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지도에서 베네치아를 보면 정말 작은데, 어떻게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는지 그 시작을 보여주는 내용이라 참 인상 깊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rewcup9139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와 같이 무역도시로 유명하던 아말피도 엄청 작더라고요. 요즘가보면 진짜 시골마을임. 제노바같은 도시는 지금도 나름 큰 도시인데
@permtasia3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베네치아 들렸을때 진짜 조그만한 섬들에 백화점에 마트 등 있을거 다있고, 여기를 고향으로 생각하며 거주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다는거 자체가 신기했고 어떻게 농사지을 땅 한뼘 없고 발 잘못 딛으면 물에 빠질듯 말듯한 작은 섬나라가 그렇게 강대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었음. 차는 없지만 배는 있고... 지금 생각해도 신기해 베네치아는 ㅋㅋㅋ
@johnnyzone723 жыл бұрын
독일어가 참 듣기좋네요..베네치아에 대해 자세히 다뤄서 유익했습니다..
@paulweatherby75313 жыл бұрын
내 논문.. 이라는 멘트가 재밌네요 ㅋㅋㅋ
@histcher19613 жыл бұрын
고퀄의 영상을 보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ogo7703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해요~
@woo_yeon22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ㅠ 지식의 공유는 참 대단한 행위 같습니다! 무엇인가를 알려주려 하시는 지식인의 자세에 감탄하며! 치얼쓰~!
@humemidnight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세계사 중 그 어딘가 빈 부분을 잘 메꿀 수 있었습니다 :)
@주훈김-k1h3 жыл бұрын
10:15 매우 짜증나지만 현명한 전법. 직접 싸우지 않고 국가 간에 이해관계를 이용한다...
@홍신화-q1y3 жыл бұрын
이 분 정말 정체가 궁금하다. 역사관련 채널중에서 따라올만한 분이 안 계심ㄷㄷ
@jinji02053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서 박사과정 중인 학생분이라고 유튜브 동영상에 자기 소개하는 영상 있어요
@오롱롱오3 жыл бұрын
@@jinji0205 박사과정 아직 안 끝났나요?
@ssatda_bro3 жыл бұрын
@@jinji0205 아 어쩐지 중세유럽사 많이 다뤄시다라
@Charlie-vd5of3 жыл бұрын
팬데믹 끝나고 공부도 마치시고 🇰🇷 오셔서 꼭 라이브 또는 공개 방송 같은 거 하시면 반드시 참가할게요~ 오늘도 Très bien!
@Kim_normal313 жыл бұрын
항상 은혜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괜찮으시다면 다음번에는 '성인'에 대해 다뤄주실수 있나요? 각 유럽의 도시에는 대표 성인들이 있은데 성인이 되는 조건이나 이유등이 궁금해요!
@syy70273 жыл бұрын
오우.. 굿 퀘스쳔!
@Kim_normal313 жыл бұрын
@리연 네 그리고 뭐 하나님의 종, 존경자,복자,성인 뭐 이런 단계나 중세에는 기적을 행하였는지 아닌지등의 복잡한 기준이 있다고 해서 궁금해요! 또 수많은 성인중 지역마다 대표하는 성인이 다르고 또 그이유가 뭔지 등등 평소에 궁금했던게 많았은데 다뤄주시면 감사할거 같아요😂
@crzbtr3 жыл бұрын
끔찍하네
@gogo77033 жыл бұрын
좋네요~^^b 저도 알고 싶어요!
@crouchingstone3 жыл бұрын
좋은 주제네요!!!!!
@첼시-n3l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있어요b
@양산신령3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김범-x9m3 жыл бұрын
자기 전 하나씩 듣네요. 차분한 목소리가 듣기 좋아요
@topci286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양씨형3 жыл бұрын
항상 👏👍🙏
@겐지스강3 жыл бұрын
다음편가져와!!
@버클리김박사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유익하고 재밌는 영상!!! 항상 고마워요 ~~~
@I_love_Tiananmen06043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불어랑 독어 진짜 잘하는듯
@aksh18378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 넘모 멋져요 제가 하면 잠꼬대처럼 들리는데 채널주인장님은 또박또박하면서 부드럽게 들리네요
@2401ja3 жыл бұрын
항상 질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MUYAHO-b7z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LISWELL-e5s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컨텐츠...
