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심없이 수용한 지혜들 이면에 숨겨진 억압과 착취 I 이달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08,704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Күн бұрын

파이아키아의 특별한 코너 '이달의 책'📖
이동진 평론가가 직접 읽고 추천하는 6월 최고의 책!
🔖 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
00:00 인트로
02:33 이 책의 특징
04:20 첫 번째 프레임 『과학』
14:55 두 번째 프레임 『문자』
23:04 세 번째 프레임 『법』
36:28 오늘의 추천 영화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B다이렉트샵에서 신규가입하면 도서 구매 무제한 할인!
👉도서할인 더 알아보기: bit.ly/3ITHFAy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윈드 리버] - bit.ly/3XDmifk
#이동진 #세계를움직인열가지프레임 #세계사
※ 욕설, 비방, 광고성 댓글은 삭제 조치될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178
@btv_piarchia
@btv_piarchia 4 күн бұрын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bit.ly/3sFdGHY B다이렉트샵에서 신규가입하면 도서 구매 무제한 할인! 👉도서할인 더 알아보기: bit.ly/3ITHFAy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bit.ly/3lsXdmZ 🎬오늘 영상에 나온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윈드 리버] - bit.ly/3XDmifk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btv_piarchia
@btv_piarchia 4 күн бұрын
02:33 이 책의 특징 04:20 첫 번째 프레임 『과학』 14:55 두 번째 프레임 『문자』 23:04 세 번째 프레임 『법』 36:28 오늘의 추천 영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ltramarineblue4147
@ultramarineblue4147 3 күн бұрын
내용을 전달하는 스킬이너무좋으세요. 과학든 법이든, 승자의 뷰에 따라 만들어진것이죠. 미래에는 현재와일치하지않을듯
@user-bf6vz9ci9w
@user-bf6vz9ci9w 4 күн бұрын
믿고사는 이동진님~~ 아름다운 몇권의 책들 잘 읽고있습니다
@summer9008
@summer9008 4 күн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dv6pl4qj6q
@user-dv6pl4qj6q 3 күн бұрын
출근길.....❤ 신이 납니당
@kbj8967
@kbj8967 4 күн бұрын
법과 법적 정의에 대한 말씀에서 사고해볼 부분이 많아보입니다.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
@user-gl9dw6wr6u
@user-gl9dw6wr6u 3 күн бұрын
다양한책소개해주셔서감사해요
@mimesis.
@mimesis. 4 күн бұрын
영화 컨텐츠도 좋지만, 문명과 다양한 분야의 "역사" 에 대한 텍스트를 알려주실 때 훨씬 유익하고 좋습니다. (이동진씨는 역사에 대해 정말 해박하신 것 같아요.)
@user-lh5pt7ym4z
@user-lh5pt7ym4z 14 сағат бұрын
역사는 역사학자들한테서 들으세요
@qkrtkdrud
@qkrtkdrud 4 күн бұрын
이달의 책이다🎉❤😎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zv2bv5oc2f
@user-zv2bv5oc2f 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user-hv6iy1lq5w
@user-hv6iy1lq5w 3 күн бұрын
이번 책추천은 못참겠네요... 바로 사러 갑니다
@user-ob7nw9qj5n
@user-ob7nw9qj5n 2 күн бұрын
와 정말 작가님 덕분에 너무 좋은 책들을 알게 되네요😂❤
@user-qw8be2jm6k
@user-qw8be2jm6k 4 күн бұрын
과학 분야는 제가 지식사회학 수업을 들었을 때 배운 내용이랑 똑같아서 놀랐어요😮 역시 인문학적 사고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ZuWu-qh8tb
@ZuWu-qh8tb 3 күн бұрын
동진이형 사랑합니다 😉
@user-ii8mw2dk3q
@user-ii8mw2dk3q 2 күн бұрын
이동진님 4년전 여름에 대만 영화 반교에대한 한시간정도의 해설 많이 재미잇게 들었는데 유투브에서도 듣고싶습니다~~
@user-dy1sy8ly4q
@user-dy1sy8ly4q 2 күн бұрын
오 좋은책 츄천 감사합니당
@user-cf2xr5ny2j
@user-cf2xr5ny2j 4 күн бұрын
좋아요~
@user-ke5sh2if4j
@user-ke5sh2if4j 4 күн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rx1vv8xp1y
@user-rx1vv8xp1y 11 сағат бұрын
흥미롭게 잘 보았어요 굉장히 궁금한 챽이네요
@JeongEunKang
@JeongEunKang 7 сағат бұрын
동진님이 2월에 추천해주셨던 컬쳐, 그리고 동일한 작가의 글이 만든 세계를 너무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번달 책도 기대됩니다!!! 세계사를 다양한 에피소드로 접하니 정말 재미있어요 ㅎㅎ 그리고 중간 광고가 인상적이네요 동진님도 꼭 책 할인받으시길,,,,
@guarder40213
@guarder40213 4 күн бұрын
좋아요
@gterryok
@gterryok Күн бұрын
시대를 꾀뚫는 지혜를 선택하라는 감동을 주시네요.
