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별 직책별 망한 커리어의 기준

  Рет қаралды 621,124

퇴사한 이형

퇴사한 이형

2 жыл бұрын

#커리어 #직장인 #직장생활
퇴사를 후회하지 않도록 차근차근 준비하는 [퇴사키트]
👉bit.ly/3YMFp5e
이직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면 책[이직바이블]
👉 bit.ly/3mubn7a
0~3년 차 미만 주니어를 위한 트레이닝 [주니어PT]
👉bit.ly/3EaIvqj
일잘러가 되기 위한 특별한 PT [커리어PT]
👉bit.ly/3KTWUef
이형처럼 시간을 관리하는 플래너 [타임트래커]
👉bit.ly/3zGiQUi
매달 이형과 같이 책을 읽고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북클럽]
👉bit.ly/3NE0k6M
직장인을 위한 이형의 강의를 더 듣고 싶다면 [트래커스]
👉 bit.ly/45E9K8r
이형의 시간관리 방법을 알고싶다면 책[포커스]
👉bit.ly/3zF4V0I
퇴사한 이형 구독자 형팸들과 소통하고 싶다면?
👉 bit.ly/2wVLrHX (참여코드: 0214)
* 비즈니스 문의: official@alivecommunity.co.kr
* 직장생활 고민 사연 : forms.gle/4y3cRsjQQ6V9dCxv5
COPYRIGHT 2021. ALIVECOMMUNITY ALL RIGHTS RESERVED.
저작자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Пікірлер: 339
@lee_bro
@lee_bro Жыл бұрын
퇴사를 후회하지 않도록 차근차근 준비하는 [퇴사키트] 👉bit.ly/3YMFp5e
@user-ek1ks3nv2j
@user-ek1ks3nv2j 2 жыл бұрын
경력을 단순히 쌓는분들은 10년차도 팀원인 경우가 많은듯해요 경력은 쌓는게 아니라 만드는겁니다.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10년차 외길인생보다 10년차 프로이직러가 더 성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기업이 큰 경우 프로이직러가 될 수 없고 (큰 기업 이곳저곳 왔다가는건 생각보다 훨씬 더 어려움) 대겹이나 중견 10년 이상 근무하면 실무능력 뿐만 아니라 리더십 면에서도 어느정도 독립도 가능할 정도로 성장하는 경우가 은근 많죠
@user-ql9hx2gx8h
@user-ql9hx2gx8h 2 жыл бұрын
오늘 진짜 회사에 맡고 있는 위치에서 내가 능력이 한참 부족하다고 느꼈었는데 이 영상보고 넓은면에 대해서 배운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88worker
@88worker 2 жыл бұрын
7년차인데..완전 공감이네요. 올해는 꼭 성장의 해로 만들어야겠어요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도전해서 리더십을 키워라 이 영상 커리어에 굉장히 중요한 것 같고 주기적으로 보고 자성할 수 있는 영상같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shk2826
@shk2826 Жыл бұрын
이걸 보고 나니 왜 면접 질문이 그런 것들이 있었는지 이해가 되네요... 경력을 쌓을때 어떤 생각을 갖고 해야 되는지 방향성을 알려준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lunagale7758
@lunagale7758 2 жыл бұрын
와 ㅋㅋㅋㅋㅋ 정말 설명 잘해주시네요. 사실 회사는 저모든걸 다 잘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는데 경험이 없으니까 최소한 이정도까지만이라도 해라라는 기준을 명확히 알려주시네요.
@MultiAhyoung
@MultiAhyoung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단순명료한 기준이네요! 늘 좋은 콘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o5ud5en8g
@user-no5ud5en8g 2 жыл бұрын
충격이고 자극적이지만 꼭 필요한 얘기같아요. 현재 스스로가 어느 위치인지 누가 알려줘서가 아닌 스스로 깨달을 필요가 있었는데 한대 맞았네요 ㅎㅎㅎㅎㅎㅎㅎ
@m2han
@m2han Жыл бұрын
이제 7년차에 접어듭니다. 그동안 직무전문성은 꽤 잘 키워 놨기에 다음단계 성장을 위해 실무자에서 팀장급 이직할 기회를 찾기 시작했는데, 혹시나 욕심내는 게 아닐까 무서웠지만 이 영상 보고서 좀 더 자기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cat825
@mcat825 2 жыл бұрын
아직 직장에서 일해보진 않았는데 열심히 봤어요! 왜 그렇게 요즘에 학교에서 프로젝트 프로젝트, 없던 커리큘럼도 만들어서 프로젝트 괴물로 만들려는지 이제 알겠네요. 조장만 여러 학기 지나면서 15번은 해본거 같은데 한편으론 힘들기만 했다고 생각했다가 영상보고 좋은 재료를 얻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user-hv1ic2ob3f
@user-hv1ic2ob3f Жыл бұрын
최근 상사가 '경력직인데' 신입이랑 하는일이 같다는 말을 듣고 저 역시 인정했고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누군가에겐 이 동영상이 동기부여가 될 수 있겠지만... 전 안좋은쪽으로 생각이 들게 되네요... 다른분들은 동기부여를 통해 성공한 삶 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user-er5zj5bv8c
@user-er5zj5bv8c Жыл бұрын
저두요….동기부여도 되지만 후회와 자기비하, 무력감도 함께 오네요..
@HK-ws8ro
@HK-ws8ro 5 ай бұрын
뭐 회사마다 상황이 달라서 다 같이 배울순 없음 너무 신경 ㄴㄴ
@jakeb1381
@jakeb1381 2 ай бұрын
하는일이 같은건 본인잘못이 아니라 직무안배를 잘못한 상사 잘못아닌가요? 그걸 왜 본인탓을 하죠?
@rachelkim4388
@rachelkim4388 5 ай бұрын
8년차 직장인입니다. 나름 규모있는 기업에서 전문성있는 일을 하며 다니고 있는데 계속 막내생활만 해서 좀 고민이었어요.. 추후 커리어패스에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결국엔 리더십이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lexander-iq6tt
@alexander-iq6tt 2 жыл бұрын
와 오늘 콘텐츠 대박입니다 👍 많이 배우고 갑시다
@user-oc1qh7pk1w
@user-oc1qh7pk1w 2 жыл бұрын
역시 들을때마다 머리한대씩 얻어맞는것 같습니다.
