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페이스북 출신 개발자가 코딩 반대하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90,408

비개발 쑤난

비개발 쑤난

Күн бұрын

왜 구글, 메타 출신 테크리드는 코딩을 반대할까요? 이유와 대처 방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35 이유
01:07 늘어난 수요와 공급
02:24 1. 줄어드는 수요
03:45 2. 늘어난 공급
05:01 1. 개발 활용하기
05:53 2. 엔지니어 되기
06:49 정리

Пікірлер: 537
@ssoonan213
@ssoonan213 3 ай бұрын
사이드 프로젝트 코칭: kmong.com/gig/403110 IT 회사 취업 오해 풀기: kmong.com/self-marketing/485402/PHty1aaWCP 소프트웨어에 대한 오해를 풀어드리고 사이드 프로젝트 완성을 도와드립니다!
@user-mj1sk6fp7n
@user-mj1sk6fp7n 3 ай бұрын
프로그래머 양성 교육에 연관된 카르텔도 조만간 까발려지길 바람 최근 블록체인, 게임, 웹 등의 IT 사업에 대해 국가 지원 규모가 엄청나게 늘어나고 그 와 동시에 프로그래머 양성 교육이라면서 국비 지원을 어마무시하게 해줌 그래서 프로그래머 몸값 오르고 주변에 프로그래머들 많아지고 하다가 이제 해먹을 대로 해먹고 사업에 대해 국가의 지원을 줄여버림 ㅋㅋ
@WooSup111
@WooSup111 3 ай бұрын
요약: 내밥그릇 그만건드려
@user-os7je3wu5i
@user-os7je3wu5i 3 ай бұрын
젠슨황이 이제 프로그래머 하지말라고하는데 이에 대해서 어떻ㄱ ㅔ생각하시나요?
@AseMu
@AseMu 2 ай бұрын
크몽이 왜 이런 영상에 😂
@philipuuu991
@philipuuu991 2 ай бұрын
@@user-os7je3wu5i프로그래머를 하지마란 소리가 아닐텐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lijlijlil1898
@lijlijlil1898 3 ай бұрын
난 또 본인이 구글, 메타 출신 테크리드라는줄 알았네; 어그로보소. 참고로 TechLead 는 맨날 염세적이고 부정적인 태도와 주제로 이야기를 많이 하는 유튜버임..
@user-uw8ys4ft7y
@user-uw8ys4ft7y 3 ай бұрын
추가한다면 본인채널구독자 상대로 거의 300만달러 사기까지 치고 비디오 몇개보면 확 얼마나 tech lead라는 이름하나로 초짜 프로그래머들을 불러모으고 자기 다 안다는 식으로 말하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얼마나 bullshit인지 알 수 있음.
@jy6180
@jy6180 3 ай бұрын
걍 본인이 실력 안되니 부정적인 유튜브 컨텐츠나 찍어내는 어그로꾼인가보네요.
@LNF828
@LNF828 3 ай бұрын
그게 유투브의 본모습이지
@user-hj4cf5mp8t
@user-hj4cf5mp8t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돈 많은데도 이혼 당해서 항상 빡쳐있음 헤어 관리는 또 안하고 ㅋㅋ
@user-kc9pr3cp1x
@user-kc9pr3cp1x 3 ай бұрын
지나가던 길에 댓글답니다. 유튜버 본인에 대한 디스보다는 개인적인 의견인데요. 코딩은 기초입니다. 요리사? 요리하려면 칼질할줄 알아야겠죠? 디자이너? 디자인하려면 기본적인 이론들을 알야아합니다. 기본적으로 어떤일을 하던 기본은 있어야합니다. 코딩을 반대한다는 의견보다는 코드를 아는사람들이 복잡한 로직을 구현할때 좀더 편해질수있다정도로의 의미이지 기초적인 코드없이 컴퓨터가 뱉어주는 결과값만 가지고 컨트롤 c 컨트롤 v 하다보면 자기가 짠 코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조차 모르는 꼴이 발생할겁니다. 즉, 내가 넣은 재료가 뭔지도 모르는 요리사가 되어버리는거죠. 기본적인 지식은 필요합니다. 다만 고연봉자들의 연봉은 더 높아질 것이고 (컴퓨터가 짜지 못하는 로직을 짤 수 있거나, 알고리즘 개발, 다양한 방법론을 만드는 사람들), 기본적인 코딩으로 이것저것 덕지덕지 붙이던 사람들은 연봉이 고정일거라는거죠. 대부분 전자의 길을 가려고할테지만... 부트캠프에서 배우신 분들은 후자일 케이스가 많고 이 경우도 워낙 다양해서 케바케라고 생각이듭니다.
@deetle
@deetle 3 ай бұрын
개발 20년 해 온 사람이지만 맞는 말씀이에요. ChatGPT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머리로는 만들 수 없는 로직을 가끔 만들어 내서 대단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네요
@JunSol-gs3dy
@JunSol-gs3dy 3 ай бұрын
지금 현직 요리사가 자영업자 많고~ 경기 안좋아서 사람들 외식안하고~ 요리사 이미 차고넘쳐요! 하지마세요 라고 한다면 설득력은 있는말입니다. 근데 그냥 뭐든 하고싶고 잘할 수 있으면 하는거죠 ㅋㅋ 설사 개발자 10년하고 다른일한다고 뭐 인생망하겠습니까? 그냥 하고싶은거하세요. 근데 취업안되니 개발이나 해야지~ 이런의미에선 비추천이라는겁니다.
@icyvo3593
@icyvo3593 Ай бұрын
근데 사실 그런 마인드에선 다른 모든 직종에도 해당되는거 아닌가 하다못해 일일 알바라도 다른거 준비하면서 하는 사람이 있고 그냥 손놓고 하는건 천지차이
@user-gi4ke7wh2j
@user-gi4ke7wh2j 26 күн бұрын
비유가 잘못됨 이연복보다 요리 잘하는 자동요리 기계가 끊임없이 나오는격임
@JunSol-gs3dy
@JunSol-gs3dy 25 күн бұрын
@@user-gi4ke7wh2j 그 부분은 백번동의하지만 어쨌든 자동요리기계도 input값은 있어야겠죠. 기존에 요리잘하던 사람들이 당연히 자동요리 기계를 잘쓸겁니다.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서 공부하는 방식도 사고하는 방식도 바꿔간다면 전 오히려 더 가능성이 넘쳐나는 세상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발자 하지마세요가 아닌, 기존 개발하는 방식에서 바꿔가세요가 맞겠죠.
@AlwaysWeb
@AlwaysWeb 3 ай бұрын
부캠 한명당 훈련비가 수천만원이죠. 부캠 입장에서는 말도 안되게 남는 장사니 바이럴만 엄청 돌리고, 맘 약한 비전공 얘들만 현혹돼서 부캠 왔다가 결국 취업도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
@user-bv5cd7dp9q
@user-bv5cd7dp9q 3 ай бұрын
그거 저예요….
@HelloA-zj1qh
@HelloA-zj1qh 3 ай бұрын
취업비율 한 10퍼센트 되더라고요 나머지는 알바하거나 원래 전공 돌아가거나.......우왕 취업률 80퍼센트
@user-bv5cd7dp9q
@user-bv5cd7dp9q 3 ай бұрын
@@HelloA-zj1qh ㅋㅋ 광고와 인터넷에 낚였어요 전 안맞는것 같아요 프로젝트도 2번중 1번밖에 못했고 거의 왕따였어요 중간에 안맞아서 그만둔다고 했는데도 못그만두게 하고 수료 후 1달 됐는데 25명 중 5명 정도만 취업했는데 나머지는 모르겠어요 왕따였어서... 그리고 신입 경쟁률도 엄청 높고, 학원에서는 평가점수 좋게 달라고 전화랑 문자오고.. 에휴 그냥 찍어내기 공장같아요
@lllllllllllIlIlIlllI
@lllllllllllIlIlIlllI 3 ай бұрын
@@user-bv5cd7dp9q 계속 취준중이신가요?
@hotshorts7777
@hotshorts7777 3 ай бұрын
;;부캠 왜 했어요
@MouseAlive
@MouseAlive 3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 채용감소한것은 아이티나 개발쪽만 그런게아니라 모든분야가 그렇기때문에 경기적인 문제라 그렇다고 생각하고, 개발자는 인공지능이랑 협업하는 형태로 바뀌어나갈것같네요. 그게 개발자라고 부르든 다른 용어로 바뀌어지든간에, 기초 cs지식이 있는 상태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잘 입력하면서 코딩은 인공지능이 해주는 형태로 갈것같고..회사에 속한 개발자의 형태보다는 1인 개발자 형태가 더 전망이있을거같네요. 그리고 인공지능이 낮은수준의 개발자를 대체한다면 고급 개발자든 뭐든간에 당연히 대체될거라 봅니다. 인공지능의 발전속도로 보든 뭐로보든간에 어차피 컴퓨터한테 인간의 학습능력은 상대가 안될테니.. 저급이나 고급개발자나 별 큰차이가 없으니까요.. 다만 자신만의 아이덴티티가 있어야 살아남는다는 것은 동갑합니다. 근데 그게 단순히 지식이나 특정 기술 수준이 높다고 대체가 안될거같진않네요 . 그래도 코딩자체는 배워야한다는데 1표입니다. 배워야 프롬프트 명령어를 때리든 뭘하든 할테니까 ㅋㅋ
@no-Name..
