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받은 미국이 중공에 핵폭탄을 날리려던 순간은 언제였을까?

  Рет қаралды 8,862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3 ай бұрын

최근 한국을 핵으로 위협하고 있는 북한.
상당한 재래식 군사력을 갖고 있는 한국이
북한에 대해 불안해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그것은 바로 북한에게는 핵폭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2024년 현재 한반도 이슈에서 빠지지 않는 핵폭탄이
70여년 전인 6.25전쟁 당시에도 매우 뜨거운 이슈였다는 사실입니다.
6.25 전쟁 기간 중 미국이 중국에 대한 핵공격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던 순간.
1951년 4월, 그 때 한반도에는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중공군이 참전했음에도 예상 외로 태평했던 이승만.
그 이유는 무엇이었으며 이승만과 맥아더가 했던 약속은 무엇이었을까?
이번 컨텐츠는 현재에도 그리고 74년 전 6.25전쟁 당시에도
한반도에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참고자료: 와다 하루키의 한국전쟁 전사 (2023)
✅ 구독하기
👉 / @war-history
✅ 6.25 전쟁 컨텐츠 재생목록: • 6.25전쟁 (한국전쟁)
✅ [자발적 시청료계좌]: 국민은행 442802-01-064997 (예금주 : 이X민)
✅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lwc76@naver.com
💛회원가입을 통한 혜택과 커피한잔 후원💛
👉 / @war-history
#한반도전쟁#맥아더#핵폭탄

Пікірлер: 93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이 컨텐츠는 우리가 몰랐던 매우 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중공군 참전 소식에 전혀 놀라는 기색이 없었던 이승만. 그리고 중공군을 격파하기 위해 나홀로 동분서주하는 맥아더. 미 공군의 최신 기종을 요구한 것도 맥아더였고 구체적인 핵폭탄 숫자까지 제시한 것도 맥아더였습니다. 결국 맥아더는 이승만과 사전 약속한대로 행동했던 것입니다. 미국이 핵공격에 가장 가까이 있었을 때는 1951년 4월이었다." (브루스 커밍스)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영상을 보고 느끼는건데 맥아더의 핵사용 자체가 본인의 실수와 실패를 만회하려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장진호전투에서의 패배 알몬드의 삽질에 대비하여 미해병 1사단의 올리버 스미스 소장과 비교해서 더 크게 느껴지는것도 있습니다 게다가 원산상륙으로 바다에서 날려먹은 1달 인천에서 모든 물자와 병력을 집중시켜서 인천을 마비시켜버린일 이 모든 삽질과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서 핵이라는 카드를 꺼낸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맥아더는 이 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면 대통령이라는 자리에 앉고 싶었을거니까요 맥아더의 행보는 군인이라기 보다는 정치인에 가까워보이는건 저만 느끼는게 절대 아니니까요 맥아더는 분명하게 작전권도 있었고 본인이 꾸리고 싶었던 참모위주로 꾸렸으며 장진호 전투의 전략적 패배는 순전히 본인의 탓이 크다고 봐야겠죠 물론 그 전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이나 최대한 빠르게 한반도에 미군을 투입시킨 결정이나 그의 안목은 그의 업적을 모두 부정하는건 절대로 아닙니다 그는 한반도에서 공이있고 과가있는 인물입니다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맥아더라는 인물에 대해서 긍정적인쪽으로 영상을 만든다고 생각하기에 이 글을 적어봤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영상을 꼬박꼬박 다 챙겨볼것이고 앞으로도 좋은퀄리티의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승하시고 새해복많이 받으십쇼
@user-jr4zg4ei5p
@user-jr4zg4ei5p 3 ай бұрын
중공군한테 아군이 밀릴때 맥아더장군의 핵사용이 되었으면 그때가 신의 한수였었는데 우리에게는 너무나 아쉽습니다.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항상 느끼는거지만 만물상자님 채널을 시청할 땐 느껴지는 기대감이 너무나 큽니다.. 감사드려요~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3 ай бұрын
주한미군 철수하고 한국이 북한 중공 손에 들어간다? 아무리 해공군에서 미국이 압도적이라도 그 해공군을 24시간 해상에 투사해서 막는건 비효율적이죠
@sfsgfdasg2348
@sfsgfdasg2348 3 ай бұрын
지금이나 옜날이나 힘의 균형대로 움직이는 국제질서
@user-xi9zy5wo5d
@user-xi9zy5wo5d 3 ай бұрын
저 때 그냥 미국이 핵을 사용 했다면 지금처럼 북핵, 중공 때문에 골치 아픈 경우가 안 생겼죠...
