좋은 비판이 많을때에 흔들리지 않으시고 지혜롭게 학자로서 꿋꿋이 흘려보내시는게 너무 보기 좋았습니다. 서울의 미래상을 목재구도로 제시하신게 참 건축가답게 당돌하고 기발한 생각이시네요. 잠시나마 행복한 상상이었습니다... 언젠가 어느 정권이던 신도시 신도시 그러는데 15층 정도로 아파트며 상가며 다 목구조로 신도시를 제시하면 얼마나 멋있고 재밌는 세계적인 프로젝트가 될까요? ..... 이루어질일 없겠죠 ㅠㅠ
@user-mc9qh9uv4i
@user-mc9qh9uv4i 2 жыл бұрын
현재 독일에서 유학중인 학생입니다. 건축을 공부하진 않기에 건축과 관련해서 아는것이 하나도 없지만, 베를린 구옥에도 살아보고 근교 포츠담 신축 건물에서도 사는중인데, 반드시 예전 건물을 보존하는것만이 가치가 있는것인가? 이런 의문이 들더라구요. 우선 베를린 구옥의 경우 진짜 너무도 오래되어서 엘리베이터는 전부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형태에 사람 두명타면 진짜 꽉 찼습니다. 거기에 계단은 보수를 하긴 하는건지 의심 될 정도로 삐그덕 삐그덕 거립니다. 거기에 외부든 내부든 있는 건물을 그대로 쓰다보니 아직까지도 열쇠를 사용하는게 가장 불편한 점으로 손꼽히고, 건물 내부 생활공간으로 들어가면, 화장실 샤워실 구조가 오래되어서 공간 배정이 적게 되어서 굉장히 좁고 샤워하는데 샤워부스 밖으로 물이 넘칠까 걱정해야하는 상황이 나옵니다. 용적률과 건축학적 생태에 대해선 전혀 모르겠고, 일반적으로 살아가는 사람 입장에선 진짜 오지게 불편합니다. 당장 다 때려부수고 새로 지어서 신축으로 바꿔버리고 싶더라구요.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지켜볼때 정말 무가치하고 불편한 건물입니다. 거기에 너무도 옛날에 지어진 건물들이라 단열이 현대 단열제들에 비해 월등히 성능이 떨어져서 난방비도 굉장히 비싸게 나오고 ( 물론 가스비 자체가 비싼것도 한몫합니다. ) 거기에 오븐 이외에 다른 주방 가열기기를 사용하기에 눈치가 보입니다. 고기 그냥 프라이펜에 구우면 연기 엄청 나면서 화재 감시기가 삑삑거립니다...... 환기고 나발이고 다 너무 없던 시절 건물들이라.......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오븐 이용........ 이러한 면에서 볼때 진짜 제발 너무 오래된 아이들은 재건축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고, 이러한 점 때문에 저는 집 구할때 비교적 최근에 지은 집들을 골라서 봤습니다...... 지금 사는집은 지어진지 얼마 안된 집이고, 2017년 완공이니까 카드키 사용이라 상당히 쾌적한 환경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어쨌든 문화유산 보존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당장 제일 중요한건 지금 살아가는 현대인의 편의성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불편한 것들은 고쳐나가는 방식으로 나아가야하지 않나 라고 생각합니다.
@user-lr7rd4vv1t
@user-lr7rd4vv1t 2 жыл бұрын
재밌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henomoneybandit
@thenomoneybandit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민수의 칭호를 위해 침투부 한 번 더 나와줘잉~
@book4180
@book4180 2 жыл бұрын
목구조가 친환경적이고 하나의 도시를 상징하는 컨셉이 될수 있을것도 같긴 한데.. 실제로 목재로 건축물을 지었을때와 돌이나 시멘트로 지었을때의 건축물의 수명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보통 유럽의 오래된 건축물들은 기본적으로 돌을 쌓아 만든 건축물들이 많은데 이런 사례를 보면 아무래도 목조건축물 보다는 돌이나 시멘트를 이용하는것이 건축물의 수명에 더 유리하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는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을까요???