@daniellee616
@daniellee616 4 күн бұрын
요즘 책소개 영상이 자주 올라와서 좋아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sjcho777
@sjcho777 3 күн бұрын
일단 사고봅니다
@mooonmoon1104
@mooonmoon1104 4 күн бұрын
구입 완료❤
@user-bs6qw7gn8t
@user-bs6qw7gn8t 4 күн бұрын
오늘 도끼 다보면 이책읽어야지
@in_my_opinion_is_official
@in_my_opinion_is_official 4 күн бұрын
외계인 문명드립치는 이유 설명하는거 재밌네용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GK63981
@GK63981 10 сағат бұрын
31:30 이 알림음 들릴 때마다 핸드폰 경고음인 줄 알고 깜놀해서 알림바 찾아보게 됨...
@passionleader29
@passionleader29 3 күн бұрын
이달의 책에서 소개되는 책들이나 평소에 읽으시는 신간들은 어디서 찾으시는걸까요?
@miraaacle21
@miraaacle21 3 күн бұрын
굿
@user-nu7yr5wh5z
@user-nu7yr5wh5z 4 күн бұрын
책 소개~ 넘 좋아요^^ 읽지 않아도 시청하고 나면 읽은 것 같은 착각~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user-ep5cl9no8e
@user-ep5cl9no8e 4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똑똑함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4 күн бұрын
과학철학을 정규교육과정에 넣을 시기가 온듯
@taehyun285
@taehyun285 4 күн бұрын
수능에서 미적분이나 빼지 말아주세요..😢
@disposableanchovy
@disposableanchovy 4 күн бұрын
대학에서 기초과목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죠
@millersong3529
@millersong3529 4 күн бұрын
@@taehyun285 멘탈리티가 수능에서 못 벗어난다니 안타깝습니다.
@taehyun285
@taehyun285 4 күн бұрын
@@millersong3529 그러면 정규교육과정에 과학철학을 넣자는거는 정규교육과정에서 벗아나지 못한거냐 ㅋㅋ
@페드리
@페드리 4 күн бұрын
​@@taehyun285 최소한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못벗어나는 사람이라는 건 알겠네요 왜 그렇게 부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계시는지
@annie1q84
@annie1q84 3 күн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
@SEOKJONGPARK
@SEOKJONGPARK Күн бұрын
사회 제도의 성격을 규정하며 정치와 사회적 사상의식의 기초가 되는 것은 생산양식이라 말한 공산당 선언이 생각났어요. 도발적이라 책을 읽게하는 힘이 있네요. 오늘 시작했습니다.
@luneclips
@luneclips 2 күн бұрын
7:40 현재는 인류의 기원은 일조설+다원설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생 인류에게 섞인 유전자중에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에서 온것이 있기도 하니까요
@chann214
@chann214 14 сағат бұрын
11:10 다윈이 하고 싶었던 말은, 종의 우열은 없고 다만 당시 환경에 적합한 종이 살아남는다 였겠죠?