@MOONMOON-ol9gg
@MOONMOON-ol9gg 2 жыл бұрын
신입 면접준비때도 많이 보고 엄청 도움 얻었었는데 커리어 고민하던 중에 딱 맞는 영상으로 찾아와 주셨네요 새삼 놀랍습니다 ㅎㅎ
@user-ut5fz7qx3f
@user-ut5fz7qx3f 2 жыл бұрын
제 얘기같네요. 망한커리어 인사문제때문에 물경력 2금융권 수신및여신업무4년차 여신실무경험이적고 인력부족으로 수신지점만계속 순환근무 나이 30초에 이직하려고 이력서넣은곳은 다 탈락이네요. 고시준비4년에 이렇다할 스펙없이 취업되긴했는데 커리어상, 인생 발전샹 답이점점없어보여 인생에 회의감을 요새느끼고있습니다. 채용연계형 인턴이라도해보려고 원서넣었는데 나이가많아선지 다 탈락하고 현타가옵니다.
@kylie7136
@kylie7136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인상적인 내용입니다 목말랐던 부분을 딱 짚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rargigi7932
@rargigi7932 2 жыл бұрын
중소 10년차 관리자 8명에 현장 30명인 회사에 다니며 위에 부장님 한분 빼고 밑으로는 다 후임직원인데 사람을 움직이는 리더쉽이 왜 제일 어려운지 알겠네요...
@ivanju9824
@ivanju9824 2 жыл бұрын
ㅈ소는 진짜 아무거나 하는 경우 많은데 커리어나 성장 보다는 그냥 돈 벌라고 일하는 경우도 많고요 저같은 경우도 ㅈ소 다니면서 영업 생산 품질 현장관리 인사총무 회계 다 해보다 보니까 오래된 커리어는 없지만 이건뭐 저 혼자 ㅈ소 차릴수 있을 느낌이더라구요
@yjkang11
@yjkang1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ㅠㅠ
@park5178
@park5178 3 ай бұрын
ㅈ소 다니다 중견왔는데 진짜 ㅈ소 사람들이 올라운더임. 이것저것 다해봐서 큰그림도 잘 봄. 다만 큰 기업은 분업화가 더 잘 되어있고 돈도 더 주지만 그만큼 잘리기도 쉬워서 무서움
@JIH-xe3pl
@JIH-xe3pl 5 ай бұрын
8년차 들어가는데 리더십 역량이 필요하겠네요.. 늘 신사업으로 몰려서 혼자 고군분투 하는 일이 많은데 빠른 결단을 할 시기인 것 같음을 느낍니다.
@congshree
@congshree 2 жыл бұрын
으어아하하하ㅠㅠ 더 열심히해야겠네요 근데 팀원이 없어요오오오오ㅠㅠ
@user-yp1uc3qv7b
@user-yp1uc3qv7b 2 жыл бұрын
가끔 프리랑 일하다보면 한 회사에 오래 다니는게 신기하다고 하는데 첫 회사에 오래 다니는 것이 나쁜걸까요? 소속 부서도 이미 틀이 만들어진 부서고 매일 고객 응대와 개알 업무에 치여 살고 있네요. 왠지 일했던 것 들이 물경력인 것 같아요ㅠㅠ
@user-qh5oi4rt1i
@user-qh5oi4rt1i 2 жыл бұрын
학원 수료과정으로 만든 거 보고 아이디어 맘에 드셨는데 기획쪽 생각없냐고 회사에서 얼굴 보고 싶다 한번 제안이 왔었는데요, 여기 영상보니 새로운 프로젝트 제안 실행은 부장급이 하는 일이라 하는군요.. 사실 학원에서 기획은 잠깐만 배운 정도이고..그 제안온 회사에 맞춰 제시할 법한 아이디어는 실제 기능구현 되는지 확신은 안되서 애매하네여.
@7D3M2N
@7D3M2N 2 жыл бұрын
실제 부장급월급보다 낮을수있고 신입이 아닌 경력으로입사 일경우 신입처럼 일일히 알려주지않고 중소기업이 엥간한 신입 경력처럼 일많이시키고 돈더쳐줘서쓸느낌
@marcellinusst.6951
@marcellinusst.6951 2 жыл бұрын
근데 저건... 바꿔말하면 작은 조직일수록 연차대비 요구레벨이 높다는거네요ㄷㄷ(+2) 돈은 덜받는데 필요역량은 높아지는 구조.. 대기업갑시다 여러분
@user-gt5ik5de9v
@user-gt5ik5de9v Жыл бұрын
연차별 요구 레벨 못 쫓아가고 있으면 마흔 넘어 ㅈ된다는 이 영상을 이렇게 해석하는 건ㅋㅋㅋㅋ 능지가..?? 답도 없다ㅋㅋ 지금 2030이 40대에 구조조정 당하면 치킨집 조차 못 여는 시대가 됩니다ㅋㅋ
@user-lg1ws3df6o
@user-lg1ws3df6o Жыл бұрын
요구레벨이 높아지는 게 아니라 고연차 때도 저연차 일까지 해야 하니까 연차에 맞는 역량을 키울 환경이 안된다고 보는 게 맞겠죠 ㅋㅋ작은 조직은 역량이 낮아도 충분히 굴릴 수 있습니다 ㅎㅎ
@user-iq2om6mh5m
@user-iq2om6mh5m 2 жыл бұрын
내가 겪은 주변에 팀원 사람들은.. 어떻하면 같이 일안하고 일 덜받을까 그런걸로 고민하는 인간들밖에 없었는데ㅎㅎ 저렇게 제도를 개선시키고 프로젝트를 리더역할을해서 막 할려고하고 이런 인간 못봤음ㅎㅎ 스트레스받으니까
@DreJeong
@DreJeong 2 жыл бұрын
직장생활 8년차 물과장인데 5까지 해봤네요..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delusionfish9606
@delusionfish9606 2 жыл бұрын
취준생도 아닌데 인생 배운다고 자주 봅니다. 감사합니다.
