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진짜 설명 너무너무 잘하십니당!!!!!! 덕분에 이해가 쏙쏙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김홍석-n5o5 жыл бұрын
9:48 한문이 졸ㄹㅏ,, 많죠,, 그쵸ㅋㅎ
@수연-c1m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겨
@JY-pf8gy4 жыл бұрын
나도 ㅋㅋㅋㅋ 잘못들은줄 알았단
@사랑-n6h9c5 жыл бұрын
35년만에 알았네. 고성이 동부하시니 그부분. 이=과 고맙습니다.
@SY-kt4zw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최고~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yjiana11 ай бұрын
와..인생 국어쌤이다…❤
@김재윤-x6q4 жыл бұрын
진짜 설명 잘한다.. 이해가 정말 잘되요 ㄹㅇ
@요사남-m7y Жыл бұрын
내가 이분을 왜 이제 알았을까... 진짜 이해 너무 잘됩니다 애들한테도 추천해줘야겠네요ㅎㅎ 모레에 국어 시험인데 쌤강의보고 잘치고오겠습니다!!!
@해로-p6f5 ай бұрын
전공 수업 이해 안 돼서 이 강의 듣고 전공 공부하니 이해 쏙쏙….💙
@수지쌤의국어시간5 ай бұрын
국어국문전공이신가요~~♡
@해로-p6f5 ай бұрын
국어교육전공이에요!! 고등학생 때부터 수지쌤 영상 보면서 공부했는데 대학 와서도 이렇게 도움받아요!! 시험 끝나고 다른 영상 보면서 국어 공부해 보려고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수지쌤의국어시간5 ай бұрын
@user-ow5iz9px6s 전공자가 보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도움이 되었음 좋겠네요~~저는 학사 국문, 석사가 국교예요 혹시 도움이 될 일이 있을까 해서요^^
@최혁-m4i5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기모근-l5e4 жыл бұрын
역시 국어는 국어다... 너무 잠이 잘 와요 ㅎㅎ
@수지쌤의국어시간4 жыл бұрын
그런 용도라도 쓸모가 있다니 다행이에요 푹 잘자요😊
@기모근-l5e4 жыл бұрын
수지쌤의 국어시간 ㅎㅎ 감사합니다~~
@rizatree2574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최고~~ㅎㅎ 학생때 선생님 만났더라면 국어점수 더 잘나왔을텐데 ㅎㅎ
@rare.nickname6 жыл бұрын
업로드 감사합니다 선생님! 업로드 해주시는 속도가 빨라서 감동받았어요 ㅜㅠ 공부에 너무나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사랑해요😘😘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된다니 다행이에요~ 다른 친구들에도 소개해줄거죠?^^♥
@rare.nickname6 жыл бұрын
Lee수지쌤의 국어시간 그럼요! 이미 전파 했는걸요 :)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rare.nickname 고마워요정말♥♥
@김태은-t1q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악의꽃-u3z Жыл бұрын
공무원 준비생입니다 국어 너무 어려워 이까지 왔습니다 .. 자주 들을꺼 같에요.. 감사합니다.!!
@chulife884 жыл бұрын
처음 강의 들어보는데 이해가.잘되고 목소리가 귀에.잘 들어와요! 굳굳
@김공주-y9q2 жыл бұрын
용비어천가의 형식벅 특징에서 1,2,125장을 제외하고는 4구체 로 전절과 후절이 나누어져서 전절은 중국왕실이야기 후절은 조선의 이야기 이렇게 나온다고 배웠는데 내용은 달라도 1,2,125장도 4구체와 전절과 후절로 나누어져 있나여?
@최영숙-b6j1u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근데 꽂 이 곶으로 종성부용초성이라 하셨는데 ㄲ 이 ㅈ 으로 쓰였나요? 이해를 잘 못했습니다 선생님 이 부분 설명부탁드려요~^^
@수지쌤의국어시간Күн бұрын
종성부용초성은 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라는 뜻인데, 초성에 쓸 수 있는 글자(자음)를 종성에 쓸 수 있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8종성법(ㄱㄴㄷㄹㅁㅂㅇㅅ)이 아니라 모든 자음을 종성에 쓸 수 있었는데, 원래 음인 ㅈ을 썼기 때문에 종성부용초성이 사용되었다고 한 것입니다~
@수지쌤의국어시간Күн бұрын
kzbin.info/www/bejne/qnmtenqYgZV4kLssi=EkOGDC9X-e1T7TVa 관련 내용읔 이 영상의 11분부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리부리대마왕-x2n4 жыл бұрын
내가 지금까지 본 사람 중에 ‘졸라’의 발음을 제일 잘하시는 분
@사랑-n6h9c5 жыл бұрын
용비어천가 2장은 제주도 본토 사람은 그냥 그 의미를 알아요. 세조때 말이 그냥 남아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여름(열매), 하다(많다) 만 봐도.
