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학자들이 밝혀낸 인간의 뇌가 점점 작아지고 있는 이유 | 과학을 보다 (+삼체 리뷰)

  Рет қаралды 765,925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정영진 님과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님, 생물학자 이대한 교수님, 뇌과학자 우충완 교수님 그리고 우주먼지님을 모시고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미스터리한 진화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2:33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삼체 문제
11:50 실제로 있었던 수상한 외계 전파 신호
18:24 모든 감각을 통제하는 VR이 실제로 가능할까?
23:19 인류의 뇌가 다시 작아지고 있는 이유
30:38 구석기 시대에 진입한 원숭이들
35:29 혹성탈출과 같은 영장류가 실제로 가능할까?
39:09 영장류가 인류 문명에 적응하면 생기는 일
42:17 과학자가 말하는 별이 로맨틱한 이유
📖 '과학을 보다'가 첫 번째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각 서점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뇌 #생물 #우주 #삼체

Пікірлер: 807
@boda100
@boda100 8 күн бұрын
드디어 책 2탄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과학을 보다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책 2탄 예약판매를 5월 31일부터 6월 11일까지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448322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26847336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0497579
@bjkim7575
@bjkim7575 21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 1학년 통합과학 교과서를 보면서 이야기 나누는 시간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문이과가 공통으로 배우는 과정이 거기까진데, 초등수학에서 음수를 표현하지 않는 것처럼 과학교과서의 제한적 서술을 파헤쳐보는 컨텐츠도 좋을것같습니다!
@luukC9210
@luukC9210 11 күн бұрын
오 이거 진짜 좋은 아이디어네요!!
@kimes2329
@kimes2329 11 күн бұрын
야 씨 이런거 많이보면 이렇게 똑똑한 제안도 하는구나
@user-ys9ic7zn2r
@user-ys9ic7zn2r 11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의견이네요...! 꼭 해줬으면 좋겠어요
@tezzkim
@tezzkim 8 күн бұрын
와 이건 재밌겠다
@youthful-ambition
@youthful-ambition 29 күн бұрын
한분야의 전문가를 더 모시고 재생시간이 10분 늘어난거 너무 만족스러워요~ ^-^*
@user-ih9mx6tk3d
@user-ih9mx6tk3d 22 күн бұрын
와 이대한교수님 짧은시간에 경험적, 논리적으로 말씀을 너무잘하시네..
@sjk7144
@sjk7144 28 күн бұрын
믿고보는 든든한 웅배형, 김범준교수님, 말씀만 하실때마다 빠져드는 듯한 이대한교수님, 보다에서 찾기 힘든 뇌과학 충완교수님까지… 내가 유튜브깔은 제일 큰 이유다
@KINGofRUTABIS
@KINGofRUTABIS 21 күн бұрын
정보)유튜브는 기본앱이다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21 күн бұрын
아이폰은 유튜브 기본앱 아님
@user-re6es4bu5n
@user-re6es4bu5n 20 күн бұрын
@@KINGofRUTABIS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기닼
@mcs9103
@mcs9103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나오실때 진심 제일 재밌습니다. ㅎㅎㅎ
@slavetocode
@slavetocode 28 күн бұрын
진지하게 얘기하는데 너무 웃김 ㅋㅋㅋ
@user-cl6qj7wy9y
@user-cl6qj7wy9y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user-qc5mn6ou7v
@user-qc5mn6ou7v 21 күн бұрын
뭔가 진화생물학이라 역사랑 과학을 동시에 다뤄주셔서 더 재밌는 거 같음
@user-ec3md4go1v
@user-ec3md4go1v 21 күн бұрын
웃기고들있너 가정가정 그럴듯한
@user-mb6zc1gb9u
@user-mb6zc1gb9u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가 생물교수로는 goat임
@oriori9580
@oriori9580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와 우충완교수는 예능캐 모습이여서 은근히 친밀감도 느껴지면서도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요소가 없는 편안함을 기본 베이스로 가지고 있는 분들이셔서 이 캐미를 계속 보고 싶은 생각이 절로 듭니다 좋은 분들이 잘 섭외되서 좋네요
@forsythia84
@forsythia84 28 күн бұрын
아ㅏㅏ 이대한교수님 너무너무 기다렸어요!!! 담주까지 볼수잇다니!!!
