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다시 달에 간다?!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안될과학 랩미팅]

  Рет қаралды 198,770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Күн бұрын

인류의 유인 달 탐사가 다시 시작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달에 이주할 계획이라고?!
게다가 새로운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까지 등장!
오늘은 '궤도' 연구원이 지난 랩미팅 교수님들의 요청을 받아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실 수 있도록 발표를 준비했습니다!
과학을 모르면 모를수록 교수님과 랩장으로 모시는,
본격 역수직 관계 토크쇼 [안될과학 랩미팅 LIVE]!
[안될과학 랩미팅 LIVE]는 매주 화요일 밤 11시에 찾아옵니다!
#아르테미스 #달탐사 #아폴로 #우주정거장 #루나게이트웨이
◆ Thanks to
Studio: Seoul Streaming Studio
Editor: 유돈희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372
@namssang123
@namssang123 3 жыл бұрын
랩장님 웃는거 너무이뻐 ㅠㅠ
@김선규-c6x
@김선규-c6x 4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약님 모든 분들 대단한 분들이시지만 궤도님 말씀 듣다보면 진짜 대단한 분같아요 ㅎ 이제 우주로 도약하려는 시기에 한국에도 궤도님 같은 분이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jupiterj2969
@jupiterj2969 4 жыл бұрын
도와줄 여력은없고 구독과댓글로 응원합니다.로또 되면 후원할께요.ㅋㅋ
@꺽국
@꺽국 4 жыл бұрын
불과 100년전 3일동안 대륙하나 건너기도 힘들었는데 이젠 우주로 나가 달로가는데에 3일이라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네요
@flare5399
@flare5399 4 жыл бұрын
전 정말 재미나는 시대에 살고 있네요 2025년까지 재미나게 관망하겠습니다.
@토끼먹는당근-u9n
@토끼먹는당근-u9n 4 жыл бұрын
다른 행성에 가서 우리의 지구랑 우주를 본다면 얼마나 무섭고 신기할까 상상을 할 수 없네
@음음-w5k
@음음-w5k 4 жыл бұрын
지구라는게 작다고 느껴지지않을까..?
@Dwaejigugbab2658
@Dwaejigugbab2658 4 жыл бұрын
@@음음-w5k 사실 지구는 존나 작긴한
@절비와깐부맺기
@절비와깐부맺기 4 жыл бұрын
아빠 : 저어기 저 푸른별 보이지? 저기가 아빠 고향이란다..(그립그립) 아들or딸 : 우와~이쁘다~난 그래도 우리별이 좋아^^ 저긴 편의점도 없다며..
@DDT2153
@DDT2153 Жыл бұрын
@@절비와깐부맺기 지구멸망ㄷㄷ
@SinfulCoaru
@SinfulCoaru 4 жыл бұрын
기대가 많이돼요! 졸은영상 감사합니당!
@andreseungyeobsong4899
@andreseungyeobsong4899 4 жыл бұрын
졸은영상이라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lmaeng12
@almaeng12 4 жыл бұрын
오타는 아닌 것 같은데?
@수달이달달-w9x
@수달이달달-w9x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해낼거라고 믿어요~!
@김동학-r2m
@김동학-r2m 3 жыл бұрын
멋지다! 달에서 푸른 빛 지구 보면 기분이 어떨까? 와~~
@sjw806
@sjw806 4 жыл бұрын
달에 기지가 있으면 좋은점: 중력이 적고 대기가 없어서 존나게 큰 우주선을 개발할 수 있도 연료 빵빵하게 싣고 다닐 수 있어 인류가 본격적으로 우주개발에 나설 수 있다.
@ABC-kx5gy
@ABC-kx5gy 3 жыл бұрын
그 연료는 결국 지구에서 가지고 가야 되는 거 아닌가요? 달에서 뭔가 나오지 않는 한.
@jadestone0118
@jadestone0118 2 жыл бұрын
@@ABC-kx5gy 달에 있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하여 연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MRSi0103
@MRSi0103 2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감사합니다
@jongkuyoon3722
@jongkuyoon3722 4 жыл бұрын
두분 교수님이 쌍둥이인가요?
@Dr.Strangewall
@Dr.Strangewall 3 жыл бұрын
ㅔ?
@hyqaz
@hyqaz 3 жыл бұрын
@Everchild
@Everchild 3 жыл бұрын
@빨강색주린이방
@빨강색주린이방 3 жыл бұрын
대칭성이군..