@dkcnmj978
@dkcnmj978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자극되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kv7gh2tn8v
@user-kv7gh2tn8v 2 жыл бұрын
이형님 전문대, 고졸출신의 현장직 퇴직이나 이직에 관해서도 궁금합니다.
@user-rd2qn8gv1u
@user-rd2qn8gv1u 2 жыл бұрын
대기업 SI 회사 8년차인데, 3조차도 안되는 현실을 깨닫고 먹먹해지네요. 감사합니다.
@missiontrails
@missiontrails 9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리입니다 감사합니다. 확실히 말씀 하신 방향으로 성장하는 게 연봉인상하기 제일 쉽습니다. 물론 이렇게 발전해야만 연봉인상을 받는 건 아니지만, 이렇게 발전하는 게 회사들에게 자신을 팔기 제일 쉽다고 봅니다. 이 외의 다른 길로 연봉인상을 크게 이루려면 본인이 시장을 개척해가야한다고 봅니다.
@PumpkeenProject
@PumpkeenProject 2 жыл бұрын
설명넘잘하세용 ㅎㅎ 도움많이됩니다. 감사해요
@sewoung190
@sewoung190 Жыл бұрын
근데 뭘 기준으로 사람의 인생을 망했다고 정의하는겁니까?
@romkim8091
@romkim8091 8 ай бұрын
진짜 요새 유투버들 진짜 어그로성 문구로 조회수 뽑을려구 사람 많이 현혹합니다 솔직히 이분도 제가 봤을때 결국 버티지 못하고 퇴사한 1인에 불과 합니다 마치 퇴사가 정답인거 마냥 말씀들 하는데 적어도 퇴사하시기 전에 다른 직장 구하고 한 2주 쉬고 다시 직장 생활하세요 그리고 장사는 나중에 돈있으면 얼마든 할수 있습니다 지금 하시는 곳에서 인정받고 열심히 일해서 실력을 쌓으면 가치를 알아봐 주시는 분이 일을것 입니다
@heeseokkim3194
@heeseokkim3194 7 ай бұрын
윗분말에 공감합니다. 인생에 정답은 없어요 이분 영상 중 제일 별로네요 ㅠ
@user-el4wj1sy5s
@user-el4wj1sy5s 6 ай бұрын
ㅋㅋㅋ 인사따리가 깝치는거 개웃기네
@user-jt8sc9xd5t
@user-jt8sc9xd5t Ай бұрын
주변사람들보다 못하면 망한거라고 생각합니다.
@user-jt8sc9xd5t
@user-jt8sc9xd5t Ай бұрын
@@user-el4wj1sy5s 그래서 당신 연봉은 얼마고 자산은 얼마? 인사쟁이라고 지껄이는 수준보니 당신 인생이 얼마나 저열하고 수준이 낮은지 안 봐도 비디오네. 내가 사장이면 당신은 절대 안 뽑을 듯^^
@cj257
@cj257 2 жыл бұрын
이건 회사랑 부서별 직무별 다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총무부나 회계팀은 거의 변화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회사 내부 구조상으로도 소수인원으로 돌아가면 이사든 부장이든 아래사람들과 같이 발로 뛸 수밖에 없습니다.
@kj3325
@kj3325 Жыл бұрын
총무는 그냥 그 직무 자체가 물경력임.
@rypark8943
@rypark8943 Жыл бұрын
회계팀하고는 좀 안맞는 이야기 같아요.
@user-ok1ip2dy5v
@user-ok1ip2dy5v 2 жыл бұрын
연말인데 고생 많으십니다. 힘내세요!! 뽜이링 입니다!
@redhive0502able
@redhive0502able 6 ай бұрын
쌩신규고 1년도 안됐는데 4번까지 경험했어요. 다음달 중순이면 딱 1년인데, 1년 되자마자 도망가려고 해요. 1년도 안된 사람이 저기까지 경험했다는건 제가 유능하다는 말이 아니라 회사가 체계가 없고 미래비전이 없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제가 입사했을 당시에 직원이 70명에 육박했는데 지금은 절반으로 줄었으니 말 다했죠😢
@user-jo4km7zu5y
@user-jo4km7zu5y 2 жыл бұрын
이런 컨텐츠 좋네요 개인적으로 단맛보다 쓴맛이 고쳐나가는데 더 좋다고 느껴서 영상 보고나서 스스로에게 채찍질을 하러 갑니다
@user-kp5zt5pf2j
@user-kp5zt5pf2j 2 жыл бұрын
11년차 대리입니다. 회사에서 기대치가 커서 해당 체크리스트에 모두 해당되네요.. 회사가 인사고가가 없고 위에 진급못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대리에서 멈춰있네요 관둘까 생각중인데 오늘 영상보고 더 확실해졌네요 감사합니다!
@chw3351
@chw3351 2 жыл бұрын
속속들이봄 오래되고 탄탄한 회사는 30~40대 대리 존나 많음
@hoseonchoi5813
@hoseonchoi5813 Жыл бұрын
인사고과..
@user-sk5um5ur8w
@user-sk5um5ur8w 2 жыл бұрын
아싸인데다 소심하고 쿠쿠다스멘탈이라 고민이되긴합니다.. 게다가 팀분위기가 각자 독자적으로 업무를 하는 분위기다보니 하급자한테도 업무를 맡기기 어렵고 눈치보게되는데 어떻게 돌파할수있을까요?
@user-tf1yc8ho6d
@user-tf1yc8ho6d 2 жыл бұрын
저랑 같네요.
@MelodySorrow
@MelodySorrow Жыл бұрын
하급자에게 일을 못맡길 정도면 회사 시스템 문제 있는거 아님?
