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어떤 책들을 가장 감명깊고 재밌게 봤고 어떤 책들을 평소에 읽으시는지 너무너무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저희에게 추천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본인이 읽을 책들을 선정하시는지도 궁금해요! (ex 지인의 추천, 베스트셀러 etc)
@ohappyday709 ай бұрын
블레이드 러너!!!교수님과 인생영화가 같아서 너무 기뻤습니다. 사운드 오브 뮤직까지 와우 기쁘고 영광이네요 이렇게 좋아하는 인생영화가 같은분 처음이라서 너무 감동이여요 맨프럼 어스는 교수님 추천으로 바로 다운받아 시청! 역시 너무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화 좋은책 많은 추전 부탁드려요~ 공감대가 형성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이렇게 행복한거였네요~ 블레이드 러너 옛날영화라서 많이들 모르셔서 안타까웠어요 지금도 블레이드러너 생각하면 맘이 아파요 너무 슬프고 스티븐 스필버그의 AI도 많이 울었어요~
@유니소-q5z Жыл бұрын
오늘 존엄과 존재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인것 같네요. 뭔가 맘이 막막 곰곰히 생각해 볼 수 있어 뜻 깊네요.
@유니소-q5z Жыл бұрын
세월이 녹아드네요. 행복한 새해 보내세용.
@josephpark5159 Жыл бұрын
제안 - 유명한 영화 하나를 골라서 영화에 나온 장면이 어떤 물리학 이론에 기반한 건지, 기술이 발달하면 가능한지, 어떤 한계가 있는지, 어떤 부분이 아이디어가 기발했고, 아니면 실망스러웠는지 등등 영화에 나온 과학기술이나 물리학 이론에 대해 자세히 얘기해 주시면 좋겠네요.
@루루지-j6x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에서 에에올이라니 정말 반가워요🥹🥹 나머지 추천해주신 영화들도 대부분 공감가네요 다음에도 이런 책이나 영화추천컨텐츠 더 올려주세요~
@뚜껑빌런노상욱 Жыл бұрын
에에올 극장에서 보면서 영화중반부 부터 끝날때까지 하염없이 울었습니다 ㅠㅠㅠㅠㅠ 진짜 띵작이에요! 역시 큐티범준 교수님 ㅠㅠㅠ
@jhcduck01 Жыл бұрын
4:18 지하철에선 괜찮은데, 버스에서는 책은 고사하고 SNS로 글 같은 것만 읽어도 멀미가...;;; 저처럼 버스에서 글자 읽다가 멀미가 쉽게 나는 사람을 위한 해결책 혹시 있을까요 ㅠㅠ
오늘 강의는 너무 재미있고, 익숙하기도 하여서 두번을 연속으로 들었습니다. 저도 다소 다운되거나 힘들어지면, 제 기억에 가장 처음 보았던 영화인 을 본답니다. 너무 많이 봐서 노래를 거의 다 외울 정도입니다..^^ , , , 그리고, 늦은 나이의 육아중, 겨우 겨우 시간을 빼서 마주했던 160분의 러닝타임이 그저 찰나 같기만 하여, 재미와 몰입이 시간을 얼마나 고밀도로 압축시키는지, 몸소 시간의 상대성을 체험했던 , 그 속에서 서로 다른 차원, 블랙홀, 웜홀 등을 눈으로 보았었습니다..^^ 소개해주신 영화 한 편씩 모두 다 보아야겠습니다. 다음에는 한편 한편씩 물리학자의 눈으로 세세하게 설명해 주셔도 넘 재미있을 듯 합니다. 그럴 날도 기대하겠습니다. 참! 저도 활자 중독입니다..^^ From 탐화림 팬
@parkigsky Жыл бұрын
전 개인적으로 SF영화 중에 인생 영화는 바이센테니얼맨이랑 백투더퓨쳐 시리즈, 콘택트, 스타쉽 트루퍼스, 로스트 인 스페이스입니다. 특히 바이센테니얼맨에서 안드로이드가 스스로 공부해서 인공장기, 피부 등을 만들어내고 인간화 되어 가는 과정이 신박해서 제일 좋아합니다 ㅎㅎ
@wishyouwerehere-p2v11 ай бұрын
컨택트 훌륭하죠...
@Kim-dk7kv Жыл бұрын
오옷 취저라 깜작 놀랐습니다. 마음 깊이에 담아 놓았던 영화 하나 하나가 선생님을 통해 꺼내지네요. 저절로 구독 좋아요.^^ 조심스럽게 왓챠에서 볼 수 있어서 불편하실 것 같지만, '데브스' 추천드려 봅니다 좋아하실 것 같다는 생각이 밀려 옵니다.
@top10statuesthatcriedblood Жыл бұрын
컨텐츠 추천) 영화 속 물리학 파헤치기 예를 들면 인터스텔라나 그래비티 등등 교수님이 영화 좋아하신다니까 영화 장면들의 물리학 이야기를 해주시면 진짜 재밌을 거 같아요!!
