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설이 가장 유력해요..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데... 다쓴 유전이 십수년 후 원유로 가득차있는 경우가 종종있음.. 기름은 퍼올리는게 아니라 바다물을 아래로 넣어서 리프팅 시킴. 즉 거의 소진된 유전은 바다물로 가득채운 후 콘크리트 봉인이되는데 어떠한 이유로 다시 파보면 극 소수의 케이스이지만 그게 원유로 바뀌어있는 경우가 있음. 페르시아만 iooc소속 현장 오퍼레이터들에게 들은 얘기임
@@KOREA-666 다쓴 유전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는거보면 애초에 기름 없는 나라는 얻질 못하죵
@알파리포산-c7n10 ай бұрын
지능 수준보소..하..
@KBSS방민사장9 ай бұрын
주유소 총잡이?😂
@두줄김밥8 ай бұрын
그냥 과거에는 땅이 훨씬 많았고 지금은 물에 잠긴 지구라고 보면 말이 딱딱 떨어짐 노아의 방주가 실제 이야기일수도
@부마루2 жыл бұрын
왔다 경제 유튜버의 가장 메인 분야
@sksinfndkxk72 жыл бұрын
이거 왜케 읏기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hsunshine7834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wizardgold51512 жыл бұрын
와 댓글 짱!
@SC-et3re2 жыл бұрын
옆에 있던 치즈스틱이 더 맛있더라고!!
@illililllliil2 жыл бұрын
@@sksinfndkxk7 왔다 표현이 너무웃김 ㅋㅋㅋㅋ
@깨리꾸스2 жыл бұрын
경제 유튜버의 주력 컨텐츠 과학과 역사
@zzrkfmzu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대한민국도 산유국이 맞습니다. 울산 남동쪽 해역에서 채굴중이고 동해쪽에도 매장량이 있기는 하다만...근시일내 채굴중단 예정이라 암울하긴 합니다. 어쨌든 대한민국도 세계 95번째 산유국으로 인정되기는 했습니다.
@토론왕틈새아재2 жыл бұрын
말 그대로 있긴 한 나라 ㅋㅋㅋㅋㅋ
@user-jjy10152 жыл бұрын
얼마나 양이 적으면 한반도는 광물 박물관이라는 말이있죠....
@RedFda2 жыл бұрын
Sk에너지가 채취했었죠
@긋긋긋-s6y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전세계 모든 나라에 석유는 매장돼있음 일본도 남쪽에 있고 중국도 동중국해쪽에 매장돼있는 석유 시추하다가 우리나라랑 공해안인거 확인되고 마찰됐고 매장량이 얼마인지, 위치가 시추를 하기 용이한 곳인지, 매장돼있는 석유를 시추했을때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수있는 가치가 있는지 등등을 따져서 확실하게 경제적 가치가 있을때 산유국이라고 하는거지. 우리나라가 산유국이면 전 세계가 모든나라가 산유국임 갖잖은 어디서 주워들은 지식가지고 산유국이라고 하지마셈 전세계 어디든 석유는 있음 매장량과 시추했을때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거지
@ptlee84412 жыл бұрын
초경질유라고 들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걸쭉한 원유가 아닌 휘발유에 가깝다고...
@chojang__2 жыл бұрын
너무 자연스럽게 공룡즙으로 오랫동안 알고있었는데 진짜 재밌게 정보 얻고갑니다ㅋㅋㅋ 맨날 합방하는거만 봤는데 200만 유튜버인 이유가 있긴 한듯
@rjsgh05882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젤좋아
@dhpark4747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설에 따르면 개발자가 계속 석유를 리필해주는거군요.
@jhkeum01242 жыл бұрын
석유무한리필설ㄷㄷ
@etwal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무한리필설ㅋㅋㅋㅋㅋㅋㅋ
@youngkim3695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웃겼다 개발자님 석유 한국땅에서도 나오게 해주세요 많이요!!
