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환기자님은 전지관련 말씀하실때 눈이 초롱초롱하시면서 즐겁게 얘기하시는거 보니 직업정신이 정말 대단하시네요.
@설광림11 ай бұрын
😢😢😢😢😢😢😢😢56😊🎉😢😮😅@@봉진김-q9s
@82jducy2bdk Жыл бұрын
전고체 쪽 배터리 전공자인데 이해력이 상당하시네요. 여태껏 본 전고체 전지 영상 중 가장 정확합니다
@O.K-c6r Жыл бұрын
전공자들이라면 당분간 전고체 힘들다고 하실텐데 ㅋㅋ
@이순둥-o9z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빨라도 2030은 되야 저성능 제품이 나올까 말까예요.
@cory300 Жыл бұрын
힘들면 안할거에요? 하..
@82jducy2bdk Жыл бұрын
@@O.K-c6r 실현이 힘들고 말고가 아니라 그냥 정보가 정확하다고 한 것 뿐입니다. 영상에서도 한참 후에야 상용화 될 수 있다고 했고요. 다만 향후 고안전성 프리미엄 배터리로써의 가능성은 있죠. 삼성SDI가 전세계에서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전고체 배터리(반고체 겔타입 제외)를 만듭니다.
@O.K-c6r Жыл бұрын
@@82jducy2bdk 개인적으로 토요타가 가장 앞서있다고보고요..삼성은 소형기기에 적용시켜 실험하고 대형화시킬거같은데 이간격또한 만만치않죠. 2027년이전에 소형화기기적용시키고 2027년에 정확히 전기차용 전고체배터리 대량생산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박수받을만하겠죠?
@hyunpark6273 Жыл бұрын
이수환기자님 기자정신과 실력이 대단한 분같아요!!!!!
@100억대부자-g6c Жыл бұрын
전고체 전극공정 씨아이에스 였군요~ 좋은 자료 너무나 잘 봤습니다.
@김광재-w9j Жыл бұрын
설명을 굉장히 잘하네요, 표현하는 것을 보면 깊은 기술을 갖고 있는것 같네요, 설명 감사 합니다,
@optoma65525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kwangsikkim9802 Жыл бұрын
삼성에서 양산이란 단어를 썼으면 그건 바로 양산을 의미합니다. 지금은 파이롯라인을 만드는 거고요... 자금은 아직 생산에 대한 표준모델이 확정되지 않았을테니 양산 Capa를 이야기 하기 어렵겠지만 향후 전략적인 생산라인 Capa를 결정하겠죠.
@dream-rp1op Жыл бұрын
삼성에서 근거없이. 양산이란 단어를 쓰지는 않겠지요. 한국에서는 자동차 값이 비싸도 한국에서는 허세. 과시 때문에 전고체 밧데리 자동차 대박 나겠지요.
@nitealth Жыл бұрын
@@dream-rp1op 전고체 배터리랑 허세, 과시랑 무슨상관인지........
@matthewm58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emwin6357 Жыл бұрын
이수환기자님이 고딩때 과학쌤이였음 과학 만점 받았을듯하네요..이해하기 쉽게 어쩜 저리 설명을 잘 해주시는지... 매번 감사합니다
@makiseo-p2p6 ай бұрын
이런 분이 진짜 기자지~
@Xong24 Жыл бұрын
이수환 기자님 팬입니다
@이상호-y9t Жыл бұрын
전고체가 그리 비싸다면 용도는 매우 한정적이겠네요 잠수함같은 군사용이나 드론 같은 항공용 등 가격보다 성능이 중요한 부분에 쓰이겠네요
@3ssak440 Жыл бұрын
며칠전 또 차량화재..이거 해결안되면 보급한계..전기용량확대 인프라확충 제한적..결국 수소차도 대안으로 급등주목
분명한건 삼성이 한다는거지 삼성이 한다면 하는거지 반도체 처음한다했을때와 같은 느낌이다. 삼성은 한다
@yymygsg Жыл бұрын
Uam에는 비싸도 장착하면 그만큼 승객들을 더 태울 수 있으니 전고체 배터리 항공 분야 진출은 가능성 있음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janeray1121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무게는 어떤가요?
@카사노바-e7x Жыл бұрын
이수환기자님! 붕화물계로 고체전해질 개발했다는 석경이엔티 취재 한번 해주시면 안되나요?
@서경원-e9g Жыл бұрын
이재용씨의 초전도체를 어떻게 생각하나!