@kingcat10000
@kingcat10000 16 күн бұрын
영진이햄 거의 눈감고진행하시네요. 방송이라 아무래도 조명들이 세서 더욱 불편하시겠네요.평소 일상생활에서도 저정도로 지내시는지 궁금해요
@yjs3833
@yjs3833 28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 두번 보시는 분? 두번봐도 재미있고 이해도 더 잘되고 😂😂😂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11 күн бұрын
똑똑하다.. 난 재미로 보지 이해는 불가😮
@user-pr1cy1wx6d
@user-pr1cy1wx6d 28 күн бұрын
앜.. 이대한 교수님 언제 나오나 기다렸어요ㅋㅋ 넘나리 반갑네요. 자주 나와주세요!!😆
@1a2a3a4a5aa
@1a2a3a4a5aa 18 күн бұрын
44:37 살아있는 과거를 본다는 표현은 정말 로맨틱하네요👍
@user-sp5tf9st3e
@user-sp5tf9st3e 21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재밌고 퀄리티 높은 양질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sc1kw9lv5d
@user-sc1kw9lv5d 28 күн бұрын
와 조합! 이대한 교수님 또 와주셨네요~!
@user-kf5ko9lu8p
@user-kf5ko9lu8p 29 күн бұрын
40분이 넘는 분량 아주 좋다!
@klee5310
@klee5310 29 күн бұрын
와 우충완 교수님 이대한 교수님 다시 오셔서 너무 반갑습니다!! 뇌과학 생명과학 둘 다 너무 흥미롭습니다. 자주 불러주세요~!!
@user-jf6it2lt4v
@user-jf6it2lt4v 20 күн бұрын
갠적으로 이대한 교수님낀 조합이 너무 좋음
@jinin1887
@jinin1887 21 күн бұрын
오늘 특히 더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항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7-Ya-Ju
@7-Ya-Ju 21 күн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사람이나 동물에게 가끔 등장하는 알비노나 선천적 유전자결합으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생물이 있듯이 원소나 원자도 그런게 있나요? 있다면 그냥 다르게 부르나요? 예를 들자면 갈륨은 인간의 손에서는 무해하지만 알미늄이나 철 성분을 분해하거나 갈가먹는것으로 아는데요. 이처럼 통상 무해한것으로만 알려진 갈륨이 어떤 특이점.즉 알비노나 선천적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그 가능성이 이뤄져서 무해하다고 여긴 갈륨이 인간의 손을 녹인다거나 부식시키거나 하는 경우는 없나요? 만약 이런 증상은 살아있는 생물에게만 존재하는건가요? 쇼츠 갈륨을 보다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dajoy1245
@dajoy1245 28 күн бұрын
너무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는 주제들이라 정말 재밌게 봤어요👍🏻👍🏻 오늘 나오신 과학자분들 정말 좋습니다!!
@perising
@perising 21 күн бұрын
김범준 물리학교수님 왜 기분 안좋아보이나 했더니 빵이 개인지급이 아니네 ㅋㅋㅋ
@user-ij6cw3gr2f
@user-ij6cw3gr2f 1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user-ui3ze4tn7i
@user-ui3ze4tn7i 19 күн бұрын
원래 아니지 않았음?