@Drone02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정확히는 모르지만 궁금해하지만 직접 찾아보기 귀찮았던 그 주제. 경제민수 고맙다
@butidoplay2 жыл бұрын
사실 궁금하지도 않았던걸 궁금하게 만들어서 굳이 알려주는 그는..
@sixbi81782 жыл бұрын
여기 침투브 아닌데요? 아 개청자 킹받아ㅋㅋ
@hs59422 жыл бұрын
여기 침투부 유니버스중 하나 아님?
@user-jotunkor2 жыл бұрын
조선소에서 원유시추선 설계하는사람으로서 말씀드리자면 저또한 학교다닐때 30년 남았다는둥 배웠습니다만 성인이되고 이쪽일을하게되면서 알게된게 당시에 원유탐사능력이 내륙과 대륙붕밖에 안되서 그런거구요 현재는 오션 탐사능력이 있습니다. 삼성에서 처음만든 드릴쉽도그렇고 아직까지 전체탐사를 못해서 매장량을 모릅니다.
@Bak_eth2 жыл бұрын
그때 발견된게 30년치라는거지
@심민우-w9k2 жыл бұрын
형ㅋㅋㅋㅋㅋㅋ알림 제목보고 뿜어버렸잖아ㅋㅋㅋㅋㅋㅋ
@오짱구-r7y2 жыл бұрын
석유의 기원은 아직도 잘 모름니다. 다만 두가지 가능성을 높게 봅니다. 첫번째는 바다식물의 화석 두번째는 육지식물이 여러조건에 의해 석탄이 안되고 석유가 되었다는 설 두개의 설이 있죠. 분명한것은 동물의 사체가 아니라는 점
@davidhan9979 Жыл бұрын
식물이든 동물이든 유기물이 석유가 되었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생각함. 지구에서 생명이 죽으면 빠른시간안에 박테리아로 분해가 됨. 땅속깊은곳에서 죽은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생명체들은 땅위에서 죽어 분해될텐데 석유가 되려면 분해되지 않고 퇴적될때까지 수백 수천만년동안 유지 되야한다는 소리임. 차라리 중동에 모래가 많으니 모래가 마그마랑 만나서 석유된다는 말이 더 그럴듯함
@오짱구-r7y Жыл бұрын
@@davidhan9979 하지만 겁작스런 격변에 의해서 매몰되면 가능합니다. 화산폭발이나 산사태등으로 화석화 된 식물이 지금도 발견되요
공룡이 아니라는거야 알고 있었지만 무기물 설은 굉장히 흥미로운 접근이네요. 재밌게 보고 갑니다 ㅎㅎ
@qwertyuiopasdf12-h1y2 жыл бұрын
ㄹㅇ 이과에 공대 다니는데 이제 일았네 ㅁㅊ
@gentri862 жыл бұрын
동물성이 원료이기엔 양이 너무 많음
@Horowitz.Vladimir2 жыл бұрын
이미 에너지업계에선 정설에 가깝습니다. 석유량이 생각보다 너무 많기도 하고, 이미 석유를 다 파내서 닫았던 폐유정를 혹시나하고 열어보니 다시 석유가 차있는 경우도 많이 관측이 되고 있습니다.
@junhyoungpark25402 жыл бұрын
@@Horowitz.Vladimir 폐유정에 석유가 다시 차있는 것은 무기기원설하고 상관관계가 없지 않나요? 근원암과 저류암의 위치가 수십 km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도 많이 있잖아요.
@Horowitz.Vladimir2 жыл бұрын
@@junhyoungpark2540 그 부분에서도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실제로 더 생성이 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새어나온 것인지. 확실한 것은 석유는 무한자원이거나, 무한까진 아니더라도 현재 인류의 사용 수준으로는 무한에 가까운 자원이라는 거지요.
