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안한 생각이 들면 운동하기 2. 감정일기 쓰기 1. 욕구 지연시키기 2. 내가 스스로 약속하고 지키기 3. 스스로 선택하기 4. 주도적으로 움직이기
@thatyousayido Жыл бұрын
1111111111
@지영-w5g Жыл бұрын
😮
@오리날다-b1w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이땅-q4r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유툽전용-y1x Жыл бұрын
ㄱㅅ
@jhh9679 Жыл бұрын
✔️불안해소 1. 몸을 움직이고 운동 : if 사무직 또는 수험생, 필기 (=전두엽 활성화해서 편도체를 약화) * 편도체: 불안을 인지하고 장기기억으로 넘기기 위해 해마를 자극(for 생존) * 전두엽: 이성적 판단, 감정 절제, 의사결정, 의지 등을 담당 2. 감정일기 : 감정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행위자체가 불안도를 낮춤. -> 당시 상황, 감정이름, 감정이 든 이유 -> 감정을 인정 못 하고 회피해서 삐뚤어지는 것과 자기합리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듯...? ✔️ 행동 자제 어려울 때, 전두엽 회복 *주의: 자극적인 것들(ex. 술, 게임, 성행위) 은 잠깐은 도파민을 자극하여 불안이 줄어들지라도, 결과적으로 욕망회로가 가속화되고 통제회로가 비활성화됨. 끊임없이 나의 세상을 자극적인 것들로 채우게될 것. 1. 욕구지연시키기 (ex.이건 다 하고 영화봐야지) 2. 나와의 약속 지키기 (= 외부의 자극에 맞서싸울 때와 동일한 반응) (ex.5분 운동) 3. 스스로 선택하기 (= 도파민 통제회로 성장, 선택하고 인내하는 힘 길러짐) (ex. 내가 자식때문에 힘들게 돈번다 no) 4. 콜라병같은 사람이 되지 말아라. (= 외부의 자극이 왔을 때 즉각적으로 반응할 사람이 되지 말아라. 결정을 선택할 시간을 가져라.)
@박혜원-c8f Жыл бұрын
요약 넘 감사해요
@yojin5038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LDJ0429 Жыл бұрын
굿
@soniatv4311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ssondalove7 Жыл бұрын
모범생 댓글 ♡
@나는매우해피하지 Жыл бұрын
불안하거나 짜증날때 제일 실용적이면서 최고의방법은 청소인듯. 진짜 좋은듯
@요이땅-q4r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호이-l9z Жыл бұрын
인정 세탁기 돌리고 나서의 행복감은 이루 말할 거 없죠
@윤수H Жыл бұрын
ㄹㅇ
@xilblodlix Жыл бұрын
청소끝나면 다시불안ㅜㅜ
@uridurii Жыл бұрын
어 스트레스 받으면 저도 청소하는데 비슷한 분들이 많으시네요😊😊
@rirumi6904 Жыл бұрын
1. 욕구 지연시키기 12:06 2. 내가 스스로 약속하고 지키기 12:42 3. 스스로 선택하기 13:21 4. 주도적으로 움직이기 14:44
@isaiah1745 Жыл бұрын
정리감사합니다!
@zxcvzxc Жыл бұрын
정리 감사합니다 책갈피 손잡아주세요
@dotoryyyy Жыл бұрын
불안속에 살며 자존감도 잃고 남자친구도 잃고 힘들어하다 이러다 죽을 것 같아서 공부했어요 어떻게 하면 불안해지지 않을지. 유튜브 강의영상도 너무 큰 도움이 되었어요 정상적이라는 생각이 안들어서 불안한 것이다. 스스로 정상의 범위를 넓혀라. 그리고 최선의 선택을 하려하지말고 최악의 선택만 피하자. 그리고 스스로 깨닫게 된 불안해소 방법은 나의 선택과 나의 판단을 믿어주기였어요. 내 판단을 믿어주니 나를 믿는 것과 같았고 자존감도 얼추 회복이 되었고 이젠 불안 속에서 벗어나 평안을 얻었습니다. 자기 확신이 저에겐 불안 해소 방법이 되었어요:) 운동과 명상도 추천추천
@Yook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댓글내용도움됩니다.
@dotoryyyy Жыл бұрын
@@YookL 유튜브에 하지현 교수님의 불안하지 않는법 영상을 추천드립니다 그 영상이 너무 큰 도움이었어요 자기가 생각하는 정상의 범위를 스스로 적어보고 본인이 그 정상의 범위에 있다면 인지하세요! 난 지금 정상이구나 라는 것을! 본인의 선택을 존중해주고 믿어주길 바라요 자존감이 흔들린다면 자존감 수업이라는 책도 추천드립니다 운동은 필수입니다 거창하지 않아도 좋아요 10분 20분 홈트나 춤추기만 하고 샤워해보세요 정신이 건강해짐을 느끼실 거예요 힘든 마음이 어느새 눈 녹듯 사라져 평안해지실 바랍니다
@토닥토닥k8 ай бұрын
@@dotoryyyy공감합니다
@B_bee1 Жыл бұрын
제 뇌가 얼마나 망가졌는지 왜 망가졌는지 잘 알 수 있는 영상이네요. 항상 공부하려고 펜을 잡아도 딱 좀 참고 하면 되는데 굳이 다른 일을 찾아서 했어요. 그리고 게임이 별로 하고 싶지 않은데도 그냥 계속 하고요. 당장 공부하려고 하면 막막하고 갑갑하니까 이 기분에서 빨리 벗어나고 싶어서 욕망회로를 강화시켰구나 싶더라고요..ㅠㅠ 통제 능력이 어렸을때보다 더 떨어져버려서 진짜 속상하네요..