@okgreen22
@okgreen22 3 жыл бұрын
어?
@caller____ful
@caller____ful 4 жыл бұрын
랑데뷰에 대해 알고 가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andreseungyeobsong4899
@andreseungyeobsong4899 4 жыл бұрын
으앗!! 기다렸습니다!!
@pro_ae
@pro_ae 4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정말 깔끔합니다
@holybow1623
@holybow1623 3 жыл бұрын
궤도선 이름이 오리온인 것이 재미있네요. 하필이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오리온이라...
@sho-93s
@sho-93s 4 жыл бұрын
먼미래.... '달언덕에서 방구껴서 착지하기' 같은 저세상 컨텐츠 유튜브 영상 나온다
@응아니야-d1e
@응아니야-d1e 4 жыл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chohc
@chohc 2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벌써 2년전...드디어 발사 한 아르테미스..
@치치차차-u2t
@치치차차-u2t 4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롭네요
@오일남-001
@오일남-001 4 жыл бұрын
0:54 구리시 신 ㅋㅋㅋㅋㅋㅋ 구리사람으로 뭔가 기분이 묘하네요 ㅋㅋㅋ
@gumncondom
@gumncondom 4 жыл бұрын
재밌다
@repurestory
@repurestory 4 жыл бұрын
달로 갈 수 있는 이 시대에 살고있어서 행복하고, 먼 훗날 처음으로 외우주로 나가는 시대에 살지 못해서 안타깝다
@jinmanlee8101
@jinmanlee8101 4 жыл бұрын
랩짱님....오늘 너무 상큼하시네요~~ㅎㅎㅎ
@SNORLAX0317
@SNORLAX0317 4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다!
@jeus1111
@jeus1111 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감탄이 나온다 근데 아쉬운건 kari가 참여안한다는거.....
@Sanaki_03
@Sanaki_03 4 жыл бұрын
사실상 못한거에 가깝죠... 워낙 친중행보에 따른 일본의 제제, 그리고 예산부족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다보니 탈락한 것 같네요ㅠㅠㅠ
@흑산포구룡아-u1d
@흑산포구룡아-u1d 3 жыл бұрын
@@Sanaki_03 진짜 이런 머가리로 과학채널 본다는게 어느 영상보다 놀랍다 ㅋㅋ
@등심-q4k
@등심-q4k 3 жыл бұрын
@@흑산포구룡아-u1d 사실인데 물론 가장큰 이유는 예산과 로켓지원능력의 미비겠지만 우리정부에서 중국눈치보며 지원안한것도 큼 미국이 정치적으로 걸렀다기보단 우리가 정치적으로 거른거지
@namecastle2669
@namecastle2669 3 жыл бұрын
간다네여
@beyondorganic-d8w
@beyondorganic-d8w 3 жыл бұрын
결국 참가합니다
@너굴냥이
@너굴냥이 4 жыл бұрын
이야.. 안지루하고 재밌게 잘봤씁니다~!
@도롱녕-i2p
@도롱녕-i2p 4 жыл бұрын
갈때 크래커 들고가는게 국룰임
@Zercoal
@Zercoa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unseok_choi
@munseok_choi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땅도 좁고 자원도 그리 풍부하지 않은 나라에서 다른 강대국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는게 놀라울 따름입니다. 대한민국에서 달을 밟을 날이 다가오고 있다니 참 감회가 새롭군요.
@향기로운바람-c3f
@향기로운바람-c3f 4 жыл бұрын
첨에 두분 너무 닮아서 한사람을 cg한줄 알았어요..ㄷㄷㄷ
@hinayoshii
@hinayoshii 4 жыл бұрын
믿고있었다고요..
@Hsbdiuejbrj
@Hsbdiuejbrj 4 жыл бұрын
달에다 핵융합 장치를 만들면 수소도 무한으로 공급받고 진공이라서 효율도 더 좋을듯
@DDT2153
@DDT2153 Жыл бұрын
@SATELLITECASTIEL
@SATELLITECASTIEL 6 ай бұрын
5:48 nano satellite
@jaewookalee
@jaewookalee 2 жыл бұрын
월식 이후에 달을 보니 달 옆에 밝은 별이 하나 보립니다. 혹시 그 별이 별이 아니라 천왕성 인가요? 오늘 날짜가 2022년 11월 11일이고 밤 11시 입니다. 지역은 서울 이고요.