@seongyongchoi1227
@seongyongchoi1227 Жыл бұрын
3년차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영상 보니까 제가 임원급에서 할 일 바로 아래까지는 잘 하고 있는 거였네요 ㅎㅎ 체크리스트를 보면서 언제 어느 정도까지 했었는지 생각을 해보는데, 저는 빠르게 저 혼자 체크 리스트에서 상위 항목으로 치고 올라가고 있었단 것을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1년차가 끝날 무렵에는 회사 업무 시스템 활용도 하고, 사내 업무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꽤 깊게 파악하게 되었던 것 같네요. 그리고 제가 맡은 일에 문제 없이 진행되고 잘 된다는 것도 전체 조직 내에서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로부터 반년 정도 뒤에는 제 사수로 있던 10년 이상 경력 가지신 분이 나가시게 되었고, 그 때까지 팀장을 겸임하시던 이사님께 우리 조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보니 이사님이 아직 더 윗단계로 올라가지 못하고 실무를 하고 계셔서 조직이 더이상 커지기 힘들다는 문제 진단과 개선 방법을 말씀드린 적이 있어요. 스타트업이라 아무래도 좀 제안하는 것이 쉬웠던 것도 있었고, 문제점과 개선 방법에 대해서 생각만 가지고 어떻게 전달하면 이사님이 기분 나쁘지 않게 잘 전달할 수 있을까 그런 고민을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이사님이 술 마시러 가자고 하신 자리에서 왜 그 이전에 계신 분이 나가셨는지 앞으로 그렇게 안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놓아주셔서 타이밍이 잘 나왔던 것 같아요. 그렇게 이사님은 팀장급에서 정말 임원급으로 올라갈 준비를 하셨고, 한동안 팀장급으로 팀원 중 3명을 파트별로 나눠서 적응 시키고 교육하는 시간을 가지셨어요. 그 중 한명이 제가 되었던 것이 참 운 좋은 일이었습니다. 교육을 받게 된 사람들은 저 말고는 다들 7~8년차 정도 된 사람들이거든요. 그 다음으로 연차가 높은게 그나마 저였던 것도 있고, 다들 저를 높게 평가해주셔서 큰 문제 삼는 일 없이 자연스레 팀장급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3년차가 되면서부터 저는 직급도 팀장이 되고, 팀원들 이끌고 업무 분배 해가면서 일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처음엔 야근도 많이 했고, 새로운 직급에 적응해서 일하는게 어려웠어요. 어떻게 일도 잘 분배하고 팀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사람으로 팀장 자리에 있으면서 제 일도 챙겨나가는 것이 가능할지 막막하기도 했고 나름 고민도 많았어요. 이제는 팀원들을 믿고 업무를 맡기면서 저는 제가 해야하는 일에 집중하는 그런 팀으로 거듭나게 되었지만 그 전까지는 참 힘든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저한테 기대하는 제가 했으면 하는 일이 뭔지 생각도 해보고, 그러면서 팀장이 되기 이전처럼 회사에서 운영중인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계속해서 이사님께 어떻게 고쳐나가야하는지 제안도 하고, 그 중에 수렴되는 것들을 계획도 세우고 실제로 진행도 해나가고, 그 제안들이 성공하면서 성과도 아주 크게 나오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고 제안한 것도 팀원들이 실제로 진행해나가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젠 제 성과도 팀원들과 함께 나눠 가져가고, 이사님께 보고도 어떤 팀원들이 참여해서 진행했는지 결과가 어떻게 잘 나오고 있는지 같이 꼭 넣어서 보고를 드리고 있어요. 결국 팀원들이 저를 믿고 따라주는만큼 저도 마음 놓고 일을 맡길 수도 있고, 결과적으로 팀 성과도 회사 내에서 많이 끌어올려지는 그런 상황이 나오더라구요. 그동안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일을 해나가는 과정도 계속 겪어와서 큰 장기 프로젝트를 매년마다 끝내기도 했고, 그 와중에도 틈틈히 유지 보수를 위한 소규모 프로젝트도 제안을 계속 해서 진행하고 그러다보니 그냥 겉으로 보이는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라던가 성과도 화려하게 나오고 있지만 그 안에는 사실 저도 모르게 저런 일들을 해나갔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겨우 3년차에 불과하지만 스타트업과 저를 믿고 제 의견을 적극 반영해주시는 이사님, 그리고 좋은 타이밍 등이 겹쳐지면서 아주 높은 수준의 커리어를 쌓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저는 이형님의 영상을 몰랐고, 그냥 열심히 회사 생활하면서 일해오던 방향이 잘 맞았던 운 좋은 케이스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지금에 와서 영상을 보고 제 짧은 경력을 되돌아보니 정말 핵심을 잘 짚어서 말씀해주시는게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제가 회사에서 잘 인정받고 높이 평가받는 이유를 잘 몰랐는데, 덕분에 왜 그렇게 제가 일을 잘한다고 얘기해주시는지 알게 되기도 했고, 추후에 이직을 하게 되었을 때도 이 포인트를 잘 알고 이직한다면 어딜 가서든 제가 일잘러로 평가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자신감도 생겼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j1qr5is2t
@user-wj1qr5is2t 2 жыл бұрын
좀 위로가되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Borazon
@Borazon 2 жыл бұрын
저는 박사과정 학생인데, 졸업은 아직 2년가량 남았지만, 사회로 나가기 전에 제 스스로를 점검하는것부터 시작해서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상이었습니다. 구독 꾹.
@user-bz1hb5hu6v
@user-bz1hb5hu6v 2 жыл бұрын
.. .
@suzukik9833
@suzukik9833 2 жыл бұрын
적정선 직장을 잡은 후 부터는 재테크에 시간을 더 쏟는게 자산증식이 빠릅니다 ㅋ 경험담임 제가 그러고 있고요 만족
@superman6998
@superman6998 2 жыл бұрын
무슨 이야기를 하시는 건지는 알겠는데 산업별로 차이가 크다고 봅니다....지금 하시는 이야기는 젊은 사람위주의 중견이나 중소기업에서는 맞는 이야기에요. 하지만 회사가 클수록 현재 인구구조상 부장님이 많은 회사가 많구요. 그럼 고연차가 많은 산업의 대기업에 들어가면 10년이상이여도 팀에서 막내일 수 있거든요..... 10년차 과장이 막내인팀도 수두룩하고요..... 이런경우에는 15년차 부장도 팀원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죠... 개인의 역량과 상관없이요..... 결국 진리의 케바케입니다.
