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가 아니면 세상은 불공정할 수 밖에 없다는 20대들, 그러나 막상 또 다른 불공정을 느끼는 SKY 대학생들│20대를 끊임 없는 불공정 사회로 만든 원인│다큐프라임│

  Рет қаралды 34,050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437
@ldne0323
@ldne0323 10 күн бұрын
내가 갈려는 곳에 나보다 공부 잘하는 사람이 없도록 공부하라는걸 스펙이 높으니 천한 일자리는 안해도 된다고 잘못 이해하고 있던데.... 대학도 지원 잘못하면 나보다 성적이 낮은 사람이 더 좋은 대학 갈수도 있는건 알면서 직업 구할 때 그게 적용된다는 사실을 모르던데....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Ай бұрын
첫번째사연은 공부를 저렇게했는데 장학금 받는 지방 사립로도 없던건가...? 그럼 걍 그길이아냐 포기하자 불공정이아니고 능력문제
@코인-d8x
@코인-d8x Ай бұрын
인정을 하는게 어려운 시대죠😢
@rucca_
@rucca_ 6 ай бұрын
나에게 기회가 오면 공정, 안오면 불공정이라 생각하겠지..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6 ай бұрын
실상은 한반도에서 단군이래 지금 대한민국이 가장 공정한 세상.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NaMuNelBo_Sloth공정한 적 없는데
@user-nd1uk4ek2m
@user-nd1uk4ek2m 6 ай бұрын
ㄹㅇ 홍익대 숭실대 법대 나와서 로스쿨 진학하는것도 법학과 나와서 기회가 오는거.. 동일한 학부 리트 학점일때 법대 나온걸로 이득봐서 로스쿨 진학한거면 그건 공정한건가? 입학하면 남들보다 4년 먼저 앞선채 시작하는건데?
@shogunraiden4593
@shogunraiden4593 6 ай бұрын
전쟁과 기아가 끊이질 않았는데 적어도 지금은 억울하게 죽는일은 없잖소​@@Sjdjjskmd
@harumei9330
@harumei9330 6 ай бұрын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환경 여부는 공정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대다수의 기회는 앞으로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끝이 다 성공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라서 어느정도의 리스크를 감수해야하는데 당장 현실을 지탱하기도 급급한 청년이 망설임 없이 뛰어들수 있을까?
@bbase290
@bbase290 6 ай бұрын
댓글 모지?한양대,홍대,동국대,설대애들이 논애들이냐? 이 영상의 요지는 sky애들이 잘하는건 맞는데 선천적으로 그들의 능력과 큰차이는 없는것같은데 뒷받침하는 환경차이로 벌어지는 격차와 어쩔수없이 포기해야하는 상황에 대한 한탄을 담은것같은데...무슨 니들이 공부를 안해서니라니.. 참 이런인간들이 이런 훌륭한 영상을 보니 요지도 못잡고 핀트안맞는댓글이나쓰지
@wmp2403
@wmp2403 4 ай бұрын
좋은 대학교 간거를 좋게봐주는걸 차별이라고 하는건 좀 아닌듯; 성실성의 척도로 가장 확실한건데
@moshimononn-vy2tw
@moshimononn-vy2tw 5 ай бұрын
세상은 불공평하다는 팩트를 직시하고 삶에 대처하는 것이 성공의 첫걸음. 잘 살고 못 살고는 너의 선택에 달렸다.
@김영철-t4h7s
@김영철-t4h7s 4 ай бұрын
사회나와봐요. 원레 세상은 불공평함. 머리좋고. 몸 좋고. 가족 유전. 가정환경. 부모 능력. 다 불공평 한건 세상 어디나 비슷 해요. 로스쿨도 머리. 돈의 영향도 있죠.
@궁금해-o6q
@궁금해-o6q 6 ай бұрын
뭐 난 고졸 에 공부도 안했는데 주변에서 조금만 다른생각 얘기하면 정신병자 취급하는데 이젠 다 포기하고 걍 무시하고 사는거 같은뎅
@paroho-chinatown
@paroho-chinatown 6 ай бұрын
​@user-hc1xx4rr9b 틀렸다는 건 누구 기준이노?ㅋㅋㅋ 다양한 의견 못 받아들이고 내 의견 아님 다 틀렸어!!빼애액!! 하는게 요즘 대한민국 인터넷 문화인듯.
@stilllife_9
@stilllife_9 6 ай бұрын
@user-hc1xx4rr9b 그 평균이 숫자적으로 평균을 뜻하는게 아닌데.. 문맥 이해가 약간 아쉽군요.. 그리고 애초에 님은 처음부터 고졸은 틀린 생각을 가지고 있지 라는 단정적 발언을 하셨는데, 토대로라면 스티브잡스와 같은 고졸CEO도 님인 말한 틀린생각을 가졌으니 애초에 성공을 못했었을 부류였겠네요.
@stilllife_9
@stilllife_9 6 ай бұрын
@user-hc1xx4rr9b 예예.. 사실 저도 지금 맞춤법 하나 못맞추시는 분이랑 제가 대화를 왜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굿밤되십쇼^^
@paroho-chinatown
@paroho-chinatown 6 ай бұрын
@user-hc1xx4rr9b 확실히 맞춤법도 틀리고 띄어쓰기도 제대로 안 지키는 애가 하는 말은 신빙성이 확 떨어지긴 하더라.
@JEFFJUNG-i6r
@JEFFJUNG-i6r 6 ай бұрын
브라인드 전형으로 해도 소위 명문대가 더 많이 뽑히는게 과연 단순 학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마인드, 자세, 경험... 전반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더라.
@808_mahalo
@808_mahalo 5 ай бұрын
내가 잘되면 공정, 내가 잘 안되면 불공정 이 팩트 아니냐??? 물론 난 공정한 세상에서 살고있음 ㅇㅇ
@user-xx4lh4sz7i
@user-xx4lh4sz7i 5 ай бұрын
사람이 선진화되기 전에 나라가 먼저 선진국이 되버리면 벌어지는 일
@sksinfndkxk7
@sksinfndkxk7 6 ай бұрын
8:38 바로 노력부터 할 수 있는 사람과 노력하기 전에 알바. 부모님간병. 집안일 하고 지친 몸과 마음으로 노력을 할 수 있는 사람도 있는데 학벌을 오직 노력이라고만 생각하는 게 생각이 너무 어린 듯ㅋㅋㅋㅋㅋㅋㅋ
@최승용-j5u
@최승용-j5u 2 ай бұрын
불공정하니까 불공정하다고 하겠죠?
@명왕성-c5n
@명왕성-c5n 6 ай бұрын
출발선이 다르는데 공정한 경쟁일 수 있나. 학비벌고 책값버느라 공부랑 알바를 병행하며 열심히 살아봤자 늘 더 뒤쳐지는데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열심히 사는데 어떻게 뒤쳐짐? 개 말도 안되는 헛소리를 씨부려싸놨네 ㅋㅋㅋ
@jang3548
@jang3548 6 ай бұрын
군대휴가 나올때마다 알바했다. X-mas 때 문앞에 불우이웃 돕는다고 라면 한박스 와 있더라. 똥은 물로 부어서 내린다. 어떤곳은 피하면서 싸기도 했다. 원래 인생은 불공정해. 그래서 계속 남탓만 하며 살거야? 한번에 역전하려고 하지말고. 인생 길게 보라고. 그렇게 노력해서 안정적이 삶을 얻었지만 다른 인생의 스트레스가 쌓이고 있다. 인생은 원래 쓰다는 것을 아는것이 시작이고, 그걸 알았을때 성인이 된거다. 가난한 나라에서 안태어난게 어디냐?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길이 보인다.
@마이야히
@마이야히 6 ай бұрын
7:14 강원대 학생은 잘못 알고있네. 채용시에 학벌 보고 거른다 소리나와서 블테로 바꿔서 채용했는데도, 결과는 공부잘해서 좋은대학 갔던 사람들이 많이 붙은걸로 나와서, 학벌과 채용의 상관관계가 나온건데.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아직도 학벌 타령하고 앉아있네
@rster2849
@rster2849 6 ай бұрын
저런 지능이니까 강원대갔죠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rster2849강원대는 지능 낮은 사람이 가는 대학?