@cry_st.4604
@cry_st.4604 1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빵범준님 귀여워
@chihonja
@chihonja 19 күн бұрын
우리야 사십몇분짜리 편집영상을 보지만 실제론 몇시간을 토론하며 촬영하셨을건데 당보충 충분히 시켜드려야지 ㅋㅋ
@ShiningColdRice
@ShiningColdRice 18 күн бұрын
원래저랬는데
@youngjungko9682
@youngjungko9682 23 күн бұрын
혹성 탈출을 보고 왔습니다 그동안 이대한 교수님과 김응빈 교수님께 들었던 진화에 대해 많은 가르침과 깨닭음이 있었던지라 너무 재미있고 흥미롭게 봤어요 좀더 심층적인 이대한 교수님과 김응빈 교수님 관점에서 이야기 해 보는것도 재미날꺼 같아요 생각보니 지금까지 김응빈 교수님과 이대한 교수님이 함께 하셨던 적이 없던거 같아요 아마 비슷한 분야라 그런거 같지만 함께하셔서 이야기 해보는것도 재미날꺼 같아요 언제나 어린 아이처럼 새로운 분야에 흥미로워 하시는 김범준 교수님을 생각하면 진짜 레전드 회차가 나올까 합니다 정프로님과 우주먼지님의 의견이 더해 지면 거의 어벤저스 급 회차라 될꺼라고 의심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user-yo7ei9rm7u
@user-yo7ei9rm7u 21 күн бұрын
우충완 이대한 교수님 목소리 너무 부드럽고 내용이 너무 충실합니다 두분 나오시는 프로그램 너무 사랑합니다 잠자기전에 채널을 꼭 틀어놓으면 마음이 편안해 집니다 출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FOLKFOOD83
@FOLKFOOD83 22 күн бұрын
최근 뇌과학에 관심이 많았었는데 선생님들 덕분에 좋은 정보 많이 얻어갑니다. 아 회원가입을 해야할까요? ㅎㅎㅎ
@pp0ppoable
@pp0ppoable 21 күн бұрын
영진이형 진행 정말 최고야
@yeonz90
@yeonz90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교수님넘기다렸어요오😀🙌🏻
@smfgkdtkd
@smfgkdtkd 21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재밌게 보고 갑니다!!
@user-cj3to1vv7z
@user-cj3to1vv7z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교수님 너무좋아요ㅋㅋ
@seeDerekNow
@seeDerekNow 22 күн бұрын
느므 좋아~! 이걸 봐야 주말 느낌!
@user-gn5oe5lr7l
@user-gn5oe5lr7l 22 күн бұрын
우주먼지님 머리 예쁘네요! 깔끔해지셨네요!
@user-ys9ic7zn2r
@user-ys9ic7zn2r 11 күн бұрын
이번화에 유독 잘생겨보여서 뭐가 달라졌나 했는데 머리를 다듬으셨군요ㅋㅋ
@vicalh.9658
@vicalh.9658 28 күн бұрын
으아.주말에.보다 너무 조아유♡
@chlchlckck
@chlchlckck 21 күн бұрын
이번 편 너무 흥미진진하네요🧐
@user-ym4lq5nt6x
@user-ym4lq5nt6x 28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여전히 유쾌하넼ㅋㅋㅋㅋ
@dtonpbac
@dtonpbac 18 күн бұрын
이번 편은 특히나 수준이 높은 좋은 방송이었던 듯.. 생물 관련 내용이 좀 더 많았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마침 또 익숙한 교수님들이 나와주셔서 넘 좋네요. 특히 이대한, 우충완 이 두 교수님들은 정말 자기 분야에 빠삭하면서 설명도 조리있게 잘하시는 정보 전달력에서 프로이신 분들이라 특히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이 두분 자주 과학을 보다에 나오셨으면..
@samsoon_nani
@samsoon_nani 29 күн бұрын
주말이 더 기다려지는 이유. 과학을 보다 업로드
@user-dy3hb8ue4l
@user-dy3hb8ue4l 21 күн бұрын
끼아아악!!!시간 46분인거 진짜 너무너무 좋아요😆😆😆
@Chichikkippo
@Chichikkippo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오랜만이시네요!!! 반갑습니다 ㅎㅎ 이대한교수님 나올때마다 유난히 견제하는 정프로가 제일 웃겨요 ㅋㅋㅋㅋㅋㅋㅋ
@peacechoi8444
@peacechoi8444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기다렸습니다!!
@nail6897
@nail6897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교수님나올때 진심제일재밌어요 제발 자주좀해주세뇨😊
@hazel8924
@hazel8924 9 күн бұрын
진짜 46분인 줄 몰랐어••• 너무 재밌어!! 삼체 얘기 너무 기다렸는데 진짜로 언급해주셔서 넘 감사해요
@HaHotPot
@HaHotPot 20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나올때마다 재밌어요 자주 나와주세요 제발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user-bt2vl1pj8n
@user-bt2vl1pj8n 15 күн бұрын
참 좋은 프로그램! 봐도 봐도 재밌고 유익합니다.
@user-mm5cs7li7c
@user-mm5cs7li7c 22 күн бұрын
진행은 역시 정영진 프로가 최고임!