@rlee4805
@rlee4805 3 ай бұрын
영상 고증해설 감사합니다 새해 복마니 받으세요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user-of4pf4c
@user-of4pf4c 3 ай бұрын
아쉽다 핵사용할 명분이 생격는데 당시 중공군이 참가할명분도 거의 없고 마오쩌둥이 명분을 꺼낸게 김일성을 지원한다는 이것하나뿐 그리고 먼져 침공한게 북한이고 남한은 침공당한쪽이라 핵사용하지 핵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미국이 중국한테 협박을해 당장 한반도의 철수하지 않는다면 한반도와 중국본토의 핵을 날리겠다고 중국한테 어느정도 협박을해서 중국이 한반도의 물러나지 않을가 싶다🤔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해임당한 이후에도 맥아더 장군은 휴전을 목적으로 고지전만 하면서 피를 흘릴 게 아니라 최소한 핵을 이용해서 협박이라도 해보자고 아이젠하워에게 제안을 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동맹국이 한국과 같이 중요하지 않은 나라에서 전면전을 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상황 속에서 아이젠하워도 맥아더의 요청을 거부하게 됩니다. kzbin.info/www/bejne/np2waWCYq9Vjprc ( 한국에게 주어졌던 통일의 마지막 기회.)
@j.c.s7762
@j.c.s7762 2 ай бұрын
중국에 핵 투하 안해서 통일을 못했다는 아쉬움만 예기하지 말고 트루먼 정부의 핵 반대에 대한 이유도 알아야하지 않을까요? 너무 우리 입장만 생각하는것도 당시 국제정세 무시하는 경향같아서 아쉽네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중요한 이야기 해주셨네요. 당연히 그에 대한 이야기도 채널엔 준비되어 있습니다. 중공군 개입 직후 핵폭탄 이야길 먼저 한 사람이 누군지 아십니까? 바로 트루먼 대통령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제한전을 추진한 이유. 어느 누구도 말하지 않았던 그 이유를 밝힌 컨텐츠입니다. kzbin.info/www/bejne/i4WpdYern5unh8U
@dprkno.1
@dprkno.1 2 ай бұрын
@@war-history네 . 트루먼은 처음에는 핵무기를 사용할 것을 주장했으나 나중에 포기했다. 많은 남조선 사람들이 이를 모른다. 그들은 트루먼이 멍청하거나 나약하다고 생각했다
@a116jks
@a116jks 3 ай бұрын
세상은 지근 거리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
@user-ll1hx6sq8o
@user-ll1hx6sq8o 3 ай бұрын
그당시 대만의 국민당 이 중국본토로 상륙하고 미국이 핵공격을 했다면 통일이 가능하지가.....
@sjyoon0603
@sjyoon0603 3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영상 잘봤어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여!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언제나 감사합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지금에서는 저 당시를 아쉬워하지만 당시 미군 장군, 정치인들의 생각으로는 소련까지 직접 참전해 제3차 세계대전으로 번질 우려가 크다고 봤죠 ㅜㅜ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맥아더가 중공군이 본격 참전했으니 미 본토로 돌아간 폭격기 2개 대대를 다시 한반도로 배치하자고 요청하자 미 공군 사령부가 더 중요한 유럽에서 전쟁이 날 가능성이 크다며 거절하는 장면에서도 알 수 있는 사실이죠. (05:40)
@psycho803
@psycho803 3 ай бұрын
이제 한반도가 핵을 맞게 생겼으니.. 우리는 북한의 핵을 맞게 될까 아니면 중국의 핵을 맞게될까? 🤔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70여년 전 이승만과 맥아더는 미국의 힘을 끝까지 보여줘서 중공군을 몰아내고 한반도 통일을 이루는 것이 가장 싼 비용이 든다고 예견했던 것 같습니다. 70여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은 말씀하신대로 핵폭탄으로 대놓고 협박을 당하는 상황이니 말입니다. 실제로 기록을 보면 맥아더는 죽기 직전에도 자신을 방문한 한국인사들에게 한국은 너무나 위대한 기회를 놓쳤다, 나는 그것이 한탄스럽다. 라는 말을 여러번 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정일권 회고의 내용과도 겹치는 부분이 있어 의미심장합니다.