@shirokuma1142
@shirokuma1142 6 ай бұрын
블라인드해도 면접보면 ㅋㅋㅋ 지방대와 명문대는 살아온 삶이 다르고, 답변도 그 수준이 엄청나게 차이남 미안한데 학벌로 뽑는게 아니라 실력으로 뽑았더니 다 명문대인거지 ㅋㅋ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shirokuma1142학벌 얘기하기 전에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갈 껀지 생각이나 해봐
@SilkShoes
@SilkShoes 6 ай бұрын
현 청년세대의 불행의 원인은 90년대 대학정원을 대폭 늘며 시작되었어요. 대학진학율이 80년대 23%였는데 대학재단이 앞다투어 문송과 위주로 무한정 늘리자 많은 생산공장들이 해외로 이전했어요. 대학 졸업후 치열한 취업 시험공부로 30세에 지쳐버리고 말았어요. 옛날 80년대 청년들은 19세에 취업하여 25세에 엄마, 28세에 아빠 되었어요. 고졸 임금이 15% 정도 낮았지만 4년간 학비 안쓰고 4년 먼저 취업하여 돈 벌었지요. 대학 졸업자가 오토바이 치킨 배달은 30년 전엔 꿈에도 생각 못한 세상이었어요. 따라서 대학 정원을 이공계는 20%, 문송과는 5% 로 낮추어 대졸 25%, 고졸 75%로 정상화 해야합니다. 사회에서 필요한 대졸인력은 여전히 20% 정도입니다.
@welkin1107
@welkin1107 6 ай бұрын
ㅈㄹㄴ 그런다고 그럼 최저임금 잘 챙겨주냐? 결국 그말도 인건비 개 똥으로 보는 우리나라에서 되겠음? 틀니 압수❤
@JJ-pf7qo
@JJ-pf7qo 6 ай бұрын
@@welkin1107 지는 뭐 대안 방법 제시 하는것도 없으면서 틀니 ㅇㅈㄹ ㅋㅋㅋㅋ 야 니는 뭐 의견이라도 내고 발작을 떨어보던가.
@ichich-y12
@ichich-y12 6 ай бұрын
@@welkin1107 틀니 압수하기 전에 대안을 먼저 제시해야죠 ..
@라르크-s2l
@라르크-s2l 6 ай бұрын
지구 소행성 충돌 후 전인류 멸종만이 정답이다 서로 꼴보기 싫은 것들 안 봐도 되니
@jang3548
@jang3548 6 ай бұрын
​​​@@welkin1107얘는 틀니만 말하면 정신승리 가능하거든. 대안은 틀니들이 만들어. 난 비판만 할거야. 해줘.해줘가 익숙하지. 해주면 또 비판. 무한반복이라서 항상 정신승리가 샵가능
@MiamiJake
@MiamiJake 6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20대는불확실성을 가지고 살아가는거같습니다. 저도 20대때뭣도 모르고 미국에 혼자와서 개고생 하다가 지금은 그나마 잘 살고 있는데 그전에 20대부터 결혼할때까지는 항상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젊은이들 화이팅입니다
@아주공갈염소똥
@아주공갈염소똥 6 ай бұрын
노력을 왜하고 부를위해 열심히살겟어 그걸 탓하고 살면 안되지 모두 노력없이 공평하면 나라망한다 북한처럼
@FH-hv6zv
@FH-hv6zv 6 ай бұрын
요즘 대학생들도 여전히 고생이 많은 것 같아 마음이 무겁네요. 로스쿨이나 기업에서 학교를 보는건 여러 논쟁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근본적인 불공정은 확실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sky나왔고 누구나 아는 좋은(? 솔직히 막상 다니면 좋진 않지만) 직장에, 학원이든 과외든 부족함없이 지원해주고 사랑주는 부모님 밑에서 자라왔습니다. 동생은 아기때부터 강남키즈 그 자체로 자라나 의대나왔고.. 주변을 보면 부모의 학력과 재력이 자녀의 학력에(그리고 직업에) 엄청나게 큰 영향을 미치는게 느껴집니다. 동생도 결국 DNA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으니, 부모의 지능수준대로 자녀에게 갈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하더군요. 재력 역시, 인서울 의대는 가난한 집 아이들을 세는게 빠를정도로 디폴트가 부유한 집안이고 부모가 부자거나 의사인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sky로스쿨나온 제 친구도(당시 아버지가 증권사 사장) 로스쿨가보니 본인이 가난한 편이라 충격받았다고.. 어디나 개천의 용은 있으니 못가진 부모밑에서 똑똑한 아이가 나올수 있겠지만, 불공정 여부는 확률의 문제라 그런 oulier는 반박의 근거가 되지는 못하니까요. 근본적으로 이 사회의 문제는 정말 열심히 살아서 좋은 대학가고 좋은 직업 얻어도, (물려받는게 없다면) 부자는 커녕 내 집 하나 사기 어렵고 노후도 막막 그 자체여서 사람들이 희망없는 피로에 절어있다는 점 같습니다. 평생 힘들게 노력하고 살아도 평안하고 행복한 미래가 보장되는게 아니라, 그저 낭떠러지로 밀리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니.. 사실 공부도 결국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기에 모두가 공부를 잘할 필요도 없거니와, 공부 잘하지 않아도 내 분야가 있다면 그걸로 적어도 의식주와 노후걱정은 크게 없이 살아갈 수 있어야 건강한 사회가 온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건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라, 입시제도만 바꾼다고 해서 전혀 해결될 수 없으니.. 안타깝습니다.
@라면곱배기
@라면곱배기 6 ай бұрын
사실 이런사회일수록 쿠데타와 폭력이 필요함 자연적으로 물이 섞이지 않으면 강제적으로 교반기가 돌아가줘야하는게 이치임 옛날 군사혁명이나 동학농민같이 강제적으로 지배층을 끌어내리는게 필요한데 지금 지배층 및 sns는 시민들을 우민화 시키고있지.. 평화라는 이름하에 기껏해야 촛불시위정도 밖에 못하게 폭력에대한 프레임을 씌워놔서 하층민들이나 시민들은 뭘하질 못함 탈 정부, 아나키스트적으로 움직여야하는데.. 늦었음 지배층의 존재를 부정하는게아님 하지만 양극화가커지면 자기 목숨도 위험할수있다는걸 하층민들은 지배층에게 지속적으로 상기시킬필요가있음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집안 환경 때문에 생기는 불공정은 고쳐야 맞지만 입시 결과의 차이에 따른 대우의 차이는 불공정으로 보기 어렵죠.sky에도 서민 가정 출신인 학생들 많아요.
@NOWORNEVER-o3p
@NOWORNEVER-o3p 6 ай бұрын
집안 환경 때문에 생기는 불공정이 뭔가요?? 불공평한것은 알겠는데.... 그리고 세상에 공평한 것은 없습니다. 타고 난 두뇌, 타고난 외모, 타고난 건강..... 어떤 것도 공평한게 없는 걸요.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불공정 맞는데요?
@DT-vt7pb
@DT-vt7pb 6 ай бұрын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훨씬 많죠
@gwkim8393
@gwkim8393 6 ай бұрын
집안 환경 떄문에 입시 결과의 차이가 생깁니다. SKY의 서민 가정 출신은 줄고 잘사는 집 자식들은 늘어납니다. 이게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판단은 각자의 몫이지만 팩트입니다.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Sjdjjskmd 불공정 아닌데요?개인의 성취에 따른 대우는 불공정하지 않죠.
@jyh230
@jyh230 6 ай бұрын
공정하다 - 실체는 없다. 기회가 균등한가? 에 대한 개개인의 평가인데 그 기회를 얻고자 하는 시점에서 모두가 평등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것 같다. 즉, LEET에 대한 점수차이는 인정하면서, 학벌에 따른 차이는 인정하지 않는 것. “앞으로 보여줄 능력” 의 차이는 인정하면서, “지금까지 보여준 능력” 의 차이는 인정하지 않는 것. 이것이 어떤 기회가 공정하거나 불공정하다고 느끼게 되는 메커니즘이고 생각한다.
@유민수-i3h
@유민수-i3h 6 ай бұрын
ㅋㅋ 고등학교 때 탱자탱자 놀아놓고 sky 애들 대우해주는건 불-편
@signk7258
@signk7258 6 ай бұрын
이런 사람이 흔하니까 무한경쟁에 뛰어들어야 함. 사회적 낭비라도.