@user-bs8hl6zw8u
@user-bs8hl6zw8u 20 күн бұрын
다들 넘 설명을 잘해주셔서 어렵지않게 집중하며 잘 들었습니다~^^ 넘 유쾌하고 소중한 채널입니다.
@marchhare5300
@marchhare5300 2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삼체 소설 읽다가 궁금한 게 두 가지 있었는데 1. 삼체인이 규소를 베이스로 한 생명이라고 본 거 같은데 규소 베이스의 생물 이야기는 다른 sf에서도 차용되는 거 같아요. 이게 규소가 반도체의 재료라 그런지 탄소족 원소라 공유결합 4개가 되어서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실제 천문학에서 규소로 외계생물이 있을 수 있다는 담론이 있었나요? 이전 영상에서 외계생명 존재 말씀하실 땐 비열 높은 물만 언급하셔서.. 2. 3권에서 태양계 내의 빛의 속도를 낮춰서 태양계 밖으로 빛도 못 나가게 한다는 계획을 가정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소설에서도 실현은 못 시켰지만, 이렇게하면 가능하겠다 싶으신 가정은 있을까요? 빛도 못 나간다니 블랙홀을 만드는 것밖에 떠오르지는 않는데.. 소설 읽은지 좀 된지라 가물가물해서 실제 소설하고 다른 내용을 썼을지도 모르는데 그래도 일단 질문을 던져봅니다..
@ordinarymiracle1834
@ordinarymiracle1834 19 күн бұрын
정말 가장 즐겨보는 채널이예요! 정프로님 눈감고 진행하시는거 보면 너무 대단하시기도 하고 쨘한 마음이 들기도 해요. ㅜㅜ 응원합니다!!!!!!
@heartdrop-yc8ss
@heartdrop-yc8ss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보고 싶었어용!!!!!!!!!🎉
@NAYA_ESTJ
@NAYA_ESTJ 21 күн бұрын
46분 영상이 마치 1분처럼 느껴졌습니다. 오늘도 저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해주셔서 정말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klair6256
@klair6256 21 күн бұрын
강아지 배틀 넘 귀여워요!❤ㅋㅋㅋㅋ 사진이라도 넣어주시지ㅋㅋ 보고 싶어요!
@user-hh4em7ho4z
@user-hh4em7ho4z 28 күн бұрын
이대한교수님 진짜 기다렸어요!!!
@user-kv1qh7gy1p
@user-kv1qh7gy1p 26 күн бұрын
최애 채널이에요
@mkkk7844
@mkkk7844 22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이대한 교수님 나오는 편이 제일 재밌음. 흥미로운 말씀을 많이 해주심
@pacarnya77
@pacarnya77 1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출연하는 방송을 볼 때마다 느끼는데, 그 사고의 기발함이 정말 탁월하네요. 공부 열심히할 걸.. 진심 부럽고 존경스러움...ㅋ
@user-ux7if5qs1b
@user-ux7if5qs1b 18 күн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김범준 교수님께... 총알의 보통 총구 속도는 초속 1킬로 내외입니다.. 레일건 등으로 총알을 초속 30킬로 정도 속도로 쏜 다면.. 이 총알이 지표면 대기압 정도의 공기속을 1초 정도 날아가 타겟에 명중한다고 했을때, 1초 뒤 타겟에 맞을 때 총알의 상태가 온전한 상태일까요? 만약 온전하다면, 초속 100킬로 정도의 속도로 1초 정도 날아간다면 어떠할까요? 최종적으로 총알의 속도가 어느 정도까지 되면 1초 정도 비행했다고 했을때, 총알이 액체화~~ 기화되어 증발을 해버릴까요? 총알의 모양은 기존 총알 모양이고,, 재질은 관통자로 쓰이는 텅스텐강, 텅스텐이 주원료라 했을때(일반 총알도 궁금하긴 함,, 재질이 납+ 구리+연철 주성분이죠..) 정확한 계산이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선인지만 알려주세요~~
@moonlightzz1954
@moonlightzz1954 21 күн бұрын
항상 너무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습니다. 좋은 컨텐츠 앞으로도 오랫동안 업로드해주세요😊 응원합니다~ 저의 호기심도 알기 쉽게 해결해주고 지식적인 부분까지도 풍성하게 해주는 과학자님들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itdfyotizgfixxit
@itdfyotizgfixxit 22 күн бұрын
하…과학을 보다 덕분에 토요일이 너무 행복하다
@user-yw2ui3ei2i
@user-yw2ui3ei2i 20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자주 좀 나오세욧!!!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29 күн бұрын
매주 토요일만 기다립니다 므흣 오늘은 오랜만에 귀여운 이대한 교수님이 나오셨군요 💖💖
@secreet9860
@secreet9860 29 күн бұрын
원숭이가 인덕션으로 고구마를ㅋㅋㅋㅋㅋㅋㅋ 나보다 낫넼ㅋㅋㅋㅋㅋ
@user-tu5pi8cw3v
@user-tu5pi8cw3v 21 күн бұрын
난민생활 하나?