@MyGomdi
@MyGomdi 2 жыл бұрын
보존재를 썼을 때는 철근 콘크리트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내진설계 부분이겠죠. 목구조가 짜맞추는 구조라 수평으로 흔들어버리면 와장창...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걸 편하게 시청할 수 있는 좋은 세상이네요. 고맙습니다😐✨️
@limsunjoo
@limsunjoo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hsdok7232
@hsdok7232 2 жыл бұрын
있지도않은것을 미화 너무공감!!! 개포주공 재건축때 건물한동 남긴거 개소름
@user-ld8dd3ci8c
@user-ld8dd3ci8c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아파트(주택)의 경우 준공 후 약 한 20~30년만 지나도 재건축 해달라고 난리 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콘크리트의 수명? 그딴것 없습니다. 시공이 잘이루어 졌다는 가정하예, 콘크리트는 100년 이상도 거뜬합니다. 다만, 타설된 콘크리트, 공기중의 가스, 콘크리트 안에 정착되어 피복된 철근 요것들이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말썽을 부립니다. 그래서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과업 중 하나가 콘크리트 중성화 시험 입니다. 코어채취나, 드릴로 콘크리트(기둥,보,내력벽)을 뚫어 안에 페놀프탈레인 시약을 뿌렸을 시 색깔로 콘크리트의 수명을 판단하지요. 거기다가 슈미트 해머 라고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 하는 기기가 있는데 대부분 쳐보면 80~90년대 지어진 건축물 기준으로 강도가 18mpa 전후로 나오면 정상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재건축은 인간의 욕심인것 같습니다. 요즘 뭐 환경이 중요하다... 환경문제가 심각 하다 하는데, 철거하고 다시 재시공하는데 어마어마 하게 환경파괴 하고 있는겁니다. 그리고 정밀안전진단 할때 안전등급이 D등급 이상? 정도 나와야 재건축 심의에 들어가는 걸로 아는데... "저희 아파트 안전등급좀 낮게 해주세요" 라고 협박? 하듯이 계속 그러시는 분도 많습니다...
@jinho6346
@jinho6346 2 жыл бұрын
보면서 화재나 진짜 친환경인가 의문 들었는데 마지막에 다 쫙 정리해주셔서 이해가 잘 갔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HelloQNY
@HelloQNY 11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pooh0626
@pooh0626 2 жыл бұрын
지속 가능한 ESG적 건축물이라는 개념은 시대에 맞고 또 시대를 뛰어넘는 생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kw8or4si3i
@user-kw8or4si3i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입니다. 설명을 너무 잘 해주셔서 애독하고 있습니다ㅎㅎ 이번 영상 중간에 교수님이 세종시를 실패한 도시라고 말씀하셨는데, 어떤 측면에서 그런 평가를 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user-rm8vk1zq1l
@user-rm8vk1zq1l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봤습니당!! 감사합니다ㅎㅎ
@maumusa123
@maumusa123 2 жыл бұрын
좋은 해설 감사합니다
@user-ur6rh2zx7r
@user-ur6rh2zx7r 2 жыл бұрын
5년전 이맘때 군대에서 책을 통해 작가님으로 접했는데, 교수님의 강의로 접하니까 너무 즐겁고 새롭습니다. 항상 즐겁게 보고있습니다
@user-vb2de7er9m
@user-vb2de7er9m 2 жыл бұрын
보통 다른 강의는 집중해야지! 하고 들어야 이해가 그나마 가는데 이분은 아주 자연스럽게 사람을 집중시키고 이해가 쏙쏙되는 느낌. 나도 그 능력 배우고싶다 ㅎㅎ
@eldsf8170
@eldsf8170 2 жыл бұрын
@난다 이게 알맹이가 없으면 유튭 볼게 있긴함?
@user-dp1fd7ho7k
@user-dp1fd7ho7k 4 ай бұрын
시간가는줄모르고듣게돼는강의 탑입니다
@user-xj4qn2nw8j
@user-xj4qn2nw8j 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요즘에 부실공사 많이 한.. 값싼 재료 건축하여 층간소음 신축인데 벽갈라짐 근데 정부는 건물이 무너지진 않는한.. 부실공사 계속 발생 함
@user-hb1yf6wo7g
@user-hb1yf6wo7g 2 жыл бұрын
서울 외곽에 그린벨트 지역이나 단독주택이나 빌라정도 지을 수 있는 1,2종 주거지역에 목구조로 고층건물을 짓게해주면 좋을거 같네요. 숲 근처에 나무로 지어진 빌딩들이 있는 도시라면 좋은 풍경이겠어요.