@korea3407
@korea3407 4 жыл бұрын
오늘밤 바라본
@성이름-y2s8r
@성이름-y2s8r 2 жыл бұрын
네네 닌텐도게임기보다 떨어지는 컴퓨터수준으로 50년전에는 달에서 춤추고 왔는데 제임스웹이 최초은하사진찍는 2022년에 마네킹 실어서 덜덜덜 떨다가 발사까지 미루더니 오늘 또 실패하고 클라스 잘봤구요...인류 최대의 사기극.
@Zizonsungmin
@Zizonsungmin 2 жыл бұрын
그거 암? 항로 계산은 그정도 컴퓨터로도 충분함 게다가 로켓엔진기술은 오히려 그때가 더 좋았음
@juke2004
@juke2004 3 жыл бұрын
역시 돈이 있어야 해... 세금 뜯는다고 욕하지 마라. 그 세금을 도둑질 하는 쉭히들을 욕해야지
@Dotorimook
@Dotorimook 2 жыл бұрын
미국형 우리도 끼워줘 ㅠ ㅠ 한국인도 달 가고싶엉 ㅠ
@ABC-kx5gy
@ABC-kx5gy 3 жыл бұрын
19:40 우주복 뒤의 등짐에는 산소탱크, 이산화탄소 배출구, 통신을 위한 배터리, 통신 장치, 생체신호 송신기 등이 있는 것 같네요.
@Renlaw666
@Renlaw666 3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아르테미스 갑니다 ㅋ
@jhjung
@jhjung 2 жыл бұрын
아르테미스 1호가 무인으로 반헬렌데 통과시 방사능 체크하고 이런저런 것들을 먼저 테스트 하는 것을 보면 아폴로호가 달까지 갔다는게 도저히 납득이 안된다. 이전 데이터가 없다는 반증이 아닌가.
@성이름-y2s8r
@성이름-y2s8r 2 жыл бұрын
처음가보니께 무서운거죠 실제로 방사능등등 각종데이터 체크하고 인간은 타면 안되겠다 결론나는순간...발표는 없던걸로.
@Zizonsungmin
@Zizonsungmin 2 жыл бұрын
@@성이름-y2s8r 진짜 이런거 이유는 조금만 찾아봐도 설명한것들이 있는데 그런건 다 거짓이고 내가 생각한게 맞다는 논리를 가지고 우기는게 더 이상하지 않냐?
@ABC-kx5gy
@ABC-kx5gy 3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이 참여하고 지원한다는 것은, 탐사 비용을 분담하여 지불하고 뭔가를 차지하겠다는 거네요. 성공하면 몇몇 기업 주식 올라 갈테구요(악플 아님)
@등심-q4k
@등심-q4k 2 жыл бұрын
22:5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대만침공위협으로 신냉전이 재개되고 국제협력과 화합이 똥통으로 쳐박히는 시대에 이말을 듣고있으니 참 서글프네요
@kimheungye
@kimheungye 3 жыл бұрын
근데요 달에 있는 광물 자원 막 퍼와도 괜찮나요?
@하늘-r2m
@하늘-r2m 3 жыл бұрын
우주로 가는건 언제가 될까 인류의 미래가 저들손에 달려있는 거겟죠
@junyoungjo1867
@junyoungjo1867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이네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rlawjdan22
@rlawjdan22 3 жыл бұрын
언젠간 달과 화성사이에 우주기지 하나가 생기겠죠? 목성가스채취하러 가는 그날까지
@user-kt9je5zx2t
@user-kt9je5zx2t 4 жыл бұрын
스타쉽 발사 기다리러갈게요
@thekingoftheunderworld
@thekingoftheunderworld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제 시간을 갖다 버리러 왔습니다.
@sparklinglime9999
@sparklinglime9999 4 жыл бұрын
랩장님 미모 포텐셜 터지네요
@coldskys
@coldskys 3 жыл бұрын
이번 한미회담에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협력한다’고 했다는데, 도장 찍는건가요? 아님 그냥 여지만 준건가요?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жыл бұрын
매우 긍정적으로 빠르면 10번째, 늦으면 브라질 다음으로 11번째 국가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
@lalalala_la
@lalalala_la 4 жыл бұрын
자원이 많으면 나중에 달의 자원을 두고 국가끼리 자원가지고 다투진 않을지 걱정이네요..!