@jiwonmoon9083
@jiwonmoon9083 4 күн бұрын
발견주의 원칙이라기 보다는 국제법상 선점의 원칙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선점요건이 발달하는 과정 중에 초기에는 발견과 함께 그것이 자기 것이라는 선언 만으로도 해당 영토에 대한 주권을 인정받았었는데 예를 들면 몰디브에 대한 네덜란드의 점유 선언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유럽 국가 간 식민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선점을 주장하려면 그를 위한 요건이 엄격해 집니다. 이른바 실효적 지배라는 법적 표현이 나오기 시작하죠. 만약 주권을 주장하는 영토가 넓거나 인구가 많거나 등등 충돌 요소나 실질적 지배를 위한 물질적 힘이 더 필요하다면 과거 같이 단순히 선언 만으로는 안되고 해당 지역에 대한 행정적 권능을 행사해야만 영토로 인정한 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해당 지역에 군대를 파견하거나 공무원 조직을 두는 등의 실제 통치 행위를 해야 한다는 거죠. 이는 당시 유럽이 자기식의 국제법 질서를 영유하는 국가만을 소위 근대국가로 인정하고 타 지역에 정치적 조직이나 제국이나 왕국등의 통치 기구가 있어도 이를 인정하지 않았던 시각의 자연스러운 연장입니다. 다만 이것이 유럽의 오만함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과거 유교권의 화이개념이라던지 이슬람의 신앙의 영역과 전쟁의 영역의 구분 등 대부분의 문명권이 비슷한 시각으로 타 문명권을 바라봤다는 점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아무래도 지금 이 시대에 익숙한 가치의 입장에선 그러한 유럽문명의 무분별해보이는 타 문명에 대한 멸시와 그에 따른 정복행위를 매우 비판적으로 볼 수 밖에 없습니다만 만약 유럽문명이 아닌 중화문명 혹은 이슬람문명 슬라브문명 등이 유럽 기독교 문명과 같은 힘을 얻어서 팽창했다고 친다면 과연 그들의 시각과 얼마나 달랐을지를 꼭 살펴봐야 의미없는 현재 기준에서의 비판을 하지 않을 수 있게 될 거 같습니다. 수정 여튼 당시 유럽은 자기들 역사속에 존재했던 여러 기독교 문명국가들간의 관습에 기초한 국제법 주체로서 인정 받은 국가들의 주권이 미치는 지역에만 일종의 국가의 영역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했고 그리고 타 비 문명국가들이 존재하던 지역은 무주지terra nullis라고 봤기 때문에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봤습니다. 그리고 초기에는 그 경쟁이 그리 치열하지 않고 팽창할 공간이 많았기에 발견만으로 소유권을 인정하는 경향이 농후했고 그래서 발견주의라는 말이 나온거 같은데 엄격하게 국제법상으로는 선점의 원칙이라고 부릅니다.
@bwom9733
@bwom9733 3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찾아보니 엄밀히는 발견주의 원칙과 선점은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발견주의 원칙의 기원은 15세기 이고 16~17세기까지는 발견만으로 영토취득을 인정했지만 그 이후부터는 말씀하신대로 식민지 확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17세기에 후고 그로티우스가 선점의 원칙을 주장하여 발견만으로는 부족하고 실효적지배에 이르러야한다는 것이 이후로 판례들인걸로 봐서 '이러한 것들을 선점의 원칙이라한다'고 넓게 포괄하면 오히려 무난할 수 있는데 엄밀히 들어가면 발견주의 원칙과 선점의 원칙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서구식 이분법이 만든 법률만능주의에 불과.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이분법은 먼저먹는 놈이 임자도 아니고 임자가 아닌것도 아니라는 미봉에 그침.
@user-kd9yz8pk5s
@user-kd9yz8pk5s 4 күн бұрын
결제 들어갑니다. (지난번 책들 아직 펼치기 전이라는 건 안 비밀)
@wnsghjunho
@wnsghjunho 4 күн бұрын
책은 사서 읽는 것이 아니라 산 책 중에 읽는 것이다, 김영하
@user-kd9yz8pk5s
@user-kd9yz8pk5s 4 күн бұрын
@@wnsghjunho 오~ 👍
@user-rq4ec8tb8z
@user-rq4ec8tb8z 3 күн бұрын
@@wnsghjunho너무 기분 좋은 말이네요 ㅎㅎ
@jeunages
@jeunages 3 күн бұрын
21:18 이집트 피라밋 외계인 건축설을, 단순히 재미로 만든 음모론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그 뿌리에는 더 불순한 정서가 있었군요.
@findelmundo3831
@findelmundo3831 3 күн бұрын
여전히 우생학적인 사고가 무의식 저변에 깔려있다.. 문화가 확 바뀌지않거든..
@user-zu4ce5ni3c
@user-zu4ce5ni3c 3 күн бұрын
놓랍게도 현재는 다원설이 일부 맞다는게 정론에 가깝죠
@dalfst
@dalfst 4 сағат бұрын
정론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 정답은 아니죠
@user-hn2sz7hh6j
@user-hn2sz7hh6j 3 күн бұрын
안돼....... !!!!!! 책 도서관에서 거의 빌려서 읽는데, 이책 보고 싶어서 신청하려 했는데, 접수중인 책이어서 들어오면 예약 대기중이었는데.... 이러면 빌리기 힘들어지잖아요 ㅠㅠ 책장 공간 별로 없어서 벽돌책만 사고 있는데 ㅠㅠ
@JNAtest
@JNAtest 4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이제 근대인을 벗어나 현대인으로 거듭나야 함. 현대 지성인들이 타파한 여러 근대기의 폐해들을 일반인들은 아직까지 벗기지 못함. 유튜브 댓글만봐도 수두룩 한듯
@user-hu7xs9mp5g
@user-hu7xs9mp5g 3 күн бұрын
프란시스 베이컨은 이미 4가지 우상으로 해당 개념을 제시했었죠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그 중에서 일명 팔이 안으로 굽기라는 종족우상이 가장 크다 함. 극E 극N 극F 극J는 우상에 쉽게 빠지는 느낌. 뽕 빠 대깨 등.
