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핵분열! 바로 이렇게 탄생했다? [안될과학 랩미팅]

  Рет қаралды 131,070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366
@갑돌이는멍청해
@갑돌이는멍청해 3 жыл бұрын
아 난 공진님이 너무좋아
@사과맛딸기-e5b
@사과맛딸기-e5b 3 жыл бұрын
와...설명 진짜 기가 막히게 잘 하시네요..원자력발전 관련 주제로 논문을 쓰고 있는데 정말 정리를 잘하시네요!!!
@tokkichoco4291
@tokkichoco4291 3 жыл бұрын
이해하지 않고 느끼니까 재밌네요:)
@철강팬티-x8x
@철강팬티-x8x 3 жыл бұрын
어, 너두?
@신수현-i4o
@신수현-i4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ㅌㅋㅌㅌㅌ이해불가
@돌리-f8e
@돌리-f8e 3 жыл бұрын
에흐응~ 느껴봐
@qiqi4225
@qiqi4225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고1 때 배워요 아재들 ㅜㅜ..
@Black_Dove99
@Black_Dove99 3 жыл бұрын
현재 체르노빌 원전 지하에서 다시 핵반응이 일어나고 있다네요ㄷ kzbin.info/www/bejne/eobNoaGlrLGEm80
@joonhoseo9279
@joonhoseo9279 3 жыл бұрын
7:08 체르노빌에 나오는 감속재 역할인 노심의 흑연ㄷㄷ
@garamjung860
@garamjung860 3 жыл бұрын
중간부터 봐서 앞 내용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urbanmonk603
@urbanmonk603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정말 내용 중심으로 알차게 잘해주시네요. 김재혁 박사님, 고맙습니다.
@찐따혼밥
@찐따혼밥 3 жыл бұрын
4세대 원전만 따로 다뤄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ㅎㅎ
@thefirstdeer
@thefirstdeer 3 жыл бұрын
일부 용어 부정확이 있지만 상당히 쉽게 잘 설명이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자들이 부딪히면서 열이 난다’라는 표현은, 바로직전 소개하셨던 연쇄적인 핵분열로 인한 질량결손(분열 당 200MeV)으로 발생한다고 표현하는게 맞을것 같고요, 후쿠시마는 열제어가 안되어서라기 보다는, 열제어가 안되면 연료봉 피복관에서 수소기체가 발생하여 생긴 수소폭발이 주원인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또한 후쿠시마 사고의 특징은 원자력 사고로 인하여 인근 주민들이 대규모 소개(evacuation)을 하며 벌어진 사상자 수가 훨씬 컸었다는 점이고,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원자력안전법은 후쿠시마와 유사하게 연료봉이 녹는 사고가 나더라도 주민 소개가 필요 없는 수준으로 방사성물질의 방출을 제한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설비개선, 평가 등이 수행되고 있습니다.
@핵수저
@핵수저 3 жыл бұрын
우라늄 235의 경우 분열당 200Mev가 발생하는건 맞지만 그 중 핵분열 생성물들의 운동에너지가 대략 6~70프로 차지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발생한 원자들이 부딪치면서 열을 낸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핵수저 원자들이 부딪힌다는 건 없습니다. 핵분열 생성물이 자발적으로 붕괴를 하면서 에너지를 방출시키는거지 부딪히는 건 없습니다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핵수저 그걸 붕괴열이라고 하고요
@핵수저
@핵수저 3 жыл бұрын
@@passenger9958 핵분열 파편들이 방사 붕괴하면서 내는 열도 있지만 (우라늄 235 기준 대략 13프로 정도) , 핵분열시 발생하는 에너지의 60~80프로는 핵분열 파편의 운동에너지가 차지합니다.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핵수저 그게 부딪히는건 아니에요
@annaj188
@annaj188 3 жыл бұрын
오늘 설명은 오랜만에 편안해 보여요 오라버니😍
@미니미니-e1f
@미니미니-e1f 2 жыл бұрын
제가 에너지분야에서 일하는데 내용도 정확하고 설명도 정말 잘하시네요.