@이정환-x7p
@이정환-x7p 2 жыл бұрын
미군이 공군에서 우주군을 독립시켜 창설한게 그래서죠.
@ZIRALTAN
@ZIRALTAN Жыл бұрын
아폴로때 달에 3박4일 있었다는게 더 신기함
@쪽제비-t7n
@쪽제비-t7n 2 жыл бұрын
20:00 테란의 해병이 생각나는건 나 뿐인가?? 게임에서 본건데 현실로 될 시간이.. 얼마 안 남았네...흠...재밌는 세상이네..
@ddso1515
@ddso1515 4 жыл бұрын
랩미팅 라이브는 어디에서 하는지 알수있을까요?
@fire-st
@fire-st 4 жыл бұрын
매주 화요일 밤 11시 이후 유튜브에서요
@jasonoh5866
@jasonoh5866 3 жыл бұрын
다른 행성에도 H2O가 존재란다는 것은 H2O믄 생각 보다 흔하지만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드문 것같다
@silvergdesian6168
@silvergdesian6168 4 жыл бұрын
13:55 모자포커싱 뭔가요?ㅋ
@홍정윤-d7e
@홍정윤-d7e 4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궁금한 게 있는데 혹시 지구에서 시계를 가지고 우주에 갔다가 다시 돌아오면 지구의 시간과 우주에 갔다 온 시간이 같나요?
@Duesenberg-n1h
@Duesenberg-n1h 4 жыл бұрын
당연이 다르고요~ 지금 gps 위성도 전부 시간을 다시 재 설정 합니다. 정밀 gps는 하루에도 여러번이요~
@C2005-Yholics
@C2005-Yholics 4 жыл бұрын
우주에 갔다 오면 중력도 차이가 있을것이고 우주선의 속도도 그렇고..아주 미세한 차이라도 생길 수 밖에 없음ㅇㅇ 꼭 우주 가는것만 그런건 아니지만
@사막여우88
@사막여우88 2 жыл бұрын
중력이 바뀌면 시간이 흐르는 속도도 바뀝니다. 해수면과 산 꼭대기에서 잰 시간에는 아주 미세한 오차가 있거든요.
@ckshim4964
@ckshim4964 2 жыл бұрын
같은 여러개 시계로 측정해서 양쪽이 모두같은차이면 대칭성 문제로 이 의문이
@조선닌자핫토리
@조선닌자핫토리 4 жыл бұрын
SLS 로켓만 예산에서 삭제해버리면 달 탐사가 더욱 순조로울 듯. 이 방산비리의 결정체를 보면 미국 공무원들의 뒷주머니 무게도 만만치 않다는걸 알 수 있죠.
@jusus0314
@jusus0314 4 жыл бұрын
궤도님 석사 주제셨다니 ㄷㄷ
@ggsa994
@ggsa994 4 жыл бұрын
달달 무슨달~
@KorYahh-m4g
@KorYahh-m4g 4 жыл бұрын
제가 좀 변태적인 성격이라서 그런데 제발 아폴로 음모론자들 또 없나요? 토론해보아요. ㅎ
@-naisu
@-naisu 4 жыл бұрын
지구는 평평합니다..(진지)
@KorYahh-m4g
@KorYahh-m4g 4 жыл бұрын
@@-naisu 아.. 그분들이랑은 토론하다가 반쯤 지쳤어요. 진짜 최대한 쉽게 말해도 이해를 못 하더라고요.
@Igdrasil-
@Igdrasil- 4 жыл бұрын
@@KorYahh-m4g 그들은 답정너라서....
@davidlee8297
@davidlee8297 4 жыл бұрын
전문사진사들이 달사진이 스트디오에서 찍은것이라고 밝힘... 달에 갔다왔는지는 다른문제...