@asahi3662 жыл бұрын
슈카형은 진짜 레전드다
@okm9242 жыл бұрын
참을 수가 없는 근본 주제보고 후다닥 달려옴
@goldmadae5952 жыл бұрын
이런 주제 너무 재미있어요 ㅋㅋ
@bokim7922 жыл бұрын
코스피가 박살나도 국민들에게 유용한 상식을 전해주는 슈카형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世란8 ай бұрын
10:25 ⭐️포항 석유 등장⭐️
@2jaemyungE2 жыл бұрын
예전보다 무기물설이 좀더 힘을 받기 시작한듯... 무기물설은 책에서도 짧게 짚고 넘어갔었는데
@jiwonkim87352 жыл бұрын
석유는 지구 내부의 맨틀 혹은 대류판을 위한 윤활유임 자꾸 뽑아쓰면 지진도 더 늘어나고 지각의 온도 자체가 높아질꺼라기 생각함
@김기태-m1z2 жыл бұрын
이거 맞는거같기도
@photographer_leeheon2 жыл бұрын
여태까지 근거도 없는 지식을 교육받았다니….
@박솔훈2 жыл бұрын
@II 언제까지 난자 하나에 정자 두개 들어간다고 배운 건가요? 적어도 저는 학교에서 후자로 교육받았습니다.
@날개이름2 жыл бұрын
@@박솔훈 저도 그렇게 교육받았어요
@날개이름2 жыл бұрын
@@llllllillliill1779 저는 한 20년 전이라... 위분과 마찬가지로 어느수업인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
@sungchakang79692 жыл бұрын
25년전 배울 때도 일란성 쌍둥이 1개난자 2개정자라 한 적이 없는데...정확히 기억하는데..
@T1_pengu2 жыл бұрын
관련 학과 학생인데 학교 강의 들으면서도 한 번도 듣지 못한 내용을 슈카 월드에서 듣게 될 줄이야 ㅋㅋㅋㅋㅋ 참고로 우리나라는 지각 변형을 하도 많이 받은 곳이라 석유가 나오기 많이많이 힘듭니다 ㅠㅠ
@kin-ho7kl2 жыл бұрын
플랑크톤도 잘못 없다.. 지각변동이 문제다..?
@T1_pengu2 жыл бұрын
@@kin-ho7kl 유기물이든 무기물이든 석유같은 탄화수소 자원들은 퇴적층에 뭍혀있는데 우리나라는 지각변동에다 마그마 관입까지 오질라게 많이 일어나서 고온의 열과 높은 압력 때문에 그런게 온전하게 보존되기 힘들어요 그나마의 희망이 강원도 퇴적층과 동해바다 쪽...?
@김국진-n7m2 жыл бұрын
@@T1_pengu 님 지템임?
@T1_pengu2 жыл бұрын
@@김국진-n7m 지구시스템 말씀하시는 건가요?
@김국진-n7m2 жыл бұрын
@@T1_pengu 넹
@eusik19842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때 선생님이 석탄은 나무, 석유는 동물이랬는데....ㅠㅠ
@asdasd-et9nq2 жыл бұрын
틀
@냠냠-p9t1r2 жыл бұрын
포켓몬 빵 팔아요~~~~@@@@@@@@@###
@lalalee8739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과학적인거라고 맹신하지말아야해요 특히 예전에 마구잡이로 교과서에 집어넣었었죠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게 더나올거예요 심지어 질량보존의 법칙도 더이상 법칙이 아니게됐죠
@eusik19842 жыл бұрын
@@위너s2 틀 뭐요??
@eusik19842 жыл бұрын
@@lalalee8739 그렇죠. 마구잡이로 넣은 것도 있을거고 그땐 맞았는데 지금은 틀린 것도 있을거구요 ㅎ
@유너니 Жыл бұрын
오… 재밌다
@고레이트2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우주에 워낙 흔한 원소고 탄소도 흔하긴 함 탄화수소라면 충분히 무기기원도 가능할거 같다는 느낌적인 느낌이긴 하네요.