@no-Name.. 3 ай бұрын
코딩 하는 걸 무작정 반대 하는 게 아니고, 얕게 하려면 하지 마라는 정도로 영상을 요약 할 수 있겠는데 뭐든 깊이가 중요하죠. 날로 먹을 수 있는 건 회 말곤 없다고 봅니다. 버티고 살아 남은 사람들이 해 먹겠죠. 헌데 거까지 버틸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 같네요.
@jungjeon527
@jungjeon527 3 ай бұрын
제대로 이해 하셧습니다. 깊이 있는 공부를 해야 하고 자기만의 전문지식 있어야 합니다,
@welkrjwerwelrjr4116
@welkrjwerwelrjr4116 3 ай бұрын
그말은 즉슨 진입장벽 자체가 높아진다는건데 이자체가 가성비가 안나오니 비추한다는건데 본질을 좀 생각해라 에휴..
@cloudshiba2176
@cloudshiba2176 3 ай бұрын
깊게 하려면 유학 가야죠 ㅋㅋ
@eos71
@eos71 3 ай бұрын
그럴빠에 한국을 뜨는게 맞겠지요 한국 자체가 아무 미래도 없는 사회다보니
@user-fy8wz3vf6d
@user-fy8wz3vf6d 3 ай бұрын
코딩만큼 Remote라 하기 좋은 직업이 없고, 교육없이 고급 소스로 배우기 좋은게 없습니다
@kimhyemill
@kimhyemill 3 ай бұрын
두달전부터 부트캠프 신청해서 백엔드를 공부하고 있는 제게 유튜브키자마자 "너, 이거 필요하잖아." 하며 나타난 이 영상... 짧은 기간동안 준비하는거라 배워도 많이 얕은 상태인데 정말 저 들으라고 해주는 말 같아서 좀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ㅜㅜ..
@user-ms5iz4dy5e
@user-ms5iz4dy5e 3 ай бұрын
알고리즘타고 들어온 비전공자 출신 개발자입니다. 의견 주신 부분과 이유들을 보면 공감 많이 들어요. 당장 AI가 짜준 코드들을 보면 내가 쓰는거에 맞게 수정만 할 줄 알면 왠만해선 해결되는데 미래에는 진짜 스페셜리스트가 되어야만 살아남을 것 같아요. ps: 약간 걸리는게 있다면… 인용하신 tech lead 분 주장은 적당히 걸러들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의견이 좀 다른 사람을 대놓고 무시하는 것 때문에 논란이 빈번한데 직접 자기 이름 걸고 스캠코인을 발행한 전적이 있는지라…
@HimynameisYeonsu
@HimynameisYeonsu 3 ай бұрын
지금 미국에서도 개발자 개박살 났다고 하는데..아무튼 응원합니다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3 ай бұрын
그 스페셜리스트들도 줄줄이 잘려나가는중입니다
@younghoseo1782
@younghoseo1782 Ай бұрын
@@HimynameisYeonsu그렇지 않아요 ㅋㅋ 아직도 구인난입니다. 빅테크에서 레이오프가 많이 나와서 그렇지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3 ай бұрын
와 잘 봤습니다~ 처음 5분간 내용 보면서 "어라? 코딩이 꼭 취업만 있는 게 아닌데.."라는 생각으로 갸우뚱하고 있었는데 제 생각을 딱 5:00에 정리를 해주시네요. 저는 비전공자고 전혀 관련없는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지만 향후 AI와 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코딩을 배우고 있습니다. 아무리 챗GPT가 많은 것을 해주는 시대라고 해도 그 명령값 정도는 넣고 결괏값을 볼 수 있을 정도의 코딩 능력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요.
@lesliesss
@lesliesss 3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고맙습니다.
@hanwoolkim7198
@hanwoolkim7198 3 ай бұрын
오 돌아오셨군요! 코딩은 진입장벽이 낮다는 말이 정말 뼈를 때리네요~. 동기부여가 되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harffe
@pharffe 3 ай бұрын
PCB 설계 합니다. 20년좀안됐어요 진입장벽 드립에 혀끌끌찹니다
@SelfVlog1
@SelfVlog1 3 ай бұрын
국비지원 유튜브 등 교육환경이 다양해졌지만 실무에들어가면 실력있는 사람만 살아남음
@HimynameisYeonsu
@HimynameisYeonsu 3 ай бұрын
코딩 자체가 진입장벽이 굉장히 낮죠.. 개나소나 아무나 다하니...ㅎㅎ@@pharffe
@lIIl127
@lIIl127 2 ай бұрын
@@HimynameisYeonsu 그냥 영어 같은거임 아무나 시작은 할 수 있는데 잘하는 사람은 드문거
@HimynameisYeonsu
@HimynameisYeonsu 2 ай бұрын
진입장벽도 낮고, 옆집 개똥이도 하더라구요.... @@lIIl127
@milesd153
@milesd153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tuui1869
@tuui1869 3 ай бұрын
저는 자동차 전장 임베디드 개발자입니다 코딩이 쉬워진것도 맞지만 그 개발환경은 사람이 결국 다 손으로 셋팅해야합니다 보드에 os를 올리고 이런것들이요 저는 개인적으로 기능구현보다는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셋팅하는분들의 수요는 끊기지않을것이라 생각합니다 SI로 오세요 밑바닥부터 하는 코딩을 체험하실수있습니다 ㅋㅋㅋ
@user-xv3gs7hj1r
@user-xv3gs7hj1r 3 ай бұрын
한낱 개인으로서 제목 어그로가 필요한 건 이해하지만 콘텐츠 소비자로서 진짜 신물이 나는 건 어쩔 수 없다. 콘텐츠의 진정성마저 의심하게 만듬.
@suckkongkokonEkmdwithawfuly
@suckkongkokonEkmdwithawfuly 2 ай бұрын
점잖게 패네ㅋㅋ
@lifegrowthhacker8330
@lifegrowthhacker8330 3 ай бұрын
논리적으로 말씀을 잘하시네요 잘 봤습니다.
@user-tw1fg8qp8u
@user-tw1fg8qp8u 3 ай бұрын
군대에서 영상보면서 진로를 향한 로드맵을 그려보는데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kd7wc8cv4c
@user-kd7wc8cv4c 3 ай бұрын
지나가다가 쓰게되네요, 테크기반 사회로 넘어가는 지금 개발자 수는 더 많아져야하고 경쟁은 더 치열해져야하며 시니어든 주니어든 실력있는 자들만 살아남아서 다른 AI 기업이나 국가들에 지배당하지 않을만큼의 인재를 길러야합니다. 혹시 이 영상을 보고서 개발자하려던 분들 꺽지마시고 도전해서 각 산업 분야의 도메인과 연결해서 미래를 준비하십시오. 모두가 코딩과 IT 테크지식이 기본 소양이 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3 ай бұрын
나도 이말에 동의
@heesongkoh
@heesongkoh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결국은 도구가 아니라 비지니스 비전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jkijljbnj7165
@jkijljbnj7165 3 ай бұрын
이제 개발은 기본소양이 됩니다. 기본소양을 상당부분 먼저 쌓아 놓는다는 건 매우 강점이죠. 더 박차를 가해 열심히 할때라고 봅니다. 일상어만으로 코딩한다? 그런 시절 오려면 아직 30년은 더 필요하다고 보고 그게 가능한 시점이 온다고 해도 그걸로 만들 수 있는 것들 수준은 가치가 없겠죠
@heesongkoh
@heesongkoh 3 ай бұрын
@@jkijljbnj7165 지금도 일상어만으로 됩니다만...gpt한테 설렁설렁하게 물으면 설렁설렁한 답변만 주는데.. ㅎㅎ 그반대로 물으면 그 반대로 알려줍니다. 사실 남들이 gpt잘쓰는거 별로 바라지 않습니다 ㅎㅎ
@HimynameisYeonsu
@HimynameisYeonsu 3 ай бұрын
기본 소양치고 crud 정도...인 사람들이 태반.@@jkijljbnj7165
@OkumoriO
@OkumoriO 3 ай бұрын
2000년 초반에도 ai 기술 있었고 35살 넘으면 치킨 장사한다는 게 대세였는데 50대도 개발 현재 하고 있음. 불확실성은 역시 사람을 약하게 만듬. 영상 설명은 납득되나 20년 전 컴공 선배가 했던 말 또한 느낌
@hmk7791
@hmk7791 3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는거 보면 다시 개발자 블루오션 올 듯 하네요ㅋㅋㅋㅋ
@Woong654
@Woong654 3 ай бұрын
그때는 ai 개념만 있는 수준이었죠. 지금 생성형 ai가 대세가 된 시점에 2000년대 초반에도 ai 기술은 있었다 같은 말은 상당히 와닿지 않습니다. 그리고 35살은 ㅋㅋ 오바 아닌가요?
@Woong654
@Woong654 3 ай бұрын
@@hmk7791 영상이 거짓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인 직업 관련 안 좋은 말 했다고 나쁘게만 보지 말고 냉정하게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hmk7791
@hmk7791 3 ай бұрын
@@Woong654 나쁘게 본 적 없는데요...?
@Specialjeong
@Specialjeong 3 ай бұрын
어느직종이든 숙련도가 낮다면 저연봉에 오래 가지 못합니다. 수요가 줄어들어도, 개발자가 많아졌어도 고숙련자가 된다면 고연봉에 정년까지 충분히 일 할 수 있습니다. 2018년도부터 개발했다면 이제 6년차 대리급인데 현재 필드에서는 고숙련자가 부족합니다. 조금 더 경력과 숙련도를 높이셔서 고 연봉으로 오랫동안 일 하시길 마라겠습니다.