@댕냥댕냥-s8w Жыл бұрын
이건 일반적인 사람들이 불안할때 할 수 있는행동임. 범불안장애, 공황 있는 사람들은 호흡 불편하고 신체화증상 있어서 하기 어려움. 그리고 약 먹으면 좋아진다? 는 말은 직접 겪어보지 않아서 하는 말임. 약으로 인한 무기력 때문에 움직이기 힘들고, 설령 약 먹는다해도 증상만 잡아주는것이지 병을 낫게하지 않음. 약 + 운동 + 마인드 셋 + 생각 바꾸기… 다 해야함. 본인이 겪어봤으면 저렇게 가볍게 이야기 절대 못함.
@_bola235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저 모든 걸 다 지키면서 병과 싸우는 게 얼마나 힘들고 고되고 지치는지 해보지 않으면 진짜 모르죠. 힘들었던 생각하니 또 눈물 날 것 같네요😢
@nain-kq6ki Жыл бұрын
저 남자가 정신과 전문의인데 무슨 본인이 안겪어봤으면 가볍게 얘기를 못햌ㅋㅋㅋㅋㅋㅋㅋ 어휴 의사말좀 들어라
@refrigerate_after_opening Жыл бұрын
@@nain-kq6ki 제목이 "약물 치료 전"이에요. 본인이나 알고 말하세요. 치료 경험도 없으신 거 같은데. 정신질환 겪어본 적도 없는 정상인이 정신질환 아는척 하는 게 제일 화납니다.
불안장애는 주위사람들이 이해를 못함. . 그냥 잠 못자는 정도. . 예민한정도라 생각함, . . 하지만 진짜 심각하면 머리가 미치는것같음. . 죽어야되나 싶다가도 살고있고 그래서 일상생활이 힘든상태지만 일상을 살아야해서 결국 사람들과 만나거나 연락을 최대한 줄인다. 인스타도 하지도 못함.
@hyun660247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부모님도 이해 못하시는 걸요.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은 절대 몰라요. 밖에서는 약해보이기 싫어서 이 악물고 밝은 멘탈(?)인 사람인척 포장을하고 살지만, 아침 출근 전, 손이 벌벌벌 떨려요. sns는 가입만 되어있고 절대로 안합니다.
@김다쉬3 ай бұрын
저도 인스타 못함
@WeGood523 күн бұрын
나같은 사람들이 있구나
@오오-e3k21 күн бұрын
저도요..
@koreabushcraftcamper94653 күн бұрын
오늘 정신건강의원 다녀 왔습니다...일상 생활이 안될정도록 불안감과 우울감으로 병원을 찾았습니다. 약을7일치 처방받고 지금 이제 아침약 하나 먹엇습니다....제발 나를 살려줬으면 좋겟다.....너무 힘이 든다....
@Nathan-q5f9c Жыл бұрын
불안해소 1. 나가기 운동 2. 감정일기(구체적) 3. 공부 중(필기) 전두엽 회복 1. 욕구지연( ㅁㅁ까지 하고 하자) 2. 나와약속 지키기 (투드리스트) 3. 모든 것은 내 스스로 선택했다 4. 주도적으로 움직이기 1세대 자기계발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스티브코비?
@재진-h5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토크프로의 단점은 전문가나 초대손님의 깊은 얘기를 듣기 어렵다는거. 고정패널이 너무 많음. 이건 재미요소를 위한 장치인데. 전문가의 얘기가 중간에 끊키는게 잦음. 심지어 어떤 포인트에선 중요한 내용이 이어지는 순간에 불쑥 자극적개입이 이루어지는경우가 많음. 이런땐 짜증을 넘어서 황당함. 미국토크쇼는 호스트가 한명임. 지미팰런 혼자 진행하고 게스트가 많은 이야기를 하게하는데 맨날 보는 패널들 개입을 듵으려고 전문가섭외한건 아닐건데.
@HK-cp1vn9 ай бұрын
맞아요ㅠ 저 선생님 이야기 듣고싶은데, 쟤네들 이야기듣느라 정신이 더없어요ㅠ
@tobimaru73854 ай бұрын
졸라빡침 진짜
@electrickinglogic3 ай бұрын
자세한 내용은 병원을 가셔요... 예능 프로가 님 주치의는 아닙니다. 어디서 공짜로 싹다 빼먹을라고! ㅋㅋ
@콩쟈-s6i Жыл бұрын
나는 하고 싶은 건 해야하는 사람이야! 라는 미명으로 욕망회로에만 의존하며 통제회로를 퇴화시켜왔던 게 아닌가 싶다. 지금부터라도 꾸준한 목표 설정과 성취를 통해 자제력을 길러야지👍
전 정말 감사기도 하루 3개이상을 1년하면서 점점 좋아 졌어요. 불안이 심해서 공황까지 있었는데… 운동도 했지만 생각을 바꾸는 게 중요하더라구요. 현재를 살아야 합니다. 미래나 과거는 생각하지 말고… 현재는 불안이 5%정도에서 10% 정도 남은 것 같아요. 약도 복용하지 않습니다. 처음에 공황이 심해서 불면증도 있었고… 약을 두달 정도 먹고 제가 임의로 끊었어요.
@TeddyBear-dk7tk9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기도 해봐야 겠네요 😢
@young12873Ай бұрын
저도 불안증으로 약먹고 있어요. 매일밤 기도하고 있는데 2달째 먹고 있는데 선생님은 6개월 먹으라고 ㅎ하시네요. 감사기도를 열심히 해야 겠네요
@030-_- Жыл бұрын
공황8ㅡ9년차 만성 인데 진짜 운동은 커녕 걷기조차 너무 불안해서 안될때는 감정일기 정말 도움돼요 전에 입원했을때부터 감정일기 쓰라고 권유 받았었는데 그 후로 쭉 쓰고있네요 처음부터 큰걸 안바라고 온전히 그냥 그래 쓰면 좋다니까 써봐야지 하면 글이 써지면서 집중하게되고 다 썼을때는 불안이 꽤나 사라져있어요!
@uridurii Жыл бұрын
오~ 그렇군요!! 좋아지셨다니 다행입니다!!