@유민수-i3h
@유민수-i3h 6 ай бұрын
가진거라곤 인적자원 뿐인 한국사회에서 학벌에 대해 적절한 대우를 하지 않는 것 자체가 불공정하다고 생각함.
@쀰
@쀰 6 ай бұрын
​@@signk7258능력주의 가보자 가보자 5지선다 답찾기 장인 문제푸는기계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지방대생은 다 놀았냐?
@kqc5029
@kqc5029 6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다른 나라 보면 빡대갈도 우리보다 더 잘 먹고 잘 사는거 보면 창밖으로 뛰어 내리고 싶을 정도임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불공정한 측면이 있다면 바로잡아야 맞지만 과도한 불평불만은 우리사회에 도움이 안 됩니다..
@영준-x9i
@영준-x9i 4 ай бұрын
와 지금 일 하면 저런 애들은 이기고 들어간다는거잖아 ㅋㅋㅋ
@박진수-z6s9i
@박진수-z6s9i 6 ай бұрын
저도 20대입니다. 인서울나와도 겨울에 히터없고(의정부쪽) 여름에 선풍기조차(남부지방)없는곳에서 일해본적있습니다. 약하게 태어난 신체구조인 제가 문제있어서 지금도 슬퍼합니다.
@잘태어나고싶었어
@잘태어나고싶었어 6 ай бұрын
왜 그런 데서 일하심
@팬코푸
@팬코푸 6 ай бұрын
근데 그게 문제가되나요? 남 피해준적도 누군가 상처주지도않고 본인 열심히 땀흘려 돈버는데 그게 불공평이고 잘못된겁니까?
@라면곱배기
@라면곱배기 6 ай бұрын
사실 이런사회일수록 쿠데타와 폭력이 필요함 자연적으로 물이 섞이지 않으면 강제적으로 교반기가 돌아가줘야하는게 이치임 옛날 군사혁명이나 동학농민같이 강제적으로 지배층을 끌어내리는게 필요한데 지금 지배층 및 sns는 시민들을 우민화 시키고있지.. 평화라는 이름하에 기껏해야 촛불시위정도 밖에 못하게 폭력에대한 프레임을 씌워놔서 하층민들이나 시민들은 뭘하질 못함 탈 정부, 아나키스트적으로 움직여야하는데.. 늦었음 지배층의 존재를 부정하는게아님 하지만 양극화가커지면 자기 목숨도 위험할수있다는걸 하층민들은 지배층에게 지속적으로 상기시킬필요가있음
@zenkp1058
@zenkp1058 6 ай бұрын
서울대 나오고도 공장이나 노가다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팬코푸
@팬코푸 6 ай бұрын
@@zenkp1058 누가 하고있죠? 인증가능한가요?
@jeonghunyang3653
@jeonghunyang3653 6 ай бұрын
서울대 가는 법을 모르는 사람이 있나? 본인들이 공부하지 않도 남탓만하는듯. 나도 지방대 나왔지만 서울대 간 친구들이 얼마나 노력했는지는 알고 있네요.
@paroho-chinatown
@paroho-chinatown 6 ай бұрын
그 노력조차 타고난 재능입니다. 누구는 8시간 이상 공부하는 게 할만한, 참을만한 것이라면 누구에게는 3시간은 커녕 30분 집중하는 것도 힘들죠.
@jooheeshim8909
@jooheeshim8909 5 ай бұрын
이관규천 이네요. 미국은 더 심해요. 미국대학도 탑 20가 있구요. 거기서 T14 로스쿨 아무나 가지 않아요. 서울대학교가 세계대학교 몇위라고 ~~~~ 이건뭐 본인에게 기회가 않오면 다 불공정 ---
@Magic-m4g
@Magic-m4g 6 ай бұрын
SKY가는 애들은 그냥 다릅니다. 공부하는거 보면...아..이래서 SKY갔구나. 생각하게 됨. 일반인과 생각 자체가 다릅니다.
@paroho-chinatown
@paroho-chinatown 6 ай бұрын
그 친구들은 ㄹㅇ 타고난 애들임 사실 50만 수험생들 중에서 인서울 중위권 이상 대학만 가도 상당한 공부재능을 가지고 있는 거.
@sj4891
@sj4891 6 ай бұрын
양심적인 법조인이 필요합니다
@방울-x7c
@방울-x7c 6 ай бұрын
면접때 왜 안알려주냐고 하는데 그걸묻는순간 당신은 그회사 절대못들어간다 능력 자체가 안되는거다
@ParkJaewoo-oo6sm
@ParkJaewoo-oo6sm 6 ай бұрын
공정할 수 있다고 말하는 애들은 진짜 대학교 때 공부를 제대로 안 했다고 밖에 안 보인다. '능력만을 보는 것=공정' 이게 어떻게 성립이 되나? 그냥 말하는 것만 봐도 뽑고 싶지 않아, 미안한데.
@KBHong70
@KBHong70 6 ай бұрын
웃기는 소리 지금 인류 역사상 제일 공평한 시절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엣날 같아봐 평생 노비로 살고 아님 서얼로 살고 ㅋㅋㅋㅋㅋㅋㅋ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쭉 불공평해 왔는데?
@방울-x7c
@방울-x7c 6 ай бұрын
일반인들은 sky애들이 노력 조금하고 타고나서 그런다는데 일반인 보다 더 노력한다 왜냐면 그들끼리 또 경쟁해야되니깐 10개틀리는 똑같은 애들끼리 경쟁 한다고 생각해봐라 얼마나 빡센지
@Sjdjjskmd
@Sjdjjskmd Ай бұрын
아직도 시험문제 틀린개수로 사람을 평가할려고 하냐?
@김종민-l1z6m
@김종민-l1z6m 4 ай бұрын
설마 20대만 생각할까 ? 30대 40대 다 불만 있음 갸들만 불공정한거란건 너무 이기적생각인거 아님 ?
@Songpa35
@Songpa35 6 ай бұрын
이런 현실에서 아는 형님 한양대 30대 후반 스펙으로 인서울 로스쿨 뚫었다니 참 대단하시구만
@jjrirkfjvn
@jjrirkfjvn 6 ай бұрын
사실 공대만 나와도 학교는 대충 커버칠 수 있음 대신 전공공부가 개빡치긴함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수학과학 싫어서 도망친 루저들한테 ㅋㅋ
@gg-jc1um
@gg-jc1um Ай бұрын
그 이유가 뭔가요?
@user-hb9cp8cs5i
@user-hb9cp8cs5i 6 ай бұрын
공부할사람만 시키던가해야하는데 희망과 헛된꿈을 심어주며 교육비 명목으로 내 어린시절을 학생을 돈으로만 보고 학생을 착취했으니까 촌지받아가며 학생들 고혈을 빨아먹으며 그렇게 컷는데 연금받는 노친네들은 잘먹고잘살고 젊은애들은 이 노친네들이 사다리마저 걷어찼으니까 악에 받친거지
@dogcrazy8864
@dogcrazy8864 6 ай бұрын
아주 우스운광경임. 세상이 공정함? 공정같은거 없음. 원래세상도 인생도 불공정한거고 그걸 인정을 해야죠. 무슨 공정같은 같잖은 소리들 하는지 모르겠네요. 이래서 신분제가 있어야해요. 그래야사람들이 현실인정하고 분수에 맞게살죠.