@flsclvls9800
@flsclvls9800 3 ай бұрын
공무원 대란때 처럼 대부분 자기가 좋아하는게 뭔지 모르고 뭘해야할지 모르니까 "IT쪽이 진입장벽도 낮고 돈도 많이 준다더라" 소문듣고 다 코딩배우러 우르르 몰리고 하는 거죠 이게 사실 제일 문제입니다.
@xoi00iox
@xoi00iox 27 күн бұрын
몰려든 그들이 문제지 우리의 문제는 아니죠~ ㅋ
@SeunghwaSongSteve
@SeunghwaSongSteve 3 ай бұрын
소프트웨어 스택과 기술 발전의 깊이. 그리고 활용 스펙트럼은 십수년전에 비해 상상도 못할 정도로 확장되고 발전했음. 하드웨어를 이해 못하면 코딩이란걸 할수도 없던 시대가 있었고, 지금의 인간의 언어로 자연어만 입력하면 코드가 나와서 동작하는 시대에 오기까지의 인류 발전 과정은 전공자 아닌 일반인은 이해를 못하는게 사실..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진입장벽이 낮아진 이유는 그렇게 발전해야만 경제적으로 빠르게 원하는 결과물을 얻어야 했고 생산성을 극대화해서 노동력을 투입해서 산업이 발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임. 그리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것.. 지금 코딩 학원에서 배워서 나오는 깊이가 낮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공급과잉인지는 나중에 시장 수요가 판단할 일이고 어떻게 될지는 모름. AI가 코딩하는 시대가 온다고해서 AI를 이용해서 작업물을 만들 사람이 필요없다는 이야기는 아님. 십년전에도 학원에서 찍어나오는 SI 개발자들도 많았고, 결국 수요가 있어서 그 필요에 의해 공급이 있었던 것이고.. 부트캠프에서 AI 활용해서 개발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는데, 생산성이 더 높아지고 개발 패러다임이 바뀔뿐, 개발자 수요랑 공급은 균형을 맞추면서 더 커질거라고 봄. 아 그리고 개발자를 지칭하는 직업의 분야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프런트 백엔드 인프라가 전부가 아니에요.
@SeunghwaSongSteve
@SeunghwaSongSteve 3 ай бұрын
별개로 개발자 양성 학원 광고에 낚여서 시도해 봤지만 적성에 안맞아서 좌절하는 10, 20대에게 해주고 싶은말은 원래 그렇게 시도하다 깨져보고 자기 업을 찾는 과정이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과거에도 직업군이 유행을 타는 적은 많이 있었고 적성 못찾고 우르르 몰려갔다가 좌절하는 사람은 항상 있었습니다. 그나저나 20년전만 해도 우리나라 개발자는 초박봉에 개차반 이었던 시절이었는데.. ㅋㅋ
@user-qg2cj6cz5p
@user-qg2cj6cz5p 3 ай бұрын
테크리드 그 분도 그렇고 쑤난님도 사실 좀 필터링해서 들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쑤난님께서 이야기하는 공급이 많은 개발자는 그냥 별 생각 없이 API 찍어내는 코딩 몽키 애들을 이야기 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레임워크도 잘 되어 있고 LLM도 잘되어 있고 하여 코딩을 실질적으로 많이 안하게 됬죠. 근데 이거는 프레임워크 잘 되어 있을 때도 마찬가지로 들려오던 이야기였습니다. 시스템 디자인하고 제대로 구조짜고 아키텍처 확립하는 시니어 급 사람은 언제나 부족합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신입이나 주니어 잘 못하는 애들은 설자리가 없고 반대로 잘하는 경력자들은 없어서 개발자 부족하다고 아직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겁니다. 어떤 분야든 자기 깊이 없이 곁다리로 그냥 대충 살려는 사람들은 언제나 시장에서 퇴출되고 대체되기 마련입니다.
@qwqwqwer6213
@qwqwqwer6213 Ай бұрын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시스템 디자인 할 정도의 능력있는 개발자는 당연하지만 주니어급에선 거의 없습니다. 있어도 웬만해서는 안시키죠;; 지금 당장 한국에서 그런 일을 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개발자는 최소 15년 이상은 필드에서 굴러먹은 시니어급은 되어야 시킵니다. 근데 15년 전의 개발자는 노가다급 3D업종에 너도나도 기피하는 직종이었죠. 근데 지금은 어떤가요? 주변에 개발자 하려는 사람도 넘쳐나고 신입, 주니어급 인재도 넘쳐납니다. 말씀하신 시스템 디자인 영역에서의 필요한 경력 쌓인 고급 개발자는 솔직하게 10년안에 국내 수요는 충분히 받아먹을 수 있을 정도로 꽉꽉 들어찰겁니다.
@user-xp5hc5ls3c
@user-xp5hc5ls3c 3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etu91123
@etu91123 2 ай бұрын
펙트는 개발자 2명뽑는데 코로나 전에는 100명정도 몰렸는데, 현재는 포화상태되서 200명 이상 몰립니다 ㅋㅋ 근데 2명밖에 필요없어요. 이게 현실인거같습니다. 잘하는 사람들도 떨어뜨려야 되는게 안타깝네요 ㅠ 솔직히 포화상태 맞음.
@user-bc8rs8gs1m
@user-bc8rs8gs1m 3 ай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수요 공급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이해를 못하더라구요.... 전문직이 좋은 이유가 공급이 조절된다는 점이고, 의사들이 이번에 거품 무는게 공급 증가 때문인데....
@wcj4429
@wcj4429 3 ай бұрын
인력의 질을 따지는 수준이 되면 비전공자는 서류전형에서부터, 특히 신입일수록 동일 수준의 전공자를 절대로 이길수가 없음. 자신이 전공자를 압도할정도의 포트폴리오를 준비한다 하더라도 그건 서류를 뚫었을 때의 얘기고....
@uaaaaaaahan
@uaaaaaaahan 3 ай бұрын
이제 앱은 안받고 웹사이트는 감소하는 추세인지 한참 지난건 공감합니다만 비전공자가 개발을 활용하는 경우가 그렇게 많을 것 같진 않네요. 물론 더 안좋은 케이스긴 합니다. 대기업에서 알아서 서비스해준다가 정답.. 그 대기업 갈 실력을 쌓는게 개발자의 답..!
@OneTabbyYeiX
@OneTabbyYeiX 3 ай бұрын
단기적으로 코딩이고, 무슨 현재 직업이든 거의 저렇게 될 겁니다.. 옛날에는 말 관련 산업이 엄청나게 큰 산업이었죠. 말을 키우는 사람, 말을 치료하는사람, 경마장을 운영하는 사람, 말굽을 다듬는사람 등 하나하나가 잘나가는 큰 줄기의 직업이었는데 현대의 자동차가 말을 모든 면에서 완벽히 능가하면서 말 관련 산업 전체가 축소, 사장되었죠. 주목할 것은 말의 효용성, 효율 등 자동차에 실질적으로 편의성 면에서 밀리는 분야는 전부 축소, 사장되었지만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경마장은 오히려 옛날보다 규모가 더 커졌다는 것입니다. 지금 사장되는 산업들 중에서 미래에도 남을 분야는 사람들에게 원초적인 즐거움을 주는 분야입니다.
@argenyoo9456
@argenyoo9456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영상 감사합니다!
@user-kt7dk8tl8b
@user-kt7dk8tl8b 3 ай бұрын
요즘은 영어가 기본이라 영어를 어느정도 하는걸로 경쟁력을 가질순없지만 다들 기본적으로 배우잖아요 코딩도 요즘 초딩들이 많이 배우기 시작하는데 그럼 코딩을 가르치는 쪽은 수요가 계속 늘을까요??
@user-fy8wz3vf6d
@user-fy8wz3vf6d 3 ай бұрын
아니 누가 사람한테 배워요 AI가 더 잘 가르치는데. 공부는 AI한테 배우고, 실전은 오픈소스 참여하면서 경험 쌓으세요.
@user-it6le5rq2v
@user-it6le5rq2v 2 ай бұрын
출산율이 현재 무척 낮은데 엄청 수요가 높을것 같진 않는...제 갠적인 생각입니다.
@namjin__
@namjin__ 3 ай бұрын
친구들과 후배들에게 했던 말이었는데, 같은 생각이었네요. 너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ey_you163
@hey_you163 3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가는 내용이네요. 공급과잉과 수요가 줄어든다는 점이 요즘 가장 불안한 지점입니다. 생성형 AI와 tailwindcss를 활용해서 프론트를 AI로 찍어내는 아이디어도 실현되고 있는걸 보면서 역시 개발은 결국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걸 다시금 깨닫게 되기도 하구요. 개발자로써의 가치보다도 그외의 가치를 빨리 키워야겠다는 갈망이 요즘 계속 생기는 것 같아요.
@jkijljbnj7165
@jkijljbnj7165 3 ай бұрын
검색엔진이 나온지 수십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윈도우 아주 간단한 설정조차 스스로 못하고 뭐 하나만 꼬여도 트러블슈팅 찾아 해결 못하는 인류가 90퍼센트입니다. 아무리 인공지능이 발달해 개발을 서포트 해도 못하는 사람은 죽을때까지 못해요. AI는 격차를 더 벌릴 겁니다. 기존에 잘하던 사람은 AI 도움을 받아 훨씬 더 많은 것들을 빨리 해내는 반면 못하던 사람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미래에도 주위에 컴 잘하는 친구 도움을 항상 받아야 하겠죠. 코딩은 기본 소양이 되나 그 기본 소양조차 없는 사람은 더 많은 수를 차지할 겁니다. 그러니 기본소양을 빨리 끌어올려야죠.