@user-yy2hk8nm8e
@user-yy2hk8nm8e 3 ай бұрын
1951년 4월이 면 한국의 최대 위기였던 51년 1~2월을 몇달 넘은 시점이네요 핵공격을 고려할만한 게 충분히 납득이 되는 상황이죠 정말 급박하게 중요했던 순간이 지나갔네요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이 컨텐츠에는 역사적 사실과 정일권의 회고록에만 나오는 내용이 섞여 있습니다. 그러나 영상을 이해하신다면 두 가지 내용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맥아더와 이승만은 중공군이 참전하면 아예 끝장을 내고 통일 완수를 하려고 했습니다. 맥아더만 믿고 있던 이승만은 그래서 중공군 참전에도 걱정이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맥아더는 결국 해임당했고 이승만의 꿈은 사라집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해임 직전에 미 합참은 중공군이 또 미군을 공격한다면 예고 없이 핵 발사 할 것임을 결정합니다. 트루먼도 승인하여 결정은 합참으로 넘어간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맥아더가 이 기간에 해임당한 것입니다. 중공군 춘계공세는 1951년 4월 22일. 계획대로라면 이때 핵이 날라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맥아더는 이때 없었고 합참은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당시 미국 내의 그 누구도 앞날을 예견하지 못했고 그 누구도 한국통일에는 관심이 없었음을 매우 잘 보여줍니다.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핵날리면 우리한태도 피해가가지않았을까요?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그것이 우리가 굉장히 착각하는 부분입니다. 핵을 날려서라도 끝을 보자는 것은 당시 국민들의 뜻이었습니다. 한국은 이미 피해는 볼대로 다봤고 전국이 초토화된 상황이었습니다. 이것은 북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때문에 남이나 북이나 모두 끝을 보고 싶어했습니다. 다만 남쪽은 미국때문에 그럴 능력이 있었지만 공산측은 그럴 능력이 그땐 없었죠.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war-history 핵안날리고 끝낼방법도있지않았나요?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war-history 한국전쟁 을 잘알지못한게 많군요
@ganzylee812
@ganzylee812 3 ай бұрын
베이징에 날리는데 왜 우리한테 피해가 가냐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ganzylee812 만주에 날린데요
@user-op6en9wz9g
@user-op6en9wz9g 3 ай бұрын
역사에 IF는 없지만, 핵사용 가정이라고보면 아마 3차세계대전은 불보듯 뻔했을 것 같네요.. 특히 소련이 독소전도 그렇고 초반에 소극적이다가 한대 얻어맞기 시작하면 민주주의진영과 다르게 비인도주의 총력전이 가능하며 이는 민주주의 진영에 매우 어려운 싸움이 될 것임이 분명할 것 이라 봅니다. 미국 핵사용을 가장 반대한 영국만 보더라도 아마 동맹국중에서 대표로나서 미국 핵사용을 단념 시킨 것만봐도 핵사용을 했으면 반대한 국가들도 어느정도 반감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구도로 전쟁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하는 예상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 결국 당시에 미국지도부는 최고의 선택을 한 것으로 보여지네요. 그래도 UN참전 후 통일을 못 한게 너무 아쉽습니다.(중공 참전 전 상자님 말씀대로 방어라인을 최북단이 아닌 평양 원산라인으로 헀더라면 ㅠㅠ)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확실한 것은 소련의 스탈린은 설사 중국이 패배하고 미국이 중국본토를 공격할지라도 발을 뺐을 거라는 점입니다. 스탈린이 소련 전투기 조종사들을 중국인으로 위장한 이유가 그 때문입니다. 스탈린은 직접 미군과 부딪히는 것을 한사코 피했던 것입니다. 이것은 지금은 모두 밝혀진 사실이며 6.25 전쟁 당시 미국도 그 사실을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습니다.
@dprkno.1
@dprkno.1 2 ай бұрын
@@war-history 소련이 중국군을 위장해 미군과 충돌을 피하려 했던 것은 미군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국제 정치적 고려에 따른 것이었다.소련은 아시아에서 유럽에 대한 미국의 주의력을 분산시키기를 희망했다. 이익과 손실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느냐가 중요하다. 전쟁을 조선반도에만 국한시키고 쏘련이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면 쏘련에 대한 리익은 더욱 커질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중국이 패하면 균형이 깨질 것이다. 이 때에도 쏘련이 계속 개입하지 않는다면 이익이 손해를 보게 될것입니다.