@Anthony_Davis
@Anthony_Davis 2 жыл бұрын
종상향을 전제로 제안하는 아이디어같은데 지주들은 죄가 아니라 대박 아닌가요? 특혜땜에 못할듯
@subakmania
@subakmania 2 жыл бұрын
@@kck0611 외곽 그린벨트지역은 아예 건물 못짓는건데 고층목조건물 지으면 지주들한테 특혜면 특혜지 피해는 아닙니다.
@zhfjeidj
@zhfjeidj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말이랑 같지만 708090에 지어진 아파트들이 종상향 할 만큼 튼튼하거나 잘 지어진 곳이 없음 지금 우리나라에는 안맞는 스타일
@user-rr4is2ku1k
@user-rr4is2ku1k Жыл бұрын
@@user-be1ec4od6w 진짜 맞는말 너무 빨리 발전하다보니 낭만이라는 말에 과거를 망각함
@Jk-xs1bk
@Jk-xs1bk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오늘 영상도 넘 재밌구 많은 의견에 공감되었습니다. 보존 가치 판단에 의거한 재건축!! 전 스페인에서 살고있는데 100년 이상된 건물이 역사적인 가치와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훨씬 튼튼하다고 얘기들 합니다. 요즘 기술로는 더 튼튼해야할거 같은데…. 자치주별로 차이는 있지만 10년에 한번씩 안전성 검사를 공인된 건축가에게 인증 받아야하는 절차가 있고 리모델링도 엄격하게 소/대규모로 구분해 시청에 신고하고 해야하는 등 여러 규제가 있는데 한국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다음 영상에서 다뤄주셨음 좋겠습니다~~~~ !!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2 жыл бұрын
아름답긴하지만 에어컨없어서 쪄죽는다 그래서 유럽은 분수대에서 논다 여름에 에어컨못달아서 폭염으로 죽어나간다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기런거 읍어유...
@user-sm4vm2hm8n
@user-sm4vm2hm8n Жыл бұрын
@@user-ud4ff8wu4g 그것보단 저렇게버티는건물들은 당대에도 비싼돈쓰고 만든건물이라 그런겁니다 우리도돈바르고 만들면 오래가는건물짓죠 근데 아파트부터보면 싸게만들라니깐 오래못가죠
@martha3521
@martha3521 2 жыл бұрын
세종시도 너무 급속히 만들어 도서관, 문화예술시설 ,관공서등 부실공사로 비가 샐 정도이니 빠른 계획 시공등으로 문제 많습니다.
@satrunvapollo2037
@satrunvapollo2037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잘봤습니다.
@sunyoungkim2470
@sunyoungkim2470 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폭넓은 통찰 + 지식 얻습니다! 최근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이 발표됐는데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최근 몇년간 교수님 말씀하신 내용도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고요
@bsh6612
@bsh6612 2 жыл бұрын
이 형 너무 재미써어
@justokim5818
@justokim5818 2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이렇게 똑똑한 말씀만 하시는건지...^^ 존경합니다.
@user-nm2on6k3im
@user-nm2on6k3im 2 жыл бұрын
와. 집중해서 봤네요. 내용 넘 좋아서요.^^
@user-lq1mq2ni5e
@user-lq1mq2ni5e 2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있어 노후화 속도가 빠른 것도 있지요 . 발달이 안 된 국가였으니 부실한 것도 있겠네요 .
@user-wn9fj2sv7v
@user-wn9fj2sv7v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책도 유튜브도 열심히 보고있어요^^ 항상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질문이 있어요. 저는 제주에 살고 있습니다. 습기에 취약하죠. 게다가 태풍이나 평소에도 소형 태풍급의 바람이 불기도 하고, 비가 내릴때는 국지성 호우처럼 비가 내립니다. 배수가 잘 되는 지형이니 금방 물이 빠지긴 하지만, 땅에서 습기가 올라오죠. 4~5월엔 고사리 장마로 비가내리고 해무가 껴 꿉꿉하니 이 계절부터 10월 중순까지는 그야말로 습기와 전쟁입니다. 그리고 제습기로는 습기제거를 할 수 없을 정도에요. 실은 이런 환경에서 목조주택이 취약하다는 의견을 건축하시는 분들께 들었는데, 정말인가요? 훗날 다시 집을 지을 때는 목조주택을 짓고 싶은데... 방음이 어렵고 제주의 날씨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누누이 들어 항상 궁금했어요. 그리고 목조주택은 후에 관리가 굉장히 어렵다는 말도 들었어요. 그리고 이런 지역에선 어떤 형태로 건축을 하면 좋을까요? 지역마다 건축을 할 때 자연환경 때문에 주의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user-fx9mo9ps9s
@user-fx9mo9ps9s 2 жыл бұрын
굳이 따라갈 필요 없다는 말이 크게 와 닿습니다. 이젠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가 되어야지요.