@Bak_eth2 жыл бұрын
6번이 뭐가흔해 ㅋㅋ 진짜 문관가 돌대가린가
@Bak_eth2 жыл бұрын
태양도 탄소못만들어 뱡슨아
@junghunkim96982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떡밥소리편중에 가장 저한테는 흥미롭네요ㅎ 재미있게 봤습니다
@exampletrue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코뿔소가 쏘아올린 슈카밈
@HiUTube2 жыл бұрын
지구에서 석유가 발견되는곳은 지질학적으로 과거에 바다였던 지역이 대부분입니다. 무기기원설을 주장할려면 바다가 아니었던 곳에서 대규모 유전이 있어야 하지만 그 반대입니다.
@Bak_eth2 жыл бұрын
유기기원설이라고 주장하실려면 퇴적층이 아닌곳에서 발견되는 석유를 어떻게 설명하실 건데요? 설마 그 깊은곳에 유기물이 살았다고 하실래요?
@SeaKing_Bonobono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분명 바다가 아닌곳에서도 석유가 나왔다고 했는데도 이딴 병신같은 소리를 하는걸 보면 국평오 소리가 괜히 나오는게 아니다.
@variablex7078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슈카님 주제가 점점 더 재미있어지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woonsa02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 시절에 과학 시간에 공룡과 식물들이 퇴적되어서 생겼다고 정규교육 과정 에서 알려줬음
@shrimp_on_the_road2 жыл бұрын
저도 공룡은 석유가되고 식물은 석탄 된다고 배운거 같은데
@정승환-t3b2 жыл бұрын
전 살들이 변하는줄
@juhwang792 жыл бұрын
과학 진화론 교육이 사기수준이군요!
@androidmk76812 жыл бұрын
@@juhwang79 무식한거 티내지 좀 맙시다. 부끄러워요. 진화론이 왜 나옵니까?
@sugja78692 жыл бұрын
@@androidmk7681 ㄹㅇㅋㅋ
@biy8489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할때 제일 재밋음ㅋㅋㅋㅋ
@snow-l4p1h2 жыл бұрын
어허 경제유튜버라구요
@민준기-u2w2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II 수능본 사람입니다. 14:20 그 석탄기가 그 석탄기 맞습니다. 그당시 퇴적된 조선누층군에는 고사리같은 양치식물들이 퇴적되어 석탄이 많이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StingTV2 жыл бұрын
이런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ㅋㅋ 나중에 공룡이야기도 해주세요 ㅋㅋ
@광수이-o2v4 күн бұрын
아이디어 good!...ㅋㅋ
@매생이전복죽2 жыл бұрын
형도 이제 어엿한 유튭 제목 어그로쟁이가 되었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행복하자-h5s2 жыл бұрын
7광구도 한번 다뤄주세요
@hapoom782 жыл бұрын
그거 모르는 사람들 엄청나게 많아요. 그리고 2광구 문제도 그렇고
@badukimotchi2 жыл бұрын
산소를 적당히 차단하고 폭약을 터트리면 꺼질텐데... 못끄는게 아니라 안끄는개 아닐까싶은....
@sa-lam2 жыл бұрын
흙 퍼와서 덮어버리면 꺼질거 같은데
@수은-i5w2 жыл бұрын
@@sa-lam 그걸 몰라서 안했을 것 같진 않음. 타고 있는 게 가스라서 덮으면 내부 압력때문에 폭발하는 게 아닐까요?
@츄리김2 жыл бұрын
후손들을 위해서 플랑크톤을 미리미리 양식해야할듯...
@user-kang632 жыл бұрын
제목 왜 이렇게 웃기냐ㅋㅋㅋㅋㅋ 공룡 썩은 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rlee10062 жыл бұрын
석유에 대한 말씀을 드리자면 그 기원은 단 한가지 종류가 아니라는 겁니다. 탄소라는 성분을 가졌다면 그것이 유기물 , 무기물에 상관 없이 특정 형태의 지층에서 암석화 되지 않고 석유라는 형태로 나아갔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지층이 없기 때문에 석유가 나오지 않는것 뿐입니다. 7광구 라는곳에 석유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적은 있습니다만 거기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고요.