@redbullrobert
@redbullrobert 2 жыл бұрын
제가 종사하는 산업이 미국 방산 업계 빅3 중 하나인데, 님이 말씀하시는 구조랑 비슷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연봉은 나쁘지 않으나, 개인적으로 너무 제 자신이 도태 되는거 같아 요즘 이직 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7년차고 직급은 직역 하면 선/책임급 연구원인데, 나이 50넘은 팀에서 당연히 막내고, 다들 일은 안하고, 성과는 없고, 저도 제 일 일찍 끝내고 나머지 근무시간에 주식이나 보고 있는거 보면, 큰 회사에서 일하는게 막상 그렇게 좋은거 같지는 않나 싶긴 하네요...
@user-xm5sx6nb8p
@user-xm5sx6nb8p 2 жыл бұрын
@@redbullrobert 국내 방산에 있었는데 미국도 똑같다니 놀랍네요...
@user-hz8cr6bh9r
@user-hz8cr6bh9r 2 жыл бұрын
그런 환경이 커리어 성장이 어려운 환경이라는거잖아요.
@user-in7ql8xw9d
@user-in7ql8xw9d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영상에서 스타트업으로 진출하라고 하신거죠
@user-rv2zw9ki2k
@user-rv2zw9ki2k 2 жыл бұрын
배부른 소리하시네요
@min901223
@min901223 Жыл бұрын
6년 이상인데 혼자 일하고 있으면, 이조직에서 떠나는게 맞는거죠? 공통업무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업무를 혼자하는중입니다. 이유는 신입때 아직 자리가 잡히기전에 잡업무 전담이였는데, 점점 연차가 차면서 잡업무 외 메인 업무도 하나,둘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잡업무를 나누지 않고, 연차가 차면서 일만 계속 들어서.... 결국 저 혼자 일이 다른 사람 보다 일이 2-3배 많아짐. 이거 관련하여 팀장한테 업무분담 다시 하자고 이야기 했지만 반년 넘게 해준다고 말만하지 조치가 없네요. 현장에서도 무슨 일 생기면 울 부서 사람 8명인데 저한테 전화옴.
@user-if4ss8mp5b
@user-if4ss8mp5b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두려웠는데 힘을 얻고 갑니다.
@ynl1616
@ynl1616 Жыл бұрын
10년차에 커리어 확장성을 위해 스타트업으로 들어왔지만, 보통 스타트업과는 좀 다른 성격인 것 같습니다. C레벨 리더급들이 실무를 하고 있고, 고연차도 사원/대리급 정도의 일들을 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C레벨 외 모두가 1인 기업처럼 혼자 일해야하는 구조이기도 하고요. 커리어의 +2가 아니라 아마 -5쯤은 되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이 조직에서는 커리어 성장을 만들기 어려워 이직으로 기울었는데 이직이란게 원하는 때에 바로바로 되진 않잖아요. 일단 현 직장을 이어나가면서 다음 직장을 찾아야되는 상황인데, 이 시간이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어 답답하네요. 조직 밖에서 사이드프로젝트같은 방법을 추천하시나요?
@stk4788
@stk4788 2 жыл бұрын
이형님 혹시 커리어 유료상담 같은것도 하시나요? (개인적으로 스타트업처럼 ? 일하는) 중소기업에서 근무중인데 메일로 커리어 상담드리고싶습니다. 비용은 당연히 지불하겠습니다.
@dtp3444
@dtp3444 2 жыл бұрын
저두요
@user-qj6ty7eu3x
@user-qj6ty7eu3x 2 жыл бұрын
저도요
@user-xu5ti2kh7g
@user-xu5ti2kh7g 2 жыл бұрын
??
@yelli_930
@yelli_930 Жыл бұрын
저도요
@vvxcc8
@vvxcc8 2 жыл бұрын
처음 해외법인에서 사원이지만 밑에 8명달고 시작... 개인사정으로 국내서 머기업 말단, 느낌이안맞아서 강소로 이직. 4년차 장으로 발령, 신사업 기획 및 책임... 이번에 잘못되면 어쩌나 걱정뿐.. 저 잘하고있는건가요? 쏟아지는 시대적 흐름에 두려울 뿐이고 불안정성에 떨고있을 뿐인데...
@jmsunny1437
@jmsunny1437 Жыл бұрын
6년차 웹 PM이고 직책은 파트장입니다. PM 업무 특성상 같은팀원과의 시너지보단 타팀(디자인팀 개발팀)과의 협업이 잦고 같은 팀끼리는 각자 맡은 프로젝트들이 있어서 크게 협업을 많이 하지는 않습니다. 이건 3번일까요 5번일까요 ㅎㅎㅎ 3번인거겠죠? ㅎㅎ 그래도 파트장이다보니 파트원들 가르쳐주고 노하우를 알려주는 정도는 많이 해보았지만 프로젝트를 하면서 업무지시를 내리거나 하는건 많이 없었네요.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user-be5vz1fy1z
@user-be5vz1fy1z 2 жыл бұрын
조직 안에서 답답한 상황이었는데 자극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좀 더 주도적으로 문제를 찾고 개선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SHICHAN4318
@SHICHAN4318 2 жыл бұрын
이런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수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화이팅 하세요!!
@minggumalam4363
@minggumalam4363 9 ай бұрын
아무리 업무를 해도 뭔가 발전이 없다고 느끼는 점이 있었는데 이제야 이해되네요
@poppopdog
@poppopdog 2 жыл бұрын
이런얘기!!!! 너무 좋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user-mk5te7rc8l
@user-mk5te7rc8l 2 жыл бұрын
와... 귀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banana9439
@banana9439 2 жыл бұрын
이 형은 항상 일반론으로 접근을 하시는데, 조직내 성장의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 제각각입니다. 규격화할 수 없어요. 리더십 발휘? 인사적체 등으로 팀장으로 승진을 못한 경우도 많을겁니다
@pralineblues
@pralineblues 2 жыл бұрын
여러 케이스가 있으니까 일반적인걸 말 할 수 밖에 없겠죠
@ddddddd9584
@ddddddd9584 2 жыл бұрын
@@pralineblues 맞아요 불특정 다수가 보는유튜브 10분짜리 동영상인데 평균치 감안하고 들어야함
@jesselingard2116
@jesselingard2116 Жыл бұрын
알잘딱 하시길
@PJ-ph6zb
@PJ-ph6zb 5 ай бұрын
알잘딱 합시다. 공무원이나 공기업은 이 글 내용이랑 상황이 많이 달라요
@yujoeingan
@yujoeingan 2 жыл бұрын
연구직도 해당사항이 있나... 하고 생각해보게 되네요 이쪽은 일단 박사냐 아니냐로 크게 갈리는 편이라..