@아이브루-t1s
@아이브루-t1s 6 ай бұрын
모두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서울대 출신 직원들은 그집념과 집중력과 승부욕 기질이 좀 남 다름니다 확실히 똑똑하긴 합니다 참고로 저는 지방대입니다~~
@JEFFJUNG-i6r
@JEFFJUNG-i6r 6 ай бұрын
그럼..SKY갔어야지..뭐... 고등때도 성적이 안되서 못 간거잖아... 아무 노력도 없이 뺑뺑이로 sky간게 아니라면..불만가질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KOD-p6b
@KOD-p6b 6 ай бұрын
선후배 연결고리? 그냥 그들의 역량이 뛰어난거임
@song1184
@song1184 6 ай бұрын
이런것도. 7-10년지나면. 거의 해소된다 젊은이들이 귀해지기 때문이다 70년생 2차베이비붐 세대 자녀들이 2030년쯤 되면 지금과는 반대로 대학 또는 기업이나 공기업에서 젊은이들 스카웃 전쟁날기다 진짜다 지금 젊은 2030세대들이 좀 안스럽다
@Infinityisone
@Infinityisone 6 ай бұрын
고통을 많이 받으면, 미래에 더 큰 보상을 받기에. 이 친구들이 더 먼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밝은 미래를 함께 그려주면 되는거죠. 저도 젊은이고, 저도 비주류 입니다. 단지, 저는 ‘하나의 정답’만 쫒은 것이 아닌, 세상에 할 수 있는 일들이 많다는 사실을 깨닫은 1인 입니다. 그리고, 대학을 중퇴하고 여러가지 사회 경험으로 눈을 돌린 뒤, 사실 크게 인생이 어렵지 않았는데. 남들 대기업 스펙 쌓을때, 나는 그냥 ‘호스텔 점장’으로 월 200 받고 일 했고. 그렇게 노력하니, 여기저기서 불러주고, 그러면서 사니까, 남부럽지 않게 충분히 월급을 받고, 추가로 사업도 여러번 시도 했고, 실패도 했습니다. 결국은, ‘포기’하지 않는 마음가짐으로, 현재의 불행과 상관 없이, 긍정적•낙관적 마인드로 달리면 됨… 대가리 깨지면서 ㅋㅋㅋ 😂 그래서, 저는 현실 이야기를 해 주는데. 이러면, 불만러들은 저를 또 공격함…
@rucca_
@rucca_ 6 ай бұрын
7:08 자격지심
@대반전-110
@대반전-110 6 ай бұрын
면접도 못가본듯 ㅋㅋㅋ
@hongsi9741
@hongsi9741 6 ай бұрын
전남대에 버린돈 아깝다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난 저 와꾸가 24살이라는게 믿질 못하겠음
@jjks7096
@jjks7096 4 ай бұрын
진심... 자격지심.. 명문대애들이 시험을 잘보거나 면접을 높은 확률로 잘봄..
@이솽-t5h
@이솽-t5h 6 ай бұрын
명문대 가면 뭐 특별할거같죠? 네 특별합니다. 자세히 적었다간 댓글 폭발할거같은데, 본인들이 생각하는거보다 훨씬 엄청난 대우가 있습니다. 꼭 공부 잘하셔서 누려보시길 강하게 권합니다.
@dalicoco
@dalicoco 6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왜 공정을 암기 시험으로만 가르는데 ㅋㅋㅋㅋ
@alone_stand-tj
@alone_stand-tj 6 ай бұрын
그냥 출산율이 더 떨어지면 돼요 인력시장 공급부족으로 자연스럽게 임금 오를거임
@모모-g7k
@모모-g7k 6 ай бұрын
수능은 인서울수준인데 국어논술로 연고대가는 애들있음 연고대간다고 모든과목 다 안잘해도 되드라
@갸르르-x5w
@갸르르-x5w 6 ай бұрын
그럼 너도 그렇게가지 왜 못갔누
@이솽-t5h
@이솽-t5h 6 ай бұрын
​@@갸르르-x5w 더 좋은데 붙었을수도 있죠
@토이이이이
@토이이이이 6 ай бұрын
성균관대생도 취급 못받는 슬픈 현실이네
@alwoehvlwlsbdielg
@alwoehvlwlsbdielg 6 ай бұрын
본인이 경험하지 않은 좋은 대학을 한번이라도 경험해보면 학벌이 너무 당연하단 생각을 하게됩니다... 저는 타대 대학원으로 진학하면서 학교를 올려왔는데 조교도 하고, 학석과목도 들으면서 학부생들을 보면 왜 좋은 기업에 갈 수 밖에 없는지 보이더라구요... 대학교 학벌은 고등학교의 성적만을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대학 4년간의 경험과 노력을 간접적으로 의미하기도 합니다. 오로지 능력만 보더라도 좋은 대학에서 대부분 대기업에 길겁니다. 같은 과목이라도 깊이가 다르고, 뛰어난 사람들 사이에서 경쟁하고.. 그냥 대학 문화 자체가 달라요...
@NewYork_NJ
@NewYork_NJ 6 ай бұрын
불공정하게 바라보면서 부모 돈으로 호의호식. 나라가 이꼴인데. 명문대 조차도 지들 출세만 관심… 미안하지만 한심하다.
@wildchry
@wildchry 6 ай бұрын
노력? 생산력? ㅋㅋㅋ AI, 로봇에 바로 도태 되겠군... 참으로 굥정 하구나..
@TheKiller-kc1je
@TheKiller-kc1je 6 ай бұрын
서울대 출신들은 겸손해야 한다 서울대 애들은 지들끼리 최고라고 올려치기 해놔서 사회에서 일 할때 엄청 부담 느끼는걸로 안다 사람들이 학벌로 서울대 출신이라고 하면서도 일 잘하나 못하나 집중해서 본다 잘해야 본전 못하면 욕 먹는다 막상 일하면 다른 사람들하고 별 차이없다는게 LG그룹에서 대학 출신별로 일의 숙련도 능숙도 등 5년동안 관찰하면서 조사를 해봤는데 1년차때는 서울대 출신들이 서울대 타이틀때문에 눈에 띄어서 그런지 일을 습득 자세는 좋다고 한다 그러나 2녀차 3년차 지나면서 기타 대학출신자들하고 특별히 차이가 없다고 한다 아이디어도 기타출신자들이 더 잘나온단다 대학을 간다는건 최종적인 취업과 일을 하는건데 학벌이 높다고 해서 일을 잘하는건 아니라는거다 서울대 애들도 그런다 "저희도 특별한거 없어요 똑같아요" 그런다 자꾸 학벌로 남 짓밟을 생각하지말고 욕심 내지 말고 서로 챙겨주면서 더불어 가야 좋은 사회다 부족하면 서로 보완해주고 그래야 하는데 한국은 개인이기주의만 가득하다
@투sin
@투sin 6 ай бұрын
고등학교까지 12년 의무교육의 기회는 공평하게 주어짐.ㅇㅇ 학교에서 공부잘하는 애들은 다 대학갔고 집에 돈 없는 애들은 대학조차 못갔다. 대학내에서 기간제.인턴 계속하고 각종 자격증따서 지금 공기업에 취업까지 했다. 요즘 부모님 세대분들이 애기하시더라 "요즘 청년들은 보는눈만 높아 자기들 분수에 맞게살아야지.".. 너희들이.실력없고 좋은 직장만 노리니 이런 결과가 나오는거다 뉴스나 유튜브에.나오는 애들은 그냥 사회에서 도태되고 억울하니까 하소연하는 애들임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로스쿨 입시가 불공정하다?이것도 오해에 불과합니다.그런 비판 때문에 로스쿨 입시에서 정량 평가 비중을 늘렸죠.또 면접 혹은 자기소개서 같은 정성 평가 과정에서도 가족은 절대 언급 못해요.
@김kim-x2r
@김kim-x2r 6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본인이 leet 못치는걸 외부 환경탓ㅋㅋㅋㅋ leet는 돈이 드는 공부도 아닌데
@NOWORNEVER-o3p
@NOWORNEVER-o3p 6 ай бұрын
세상은 원래 그렇습니다. 본인들 또한 누군가의 불공평한 존재가 될 수 있음을 모르는 것 같군요. 서로가 불공평 불공정함만 이야기하면... 다같이 침몰하는 겁니다.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니네가 만들었잖아ㅋㅋ
@월드피너츠
@월드피너츠 6 ай бұрын
원래 세상은 불공평한 곳이라서 세상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게 넌센스 기본 값을 세상은 불공평하다는 걸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하는 게 현명하다고 생각되네요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니들이 그렇게 만들었잖아ㅋㅋ
@won종혁
@won종혁 6 ай бұрын
새상은 월래 불공평한거 아닌강??
@jinu9942
@jinu9942 6 ай бұрын
명문대라는게 학생때 해야되는 일을 열심히 해서 받은 증표인데 그걸 불공평하다고 하면 어떡하지??..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학생 때 한 걸로 죽을때까지 편하게 우려먹고 살려고만 하니 문제인 거지요
@jinu9942
@jinu9942 6 ай бұрын
@@Sjdjjskmd 그래서 "학생때는 실수고 내 사정좀 봐주세요" 이거 아닌가요
@Sjdjjskmd
@Sjdjjskmd Ай бұрын
@@jinu9942왜 그렇게만 해석하지? 어떻게든 명문대 보상받고 싶어서 발악하는게 더 추해 보이는데?