@KorYahh-m4g
@KorYahh-m4g 4 жыл бұрын
@@second.. 지금은 이 영상의 달 기지 건설이 아니면 달을 갈 이유가 없어요. 현재의 중국의 경우에도 이제야 달에 가도 미국에 뒤쳐진 느낌만 들 뿐이겠죠. 그래서 냉전시대 이후의 달착륙은 그로부터 수년 이내에 이루어졌거나 뭔가 더 확실하고 새로운 의의가 필요하죠. 마치 미국이 민주주의가 소련의 공산주의보다 더 우월함을 전세계적으로 위시하려는 냉전당시의 상황처럼요. 거기다가 대부분이 모르는 사실이지만 달에는 1번만 간게 아닙니다. 아폴로 11호 이후에도 12호, (13호는 실패), 14호, 15, 16, 17호 까지 갔다가 예산 문제로 20호까지의 계획은 취소됐어요. 그리고 미국이 세계 1위라는 이야기는 다른 나라들과는 압도적인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대표적으로 한때 한해 군대 예산이 세계 1위이고, 2위부터 27위까지의 예산을 합쳐도 미국이 더 많은 예산을 설정했죠. 그 어떤 나라도 '달착륙'으로 직접적이고 충분한 이득을 얻는 나라는 없어요.(간접적으로는 우주 진출의 초석, 세계적 위상이 있지만 직접적으로는 기껏해야 달의 상태를 직접확인하는 정도) 그런 일을 실제로 할 베짱이 되는 나라는 60년대의 두 나라와 현재는 미국, 부자(개인)의 원조를 통해 성장한 민간 우주 기업들, 중국 정도라고 볼 수 있겠죠. 그 외의 나라에는 달에 갈 경제적 여유나 정치적 이유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말하죠. 달은 못가는게 아니라 안 가는거라고. 초강대국도 달착륙 시도로 휘청이는데 어느 나라가 별 이유도 없이 달착륙을 시도합니까?
@hermann_adofai
@hermann_adofai 4 жыл бұрын
드디어...
@ojijy94
@ojijy94 4 жыл бұрын
7:00 궤도 손이죠?
@싼다할배-j4u
@싼다할배-j4u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심비오트 등장인가
@soojiro1591
@soojiro1591 4 жыл бұрын
지금 기술로도 이렇게 준비해야 할것도 많고 힘든데 60년대에 어떻게 갔다왔을까
@Zizonsungmin
@Zizonsungmin 2 жыл бұрын
그때에 컴퓨터로도 항로 계산은 충분했고 오히려 우주 밖으로 떠나는 기술은 그때가 더 좋았으니까
@nineteenmay
@nineteenmay 4 жыл бұрын
궤도님 레이 로렌스박사님 알아요? 너무 닮았음
@jupiterj2969
@jupiterj2969 3 жыл бұрын
중국에 뒤통수맞지 않으려면 군비강화는 필수여!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 4 жыл бұрын
달은 치즈야! 크래커를 챙겨라 인류!!!
@개와새
@개와새 4 жыл бұрын
앜ㅋ 윌레스와 그로밋ㅋㅋ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 4 жыл бұрын
@@개와새 엌ㅋㅋㅋㅋ연령대갘ㅋㅋㅋㅋㅋㅋ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진행자 두분이 친형제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닮은꼴. 아뭏든 달을 식민지로 만드는 장대한 여정이 시작되었군요.
@Tirelake
@Tirelake 4 жыл бұрын
로켓 모양이 새턴 V에 우주왕복선에 사용되던 고체추진 로캣 두개 붙인 모양이네요.
@ja-kz7xn
@ja-kz7xn 4 жыл бұрын
공진 돌아와~~~
@vcorea123
@vcorea123 2 жыл бұрын
아르테미스 1호 발사한거 보고 다시 보러 왔습니다
@찌질괭이
@찌질괭이 4 жыл бұрын
4k 생방 가능할까? 풀hd라도 해도 좋으니 음모론자들 아닥할수있게 해주면 좋겠슴
@소풍-e2r
@소풍-e2r 4 жыл бұрын
크레이터속에서 얼음발견🤔
@kennyreview
@kennyreview 4 жыл бұрын
달가서 풍경 유튜브영상 한번 올려보고 싶네요 ㅎ
@e1nst4
@e1nst4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영상을 봐도 55년 전에 인간이 달에 갔다는 게 거짓이라고 셀프 인증 ㅋㅋㅋㅋㅋㅋㅋㅋ 인간이 달에 착륙을 한 것만 6번 이이라고 했고 사전 탐사까지 치면 인간이 달 근처까지 간 것만 10번이 넘는다고 주장을 하는데 그 데이터는 다 어디에 있어서 이제야 방사능 수치를 알아보려고 18:05 마네킹을 보내? ㅋㅋㅋㅋ
@Yuna_daddy89
@Yuna_daddy89 4 жыл бұрын
랩장형님 머리위에 팔각정
@ossososos7889
@ossososos7889 4 жыл бұрын
1~2세기후엔 달에서 우주 탐사정 이나 우주함선 만들겠네..