@hani8911
@hani8911 2 жыл бұрын
늠 감사해요!!!! 짱입니당
@rlftmdfl
@rlftmdfl 2 жыл бұрын
업무 4년차인데 기존 보직에서 4-5번으로 넘어가던 와중에, 다른 팀 과장 요청으로 넘어왔더니 (인사문제로 팀 리빌딩중) 이제 처음부터 다시 일을 배우는 느낌입니다... 기본적 업무 매뉴얼, 일 분배 구조부터 처음부터 다시짜야되는 판인데, 자신있던 기존 업무에서 벗어나는 지금 상황이 커리어적으로 도움이 될지, 요즘 심란하네요 ㅠ
@cyanlee9426
@cyanlee9426 2 жыл бұрын
와 저 이거 보기전에 물경력일까봐 걱정했는데 다행히도 아니였네요휴....
@Knesion
@Knesion Жыл бұрын
고졸 기능대회로 대기업생산 취업후 교대근무에 회의감을 느껴 대폐수 환경3종 + 위험물을 취득 후 2년전에 중견기업 환경부서에 취업했습니다 소속은 본사지만 사업장의 환경에 관한 총괄을 위해 파견하는 식으로 근무 하고 있고요 같이 근무하시는분은 수석급이셔서 성장에 도움이 안되고 업무 폭탄에 저의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이직이 고민되는 순간입니다.. 2년밖에 안하긴 했지만 환경분야가 2년만 경력을 쌓으면 이직이 매우 자유로운점, 헤드헌터의 제안이 매일같이 오는점, 부서원이 적어 승진 및 발전이 어려운 점 등이 걸리네요
@user-nr2lu6yd9k
@user-nr2lu6yd9k Жыл бұрын
5년차 주임인데.. 4번까진 해봤고 5번은 후임이 없어서 아직 못하고 있네요. 제 직속은 아니지만 후임 하나 맡아서 일 같이 하고 있는데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jamesdeankim4071
@jamesdeankim4071 5 ай бұрын
30대중반 직장생활 10년차인데 영업마케팅 업무를 거의 혼자하고 있네요...제대로된 리더 역할을 해보지 않아 지금의 제 역량 상황을 심히 걱정하게 됩니다.
@sororryyoon6096
@sororryyoon6096 2 жыл бұрын
비서나 EA업무 관련해서도 영상 만들어주심 안될까요
@hayoungjeong2432
@hayoungjeong2432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는 유독 리더쉽 역량을 높게 보는것 같아요. 한국에서 10년 정도 일하다, 미국으로 이직한지 6년 정도 되었는데. 제가 느끼는 것은 혼자 일한다라고 말씀하신 individual contributor 기간이 길다는 거에요, 오래 일하신 분들은 20년 넘게 한 분야에서 individual contributor로 일하시죠. 한국에서 만일 그렇게 일하면, 만년 과장이니, 리더쉽이 없다니, 권고 사직이니 그럴거에요. 하지만, 미국에서는 본인이 원하고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다면, individual contributor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배려해줍니다. 반대로 자신이 강점이 리더쉽이라고 하면 경력이 얼마 없어도 빨리 메니져로 빠질수 있죠. 어떤게 좋다고 말하기는 힘들겠지만요.
@user-ys4nh2ic8z
@user-ys4nh2ic8z 6 ай бұрын
근데 딱히 리더십이 없는 사람들도 다 시간지나면 리더급 위치에 있으니까 조직생활하는게 힘든거같음..
@user-mc2hi6fn5e
@user-mc2hi6fn5e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ouya6967
@ouya6967 6 ай бұрын
미국의 IT기업에서는 승진을 거부하고 실무전문성을 키우게 하는 테크가 있다고 하더군요
@SSongKAYoung
@SSongKAYoung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이직준비하고 있습니다...
@dwpckr
@dwpckr 2 жыл бұрын
요구하는건 임원인데 연봉이 ㅎㅌㅊ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고민이 깊습니다. 스타트업10년차로 만든 레벨인데 일이 스트레스 쌓이는게 아니고 리더쉽이런걸 요구하네요. 성과대비 박한데 말이죠. 같은분야에 딴데가는건 솔직히 겁안납니다. 아까운거죠. 코로나가 참 어렵게 만드네요
@user-sh2fk4xo1l
@user-sh2fk4xo1l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계속 매진할 직무에서 거의 연관된 모든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야근 하는 날이 찾아오지만, 시키는 일만 하던 물경력 시절보다는 고민도 많이 하고 더 쓸모 있음을 느끼고 있네요. 광렙하는 것 같음. 하지만 2~3년 알짜 경력만 쌓고 조건 특히 워라벨 좋은 곳으로 다시 이직할겁니다 ㅋㅋㅋ
@user-uo6no9ge8i
@user-uo6no9ge8i Жыл бұрын
10년차 책임 2년차 팀장 입니다. 위로 전무님 1명, 0~5년차 팀원 10명... 일도 해야 하고 팀원도 키우고 이끌어야 합니다...
@user-fh2nx1op7n
@user-fh2nx1op7n 5 ай бұрын
저도 SW개발자이다보니.. 팀장보다는 실무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죠. 업종 차이가 존재한다고 봅니다. SW에서 가장 좋은 커리어는.. 새로나온 신기술에 대해 먼저 실무경험을 쌓는것이고 그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따라 점점 하락하죠.