@김정수-j4e3x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 역사편 아주좋았어요! 그리고 땅과 바다를 한번 읽어봐야 겠어요!
@user-kw2zc7fh6q3 жыл бұрын
그림보니까 베네치아 갔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천년이 지나도 저 마르코성당이랑 그주변건물은 그대로임이 신기합니다 이탈리아는 예전 건물들이 참 많이 남아있어서 신기한거같음
@만화의꿈3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에는 정말 특색있는 도시가 많은거같군요 확실히 외교력과 막대한부는 실질적인 국가의 힘을뛰어넘는 무언가를 가져다주는군요
@home_secretary3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날이 갈수록 엄청 좋아지시는것 같아요ㅠㅠㅠ
@Doyouknow-e6w3 жыл бұрын
고등학생 때 시오노 나나미의 책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를 접했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까 더 반갑네요
@humanplusscience4449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러합니다.
@999masijjyeong3 жыл бұрын
동인녀좌...
@user-qt2pw4zx1l3 жыл бұрын
요새는 평가절하되긴하는데 확실히 재미는 있죠
@구도자-z2u3 жыл бұрын
칼슈미트가 베네치아 스토리에 나올줄이야! 재밌게 잘 봤습니다
@kaka-b5u Жыл бұрын
독일어 진짜 잘하시네요 멋지세요
@이도형-x9x3 жыл бұрын
마르코 시신 이야기 하나 더 쓰면, 중세기 나온 성인전 모음집인 황금전설에는 베네치아 상인들이 알렉산드리아의 성직자들을 선물 등으로 설득하여 시신을 비밀리에 옮겨왔다고 합니다. 무슬림 이야기는 없는 것으로 보아 근세 르네상스 이후 만들어진 이야기 정도로 짐작됩니다
@wakabro11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타 역사 유튜버와 차별화되는 주제선정과 시각이 좋습니다.
@이재우-d4i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와 비슷하지만 또 다른 역사를 지닌 제노바 공화국에 대해서도 알려주실수있나요?
@이사무-i8b3 жыл бұрын
7:22 (대충 물음표핑 올라오는 효과음)
@항상웃자-b1i3 жыл бұрын
형 한글 발음도 좋은데 독일어 발음은 왜케 섹쉬한가요 ㅠㅠ 사랑해요
@박미광2 жыл бұрын
독일어를 읽는 세계사쨩이라... 이것 참 귀하군요...!
@유형종-z9h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 공국 썰 이번주 맛집 한 숟갈 먹고 자야지 ㅇㅇ
@hoyoungjung9768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에 10분20초 에 있는 그림은 이름이 뭔지 궁금합니다. 멋있는 그림같아 보이네요.
@치즈피자치즈추가3 жыл бұрын
북부 이탈리아 여행하면서 한 번 한달간 살아보고 싶었던 곳이 베네치아였습니다. 신기한 도시
@강대봉-e9d3 жыл бұрын
몽골제국의 출현 주요인으로, 몽골초원의 기후변화를 든다는데, 이 영상 즉 제4차 십자군 전쟁 이야기를 듣다보니 유럽과 아랍이 십자군전쟁으로 정신을 못 차리던 데다가 동서무역이 사실상 끊기는 바람에 몽골 초원 지대에도 '경제혼란'이 발생했을 것이고, 이런 상황이 몽골초원을 통합해줄 강력한 리더쉽이 요청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네요 ^^ 1999년 베네치아 방문했을 때 본 산마리코 성당 모습이 지금도 선하네요 ^^
@jbmax25673 жыл бұрын
레알 이분 외국어발음 할때 섹시함 터짐
@지나가는나그네-v7v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 ㄷㄷ 잘보고 있습니다~~
@jamesraynor9423 жыл бұрын
썸네일의 베네치아의 상징은 사자와 책이라니.... 정말 구몬같군요
@danielp23993 жыл бұрын
서로마 제국이 망해가면서 탄생했고, 동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흥했으며, 오토만 제국이 흥하면서 쇠퇴했고, 프랑스 제국이 탄생하면서 망한도시
@sylee91653 жыл бұрын
깔끔요약
@khackers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까 로마의 피를 빨아먹고 살던 도시같네
@Jus_d_Orage3 жыл бұрын
콘스탄티노플 약탈 기록 보면 정말 말로 담을 수 없는 만행들이 적혀 있던데...... 처음 십자군 전쟁 배웠을 때 단돌로 엄청 욕했던 게 기억나네요 또 뻔뻔하게도 자신의 무덤을 하기아 소피아에 만들었다는 것도 화났고요
@주이지-j5b3 жыл бұрын
약탈 심하게 당하고나서 비잔티움제국이 몰락의 길을 걸었죠.. 남들은 오스만이 비잔티움 멸망했다고 하는데 4차십자군때 비잔티움이 망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mac-10smg613 жыл бұрын
혹시 베네치아의 쇠락과 관련해서 업로드하신 영상 있으신가요?