@flyingpan2639
@flyingpan2639 3 ай бұрын
ㅇㅇ 이분 말처럼 직업으로서 개발자는 별로일 수 있지만 AI 발전의 진짜 의미는 컴맹과 비컴맹의 격차가 문맹과 비문맹만큼 차이날 거라는 거임 그리고 컴맹의 범위도 졸라 넓어질거고
@Artifgacky124
@Artifgacky124 3 ай бұрын
​@@flyingpan2639이게 맞지 사실 트러블슈팅이라고 표현하는건 너무 과장임 ㅋㅋ
@user-fv6hq8yg2s
@user-fv6hq8yg2s 2 ай бұрын
애매하긴 함 요새 ai가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해서 점점 친숙해지고 사용이 쉬워지고 있어서 이게 어디까지 갈지 모름. 지금 삼성이 갤럭시에서 각재요소에 ui로써 활용하려고 하듯이 일단은 AI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서비스들의 포화가 일어날 것이고, 어떻게 하면 컴맹도 AI를 잘 쓸수 있을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임.. 근데 기본소양을 빨리 끌어올려야 한다는 건 공감함.. 앞서가는게 아니라 뒤쳐지지 않기 위한 공부..
@jkijljbnj7165
@jkijljbnj7165 2 ай бұрын
@@user-fv6hq8yg2s 아무리 AI가 발전해도 결국 기계가 효율적인 처리를 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자연어에 최대한 가까운 언어로 작동할리가 없습니다. 결국 인간과 소통하는 것에나 인간의 자연어를 썼다가 다시 내부적으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거쳐 기계어로 바꾼 후 연산하겠죠. 결국 인간도 기계에 가까운 언어를 배워야 남들보다 더 기계를 잘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조금의 차이가 결국 차이를 만드는 거죠. 기계를 더 잘 학습 시키기 위해서 결국 인간이 열심히 봉사하는 의미로 배워야 할 겁니다
@user-cf4yv3kr2d
@user-cf4yv3kr2d 3 ай бұрын
쑤난님이 말씀하신 내용에 되게 공감됩니다. 저도 최근에 주변에서 배 타던 분이라던가, 자연과학쪽 석사하시던 분이라던가, 문과 계열 지인 등 취업이 안되니까 국비로 배워서 IT 취업 시도를 하시는 분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 2023년 초를 기점으로 IT 계열 신입 JOB도 많이 줄은 것이 체감이 됩니다. 또 금리가 오르니까 신 사업이 발생하지 못하고 있죠... AI 발전 속도도 무시무시해서 단순 개발자는 금방 대체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저 같은 경우 작년에 신입 그룹 단위 공채로 들어갔는데 데이터 팀에 배정받아 본의 아니게 개발자가 아닌 데이터 모델러 테크를 밟는 중 입니다. 마음 같아서는 개발 팀으로 넘어가서 개발 업무도 해보고 싶은데, 개발 팀 갔다가 개발자 수요는 줄고 공급은 넘치게 되서 후회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네요
@MouseAlive
@MouseAlive 3 ай бұрын
아이티만 그런게아니라 경기상황적으로 그런거라 해보시는게 좋을듯싶네요
@fresh_egg
@fresh_egg Ай бұрын
알파고 이전 한참 전부터 초등학교 2학년때 처음 블럭코딩을 배우고 호기심으로 코딩을 배우며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지고 배웠던 현 고3입니다.. 말씀대로 요즘 개발을 쉽다 하면서 배우고 하고 학교에도 개발을 배우며 빅데이터나 Ai같은 분야를 다들 가고싶어 하더라구요... 정말 암울하기도 하고 사실 전 취업이 큰 목적이 아닌 인디게임이 가장 하고 싶었던거라서 경젱에는 비교적 적을수도 있지만 정말 좀 .. 슬프긴 하네요
@Onulharu
@Onulharu 3 ай бұрын
중소기업인 저희회사에 1명 뽑는 자릴 400명이 지원하는걸 보면... 재작년만 해도 10명도 안왔는데말이죠
@user-ou2xp2kc6y
@user-ou2xp2kc6y 2 ай бұрын
현직 개발자인데 공감많이감 부트캠프 같은거하면 웹개발,프론트개발쪽으로 거의 다 빠지는데 코딩의 영역은 엄청 넓음 인테그레이션 엔지니어, 자동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반도체 테스트 엔지니어, 아키텍터, 임베디드, 펌웨어 FPGA SOC 등등 ㅈㄴ많음 여긴 사람없어서 난리임 웹 프론트 백엔드 이런거에 국한하지말고 IT에 뭐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고 결정하는게 진짜 좋은 말같음
@oasis_1991
@oasis_1991 Ай бұрын
SK하이닉스 임원이 와서 강연했고 제일 필요한 인력이 요즘 HBM 해서 패키징일줄알았는데 컴공에서 DRAM 펌웨어 엔지니어라 해서 놀랏음
@Dhemremrzhks
@Dhemremrzhks Ай бұрын
아... 근데 나열하신 직군들은 부트캠프+a로 공부를 많이해야 취업이 될까말까 하는게 함정이죠.ㅠㅠ. 친구가 코딩 배우면 싸섹에서 멱살잡고 끌어준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_roebahcyrrn0w
@user_roebahcyrrn0w 2 күн бұрын
어떤 친구가 대체 그런말을 했나요​@@Dhemremrzhks
@HimynameisYeonsu
@HimynameisYeonsu 3 ай бұрын
일용직 노가다 하다가 개발 입문했습니다. 국비에서 수업 듣고 있는데 37살이라 걱정이 드네요 선생님이 수학도 알려주시고 너무 조아요.
@wholeofsmile
@wholeofsmile 3 ай бұрын
힘내요
@Rolangee
@Rolangee 2 ай бұрын
지방에서 하실거면 전혀 문제없다고 봅니다 지방의 중소, 중견기업은 오히려 개발자가 없어서 난리인지라..
@user-df8bz6ul7k
@user-df8bz6ul7k 2 ай бұрын
​@@Rolangee창원인데요..잡코기준 중소기업 지원자 100대1입니다 연봉삭감해서 다 지원해요
@user-xm5vd5uw1e
@user-xm5vd5uw1e 2 ай бұрын
역시 지방은 널널하네요@@user-df8bz6ul7k
@iliiillilil
@iliiillilil 2 ай бұрын
@@user-df8bz6ul7k 창원쪽거주하고있어요. 그정도로 경쟁이 치열한가요? 개발자도 이제 힘들어지는건가요?
@SQLBANK
@SQLBANK 3 ай бұрын
저도 IT기술 관련 채널을 운영하지만 영상 내용에 깊이 공감되어 글 남깁니다. 특히 개발자라는 직군에 대한 진입장벽이 무척 쉬워졌다는 점과 '깊이'라는 부분, 그리고 다른 전문 분야인이 IT를 해야 한다는 점. 미디어는 딱 '진입'까지만 부추기고 그다음을 책임져 주지 않더군요. 그래서 막상 웹, 앱, 모바일, DB개발자가 되었지만 그다음에 뭘 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스스로 찾기도 참 막막하죠. 장벽이 쉬워진 건 어떤 산업이든 활성화되고 취업이 용이해지면 당연합니다. 하지만 '깊이'와 응용은 조금 다르죠. 데이터를 잘 다루는 웹/앱 개발자, 농사가 본업인 농업인, UX설계에 남다른 마케팅 담당자. 이렇게 확장해 나아가야 하는데 모두가 전문개발자로만 발돋움하려 하니 공급이 과잉되는 건 아닐까 해요. IT가 전문 분야가 아닌 분들이 IT를 응용한 좋은 사례와 선례들을 많이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네요.
@hmk7791
@hmk7791 3 ай бұрын
오. 유튜브 내용이 마음에 들어서 구독했습니다. 승승장구하십시오~
@SQLBANK
@SQLBANK 3 ай бұрын
@hmk7791 hmk7791님 감사합니다. 유튜버님 채널에 종종 들르겠습니다.
@novice9771
@novice9771 3 ай бұрын
올해 1월에 웹 프론트엔드 신입으로 취업해서 일하고 있는 비전공자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후반부에 '프레임워크 써서 구현하는 정도의 개발자는 너무나도 많고, 나만의 무언가를 가진 엔지니어가 되어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많이 됩니다. 일단 지금은 회사 업무 적응하는 부분에 많은 시간을 쏟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어떻게 공부를 해나가야 더 깊이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ssoonan213
@ssoonan213 3 ай бұрын
신입이시라면 다른 공부보단 일단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더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아키텍처, 리팩토링, 커뮤니케이션 부분을 먼저 쌓으시고 이후에 CS 공부를 하며 전문 분야 만드는 걸 권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나중에 영상 만들겠습니다!
@novice9771
@novice9771 3 ай бұрын
@@ssoonan213 감사합니다!!