@haechulshin34382 жыл бұрын
XX는 OO인가 시리즈 너무 좋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toilepetit56712 жыл бұрын
영상 시작할때 공지글 볼때마다 너무 설렌다 ㅋㅋㅋ 가벼운주제 좋아
@술덕후2 жыл бұрын
공룡은 죄가 없는 거였어 ㅠ 석유는 공룡즙인갘ㅋㅋㅋㅋㅋ
@tooba32162 жыл бұрын
형 그래도 칵테일에 석유넣으면안대
@busa11jo112 жыл бұрын
님도 즙 짜면 석유
@jaehoonha62 жыл бұрын
악마의 선물
@ParkGyuHo2 жыл бұрын
공룡즙 한스푼 얼음 엉덩이 둥가둥가하면 주문하신 둘리 나왔습니다
@goldingot3796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고인물 > 석유
@건축전기설비기술사2 жыл бұрын
코뿔소는 소인가 부터 명작이 계속 나오네요
@nasu44002 жыл бұрын
다큐 본것에는 맨틀성분이 지각으로 올라가면서 생기는거라고 하던뎅 그래서 지금도 석유는 소량이지만 계속 만들어지고 있는중이라고...
@나나에-q2j2 жыл бұрын
어렵게 생각할것 없습니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대로 생각하면 돼요.. 즉, 석유 그 많은 열량이 어디서 왔는가 ? 태양입니다. 태양에너지가 축적되어, 태울 때 그 만큼 열량이 나오는 거지요.. 어디에 축적되었을까요 ? 나무입니다. 나무 태워보면 많은 열이 나오는데 그 에너지는 태양에너지가 광합성으로 축적된 거고, 땅 속에서 변형되어 석유가 된거요. 동물 사체 또는 광물은 그 많은 에너지를, 축적할 수 없어요. 옛날에는 나무 높이가 보통 200m, 어마어마한 나무들이 어마어마한 기간동안 어마어마한 태양에너지를 머금고, 땅속에서 오랜기간 변형되고, 축적되어 석유 형태로 있는 거지요..
@주식회사샘물터2 жыл бұрын
석유를 탐사하는 기술 역시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비전통적 석유라는 범위를 어떻게 보느냐 에 따라서 다르기는 해요.
@juhyung11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기다렸습니다
@INNGames2 жыл бұрын
이제 석유는 보내고 태양을 에너지로 쓰는걸 고도화하는게 인류에겐 좋을꺼 같아요. 사실상 공짜잖아요? 진짜 끝까지 파다보면 엄청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꺼 같은데...
@김상연-z8c2 жыл бұрын
핵융합 기술이 가장 비슷하겠네요 소형 태양을 만드는거니까
@SeaKing_Bonobono Жыл бұрын
어떻게 하시게?
@nolboo_korea2 жыл бұрын
18:18 그냥 흙으로 구덩이를 매꾸면 꺼질텐데
@블레이크스넬-o2q2 жыл бұрын
포브스 선정 전공 안 다룰때 가장 신나는 유튜버
@cwk33982 жыл бұрын
0:28 "코뿔소는 아니구요" 뻘하게 터지네 ㅋㅋㅋㅋㅋㅋ
@kyoud122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정유회사 다니시는데,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석유는 앞으로 30년 밖에 못쓴다고 배우고 아버지한테 "그럼 아빠 정년 못채우고 짤리는거야?" 라고 물어본 기억이 있네요 ㅋㅋㅋ 아버지는 유전이 계속 발견되고 있으니 걱정말라고 하셨고, 그후로 15년뒤 현재 저도 정유회사를 다니고 있어요 ㅎㅎ 아버지랑 일 이야기하는게 참 재밌네요
@정현우-x4c2 жыл бұрын
우와..그렇다면 작성자분은 석유를 앞으로 몇 년간 쓸 수 있을 거라고 보시나요??