@안-v1l
@안-v1l 6 ай бұрын
쏟은 노력의 정도가 다른데 왜 같은 대우를 받기를 원하나요?
@Aile967
@Aile967 6 ай бұрын
성적은 집안환경의 영향이 지배적입니다. 강남8구 에서 교육 받은 학생들은 특별히 더 능력이 뒤어나서 성적이 잘나오겠어요?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Aile967성적은 집안 환경의 영향도 크지만 결국 본인이 공부한 결과입니다.집안 환경이 아무리 좋아도 본인이 노력을 안 했다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없어요.또 집안 환경이 나빠도 본인이 노력했다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죠.
@reefkorea
@reefkorea 6 ай бұрын
아 그럼 나만 잘나면 대통령도 할수 있는거잖아? ㅋㅋ
@David-l5g9x
@David-l5g9x 6 ай бұрын
@@reefkorea맞지ㅋ 너만 잘하면 됨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그럼 지방대생은 노력 안함?
@David-l5g9x
@David-l5g9x 6 ай бұрын
자기객관화 제발 하시길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너나 좀
@팬코푸
@팬코푸 6 ай бұрын
​@@Sjdjjskmdㅋㅋㅋㅋㅋㅋ왜이리 화나있어ㅋㅋㅋㅋㅋㅋㅋ
@sksinfndkxk7
@sksinfndkxk7 6 ай бұрын
@@팬코푸 누가봐도 화 안 났는데 말하는 거 보니 일진 옆 꼬봉출신 같네…
@zergtoss132
@zergtoss132 6 ай бұрын
어려운 문제다
@TheKiller-kc1je
@TheKiller-kc1je 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가스라이팅이 너무 심하다 학벌을 가지고 그동안 얼마나 특권과 반칙으로 해먹었냐 하다못해 학벌을 성실도와 근면함의 상징이라고 프레임까지 씌우는 시대아니던가 학벌을 성실도와 근면함의 상징? 어떻게 학벌이 성실함과 근면함의 상징이냐 사교육 즉 돈으로 컨설팅 받고 부모 뺵으로 허위스펙 만들고 돈으로 학원 뺑뻉이 돌리면 얻어지는 상징이 학벌 아닌가 그래서 겸손하라는거야 자꾸 올려치기 그만하라는거다 성실함과 근면함의 상징이라서 학교에서 1등 상장 몰아주기 해주고 1등 성적 조작으로 맞춰 주는거지? 그래서 명문대 나온거 안믿는다니까 어떻게 사기쳐서 들어갔을까 의심부터 한다 1등 하는 애들도 노력을 하긴 하겠지 한국의 상대평가 중심의 교육 현실에서 공부를 해야 성적을 받으니까 근데 그것이 꼭 성실함과 근면함의 상징이라고 하는건 잘못 되었다 공부 못하면 좋은 대학을 못가면 성실하지 않고 근면 하지 않은거야? 고교 3년 내내 개근하고 학교생활 문제 안 일으키고 성실하게 다니는 학생들도 많다 단 성적이 하위권인 애들도 있다는거다 이 애들은 성실하지 않아서 그렇게 학교 다녔냐 그거 아니잖아 겸손하라고 하는 이유가 1등이 혼자 잘나서 1등이 되는거 아니다 꼴찌가 있으니까 1등이 있는거다 꼴찌가 없는데 어떻게 1등이 있냐 누군가의 희생이 있으니까 1등도 있는거다 그걸 알아야 한다 더욱이 한국 공교육은 대학입시중심의 상대평가로 학생들의 개성과 가능성을 막아둔채 물건을 대량 생산하듯 똑같은 교복 입혀 놓고 학생들을 기계적으로 수동적으로 성적으로 줄세워서 사회에 배출한다는거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이 잘못됐다고 말한다면 그 학생이 비난을 받겠지 1등 하는 애들은 말 그대로 이 시스템에 순종적인 애들이다 비판없이 잘 따르는 애들이라는 거다 다르게 이야기 하면 보수적으로 성장해 나가겠지 또한 1등은 한다는건 노력이 아니라 재능이 있는거다 단 한국식 교육현실에서 1등은 재능이다 1등을 하고 좋은 대학을 간다는건 분명 기회를 많이 얻을테니까 그리고 사회 변화도 반대하겠지 강남 3구가 항상 국민의 힘만 지지하는지 보면 답 나오잖아 물론 현재 공교육에서 1등 하는 애들이 이 시스템에 겉으로 순종적이 애들이 맞지만 이면에는 악의 평범성도 숨겨져 있겠지 공부하는게 힘들지만 부모 욕심과 사회적 분위기가 주는 압박감과 경쟁문화로 남들보다 더 잘되려는 이기심과 욕심 탐욕도 숨겨져 있겠지 그러니까 어떻게든 남 짓밝고 명문대 가서 좋은 직업 얻어서 남 위에 있으려는 심리가 기저에 깔려 있는거 아니냐 근데 막상 좋은 직업을 가졌다고 생각 했고 대학입시때 좋은 대학만 가면 좋은 직업만 가지면 다 되는것 같이 가스라이팅 당하면서 입시 생활을 보내고 사회에 나와보니까 본인이 알던거 하고 현실은 다르다는걸 알고 내가 이럴려고 고생 해서 공부 했나 하면서 많은 보상과 특권을 누릴 줄 알았는데 그게 안되니까 지금의 공직자처럼 판검사처럼 의사들처럼 환자 볼모로 파업하고 공직자들 나라 세금으로 자신들 배떄지 채우고 판검사들의 내로남불 판결 나오고 수사하고 하는거 아니냐 그래서 대학서열주의 상대평가 제도 해체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있다 꼴찌하는 애들은 어떻게 보면 공교육의 피해자들이다 이 대량생산 시스템을 거부해서 팅겨져 나간 애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한데 우리는 성실하지 않다고 근면하지 않았다고 말할 권리가 없다 과거에는 공부 못하는 애들이 양아치도 있고 일진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가정환경과 개인사로 인해서 일탈하는 일부 애들이 나쁜길로 빠진 것도 맞다 이런 애들을 제대로 포용 못한 학교와 선생도 책임에선 자유로울 수는 없다 1등만 편애하는 한국의 교육현실이 아니었던가 공부 못하고 꼴찌한 학생들 중에서도 성실하고 착한 애들 많다 물론 좋은 대학은 못가고 사회에 진출해서 사회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려고 하는 애들 많다 그래서 대학으로 사람 차별 하지 말라는 거다 요즘에는 잘살고 공부 잘하는 애들이 양아치하고 일진 아니던가 그래서 학폭 저지르고 피해자한테 합의 유도하고 명문대 가고 하는거 아니냐 국회의원 아들 학폭 부터 공직자 후보자 자녀들 보면 학폭은 기본 아니냐 그렇게 서울대 가고 로스쿨 가고 연예인도 학폭 들통 나잖아 전교 1등이다 반에서 1등이다 하는데 1등 하는 학생들 안정적인 가정환경과 부모의 지원과 사회적 도움이 있었기에 1등이 아닌가 결국 1등은 혼자 만들어지는게 아닌데 어떻게 개인의 성취 인것 마냥 성실함의 척도로 프레임 씌우는거냐 학벌이라는게 그 사람의 인성을 대변하는것도 아니고 성실함과도 거리가 멀 수도 있는건데 학벌이라는 것이 사회적 갈등의 불씨라고 생각이 안드는가 명문대 출신 1% 뺴면 대부분은 실패자라고 할 것인가? 온 나라가 학벌로 열등감과 패배감에 찌들어서 살아가는 사회가 정상이라고 보는가 그래서 재수낭인이 판치고 의대열풍이 불고 단지 대학 이름 따려고 재수하는 나라가 정상국가라고 보는가 그러니까 저출산으로 가는거야 다들 열등감과 패배감과 명문대에 대한 동경으로 계속 명문대 올려치기하고 나머지 대학은 후려쳐서 얻는게 뭔가 있는 그대로 존중 해주고 차별 하지말고 포용하고 나아가야 좋은 사회 아닌가 대학으로 인한 차별과 불공정 떄문에 블라인드가 필요해지는거다 니들 프레임 씌우는거 있잖아 뽑고 보니 명문대더라 이말도 잘못 되었지 뽑고 보니 명문대가 아니라 애초에 명문대만 뽑을텐데 지원해도 안될텐데 하는 대학차별이 의식이 깔려 있다보니까 지원 자체를 거의 안하니까 당연히 명문대만 보이는거 아니냐고 그래서 하나은행 채용전형에서 명문대 출신자들 채용점수가 탈락인데 성적 조작해서 합격 주니까 명문대만 보일 수도 있겠지 물론 지금은 특히 이공계 분야는 학벌 안보고 필요인재에 따라서 전국에서 다양하게 채용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 사회의 학연 혈연 지연 뿌리 뽑아야 하는 병폐는 확실하다 꼭 이런애들 있지 미국에도 학벌 있다 있겠지 없을 수는 없겠지 근데 알아둬라 미국은 한국처럼 명문대를 서연고로 한정해서 스스로 대학 선택의 폭을 줄여놓은 나라가 아니라는 거다 미국이나 일본만 해도 명문대 기준이 굉장히 다양하고 선택의 폭도 넓다 한국은 대학서열주의로 인해 스카이 서연고만 외쳐서 한국 대학 경쟁력이 세계에서 형편없는 나라다 저출산 괜히 나온거 아니다 우리가 스스로 만든거다 이기주의와 탐욕과 욕망이 한국사회를 최단기간 압축성장해서 압축으로 최단기간 망해가는거다
@연리미-v3b
@연리미-v3b 6 ай бұрын
좋은거만 눈에들어오니 그렇죠 본인 능력은 안되면서 능력있는 사람들의 삶을원하니. 뭘하든 불만만 가득한 역대급 민폐 세대이지요
@jacky2705able
@jacky2705able 6 ай бұрын
그렇게 키운 놈들이 결국엔 ㅈ팔육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왜 능력이 안 된다 생각하지?