@qpeueudjdh
@qpeueudjdh 3 ай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해서 실력 올려놨는데 곧 일반인들도 활용할 수 있을정도로 문턱이 낮아져 버릴 가능성 29402%
@user-ez3yz2fr6t
@user-ez3yz2fr6t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에 관심이 있는 4학년 전공자 학생입니다.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취업 팁을 조금 얻을 수 있을까요? 현재 해둔것은 졸작 프로젝트로 웹사이트 하나를 파이썬과 플라스크 프레임워크 이용한 것이 끝입니다.
@user-eg8sv2gs3n
@user-eg8sv2gs3n 3 ай бұрын
@@user-ez3yz2fr6t 파이썬 & 플라스크면 백엔드 프로젝트에 더 가까워서 프론트엔드로 가시려면 프론트 관련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해보시면 어떨까요?
@user-hk5le4gk2y
@user-hk5le4gk2y 3 ай бұрын
영상말 대로 공급은 늘고 수요가 줄은건 맞음. 그래서 개발자도 경쟁 개빡세진거 맞음. 근데 잘 모르겄지만 이분이 개발자만 해봤던건지 다른 분야는 더 취업하기 헬이라는걸 잘 모르시는거 같음 . 나도 비전공 출신 3년차 웹개발자 인데 이번에 이직자리 알아보려니까 재작년에 비해 너무 좁아졌음. 아는 사람은 이력서 80군데 넣어서 면접 두 군데 보고 안됐다고 하고... 근데 개발자 하기 전 일반 사무직 알아보던 때 생각하면 천사도 이런 천사가 없음. 일반 사무직으로 취직하려면 대외 활동에 토익 토스 한국사 자원봉사 연수 인턴 자격증 등등등 스펙 얼마나 준비해야 되는지 모르시죠? ㅋ 개발자 지금 취업난은 문과 다른 직군에 비하면 땅 집고 헤엄치기 수준임. 그니까 영상에도 나오듯이 유독 문과 출신 비전공 개발자 도전 하는 애들이 많은거임. 그 사람들이 개발자 하기 쉽다고 해서 비전공 개발자 하려는게 아니라 현재 문과 쪽 취업난이 개씹씹씹씹헬이라서 걍 헬수준인 개발자 취업시장으로 몰리는거. 밑에 보니 부트캠프 25명중에 5명 취업됐다기 사기라고 하는데 그거보고 문과생들은 "아니 씨바 25명 중에 5명이나 취업된다고?" 하면서 눈 뒤집혀서 들어오는겁니다. 문과는 과장 좀 보태서 25명 중 5명이 아니라 토익학원 2500명 중에 한 명 될까말까 한 상황이라
@Dave-oz6zg
@Dave-oz6zg 3 ай бұрын
영업지원, 인사, 회계, 총무, 세무 등등 문과도 자리 많은데요? 개발자 준비하듯이 준비하면 됨
@philosophy_and_law
@philosophy_and_law 3 ай бұрын
문과출신으로서 이거 정말 공감합니다ㅋㅋ
@user-yw4ig1lm1u
@user-yw4ig1lm1u 3 ай бұрын
근데 문과면 대학생때 컴공에 비해 시간이 엄청 많은데 저걸 준비 안 했으면 그냥 노력을 안 하신거같음
@user-us4ru2ob5e
@user-us4ru2ob5e 3 ай бұрын
@@user-yw4ig1lm1uㄹㅇ
@Djdndj333
@Djdndj333 3 ай бұрын
개발자들이 좀 나약하긴하죠
@sea0920
@sea0920 3 ай бұрын
반대가 될순 없을까요? 컴포넌트 만들고 API 다루는게 AI로 자동화되면 개발을 프론트, 백엔드, 인프라 등등으로 나눌 필요가 없이 혼자서 다 할수 있게 되고, 전천후 개발자가 되는게 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sea0920
@sea0920 3 ай бұрын
@@user-zs8xj2ty1h 맞습니다. 점점 엔지니어보단 비지니스맨에 가까워지는거죠. 라이브러리, 클라우드 컴퓨팅, AI같은것들이 발전하면서 코딩이 쉬워지고 점점 깊은건 몰라도 전체적인 architecture나 product design만 하면 되는거죠. 유지보수나 잡일 같은건 그정도되는 개발자 많으니까 뽑아서 시키면 됩니다.
@user-xm5vd5uw1e
@user-xm5vd5uw1e 2 ай бұрын
혼자서 다 못합니다 특히 프론트쪽은 인프라 잘아는 사람이 많지 않을탠대...?
@younghoseo1782
@younghoseo1782 Ай бұрын
근데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프로토타입의 경우 그렇지만 효율적이면서 커다란 시스템을 만들려면 ai로 자동화 하는게 오히려 인건비보다 막대한 전기료를 감당하는게 더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프롬프트로 제대로된 액션을 하려면 생각보다 이것저것 반복적인 작업들도 들어가게 되고(이걸 체크해야됐는데 넌 이부분을 체크 안했네? 체크 해봐) 등등 프롬프트를 계속 넣게되면서 많은 컴퓨터 리소스를 요구하게됩니다. 이 말은 스타트업의 경우 웹에 한해서 대부분의 빠른 문제해결이 가능하나, 이것도 상당히 웹앱 모바일앱에 국한된 분야에 해당하고, 항상 chatgp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느끼지만, 적어도 제가 일하는 분야에서는 제대로 된 대답을 아직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챗지피티 api를 직접 써본 사람들은 알거예요 인터페이스에서 내가 요구하는 바를 계속 방향을 조정해서 알려주면서 액션을 요구해야 좋은 동작이 나오듯이 api단에서는 아직도 상당히 부족한 부분들이 많고 조정해야 될 부분들이 너무 많아요
@user-qh1rb6kd8h
@user-qh1rb6kd8h 3 ай бұрын
대기업 취업을위한 코딩을 말씀하시는건가요? 코딩으로 가는 밥벌이류는 상당히많아요. 대기업이 전부가아닙니다. 1인개발자도 코딩이고.. 취미로하다가 본업으로 할수도있습니다. chat gpt가 있으니 취미로해도 쉽게 접근가능하죠.
@okcharles7
@okcharles7 3 ай бұрын
개발자가 많아졌다고 하는데, 정확하게는 CRUD + UI 기술자만 많아진 것이죠. 그것도 획일적인 도구만 사용하는.
@unarmed_civilian
@unarmed_civilian 3 ай бұрын
어쩐지
@user-xm5vd5uw1e
@user-xm5vd5uw1e 2 ай бұрын
정답
@shl5636
@shl5636 3 ай бұрын
직업시장 전체를 두고 상대적으로 보면, 아직까지 그리고 향후 몇 세대까지도 의료분야와 IT가 많은 측면에서 가장 유망하고 좋음. 최소한 IT 지식과 기술은 최소 몇 세기 동안 기초 소양으로 남음.
@KIMJOBS-rg4gj
@KIMJOBS-rg4gj 3 ай бұрын
안돼..개발공부 시작한지 이제 1일차인데..그래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user-gt3sy3cr5p
@user-gt3sy3cr5p 3 ай бұрын
창업하려면 코딩은 무조건 해야합니다 ai시대가 되면서 1인 개발자들이 고퀄러티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옵니다 디자이너. 코더. 기획자. 마케터를 ai로 쓰고 혼자 서비스 만드세요 이런 말은 2000년 초반부터 얘기 해왔어요 ㅎㅎㅎ 근시안적인 시각이죠
@user-yd8sr9ot9u
@user-yd8sr9ot9u 3 ай бұрын
맞아요 창업하고 본인의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코딩해야함ㅋㅋㅋ
@ssoonan213
@ssoonan213 3 ай бұрын
제가 말한 개발을 활용하는 방안이 사실 창업이죠. 그렇지만 창업 생각없이 일자리 구하려 코딩 배우는 분이 대부분이니까요
@user-qe8sw9xj7o
@user-qe8sw9xj7o 3 ай бұрын
@@ssoonan213 따흑...