@deadcatbounce3322
@deadcatbounce3322 2 жыл бұрын
옳은 말씀입니다. 보존할 가치가 있는것이 있고, 보존할 가치가 없는게 있죠
@seapress99
@seapress99 2 жыл бұрын
이번 우크라이나를 보면서 느낀것인데 서울 같은 경우는 북한이랑 인접해있어서 전략적으로 포격과 시가전에 강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는데 어떠신가요? 목구조의 건물이 그런 부분도 보완해서 지어질수 있을까요?
@user-sc2qc6dy9f
@user-sc2qc6dy9f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공간업사이클링 관련 건축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 주시면 좋을것 같아용
@Coffee_brewer
@Coffee_brewer Жыл бұрын
재밌는 교양강의 듣는 것 같아요. 유익한데다 재미까지!
@RaulDavid0
@RaulDavid0 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rw7ul3tk2h
@user-rw7ul3tk2h 2 жыл бұрын
건축이란 시대를 그대로 보여주며, 재료에 따라 그 개성과 문화도 극명하게 달라진다는 것을 또한 배웁니다. 지금까지 목구조보다는 계속해서 콘크리트지! 라는 생각을 해왔었는데요.. 오늘 교수님의 영상을 보면서 목재의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었습니다. 목재라는 소재가 이렇게나 의미가 큰 재료였군요. 새롭게 배웁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목재로도 고층 건물을 지을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 말씀처럼 목재를 사용한 아름답고 기능적이면서 개성있는 건축물들을 많이 시도하면 좋겠네요. 도시의 개성, 특징, 아름다움이 그렇게 다시한번 꽃피울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고맙습니다~
@saa8199
@saa8199 2 жыл бұрын
제발 좀 싹다 밀고 기반시설부터 다시 짓자...
@user-mr6ds7zi3w
@user-mr6ds7zi3w 2 жыл бұрын
게임인줄아나ㅋㅋㅋㅋㅋ
@Allallall788
@Allallall788 2 жыл бұрын
돈이 문제지 ㅋㅋㅋㅋ강제 이주부터 시작해야하는데 공산당도 아니고 ㅋㅋㅋ
@saa8199
@saa8199 2 жыл бұрын
재개발 재건축 얘기하는데 무슨 말을 하고싶은거야 댓글은..? 도정법 상 정비사업 하자고요 무슨 벽화를 그리네 마네 해서 625때 피란민촌에서 그대로 형성된 달동네나 빌라촌들 그대로 두지말고, 정비사업해서 싹다밀고 기반시설부터 새로 넣고 도로 넓히는 뉴타운 정비사업 하자고요 뭔 게임 같은 소리야 소방도로 하나 없어서 불나면 그 일대 싹 쓸릴 가능성 높은 동네가 서울에 얼마나 많은데
@myuuno671
@myuuno671 2 жыл бұрын
경제적,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얽혀있어서 쉽지 않은 게 안타까운 현실이죠.
@user-mr6ds7zi3w
@user-mr6ds7zi3w 2 жыл бұрын
@@saa8199 재건축 재개발 이미 상당수 진행하고있고요 궁금하시면 서울시 도시정비사업 검색해서 한번 보셔여 다만 사업 추진이 순조롭지 않을뿐입니다
Are automobile-centralized cities the norm?
16:12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684 М.
Этот Пёс Кое-Что Наделал 😳
00:31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7 СЕРИЯ ФИНАЛ
21:3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47 М.
가장 애플스러운 건물, 원형 모양일 때 장단점은?
12:15
The Rise and Rule of Elon Musk
42:46
Johnny Harris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Why The Japanese Yen Is Collapsing (And How This Affects You)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