@수지쌤의국어시간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신기하네요! 제주도 방언은 정말 알고 싶은데 너무 어려워요ㅠ
@hsljwl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너무나도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다만, 아쉬운건 선생님 목소리세기가 너무 약했다 강했다 해서 중간중간 못알아들어서 다시돌려봤어요.
@totochoi24464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가르치시네요!! 근데 ㄱ곡용에서 [체언의 끝의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덧생긴다고 설명해주셔야 하지않을까여 ㅜ
@수지쌤의국어시간4 жыл бұрын
jun님 말씀대로 모음이 탈락하고 ㄱ덧생김이 맞아요^^ 다만 고1학생들이 배우는 학교문법에서 ㄱ곡용어는 ㄱ덧생김체언, ㅎ종성체언은 ㅎ덧생김체언으로 다루고 있어서 편의상 덧생김만 이야기했답니다^^
@user-sr2zk8if6v3 жыл бұрын
10:25 2장 미래의 나에게
@안녕-m4s8w3 жыл бұрын
완전 잘 듣고 가여 저희 고등학교 국어쌤보다 좋아요진짜
@Sss-cv5lr11 ай бұрын
18:11 여기서 ㄱㄴㄷㄹㅁㅂㅇㅅ 에 ㅇ 은 옛이응 이에요! 그냥 ㅇ 이 아닙니다!
@수지쌤의국어시간11 ай бұрын
맞아요ㅜㅜ
@user-dh8fp8yq2k3 жыл бұрын
14:55 에 나모+이 가아니라 나모+ㅣ 아닌가여 나모가 자음으로 끝나지 않으니까 ㅣ 아닌가 해서요..헷갈리네요ㅠㅠ 도와주세ㅐ영
@spiret994711 ай бұрын
'천복이시니' 에서 '이'는 주체높임인가요? 비교부사격조사인가요?
@수지쌤의국어시간11 ай бұрын
서술격조사입니다~
@말이참많아5 жыл бұрын
내 ㅎ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와서 내히가 되는거랑 수돼지가 아닌 수퇘지, 수강아지가 아닌 수캉아지가 되는 것도 같은 이유로 봐도 될까요? 수 ㅎ 이런식으로요
@수지쌤의국어시간5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당~^^
@서민서-c8p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요!!! 1.바람애 바다애 가뭄애 모두 모음조화인가요 ? 2.곶은 된소리와 거센소리가 일어나지 ❌❌ 은 건가요?? 3.됴코는 거센소리가 적용된건가요? 4.됴코는 구개음화와 단모음화가 ❌❌ 은건가요 ?
이 가 맞아요. 왜냐하면 주격조사가 자음뒤 이/ 모음뒤ㅣ/ㅣ뒤 생략이죠? 그런데 여기서 ㅣ뒤라는건 ㅣ뿐 아니라 ㅐ,ㅔ,ㅚ,ㅟ도 포함이에요~ 만약에 내에서 ㅎ이 아니라 ㅐ뒤였다면 주격조사는 ㅣ가 아니라 생략이 됐어야했겠죠~ 내ㅎ 뒤에 주격조사 -이가 맞는데 선생님이 채점하시는 거니까 선생님께 다시 확인 부탁 드려보세요~ 가끔씩 가르친대로만 맞게 채점하시는 선생님이 계셔서요~
@서현-o6u5 жыл бұрын
Lee수지쌤의 국어시간 헉 이제서야 봤네요ㅠㅠ 꼭 말씀드려볼게요!!!! 이제 시험 얼마 안 남았는데 수지쌤 덕분에 국어에 자신감도 생기고 중세국어 도움 진짜 많이 받았어요😭❤️ 시험 잘 보고 오겠습니다😊
@치도-f9x3 жыл бұрын
그럼 여름은 열 플러스 음 이니 이어적기했다고 볼 수도 있나요?
@수지쌤의국어시간3 жыл бұрын
넵^^ 그렇습니당
@안녕-x6l7i3 жыл бұрын
곶은 종성부용초성이면 종성이 초성을 따라가면 ‘곡’ 안되나요?