@otatryu2943
@otatryu2943 3 жыл бұрын
혹여나 달에 착륙한 분이 사고가 생겨서 귀환을 못하게 된다면?!!!
@Igdrasil-
@Igdrasil- 4 жыл бұрын
아니 무슨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에 안달나있거나 다른 나라는 하는데 왜 우린 못해!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냐 이런 우주과학기술은 기술 중에도 어렵기도 하거니와 고급 기술이라서 발전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옛날 경제 발전하던 것처럼 초고속으로 후다닥 되는게 아니에요 현실이 문명게임인 줄 아나
@MrDaiman3
@MrDaiman3 2 жыл бұрын
비행접시 없나보네...저런 50년된 구식 로켓으로 가네요 ^^
@true9kim568
@true9kim568 4 жыл бұрын
뒤에 드럼때문에 액정 깨진줄 알았잖아요ㅋㅋㅋㅋㅋ
@국민불한당
@국민불한당 2 жыл бұрын
저걸보면 과거 인간의 달착륙은 거짓이 틀림 없다 지금도 저렇게 힘든대 월면차 까지 가져가 달에서 질주하는 과거 영상은 거짓으로 보인다
@유씨노벨-l3r
@유씨노벨-l3r 2 жыл бұрын
넵 다음 방구석 야추 벅벅 마마보이ㅋㅋ 닉부터 벌써 임플란트할 돈 없어서 틀니 겨우 끼면서 딱딱거리는 소리 들리네
@MegaPunchpunch
@MegaPunchpunch 4 жыл бұрын
저 같으면 초반 아르테미스 설명 멘트에 랩장님 원샷을 쓰겠어요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4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작사. 월면기지. 우주형제 뭇타 나타나냐? 진짜 우주형제처럼 나가네...... 07:28 우주형제 상당히 공부 많이 했네... 근데 랜딩할때에는 극지방의 토면의.상세한 데이터를 먼저 얻어야할텐데 그 점이 굉장히 궁금하네요 +1/4이라도 중력이있어서 활동가능 시간이 iss보다 길다. -피폭량 무시 (Iss는 중력이 없어야하는 환경에서 유용하지만 중력이 변수에 영향으로 없을땐 달이 전선기지로 쓰게 좋다 이마리야!) 랑데뷰 -연인 간의 만남. 시기로는 얼굴을 마주보고 키스 바로 직전. 최초 우주 계획 참여자들은 참 로맨틱해 아르테미스가 처녀신만 아니었으면 더 로맨틱 했을지도. 지구와 달의 만남. 로맨틱해~
@이태하-h3c
@이태하-h3c 4 жыл бұрын
랩짱누나 배짤귀엽다...
@이대로-s5d
@이대로-s5d 4 жыл бұрын
항상 가장 이해가 안가던 부분은 50년전에는 PC도 없던 그런 시스템으로도 달에 갔는데 이제는 손에 스마트 폰이 그시절에 젤 큰컴보다도 더 좋은 상황인데 달에 가는게 아직도 어렵다는게 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mcmt
@mcmt 4 жыл бұрын
경제성과 효율을 따지기 때문에 어려운 것
@C2005-Yholics
@C2005-Yholics 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불과 몇년전쯤 까지만 해도 안정성 때문에 우주로 가는 우주선에는 70~80년대 컴퓨터 썼던걸로 알고있음..그것도 그건데 그때 당시는 시대적 배경이나 이런것들이 미국하고 소련이 우주경쟁에 쏟아부을 수 있게 만든것도 있고..그때도 갔는데 지금은 왜 가는게 어렵냐는 질문은 그닥 좋은 질문은 아닌거같음
@decainguranium
@decainguranium 4 жыл бұрын
기술이 딸리는게 아니라 돈이 딸려서 안가는거
@이대로-s5d
@이대로-s5d 4 жыл бұрын
DE 왜 좋은 질문이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무슨 의혹을 제기한것도 아닌데요
@decainguranium
@decainguranium 4 жыл бұрын
@@이대로-s5d 뭐 사실 달착륙과정 밑 그 후속연구에 의문을 품는거 자체는 좋은질문인데 요즘 달착륙 음모론이 너무 심해서 다들 예민하거든요 ㅋㅋㅋㅋㅋㅋ 그렇다고 달탐사 역사 전과정을 여기서 설명하기도 힘든 부분이 많아서 자주 싸움이 일어나곤 해요
@whs8800
@whs8800 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그치만 아닌건 아닌거에요
@prollejazz
@prollejazz 4 жыл бұрын
ASA 아싸~
@홍문화-s1q
@홍문화-s1q 4 жыл бұрын
결국 달에 가는 이유가 달의 자원때문. 달에 대한 조사가 이제 거의 99% 되었나 봅니다.(단, 달의 껍데기만) 그런데 거기에 외계인 기지도 있지 않나요? (미국/러시아/중국/인도까지 가는데, 비밀이 깨질텐데..)