@rotriever3 жыл бұрын
교황님~ 쓰시던 십자군~ 오늘은 도제님 쓰신다~
@King-Jade-Iron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의몰락도 올려주세요
@nopasaran6307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의 최고 통치자를 뜻하는 도제(Doge)라는 단어의 어원은 동로마 작위였던 둑스(Doux)이다. 이는 5작위의 공작과 비슷한 급의 작위이다. 이처럼 베니치아의 근본은 어찌보면 동로마로부터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흔히 베네치아의 몰락은 4차십자군으로부터 시작한다고 많이 말해진다. 하지만 마키아벨리는 논고에서 약간 다른 관점도 시사했는데, 그들의 정치체제가 확장에 어울리지 않았다는 것을 꼽는다. 그는 스파르타를 예로 들면서 이를 설명한다. 스파르타의 기형적 통치체제는 노예가 시민의 수를 훨씬 뛰어넘는 구조를 가지게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국가를 위해 확장할 수록 나라가 더 기울었다고 설명한다. 반대로 로마의 경우 확장에 어울리는 정치체제를 갖고 있었다. 그들은 야만인들을 로마 문화로 개화시키는 동시에 점령지의 유력자들을 로마 시민으로 받아들였다. 그런 점에서 베네치아는 영토가 좁을 때 번영할 수 있는 체제였고, 영토를 확장함에 따라 체제적 모순에 따라 무너졌다고 말한다.
@파이퍼프리즈-u6y3 жыл бұрын
바다를 지배한 나라가 세계의 패권을 잡게 될 것이다!
@kapetane21553 жыл бұрын
레판토! 레판토!
@BJH77773 жыл бұрын
1:10 자료 아닌가요..?
@수민-w7q8e2 жыл бұрын
십자군 전쟁 이후에도 상인들이 돈을 많이 벌었나요?
@keymosid56317 ай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목소리 참... 그냥 전문성우나 프로그램 사용하면 안되나요. 내용듣고싶은데 목소리떄문에 너무 거슬리네요
@LOL-bz7tn3 жыл бұрын
여행가고싶네요
@summerhaze22203 жыл бұрын
헉.. 저거 독일어? 뭔가 되게 멋있어.
@라온-d8o3 жыл бұрын
노바 로마의 약탈자 엔리코 단돌로 덕분에 동방의 방벽이 무너지고 발칸은 이도교에게 넘어갔죠 더불어 베네치아도 쇠락의 길로 가버린 ......
@닉아네이3 жыл бұрын
한방에 영원히 욕받이가 되었으니 대단함
@JJnamedbyBelgi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 태어나서 유일하게 길을 잃었던..도시
@baab86123 жыл бұрын
학교과제로 역사를 주제로 한 동영상을 만드려고 하는데 함께읽는 세계사 채널의 영상들이 너무 좋아서 질문드려요! 1) 영상을 어떻게 제작하시는 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파워포인트를 활용해서 영상을 만드시는 건가요? 2)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는 어떻게 넣는지 궁금합니다! 3) 사진같은것 저작권 없는 것은 어떻게 구하시나요?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감사합니다!
@CentralParkish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이 배워야 하는 역사
@gerry60763 жыл бұрын
0:15 Oh, my ... (말잇못...
@Junssssssss3 жыл бұрын
역사적으로 봐도 갑과 을 중에 돈 잘 버는 을의 위치가 결국은 실속 다 챙기다 갑의 위치에 오름 ㅎ
@재테크공부-h1d3 жыл бұрын
스페인의 산티아고가 있는데... 성인과 도시 이름을 중세부터 동일시하고 현재까지도 동일시 한...