@df5123 Жыл бұрын
🙂😊👏👏
@bbangbbababuang Жыл бұрын
감정일기,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최근에 너무 마음이 불안하고 걱정에 휩싸여 있었는데 댓글 읽자마자 일기 썼더니 쓰기 전보다 불안도가 내려갔어요!!
@030-_- Жыл бұрын
@@bbangbbababuang 헷 잘하셨어요!!다들 정말 안아팠으면 좋겠어요 ㅠㅠ...
@햇살-z9f Жыл бұрын
저도 사람 때문에 상처 많이 받는데 감정 일기 꼭 써봐야겠어요
@koreabushcraftcamper94653 күн бұрын
오늘 정신건강의원 다녀 왔습니다...일상 생활이 안될정도록 불안감과 우울감으로 병원을 찾았습니다. 약을7일치 처방받고 지금 이제 아침약 하나 먹엇습니다....제발 나를 살려줬으면 좋겟다.....너무 힘이 든다....
@user-nj2fd7yk7m Жыл бұрын
편도체라는 곳에서 불안을 계속 생산시키는데 그것을 끊기 위해서는 전두엽을 활성화시켜야한다. 전두엽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운동을 한다거나 글을 쓰는 방법이 있는데 감정일기를 쓰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 감정을 느꼈던 상황과 감정을 명확하게 써라. 통제회로(성취를 위해 인내하는 행위에서 도파민을 분출시키는 경우)를 활성화시켜라. 1. 욕구 지연시키기(내 자신을 컨트롤하기, ~까지 마치고 하고 싶은 거 해야지) 2. 내가 스스로 약속하고 지키자(아주 직은 것부터) 3. 스스로 행동을 선택했다는 감각으로 인생을 채워라 4. 주도적으로 움직여라 외부의 자극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마라. 뇌가 결정을 선택할 고민할 시간을 갖자.
@심쿵두루 Жыл бұрын
범불안장애 근처까지 간듯 직장에서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어서 우울, 무기력감 들고 몸이 지치면 불안감까지 오는데 미뤄왔던 약물치료를 받아야겠어요
@jkjk8866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에서 살아간다는게 참 약없이는 살수가 없는 세상인거 같아요
@iamhwp888 Жыл бұрын
그 정도면 퇴사하셔야 하는 거 아니예요? ㅠㅠ 요즘은 좀 괜찮으시길 바래요
@Metoo2121 Жыл бұрын
ㅠㅠ님 육체,정신건강 괜찮으시길요 저 직장 참으며 다니다 소발작와서 약 꾸준히 먹으면서 운동해요.. 계기가 생겨서 한 운동인데 좋은쪽으로 계기가 생기셨으면 합니다!
@김정근-l1p10 ай бұрын
저도 비슷하네요.. 직장문화가 왜그러는지 모르겠어요.. 요즘엔 약먹고 괜찮으신가요?
@앙쿠-h3z9 ай бұрын
저도 미치겠네요..먹고 살려다보니 꾸역꾸역 나가는데 이렇게 사는게 맞나 싶어요
@Godungkitty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정적인 편인데 그럴 때마다 그냥 주절주절 일기를 써봤어요 그러면 맘이 정리가 되고 풀리는 것 같았는데 그게 감정일기였군요
@행복한파인애플-p4v Жыл бұрын
불안이 높은 편이예요. 어린시절에 학대를 경험했어요. 새로운 사람 만나면 불안이 특히 커져요. 일 특성 상 새로운 사람들 만날 때가 많아요. 일처리 하고 나면 들뜬다고 해야 하나, 평소처럼 평온하지 않고 요동친다는 느낌 감지되거든요. 그러면 그이상으로 심장 박동 올리는 운동합니다. 불안으로 인한 요동을 운동 박동으로 바꾸는 거죠. 고통 살짝 따르는 운동한 시간 정도 하다보면 생각도 없어지고 기분도 안정되더라구요. 운동 만만세입니다!!!
@Kimnx-t7k Жыл бұрын
아이키우는 엄마로서 아이의 어린시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어요! 어린아이었을 그때의 그 아이에게 어른을 대신 해서 사과할게요
@이기쁨-f1r Жыл бұрын
@@Kimnx-t7k 대댓글 너무 진짜로 위로되는 말이네요ㅠㅠㅠㅠㅠㅠ
@Kimnx-t7k Жыл бұрын
@@이기쁨-f1r 감사합니다ㅠ 저도 상처받았던 아빠랑 수십년간 연은모르고 살다 돌아가셨는데.. 지금까지 살면서 어린시절 나에게 사과해줬음 좋겠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dntrltlso9 ай бұрын
제 불안도를 너무 표현 딱 해주신듯 똑같네요.
@user-dafdacccc Жыл бұрын
다른 사람들은 진짜 공황 우울증 겪어보지 않는 한 고통을 몰라요,,, ;; 저도 집안 스트레스와 직장 스트레스로 인해서 무기력하고 너무 힘들어서 불면 불안 공황증세까지 왔었어요 그러다가 병원에서도 스트레스관리하라고해서 미친듯이 운동이랑 마인드키퍼 먹고 명상으로 버텼습니다.. 힘드신분들 항상 화이팅입니다
@flo-l6y Жыл бұрын
힘드셨겠어요 감사합니다
@aalee683510 ай бұрын
완벽하게 이겨내기 가능한거죠 ..??😊
@토닥토닥k8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
@비제튜브 Жыл бұрын
우왕.. 8년 만나고 헤어지고 피티랑 요가 등록하고 미친듯이 걸어다니고 있어요.. 밤에는 어플에 계속 일기 쓰고ㅋㅋ 살기 위한 방법들을 잘 찾아서 하고 있었네요ㅎㅎㅎ 2주차인데 아직도 좀 힘드네요ㅠㅠ
@hehiho0-0 Жыл бұрын
헐 언니 괜찮으세요? 저는 1년반 됐는데 제가 먼저 헤어지자곡 했었는데 이제 이사람 없으면 저를 그만큼 좋아해줄사람도 없을거같고 슬프고 힘들어요
@비제튜브 Жыл бұрын
@@hehiho0-0 한 주 정말 힘들고 한 달은 아무렇지 않게 지냈는데 이제 몸이 지치니 마음이 급 무너지네요ㅜ 잘 버텨내야죠ㅠㅠ
@지니-p7d9g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ㅜㅜ 이별은 항상 아픈것같아요. 근데 어쩔수없이 살면서 이별을 경험안할순 없으니..이것저것 몽을 좀 쓰고 생각만했던 취미를 해보거나 하시면서 잘이겨내시다보면 어느순간 잊어지는 때가 오더라구요.