@백향목-r7g
@백향목-r7g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은 못참지~~
@antipigeon5572
@antipigeon5572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설명 잘하시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요리하는드럼
@요리하는드럼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자력공학 전공을 하고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원자력발전소 운전을 하는 사람입니다. 몇가지 첨언할 부분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3:47 부분에서 "중성자가 베타붕괴를 통해 양성자가 된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정확히는 중성자를 흡수한 우라늄이 베타붕괴를 통해서 넵투늄이 된다는게 맞는 말입니다... 또한 10:48 에서 경제적으로 낫다고만 설명하셨는데, 실제로 물을 감속재로 쓸 경우 온도가 올라갈수록 반응도가 낮아져서 안전성에도 매우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또한 국산화 3세대 원전은 OPR1000이고, APR1400은 3.5세대에 해당합니다.
@baragi79
@baragi79 3 жыл бұрын
0:37 알파선은 양성자가 아니라 양성자2개와 중성자2개의 결합으로 헬륨의 원자핵과 같은 형식을 띄고 있습니다 10:50 증식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설계 상 사고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이고 현재 핵무기 개발 금지조항으로 인해 플루토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원자력연료 자체가 비싸지 않은것도 이유 중 하나이긴 합니다. 굳이 위험을 감수하면서 만들 정도로 비싸지 않기에... 12:41 후쿠시마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지진으로 1차적 전기차단, 쓰나미로 지하에 있던 비상발전기가 침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지 못해 과열된 노심이 녹으면서 원자로 밖으로 노출되었습니다. 이후 수소와 반응해 열로인한 급속팽창이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수소폭발이 일어나 원자로를 날려버렸죠.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후쿠시마원전은 '원자로'가 날아간게 아니에요
@baragi79
@baragi79 3 жыл бұрын
@@passenger9958 수소폭발로 원자로 부서진거 아니였나요? 원자로 부숴지고 격납건물의 손상으로 방사성물질이 빠져나간걸로 아는데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baragi79 원자로는 핵연료가 있는 노심을 말하는거고 정확히는 수소폭발로 격납건물이 날아간거에요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baragi79 노심이 일부 녹기는 했지만 수소폭발로인한 손상은 없었어요
@baragi79
@baragi79 3 жыл бұрын
@@passenger9958 녹은 노심과 물이 반응해 수소폭발 일어났으니 원자로 바로 앞에서 터진건데 당연히 손상있을줄... 상상이상으로 단단한가보네요
@5ooo1
@5ooo1 3 жыл бұрын
이해 쏙쏙 재밌어요!
@matthewchoi6320
@matthewchoi6320 Жыл бұрын
기가 막힌 설명 감사합니다. ❤
@AI_Future1min
@AI_Future1min 3 жыл бұрын
넘 쉽게 재밌게 알려 주셔서 넘 좋아요 ㅎㅎㅎ 앞으로 많은 좋은 영상 기대 됩니다 !!
@swkang911
@swkang911 3 жыл бұрын
공진 업!
@reese.jubilee
@reese.jubilee 3 жыл бұрын
맨날 가끔 홈에 떠있는 것만 보고 넘기다가 오늘 이거 보고 구독했어요
@비밀-m1z
@비밀-m1z 3 жыл бұрын
1세대원전 테스트원전->2세대원전 상용화가능해짐 대체로 안전해짐->3세대원전 엄청나게 안전해지고 경제성도 증가->4세대원전 폐기물을 99%줄임->핵융합 모든걸 해결함 2세대원전사고는 나중에 모아보면 대체로 설계/운용상 결함이 있는경우가 많습니다. 2세대도 대다수원전은 안전하겠지만 모든 원전이 설계/운용이 잘 되고있다고 확신할수는 없겠죠. 설계가 훨씬 발전해서 어느정도의 운용상의 결함도 극복할 수준이 되는게 3세대원전이고 4세대는 폐기물까지 획기적으로 줄입니다. 그래도 단 1%의 폐기물마저 없앨 핵융합이 언젠간 도래하겠죠
@user-vo7eh8oc5j
@user-vo7eh8oc5j 3 жыл бұрын
4세대는 이론상으로 그렇지만 물을 쓰지 않기에 실제 제작 및 운영상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모릅니다. 단 한번이라도 경미한 누출이 발생하면 보수도 안되고 바로 영구정지 해야 함.