@NewYork_NJ
@NewYork_NJ 3 күн бұрын
타인에게 관대하고 자신에겐 엄격하라… 이게 젤 안 좋은 격언임. 자신에개 관대하세요. 여러분…. 젊은 여러분 !!
@Lee-do1dx
@Lee-do1dx 3 күн бұрын
자신에게 관대하면 책임은 누가 져요? 열심히 안 살고 관대하게 개키우면서 넷플릭스나 보면 그게 당신이 원하는 인생인가요? 의미 있는, 책임 있는 일들을 이루려면 자신에게 엄격해질 필요가 있조
@jwang6880
@jwang6880 3 күн бұрын
이미 세뇌되어 오랜시간을 살아온 자들의 대댓 ㅎㅎ... 자신에게 관대한자들은 오히려 충만해지고 넘쳐흘러서 다른이들에게 관대한 관점을 갖게 되는 경험을 못해 본 자들...
@user-xk2zi4pu6r
@user-xk2zi4pu6r 3 күн бұрын
@@jwang6880👍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이분법론자끼리 있으면 결코 친해지지 못함. A형O형이 뭉쳐봐야 본의든아니든 야합근원
@VoteForPedro2000
@VoteForPedro2000 2 күн бұрын
자신에게 관대하라는게 좀 위험한게... 한끗차이로 내로남불로 갈 수 있지 않을까요? 보통 우리가 말하는 성인들을 보면 자신에겐 엄격하지만 남들에겐 관대하잖아요.
@user-mn2yy6ow4u
@user-mn2yy6ow4u 4 күн бұрын
아.. 오늘은 어렵다 쉽지않다=.=
@VoteForPedro2000
@VoteForPedro2000 2 күн бұрын
지금도 포르쉐같은 차들 얘기할때 외계인을 갈아만들었다. 미국의 b2폭격기도 외계인의 기술이다. 그냥 과거나 현재나 시대에 비해 엄청난 기술을 보여주는 말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새롭네요~
@user-sp4wz4jm6u
@user-sp4wz4jm6u 2 күн бұрын
10대도 봅니다
@jinhooahn7936
@jinhooahn7936 3 күн бұрын
우월성을 기저로 악행을 합리화하는 이야기를 들으니 뒤에 진열된 매그니토의 헬멧이 매우 의미심장하게 느껴지네요. 저는 오랜만에 X-men 얘기를 복습해보겠습니다.
@jinskim7615
@jinskim7615 2 күн бұрын
과학이 만능이라는 생각도 잘못되었지만, 독일의 나치 같은 사례를 대며 과학을 부정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겠죠?
@angeldoIl
@angeldoIl 2 күн бұрын
고전과학은 알았지만 현대과학을 모르고 쓴 책 ... 아쉽 ...
@user-lh7uc3gz2t
@user-lh7uc3gz2t 3 сағат бұрын
우생학은 과학이지만 인권을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될 위험이 크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밀려난 것이 아닌가요? 남편의 유전병 때문에 비극적으로 삶을 끝내야 했던 지인이 있습니다 지인은 아마도 애초에 아이들이 유전에서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면 아이를 여럿 낳으며 그렇게 힘들게 살지는 않았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누구를 위해 유전을 무시하며 지켜줘야 하는 출산의 권리인지 궁금합니다
@user-nm3ot3xr9x
@user-nm3ot3xr9x 2 күн бұрын
서구문명이 동양을 앞선것은 불과 300년 밖에 되지않음 약탈로 번영을 이룬것을 포장하는것에 불과하죠
@user-gr5lr7sm9e
@user-gr5lr7sm9e 19 сағат бұрын
틀린말은 아닌데 그럼에도 약탈과 침략을 가능하게 한 기술력이 그 배경에 있고 기술력은 과학 발전으로부터 나왔으니.. 저쪽이 실용주의 학문의 체계화를 잘 이뤄낸 공도 있는거죠 뭐
@user-eg2vh4eq4o
@user-eg2vh4eq4o 4 күн бұрын
저도 읽었는데 어느정도 서구 기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필요한건 맞겠지만 너무 과한 의견이 아닌가 싶은 부분이 많더라고요
@user-wz2fq1kw5x
@user-wz2fq1kw5x 3 күн бұрын
심지어 그 비판이 그닥 새롭지도 않은…
@0ri0n99
@0ri0n99 3 күн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이네요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은 이분법이라는 원시적 단순논법에 스스로를 갇아놓는 경향.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4 күн бұрын
인류가 하나의 조상에서 나왔다기보다 여느 동물 집단마냥 집단 내 유전자를 서로 공유하면서 이어졌다는 것이 더 맞는 말 같은데...