@user-tg2tn3ww3i
@user-tg2tn3ww3i 3 ай бұрын
이 영상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건국전쟁을 봤지만....이승만의 업적 중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정말 신의 한수 였죠. 이 조약이 없었다면 한국이라는 나라는 그 이후 어찌 됐을 지...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이 영상하고도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상호방위조약 체결과정을 자세히 다룬 컨텐츠도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fmqxeaqnq6-sjpo (초강대국 미국이 약소국에게 끌려다녔다. 한미상호방위조약 비하인드 스토리.) 승부를 내지 못하고 또 다시 대치상태로 들어가는 비극적인 상황. 그런 미국의 바짓가랑이를 잡아 주저앉히고 우릴 보호해주지 않으면 자폭하겠다! 라는 협박. 이것이 이승만이 했던 것이고 그래서 생긴 것이 상호방위조약입니다. 우리가 대단한 착각하나를 하고 있는데요. 당시 미국은 한국을 전혀 중요하게 보지 않았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점입니다.
@centurionkwk
@centurionkwk 3 ай бұрын
일단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역시 이 채널은 믿고 보게 됩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정말 중공군의 참전을 이미 예견하고 기다렸다면 , 그것은 군국주의 독재국가들과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간의 싸움이 2차대전으로 귀결된 것처럼 공산주의 독재국가들과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간의 대전이 성립한다고 믿었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세계가 두편으로 갈라져서요. 그러나 세계는 두편으로 갈라졌을지언정 세계대전은 벌어지지 않았죠. 냉전으로 발전했을뿐. 이미 시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보는 저는 그게 충분히 납득이 가지만 당시 이승만 대통령으로서는 납득할 수 없었을 겁니다. 제 생각엔 한국전쟁의 경과만 봐도 이승만 대통령은 외교와 정치에는 대단히 밝았고 국가발전의 비전을 가진 사람이었지만 전쟁과 군대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사람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신생독립국인 당시 대한민국엔 전쟁과 군사에 정통한 사람이 아예 없었죠.) 그리고 미국이야 그렇다 치고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 건의 싸움이 세계대전으로 발전할 경우 미국과 함께 싸워야 할 서구 열강들이 2차대전으로 얼마나 심각한 피해를 입었는지도 몰랐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들 나라의 국민들이 또 다른 세계대전에 얼마나 심하게 반대할지도요.) 결국 미국은 동맹국 없는 싸움이 될 소련과의 일전을 바라지 않게 되었고 대한민국은 분단상태가 되어버렸네요. 미국은 예전에도 지금도 거대한 적을 상대로 싸울 때 충분한 동맹세력을 만들고 싸우고 싶어합니다. 전쟁 승리 후 그들과 이익을 나누더라도요. 현명한거죠.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 컨텐츠에 나오는 내용은 정확한 사료를 기반으로 한 내용입니다. 설명란에 참고 사료의 이름도 있습니다. 이승만은 중공군이 참전하지 않기를 바랬지만 한반도 5천년 역사를 봤을 때 중국이 가만히 손 빨고 있진 않을거라고 봤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joda1223
@joda1223 3 ай бұрын
소총과 박격포로 무장한 군대에게 역관광 당해서 핵을 쏘는 상황이 발생할 뻔 했네요.... 미국 입장에서 보면 얻는 것에 비해 잃는 것이 너무 큰 상황이라 미군 지휘부도 쉽사리 사용하기 어려울 듯....
@user-nr7hs6tk9j
@user-nr7hs6tk9j 3 ай бұрын
그때 핵 사용해서 중국 공산당이 망했으면 대약진 문화혁명으로 수천만이 죽고 고통당하는 역사가 없었음은 물론 지금도 전세계가 중국으로부터 피해를 당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wyeuibfhjg3649
@wyeuibfhjg3649 3 ай бұрын
소련이 참전한다니깐 아~물론 안할수도있겠지만 소련도 핵이 있기때문에 섣불리 중국에다가 핵을 던지기에는 양날의검이 존재했다
@TAB022O
@TAB022O 3 ай бұрын
핵보유소련참전여부도 그렇고 근데 맥아더의 대선주자로 될 두려움도 있었음,,,,,
@sangmyeongshin
@sangmyeongshin 3 ай бұрын
2024, 2, 22, 16:47 잘 보고 있습니다
@user-cr9zq8lg1p
@user-cr9zq8lg1p 3 ай бұрын
중공군이 핵을 사용했으면 어디다가 발사했을까요? 그당시 전술핵이 있었는지 모르지만 도시에 쓰기에는 위험부담도 많고 , 중공군은 대개 산속에 숨어서 이동하는데 이거 찾기도 힘들텐데요
@user-ql5bi9so7s
@user-ql5bi9so7s 3 ай бұрын
아쉽네요.