@비밀-m1z
@비밀-m1z 3 жыл бұрын
@@user-vo7eh8oc5j 시험로 굴려보면 답나오겠죠 ㅎㅎ
@비밀-m1z
@비밀-m1z 3 жыл бұрын
@@user-vo7eh8oc5j 어차피 4세대 상용화시키기전에 10년정도는 굴려보고 상용화 할텐데요 뭐
@주주아빠-x1y
@주주아빠-x1y 3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user-zl3hf1vq5t
@user-zl3hf1vq5t 3 жыл бұрын
완벽한 설명이십니다.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몬드호
@몬드호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교수님
@hemed3
@hemed3 3 жыл бұрын
0:33 알파선은 양성자가 아니라 헬륨의 핵입미다 양성자2개 중성자2개
@김동욱-w4d
@김동욱-w4d 3 жыл бұрын
시간 되시면 토륨 원자로에 대해서도 다뤄 주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ZYEeenie
@ZYEeenie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오랜만이에요!! 잘지내셨나요❕❕❕
@TV-md7us
@TV-md7us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난나스키난나요
@난나스키난나요 3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을 하셨구나.... 감사합니다.
@xylitolwhite2715
@xylitolwhite2715 3 жыл бұрын
왜 감사함...?
@ashfordstainer1924
@ashfordstainer1924 Жыл бұрын
에너지를 무작장 쓰지않고 줄여쓰는게 필요합니다. 지금 발전과학의 흐름을 봐도 기하급수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해오고 그걸 따라가려 합니다. 100년 불과 그 짧은 시간에 인류의 에너지 요구량이 이렇게 증가되었어요 그렇게 써야만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줄여 쓰는 테크놀로지가 더 우선해필요합니다
@오계-c1l
@오계-c1l Жыл бұрын
에너지를 줄이려면 우리의 삶의질을 확떨어트려야 가능한데 가능하겠냐 다른 에너지로 대체해야지
@호랑이골리앗
@호랑이골리앗 2 жыл бұрын
최고다
@cheezyc1424
@cheezyc1424 3 жыл бұрын
지구 자기장 보호가 취약한 곳이 극지방이죠. 비행기 항로는 경제성을 이유로 북극 항로를 많이 이용하는데 피폭량이 더 많습니다.
@archineuron
@archineuron 3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요.
@RaymondKim-hg4ed
@RaymondKim-hg4ed 3 жыл бұрын
뭔가 방해받지 않아서 좋네요. 이전 영상은 뭔가에 방해받는 느낌이라 안보고 있었는데, 랩미팅 이대로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finalboss9314
@finalboss9314 Жыл бұрын
페르미는 페르미의 역설 그것밖에 몰랐는데 대단한사람이였네
@이승한-c6d
@이승한-c6d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Twoddabong
@Twoddabong 3 жыл бұрын
아하~ 제기준 요약 하자면 여러개 막 섞다 보니까 펑펑 터져서 에너지가 발생되고 봉춤추다가 이선희 인연듣다가 혼절해버림
@가가기기-m8y
@가가기기-m8y 3 жыл бұрын
늘 궁금하던 게 있습니다. 플루토늄이든 뭐든 방사성물질은 밀봉을 해서 사용하는데 '저준위 핵폐기물'이라는 것들...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한 방호복이나 장화나 장비나 이런 것들은 왜 방사선이 나오는 건가요? 이런 것들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같은 방사성물질도 아니고 멀쩡한 물질에서 갑자기 왜 방사선이 어떻게 나오게 된 걸까요? 이런 현상을 '방사선 전이'?(여기저기 찾아 보니 이렇게 부르던데 실제로 있는 단어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라고 한다던데 그 원리는 아무리 찾아 봐도 없네요. 원자력 원리나 과학의 역사는 여기저기 많지만 '방사선 전이'의 원리는 찾을 수 없어서 여쭙습니다. 그래서 간단히 질문을 정리하면 질문: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물질은 밀봉되어 있는데 어떻게 저준위 핵폐기물이 만들어지는 것인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되겠습니다. 아시는 분이 있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답답해서 ㅠㅠ