@camdo222 жыл бұрын
@@정현우-x4c 몇년을 쓸수 있는걸 알수 있나요? 계속 발굴해야지 경제가 계속 성장하듯이 쭉~
@정현우-x4c2 жыл бұрын
@@camdo22 아 그렇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kyoud122 жыл бұрын
@@정현우-x4c 알 수 없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발견하지 못하던 유전이 발견되고 있거든요!! 하지만 석유정제하면서 가솔린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원료, 섬유 원료 심지어 부산물로 수소, 탄산음료에 들어가는 탄산도 나오기 때문에 석유를 대체하는 에너지원을 찾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정현우-x4c2 жыл бұрын
@@kyoud12 오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주말 잘보내세요~
@만만항사10 ай бұрын
주제. 정말. 좋아요. 지식. 창출댑니다
@최카카오-q4v2 жыл бұрын
고작 1억년도 안되는 기간동안 만들어진 석탄을 아직까지 쓰는데 대부분 바다였던 지구에 몇십억년동안 축적되어온 바다생물의 사체로 만들어졌다면 어마어마하겠져
@이승현-h4n2 жыл бұрын
슈카님은 말씀을 재밌게 잘하셔서 항상 감탄합니다 ㅋㅋ
@자라나라머리머리-g2z2 жыл бұрын
이때까지 석유 기원을 공룡즙으로 알았어요 ㅋㅋㅋㅋ 어디서 봤으니까 다들 이런 잘못된 정보로 알고 있었을텐데 말이죠
@박영철-r8b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최고입니다 👍
@alphago4102 жыл бұрын
석탄은 고생대 양치식물이 누적된것이 맞고 석유는 전체 지질시대 85%를 차지하는 선캄브리아기 해양생물의 액화흔적이고 합니다. 따라서 암염(지하소금)이 있는곳이면 멀지않은곳에 석유가 발견되곤 합니다.
@Bak_eth2 жыл бұрын
퇴적층이 아니곳에서 발견되는 석유는요
@alphago4102 жыл бұрын
선캄브리아 시절이면 45억년~5억년 전까지라 심하게 변성돼서 퇴적이 남아나기 힘들지 않을까요?
@taesoolee5110 Жыл бұрын
석유는 바위 속에서 지금도 천천히 생성중이다. 샘물과 같다. 천천히 쓰면 영원히 석유는 고갈되지 않는다.
@summerwinters2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 이름달고 석유,공룡써붙이면 어떻게 안들어와...ㅋㅋㅋㅋㅋ
@frieden5202 жыл бұрын
무한으로 즐겨요~
@Dora_Dinosaur2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공룡모형을 공룡으로 만든게 아니게 되다니ㅜㅜ 로망이 죽었다
@asmoonlightkr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mingtaku58372 жыл бұрын
슈카 이럴때는 너무 장난스럽다가 진지할때 넘 섹시 ㅜㅜㅜㅜㅜ 치였스빈다
@Mycomputerhelp2 жыл бұрын
슈카 대단함. 공룡 석유 로 20 분 썰 대단함.
@WASD-me3pc2 жыл бұрын
2:32 점박이 아닌가요?ㅋㅋㅋㅋㅋㅋ
@ninewayne2 жыл бұрын
형님...미국주식 터졌어...
@유수종-h6r Жыл бұрын
아니 상균쿤이 여기 나오네 이 강의를 이제야 알다니
@myself69962 жыл бұрын
석유 기원 모르는게 이상하진 않은데. 사실 인류는 물의 기원도 정확히 모른다. 석유처럼 뜬구름 수준은 아니고 몇가지 썰이 있는데, 지구엔 물이 너무 많음. 수소+산소 이딴 댓글 적을 잼민이들은 발 닦고 자라.
@반인성-l3v2 жыл бұрын
수소+산소
@myself69962 жыл бұрын
요점만 적으면 태양이나 목성 정도 아니면 가벼운 수소를 못 잡아둠. 원시 지구는 수소를 붙잡아둘 질량이 안 댐. 어떤 이유로 지구에 물이 생겼고, 지금 수소는 물에서 기원한거. 인과가 반대임.