@황선주-m3s Жыл бұрын
너무 잘하시고 계시네요. 잘 극복 하시리라 믿어요. 화이팅♡
@두구-n5e Жыл бұрын
저도 8년이 날라갔어요.. 아직 일주일 안지낛는데. 견디면 행복해질거 아는데 견디기 너무 힘드네요 ㅠㅠ
@서인-j5h Жыл бұрын
운동이나 감정일기가 불안을 해소하는거는 사실임.. 그렇지만 진짜 불안하고 무기력할때는 펜 꺼내고 책상에 앉아서 글 쓸 수가 없음.. 운동은 더더욱. ㅠㅠ
@threeofall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전문가분들이 불안에 대해서 얘기해주시고 그에 대한 극복 방법을 이야기해주셔서 흥미롭게 잘 봤어요 황제성님도 중간중간 지루하지 않게 개그 날려주시는 것까지 정말 완벽하네요 앞으로 불안함을 느낄 때 영상 보면서 따라해봐야겠어요
@tasyamaksimenko2162 Жыл бұрын
개인적 경험으론 격렬한 운동만큼 즉각적이고 확실한 방법은 없어요 어차피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려는 본능이 잇고 중독이 될바엔 건강한 방법을 택하는게 좋은듯
@정햇빛-l8t Жыл бұрын
불안감이 오면 1 불안감을 객관화 해서 보기(호르몬 문제로 실제 아무일도 없다고 되네임) 2 바로 운동감 샤워하고 나면 불안감이 있었나 까먹음
@이거보면행운대박 Жыл бұрын
ㅇㅇ 운동하면됨. 잘먹고 운동하고 잘자면 대부분의 불안감은 사라짐. +이성적 객관적으로 생각하면 더더욱 사라짐. 이렇게 해도 안사라지면 그떄야말로 진짜 치료받아야 할 상황이지 정신상태 안좋은 사람들 보면 대부분 먹는거나 잠자는거나 운동안하거나 셋중 하나이거나 셋다 문제인경우가 많은듯.
@정햇빛-l8t Жыл бұрын
@@user-pi9cy4jn2m 맞습니다 우울증이 심할땐 2번도 힘들지요
@김정근-l1p10 ай бұрын
@@이거보면행운대박 맞아요.. 옛날 어른들 말중에 잘먹고 잘자고 잘싸고 하는게 중요하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예요..
@토닥토닥k8 ай бұрын
@@정햇빛-l8t그럴땐 옆에서 억지로라도 끌어주는 사람이 있으면 좋을듯. 밖에나와서 햇빛만봐도 도움이돼고, 걷기 까지하면 정말 많은 도움이 돼요
@ok-sk7 ай бұрын
되네임xxxxxxxx 되뇌임ㅇㅇㅇㅇㅇㅇㅇㅇ
@actor7186 Жыл бұрын
끌고 가느냐? 끌려 가느냐? 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다이브-w9l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brighten2m Жыл бұрын
내일 병원 가볼까했는데 우선 청소부터 해보려구요
@aronkillvoice Жыл бұрын
불안함을 잘 느끼는 사람이 바로 저에요 무언가 항상 내가 경험한 테두리 안에서 이뤄지길 원하죠... 그래서 경험이 없는 곳에선 더더욱 불안함을.느끼거나 헤어나오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때 극단적으로 불안증세가 심해지더군요 생각의 분산과 정신적 피로도 또는 충만감을 느끼기위해 운동을 하는게 가장 좋더군요 운동을 꾸준히 하니 많이 나아졌답니다♥^^
@joo5053 Жыл бұрын
전두엽(의지)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운동, 펜으로 감정 일기 쓰기.
@말랑하니-n8e Жыл бұрын
티스타힐 싱잉볼을 사용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점점 찾아가고있는데 그동안 제가 공황장애로 고통받을때마다 느끼는 감정을 노트로 솔직하게 써야겠네요... 이걸 누구에게 공유하기도 싫고 부끄러웠는데.. 그리고 누가 이 일기장을 보면 어떻게할까 걱정도했는데.. 나를 정말로 낫게하고싶다면 일기에가다 솔직한 불안한 감정을 써야겠습니다. 2년째 공황장애 환우인데,, 진짜 그 고통이 미칠정도입니다. 사람들이 모여있는곳에도 회피하게되고,, 그렇다고 남들이 공감해주는 상태도아니고,, 명상을하면서 감정 컨트롤이 조금식 되고있기는한데,, 영상에서 말씀해주신 부분도 실천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hr101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나의 터닝포인트가 될 듯!