@peachpityu3307
@peachpityu3307 3 күн бұрын
일조설은 이제 거의 정설 아닌가요? 근거가 너무 많이 나와서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3 күн бұрын
@@peachpityu3307 개체수가 1~2명까지 줄었거나 우연히 1명의 후손 외에는 모두 절멸했다는 말이 되는데 그럴 확률이 더 적지 않을까 해서요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Күн бұрын
어쨌든 공통조상이 존재하는건 확실하니까 일조설이 맞음.
@ThePoemath
@ThePoemath 5 сағат бұрын
이미 다 밝혀진 사실임 유전자 검사로 다 나와있고 세부적인 차이만 연구하는 중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5 сағат бұрын
@@user-gj6eq9tn9k 1명의 후손 외에는 절멸했다는게 아니라 인류 자체가 공통 조상을 두고 있다는 뜻임.
@mayeunmicho3942
@mayeunmicho3942 2 күн бұрын
우와 완죤 돌 깨지는 소리 남요 감사가득요 이동진님 ❤️🙏🥳
@2b14uSS
@2b14uSS 2 күн бұрын
번역 과정에서 더 망가졌을 수도 있지만, 기본 방향부터 서구 문명 규탄에 과몰입하며 '인종에 우열이 없으니 개별 결실에도 우열이 없어야만 한다' 억지를 부린 책으로 보이네요. 대충 몇 개만 짚어보자면, 우선 문자체계가 복잡한 건 고도화된 게 아닙니다. 오히려 단순할수록(+예외가 적을수록) 고도화된 거죠. 잉카는 '일부 영역에서 뒤쳐졌을 뿐 고도로 발달되어있던 상태'가 아니라 '거의 모든 산업영역에서 신석기 수준인데 내진설계/세공 등 극소수 영역만 꽤/적당히 발달된 상태'였습니다. 유사과학이 그 자체로or오용/악용을 통해 부정적 결과를 낳은 건 모든 시대 모든 문화권 공통, 그건 인류의 한계지 서구 문명의 업보가 아닙니다. 영상에 소개된 책부터 유사과학적 접근 투성이.
@ZuWu-qh8tb
@ZuWu-qh8tb 2 күн бұрын
문자 체계의 고도화라는건 복잡성과 단순함으로 판가름 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복잡한 문자 체계는 다양한 개념을 세밀하게 표현하고 이는 문학적으로 또 현대 사회 기술적 적응 측면에서도 유리한 면이 있다고 봅니다. 물론 단순함으로 얻는 학습과 쓰임의 용이함도 있겠죠.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따져도 비슷한 맥락으로 전개되기도 합니다. (파이썬이 알파벳이라면 러스트는 한자에 해당되나, 우열보단 장단으로 나뉨.) 물론 전체적인 의견에는 납득이 갑니다. 이 책은 분명히 논란거리가 다분한 책이고 어쩌면 작가가 그걸 의도하고 썼다고도 볼 수 있겠지만요.
@ZuWu-qh8tb
@ZuWu-qh8tb 2 күн бұрын
어쩌다보니 매듭을 못지었는데 제 생각은 복잡한 고도화 언어도 있을 것이며 단순한 고도화 언어도 있을 것이라는겁니다.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2 күн бұрын
서구가 만든 헤게모니에서 살아가는 시대인데 그들의 룰을 따라야지 벌수없지 인도 중국 러시아 같은 나라는 강대국 아이덴티티가 강해서 입장이 좀 다를수 밖에 없다는건 인정
@user-zp8gr1me4h
@user-zp8gr1me4h 11 сағат бұрын
법적 정의라고 하지만 그건 집단 이기주의였던 미국... 네이티브 아메리칸들의 심정은 나라를 완전히 빼앗긴 참담한 심정일것입니다. 한국은 나라가 빼앗길뻔 했다가 되찾았는데 일본의 식민지가 된것이 이득이었다라고 말하는 비주체적인 인간들이 많은것이 화가 납니다
@Jo_hyung-joon_author
@Jo_hyung-joon_author 4 күн бұрын
1
@jewankim6878
@jewankim6878 2 сағат бұрын
콜롯세움, 파프테논.. 생긴게 그저 사람이 만든직한, 사림들이 사용할 만한 뭐 그런 생김샌데. 피라믿 이건, 별로 인간에게 필요치 않은듯한, 왜 만들었는지 헥갈리는, 그런 생김새. 그러니 외계인 설이 나오지. 꼭 그걸 편견이라고 말 할 수는 없는 듯.