@반인성-l3v2 жыл бұрын
@@myself6996 수소+산소
@essential611810 ай бұрын
3:41 댓글에 참기름 보고 한참 웃었네
@이정욱-c9c7 ай бұрын
알상무가 답이다. 외계인 폐기물
@훈민정음-j1g2 жыл бұрын
참기름 생각하자. 볶아서 저온착즙. 화재로 탄 밀림이 저온압축되서 석유로 된듯
@독E2 жыл бұрын
태그에 공룡즙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
@elecvio2 жыл бұрын
이 댓글 보고 공룡즙 태그 알아챘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jibagmyo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당 :>
@giicha22 жыл бұрын
주가 빼고 다 잘아시는 슈카님^^ 재미있게 잘봣습니다.
@RiseHigh3332 жыл бұрын
슈카가 주가를 모른다고? 설마. ㅎ
@성례이성례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이제껏 배웠던게 사실이 아니었다니 많은 사람들이 깨어 나기를 바랍니다.
@junkka832 жыл бұрын
석유가 뭐로부터 생겨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유기물설 무기물설 둘 다 나름의 근거가 있고 지지하는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오히려 공룡은 기원이 아닌 것은 거의 확실니다. 과거에 공룡이 살기 어려웠을 곳으로 추정되는 장소 (대표적으로 중생대 시절엔 바다였던 중동)에서도 석유는 다량 매장되어 있으니까요
@myangmyang96592 жыл бұрын
7광구 석유도 한번 얘기해주심 조을거같아요 항상 영상 감사합니다
@지구인-g8r2 жыл бұрын
와 이분 말 진짜 잘하시네 정체가 궁금해서 다른영상 보러가야겠네요.
@junchulkim96312 жыл бұрын
보통 암염층이 있는곳 석유가 많이 나오는대.. 해저 유기물이 싸여서 되는것으로 보는것이 합리적인것 같네요.
@junhyoungpark25402 жыл бұрын
석유가 만들어지는 암석과 저장되는 암석은 같을수도 있지만 다를수도 있습니다. 암염층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상부의 암석을 밀고 돔구조를 쉽게 형성하는데, 석유가 밀도가 가볍다 보니 다른 암석에서 만들어진 석유가 이동하다가 돔구조에 갖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junchulkim96312 жыл бұрын
@@junhyoungpark2540 암염층의 존재는 석유가 해저였던 지역에서 나온다는 중요한 증거가 아닐까요?
@junhyoungpark25402 жыл бұрын
@@junchulkim9631 석유가 생성되는 암석은 바다에서 만들어진 퇴적암이 속성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염은 증발암으로 조산운동으로 인해 형성된 염호가 증발하여 형성됩니다. 해성 퇴적암 상부에 암염이 형성될 확률이 높을수는 있을 것 같은데 암염이 해양퇴적을 지시하는 요소가 아니라서 암염을 보고 해양퇴적층을 이야기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비니-q9l2 жыл бұрын
잼잇어요 ^^ 자꾸보니 한석규형님 달맛내요 ㅎㅎ
@라라라-l2d2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과학선생님이 석유 고갈안되니까 걱정하지말아 했던게 생각나네 그분이 교회 장로였는데 하나님이 계속 주신다는 그런말을 지금같으면 난리날 말인데 ㅋ
@DR-xc2el2 жыл бұрын
무한으로 즐기는 명륜진사 갈비는 언제까지 즐길수 있나요?
@footstep002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반드시 고온, 고압의 조건이 있어야만 석유가 생기는가에 대한 것도 좀 의문스러운게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지층의 비교적 덜 깊은 심도에서도 석유가 나오는 바람에 그냥 마을 사람들이 인력으로 말그대로 기름우물, 즉 유정을 파서 직접 증류해서 아스팔트부터 시작해서 디젤유까지 얻어내는 경우도 있죠. 대표적인 경우가 인도네시아인데 마을 안에 널린게 유정이더군요. 바빌로니아 시절 세계최초로 아스팔트를 활용했던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이라크의 경우도 비교적 손쉽게 지표면가까이에서 아스팔트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하고 말이죠. 그러고보면 생성조건부터 뭐에서 유래된 것인지까지 확실하게 아는건 별로 없는데 줄창 잘만쓰고 있는 게 석유인듯 합니다.