@이영선-v4m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일기쓰는 습관이 있어 불안일기를 썼었는데 가족들이 저 몰래 일기를 본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부정적인 말들 뿐이라며 일기를 버렸구요.. 그 뒤로 트라우마로 남아서 감정일기도 쓰지 않고 타인에게 말하는것도 어려워서 말도 안하고 살다보니 우울증이 와버렸어요
@러블리션-v9x Жыл бұрын
하아… 정말 가장 가까운 가족에게서… 잘 몰라서 그렇게 한 가족이었겠지만 정말 큰 트라우마로 남으셨겠어요… 부정적인 나의 어려움을 속으로만 담아두지 않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토해내는 게 좋다고 알려진 게 얼마되지 않았기에 안타깝죠…
@kyuuu858 Жыл бұрын
꼭 트라우마를 치료 받고 마음의 평안을 얻으시길 바라요. 끝나지 않을 것 같던 터널은 반드시 끝이나고, 그 끝이 대단한 행복은 아니라도 거기에서부터 이전과는 다른, 조금은 더 나은 삶이 시작되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늘 조금의 불안을 갖고 있지만요. 그런 저 스스로에게도 한번 더 응원의 말을 건네고 싶고 님께도 진심어린 응원을 보태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는데 아직 단풍은 조금 예쁘더라구요. 주변의 아주 작은 행복도 놓치지 않고 마음껏 누리시길 바라요..❤
@lemonaaade Жыл бұрын
일기 아이패드같은데다 써보세요 다른사람이 못보게
@user-ne4uj6nz9l Жыл бұрын
아이고....ㅠㅠ
@mirror7871 Жыл бұрын
저도 한 두 번 일기를 가족이 봤다는 걸 알고 난 이후로 오상진님 말씀처럼 내가 쓴 일기를 보지 않을까 불안이 심해졌네요 최악이네요 최악ㅋㅋㅋㅋ
@에뚜왈-c1f Жыл бұрын
끌고 가는 뇌로 만들라... 넘 좋은 말씀이네요 새겨듣겠습니다!!
@Ciclradayo Жыл бұрын
아 맙소사.. 저는 감정을 꺼내보는게 스트레스라 계속 덮어두고 괜찮다고 다그쳤거든요. 밤에 자려고 누우면 앞이 막막해서 한참을 생각에 빠지니 머리가 너무 아팠고, 그렇게 아침 5시에 잠들길 반복하니 몸상태가 말이 아니에요😢 당장의 스트레스를 견디고 일기 쓰기도 하고 운동도 해야겠습니다ㅜㅜ
편도체를 진정시키는 것은 전두엽 - 전두엽을 가장 많이 자극하는 것은 운동 도파민 회로를 활성화시켜 불안을 누르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것. 이건 장기적으로 봤을때 뇌를 지키게함.
@이현지-i8n Жыл бұрын
황제성님 진짜 역할을 잘 해주신다!! 자칫 잘못하면 지루해질 수 있는데 계속 센스있는 유머 던져서 재밌에 봤어요!
@빈따리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옆에서 계속 개그치는거 넘 웃김 ㅋㅋㅋㅋ
@hvgd4851 Жыл бұрын
진짜 개웃겨요 벽에 머리를 세게 부딪히나요(?)
@웃는얼굴-t1d Жыл бұрын
황제성이 감초역할 해서 다행히도 재밌게 봣어요
@AprilandGREEN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중간중간 지루해질 때쯤 ㅋㅋㅋㅋ 재밌어여
@zoN1c. Жыл бұрын
불안만있음 버티기라도 하는데요 신체화때매 위장장애 어지러움 호흡불편 답답 등 너무 힘들어요
@장미선-m4p7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도 똑같은증상이라 공감이되어 글 남겨봐요 지금 신체화증상이심해서 약을먹어야되나ㅜㅜ 약먹는거조차도 불안해서 어떻게해야될지 모르겠네요ㅜㅜ 공감되어 글 남깁니다
@zoN1c.7 ай бұрын
@@장미선-m4p 저도 지금 4년넘었는데요 증상심할때 진짜 죽고싶을저도로 힘들고 호흡안되고 하는데 아직까지 약은 안먹고있어요 먹으면 바보된다그래서 어떻게 이렇게 버티고있는데 증상나오거나 심할땐 정말 너무 힘듭니다 이게 심장이나 몸에 이상있는 건 아닌지 그정도로 고통스러운데 검사하면 몸에 이상은없고.. 이게 다 정신적인 거라는게 신기할따름이에요.. 뇌에서 뭐가 고장나서 이러는 건 확실한 것 같아요 점점 약에 도움을 한번 받아볼까 생각하고있어요ㅠㅠ
@장미선-m4p7 ай бұрын
말씀 정말 고맙습니다 그리구 이해가되고 공감이됩니다ㅜㅜ 신체화증상이 소화기장애 어깨아프고 두통 흉통 심장통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등 젤 힘든건 밥을먹으면 목에서 넘어가질않아 목이막히는 가슴답답함이생겨서 공황과불안이와요 그래서 먹고싶어도 먹지못하고 물만먹네요 처음 시작했을때 같은증상으로 병원을다니고 도저히안되 1년정도 약을먹고 그러곤 4년동안 컨트롤할만큼 약끊고 지냈어요 그렇지만 스트레스에는 취약하더라구요 또 약을먹어야될까할정도로 완치는 아닌거같아요 근데ㅜㅜ 갑자기 어떤계기로 호흡을 컨트롤못하고 119를 불렀네요 그길로 일주일째 신체화증상인지 아닌지 집안일도 쉽지않고 아이는 아이데로 방치인거같고 사는게 사는게 아닌거같아요 저도 내일은 약을 타보려구요 먹어야될텐데 먹을지 모르겠어요 ㅜㅜ
@zoN1c.7 ай бұрын
@@장미선-m4p 글만봐도 얼마나 힘드실지 상상이갑니다. 이병이 정말 엄청 외로운병이에요 겉으로보면 멀쩡하거든요 누가알아주지도못하고요.. 차라리 어디가 아프면 좋겠어요 .. 삶의 질이 너무나도 떨어집니다.. 몸도 정상이아니고 너무힘들죠.. 저는 증상생기고난후 바로 술담배도 죽을 것 같아서 끊어지더군요ㅠ 끊은지 5년되가네요.. 커피도 쥐약이라 커피를 엄청 좋아했는데 마시지도못해요 마시면 바로 반응와서요.. 이병이 겪어본사람만이 알아서 남이보면 아무도몰라줍니다 ㅜㅜ
@hahahoho162 Жыл бұрын
불안하다고 피하고 비난 받을까봐 예스만 하는게 딱 저네요.. 지금 부턴 두번 생각해 보고 행동해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RainyDream344 ай бұрын
술을 1년정도 미친듯이 먹었죠....남은건 정신적 고립과 질병....여러분 술로 하루하루 버티는건 최악입니다 안되요...제가 실험체가 되어서 증명하였습니다😢
@메이jun Жыл бұрын
넘 좋은 영상이네요 나만 그런게 아니고 다들 털어놓고 편안하게 얘기하는 분위기 넘 좋아요~~ 몸을 움직이면 진짜 맘이 가볍더라니 ㅋ
@이명수-k8v11 ай бұрын
약 먹는건 좋다 근데 끊을시기가 온다면 그땐 어떻게 끊을것인가?