@nicolelee5047
@nicolelee5047 21 күн бұрын
​@@user-tu5pi8cw3v 가스렌지나 하이라이트 쓰나보지
@user-fb6ei7ir3q
@user-fb6ei7ir3q 21 күн бұрын
​@@user-tu5pi8cw3v그런듯
@snskor
@snskor 21 күн бұрын
인덕션이 뭐죠?
@Benjamin-lq8uy
@Benjamin-lq8uy 21 күн бұрын
​@@snskor문맹이냐
@TV-hg8rw
@TV-hg8rw 16 күн бұрын
우주먼지님께 질문이 있습니다 총 3가지인데요 첫번째 오늘 기사를 봤더니 우리은하 뒷뜰에도 태초의 별이 있다 라는 기사가 나왔더라고요. 요번에나온건지 원래 나왔는데 지금 뜬건지는 모르겠지만 설명 듣고싶고요. 두번째는 김범준교수님께도 해당되는 질문일것같아요. 첫번째 질문에서 우리은하 뒷뜰이라고 하는데 우주에 방향이라는 정의가 내려질 수있을지가 궁금하네요 우주 전체로봤을때는 우주는 다 똑같은데 앞 뒤라는 정의가 내려질지 궁금합니다. 동서남북 이라든지 마지막 세번째는 이건 진짜 옛날부터 궁금했던건데 아침에 일찍나올때 하늘을보면 분명 아침인데 해가뜨면 저야할 달이 떠있더라고요 물론 빛이없어서 조명이꺼진 달처럼 보이지만 그게 우리 지구의 달인건지 다른 위성이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보통 7시쯤에 나옵니다)
@user-ex7ip2fu4v
@user-ex7ip2fu4v Сағат бұрын
우주먼지채널에다 물어보세요ㄱ
@HSLee-sq8tx
@HSLee-sq8tx 17 күн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의 논리적인 해석이 와 닿네요
@user-rw1rg2pd1c
@user-rw1rg2pd1c 14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귀여우심 말씀도 알아듣기 쉽게 해주시고 좋아요!!😄😄
@chicken0515
@chicken0515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들 너무 잼써요!
@xxxage913
@xxxage913 21 күн бұрын
꺄아 두 교수님들 다시 뵈어서 너무 반가워요❤
@user-eg7ol3vi1g
@user-eg7ol3vi1g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말씀하실때 파이팅있게 하시는거 너무 멋있어요 전투에 나가는 전사처럼! 막 말씀하시는데 완전 멋져요
@soo_cut
@soo_cut 27 күн бұрын
진짜 너무 너무 재밌다..
@user-td5js6yg5k
@user-td5js6yg5k 19 күн бұрын
정말 너무 재미 있어 시간이 너무 빠르게 느껴져요. 정영진님 덕분에 최고 영상으로 저도 진화 됩니다. 교수님들 감사드립니다 ❤❤❤❤❤❤
@GodofAscendent
@GodofAscendent 21 күн бұрын
체육대회하다가 궁금해졌는데 줄다리기 할때 힘 센사람이 앞에 가는게 더 좋을지 뒤에 가는게 더 좋을지 궁금해요!!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11 күн бұрын
일단 시작하면 뒤로 다 누워
@AppleMango.