@팬코푸
@팬코푸 6 ай бұрын
​@@Sjdjjskmdㅋㅋ여기서도 또 화내고있군ㅋ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팬코푸화낸 적 없는데ㅋㅋ?
@CarlosJose-ye7we
@CarlosJose-ye7we 6 ай бұрын
와 저렇게들 생각하는구나… 진심 놀랍네.
@whereareyouheaded
@whereareyouheaded 6 ай бұрын
뭔가 본인들이 되게 특이한 상황에 살고있다 생각하는데 모든 세대가 평생 경쟁사회에 살아왔어요 주어진 상황이 불공정하다고 불평할 시간에 눈높이를 낮춰 그에 맞게 노력하시는게 인생에 도움되지 않을까요
@damasamigo
@damasamigo 6 ай бұрын
두뇌 능력은 뛰어나나, 얼굴능력이 아쉬워서 떨어진거에요
@investor7277
@investor7277 6 ай бұрын
sky학생들이 자소서도 훨씬 잘써서 블라인드 채용에 뽑혀요. 지거국 자소서는 첫소절만봐도 알수있음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이런 애들 채용 안 해봄
@사랑-h2l
@사랑-h2l 6 ай бұрын
근데 살면서 보니까 지방대생들이 공부하는 시간이나 양은 서울대나 연고대생과 비교갸 안될 정도로 적어서 벌어지는 거라서..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수도권에 사는 사람보다 게으르고, 세상의 트랜드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부족하다는 것이 느껴집니다.
@쀰
@쀰 6 ай бұрын
이러나저러나 그 끝은 죽음이에요. 아둥바둥 더 가지려고 몸부림치는 삶도 있겠지만, 그냥저냥 가진 것에 만족하며 사는 삶도 있는거지요.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지방대생은 무조건 공부 안하는 줄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쀰지방대생은 더 가지면 안되냐?
@사랑-h2l
@사랑-h2l 6 ай бұрын
글쎄요... 지방대생에 대한 교수들의 평가, 취업율이 그걸 말해줄 텐데요. 안 그런가요?
@MIRINA-I
@MIRINA-I 6 ай бұрын
그걸 댁이 어케 알아?
@이상영-s7r
@이상영-s7r 6 ай бұрын
실제 사회생활 하다보면 지방대 출신들이 더 일 잘하는 경우가 많음.
@영식김-n5w
@영식김-n5w 6 ай бұрын
성별 ,나이,지역에 대한 차별이 불평등은 맞을지 몰라도 학벌은 아니지... 좋은 학벌 가진 사람이 똑같은 선에서 출발하는 게 오히려 불공정하지!!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출발선을 같게 도착지를 다르게 모르냐?
@jgshin2630
@jgshin2630 6 ай бұрын
아니...미안한데....회사에서 경력직을 뽑으면 경력을쌓아 중소기업에서 ;;;; 나도솔직히 중소기업다녀보니 뼈를 묻을곳은 아닌데 경력없다고 투덜거리기보다는 어려운데가서 경력쌓아!!!!! 스카이친구들??? 그제인가???뉴스기사나오더라 현대차 초임연봉 1억이라고 그게부랍다고 그저 그것만볼꺼야???? 학벌로 불가능하면 다른걸로 승부를봐!!!!
@해강준
@해강준 4 ай бұрын
너가 사장할거면 15년간 학생 신분으로 공부 성실히 한 SKY 뽑을래, 지잡대 가서 2년 남짓 반짝 스펙 쌓은 애 뽑을래? 어영부영 놀 것 놀고 쉴 것 쉬고 하다가 이제와서 공정 같은 허울 좋은 단어 부르짖는 것 너무나도 한심함. 애초에 우리나라 좀 특수하니까 특히나 공부 좀 제대로 하라고 어른들이 잔소리 했잖아. 정말 잔소리로만 받았잖아 니네들은.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6 ай бұрын
실상은 단군이래 지금이 한반도에서 가장 공정한 세상.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웃기시네
@워렌버핏-y8j
@워렌버핏-y8j 6 ай бұрын
너가 사장이면 스카이 뽑을래 지잡대 뽑을래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아직도 지잡대라는 말 씀?
@스위트콘-b1d
@스위트콘-b1d 6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절대 공정할수가 없습니다. 대신 정말 뼈를 깎는 노력으로 불공정을 뚫어내는게 실력이라고 봅니다 완벽한 공정을 생각한다면 공산주의에 살아야죠 공산주의도 나름의 불공정이 존재하구요~ 저도 20대에는 인터뷰하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프레임에 갇혀서 탓을 많이 했었는데 채용의 자리에서 경험해보고 sky생들을 가까이하고 지켜보고 경험해보니 차이가 납니다 sky는 sky구나 하는 이유가 분명히 존재하구요 이걸 뛰어넘는 매력 능력이있어야 뽑는데 확률이 낮아서 시간절약 차원에서 처음부터 배제하고 하는곳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자기객관화해서 꼭 로스쿨이나 어려운 곳을 가야하는지 생각해보고 다른곳에서 내능력이 100 200 300%나올수 있는곳이 있지 않을까 찾는것도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각자가 맞는 능력의 일자리가 있고 아닌곳에서도 아 내가 이런일은 싫어하고 안맞는 곳에서도 이런부분이 나랑 맞는구나 내능력이 여기서 발휘되는구나 하는곳이 있습니다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지들 불리해지니 자본주의 타령하고 있네
@mink6967
@mink6967 6 ай бұрын
스카이 학점(GPA) 98과 타 학교 98을 동등하게 볼수는 없으니 그런거죠.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아직도 스카이 타령
@몽게-t9u
@몽게-t9u 6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사고 방식
@김범석-y6j
@김범석-y6j 6 ай бұрын
능력주의는 공정하지 읺은 환경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능력주의를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갸르르-x5w
@갸르르-x5w 6 ай бұрын
그러면 월드컵같은것도 축구제일 잘하는팀한테 우승주지말고 유럽같은데는 축구지원도 빵빵하고 타고난 신체조건도 있어서 불공정하니까 유럽팀은 디스어드밴티지 주고 한국같은데는 환경이 안좋으니까 가산점 주고 이렇게하는게 맞겠다
@hoyalee6132
@hoyalee6132 6 ай бұрын
자신들 하기 싫은 일은 안 하며 자신들 힘든 일은 억울한 듯 외치고 자기도 힘들었다는 남의 얘기엔 꼰대라며 외면한다. 징징 거리지 마라.