@QWEG11 Жыл бұрын
와.. 나이 40에 담배 끊고 운동 시작하신 아버지는 진짜 대단하신 거였네
@EunJeongMaeng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패널분들도 과하지 않은 리액션과 스마트한 질문들 해주셔서 이해도 올라감
@Suho1104 Жыл бұрын
규칙적으로 제 일과 운동을 하다보니 불안도는 낮아지더라구여 다 제가 선택햇슴다
@DOG-sihoo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롯데 야구볼때 많은 도움이 되는군요
@쌉쌀-z6k9 ай бұрын
백만불짜리 강의네요👍 요즘 많이 불안했는데... 그래서 허리에도 담이 붙고 목에도 담이 붙고. 불안의 정체를 모른채 불안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상황만 따라서 흘러가다보니 불안이 점점 커져서 나중에는 신체화 증상까지 나타났지요. 알려주신 좋은 방법들 기억하고 실천해보렵니다.
@해늘-y4h6 ай бұрын
고3때는 운동도하고 공부도하고 그림도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많이하다보니 불안이라는걸 느끼지않았는데 대학 휴학하고 쉬다보니 불안이 심해짐..역시 사람은...일을해야하는 건가봄..
@중용-v6c Жыл бұрын
음식 운동 독서 수면 긍정사고 일의성취감 따뜻한 가족 친구 감사 이것이 최고의 건강법
@구슬봉5 ай бұрын
너무 힘들단 생각.. 괴롭단 생각.. 결국 죽음까지 이어지는데, 웃긴건 이런 불안함은 내 몸이 무척 편안한 상태에서 생산됩니다. 침대에 누워서. 쇼파에 앉아서. 운전을 할 때 등 몸이 거의 정지된 상태로 별 움직임이 없이 생각만 할때 발생된다는. 노동이나 운동을 할때 처럼 몸을 심하게 쓸때는 불안이 잘 들지 않습니다. 무조건 몸을 일으켜야 합니다. 이것도 습관을 들여서 최소화 시켜야하죠. 방치하면 큰 문제가 될수 있어요. 또한 이런 증세가 있는 사람은 무조건 카페인 끊어야 합니다.
@또로미-j1s5 ай бұрын
그래 내 몸이 편안한 상태긴 하구나 라고 깨닫게 되는 댓글이네요. 변명이고 핑계도 맞지만 코로나 시작하고 어린 나이에 무작정 친구랑 시작했던 사업이 망했거든요. 함께 했던 동업자이자 친구는 가족들과 사이도 좋고 가족들과 다른 장사를 하면서 결국 잘 나가고 있는 거 같은데 저는 집이 경제력으로 어렵진 않아도 화목하지 않아서 부모님의 도움을 받기도 어렵고, 잘 사는 편에 속하면서 가정이 화목한 친구들이 많다보니 그 사이에서 저 스스로가 혼자 비교를 하며 끝이 어딘지도 모르겠는 어두운 터널 속에 있는 느낌이거든요 제 몸이 편하긴 한가봐요. 이런 부정적인 생각만 생산하는 거 보니… 제가 잘하는 것도 없는 거 같고 공부도 못 하고 폭력가정에서 자라서 성격도 모난거 같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풀어야 할 지 모르겠는 문제투성이 처럼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happygolucky-n5x14 күн бұрын
일을 쉬는 것보다 오히려 일을 하는게 낫겠네요?
@푸행-q9w Жыл бұрын
감정일기 쓰는 법에 대해서도 좀 알려줬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계속 mc들처럼 데스노트 쓰게 되네요...
@가즈아아름답게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듣고있습니다 양떼들입니당 ㅎ
@lippple22 ай бұрын
나도 불안장애로 진짜 힘들었음. 지금도 완전히 나아지진 않은것 같음. 작은 걱정이 계속 커지면서 밤마다 잠도 못 자고, 하루 종일 긴장 상태로 지내다 보니 몸도 지치고 소화도 안 됨. 병원 갈까 고민했는데, 약물 부작용이나 내성 얘기 듣고 너무 겁나서 고민하다 못 감. 불안이 심해질수록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계속 분비돼서 불면, 피로, 소화불량 같은 증상까지 더 악화된다고 하더라. 그래서 불면카페에서 코르티솔을 조절한다는 마음포레 먹어봤는데, 몇 주 지나니 잠도 좀 더 잘 오고 긴장도 조금씩 풀리는 게 느껴짐. 물론 상태가 심하면 병원을 가야겠지만, 약물에 대한 두려움 있는 사람들은 이런 대안도 괜찮은 거 같음. 중요한 건 이렇게라도 꾸준히 관리하면서 스스로를 돌보는 거라고 봄. 특히 리보트릴 먹는 친구들은 부작용 꼼꼼히 보고 감당가능하면 복용하삼. 한번만 먹어도 내성이 장난 아니더라.
@jumijeong3771 Жыл бұрын
욕구를 미루는 연습을 하기 스스로 약속을 하고 지키자 내 뇌 지키는방법 약속을 하고 지키는 과정이 내가 주도적으로 외부의 자극과 맞써 싸울때와 유사 스스로 선택했다는 느낌을 주기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중요 주도적으로 움직이기 외부의 자극이 들어왔을때 바로 반응하는 사람이 되면 안된다
@PP-uf5jl7 ай бұрын
10대,20대에 부모님이 자주 싸우는걸 보고 가족이 독이라는생각에 밖으로나가 살고있습니다. 혼자서 잡념할때에 부모님이 자주 싸우는 장면이 생각이 들더군요. 저의 경험상으로 자식들앞에서 부모가 싸우면 자식은 정서적으로 불안을 느끼게 되고 성인이 되어서도 나아지지않게 되더라구여. 학창시절에는 말도없어지고 학교에가서 왕따까지 당하는일까지 이어지더라구요. 그래서 느낀점은 가정이 화목해야 다른일들도 잘 될 수있다는 가화만사성이라는 말이 떠오르더라구요. 내가 나중에 부모가 되면 절대로 자식앞에서는 싸우는모습을 보여주면 안되겠다고 생각이들었습니다.