@AppleMango. 21 күн бұрын
이번영상 너무잼게봤어요 ㅋㅋㅋㅋ 50분짜리인줄 몰랐어요
@user-jp4nz2rj9f
@user-jp4nz2rj9f 22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은 사람 놀리기가 좋음 ㅋㅋ
@ehjo776
@ehjo776 20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진짜 호감입니다. 문과적 느낌이 있는 이과인같은 그런 점이 볼때마다 매력있네요. 그리고 어떤 한계를 두지 않고 그렇게 될수도 있지 않나라고 말하시는 것도 공감해요. 누가 알겠어요? 몇만년 전 인류는 지금 인류가 이렇게 살줄 누가 예상이나 했겠냐고. 몇백년 뒤의 인간의 삶이 어떨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다른 생명체들이 인간보다 무조건 못하다고만 생각하는거 가끔 어이없는데 어떤 기준과 관점이냐에 따라 다른것을..
@user-gw8dq2mh8f
@user-gw8dq2mh8f 21 күн бұрын
이런 수준높은 대화를 집에서 볼수있다니.. 감사합니다~
@user-um5cl9ve3t
@user-um5cl9ve3t 22 күн бұрын
카페에 가면... 새들이 떨어진 빵을 먹을려고... 주변에서 대기를 하죠.. 더군다나... 유리로 된 실내를 들어갔다가 문이 있는곳으로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인간사회에 적응을 완벽하게 했다고 생각이 드네요.... 절대 가까이 가도 날아가지 않아요... 단지 넘 가까이 오지도 않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죠....
@dongx2_2
@dongx2_2 21 күн бұрын
...그렇...죠...둘기들도....걸어다니....더라구요...
@icelattee1
@icelattee1 21 күн бұрын
그런... 데... 이건... 왜하는건...가요...
@janjanjan6690
@janjanjan6690 21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언제부턴가 비둘기들이 피하지 않더라고요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1 күн бұрын
진심 행복해 보다 채널 최애영상💙💙
@user-ep1nc1jh2o
@user-ep1nc1jh2o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 기다렸습니다 . 캄브리아기 대폭발~~~~~~~
@user-wl6qx5rm7o
@user-wl6qx5rm7o 22 күн бұрын
지식을 유쾌하게 전달하는 프로! 보면서 많이 똑똑해지는것 같아 다음편이 기다려집니다
@vsofra4447
@vsofra4447 29 күн бұрын
주말근무하면서 몰래보기
@teguf
@teguf 28 күн бұрын
화이팅!
@xXxapexXx4767
@xXxapexXx4767 27 күн бұрын
뒤를 조심하세요😶‍🌫️
@user-hf7vr1uq7o
@user-hf7vr1uq7o 22 күн бұрын
이맛에 주말근무 하지 ㅋㅋㅋ
@user-ck8qf5to7g
@user-ck8qf5to7g 22 күн бұрын
저도요 ㅋㅋㅋ
@As-rr4ll
@As-rr4ll 22 күн бұрын
저두.. 사람사는거 다 똑같네 ㅋㅋㅋ
@user-jb8mm2cc1g
@user-jb8mm2cc1g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자주 나와주세요 ㅠㅠㅠ 팬입니닥
@user-eh5hk2my9u
@user-eh5hk2my9u 28 күн бұрын
이대한님이 진짜 재밌고 재밌음 ㅋㅋㅋ
@user-cz5jp8vc9e
@user-cz5jp8vc9e 28 күн бұрын
15:00 우주먼지님 귀여운 끄쵸오!
@user-dy3bj4jm7o
@user-dy3bj4jm7o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넘 좋아영!!!
@pvp7600
@pvp7600 22 күн бұрын
와! 재미있는과학시간이다
@all_of_-bm9is
@all_of_-bm9is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말씀하실때 한분한분 다 눈마주치시는 모습 인상적이네여 ㅎㅎ
@user-pl1yi4qm6f
@user-pl1yi4qm6f 21 күн бұрын
삼체보고 이거 보니까 너무 흥미롭네요. 주제를 입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은 시간이 됐어요.