@user-gf4nw6yc2x
@user-gf4nw6yc2x 3 күн бұрын
이시점에 우생학얘기하니 진심 열받는
@user-dt8vl5mu6o
@user-dt8vl5mu6o 8 сағат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다만 서구 문명이 만들어낸 프레임의 민낯을 결국은 서구문명의 접근법으로 파헤치는 것이 책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느껴지네요.
@lovepoet4862
@lovepoet4862 4 күн бұрын
와…제목만으로도 무릎을 치다 못해 벽을 쳐서 방 한 칸 됐어요🫠
@terriellborlandddfsdf
@terriellborlandddfsdf 4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
@love-hx5ek
@love-hx5ek 3 күн бұрын
썸네일은 재밌는데 책 내용이 너무 사회근간을 이루는 부분들이라 썸네일의 내용에 가닺기 까지 독자가 상상해야할 여지가 너무 많군요
@user-oo7nj9pb2s
@user-oo7nj9pb2s 2 күн бұрын
반풍수들이 난무하는 시대. ㅉ
@user-uk5nc5mc1m
@user-uk5nc5mc1m 3 күн бұрын
흑인들 실제로 겪어본 결과 대부분이 부지런하지 않은게 사실입니다. 진짭니다. 인종차별이 아니라 진화의 결과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토양이 척박한 아프리카의 특성상 농사가 쉽지 않고, 오히려 채집이나 사냥이 훨씬 더 쉽고 간단한 식량수집 수단이겠죠. 분명히 수천년 전에는 아프리카 흑인들 사이에서도 근면성실한 사람들이 있었을거에요. 어이 김씨 또 일하러가? 아니 밭일 아무리 열심히 해도 농사 망할거라니까 그러네. 김씨는 매년 열심히 농사해도 망하겠죠. 반면에 마을에서 푹 쉬다가 힘 보충하고 사냥해서 고기 가져오는 남자가 마을에서 더 인기 있었을 겁니다. 반면에 아시아에서 주로 하는 쌀농사는 매우매우 부지런해야합니다. 게을러터져서 농사 망치는 사람들은 마을에서 인기가 있을 수가 없겠죠. 그결과 수천년 후에는 어떤 종류의 후손들만 남게 될지…?!
@sonnybonnie
@sonnybonnie 3 күн бұрын
혹시 지구평평설도 믿으시나요? 이미 백년 전에 사장된 이론을 믿을 정도면 충분히 가능성 있는데 ㅋㅋ
@user-dr4dn1ye2y
@user-dr4dn1ye2y 3 күн бұрын
​@@sonnybonnie ㅋㅋㅋㅋㅋ
@himmelblau4155
@himmelblau4155 2 күн бұрын
그 아시아에서 제일 근면하다는 한중일 모두 게을러터졌다는 이야기를 들어왔다는 걸 아시는지??? 무식하면 용감한거죠.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himmelblau4155부지런하나 마나인 것이 아시아인들 류의 무작정주의라 할수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동반구인들은 서반구인들에 대비 체격이 작은 것도 권위주의의 근원이라 할 수 있을. 왜소해 힘 못써 제압당함 보다 의존심 보이니
@user-dg8co4wu1g
@user-dg8co4wu1g 3 күн бұрын
결국 잉카제국이 스페인에게 멸망당한 건 서구문명이 더 힘적으로 뛰어났기 때문이 아닌가요..?
@himmelblau4155
@himmelblau4155 2 күн бұрын
야만적이여서 그런 것이기도 하죠. 문명의 척도를 기술력, 무력 등으로만 재야 하나요???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himmelblau4155서양도 아시아도 아프리카나 심지어 인도아랍에 대비 잘사는 것은 기후조건이 만들어 낸 일시적 현상에 불과함 알 수.
@cigocy1146
@cigocy1146 2 күн бұрын
야만인이 야만인에게 한짓이고 인간 자체가 야만성으로 점철된 동물임
@user-zv6gi5qq3z
@user-zv6gi5qq3z Күн бұрын
영상의 4분 분량이 비하인드보다는 줄거리라는 점이 좀 아쉽게 느껴지네요. 제목이 비하인드인만큼, 그 4분 분량은 생략해서 더 간략한 영상으로 만들어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어요
@HissingGeotrauma
@HissingGeotrauma Күн бұрын
아니 과학계 정설은 오히려 인종간 차이 있다는 건데? 뭐라는거지? 차이가 없다는건 과학계가 아니고 인문사회학에서 주장하는 내용이 전이된 것인데? 게다가 다기원설이 일정부분 인정되는게 학계 현실인데? 왜 거짓을 말하는지 모르겠네. 차라리 말을 말지.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Күн бұрын
Ai가 유튜브 댓글도 쓰나봄. 요새 또라이 같은 댓글이 너무 많음. 자폐아 관련 영상 볼때마다 장애 아동 살인 합법화해야 한다는 댓글 항상 있음. 좋아요도 몇백개씩 달리고.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보면 이분법론자 아닌 사람 찾아보기 힘듬. A형O형만 있나? 그럴 리는 없어보임 불구.
