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ㆍ백자실] 조선의 도자기, 오늘에 이어지다

  Рет қаралды 10,320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김지연-k9b6d
@김지연-k9b6d 3 жыл бұрын
도자기하면 많은 사람들이 고려를 떠올리는데 조선의 도자기의 품격을 알 수 있는 멋진 영상이네요
@일렉-f1g
@일렉-f1g 3 жыл бұрын
도자기하면 고려청자라고 하지만 우리 역사에서 조상님들과 가장 길게 같이 호흡한 도자기는 단연 조선백자가 아닐까합니다. 조선왕실에서 분원을 운영할 정도로 국가적으로 도자기를 정말 중요시했구나라는 것을 알고 역시 예술은 국가의 지원하에서 더욱 꽃피운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그 정신을 계승하여 지금 예술발전에 힘쓰시는 국립중앙박물관 응원하고 감사합니다. 유튜브 채널덕에 직접 못가더라도 화면으로라도 감상할수 있는것에 또 감사드립니다.
@99호-d7e
@99호-d7e Жыл бұрын
얼마나 그지같이 못살았으면 도자기에 색칠도 못했을까요. 저거봐요 허옇게 아무것도 없잖아요. 만들다 만거 처럼 허옇네요. 조선시대 사람들 옷도 전부 허옇거 입도 도자기 조차도 칠할 물감이 없어서 허옇네요. 그걸 순백에 백자라고 자화자찬 하는 꼴이 정말 우습네요. ㄷㄷㄷㄷㄷ
@joke-Sun
@joke-Sun 10 ай бұрын
역시 영상 군더더기 없이 깔끔합니다. ^^b
@user-uq7tt7hm6d
@user-uq7tt7hm6d 3 жыл бұрын
1
왕실 도자기, 조선백자를 꽃피우다 / YTN 사이언스
46:5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40 М.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Quando eu quero Sushi (sem desperdiçar) 🍣
00:26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고려청자, 비색翡色의 유혹 (KBS_2009.10.04.방송)
57:1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8 М.
[분청사기ㆍ백자실] 도자기를 빚는 사기장의 공방 #ASMR
7:32
국립중앙박물관
Рет қаралды 8 М.
[분청사기ㆍ백자실] 달항아리 공간은 어떻게 기획했을까?
4:14
자연을 담은 도자, 분청사기 / YTN 사이언스
41:4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9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