@지니이-u6r8 ай бұрын
그 끄적이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불안이 좀 낮아지는 걸 경험해봄. 너무 불안하면 책펴두고 필사 해 보는 것도 방법
@HJ-xg3sf Жыл бұрын
와 내용 너무 좋아요. 해외 사는 교민인데 원래 양브로 팬기도 합니다. 듣게되어 너무 영광이고 감사합니다. ❤
@연우-q9z8 ай бұрын
공항장애는 진짜 안겪어본 사람은 상상도 못할 고통입니다..일단 숨이 안쉬어 집니다 숨쉬려고 발악을 해야 일정시간이 지나야 그나마 괜찮아지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까지 느껴지기도 해요 잠안오는건 기본이고 늘 공포감 같이 불안합니다..
@토닥토닥k8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 너무 열심히 살아서 그럴수도.. ㅠ
@kyeongheehyeon5148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20년되니 .. 극복되고 이제 자유롭습니다 지금은 그때의 고통이 나를 사람답게 만들었다고 생각해요 항상 감사하고 삽니다.
@lalalanolga8 ай бұрын
진짜 이 길지 않은 영상에 좋은 핵심이 다 들어가 있네요. 두고두고 봐야겠네요
@kimchibbq524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
@dmdkdmdndmdl10 ай бұрын
3:40 치료법
@brighten2m Жыл бұрын
불안해서 자꾸 먹게 되고 생각난 음식을 안먹으면 불안해서 다른일을 할수가 없어요
@bookcow_lvuplife9 ай бұрын
성인adhd 진단받고 치료중인데 이 영상을 보니 불안장애가 바탕이 된게 아닐까 생각해보네요
@hshlhj6 ай бұрын
갬정일기 쓰고 누가 볼까봐 더 불안한 사람 여기 한 명 추가요😢
@랄라라-n7w4 ай бұрын
파쇄기에...
@handmade_woo Жыл бұрын
좋네여 이런저런 영상들 많이 보고있는데 디테일한 행동할수있는 내용인거같아여 감사합니다
@2mae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Qwedhxub7 ай бұрын
디스크 때문에 허리가 안좋아져서 계속 아파지니까 그때부터 고등학생때 친구관계든 공부든 다 미루고 하고싶은것만 해야지라고 3년동안 그렇게 산거같아요.. 지금은 20살이고 반수할려고 하는데 .. 너무 고칠려고 하니 힘들어요 친구들도 저를 많이 떠나고요...
@민뻑가Ай бұрын
양재웅씨 사랑합니다
@Whatissss Жыл бұрын
15:42 바로반응
@seanlee9235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한테 너무 많이 해당되는 말들이네요..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중 모든 상황이 다 저에게 필요한 것들이네요..조금씩 성취자극을 느끼려고 노력하겠습니다.
@Lee_1004_Love4you Жыл бұрын
10년째 수면제못끊어요. 온갖 약 다먹어봣죠. 지금 다시먹긴하는데. 갑상선 수술해야해서 공포감이 말이아니라.. 이겨낼수잇어요 솔직히말씀드릴게요.제가 이겨내봣어요. 근데 수면제는 못끊엇어요.. 하루두탕뛰고 일을해도 몸을 힘들게해도 잠이안오더라구요.. 약먹다가 안먹으면 엄청힘듬니다. 진짜 의사분들이랑 예기한담 끊으세요. 길가다 쓰러집니다. 임의대로끊으면. 꼭 의사랑상담하세요
@소울메이트-f7z Жыл бұрын
심하게 너무 긴장하고 불안하면 과호흡이 쎄게 오고 숨이 잘 안셔지고 어지롭고 손과 몸이 저리고 머리가 띵 해서 죽을 것 같은적이 몇번 있었는데 약 먹어야되나요?
@김지혜-f2e1v Жыл бұрын
공황같네요~~
@lavita6928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추추-t9p Жыл бұрын
강의내용 너무 도움됐어요 감사합니다!
@Wellness_aloha11 ай бұрын
실질적인 솔루션이 많아서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감사해요!!
@이담-z1j10 ай бұрын
기록으로 남길때 누가볼지도 모르니 전 적고 찢어서 버립니다~~~ 😅 몰랐는데 20년전 화병?불안증 그런거 있었는데 최근에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해써요 그때나 지금이나 말못할 사연이 있을때 그상황을 덮고 오랜 시간 흘렀을때?그런거 같아요 ㅜ 최근엔 증상이 소화불량 어지러움 메스꺼움이네용 휴 세수도 힘들때가 많아요 불안해서 ㅜㅜ
@Mark-o6l6i Жыл бұрын
사람은 가만히 있으면 불안해집니다. 몸 움직이면 불안함 사라져요. 핵심은 몸을 정적에서 동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써니-v3f4e11 ай бұрын
마자요 혈액순환안되고 몸이더아파요😢
@정콩순-l5n11 ай бұрын
아 그러게요. 잡생각도 많고 밤에 자려고 누워있으면 부정적, 많은 잡생각들이 머릿속에 둥둥. . 짜증나네..ㅠ몸을 움직여봐야지ㅠ
@ThePurpleMyDreams Жыл бұрын
넘무유익하다..