@user-xg7wc7yl1k
@user-xg7wc7yl1k 3 жыл бұрын
방사선을 맞으면 가끔 원자들이 방사화가 됩니다. 방사화라는 건 원자 자체가 에너지를 받아서 조금 더 들뜬(더 고 에너지를 가진) 상태를 가진 거라고 보면 됩니다. 방사화된 원자들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에너지를 내뿜게 되고, 그 에너지들은 방사선이란 형태로 방출됩니다. 즉, 방사선을 맞은 원자들 중 일부가 방사화 되기 때문에, 중저준위 방사성 물질으로 처리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가가기기-m8y
@가가기기-m8y 3 жыл бұрын
@@오스빈트 우왕 감사합니다. '방사화'군요. 제가 알고 싶었던 딱 그것이네요. 정말 속이 후련합니다 ㅠㅠ
@가가기기-m8y
@가가기기-m8y 3 жыл бұрын
@@user-xg7wc7yl1k 방사화라는 걸 몰라서 그렇게 헤맸나 봅니다. 원리까지 설명해주시고 정말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확률은 매우 낮고 수준도 아주 낮지만 일반 고무도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방사성물질이 될 수 있다는 거네요. 내부에서 방사능을 내보내는 그런 물질이...헐...중성자가 날아와서 고무의 중성자에 영향을 주기 때문일까요? 아무튼 크게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g7wc7yl1k
@user-xg7wc7yl1k 3 жыл бұрын
@@가가기기-m8y 말씀하신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는 중성자가 방사화의 원인인 경우는 극히 적습니다. 중성자는 에너지는 클지 모르지만 감속재인 물 속에서는 투과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죠. 보통은 베타선이나 감마선에 의한 방사화일 경우가 훨씬 높다는 걸 알려드립니다. 또한, 방사화라는 것은 원자 자체의 에너지가 들뜬 상태를 말하는 것이므로, 원자 내 중성자만 딱 영향을 받았다기 보단 원자 전체가 어떤 형태로든(전자가 높은 준위에 있다던가) 일반적인 상태보다 고에너지인 상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중성자 설명 조금 수정했어요)
@inuneko5312
@inuneko5312 3 жыл бұрын
현직입니다. 방호복 자체는 방사화된게 아니고 오염되어있는 환경에서 작업하다가 묻어서 그런거에요. 세탁해도 준위가 남아있는거고요. 그럼 오염되는 경로는 어떻게되느냐. 원자로의 냉각수는 오염이 될수밖에없어요. 금속이 방사화된후 유속에의해 떨어져나오거나 핵연료 가공시 연료표면에 묻어있던 우라늄이 나중에 핵분열생성물로 변하거나. 그래서 오염된 냉각수가 어떤 다양한이유(이거까지설명은너무김)로 누설되어 배관이나 바닥표면에 묻습니다. 이걸 방호복을 입고 만지거나 스치면 옷이 오염되는거에요. 그래서 방사선관리구역에서 앉지말고 쓸데없는곳에 손대지마라고하는겁니다.
@동백순둥
@동백순둥 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배경지식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공부하듯(?) 보는데에 속도차가 있는듯해요..! 중간에 두어번 정도 끊으면서 보았는데.. 어쨌든 큰 줄기만 이렇게 그림이 머릿속으로 그려지게 빠른 흐름으로 굵게굵게 알려주셔서 유익하고 너무 좋아요~!! 어쨌든 인류가 살기 편하기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때문에.. 그 효율이 가장 좋고 우수하다는 원자력은 어쩌면 필수적일지도 모르겠는것 같고.. '잘했다. 잘못했다.' 라는 평가 자체가 웃긴것 같네요 ~~ 어쨌든 인류는 자연을 그렇게 점점 발전한다는 핑계에 가려서 파괴 해왔고.. 앞으로 태양의 수명이 다되기 전에 또 다른 행성들을 그렇게 소모하기 위해 찾아내고 점령해갈테니 ㅠㅠ... 디테일하게 알고자하고 공부하던 학생때는 너무도 어렵고 싫었는데 이렇게 결과만 (?) 쏙쏙 전달해주는 수업이 정말 듣기 편하고 알짜인것 같아서 저는 좋네요 굿굿 ~~ 코로나 항상 조심하셔야 해요 . 부지런히 영상 찍어 올려주세요!!!!!!!!! ㅋㅋ
@singenwoodworker
@singenwoodworker 3 жыл бұрын
토륨 원자로도 안전도와 폐기물 측면에서 좀더 나은거 같습니다.
@isj2771
@isj2771 3 жыл бұрын
9:12 이때 부터 나의 뇌는 맛탱이가 가버렸다.
@한힘찬-i4p
@한힘찬-i4p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진님 살아 계시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기술력이면 한미 동시 연결 중계방송 충분히 가능하지 않은가요?