@hpk9321
@hpk9321 6 ай бұрын
이제 지긋지긋한 서열세우기 교육 끝낼때도 되지 않았니? 한국아! 언제까지 애들 쥐어짜서 경쟁시키고 성적에 목메고 자살하고 성적만으로 자괴감 들게하고 성적순으로 인격까지 판단하는 세상을 유지할건데?! 4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교육제도에 죽어나가는 건 우리 아이들과 뒷바라지하는 부모들이고...선행학습에 애들은 미리공부하느라 머리에 쥐나고 선생님들은 교육의 본질도 잊게하고 못따라가는 애들은 학교에서 열등감만 배우고 오는 참으로 한심한 교육시스템!
@WSADWSAD-n2x
@WSADWSAD-n2x 6 ай бұрын
EBS 특.. 뭔가 주장에 불리하다 싶으면 북유럽 사례 안끌고옴. 공정공정 할때는 청소년 자살자살 할때 왜 핀란드 이야기 안하나요?
@팬코푸
@팬코푸 6 ай бұрын
ㅋㅋ인정ㅋㅋ
@paroho-chinatown
@paroho-chinatown 6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북유럽이 뭔 환상의 나라, 유토피아인듯 말함ㅋㅋㅋㅋ 각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고 사회문화, 인식도 다 다른데 북유럽이 옳네 어쩌네...ㅋㅋㅋ
@Sjdjjskmd
@Sjdjjskmd Ай бұрын
아직도 지가 뭘 논할수 있을 위치에 있는 줄 아네
@Sjdjjskmd
@Sjdjjskmd Ай бұрын
@@팬코푸잘 논다ㅋㅋㅋ
@Sjdjjskmd
@Sjdjjskmd Ай бұрын
@@paroho-chinatown지들은 지들한테 불리해지면 공산당이라고 쳐 떠들면서 누가 누굴 욕함ㅋㅋㅋ?
@김진영-i6t
@김진영-i6t 6 ай бұрын
촉법 권한은 다 누리고~, 코로나 로 학생때나 군대에서나 개꿀빨고~, 사회 나오면 청년 목돈 통장 정부지원해줘~ ㅎㅎㅎ
@user-dextest
@user-dextest 6 ай бұрын
근데 서울대는 연고대랑 묶을급이 아닌듯.. 서울대는 어나더레벨.. 그 이유는 여러가지 겠지만.. 국립 서울 분교도 없고 서울 지거국 무튼 서울대는 연고대랑 묶일급이 아님
@masterhj-sc1hi
@masterhj-sc1hi 6 ай бұрын
국가가 대학에 때려박는 돈의 양대로 순위가 정해지더라구요.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아직도 서열 타령하고 있네
@kqc5029
@kqc5029 6 ай бұрын
전국대학생 대회 가보니 서울대만 원탑이었슴 솔직히 미국 대학생이랑 유일하게 비빌수 있는 수준
@shb5211
@shb5211 6 ай бұрын
지금 저들이 불공평하다고 외치는건, 까딱 잘못하고 미끄러져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공기업에 못가면 격차가 하늘에서 끝까지 벌어지는 것 때문이다.. 공부 잘해서 좋은대학가면 좋은 대우 받는게 당연하다. 당연한 이치인데, 그 격차가 아래 사람이랑 2배, 3배 나버리고 있으니까 문제인거다. 중소기업 들어가서는 근로소득으로 집 못사고 결혼 못한다. 집안에서 집한채 해주지 안냐고? 그러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문제인거야.. 그러니까 결혼도 집도 연애도 다 포기하고 있지 않나.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70% 수준만 되고, 집값이랑 물가만 잡혀도 저런 불만 싹 들어갈거다. 지금 상황은 미래가 안보이는 상황에서 경쟁 자체가 안되니까 위에 사람들 어떻게든 끌어내려야 자신이 사는거고 그러니까 불공정 얘기가 나오는거다.. 본질적인 문제는 소득의 격차와, 부동산으로 인해 부의 재분배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경직되버린 사회 문제인데, 저 애들을 욕하는건 잘못되도 한참 잘못됬다
@해강준
@해강준 6 ай бұрын
@@shb5211 그 까딱 사정 다 봐주면 경쟁이 무의미하죠. 줄 세워서 까딱이 없는 건 불가능하니까요. 가진 게 인력 뿐인 나라에서 그 경쟁 결과에 따른 보상에 차등이 있는 것도 불가피하죠. 인위적으로 개입해서 결과를 직접 만지지 않는 이상 처우는 시장이 정하는 가치 아닌가요? 그러니 모두들 그 까딱 실수 안 하고 압도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 더 실력을 갈고 닦는 거고요. 중소기업이 대기업 70% 정도 된다는 그 수치 기준은 누가 정하나요? 적당한 다른 나라 따라하면 되나요? 그게 우리나라 상황과 배경에 맞는 것인지는 어떻게 판단하죠? 저는 애초에 지금 이 양태가 크게 잘못됐다고 볼 이유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상황인 걸 아니까 부모들은 공부하라고 잔소리 한 거고, 12년 교육기간 동안 그거 충실히 이행 못 해놓고는 이제와서 공정을 말하는 것이 오히려 불공정하죠. 저 또한 잃을 게 없는 입장에서 뒤늦게 뼈 깎아가며 출발점 정도에 왔는데, 자격지심과 한탄주의에 빠져서는 남탓하고 국가탓하면서 자위하는 세태는 개인 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에도 해로운 짓이라 생각합니다. 개천에서 용 나는 건 어려워졌을지 몰라도, 예전에 용 1마리 나던 것에 비해 요즘은 이무기 10마리는 나와요. 저는 그게 더 공정한 편이라 생각합니다. 사시 붙고 인생 역전하는 건 어려워도, 로스쿨 장학금 받고 잘 졸업해서 면기난부 하며 살아갈 수 있는 시대잖아요.
@shb5211
@shb5211 6 ай бұрын
​@@해강준 그 경쟁경쟁 외치던게 지금 우리나라에 어떻게 돌아와있는지 현실 상황이나 보십쇼 좀.. 서울 출산율 0.5입니다. 있는 집안에 대기업 들어가지 않는 이상에 결혼은 꿈도 못꿉니다. 이런 상황에서 언제까지 경쟁만 외칠겁니까? 잘난 사람을 더 접대하는걸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 격차가 지금 말도 안되니까 전부 포기하는거라고 앞서서 말하지 않았습니까. 그런식으로 말할거면 적어도 패배자들한테 손가락질이라도 하지 말던가. 왜 애안낳느니, 결혼안하니 낙인 찍히는 마당이지 않습니까. 이런 댓글들 볼때마다 참 한숨만 나오네요. 출산율 0.5로도 부족한건지... 그냥 나라 망할때까지 노오오력 탓하면서 개인 탓으로 돌리겠지요.. 지금 출산율 0.5, 0.4 찍고 나라 망하기 직전인데, 정녕 님이 말씀하시는 방향이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됩니까?