@감기조심하세요 Жыл бұрын
불이나 금속도 원시 인류가 수만년동안 원리도 모르고 주구장창 썼죠 ㅋㅋㅋ
@myungkim72412 жыл бұрын
공룡시체가 아니라 공룡시대의 식물들 시체인 거죠.
@psyleo2 жыл бұрын
석탄기 이후로 더 이상 석탄이 안 생기는 이유는 죽은 식물을 분해야줄 곤충과 박테리아가 석탄기 이후에 나왔기 때문...
@jinx58392 жыл бұрын
양이 다른거지 계속 생깁니다..
@군침이싹-v5n2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최신으로 나온설이였는데 공룡즙이 석유가 아니라면 마땅히 반론할만한게 없음
@jung-inpark86622 жыл бұрын
유기물 무기물 기원설 둘 다 맞는 거 같고 고온 고압 그리고 산소가 없는 환경이면 만들어질 수 있을 거 같은데요. 석탄은 수소가 5% 여기에 수소 15%로 올리면 경유...나찌가 합성경유 이렇게 만들어서 쓰다가 공장이 폭격당해서 항복했다고 그리고 그 기숳 발명한 박사가 나중에 보통 나무나 풀의 섬유질에서 먹을 수 있는 사료도 뽑아냈는데 연구 지원을 받을 곳이 별로 없어서 고생하다 아르헨티나에 이민가서 살다가 죽었어요. 그리고 메탄이 많다는 얘기는 미생물의 노폐물로 생성됐을 수도 있을 거 같은데요. 예를들어 축산업에서 나오는 메탄처럼요. 소 내장에 사는 메탄 프로듀싱 박테리아들처럼요. 모든 사람들이 다 잘 알고있는 대장균 이용해서도 경우 뽑아낼 수도 있고요. 버이오 디젤...
@금연금지2 жыл бұрын
76년 경유 ㅋㅋㅋ 진짜 뿜었습니다.
@드키무티2 жыл бұрын
1:10 탄수화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질소가 섞였으면 영락없는 단백질인데 오직 탄소와 수소에 산소만 화합됐다면 딱 지방의 화학적 구성이네요. 그리고 탄소가 저렇게 많은 거 보면 그냥 식물이 지하에서 장기간 고열고압 상태에 놓이면 고체(셀룰로오스)는 석탄, 액체(지방? 수분?)는 석유, 기체는 천연가스가 됐다고 볼 수도 있겠는데요. 식물에도 지방이 있고, 대사 작용으로 광합성하면서 탄소를 몸에 저장하죠. 숯이 고열로 인해 무산소 환경에서 탄화되는 원리를 보면 석탄도 지하에서 그런 원리로 비롯된 것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독일이 세계대전 당시 석탄액화 기술로 석유를 뽑아 썼다는데 석탄이 생성되고나서 석유로 변질됐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석유가 공룡에서 비롯됐다면 시체에서 부패 후에 가장 오랫동안 잔존해야 할 뼈가 남아야 하는데 뼈의 주성분인 인이나 칼슘이 별로 안 보입니다. 석유 주성분에서 8~9할이 탄소라면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석유는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에서 비롯됐다고 봐야 하는데 그러면 가능성은 동물보다 식물쪽입니다.
@김동욱-x8u2 жыл бұрын
석유화학 강의때 처음 듣고 놀랫음ㅋㅋ 교수님은 무기물설이라고 가르쳐서 그 전까지는 당연히 공룡에서 나온줄 알앗음
@인생은한끝발2 жыл бұрын
7광구에 대해 아시나요?
@마츄픽츄-w3e2 жыл бұрын
형이 삼전 떨어질지 오를지 모르는거랑 같아
@선수탄생2 жыл бұрын
포항 불의 정원에 불꺼지면 큰일남.. 가스가 나오면서 타면 해가 작은데 가스자체가 나오면 대기 오염이 심각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