@geunhoj05
@geunhoj05 3 жыл бұрын
혼자하니깐 쓸쓸하넼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재밋거요 ㅋㅎㅋㅎ
@진현민-v1f
@진현민-v1f 3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외부대회를 록히드마틴 소형핵융합로로 나갔었는데 이런 우연이
@shiningstar7138
@shiningstar7138 3 жыл бұрын
와 정확히 0:37 부터 막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끝까지 봤습니다 🥺
@osy5871
@osy5871 3 жыл бұрын
융합발전 기술을 빨리 발전 시켜야 할듯.. 핵분열은 위험..
@오계-c1l
@오계-c1l 2 жыл бұрын
위험 안함
@sgj-hp6tn
@sgj-hp6tn 3 жыл бұрын
이번 랩미팅은 어쩐 일로 공진님 혼자 하시네요 ㅋㅋㅋㅋㅋ
@sulmilyeon7513
@sulmilyeon7513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 거기선 행복한가요..?
@슈퍼-s5u
@슈퍼-s5u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인류를 편리하게 만들어줄 뿐 행복하게 만들어주진 못하는 것 같습니다. 너무 편리해진 현대 사회지만 역설적으로 행복도는 그와 반비례하게 줄어드는 것이 안타깝네요.
@마블-t5y
@마블-t5y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안전하고 오래가는 미니원자력 배터리가 만들어져서 핸드폰충전에서 벗어나고 싶네요
@jaeokElang
@jaeokElang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잘보구갑니다 혹시 몇일전에 뉴스기사로 본 내용인데 우리나라 IBS에서 상보성의 원리를 입증하는 그리고 입자와 파동을 조절할수있는 실험을 성공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저 실험이 어떻게 쓰여지는지가 궁금하구요 어느정도로 대단한 실험성공인지 궁금합니다 다뤄주실수는 없나요?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에너지는 질량과 빛속도 제곱의 곱이 아니라 비례한다가 정확하지 않을까 성격을 규정하지 그 값은 얼처기 없지 않을까 식이라는 거 안의 곱은 다 비례성으로 봐야지 않을까 고유값이라는 건 너무 웃기지 않을까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아 원자가 붕괴할 때 에너지가 나온다는 것을 정의하면서 에너지는 엠씨제곱이라면서 그 사실?(가설, 주장)을 뒷받침한 거구만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중요한 건 식이 아니라 에너지/ 원자에 대한 이야기임 원자의 에너지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물질의 에너지 물질에 대한 에너지 이야기 모든 물질은 에너지이고 에너지를 갖는다는 개념 그 에너지라는 것은 연소할 때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물질의 원자 단위 차원에서 ... 예를 들어 돌멩이가 있으면 이 돌멩이는 무슨 에너지이지
@stoneardelhyde
@stoneardelhyde 3 жыл бұрын
한 30번 정도 보면 쬐꼼 이해 가려나?
@shellingford6519
@shellingford6519 3 жыл бұрын
18분24초 순삭되어버렸어.......... 내 18분24초는 대체 어디로...?
@iluvJ
@iluvJ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은 왜 혼자 진행하나요? 외쿡인가요?
@heiseilayer
@heiseilayer 3 жыл бұрын
지산준 빅부라더님과 진짜 닮으셨군요
@길위의인생-o7v
@길위의인생-o7v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이 살 길
@tokkichoco4291
@tokkichoco4291 3 жыл бұрын
시청 4분째 경과중. 완벽하게 뭐라고 설명하는지 전혀 모르겠드아..
@tjwjdals37
@tjwjdals37 3 жыл бұрын
그럴땐 아하!라고 외치면 이해가 됩다
@GRS9123
@GRS9123 3 жыл бұрын
드래곤 볼에서 셀이 부풀어 오르면서 자폭하는게 스스로 핵분열을 해서 에너지를 방출 하는 것이었나
@심심하면플리에소설쓰
@심심하면플리에소설쓰 Жыл бұрын
근데 중성자나 양성자를 어떻게 쏘는 거에요? 총같은게 있나?