@수지쌤의국어시간3 жыл бұрын
종성부용초성은 초성이랑 종성을 똑같이 쓴다는 기 아니라 초성에 쓸 수 있는 글자들(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을 종성에도 쓸 수 있다는 뜻이에요^^ㅎ
@Eonnnnnnnnnn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aaeuun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잘 가르치셔요 ㅜ
@minimi50624 жыл бұрын
그런데용 됴코가 구개음화가 일어난 게 맞나요..? 왜냐면 죠타 라는 깨끗하다라는 말이 잇엇잖아용!,!! 그러면,,,, 그냥 됴코라는 단어가 있었다고 봐야 되는 거 아닌가요???
@수지쌤의국어시간4 жыл бұрын
둏다(됴타)라는 단어가 있었던거 맞아요~ 좋다라는 뜻이구요😁 중세국어때는 됴타(구개음화 안일어남)였던 단어가 근대국어~현대국어로 오면서 좋다로 바뀌었어서 구개음화가 일어났다고 하는거예요~ 그래서 중세국어에 구개음화가 없었다는걸 보여주는 단어로 문제로 출제될 수 있어요🤓
@Seoul_University227 Жыл бұрын
메모) 17:30 8종성법x!!
@Seoul_University227 Жыл бұрын
23:15
@사계-j1u4 жыл бұрын
내일 시험이지만 ㅠㅠ 혹시 댓글 보신다면 대답해주세요~! '내히' 부분에서 ㅎ종성체언인건 이해하겠는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때 ㅎ종성체언이 적용된다는게 잘 이해가 안돼요 ㅜㅜ 내히 부분에서 어떻게 ㅎ종성체언이 적용되어진건가용?
@수지쌤의국어시간4 жыл бұрын
내ㅎ라는 단어자체가 ㅎ종성체언이라서 혼자 쓰이거나 자음 앞에서는 그냥 '내"로 쓰이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랑 결합하면 ㅎ이 튀어나오는 거예요~ 내히에서는 내(ㅎ)+이 이렇게 '이'로 시작하는 조사랑 결합하면서 ㅎ이 나타나서 내히로 나타난거구요^^
@사계-j1u4 жыл бұрын
@@수지쌤의국어시간 감사합니다 ㅜㅜㅜ 오늘 처음 알았지만 앞으로 유용하게 많이 볼 것 같아요~!
@강예찬-x6l2 жыл бұрын
감솨합니당
@rare.nickname6 жыл бұрын
24:27에 '바랄애' 부분에서 바의 ㅏ 와 랄의 ㅏ로 인해 ㅐ가 되었다고 하셨는데 단어의 모음조화를 확인할 때 붙어있는 모든 글자의 모음을 파악해야 하나요? 하나라도 다르면 안되는건가요..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모든 단어에서는 아니구요~ 체언(명사)에 조사 붙을때랑 어간에 어미 붙을때랑 특정단어 몇개만 알아두면돼요~ 명사에 조사가 결합할 때 양성모음/음성모음 있는 조사들(예를들어 ㅔ/ㅐ ㅇ.ㄹ/을)이나 어미들 (옴/움) 요런것들만 눈여겨 보면돼요~ 다 외울필요없구요~ 바라매 요런 부분이 시험에 나왔을때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는구나 이렇게 알아볼 수 있게만 공부하면 돼요~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아 그리고 중세국어에서 전반적으로 한 단어 안에서도 웬만하면 모음조화 잘 지켜지기 때문에 다 보셔도되고 조사 앞에 붙은 , 단어 맨 뒷글자만 보셔도돼요^^
2장도 대구법 맞어요 1.2.125빼고는 앞절이 중국왕 사적, 뒷절은 조선임금 사적 이렇게 대구법으로 되어있다고 말했어요 2장도 대구법맞습니다~
@잘생긴사람은다좋아함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김민준-p3e9q2 жыл бұрын
그칠씨 도 이어적기 인가요??