@handleit5053 жыл бұрын
독일어도 잘하시네....ㄷ
@jks91103 жыл бұрын
아..베네치아.. 비잔틴 빠들 입장에선 정말 증오스러운 국가지만 한편으론 당시엔 대단했던 도시 국가였다는것 또한 부정하기 힘든 나라입니다.
@housekeeper79103 жыл бұрын
바다를 지배할려느 나라치고 약탈전문가가 아닌 나라가 없구나
@AB-xs1jj3 жыл бұрын
외교와 독점적산업
@배달의기수-w7e3 жыл бұрын
San Marco! :)
@KHTV01 Жыл бұрын
배네치아까지 굳이 도망을 친 사람들은 잡히면 사형이 확정된 로마시대 귀족이나 기사계급이 대부분이였을 겁니다. 농민들이나 상공업자면 굳이 저렇게 멀리 도망을 안 가도 잡히더라도 무난하게 흡수가 가능하니까요. 영상에서는 성 마르코가 구심점이 됬다고 이야기하지만 이미 배네치아인들은 로마의 엘리트였던 로마인으로의 자부심을 가진 구심점이 있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후 수세기가 지나 십자군 전쟁 과정에서 배를 빌려주고 물자를 팔면서 큰 부를 축적하고 콘스탄티노플의 정치적 반란에 합류해 반군을 밀어주는 댓가로 8분의 3에 해당되는 영토를 사실상 식민지처럼 만들어 세금을 징수하고 콘스탄티노플과의 동맹이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안정을 더 키웠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후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에 함락당해 무너지면서 이탈리아와 서유럽에서의 정치 외교적 인지도가 떨어졌고 또 콘스탄티노플이 막던 이슬람을 자신들이 막으면서 국방비를 계속 소모하고 이후 서유럽이 아프리카 희망봉이나 남미등으로 무역루트를 늘리고 바꾸면서 계속 그 감소세가 심해지다 이후 나폴레옹이 등장하던 시점에서 무너진 것이죠
@Ska-n2o3 жыл бұрын
왜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게 웃지못할일인건가요? 아무나 설명 부탁드려요
@jck92393 жыл бұрын
비잔틴의 알렉시오스의 요청으로 출동한건데 무력점령하고 비잔틴을 털어버려서...
@Ska-n2o3 жыл бұрын
@@jck9239 오 설명 감사합니다
@수은-i5w3 жыл бұрын
이슬람으로부터 기독교의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하고자 벌인 유럽 원정군이 십자군인데, 이슬람이 아닌 원정 경로상의 기독교 세력들을 공격한거라서요. 비잔틴은 계파가 다른 정교회국가긴 했지만요.
@sgty31823 жыл бұрын
@@수은-i5w 4차 십자군은 예루살렘이 아니라 이슬람세력들이 차지하고 있던 이집트 정복이 원래 목적...
@임현태-m1q3 жыл бұрын
고대 로마제국이 기독교화돼고 동서로 찢어진다음 남은게 동쪽에 위치한 동로마제국, 속칭 비잔티움제국인데 이슬람 발흥때문에 북아프리카와 시리아 전역을빼앗기고 아나톨리아도 대부분 점령당하면서 꾸역꾸역 이슬람을 막고있었음 그때 동로마 황제인 알렉시오스 1세가 서방에 요청해서 시작된게 십자군전쟁임. 근데 4차 십자군은 동로마 수도를 털어버리고 제국을 여러개로 찢어버리면서 자기들 이권챙겨버림. 그러니 이슬람 방파제가 뒤져버리니 나중에 오스만이 유럽 강간하고 다니는 사태가 벌어진거
@황승혁-p3x2 ай бұрын
와 발음 지린다
@ComputerMakarov3 жыл бұрын
역사란 오직 승자에 의해서만 쓰여진다.
@cosi74393 жыл бұрын
그시대에는 1차생산업이아닌 제조업,상업,해운업만다룬국가가 거의없다시피함 그러다보니 다른중세봉건국가보다 국가방향이 대외팽창에 더 집중할수있는구조가됨
@alone_stand-tj3 жыл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나라에요 ㅋㅋ 대단한 나라고 도시국가에서 엄청난 성장을 이룬...
@wangsi7373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에 양아치두목
@abcdefg-kl4be3 жыл бұрын
수면제 채널이네 자기전에 들으면 꿀잠잘수있음
@quizplus003 жыл бұрын
문명5 게임으로 알게 된 그 엔리코 단돌로가 여기서!