@jun-hl2sj
@jun-hl2sj 3 жыл бұрын
딴건 모르겠고 원자력이 현재 대체불가 에너지라는 건 잘 알겠네요.. '상대적'으로 강진이 올 확률이 현저히 적은 우리나라에겐 더더욱이 유용한 에너지고요 네,,할말이 많지만 참고 지나가겠습니다^!^
@Ray-co8vw
@Ray-co8vw 3 жыл бұрын
딴 것만 모르는게 아니라 걍 다 모르는듯. 원자력이 대체 불가 에너지라 유럽은 탈원전하고 있나? 유럽은 지진 위험 구역이라 탈원전하고 있나? ㅋㅋㅋㅋㅋㅋ
@Ray-co8vw
@Ray-co8vw 3 жыл бұрын
@@이민-r6m 독일 2030년까지 원전 100% 가동중단 선언, 프랑스 2018년 탈원전 선언, 노르웨이 2025년까지 90% 가동중단 선언. 뭐 더 말해줄까? 쯧쯧
@hyunseopso5233
@hyunseopso5233 3 жыл бұрын
@@Ray-co8vw 프랑스가 뭔탈원전이야 ㅋㅋㅋ 제2지구냐
@South_fox
@South_fox 3 жыл бұрын
독일은 탈원전 선언해놓고 전기부족해서 전기 수입 중이고 프랑스가 탈원전 선언이라고요??? ㅋㅋㅋㅋㅋ 웃고갑니다 '그' 지지자 같기는 하네요
@user-vo7eh8oc5j
@user-vo7eh8oc5j 3 жыл бұрын
@@Ray-co8vw 스위스, 이탈리아도 프랑스도 50프로 이하 감축 예정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중성자로 때린다는 게 결국 카드뮴 봉으로 마찰시킨다는 거 같군
@갈색보틀
@갈색보틀 3 жыл бұрын
안될 과학도 핵분열시키자 형
@SATELLITECASTIEL
@SATELLITECASTIEL 5 ай бұрын
공진님 돌아와
@OpenCodex
@OpenCodex 3 жыл бұрын
광자력 발전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churuluka
@churuluka 3 жыл бұрын
공진님 혼잔데 왜 미팅이에오..?ㅠ
@hemed3
@hemed3 3 жыл бұрын
우리랑 하자나...ㅠ
@Pepe-288
@Pepe-288 3 жыл бұрын
☺️☺️👍
@archineuron
@archineuron 3 жыл бұрын
17:26 완벽한 발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연대하고 환경에 맞춰서 성장을해야 할것 같습니다. (환경주의가 가장 완벽한 성장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가 인간의 성장 속도를 버티질 못합니다. ㅠㅠ
@park5532009
@park5532009 3 жыл бұрын
온도차를 주어야 터빈이 돌아갑니다. 그래서 냉각하는 이유입니다.
@조마루
@조마루 3 жыл бұрын
지식 +1 나는 한층 더 강해졌다.
@박정식-g9r
@박정식-g9r 3 жыл бұрын
랩장님 어디가심?
@김규환-u9q
@김규환-u9q 3 жыл бұрын
외교적으로보면 독일때문에 원자력은 어차피 무조건 폐지해야하는 방향으로 쏠리지 않았나? 문재가 해결이 되는건 논외인것 같은데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독일도 질타 많이 받고 있음
@신승민-n6q
@신승민-n6q 3 жыл бұрын
혹시 라이브했던 영상을 비공개처리하고 플레이리스트에 담아두는건 어떤가요? 편집영상을 보면 깨알지식이나 어려운 지식들이 빠지기도 하는데 혹시나해서 의견 남깁니다
@ohmytrance
@ohmytrance 3 жыл бұрын
고속증식로가 상용화됏어야 하는데
@smartcat6949
@smartcat6949 3 жыл бұрын
어려워잉
@highlow3486
@highlow3486 3 жыл бұрын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위해 랩미팅도 혼자 하시는
@shiningstar7138
@shiningstar7138 3 жыл бұрын
ㅜㅜ미국에 계셔서 그런듯요...
@섭이-y7s
@섭이-y7s 3 жыл бұрын
어 중간까지 듣는데 눈떠 보니 벌써 PM5h?!?!?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жыл бұрын
비행기를 13번 타면 1년 평균 방사선 피폭량을 초과하는군요. 조종사, 승무원 건강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보입니다.
@핵수저
@핵수저 3 жыл бұрын
조종사, 승무원 등 방사선 피폭량이 일반인 보다 많은 직업군 종사자에 대한 법령은 이미 있고 관리되고 있습니다.