@user-yj8wc1pn4m
@user-yj8wc1pn4m 3 ай бұрын
미국은. 투루만은 더 이상 피를 흘리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 봅니다. 핵으로 끝날 전쟁이었는지도 의문. 조선반도는 이미 해방후 이질적 두 체제가 공고해진 시점이었고. 분단은 필연적이었다 생각합니다.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3 ай бұрын
한국을 버려도 일본은 지킨다? 군사적으로 헛소립니다. 일본은 남북으로 소세지처럼 길쭉한데다 섬이 많아서 그래서 일본제국 때도 한국에 광적으로 집착했던것.
@user-sanaekochiya
@user-sanaekochiya 3 ай бұрын
임진왜란 때 명군이 요동이 아니라 조선에서 막은것도 마찬가지 이유듯이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1950년 6.25전쟁 기간에는 그랬습니다. 미국 지도층은 한반도를 전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전쟁 동안에도 포기를 하려고 한 적이 공식 기록에만 2번 이상 나옵니다. 04:25에 나오는 콜린스 대장의 발언은 기록에도 나와 있습니다. "전쟁이 확대되어 3차대전이 일어난다면 한국은 한푼의 가치도 없다!" 아마도 이 말을 한 시기가 1951년 1월 초 중공군이 서울을 다시 점령했을 무렵일 것입니다. 아래 영상에 그 이야기가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pmGbn4adg72HeZI (대한민국이 망할 뻔했던 순간)
@shalom1981
@shalom1981 3 ай бұрын
오늘 처음 보는 채널입니다 경이로운 사실 알려주심에 감사합니다 그리고..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 알고도 모른척? 부인? 비밀? 인 중요한 진실이 있네요 아마 소수만 알고 관심이 있겠지요 맥아더 장군은 스코틀랜드 유대계 미국인입니다 프란체스카여사님도 오스트리아 유대인 이들의 공통점은.. 유대인이죠 이들의 공통된 친한국❤ 동병상련, 그애정은 매우 감동적입니다 돈이없고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세계차관을 받아야 할때도 프란체스카여사가 그린버그에 부탁해 성사가 되었고 하와이 독립운동 필라델피아에서 건국운동 등도 유대인들의 도움이 매우 컸다고 함 1948년 5월에 이스라엘이, 같은해 8월에 대한민국이 이세상에서 재탄생 되었죠 동양권에서 미국헌법의 민주국가가 일본 한국 이스라엘 세나라 뿐인거… 글고 이스라엘이 625 유엔참전국인거 .. 모르는 국민들 많죠 구약성서(토라)는 단순한 종교서적이 아니고 이스라엘의 역사이며 창조론이 바탕이 된 세계 모든 인류에게 생명의 근본입니다 로마캐톨릭의 헬레니즘화 되어버린 기독교 문화와는 다른 유대적 시각으로 히브리어 (유다이즘) 원문을 기본으로 하는 두루마리책(성경)을 연구하여 인류와 지구의 미래, 3차대전과 영생을 주실 메시아 예슈아하마시아의 오심을 준비해야합니다 이런 컨텐츠가 만들어지길 원하며 응원하며 간절히 기대합니다
@user-tg2tn3ww3i
@user-tg2tn3ww3i 3 ай бұрын
사실 미군이 맘먹고 싸우면 딱이 동계전투에 약한 군대도 아닙니다. 1944년말 독일군이 30만 정예병력으로 아르덴느에서 공격했을 때 2주만에 거뜬이 저지했거든요. 근데 같은 30만 병력이지만 "화력이 눈물나게 빈약한 중공군의 일격"에 미군들이 정신 줄 놓고 남으로 남으로 퇴각한 것을 보면...^^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여러모로 아쉬움이 큰 전쟁이 바로 한반도에서 벌어진 6.25 전쟁입니다. 너무나 불리한 장소, 극악한 기후, 예상치 못한 적, 그리고 새로운 전술까지... 이런 이유 때문에 후퇴하긴 했지만 미군은 세계최강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평리 전투는 모든 것을 바꾸기 시작한 전투입니다. kzbin.info/www/bejne/qqe4Z3yiist4gqM (중공군에 대한 유엔군 첫 승리! 지평리 전투. 패배했다면 37도선에서 휴전선이 그어질 뻔했다)
@user-oq6be6gd1v
@user-oq6be6gd1v 3 ай бұрын
벨기에와 북한지역의 추위의 강도는 차원이 달라요.