@realinfo552 ай бұрын
와 진짜 불안감 생길 때마다 편도체 얘기 너무 공감되네요ㅠㅠ 저도 한번 생각에 빠지면 진짜 끊기 힘들더라구요... 요즘 그런 불안 때문에 잠도 잘 못 잤는데 마음포레 먹고 조금씩 괜찮아졌어요~ 근데 하루에 두 알 먹는 게 은근 귀찮을 때도 있어요ㅋㅋㅋ 그래도 효과는 있어서 꾸준히 먹는 중이에요!
@codls823 Жыл бұрын
요즘 일기를 쓰면서 하루를 마무리하고 PT수업을 받으며 운동을 시작했는데 영상의 내용이 너무 와닿고 신기해요.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승욱-s8k Жыл бұрын
의사가 멋지시네요
@PPakQ Жыл бұрын
전 운동을 심하게 하면 불안해서 손발이 저리고 가슴도 답답하고 그런데 불안장애 맞죠?? 그런 블안장애도 걸어야 좋아지나요
@중용-v6c Жыл бұрын
소금. 물. 구충제. 수면.
@REXLEE-qm3eg6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러블리션-v9x Жыл бұрын
정신건강의학과를 만9세 내 아이가 가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거기서 처방받아 온 약은 전혀 아이의 불안감을 낮춰주진 못했고 약의 부작용인지 급격한 식욕저하로 일주일 새 2키로나 빠지게 되었어요. 오늘 우연히 보게 된 이 영상이 5분 후다닥 아이와 이야기하고 약만 처방해 준 같은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선입견이 조금 씻겨지네요. 심리상담센터 예약을 해 둔 상태인데 이 방법도 제가 노력해봐야겠어요.
@러블리션-v9x Жыл бұрын
근데 제 아이는 아직 어려 성인들에게 가능한 이 방법을 어떻게 설명해주면 좋을까요. 그냥 같이 영상을 보며 이야기를 나눠볼까요
@sunniekim Жыл бұрын
놀이치료부터 시작하게 될겁니다
@jik8168 Жыл бұрын
전두엽을 회복시키는 방법 -욕구지연: 숙제끝내면 놀게해줄게 -나와의 약속 지키는 연습: 주도적으로 외부자극과 맞서 싸우는 효과 -내가 스스로 선택해서 행동했다(주도성): 도파민의 통제회로 개발. 스스로 선택했다는 감각으로 삶을 도배해야 함. -콜라병 같은 사람이 되지 마라: 외부자극에 즉각 반응하는 사람이 되지 마라. 결정을 선택할 시간을 갖자.
@움파룸파A Жыл бұрын
정말 도움되는 영상이였어요 영상보고 바로 필기하기 시작했어요 감사합니다..!!
@정윤서-d8kАй бұрын
스스로 선택했다는 감각으로 인생을 도배하라는 얘기가 도움이 되네요 뭔가 남 눈치 너무 심하게 보다가 결국 아무것도 못하는 악순환을 끊기에도 도움이 돼요
저도 불안장애 우울장애 치료 오래 했는데 몸이 아파서(관절이나 근막 통증 때문에) 운동 못하게 되면 우울감이 심해져요...😢
@달콤한장미-q2p Жыл бұрын
@@refrigerate_after_opening 뭔지 너무잘알것같아요..~~
@토닥토닥k8 ай бұрын
요즘들어서 나도 모르게 불안장애가 생기게 됀것같더라고요. 어떨때는 잠도 제때못자고, 가슴도 뛰고, 숨도 답답할때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요즘은 살면서 중요하지않은 문제는 ,양보하는 마음으로살고 ,아니면 그냥 놔~ 버립다. 그리고 하루하루를 긍정적으로 살아갈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시간날때마다,내가 재미있고 , 즐거운놀이나 취미를 할려고 합니다.. 세상 재미있는게 없다고 생각이돼면, 일상에 사소하고 조그만것들에 고맙고, 감사하다고 생각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부정적인 생각을 안할려고 최대한 노력합니다~.
@제로썸게임 Жыл бұрын
도파민이 고갈되면 다시 스프링처럼 더 자극을 요구하는 도파민 자극이 필요 하다는것에 이해가 되네요 그래서 술없으면 아님 잠이라도 안자면 그리 승질 내는건가봐요 화가 더더더 커진대서 도대체 그게 뭔말인가 했거든요? 그게 이거였네요 그래서 그리 술을 마시나봐요 맬
@gmjmpwtwjdgmp4 ай бұрын
멘탈이 한번 나가면 진짜 고치기 힘든데 마지막 말씀에 크게 깨달음을 얻었어요. 저도 제 자신에게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이쁜시아6 ай бұрын
전문적인 검사 결과 우울증 코드 2가지,공황장애,대인기피증..등등 많은 병명 진단 받았고 하루하루 너무 고통스러운데 저에게 도움되는거 같습니다 공황발작이나 극도의 불안 느끼면 밤이든 낮이든 수없이 밖으로 뛰쳐 나가고 잠오는데도 공포로 잠들지 못하는 날들이 많습니다 아프지만 극복하려고 많이 애쓰고 있어요 언젠가는 저에게도 행복이 왔음 좋겠어요 끌려가지말고 끌고가라는 말씀 깊이 새겨들을게요 좋은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Rinpndip Жыл бұрын
15:10 너무 공감이에요 응답을 무의식적으로 바로 해줘야 한다는 불안이나 부담감이 진짜 커요ㅜㅜ
@jungheeahn988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TeddyBear-dk7tk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불안증으로 상담하다가 의사가 약을 처방해준다고 했음. 그 약을 처방해줘도 어떻게 먹냐고 했음. 그약을 먹으면 죽을꺼 같은 공포가 지금 스멀스멀 올라온다고 하니깐 과묵한 의사가 갑자기 빵터짐. 정신차리고 웃음을 찾는데 나도 갑자기 빵터짐 😂 갑자기 우울하다가 웃으니 기분이 좋아졌음.
@user-pu7tl7mx4l17 күн бұрын
곁에 친구들이 없으니까 미친듯이 불안해져서 운동 매일 할려구 결심했어요 이런 불안함을 이겨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