@asugabj
@asugabj 2 жыл бұрын
이 연차별 커리어 체크 리스트의 출처는 어딘가요?? 저 salary review할 때 써먹게요.
@user-el9gr2ui2j
@user-el9gr2ui2j 2 жыл бұрын
우와 어쩐지 연차가 찰수록 내가 잘하고있다는 생각이 적어지던데 이게 자기객관화였군요
@hplc1004
@hplc1004 2 жыл бұрын
지금 당장에는 베이비붐 세대부터 해서 청년취업난이라는데 10년안에 인력난이 옵니다. 기업 윗층도 이걸 이미 알고있어서 최대한 회사를 이끌어갈 세대를 선별하는거에요 저도 이번에 취업을 해서 밑바닥으로 시작하는데 당장 10년 뒤를 생각해서 일희일비하며 이직, 퇴사보다 내 위치에서 팽 안당하고 더 올라갈 생각을 하게되는거같아요
@leekame20
@leekame20 2 жыл бұрын
7번까지 본인이 생각을 못했던 사람이면 그냥 평생 그자리에서 돈벌어먹고 그냥 그렇게 살아야함. 인사담당자들 하는말이 딱 싹수가 보이는 애들이 있다고 함. 말하는거보면 이미 사원직급서부터 시스템을 뜯어고치려고 하고있음. 경험쌓이고 책임감과 리더십 쌓이면 엄청난 괴물직원되는거임. 끄덕끄덕만 하고 가는애들? 라인타고 잘 올라가는것처럼 보이겠지만 나중에 병신취급당하고 실적 쥐뿔 있지도않음. 업무에 지 생각이 없는걸? 그런애들은 조기퇴사각임. 나같아도 사장이면 그런애들 안쓰지. 근데 사람이 그런애들이 엄청많고 똑똑한애들은 죄다나가니까 그런놈들이라도 데리고 있으려고 하는거임.
@Ed-uv5nu
@Ed-uv5nu 2 жыл бұрын
이직을 준비중인 6년차 개발자입니다. 산업도 같고 직무 연관성도 전직장과 유사한 커리어를 선택하는 것과 산업은 다른데 직무는 새로운 곳으로 커리어를 옮기는 선택이 있는데 후자는 위험할까요?
@kbx4315
@kbx4315 2 жыл бұрын
그냥 무작정 일만 하지말고 당신이 맡은 업무를 왜 하는가 이해를 하고 시도해 보세요. 큰그림을 보는게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큰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bottle neck 혹 inefficiency를 발견한 순간 주말을 이용해서라도 발전을 시키세요. 그후 발전된 나만의 프로세스로 열심히 일 한후 그 결과를 qualitatively 그리고 quantitatively 식으로 요약해 발표하세요. 내가 이 회사의 주인이다 무작정 배우기 보다는 내가 이 회사를 발전 시키겠다 라는 마인드로 열심히 일하다보면 7가지 체크리스트를 다 완성시킨 자신의 모습을 발견 하실꺼에요. 올 한해도 힘냅시다!
@user-kk3os5tt2m
@user-kk3os5tt2m Жыл бұрын
영어 해석좀여 ㅋㅋ
@user-pf3hu9ej2o
@user-pf3hu9ej2o 3 ай бұрын
비효율을 발견하면 주말이던 밤이건 해결하고 정성,정량적으로 어필해라 라는 뜻
@gskim5483
@gskim5483 Жыл бұрын
아.. 이걸 지금보다니....ㅠㅠ 미리봤어야 했는데..
@user-vz2gs2zf1p
@user-vz2gs2zf1p 2 жыл бұрын
속 시원한 영상입니다~!
@jyjy-hh4cj
@jyjy-hh4cj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형님 21년10월 4년 일한 회사를 퇴사후 이직준비하다가 22년1월 재입사제안을 받았습니다 조건도 훨씬 좋고 모두 사이 좋게 나온 케이스라서 재입사하고자하는데 퇴사후 재입사일경우 추후 이직시 경력은 어떻게 써야할까요? 경력증명서 발급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력서에도 2개로 나눠쓰고 퇴사후 재입사 이유는 면접때 잘풀어내고 경력증명서는 2장으로 내야하는건지...쉰기간도 경력으로 쳐주는 경우도있나요
@noname12582
@noname12582 Жыл бұрын
재입사하고 이직했던 경험자로써 말씀드리면, 어차피 입사할때 각종 서류중에 원천징수도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했던 기간으로 경력 합산해요. 그러니까 쉬고 있던 몇개월은 경력에 포함이 안될겁니다. 그리고 이력서에는 첫입사, 재입사 나눠서 작성하셔도되고, 한번에 쓰신다음 면접볼때 재입사 이력 구두로 말하셔도 문제 없어요. 재입사한게 전혀 마이너스는 아니라서요
@user-mn8ht1zi6z
@user-mn8ht1zi6z Жыл бұрын
개발자 면접 볼 때 n년 후의 모습이 어떤 모습인지 말하라 했을 때 새로운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성공적으로 진행해나가며 개발을 계속 할 것 같다고 대답을 했는데 그 때마다 표정이 이상해 졌던 게 이런 이유 때문이었군요. 저는 단순하게 개발이 잘 맞아서 n년후에 그 일에 최고 능력자가 되어있을 것이다고 생각했는데 매니지먼트가 중요하다는 대답을 듣고 그럼 n년이 지나면 무조건 개발을 포기하는 건가? 그럼 내가 회사에서 왜 일을 하는 거지?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도 들었었거든요. 리더쉽 역량이 중요하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딱 와닿지는 않았는데 일 처리 능력+의사소통 능력+인력 관리를 통한 사업 성과까지 모두를 아우르는게 리더쉽이라는 설명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요. 이제 막 회사생활하는 새내기지만, 일을 해 나가면서 n년후의 미래 설계를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영상이었어요.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Thomasny-il2hm
@Thomasny-il2hm Жыл бұрын
망하고말고를 왜 이사람이 정함 ㅋㅋㅋㅋㅋ
@hello1539
@hello1539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
@jamiejung9468
@jamiejung9468 Жыл бұрын
잘하든 못하든 그래봐야 월급쟁이인데
@ava51587
@ava51587 Жыл бұрын
제말이요…
@sangkyun92
@sangkyun92 9 ай бұрын
점점 자극적인 영상만 만들고 있어
@user-gq4it8pb1q
@user-gq4it8pb1q 9 ай бұрын
영상 많이보긴했는데 실질적 도움별로안됨.. 무슨말하는지 장황하기만함
@F1RRRR
@F1RRRR Жыл бұрын
이형 영상 볼수록 커리어 패쓰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 지 더 확실해지네요.