@해강준
@해강준 6 ай бұрын
@@shb5211 경쟁과 저출산의 인과관계를 너무 단순화한 것 같습니다. 물론 경쟁이 치열하고 수도권에 밀집하고 워라밸이 무너지고 그런 세부 요소들이 출산을 저해하는 것은 맞겠죠. 다만 영상에서처럼 일궈놓은 것도 없이 공정이란 관념만 부르짖는 게 저출산 극복을 위해 필요한 방안이란 생각은 안 듭니다. 뭐 메모리 바꿔 끼듯이 국민적 관념을 갈아치우는 게 가능하지도 않을 거고요. 저출산과 국가 미래가 걱정이라면, 핀셋정책처럼 적재적소에 필요한 개선을 해 나가야죠. 수도권 과밀화를 막기 위한 정책이라던가, 탄력근무제 시간 조율 권리를 정책적으로 보장한다던가요. 저 영상 속 사람들처럼 학력 블라인드를 제대로 하자거나, 학벌을 타파하자, 이런 큰 반경쟁 담론들이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모두 받아들여질 필요가 있나요? 너무 비약이 심하고, 감정적인 것 같습니다.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해강준공정이라도 해야 출산율이 올라가지ㅋㅋㅋ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대기업에 한끗차이로 못갈 실력이면 준비해서 지원하면 어딘가는 무조건 붙음 ㅋㅋ 지 실력이 어딘지도 모르면서 지는 대기업 공기업 레벨이라고 망상하는 저지능들이 나라 복지 축내고있지
@이상옥-r1f
@이상옥-r1f 6 ай бұрын
나는 대학교 중퇴했지만 11년 투잡 흐리잡 하연서 집샀다 남들 하는건 다 하고 싶고 웃기네
@이상옥-r1f
@이상옥-r1f 6 ай бұрын
난 여권 만든지도 2년전이다
@kjh082987
@kjh082987 6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칼칼이-c7z
@칼칼이-c7z 6 ай бұрын
그냥 로스쿨제도 없애고 예전처럼 사시로 바꾸면 안 되나? 고시낭인이니 어쩌니 하는데 고시 뿐만 아니라 다른분야도 성공을 하려면 그정도의 리스크는 감수해야함. 원래 리스크가 클 수록 그만큼 보상은 더 큰 법임. 그리고 대입제도가 불공정하다는 의견에 개인적으로 동의할 수 없음. 뭐든 한정된 재화는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을 수 밖에 없고 그래서 입시가 특히 치열한거임. 자신의 처지가 억울하고 학벌이 부족하다 느껴지면 n수건 편입이건 하셈. 수시정시로 명문대 간 대부분의 애들은 그 정도 노력 안 했을까? 불공평하다는 사람들은 그럼 자신의 무엇으로 평가받고 싶음? 그리고 그 잣대와 기준으로 원하는 대학 갈 수 있음? 난 그냥 이 다큐는 세상에 대한 불평불만으로 밖에 생각 안 들더라. 나도 20대이지만 감히 얘기하면 세상은 니들 마음대로 돌아가지 않음. 영상에 나왔듯 역사상 모든 사람들이 평등했던 시대는 없었다. 그리고 니들이 말한 공정. 그건 공정한 사회가 아니라 공산주의 혹은 사회주의인데, 진정 그게 이상적인 사회라 생각되면 월북하던가ㅋ 이상 젊꼰.
@김성동-i8l
@김성동-i8l 6 ай бұрын
여기 댓글들은 죄다 노력밖에 모르나봐
@유주나-i2c
@유주나-i2c 6 ай бұрын
아무리 힘들어도 포기는 안 됩니다.포기하겠다?결국 부모님 등골 빼먹으면서 살겠다는 소리잖아요.어떤 길을 가든 자립은 기본입니다.
@바보-u2l1i
@바보-u2l1i 6 ай бұрын
이게다~~배이비붐어 니들 아버지 세대가만든 시스템이야.
@dmamst
@dmamst 6 ай бұрын
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더 심할 줄 알았는데.. 슈카월드 코믹스에 오늘 올라온 돈만능 그 영상보니까 또 아니더라
@고라니-l9u
@고라니-l9u 6 ай бұрын
입결 높은 대학 간걸 인정하는게 왜 불공정인지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단순 점수? 아직도 정신 못차리네
@서만억-q7n
@서만억-q7n 6 ай бұрын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입니다.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노령층은 점점 돌아가시고 있으니까요.
@kqc5029
@kqc5029 6 ай бұрын
ㄴㄴ 인구줄면 그만큼 TO도 줄어 지금 경쟁률 그대로 유지
@MIRINA-I
@MIRINA-I 6 ай бұрын
점점 더 미쳐돌아가요
@MIRINA-I
@MIRINA-I 6 ай бұрын
​@@kqc5029유지가 아니라 더 줄어서 더 미쳐가는 중임
@SunSinYi-fj6xh
@SunSinYi-fj6xh 6 ай бұрын
1980년대에 강남과 강북의 집값 차이는 거의 없었지. 지금 30평대 아파트를 기준으로 강북이 평균 6억, 강남은 15억이 넘어감. 소득수준의 차이도 2배 이상 나고. 실제로 세상의 차이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그 재산과 소득의 차이로 발생하는 기회의 차이로 인해 부와 지위가 대물림되는 세상이 되고 있음. 그걸 사회에 진출할 준비를 하는 20대들이 가장 예민하게 느끼기 때문에 20대들에게 지금 대한민국이 불공정하게 느껴지는게 당연한 것임. 이걸 기성세대의 꼰대들은 '니들의 노력이 부족해서 그렇다'라는 헛소리로 무마 중이지.
@sikl5302
@sikl5302 6 ай бұрын
20대가 불만갖는건 부모재산뿐임 그외는 무조건 핑계임
@손군
@손군 6 ай бұрын
그래도 초중고 놀다가 대학가서 정신차려서 진짜 열심히 해서 스펙업하고 역전한 사람들도 많더라.
@kr3wv3
@kr3wv3 6 ай бұрын
노가다도 열심히하면 연봉 7천은 번다더라
@hskim6606
@hskim6606 6 ай бұрын
그럼 노력해서 청소공무원이 된 사람들은 노력하지 않았기에 손가락질 받아도 되나요? 건축 노가다들은요? 자동차정비공은요? 앞으로 저도 손가락질 하려고요. 노력하지 않아서 재산 못 물려주는 노후대책만 겨우 해 놓은 내 부모세대들을 손가락질 하려고요. 세간에 직업을 모두 후려치면서 의사가 아니면 패배자로 만든 사회가 정말 정당한가요? 사회적 인식을 그렇게 만들어 놓은 전 세대를 부셔놔야 하지 않겠어요? 내 사다리를 차버렸다면 윗세대의 부도덕함과 찌질함 모두 두들겨 놔야죠. 아무도 일하지 않으면 아무도 건보료도 연금도 내지 않기라도 해야 권력을 쥐고 놓지 않는 전 세대를 무너트리고 나라가 변하죠
@김정완-b7v
@김정완-b7v 6 ай бұрын
사시부활 로스쿨 없애야.대학교들 돈벌기 위한 수단.현대판음서제
@liveda4331
@liveda4331 6 ай бұрын
모르겠음 요새는 레퍼런스 더 찾던데 대기업은 자기들 급이 있으니까 더 좋은 사람찾고 중소는 바로 실무투입 가능한 경험자 찾고 학벌은 sky아니면 다 죽은듯
@Sjdjjskmd
@Sjdjjskmd 6 ай бұрын
이제 그 sky도 죽을 예정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이제 수시채용해서 대기업은 더 신났지 ㅋㅋ ㅂㄹㅈ들 그냥 다 떨구면됨
@hoyalee6132
@hoyalee6132 6 ай бұрын
취업 불황에 안타까운건 알겠지만. 조민 고딩 표창장에 분노할땐 정말 이세대는 공정에 민감하구나. 라고 공감이 되었는데 막상 김건희엔 관대할때 놀랐었고 임금 적고 야근 철야등 나쁜 노동환경 싫다더니 막상 윤석열의 임금 줄이고 노동시간 늘린다는 공약을 70대 다음으로 20대가 높은 지지율로 지지할땐 정말 어이 없었다. 가장 민감하고 싫어할줄 알았던 이 두가지를 20대가 이렇게 높은 지지율로 지지할줄이야..스스로들 바꿀거 아니면 붕공정 탓하지 말고 징징 거리지 말고 그냥 버텨라.
@MrBruceKorea
@MrBruceKorea 6 ай бұрын
비슷한 사례로 조민한텐 고래고래 고함을 지르면서 장용준(장제원 아들, 일명 노엘)과 곽상도의 아들이자 대리로 퇴직했으면서 10억원을 퇴직금으로 받은 곽병채한텐 아무 말도 못하는 것도 있죠ㅋㅋ그런데 이 말을 하면 또 분노를 강요한다 이지랄떨죠ㅋㅋ
@Yttuio
@Yttuio 6 ай бұрын
ㅋㅋ 선택적 분노. 그리고 졸라 웃긴건 공정의 공 자도 모를 이준석같은 ㅆㄹㄱ 를 지지하는것도 문제에요
24 Часа в БОУЛИНГЕ !
27:03
A4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Sigma girl VS Sigma Error girl 2  #shorts #sigma
0:27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124 МЛН
Counter-Strike 2 - Новый кс. Cтарый я
13:10
Marmok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달콤한 화가씨의 그림노트(호산나-찬송하는 삶, 마태복음21:9)
7:11
학벌사회 [ 무너진다 vs 무너지겠냐 ]
12:18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