@GoldRush-To-stock8 ай бұрын
Oled 랑 lcd는 화질 차이가 얼 마안나잖아요 고체배터리랑비교하다니
@순우-x1i Жыл бұрын
명품브랜드 차량엔 sdi전고체 쓰겠네 있는 부자들은 안전에 가격 안따지니까 그러다가 점차 강남부자들 차량도 전고체로 바뀔것 다만 시간 문제 이 시장선점을 sdi가 노리는것 지금처럼 명품시장은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작은 부분이지만 수익이 크다는 점
@nickkim1535 Жыл бұрын
내용중에 캐소드는 음극 표기로 수정 필요해보이네요
@yymygsg Жыл бұрын
이런 고오급 정보를 무료로... 감사합니다 취준하는데많은도움돼요
@warriet29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해주셨네요. 솔직히 전고체 배터리가 양산된다 해도 또한 양산비용이 하락한다 하더라도 결국 가격의 상승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LCD와 OLED TV를 비교하는 차원과 인산철과 삼원계를 비교하는 두가지 차원의 고려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전고체 배터리 차량을 이용하는데 따른 전비의 지속적 하락의 폭이 가격상승을 커버하고 남을 정도로 클지는 알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저는 부정적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관혁김-c5u Жыл бұрын
이기자님 개미들에게 도움을 주세요
@jujungHur-j Жыл бұрын
와~~~~~~~, 역시 삼성이 하면 진짜 다르긴 다르구나~~~~~~~ !!!!, 한방에 전고체로 바로 직진~~~~~~~~~~~~~~~~!! 쭉~~~~~~~~~~~~~~~~~~~~~~~~~~~~~~~~~~~~!! 월드 베스트~~~~~~~~~~~~~~~~~~~~~~!! 이건희를 뛰어넘은 이재용~~~~~~~~~!! 엄청난 삼성 그룹~~~~~~!! 이재용~~~~!! 만세~~~!!
OLED랑 전고체 베터리랑 비교 하는거 부터가 잘못된거죠 티브는 그냥 영화나 뉴스 드라마 등등 보는 수단이고 베터리는 사람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물건인데 표현이 너무 허술하네요 어떻게 tv패널과 전고체 베터리를 비교하는지
@1HADAMADA Жыл бұрын
uam은 수소 아녀?
@user-bu8ff2pb6g Жыл бұрын
👍👍👍
@jrunsa1216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
@남왕5 ай бұрын
전가차 화재는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로 추측합니다.
@galggamagui Жыл бұрын
연구실 단계의 기술적 설명인데 전고체전고체 미몽에 헤메는 사람들 양산에 관계가 없진 않는듯. 기술적인 면과 상용화의 차이 언급하셨지만 특별히 강조하셨으면합니다.
@정민준-z1n Жыл бұрын
누가 하든 좀 빨리 나왔으면.... 우리나라 차들 다 ㅈ되게 생겼어요
@metal28 Жыл бұрын
S 라인에 HANA 라고 하이바에 있더구만요.
@jigsam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를 쓸려나?
@한센스-c8k11 ай бұрын
ai 혹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전기를 엄청 많이 먹는다 평시에는 문제가 안되지만 만약 정전시에는 이 시스템을 그냥 꺼버릴수 없다 그렇다면 배터리가 필요하고 그에 충당하는 용량과 안전성이 필요한데 이부분을 파고들거다
@대성대 Жыл бұрын
삼성 앞으로 고전한다.
@jaelee8292 Жыл бұрын
OLED와 비교는 아닌듯 LCD ->OLED는 소비자들이 넘어갈 필요를 그닥 못느끼지만 전고체는 죽고 사는 문제인데
@sobegang9336 Жыл бұрын
정보력은 좋조. 언제. 개인투자자. 뒤통수. 칠지. 다믿음 안되조
@최도훈-b5y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배터가 무겁다는데 UAM에 쓸수있을까
@seungryulmoon1037 Жыл бұрын
안전이 결부된거라, oled와는 완전히 다르게 빠르게 보급될 거라고 봅니다. 아파트에서 충전하다 불나면 누가 전기차사나요? 또 도로에서 사고만 나면 불타는 전기차! 전고체로 안전해지면 사람들은 안전한거 탑니다. 안전은 돈이 문제가 아니죠.
@너나알아-o1r Жыл бұрын
돈이 문제인데요?? 기업들은 규제법안이 없으면 싼거 사용하지 누가 안전생각해서 사용함??
@ijy1436 Жыл бұрын
ㅋㅋ전고체 자동차보다 내연을 살거같은데요? 세상은 돈이 문제임
@seungryulmoon1037 Жыл бұрын
@@ijy1436 환경문제때문에 전기차로 가는게 안보이세요?
@seungryulmoon1037 Жыл бұрын
@@너나알아-o1r 전기차가 더 비싼데, 왜 만들고 있다고 보나요?