@happytiger0812
@happytiger0812 3 ай бұрын
핵무기가 없는 나라와의 대결에서 밀리면 핵무기를 사용하겠다고 협박하는 미국의 군사력에 공포에 떨지 않고 대항할 것은 핵무기뿐이라는 북한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그리고 핵무기가 없는 한국을 향해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북한에 대항해서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핵무기에 대항할 것은 핵무기뿐이다. 다른 정답은 없다. 한국의 핵무기 개발과 보유 과정에 정치 경제적으로 위기가 있겠지만 제 2의 한국전쟁을 막기 위해선 핵무기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 남과 북 서로가 공격하지 못한다. 핵무기를 가진 나라끼리 전면전을 벌인 역사가 없다. 다만 소규모 국지전만 있을 뿐이다.
@jklee3339
@jklee3339 Ай бұрын
북한을 이해한다고? 차라리 그쪽으로 가는거 추천
@user-gf4jf5zb8w
@user-gf4jf5zb8w 2 ай бұрын
대중아 보고있나
@ceosealemon
@ceosealemon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중공 바보로 가두는게 낫다고 보았다😂😂😂그래서 핵공격 멈칫😂😂😂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3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미국 🇺🇸 은 중국 🇨🇳 핵 ☢️ 공격을 안했을까요😮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미국 입장에서는 남의 나라 전쟁이고 미국 입장에선 한반도 외에 중동, 유럽 등도 다 신경 써야 하니 한반도에 너무 올인하다 다른 곳에 구멍 생기면 안되는 주의였죠 ㅠㅠ
@a116jks
@a116jks 3 ай бұрын
우리들은 통일이 우리의 의지로 할수있다 생각들 하지만 분단도 통일도 때가 이르고서야 될것인데 세상에 일어나는 대부분의 현상들은 기승전 머니로 귀결된다.😊
@TAB022O
@TAB022O 3 ай бұрын
사실 극동방어선 수립만 제대로 했었더라도 이런사태까진 안났을텐데... 그때부터 미국의 판단실수이기도 하죠 근데 맥아더나 이승만은 알았음... 한반도를 버리면 결국 일본이 먹히는것도 순식간임.... 지금 어떻게 보면 그 역사가 반복되는것 같은데 TSMC대만을 잃는다면 아시아를 잃는것을 떠나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반도체 산업이 싸그리 사라지는것임....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3 ай бұрын
만물상자님 미국 🇺🇸 이 중공🇨🇳 핵 ☢️ 공격 하면 어떤일이 발생할까요😮?!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3차대전났을듯
@Chbkim0433
@Chbkim0433 3 ай бұрын
쪽팔리지 않냐 중국을 이기지못해서 핵을 사용한겠다는 생각을 하는 미국이 😂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문제는 1951년 1월, 대한민국 포기 검토로까지 이어집니다. 이 문제는 누구도 자세히 건들지 않지만 중공군 참전이후부터 1951년 1월까지 미군은 굉장한 타격을 입습니다. 군대가 입은 물리적 타격보다 정신적 타격이 엄청났습니다. 중공군을 생각보다 과대평가하여 신비의 군대로까지 생각한 것이 이때의 일입니다. 미군이 중공군에 대한 공포를 극복한 것은 지평리 전투 이후부터입니다. kzbin.info/www/bejne/qqe4Z3yiist4gqM (중공군에 대한 미군의 첫 승리, 지평리 전투)
@wyeuibfhjg3649
@wyeuibfhjg3649 3 ай бұрын
통일됬으면 오히려 이만큼발전못했을것이다
@ganzylee812
@ganzylee812 3 ай бұрын
나도 그건 그렇게 생각해
顔面水槽をカラフルにしたらキモ過ぎたwwwww
00:5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Dynamic #gadgets for math genius! #maths
00:29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양각나팔 연주
0:28
New World Baptist Church
Рет қаралды 2,3 М.
서울을 점령한 후 3일 동안 놀고 있었던 북한군, 그 진짜 이유.
15:29
만물상자TV [전쟁의 신]
Рет қаралды 42 М.
顔面水槽をカラフルにしたらキモ過ぎたwwwww
00:5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