@jsunny678
@jsunny678 Жыл бұрын
객관적인 체크리스트가 있으니 좀 더 목표를 다듬을 수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ilili2350
@ilili2350 Жыл бұрын
jsunny678님 혹시라도 리사이클링 사업 (중고 거래) 사업 ,투잡 관심있으실까용? 생각 있으시면 말씀해주셔용 kzbin.info/www/bejne/bKO7pp2Jl8SbjNU
@yjgim4160
@yjgim4160 2 жыл бұрын
이형 웃음소리가 너무 웃김ㅋㅋㅋㅋㅋㅋ ㅠㅠ
@Pink_turtlemelon
@Pink_turtlemelon 2 жыл бұрын
4번은 케바케같네요. 본인은 문제점을 진단해서 개선시켜본 적이 있다고 생각할 지 몰라도 선임 눈에는 기본적인 것도 못하는 애가 똥고집 부려서 개선이랍시고 뭔갈 바꾸는 거에만 정신팔려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거든요. 네... 바로 제 후임이 그렇습니다. 하지 말라고 몇번을 말해도 자기가 바꾼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고집부리면서 스스로 뿌듯해하는 유형. 저는 조직생활에선 팀 플레이어인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문제 개선에 있어서는 팀과 의견을 조율해나가는게 일순위라고 보네요. 하지 말라고 하는 데엔 이유가 있을 확률이 높으니까요. 개선을 아예 하지 말라고 하는건 아니지만, 본인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는 고집은 부리지 않았으면..
@minggumalam4363
@minggumalam4363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핵공감합니다. 이미 다녀간 추천수로 입증해주시네요 업무의 기본도 없는 넘들이 제깐에 업무개선하겠다고 나서는 것들은 짓밟아줘야합니다
@9to5isboring
@9to5isboring Жыл бұрын
공감이 갑니다
@user-zn7lw9xl5b
@user-zn7lw9xl5b 2 жыл бұрын
와 나 뼈 박살났던 스밍이당🦴
@user-ls9fk2ib5v
@user-ls9fk2ib5v 3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는 사람들 모두가 한번은 자기의 발전을 위해 검색하고 노력하려고 보고있다고 생갑합니다 쎄게 말해야 자극이 되고 그래야 자기의 위치를 안다고 생각해요 그런 의미로 한대 얻어맞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eunbeekim8558
@eunbeekim8558 Жыл бұрын
외국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스스로의 레벨에 대해서 고민하던 와중에 기준점이 될 수 있는 정보라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user-dt7jr2xf6i
@user-dt7jr2xf6i 2 жыл бұрын
혼자일하는데 과장이고 팀의장이면요? 10년차에 혼자일하고있으면 문제있다는게 어떤의민지 부가설명좀여
@Tory_DIET
@Tory_DIET Жыл бұрын
밑에사람이있어야진급을... 10인미만 ㅈㅅ에서 8년정도일하다보니 혼자 견적설계컨셉 모든걸다하다보니 직급은대리인데 사장도아닌데 사장처럼일하고있는지도 모르는 불쌍한 중생을 구제해주시옵소서ㅜㅜ
@user-jt8sj8ce1t
@user-jt8sj8ce1t 11 ай бұрын
님이 사장해보세요
@user-cg9gr4qc9t
@user-cg9gr4qc9t 2 жыл бұрын
대리 1년차인데 5년일하면서 차장급업무까지 다했는데 서류가 안되는거는 경력기술서 문제겠지요?ㅜ 프로세스개선도 혼자했는데 하..
@ghmhjy
@ghmhjy 2 жыл бұрын
아… 리더쉽. 팀원을 이끌고 성과를 내는거라… 확 와닫네요. 역싀 리더쉽이 부족한거 였어…
@onoa578
@onoa578 7 ай бұрын
4년차에 5번까지 달성하긴 했네요. 개 힘들었는데 회사에서 계속해서 직급을 올려줬던건 다 이유가 있었던건 같으나.. 힘듬
@user-uy8ex2ku2i
@user-uy8ex2ku2i 2 жыл бұрын
04:23 오 인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짤로 쓰고싶어요!
@user-gc6eu3gi1m
@user-gc6eu3gi1m 2 жыл бұрын
직무마다 정말 다르다고 봅니다
@user-nn6us7oq9w
@user-nn6us7oq9w 2 жыл бұрын
요즘 뭐 파이어족이니뭐니 직장승진재끼고 재태크투자하는 사람이 많다고하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더 많았음. 어떤방식이 옳고그르다는 모르겠지만 후회만 없으면 된다고 봄.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경력직면접 멘탈관리 필승전략 [유세미의 직장수업 TV]
19:13
유세미의 직장수업
Рет қаралды 39 М.
회사에서 이런 사람과 같이 일하지 마세요
31:00
퇴사한 이형
Рет қаралды 74 М.
커리어가 꼬이지 않으려면 30대에 꼭 정해야 하는 것
15:03
페이커 처음 본 아재들 반응
23:51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436 М.
과장들은 어떻게 이직을 준비할까 (feat. 8~15년 차)
14:30
퇴사한 이형
Рет қаралды 98 М.
회사 직급별 일잘러 특
1:26:04
퇴사한 이형
Рет қаралды 321 М.
Cute Barbie Gadget 🥰 #gadgets
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Mint+Black+Pink=?
1:00
Jinro【見てて気持ちいい】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At What Height Does my Iphone Break?
1:00
A4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He never realized who actually ate his fruit
0:28
Valja & Maxim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