@david-ji8tw
@david-ji8tw 3 ай бұрын
@@ssoonan213 ai 코드를 실무에서 사용가능하다? 프로토타입이나 가능하지 아니 프로토타입도 막상 chatgpt로 짜려고 하면 틀린 정보 많이 가져다줌. 그런데 프론트만 해도 추후 유지보수 위해 컴포넌트 분리나 state 최적화 같은게 ai 자동화가 된다?? 아직까지 ide에서 에러도 못잡아주고 디버깅도 프로그래머가 해주는 판에 개발자가 실제 비지니스 제품은 만져야함. 챗 gpt도 초등학교 6학년이 만든 앱도 돌아는 감. 근데 카카오톡 대용으로 그거를 못쓰는거지. 괜히 카톡이나 쿠팡에서 몇백명 개발자들을 뽑는 이유가 없는게 아님. 초등학교 6학년도 카톡 하고 똑같아 보이는 앱을 혼자서 만들순 있는데 100만명이 접속하는순간 인거지. 문제는
@kylecha7949
@kylecha7949 3 ай бұрын
30년전에 오토캐드 배우면 대형 건설사 취직은 골라서 갈 수 있다고 배우는 사람이 많았죠 강사도 많았고 실제로 일자리도 많고 급여도 괜찮았습니다 지금은 오토캐드에 도면보는 법 유튜브로 한달이면 배워서 직접 자기 건축에 활용할 수 있는 시대죠 최고가 될 수 있으면 뭐든 배워서 끝을 보면 되는데 애매하면 경쟁에서 작살이 납니다
@user-fy3pw9kp4t
@user-fy3pw9kp4t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 잘 들었습니다. 저도 같은 의견입니다. 현실적인 부분을 정확하게 짚으시면서도 시야를 좀 더 넓게 가질 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셨네요. 무작정 개발 하시는것 보다 나중에는 전문 분야 하나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개발하면서 쌓는 여러 기술들은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저는 웹 개발로 시작하였다가 지금은 cs개발 등 다양하게 하고 있는데 이전에는 단순한 서비스 페이지 개발을 했다면 지금은 주로 해양 및 지리 정보 그리고 위성자료 처리 분야 쪽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저 정체성 없이 웹 하나만 파시는것 보다는 전문으로 하는 분야에서 그걸 수행 하기 위한 수단으로 웹이든 cs개발이든 공부한다면 굉장히 메리트를 가진 개발자가 되실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mhmhmhmhmhmhmh1
@mhmhmhmhmhmhmh1 3 ай бұрын
앞으로 개발자를 할거면 1인 솔루션 업체가 되어야한다고 보면 됨. 그 솔루션업체의 직원은 인공지능이고 개발자는 모든 전산적인 문제에 대해 프로블럼 솔버가 되면 되는거임 근데 사실 개발이 세분화되기 이전인 2005년대 이전에는 원래 개발자라는 직종이 분야 상관없이 해주는 역할이긴 했음. 있던 일자리가 없어지는게 아니라 근본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될듯
@user-ry2yx8lr2f
@user-ry2yx8lr2f 3 ай бұрын
Coding 보조도구로 코플렛를 이용하는 1인입니다.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만큼 저의 업무영역도 무한확장 되고요. 단지 전문적인 하드웨어 연계와 레이턴시를 고려하는 아ㅏ주 전문적인 부문만 제외하고는 코드에 손댈게 없습니다. 세상이 바뀌고 있는 듯합니다.
@davidk3422
@davidk3422 3 ай бұрын
진짜 공급과잉, 넘치고 넘치는 공급은 이런 내용의 썰푸는 영상인 듯
@XRP3M
@XRP3M 3 ай бұрын
어떤 분야든 항상 베이스가 중요합니다. 기술사 준비중 베이스를 잘 쌓았다면 절반은 먹고갑니다. 개발자라도 베이스가 중요하죠. os, ca, nw, sw, db 이정도만 꾸준히 공부해도 진입장벽을 스스로 쌓을수 있습니다. 신입이든 찍어내기 교육생이든 누구도 못따라옵니다. 심지어 교수들도 세부전공 외에는 잘 모를 수 밖에 없어요. 관심있으면 좀 더 파겠지만. 개발자도 다른 직군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탑티어들은 잘먹고 잘삽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 개발자들 짤렸다고 다른데 못갈까요? 그들은 어차피 잘먹고 잘삽니다. 찍어내기 당한 사람들과 비교가 안되죠. 개발직군도 여기저기 경험해보다가 자신이 원하는 곳 하나 정해서 정착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보는 시야가 더 넓어져요. IT분야는 정말 넓고 깊습니다.
@donlee9777
@donlee9777 2 ай бұрын
공급 수요까지 안가도 ai가 개발자들 보다 성장속도보다 훨씬 빠른 상황 이미 빅테크는 상당히 많은 인원감축을 시행되었고 생산성 대폭 증가로인하여 1인 , 5인 이하 사업장 대거 증가 예정 주니어 채용 할 이유가 사라짐 현시점 수많은 분야 LAB에서 ai를 활용되여 신기술 발견 및 기존 기술 효율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흔하디 흔한 웹, 앱 개발자 자리가 남아 있을거라는건 행복회로 그 자체. 지금 노베이스로 공부 시작한다하면 공부만 하다 끝날 수 도 있는 상황이라 생각되어 이전부터 좋아했던게 아니라면 취미로만 즐기는걸 추천하고 싶어요
@user-yl8rg5rc6x
@user-yl8rg5rc6x 2 ай бұрын
형님이 유튜브 하시는 줄 몰랐습니다!! 이 형님 대단하신분입니다 군대에 있었을 때 많이 배웠었습니다. 꼭 잘되시길 바랍니다!
@ssoonan213
@ssoonan213 2 ай бұрын
누구냐 넌..
@couleur7433
@couleur7433 2 ай бұрын
영상볼 때 보통 소리만 듣는 경우가 있는데 목소리가 잘 안 들려 아쉽네요! 다음에는 마이크를 조금 더 가까이 두시고 영상 올려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i2ln6mf9d
@user-ii2ln6mf9d 3 ай бұрын
시너지.. 전문분야... 좋지... 그런데 개발자들의 코드가 전부라는 생각을 고치지 않는 한... 염불에 불과할 거다....
@Gunesh-fj1dg
@Gunesh-fj1dg 3 ай бұрын
중반까지만 봤는데 석박사들 빅데이터나 AI 알고리즘쪽이 더 중요해진거 같네요. 물론 이 쪽은 진짜 전공아니면 쉽게 못파고 어줍짢은 학원 6개월로는 어림도 없죠
@boda960
@boda960 3 ай бұрын
제발!!!!! 부캠같은거 시작하시는분들 "취업하려고 코딩 배워야지~" 혹은 "돈 더 벌 수 있다고? 코딩해야지~" 이렇게 시작하시면 취업 후 버티는건 둘째치고 애초에 취업도 힘듭니다.... 취미나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 시작한 사람들중, 코딩이 흥미롭다 or 재밌다 하는 사람들만 결국 살아남습니다... 부캠에서 비전공자 a to z로 알려준다 해서 그 짧은 6개월안에 절대 다 못이해합니다... 시간과 돈 낭비하다 결국 원망만 해요 진짜 후회합니다... 먼저 부캠 들어가기 전에 1달~2달정도 독학해보시고, 나름 이해도 빠르고 재미도 있다 하시는 분들만 시작하길 추천드립니다.
@user-mz5hx6zg7e
@user-mz5hx6zg7e 3 ай бұрын
말씀을 잘하세요😊
@SeoulVibe7
@SeoulVibe7 3 ай бұрын
이제 엔지니어만은 안된다는거죠 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모션그래픽디자이너6년차인데+쇼핑몰에+영상광고+파워블로그마케터까지 영역을 넓히고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왜냐면 AI가 왔기때문에 이제 엔터치면 3d영상나오고 엔터치면 개발이되잖아요 ㅋㅋㅋㅋㅋㅋㅋ 😅 제 짝궁도 그래픽디자이너인데 제가 현실적으로 말합니다 ㅋㅋㅋ 제네러레이터가 될거면 ㅋㅋAi 대비해서 더더더더더 배우던가 아님 ㅋㅋㅋ 30대 후반에 독립할준비하라고요 다아시지만 회사는 45세면 끝입니다.ㅠㅠ
@user-kg6uf3zx8r
@user-kg6uf3zx8r 2 ай бұрын
아무튼, 산업혁명 이후에 제일 큰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것 같네요. 어쩌면 산업혁명 보다 훨씬더 더 더 더 큰 혁명일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의사도 ai로 대체되는 시대가 곧 올것입니다. 디자인,영상, 크리에이터, 등등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가 올터인데 그 시기가 얼마나 빨리 올지 걱정이 됩니다.
@leeluudaa
@leeluudaa 3 ай бұрын
개발자로 7년차인데 공감합니다. 사실상 '개발'만으로는 언제까지 버틸수 있을지 모르겠어요ㅠㅠ
@nobyeze
@nobyeze 3 ай бұрын
돌아온 청년
@ssoonan213
@ssoonan213 3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
@user-tn7xq6oy6x
@user-tn7xq6oy6x 3 ай бұрын
제가 북미 살아본 봐로는 북미는 IT관력 직종이 대기업 아니면 필요가 없음 전 국민에 20% 정도?만 아마존, 온라인 쇼핑몰, 프로그램 등을 활용할 줄 알음... 직장인 대다수가 쓰는 엑셀도 못 쓰는 직원들이 대다수임
@KK-ub6ub
@KK-ub6ub 3 ай бұрын
부서좀 알려주실레요?
@dnjstjr1162
@dnjstjr1162 3 ай бұрын
그런가요? 저는 5년정도로 보네요. 지금도 ai 활용하는 개발자 많은데 나중에는 ai 활용해서 일하는 개발자 한두명뺴고 다 짤릴거 같아요. 지금이야 고용유연성이 낮아 한국에선 안짤리는 중. 밑에 댓글에 시니어는 무적이다라고 말하는데 대체할수있는 인원이 많은데 어떻게 무적일까요? 연봉 3400받고 시니어급에서 일하고 싶을까요?
@Woong654
@Woong654 2 ай бұрын
지금 ai는 개발자 대체 절대 못함. 기억력이라는게 거의 없고, ai 구동에 들어가는 리소스가 너무 많음. 사람 머리 수준의 ai? 구동하는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감. 이거 다 극복하고 Ai가 개발 인력 대체하는 수준까지 왔으면 그때는 개발자가 아니라 사람이 책상 앞에 앉아서 할 일이 없음 그냥. 아니 몸으로 하는 노동도 로봇 기술도 특이점 와서 로봇이 다 할꺼임.
