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 성격을 개선하는 방법? 이것부터 시작해보세요

  Рет қаралды 1,342

관계날씨TV

관계날씨TV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5
@이시대-u1s
@이시대-u1s 11 ай бұрын
오오.. 이거 은근히 흥미로운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므로 어느정도는 의존이 필요하다고도 화두를 여셨잖아요? 근데 생각해보면 의존성과 독립성, 그리고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의 본성은, 꼭 외로움이나 심리적 차원의 문제로만 그치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은, 단순히 그 인간의 행복감 뿐만 아니라, 경제의 활성화라거나, 지식의 확장과 심화 및 교정에도 결부가 되고, 의존성과 독립성의 문제는 나아가 실천과 경험으로부터의 학습과도 결부된다고 생각하거덩요. 사회적인 사람이라면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복지, 경제현황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살림살이도 좋아질 수 있고, 취미생활, 사람들의 가치관 등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진로나 개인적 흥미, 행복감 등을 증진시킬 수도 있고, 사회에서 겪은 정보들.. 예를 들면 택시기사에게 들은 정치적 이야기나, 먹고살기 힘든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사회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까지 하거나 정보를 알아보기도 하고, 심지어 과학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알게되거나 몸소 체험함으로써, 과학을 공부하거나, 그 자체로 생생한 과학 이해를 얻을 수도 있죠. 근데, 여기서, 만약 사람은 의존적일 때 학습에 유리한가, 아니면 독립적일 때 유리한가 하면 저는 일단 둘다 나름의 유리한 면이 있고, 다만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이 있거나 각자의 세부적 경향성을 띤다고 봐요. 예를 들면 스스로 생각하는 학습, 스스로 현실에 대처하는 도전정신, 비판적 사고, 이론의 창조나 어떠한 사상의 발명 같은 건 분명 독립적인 사람에게 유리하겠죠. 하지만 이러한 독립성만으로 모든게 해결되느냐 하면 아니라고봐요.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도 어쩌면그거고, 인류가 문명을 세우고 문자와 사회적 교육의 체계, 문명의 전파와 계승을 이해한다면 자명한 사실이죠. 예컨대, 아리스토텔레스는 당대에 빛나는 지성이고, 현대에서도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지성인으로 꼽히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평가는 당시 시대 기준으로 전체속에 상대화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봐요. 즉 지식인의 업적을 전체 역사에서 평점을 매긴다면, 결국 시대적 맥락을 고려하게 된다는 것이죠.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다시피, 인종차별주의자이자 여성비하적이었고, 그의 과학 이론은 관성의 법칙 등이 등장하거나하는 등 후대에 폐기되거나 수정된 게 많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이 무의미한 것은 아닙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3단논법을 비롯한 논리학의 정립을 따지지 않더라도, 원래 잘못된 이론이라도 일단 세워지면 그것은 그것을 비판케하는 욕받이가 됨으로써 새롭고 더욱 정확한 이론으로 나아가는 징검다리가 될테니까요. 실제로 한 말인지는 모르겠으나 흔히 뉴턴이 했다고 전해지는 말이 있습니다. "나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내려다봤을 뿐이다." 만약 과학 천재인 뉴턴이라 하더라도 고대 그리스에 태어났으면 과연 만유인력의 법칙과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같은 이론을 냈을까 의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어느정도 의존적 성격이 사회와 학문의 장으로 적응케함으로써 지적능력을 발달시키고 역으로 독립성을 오히려 기르게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런 경우, 학교에서나 사회를 살다보면 어느정도는 독립적이길 요구하거나 그러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학습이라는 것도 체계성이 중요한데 독학하는 것과 체계적으로 단계를 밟아가고 적절한 바운더리 내에서 전문화를 통한 학습과 지식인들과 토론을 나누며 학습하는 것은 차원이 다르죠. 그런 의미에서, 문명인으로서는 의존적 성격을 갖출 줄도 알아야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봐요. 그리고 사실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거나, 물건을 도둑 맞은 경우도 주변 어른이나 경찰등에 협조를 요청해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데 이 역시 의존성은 필요할 것 같네요.
@SoondaePark
@SoondaePark 9 ай бұрын
2:54 외로운시간을 견디는게 진짜힘들었는데 비워낸만큼 성장하더라구요
@user-gc3yy5lg2j
@user-gc3yy5lg2j 11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최근에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 힘들었는데, 제가 의존형 성향이라서 그런 것 같아요. 앞으로는 내 기준에 맞춰 스스로 결정하고 스스로 행동하고, 외로움을 견뎌볼게요! 오늘보다 더 나은 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liveage2555
@liveage2555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도움이 된 거같아요 ❤
@TV-ey3je
@TV-ey3je 2 ай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정말 기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육아필수강의#01 뇌발달_신의진 콕 TV
18:44
신의진 콕 TV
Рет қаралды 187 М.
임상심리 병원수련: 준비 과정 썰!
13:06
내 안의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158
Wait for the last one 🤣🤣 #shorts #minecraft
00:28
Cosmo Gu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Kluster Duo #настольныеигры #boardgames #игры #games #настолки #настольные_игры
00:47
당신이 거절을 힘들어하는 이유 (의존성 성격장애)
6:09
강한 멘탈 만드는 자기훈련 방법 [유세미의 직장수업 TV]
22:10
유세미의 직장수업
Рет қаралды 150 М.
Wait for the last one 🤣🤣 #shorts #minecraft
00:28
Cosmo Gu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