@medicakim
@medicakim 4 жыл бұрын
비시비시비시가 아니라 비치비치비치 입니다.^^
@kaldeunbyeongari
@kaldeunbyeongari 3 жыл бұрын
이거 한국도 참여 하기로 했다면서용?
@JHS-gu4lw
@JHS-gu4lw 4 жыл бұрын
가즈아~~ 근데 달에 기지도 짓고 사람도 살게되다면 달은 어느나라꺼? 달나란가? 또는 UN 소유?
@한준현-u6p
@한준현-u6p 4 жыл бұрын
먼저 가는사람임자 일걸요?
@C2005-Yholics
@C2005-Yholics 4 жыл бұрын
@@한준현-u6p 뭔...그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냐..남극처럼 누구의 소유도 아닌채로 두고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하는 식으로 공동관리하겠지..뭔 먼저가는사람이 임자야ㅋㅋㅋ초딩들 땅따먹기도 아니고
@chriskim2958
@chriskim2958 4 жыл бұрын
@@C2005-Yholics 글쎄요. 아직 달 소유권에 대한 정의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왜 선진국들이 달, 화성에 젤 먼저 가려고 할까요? 단순히 보여주기 및 과학연구? 아닙니다. 결국 젤 노란자 지역은 소유권으로 주장하기 위해서 입니다. 즉 과거 대항해시대처럼 대우주시대가 개막되는거죠.
@C2005-Yholics
@C2005-Yholics 4 жыл бұрын
@@chriskim2958 그렇게 볼 수도 있겠으나 그러기 시작하면 문제가 밑도끝도없이 커질거임 장기적으로 봤을 때 누군가가 소유권을 주장할 것 같긴 하지만 우선 한동안은 표면적으로라도 공동관리로 두지 않을까 싶음
@mhgim3092
@mhgim3092 3 жыл бұрын
달에서 자원뽑아낼때 되면 이제 이쁜달은 더이상 못보는건가
@제스로-k8x
@제스로-k8x 4 жыл бұрын
02:43 2024년 최초로 우주인이 달 착륙..??
@꿀쟁이-u7k
@꿀쟁이-u7k 4 жыл бұрын
첫 여성이요
@알비노
@알비노 4 жыл бұрын
공진님 그립읍니다.....
@오구-z2m
@오구-z2m 4 жыл бұрын
교과서 늘어나는 소리 여기까지 들린다... 좋아요 1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2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3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4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5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6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7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8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9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10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11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12개 감사합니당~♥♥♥ 좋아요 13개 감사합니당~♥♥♥
@PG_Parkgun03
@PG_Parkgun03 4 жыл бұрын
과학인가요? 국사인가요?
@jusus0314
@jusus0314 4 жыл бұрын
과학사라고 새로운 교과가 생긴 것 같더라구요...
@inlee99
@inlee99 2 жыл бұрын
아폴로 달착륙은 뻥이라는게 드러나는순간 ㅎㅎㅎ.
@유씨노벨-l3r
@유씨노벨-l3r 2 жыл бұрын
11호 착륙선 흔적이 남아있고 가서 반사판 설치해서 지금도 사용중인데 머리가 안 좋으면 몸이 고생한다더니ㅋㅋㅋ
@Zizonsungmin
@Zizonsungmin 2 жыл бұрын
도대체 뭐 때문에 그러는 건지 이해불가 ㅎㅎㅎ
화성! 우리는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화성 탐사'! [안될과학 랩미팅]
22:17
'이온엔진'으로 우주여행을 하는 날이 온다!? [안될과학 -랩미팅 7화]
22:55
다시 보니 더 놀랍다!! '인터스텔라의 과학'! [안될과학 랩미팅]
26:04
절반의 성공, 달로 가는 인류의 도전
25:5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0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