@rnc3249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이탈리아는 로마멸망 이후로도 강력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유럽의 2류세력이 되었는가...
@YGYGkkk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에서 가장 유명한 도제는 시바견 도제 죠!! 걔는 21세기 인류에게 한강 맛을 선사했죠!
@terry88park62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 쥑인다
@최지후-i8y3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의 무역도시
@ZamBokSaw3 жыл бұрын
결론 영국과 같이 양아치라는 말인가?
@user-nasanato3 жыл бұрын
역시 일간 베니스...
@이얀닌3 жыл бұрын
엔리코 단돌로님이 동로마의 숨통을 끊으셧지..
@유형종-z9h3 жыл бұрын
ㅜㅜ 그때 십자군들이 약탈한 유물이 많이 남았으면 진짜 대박인거 같은데...
@이관모-p8s3 жыл бұрын
칼 슈미트를 여기서 보네요. 결단주의 법학자....
@MAX-sr8ut3 жыл бұрын
난 외국어 잘하는사람 멋있더라
@thetranslation27653 жыл бұрын
유로파를 하다보면 도제의 인성질에 게임을 포기하게 된다
@humanplusscience4449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와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는 "효기심" 채널의 "십자군"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immaculate86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잘나가던 베네치아가 왜 망했을까?
@derrickhernendez25063 жыл бұрын
중세를 호령하다 오스만 제국과 영혼의 캐삭빵을 뜬후 지고 나락으로감
@dandal88173 жыл бұрын
미쳐버린 천주교;;;
@김기연-y7f3 жыл бұрын
십자군넘들이 바보내 그냥 단돌로 잡아서 인질삼고 베네치아를 약탈하면되는걸...
@rrr40463 жыл бұрын
돈이지뭐
@prussia923 жыл бұрын
일베질하다 망한 일간베니스
@connorpop8713 жыл бұрын
혐성질의 시작이 저기로 군
@이도형-x9x3 жыл бұрын
교회를 부수겠다가 아니라 기둥 하나를 요구한 것이었습니다. 마르코는 이슬람에서도 예언자 취급을 받기에 무덤이 있는 교회를 아예 접수하다면 모를까 부수는 행동은 하지 못하였습니다. 다만 기둥 하나를 요구한 것이었죠. 이슬람이 이런 식으로 교회를 괴롭힌 예는 동방견문록에도 비슷한 사례가 나옵니다
@historytogether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Die heiligen Knochen selbst gerieten in Gefahr, als der Kalif von Alexandria beschloss, sich einen neuen Palast errichten zu lassen; denn er befahl, dafür christliche Kirchen abzureißen". 제가 참고문헌에 표기한 도서 중 Arne Karsten이라는 학자가 쓴 저작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알렉산드리아의 칼리프가 새로운 궁을 짓기 위해 기존 교회를 허물겠다고 결정했고, 그 때문에 성유골이 위험에 빠졌다는 뜻입니다. 댓글을 보시는 분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대댓글을 남깁니다.
@이도형-x9x3 жыл бұрын
@@historytogether 알렉산드리아의 칼리파라 ... 저 사건이 일어날 적 파티마 조는 아직 이집트에 입성도 하기 전이고 ... 아바스 조는 그정도까지는 기독교를 박해하지 않았는데 - 교회를 제대로 박해한 괴칼리파 하킴은 아직 등장도 하기 전이지요 - 어느 왕조의 누구를 의미하는지 궁금하네요 우마이야 왕조라면 가능성이 조금 있는데 그 때는 베네치아가 저 정도까지는 아니었고 ... 더구나 비잔티움제국이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5대 총대교구 중 하나인 알렉산드리아에서 창시자 묘가 있는, 그러니까 아마도 총대주교좌 성당을 그렇게 함부로 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저 시기가 9세기 경인데 ... 이집트에서 총대주교좌를 부수겠다할 용자 칼리파가 누구일지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성 마르코의 시신을 옮기는 이야기는 황금전설에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솔직히 말하면 신빙성이 의심가기는 합니다 베네치아인들이 무역 거래를 위해 구입한 후 뻥쳤을 확률이 크다 여겨집니다 저도 이 이야기를 미술사 관련 서적에서 봤는데 정황상 보면 기둥 하나 빼겠다고 하는 것이 맞다 여겨집니다. 동방견문록에도 비슷한 사례가 전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