@dnjstjr1162
@dnjstjr1162 2 ай бұрын
@@Woong654 ㅋㅋㅋ 여기 국비출신 개발자 있네?? 전문가들도 다 대체 가능성 가장 높다는데 일개 국비가 뭘안다고
@Woong654
@Woong654 2 ай бұрын
@@dnjstjr1162 어휴 말하는 수준봐라. 내가 언제 영원히 못한다했음? 현직에서 ai 써봤으면 이게 지금 개발자 대체 하려면 멀었다는거 알텐데. 니 개발자도 아니지? ㅋㅋ
@Woong654
@Woong654 2 ай бұрын
@@dnjstjr1162 입 여는 수준하고는 ㅋㅋ 지금 당장의 상황을 말한거다 한국어나 똑바로 배워라. 말하는거 보니까 현직 개발자도 아니지? Ai 좀 써봤으면 한계 뚜렷한거 알텐데.
@woong4619
@woong4619 2 ай бұрын
⁠@@dnjstjr1162 입 놀리는거 봐라 ㅋㅋ. 니 현업 아니지? 이런식으로 개발자 대체되니 안되니 설레발 오지게 치는 애들 중에 진짜 개발자 현직인 애 못 봤다. 현직에서 ai 제대로 써봤으면 한계 뚜렷한거 알텐데 ㅋㅋ. 그리고 지금 안된다고 한거지 앞으로도 계속 안될꺼라도 한적도 없는데 한국어나 똑바로 읽어라. 니보다 gpt 3.5가 똑똑하긴 할듯.
@user-rd3fg9je1i
@user-rd3fg9je1i 3 ай бұрын
리눅스나 구글 아마존 클라우드 네트워크쪽은 어떤가요?
@user-xm5vd5uw1e
@user-xm5vd5uw1e 2 ай бұрын
리눅스 기반 서버 C언어 개발자는 요즘 없긴해요 근데 제가 학부생3,4학년으로 돌아간다면 인프라 클라우드쪽 할거 같긴하네요
@user-vm8yn4hb4w
@user-vm8yn4hb4w 3 ай бұрын
얕게라도 해야합니다.. 안그러면 결과물을 예측할수가 없잖아요?
@user-mc8lm3cr9i
@user-mc8lm3cr9i 3 ай бұрын
코로나 때 개발자들 연봉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도 큽니다.. 금리가 높아진 상황에서 인건비가 감당이 안되는 문제가 있는거고 현 시점에서는 경력있는 소수만 남겨 적극적인 개발보다는 현상황을 유지정도만 하려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AI가 발전하는 만큼 IT시장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개발자의 수요는 늘 있을겁니다. 지금처럼 개발자 연봉이 낮아지는 조정기간을 거치고 금리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구직난은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user-fh2nx1op7n
@user-fh2nx1op7n 2 ай бұрын
AI 때문에 개발자 1명의 생산성이 과거보다 엄청나게 올라가고있죠.. 진짜 적은 인원으로도 과거보다 훨씬 높은 성과를 내고있으니.. 1명1명에 대한 급여는 올라가겠지만, 진입장벽은 계속 올라갈듯 싶네요.
@user-hm6mk3no5r
@user-hm6mk3no5r 7 күн бұрын
곧 그 개발자들도 ai에 먹힐듯요...
@user-mx4bl5pb6k
@user-mx4bl5pb6k Ай бұрын
비전 이라는건 현재를 평가 하는게 아니라 미래를 예측할수 있는 변수가 많은지가 중요한건데.. 현재?는 수요가 적겠지.. 게다가 AI가 그걸 가중 시키는 중이니까.. 다만 AI도 결국 인간이 정하는 범위내에서 일처리를 빨리하는것 뿐이라는거.. 코딩이 수요가 줄어든게 아니라 그만큼 고도화가 필요해진 산업이 되었단 거지.. 되도안한 스크립트로 코딩이 어쩌네 하는 수준들은 이제 먹고 살 길이 없어졌단 소리고
@Mans_make
@Mans_make 3 ай бұрын
코딩과 더불어 병원,은행,조선,자동차,반도체 등등 비즈니스 로직 관련 특화 된 무언가가 더 필요합니다.
@user-kk8ix1me6t
@user-kk8ix1me6t 3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로 임베디드 분야에서 10년정도 리눅스 포팅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일 해오다가, 최근에 중견기업 취업해서 소득이 대폭 감소함. 현재는 월급루팡으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개발자인데 신입 뽑으려고 하면 죄다 수요가 웹이나 서버에 수요가 많이 몰려 있는지, 이쪽 분야는 사람이 없어서 인력부족임. 그러다보니 인도, 중국, 일본 개발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많이 하고 있음. GPT 이슈일때 회사서 써봤는데 수준이 너무 낮음. 결국 개발에 쓸수가 없음. 유튜브에서는 뭐든 할 수 있는 것처럼 떠벌려 놨는데 아무튼 현재는 그럼. 미래에는 가능해질 것이라고 봄. 하지만 많은 기술적인 대외비 자료들을 가지고 참고하여 개발하는 일이 비일비재한데, 서버기반의 AI를 쓸일은 없다고 봄. 온디바이스 타입으로 로컬PC에서 쓸 수 있다면 가능은 하겠지만 수준이 얼마나 될런지? 코드 리뷰 문서 만들때는 편하긴 함. 결국 AI가 가져다 주는 미래는 개발자 밥벌이를 뺏기 보다는 생산성을 향상 시켜주는데 도움 될꺼라봄. 주변 지인들이나 친구들 보면 AI 뉴스에 반응 없음. 관심조차 없음. 각자도생하는 중임. 나만 관심 있어 하는 것 같음. 결론은 AI를 잘 활용하는 것으로 초보 개발자의 수준을 가속화 하고, 도움은 되겠으나 완전히 개발자를 대체할 순 없음. 코딩 말고도 해야할 일 넘침.
@notthings6443
@notthings6443 3 ай бұрын
100프로 공감.
@user-ol7ic8mh3d
@user-ol7ic8mh3d Ай бұрын
전 QA직종 입니다. 개발자는 마케팅이 동반되는 세대 입니다. 요런부분도 생각 해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user-kg1gg9rv1g
@user-kg1gg9rv1g Ай бұрын
잘생기시고 발음도 되게 좋으시다.. 너무 멋있어요 ㅠㅠ
@henneykim1106
@henneykim1106 7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당
@makerzoahaza
@makerzoahaza 2 ай бұрын
개발일 포기한지 좀 된 개발자 출신 비개발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조현병 같은 정신장애 같은거 있으면 개발은 무조건 하지 말라고 말리는 편입니다. 이 업계는 화려해 보이는 이면에... 말도안되는 초과근무가 많은 업계입니다. 개발일을 하면 필시 야근, 주말근무, 밤샘근무를 밥먹듯이 하는 상황이 올 텐데, 조현병 같은 정신장애 있는 사람은 이런 상황을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과로는 약을 꾸준히 먹는데도 조현병이 재발하는 유력한 원인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해서 조현병이 정말 재발한다면 회사에서 조현병이라는 사실을 알게되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어떤 취급을 받을지 예상할 수 없다는게... 이런 상황이라면 퇴사는 둘째치고 임금체불 퇴직금체불 안당하면 다행인 겁니다.
@nealmohan911
@nealmohan911 3 ай бұрын
근데 문제는 chat GPT나 co-pilot은 코드를 짜주긴 하지만 내가 개발하려는걸 제대로 이해를 하고 짜주지는 않죠. 기본적으로 개발 구조라던가 그런 부분들에서 일일히 다 이해를 하지도 못할뿐더러 어떤게 뭐와 연관되어 개발되야하는지 이해도 못하고 기억도 못하죠. 그러다보면 엉뚱한 코드가 나올수도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는 개발자로서 왜 이런 코드가 나왔고 인공지능이 주는 코드를 활용해서 자신만의 서비스를 만들려면 결국 개발자가 되어서 이에 왜 이렇게 나왔는지 이해를 하면서 코딩해야 합니다. 둘째로는 이런 AI는 코드를 짜줄지언정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즉, 개발자는 코딩만하는게 아니라 개발을 하다보면 만나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합니다. 개발자가 코딩만 하는사람이라는 의미로 말하셧다면 상당히 잘못된 답변이고 개발자는 코딩을 사용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설명하신다면 정답입니다. 즉, 개발자는 더 필요할 예정이구요. 아직 이런 생성형 AI들은 아쉬운 부분도 많고 퀄리티가 기대할만큼 그렇게 높은 상황이 아니라서 오히려 이런것들을 강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더 많은 개발자가 필요합니다. 세상에 아무리 개발자가 많아도 세계인구의 반도 안되는 인원 수 입니다. 그 정도 가지고 개발시장에서 어렵다... 말하기엔 아직 시기상조 아닐까? 싶네요.
@user-gj7cf5jj7j
@user-gj7cf5jj7j 6 сағат бұрын
정확히는 자기가 직접 시니어급이 되어야하는거죠 ai 가 코딩몽키 라고 간주하고
@greatpioneer
@greatpioneer 3 ай бұрын
필요한 서비스를 만들고 사람들이 써서 삶이 나아진다면 그것으로도 코딩을 배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요😂
@xaeha5926
@xaeha5926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user-qe8sw9xj7o
@user-qe8sw9xj7o 3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정도 수준이 되려면 .. 따흑... ㅠ 영상에서도 설치하는 앱이라고 해봐야... 카톡, 인스타 이런것들... ㅜ 가치가 중요하기도 하지만,... 결국 돈이 되어야한다는건데 정말 어렵네요.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3 ай бұрын
말이 너무 빠르네요. 빨리감기 했나요?
@helena2696
@helena2696 Ай бұрын
올해 컴공입학 어떤가요?