@ChrisTennis
@ChrisTennis 3 күн бұрын
흑인들의 운동능력이 월등하다는 것도 거짓인가요? ㅋㅋㅋㅋㅋ 너무나 뚜렸하게 보이는데요, 인종들간의 차이가
@illlliii6206
@illlliii6206 3 күн бұрын
이 내용도 어디서 봤는데. 생각해보면 흑인이 활약하고있는 종목들이 많이 없어요. 그 종목이 대중에 익숙한 몇몇 큰종목이어서 비중이 커보이는거지.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2 күн бұрын
두뇌도 신체도 인종간 큰 차이는 안보임. 동반구는 서반구에 대비 키 큰 유전자가 권위주의 의해 숙청당했던 느낌. 아시아는 중동아프리카에 대비 좁은 땅에 사람은 넘쳐 국가권력이 구석구석 파고 들었으니.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Күн бұрын
인종이라는 것 자체가 생물학적인 개념이 아님. 흑인과 백인을 나누는 생물학적인 기준이 뭐임?
@ThePoemath
@ThePoemath 5 сағат бұрын
육체적인 일을 하고 살고 힘들게 살고 성공모델이 운동선수 밖에 없으면 다 잘하게 돼있음
@sminiron3592
@sminiron3592 3 күн бұрын
동진이형 이번 달엔 책 많이 안읽었나보네
@andykim1850
@andykim1850 2 күн бұрын
아무거다 다 억압과 착취라고 하는 것이야 말로 그람시 식의 가스라이티이다. 진짜 별게 다 억압과 착취야. 모든 걸 삐뚫어진 눈으로 보면서 똑똑하다 착각하는 먹물통들. 그렇게 자기와 자기가 사는 곳을 부정하게 만들고 불만스럽게 만들면 그게 결국 캔슬 컬쳐로 나가는 거다.
@bwom9733
@bwom9733 2 күн бұрын
세상의 모든 혁신가들은 자기와 자기가 사는 현재의 상태를 불만스러워했던 사람들입니다. 가령 스티브 잡스가 아니었으면 여전히 사람들은 통신사를 통해서 비싼 요금 주고 벨소리나 다운받는데 만족하고 있었을겁니다. 대체 우주를 한번 상상해봅시다. 여전히 비싼 요금 주고 간신히 핸드폰으로 벨소리나 다운 받는 평행우주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상태에서 위에서 쓰셨던 댓글을 다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user-le5cw6ww7p
@user-le5cw6ww7p Күн бұрын
⁠​⁠​⁠@@bwom9733님의 다른 댓도 봤는데 자기 생각에 갇혀서 자기 프레임으로 글을 읽는듯. 이 글은 불만 일반을 문제삼는 게 아니라 “별게 다” 억압과 착취라고 프레임 질 하는 것과 “모든 거에 그런 식으로” 억압과 착취라는 프레임으로 보는 게문제라는 건데 무슨 스티븐 잡스가 나오고 핸드폰 요금이 나오는지. 님은 남에게 가르치듯 글쓰기 전에 다른 사람의 글부터 자기식으로 읽는 걸 고치시길
@bwom9733
@bwom9733 Күн бұрын
​@@user-le5cw6ww7p'별게 다 억압과 착취라고 프레임질 하지 마라'->스티브 잡스는 통신사들이 자신들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현저히 저해하면서 비싼 데이터요금 부과하는 것이 문제가 있다고 봤죠.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자와 소비자는 그에 순응하면서 살았죠. '통신사가 기업활동하는게 뭐가 문제인가? 별게 다 억압과 착취다'라고 하면서요. 스티브 잡스가 왜 이렇게 혁신과 창의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많은 연구가들은 그가 청년시절에 히피였다는 것에 주목합니다. '별게 다 억압과 착취'라고 주장하고 '모든 거에 그런 식으로 억압과 착취라고 본' 대표적인 사람들이죠. 그렇지만 스티브 잡스가 캔슬컬쳐로 나아갔나요?
@user-hm3jw1qi2j
@user-hm3jw1qi2j 9 сағат бұрын
윈드리버 재미없음. 안 보는 것을 추천.