@user-jh2fv3cq4p
@user-jh2fv3cq4p 20 күн бұрын
삼체 어렵지않나요? 보고싶은데 엄두가 안남ㅋㅋ
@youtubu6935
@youtubu6935 22 күн бұрын
오늘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엿는데요
@mikeryu61
@mikeryu61 22 күн бұрын
인간이 똑똑해서가 아니라 수명이 길어져서 문명화가 됨. 수명이 길어지면서 교육기간이 길어짐. 네안데르탈 인은 11 세쯤 성인이 되고, 호모 사피엔스는 18 세 쯤 성인이 됨. 성장 기간이 길다는 것은 배우는 기간이 길다는 것이며, 성장 기간이 길다는 것은 수명이 길어졌다는 뜻. 따라서 이를 현재 사람들을 놓고 생각해 보면, 평균 수명이 엄청 길어지므로 교육기간(성장 기간)을 늘리는 것이 좋은데, 사회 시스템이 그렇게 안 되어 있음. 즉, 서른 살까지 교육 받고 사회에 나와서 70~80 세까지 일하고, 90 세 쯤 죽는 것이 사이클에 맞는데, 우리 시스템은 100 년전이나 똑 같음.
@user-hg8jr1db1t
@user-hg8jr1db1t 5 күн бұрын
그렇게만도 볼 수 없는건 생물학적인 생식가능은 15세부터 시작됨. 님 말대로라면 30살때까지 자녀양육하면서 배워나가야한다는건데 소득없이 양육허는건 어려움.
@user-bx2fv6rz3l
@user-bx2fv6rz3l 17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초반에 시청자 질문 답변에서 나오는 질문은 어디다가 올릴수있나요?? 너무 궁금한게 있는데 어디에 올려야할지 모르겠어요
@user-cr4sx9wi4t
@user-cr4sx9wi4t 2 күн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너무 재밌고 스마트하셔서 이야기듣는게 참 흥미진진하네요
@hyesookhan3933
@hyesookhan3933 22 күн бұрын
우와!교수님들 어쩜 이렇게 어려운 내용을 이리 막힘없이 좔좔 유수처럼 말씀 하시나요!진짜 멋지십니다!
@user-mj6tl5yg3z
@user-mj6tl5yg3z 17 күн бұрын
오늘 조합 너무 좋아요
@Dally-kv6uq
@Dally-kv6uq 10 күн бұрын
이 조합 짱 좋아요 !!!!! 이대한 교수님 말씀하실 때 집중이 진짜 잘 되네요
@user-kj2hf6ki7x
@user-kj2hf6ki7x 21 күн бұрын
대한 교수님 너무 좋아!!!!
@testarosa804
@testarosa804 21 күн бұрын
과학의 심도있는 얘기들 참 재미있습니다^^
@myungpark652
@myungpark652 20 күн бұрын
네분 과학자님들과 스텝분들 모두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 오늘도 나이들어 올드한 나의 뇌에 작은 주름을 만들어주셨네요,
@goodlifebaby8142
@goodlifebaby8142 21 күн бұрын
오늘 진짜 재밌었음~~
@user-yg9nl2zu5i
@user-yg9nl2zu5i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이대한교수님이 기다렸습니다.ㅋㅋㅋㅋ
@user-uo9me8iv6e
@user-uo9me8iv6e 20 күн бұрын
교수님들 목소리도 너무 좋아용...!❤
@snsqlcdl2
@snsqlcdl2 21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나올때 재미있다 한표!! 과학을보다 최고!!
@roscns
@roscns 19 күн бұрын
오늘거 보다보니까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서 더 파고들지 못한 연구들 얘기도 재밋을거 같네요, 인간복제라던가 등등
@-law9000
@-law9000 21 күн бұрын
지웅배님 보면서 느낀건데 어리신데 자신의 분야의 지식량이 엄청나심 ㄷㄷㄷ 그걸로 또 쉽게 풀어서 설명하는 능력도 대단함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Чай будешь? #чайбудешь
00:14
ПАРОДИИ НА ИЗВЕСТНЫЕ ТРЕКИ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300년 전 침몰한 보물선 쟁탈전
26:0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374 М.
인간의 뇌는 위험한 도박을 했다 | 뇌 가소성, 뇌과학 이야기
9:18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정말 원숭이는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진화론의 진실!
14:27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Based on true events! 😂 #shorts #family #funny y
0:14
Krys & Kareem FAM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ПРОВЕРИЛ НА ПРОЧНОСТЬ (@novayaeracom - Instagram)
0:16
В ТРЕНДЕ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