@수지쌤의국어시간2 жыл бұрын
넵 긏+을씌^^
@지우-u9y5 жыл бұрын
7:00
@김세진-h8c6 жыл бұрын
명사파생 접미사랑 명사형전성어미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중세국어에서 명사형어미는 옴/움밖에 없었구요, 명사파생접미사도 나올 만한게 여름의 음 정도 밖엔 없으니까 여기서는 단순히 그냥 외우세요^^ 그래도 궁금하시다면! 명사형 어미가 붙으면 서술성이 있고 파생접미사가 붙으면 서술성이 없어요~ 예를 들어 나는 너를 믿음. 에서 음에는 서술성이 있죠? 나는 너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의 음에는 서술성이 없죠~ 그리고 명사형어미는 품사를 바꿔주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 품사가 용언(동사, 형용사)여서 부사어의 꾸밈을 받고, 명사파생접미사가 붙으면 아예 명사로 품사가 완전히 바뀌기 때문에 명사처럼 관형어의 꾸밈을 받아요~ 쑤메 에서 움 은 명사형 어미라서 "날로 쑤메"(매일 쓰다)처럼 서술성이 있고 부사어의 꾸밈을 받아요^^ 근데 이거는 현대국어 문법 공부할때 다시 배우도록해요^^ 여기서는 단순히 쑤메의 움이 명사형어미고 여름의 음 이 명사파생접미사라는 것만 알고 갑시다^^
@@수지쌤의국어시간 아이고 이 늦은 시간에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1장중 일부인 저 문장에서는 문법적 요소가 3개뿐인거죠??
@Speedohee3 жыл бұрын
해남고 2학년 화이팅!
@수지쌤의국어시간3 жыл бұрын
화이팅!!
@말티쥬-i4m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아니 한문이 졸라많잖아요 한거 맞아뇨?ㅋㅌㅋㅋㅋ잘못들은줄알고계속돌렸네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졸라가 어때서요^^ㅋㅋ
@말티쥬-i4m6 жыл бұрын
웃겼어요 ㅋㅋㅋㅋ잘봤습니당 완전 잘가르치셔요 오늘 시험인데 이제첨봤어요 ㅋㅋㅋㅋㅎㅎ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말티쥬-i4m 국어시험 전날은 일찍 자야돼요 ㅋㅋ 얼른 자고 낼아침에 또봐요!!
@읏추읏추-w2g3 жыл бұрын
9:37 2장시작!
@서여미-j1v4 жыл бұрын
불휘랑 새미 차이가 이해가 잘 안가요ㅜㅜ
@수지쌤의국어시간4 жыл бұрын
오 이것은 중세국어 조사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chengia95012 жыл бұрын
용비어촌가!? 한동훈 100%대통령 장재원100%대통령
@apieceofcake_30256 жыл бұрын
바람에하고 바다에 부분에 부사격조사가 된다고 하는데 부사격조사가 뭔지 모르겠어요ㅜ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에/애 가 부사격 조사예요~ 부사격조사는 명사뒤에 붙어서 그 말을 부사어로 만들어주는 조사인데요~ 부사어는 뒤에오는 서술어를 꾸며주는 말이에요~ 바람에 안흔들린다 에서 "바람에"가 "안흔들린다"를 꾸며주죠^^ 서술어니까!! "에"가 붙어서 서술어를 꾸며주는 부사어가 됐어용 "바다에 가나니" 여기에서도 "바다"에 "에"가 붙어서 서술어인 "가나니"를 꾸며주죠~ 이렇게 명사 뒤에 붙어서 뒤에오는 서술어를 꾸며주게하는 조사를 부사격조사라고 해요~ 그런데!!! 이부분 공부할때는 부사격조사가 뭔지 몰라도 그냥 부사격조사라고 암기만 하면돼요 ㅋㅋ 부사격조사가 뭐냐는 그런 문제는 절대 안나오거든요~ 그래서 모음조화, 이어적기/ 그리고 바라매랑 바라래 에서 애의 의미 그런거만 외워도 충분할 거예요~
@apieceofcake_30256 жыл бұрын
Lee수지쌤의 국어시간 너무 감사해요 이제 이해됩니당 ㅎㅎ
@수지쌤의국어시간6 жыл бұрын
@@apieceofcake_3025 수능때까지 같이 공부해볼까요?^^
@사랑-n6h9c5 жыл бұрын
아래 아는 그냥 ㅏ로 발음하는거로 정해젔나요? 제주도 사람들이 발음하는거는 ㅗ와 가까워요.
@수지쌤의국어시간5 жыл бұрын
국어학자들은 중세국어 아래아 발음을 제주도 사람들이 발음하는 아래아로 추측하고 있어요~ 중세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겐 아래아가 단어의 첫글자에 있으면 ㅏ, 둘째 글자이후에 있으면 ㅡ로 발음하라고 가르쳐요~ 아래아의 변화과정이 그렇거든요~ ㄱ.ㄹ.치다ㅡ가르치다^^
@111-i6c5 жыл бұрын
나모듀ㅣ에. ㄱ이 덛붙는다잉 ㄱ곡용어 아이가 묭사체언에 모음조사 그라믄 ㄱ덧붙 그라믄 남ㄱ으로 바뀐다 그래가 남ㄱ'ㄴ 남ㄱ+이 는 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