@soowoogi
@soowoogi 10 ай бұрын
심시티2000 에서 본 핵융합발전소
@magmagie7425
@magmagie7425 3 жыл бұрын
방사능 방사선 방사선량 피폭량 등등 ... 이런 말꼬리로 뭐라고 하는 분들이 있네요. 정확하게 용어를 따지자면 다 다른 의미죠. 방사능이란 것은 뭐가 튀어나온다라는 겁니다. 이 방사능 물질에서 튀어 나오는 것도 전리냐 비저리냐 따지고 핵종이 뭐냐도 따지고 등등 구분할 것이 많기는 합니다. 그런데 전문가들 토론하는 곳도 아니고 정확한 자료 제시도 않으면서 자기 잘났다고 뭐라뭐라 하는 걸 보면 참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러면서 오히려 자기가 주장한 내용이 문제가 많다라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대답도 없고 남들 말꼬리 트집만 잡는 행동을 보면 같은 내용에 대해서도 말장난으로 이리저리 비틀어 자기 주장만 하고 관심병이 도져서 핵연료가 안전하다는 정말 전문가라면 할 수가 없는 미친 수준의 주장까지 합니다. 전세계 핵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바보인가요? 그 사람들 핵연료 작업할 때 맨손으로 작업하나요? 일반 작업복 입나요? 핵연료 안전하다라는 주장은원자력 공학과 일학년도 안합니다. 이건 상식이 증발해서 플루토늄연료로 폴로늄 홍차 우려먹는 수준이네요. 구라치다 걸리면 ??? 야! 이 씨발놈 손모가지 찍어!
@jihyeonchoi3671
@jihyeonchoi3671 3 жыл бұрын
"그랜드캐니언 지하도시"
@w-jk8699
@w-jk8699 3 жыл бұрын
1억 온도를 20초만 유지한 이유가 뭔가요? 그 이상하면 녹아내려서 멈춘건가요?
@jpjpjpjp1234
@jpjpjpjp1234 3 жыл бұрын
플라즈마는 온도에 민감해서 용기에 닿으면 금세 식어서 용기가 녹지 않습니다.
@jpjpjpjp1234
@jpjpjpjp1234 3 жыл бұрын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용기와 접촉하지 않게 띄우고,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쪼여서 원하는 온도까지 끌어올리는 과정에 있습니다.
@w-jk8699
@w-jk8699 3 жыл бұрын
@@jpjpjpjp1234 플라즈마로 열을 가두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물어번 것이 20초 이후 플라즈마가 깨어지는건지 아니면 플라즈마를 담는 물질들이 못견디는 건지를 묻고 있는 것입니다
@creaditmr9289
@creaditmr9289 3 жыл бұрын
@@w-jk8699 정확하게는 온도 유지가 안되는거죠. 말이 1억도지 그게 초저온급이상으로 힘듭니다.
@광속냐옹이
@광속냐옹이 3 жыл бұрын
@@w-jk8699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두고 열을 올리는것은 알고 계시듯이 자기장을 만드는 초전도체를 극저온으로 유지해야 효율이 나오지만 지속유지의 경우 자기장을 유지할만큼 극저온 유지가 안되서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 극저온유지가 안되면 저항이 올라가버리니...
@padoelec
@padoelec Жыл бұрын
세명보다 한명이 낫네~~~
@skory87
@skory87 3 жыл бұрын
심쓴ㅋㅋ
@몬드호
@몬드호 3 жыл бұрын
1920년대에 달구지 끌던 우리나라에 비해 눈에 보이지도 않는 원자에 새로운 원소를 만든 서양인들 인간신 이라 할 만 하다.서양인들 정말 대단하네
@sunung0110
@sunung0110 3 жыл бұрын
16:16 우리나라가 세계최초인데 이걸 없애자고 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천해명 순서가 우라누스 넵튠 플루토 이거 뭐 양자공학(일반인은 모름, 극난이도의 분야)이 먼저야 천체물리학이 먼저야
@jungdama
@jungdama 3 жыл бұрын
토륨?주괴?EE!!