@ssonacy
@ssonacy 3 ай бұрын
깊은 공부가 뭐일까요???
@user-gu6bc8cf5z
@user-gu6bc8cf5z 3 ай бұрын
무슨 직업 마다 다 하지마래 ㅋㅋㅋ 그럼 뭐 하라는거야
@user-mp6gf9yo2g
@user-mp6gf9yo2g 3 ай бұрын
그냥 아무것도 하지말고 쉬랍니다. 괜히 경쟁자 만드는걸 원하지 않나보죠 ㅋㅋㅋ
@user-zi3qi5ww6p
@user-zi3qi5ww6p 3 ай бұрын
생산직 공장, 일용직 공사판 가라~ 젊은 사람 항상 인력부족하다~ ㅋㅋㅋㅋ
@user-gu6bc8cf5z
@user-gu6bc8cf5z 3 ай бұрын
@@user-zi3qi5ww6p 이미 개발자로 일하는중
@user-gu6bc8cf5z
@user-gu6bc8cf5z 3 ай бұрын
@@user-zi3qi5ww6p 이미 개발자인데요
@user-kg1gg9rv1g
@user-kg1gg9rv1g Ай бұрын
진짜 하지말래 ㅋㅋㅋ 웃기다 대한민국 참;;
@bugintheweb
@bugintheweb 3 ай бұрын
I didn't started this job just for moeny. how can I stop doing what I love. I think many people should have a sense of professional duties like 'make a better place' or 'create value that can make people happy ' before they start their career as a developer
@AtticElectronics
@AtticElectronics 2 ай бұрын
각종 개발자분들 오늘도 즐코딩하세요🎉🎉
@djha1257
@djha1257 3 ай бұрын
한줄요약 :이거저거 찍먹하지말고 좋아하는거 하나 골라서 깊이 파라. 그게 살아남는 길이다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3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이지만 이거저거 찍먹을 해봐야 이게 진짜 나한테 맞는 건지 알 수 있음. 그리고 그 과정은 절대 헛된 시간낭비가 아닙니다. 내가 좋아한다고 생각해서 해봤더니 생각보다 나랑 안 맞는 경우도 많고요. 일 자체가 아닌 그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 생기는 부수적인 것들이 오히려 일을 그만두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요. 예를 들어 내가 굉장히 내성적인 사람이지만 주변지리도 빠삭하게 알고 관심도 많아서 공인중개사 시험을 합격하고 부동산 중개일을 시작했는데 알고보니 대부분의 업무가 사람 상대하는 거고 그것에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에게는 안 맞는 일인 것이죠. 하나를 골라서 깊게 파는 것도 좋지만 저는 다양한 걸 경험해보고 그걸 잘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이 살아남는 시대가 아닌가 싶습니다.
@user-vv1yw5zp7r
@user-vv1yw5zp7r 3 ай бұрын
@@user-mo1gn2jx2y캬 좋은 통찰입니다
@flsclvls9800
@flsclvls9800 3 ай бұрын
@@user-mo1gn2jx2y 이거저거 찍먹하는게 딱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것임 솔직히 대학생때까지가 다양하게 찍먹하기 좋지 그이상은 좀,.,.
@youngsun_0904
@youngsun_0904 3 ай бұрын
@@flsclvls9800대학생은 여러 학문을 배우는 데 그치는데 실제 업무를 해보고 맞는지 판단하려면 당연히 대학 이후에 다양한 일을 해봐야 아는 거 아님? 수업만 듣고 어떻게 판단해요
@mfcmasterk
@mfcmasterk 3 ай бұрын
16년차 입니다. 요즘 신입 들어오는거 보면 공 급과잉 맞습니다. 상당히 고퀄의 주니어들이 예전보단 많다. 상위 코드는 잘 아나 기초와 기본환경을 모른다. 그 이유로 씨니어 직전 발전이 먐추더군요
@Woong654
@Woong654 3 ай бұрын
기본환경이 뭡니까?
@user-ny7dr8ns8p
@user-ny7dr8ns8p 3 ай бұрын
반가운 청년
@dan-lx3sy
@dan-lx3sy 3 ай бұрын
인정합니다
@52wa75
@52wa75 3 ай бұрын
좋아 하는거 하나 파서 깊게 공부하던지 아니면 좋아하는 것과 함께 융합하여 개발하던지네요
@skyoonlee
@skyoonlee 3 ай бұрын
이런 얘기는 옛날부터 어떤 직종에서나 있었음
@user-sl9pg4dc6f
@user-sl9pg4dc6f 3 ай бұрын
개발자든, 마케터이든, 디자이너든 1차원적인 능력보다 앞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를 '잘' 활용하는 질적으로 우수한 전문가의 미래는 밝을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
@ssoonan213
@ssoonan213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ㅎㅎ 시대가 어떠하든 도구를 잘 활용하는 사람에겐 열려있죠😊
@comarchi2000
@comarchi2000 2 ай бұрын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학문의 분야의 전공에 코딩관련 기술이 굉장히 많이 도움이 됩니다. 정말 전문가가 되려면.. 전문 개발 뿐만아니라.. 순수학문이나 기타영역에서도 어느 정도의 코딩 능력은 필수에요.
@belreach4909
@belreach4909 2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말이죠
@kimsw654
@kimsw654 2 ай бұрын
여기 함정이 있습니다. 앱개발 이라도 제대로 해보신 분 맞습니까 ? 아직 AI으로 제대로 된 서비스 개발 아직 한계 있습니다 결국 앱서비스 하나 만들어 보려면 인공지능이 모든 기능을 전부 만들어 주지 않아요 일부분은 도움을 받을 뿐 이지 웹개발자 입장에서 직접 인공지능으로 앱을 개발 해본 경험에 의하면 모든 기능은 사람이 생각 해야 하고 이게 효율적인지 아닌지 먼저 사람이 생각 하는일 이게 개발자 에요 그리고 인공지능에게 도움을 받아 코딩하고 뭔가 어려운 문제에 직면 했을때 조금 도움을 받아서 사용활 뿐 이지 모든 서비스의 기능을 인공지능이 다 만들어 주지는 않아요 아직 개발자 에게 기회는 많이 있습니다 .. 다만 개발자로 성장 하고 싶다면 뭔가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 보고 싶다 이걸 만들기 위해 어떤 기술 들이 필요한가 그런 기술들로 어디에 활용 하여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 볼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고 성장 하는게 개발자 인거 같습니다 인공지능은 개발자에게 조수 정도로 활용 가능하지 아직까지는 모든 서비스의 기능 을 전부 다 알아서 만들어 주지 않습니다 결국 사람이 생각하고 이를 어떻게 만들지 결정은 사람이 합니다 그러므로 개발자는 아직 필요하다
@user-hm6mk3no5r
@user-hm6mk3no5r 7 күн бұрын
아직 까지는 이죠... ai발전 속도가 장난아니라... 그게 무서운거죠.
@user-py4mj3lq9d
@user-py4mj3lq9d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내가 한 일주일전엔가 가장 미래를 내다본 것 같다는 영상이 있다고 어느 분 영상에 댓글을 달았는데 가장 말도안되는 뇌피셜 영상을 보고 가네요 ㅋㅋㅋㅋ
@unnamed000
@unnamed000 3 ай бұрын
요약하면 정확히는 무조껀 하세요 공급과잉?, 진입장벽이 낮아 졌다?, 인공지능의 발전? 오히려 더 배워야 합니다 다 할 줄 아는거 모르면 바보니까 자신의 전문적인 능력과 접목 해서 뭐든 잘하면 돈 잘 법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wk1iz6sv6x
@user-wk1iz6sv6x 3 ай бұрын
남들 다 할줄아는거 모르면 바보가아니라 남들 다할줄아는걸로 돈벌어먹을생각 하지말라는거지
@user-mk9km3gs7d
@user-mk9km3gs7d 3 ай бұрын
결국 끝가지 가면 it 말고 직군 남아 있을 게 없음 당장 돈 많이 번다는 3d 업종 대기업 생산직 이런것들도 이미 다 대체가 되어가지만 아무도 대기업 생산직 3d 전문직 하지말란 사람 없음 그런 전제로 세상이 바뀌면 서비스 직 부터 시작해서 결국 사람이 할 일은 없게 될 거고 지금 처럼 코딩으로 유입 되면서 이제 코딩이 기본 소양이 되면 마지막은 아이디어 창의력에서 갈리게 될 거 같음 주인장이 말한 거 처럼 활용을 잘 하는 사람이 살아남게 되겠지 근데 채널장이 이런 동영상을 올리면서 노출을 꾀하고 책 팔이로 나와있는 이상 이직군은 찍먹 겉할기 식 급급하게 배워서 취업하는 등은 설거지 급으로 이미 끝나긴 했음
@user-rf6mp3xm9o
@user-rf6mp3xm9o Ай бұрын
화공 생공 쪽은 어떤가요?
@user-mk9km3gs7d
@user-mk9km3gs7d Ай бұрын
@@user-rf6mp3xm9o 애초에 전 화 기 는 걱정 할 필요가 없죠
@raccoonious4038
@raccoonious4038 3 ай бұрын
수학 경시대회 순위권은 제외. 헤지펀드나 HFT에서 모셔가지요...
코딩 강사의 소신 발언
20:40
코딩알려주는누나
Рет қаралды 60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84 М.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개발 유튜버들이 강의를 팔 수 밖에 없는 이유
8:14
비개발 쑤난
Рет қаралды 54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