@user-hs7kg6vj2t
@user-hs7kg6vj2t 4 күн бұрын
22:30 본인 전공이 아닌 곳을 다양하게 건드리다보면 비약이 생길 수 밖에 없지만 외계인 건축설이 차별적 시선 때문이라는 건 저자 주장이 좀 짜치는 감이 있네요
@user-dorumuk
@user-dorumuk 4 күн бұрын
사실 저자주장이라기보다는 어느정도 학자들사이에선 공유되는 의견이긴합니다. 물론 그것이 확실한지는 의문이지만, 나름 완전현실과 동떨어진의견은 아닙니다.
@user-oe9cl6fu4y
@user-oe9cl6fu4y 4 күн бұрын
초고대문명설 자체가 비유럽권 국가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인식이 짙게 깔려있는 이론임. 물론 우리같이 그냥 신기해보이니깐 UFO니 외계인이니 하면서 얼버무리는 사람도 있지만
@alfredsisley9039
@alfredsisley9039 4 күн бұрын
전공자들도 익히 수용한 주장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의 짜치는 오지랖 취급할 만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jiwonmoon9083
@jiwonmoon9083 4 күн бұрын
견문이 짧으신 분이 ㅋㅋㅋㅋㅋ
@sonnybonnie
@sonnybonnie 4 күн бұрын
교양 교수님이 7대 불가사의는 완전 사기라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여.
@JHSEO120
@JHSEO120 3 күн бұрын
저런 신념을 믿고 노력한 사람들은 성공의 열매를 맛보았죠. 시니컬하게 비판하는 사람들은 멋있어 보이지만 열매는 쓴 뿌리밖에 없고.
@bwom9733
@bwom9733 3 күн бұрын
그런 '신념'이라는 것이 (성공할 수 밖에 없는 비법이 십계명처럼 돌판에 새겨지는 식으로)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다분히 사회적 구성물이고, 그 결과 그 당시의 소위 '승자'들에 의해서 사후적으로, 상황에 따라 윤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가지 예를 들 수 있는데요...가령 2차세계대전이후 일본을 비롯해서 최근의 중국까지 동아시아권의 경제성장을 들 수 있는데요. 이게 경제학에서 하지 말라는 것만 골라서 한 결과입니다. 다른 예로는 '자유무역'도 들 수 있겠습니다. 이것이 진심으로 옳은 '신념'에 속한다고 하기엔 선진국들은 자기 편할대로 어떤 경우는 '자유무역 해야한다'고 했다가 어떤 경우는 입 딱 씻고 보호무역을 취합니다. 미국의 예를 보면 2000년대에는 '자유무역 해야한다'고 하다가 최근에는 WTO를 아예 작동 못하게 만들어놨죠. 심지어 그 이전에도 역사를 보아도 미국은 계속 왔다갔다 했습니다.
@MondayGone
@MondayGone 2 күн бұрын
@@bwom9733 뺏을 때는 위대한 자유 무역, 불리할 때의 악행은 "일개 국민인 난 잘 모르겠는데, 어느 한 미친 대통령이 국익을 수호한답시고 자기 멋대로 뜯어 고쳤어"죠 ㅋㅋ
@user-hu7xs9mp5g
@user-hu7xs9mp5g Күн бұрын
자기 반성없는 신념이 인간사에 어떤 부끄러운 일을 일으켰는지 얘기해볼까요
@user-bb9mj8sj6d
@user-bb9mj8sj6d 2 күн бұрын
틀린말이 있나 동양이 역사를 주도한건 징기스칸 이후로 끝남
@blapyunny5928
@blapyunny5928 3 күн бұрын
썸네일 낚시 영상 이동진 콘텐츠치곤 실망임
@JHSEO120
@JHSEO120 3 күн бұрын
저 아저씨처럼 비판으로 먹고 사는 사람을 추종하는 사람에겐, 남이 신념으로 이룩한 자산을 탐내고 빼앗는 난폭한 인생만 남아요.
@Lee-do1dx
@Lee-do1dx 3 күн бұрын
근데 그게 지금 인문학 교수들의 대부분인데? 인류의 위대한 유산들(자본주의,기독교,가부장제)을 전부 부정하고 비판하지만 자신의 것은 없는 ,,,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의 교육제도는 신랄하게 비판하지만 해결책은 입시제도 폐지가 끝인 중앙대 김ㄴㄹ 교수
섬뜩하고도 치밀한 숭배 집단에 대하여 『컬트』 [4월 최고의 책]
46:27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122 М.
이것만 알면 난해하지 않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다층 리뷰
29:3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345 М.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17 МЛН
책 2만 권 보유자 이동진 : "자기계발서 조심하세요"
32:2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262 М.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