@ijy1436 Жыл бұрын
@@seungryulmoon1037 아니 제가 말씀드리는게뭐냐면 전기차로 가는게 맞는데 일반인들은 전고체로 엄청비싸게 나오면 차라리 내연차 싼거로 살거라는거에요 당연히 전기차 시대로 가죠
@김치-e7p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 들어간 아이오닉5 출시할때까지 숨참는다
@테스트유튜브배우-x5c Жыл бұрын
지금 배터리의 최대 단점이 불타는거잖아? 화재? 그리고 불이 안꺼지잖아. 그러면 당연히, 배터리 최대 단점인 화재를 막는 배터리, 화재를 최소화하는 배터리, 불을 잘끌수있는 배터리, 어떤것이든 그게 나온다면, 그 회사는 매출이 2배이상 늘지 않을까? 너무 당연한거 아니야? 아마도 지금 400km 500km 600km 이번에 유럽인가? 미국인가 700km도 나왔잖아. 이 정도면 내연기관하고 절대 안밀려, 서울에서 부산갈때까지 충분해. 그러면 앞으로 800km도 나오고 900도나올지도 몰라. 그러면, 이제 거기서부터는 더이상 이 얼마나 가느냐의 문제보다, 이제 700km나온시점에서부턴 길이가 문제가 아니라, 이제 화재가 안나는거 안전한거, 당연히 가격은 더 높겠지. 그러니까, 기존 배터리 차량은 화재의 단점이 있는데, 좀 중저가 가격이되는거고, 이제 새로 화재가 안나는 배터리가 나온것은 가격이 더 비싼데 안전한걸로, 중고가 가격으로 나오겠지? 불이 안나는 배터리 개발한 회사만 살아남을지도 몰라. 그 배터리 회사만, 그럴지도 몰라. 왜냐면 사람들은 안전한걸 선호하니까, 물론 그런것이 언제 나올지 모르지. 미래에 근데 분명히 나와. 안나올수가 없어.
@남왕4 ай бұрын
삼성은 기술력으로 합니다.
@Red-lt4cb Жыл бұрын
아니 전문가님 pp 생산ㅡ샘플(시험생산) 양산 ㅡ정상생산 을 말합니다
@yymygsg Жыл бұрын
Bmw i4공처중량 2.1톤 매우 무거움(소나타 1.4톤)->연비 떨어짐 전고체 배터리 쓰면 2톤 이하로 가능
@user_qkqh1122 Жыл бұрын
그게 1.95톤으로 떨어진다는 얘기인데 7% 정도 줄어드네요. 가격 몇배고 중량이 겨우 7% 줄면 그리로 갈까요?
@smlim5299 Жыл бұрын
일단 음극 리튬메탈 덴드라이트 제어 못해 아직도.. 삼성 2010년부터 5년내 양산한다고 했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도 지금드라이룸 수준이 아니라 거의 습도 0수준 구현해야 하는데 양산제어 안되고 황화물계 아직도 양극과 계면 이온전도도 해결 못했어... 아직도 멀었음
@mrkimjy81 Жыл бұрын
대차해지좀 합시다! 너가 너 주식으로 공매도 실탄 주고 있는거라고! 그냥 고객센터 전화한번이면 그 놈들 박살내는건데 가격 떨어진다고 욕하지말고 너가 공매도 너 주식으로 실탄주는 짓이나 하지말라고! 그냥 고객센터에 대차거래 해지해줘! 하고 딱 전화한통화!
@오경숙-v8x Жыл бұрын
하남시 삼성 건물,All반환요!!!!!!X억번~~~스타트요~~~~
@출전 Жыл бұрын
양산 가격도 가격이지만 밧데리는 전도율 좋아야되지 않나요?
@mingfun6 Жыл бұрын
원재료가 우리나라거가 아니니 매달리지말자. 원재료 생산국가에 휘둘린다. 자급자족 할수있는 이퓨얼에 전념하자. 해수 담수화>이퓨얼 생산 올인하면 에너지 국가가 될수있다
@참새와방앗간5 ай бұрын
삼성이든 어떤 기업이든 한다고 말하면 그대로 믿으면 바보이다.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지 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이게 팩트임
@hongdenny2593 Жыл бұрын
전해액업체 망해요 ㅜ
@이미애-x2g1k11 ай бұрын
24년 전해액으로 수입 왕창 먹고 60% 이익실현해서 다른 종목 갈아 타세요
@highelec Жыл бұрын
QLED처럼 말장난 할것으로 보입니다. 그냥 파우치배터리 하겠다는 소리에요
@yymygsg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만드는 압력 3000bar
@스고감 Жыл бұрын
OLED는 삼성이 천천히 들어간 게 시장이 급속도로 열리지 않게 했습니다.삼성이 거꾸로 LG엔솔의 뒷통수를 치고 갈 가능성을 배제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