@chrislee9852
@chrislee9852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해가 안됐네요
@유지태-l9s
@유지태-l9s 3 жыл бұрын
탈원전..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특정 물질의 원자 탄소 원자로는 안되잖아 산소도 그렇고 ㅋㅋ
@구독하면원하는일-i6p
@구독하면원하는일-i6p 3 жыл бұрын
무심코 지나 가다가 우연히 저를 만나신 모든 분들이 아프지 않고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바랍니다. 학업 취업 연애 사업 재물 건강 모든 일이 잘 되실겁니다.💖 항상 다 같이 행복해요.💖💚💙💛
@흐음그래서뭐어쩌라고
@흐음그래서뭐어쩌라고 Жыл бұрын
나 전기에대해서 진짜 모르는구나
@jamescallahan2985
@jamescallahan2985 3 жыл бұрын
저 좋은 3세대 원전을 만들어놓고 건설을 못함ㅋㅋㅋㅋ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증기를 만들어서 자석을 돌림 기차대신
@BlackKingSnake
@BlackKingSnake 3 жыл бұрын
이해한건 포켓몬이 늘어났다는거밖에 모르겠다
@이병환-u9h
@이병환-u9h 3 жыл бұрын
핵발전소 온배수의 피해가 막심한데도 이는 다루지 않네요. 핵발전으로 바닷물이 뜨거워지면 뜨거워진 바닷물은 해류를 따라 이동하고 바로 기후에 영향을 미침니다. 서울의 폭염은 바로 중국의 핵발전소 49기의 영향이고 폭염과 폭우의 원인이 됩니다. 자연방사선 양과 인공방사선 양은 틀림니다. 자연방사선에는 적응이 되었고, 인공방사능에는 적응이 되어 있지 않아서 피폭되면 심각해 지는 것입니다. 3세대 발전이라고 하는 것도 별 다른 것이 없습니다. 어차피 항공기 충돌엔 대책을 세우지 않았지요. 문서로만 존재하는 발전소입니다. 현실은 2세대와 동일합니다. 작은 원자로는 전력생산 단가가 높아 지고 부품이 적게 들어 가는 것이 아니고, 규모만 작아 지는 것입니다. 인공 태양도 허구고 돈만 먹는 하마일 뿐입니다. 전기로 1억도까지 온도를 높여서 전기를 생산하면 얼마나 할까요? 어처구니 없는 발상입니다.
@inuneko5312
@inuneko5312 3 жыл бұрын
1.원전이 아니라 화력이 훨씬 많은데요? 2.자연방사선이랑 인공방사선이 왜 달라요?? 같은 알파 베타 감마선인데 지들이 뭐가 달라요??
@배고픈물총새
@배고픈물총새 3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을 반대하는 사람도 있구나 ㅋㅋㅋㅋㅋ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되도않는 지식으로 나불대지마ㅋㅋ웃겨죽겠다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Жыл бұрын
더운 물 쓰려고 그러나 난방하려고 그러나 물 좀 그만 끓여라
@이유인-z1w
@이유인-z1w 3 жыл бұрын
응?? 전부 다 어디갔데요?
@izakhamiziudonga4283
@izakhamiziudonga4283 3 жыл бұрын
방사능 유출도 문제지만 핵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폐기물 처리 비용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네. 솔직히 어느 지역 사람들이 자기네 지역에 핵폐기물 저장고 건설하는 걸 찬성할까.. 가장 최근 지은 경주 폐기물저장고엔 여유가 얼마나 남았을까.. 그리고 핵발전은 대평화시대를 필수요건으로 하는 거지. 핵발전소는 사실상 공개된 핵폭탄이니까. 911도 상징성있는 건물들만 공격해서 그렇지 핵발전소를 목표로 했으면 정말 끔찍한 일이지.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처리비용은 싸고요 맥스터는 지금 건설중이고요 공개된 핵폭탄? 원자폭탄이랑 원전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공부 좀 하고 오세요
@passenger9958
@passenger9958 3 жыл бұрын
님 처럼 쓸데없는 걱정할 바에 님 인생이나 잘 사세요
ТВОИ РОДИТЕЛИ И ЧЕЛОВЕК ПАУК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Миллионер | 3 - серия
36:09
Million Show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Кто круче, как думаешь?
00:44
МЯТНАЯ ФАН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대체 이 둥근 지붕 안에는 뭐가 있을까? | 과학쿠키 다큐 단편
17:4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세상에! 핵융합이 이런 거였어? f.인공태양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남용운 팀장)
1:03:30
다시 보니 더 놀랍다!! '인터스텔라의 과학'! [안될과학 랩미팅]
26:04
별의 거리를 측정하다 발견한 우주의 엄청난 비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강환 박사)
1: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