@쌀아저씨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하신 영화들 중 로맨스들 빼곤 다 봤네요;;;ㅋㅋㅋㅋㅋㅋ 그 중 블레이드러너의 경각심을 주는 암울한 미래와 에에올의 가족 간의 사랑이 참 좋았던 영화로 생각됩니다. 특히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를 과거 교양시간에 읽게 된 경험이 있어서 인지 블레이드러너가 저의 최고 sf영화라고 생각이 듭니다.
@JY-lr8sr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크리스마스 가족영화 좋아하시면 패밀리맨 추천요!
@야아아아-f9e Жыл бұрын
참 신기하네요 이과적 머리가 뛰어나신분이 추천영화나 설명하시는거보면 문학적인 감상 또한 뛰어나시네요-_-;;
@justinl48706 ай бұрын
헉, 블레이드 런너 너무 좋아합니다. 그리고 콘셉트는 소설(소설제목은 '당신 인생의 이야기'였죠?)만 봤는데 그런 측면은 전혀 몰랐네요 ㅎ 물리학을 쫌 공부하고 다시 봐야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로봇'도 넘 좋던데 이 영화 어떠셨나요?
@오우예-s6h Жыл бұрын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에요 Жыл бұрын
오오오 좋아요 ❤
@ghb7089 Жыл бұрын
전 스타트렉 피카드 보고있습니다. 특히 역사가 길게 이어지는 sf 드라마들은 같은 설정이라도 분장이나 특수효과의 변화를 보는것이 굉장히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듄 최신판은 저도 복식이나 배경묘사가 정말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옛날 3부작도 그렇게 나쁘진 않았는데 추억보정인가.. 테드 창 단편소설 대학 강의시간에 상태함수 배우면서 추천받아서 정말 재미있게 읽었네요
@유니소-q5z Жыл бұрын
시무륵하니 더욱 귀여워요. 누구나 사람은 무기력한건 똑같네요. 후회는 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살아용. 저도 내일 가능하면 어제 못한거 오늘하고 내일해요.
@cielogrey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하신 영화들 다 저도 재미있게 본 것 들이라서 더 반갑네요😊 올 한 해 범물리에서 보다에서 또 책으로 만나뵐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 챙기셔요❤
@흑상아리 Жыл бұрын
테드창님이. 원래는 영화배우가아니였네요
@Zeddy27182 Жыл бұрын
감독 드니 빌뇌브 : 블레이드 러너 2049, 듄, 컨택트 저랑 영화 취향이 같네요!😁 드니 빌뇌브 굉장히 뛰어난 감독이죠~ 듄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SamuelSmith1221 Жыл бұрын
듄2 너무 기대중..
@minkim6879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항상 건강하세요 우리 백만 구독자와 함께 오래오래 봐욥 : )
@피렌체-k9b Жыл бұрын
대학교수 채널 구독 한거 첨이네요
@bhahn2993 Жыл бұрын
올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권준형-h9l Жыл бұрын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코멘터리에서 배우가 밝힌 바에 따르면, 조깅장면을 찍는 동안 원통이 쳇바퀴처럼 돌아갔는데 같이 출연하는 다른 배우는 돌아가는 세트에 묶여서 같이 돌아갔다고 하죠 ㅋㅋㅋ 이 외에고 에어록에 강제로 진입할때 주인공이 무중력 상태에서 날아가면서 에어록에 이리저리 부딫히는 장면이 있는데, 그건 배우를 줄에 매달고 수직으로 설치된 에어락 세트에서 떨어뜨렸다고 하더라고요 ㅋㅋ 정말 우주의 과학적 구현을 위해 별의별 촬영 트릭을 적용한 명작 같습니다.
@birdsky289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존경합니다~~~❤
@8tonbike Жыл бұрын
실버버튼 가잣 ㅎㅎㅎㅎ11❤
@bonlee9143 Жыл бұрын
못참겠다 바로 봐야지
@yunteii4 ай бұрын
테드창 소설도 언젠가 다뤄주세요~~
@캘리포니아-v1r Жыл бұрын
범준님 완전 호감입니다.
@yjkim1243 Жыл бұрын
이동진 채널 많이 보지만 항상 공감 못하다가, 이 채널 보고 완전 공감하고 갑니다. 저랑 영화 취향이 너무 똑같으십니다. ㅎㅎ
@bodyno1833 Жыл бұрын
건물편에서 물탱크와 50톤 철판의 얘기를 하셨는데 건물이 흔들리면 그 반대방향으로 물과 판이 이동한다는게 이해가 안돼요 ㅠㅠ 기울어지니깐 같은방향으로 가지 않는건가요??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팬이에요ㅎㅎ 질문있습니다 1차원 2차원 3차원 4차원 5차원 등등 지금 우리가 칭하는 차원들의 정의 및 이해와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우주먼지님 한테 질문해야하나 싶은데 교수님한테 먼저 여쭙고 싶어서요!
@wamma1961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예전에 과학을 보다에서 얘기하신 것 같은데, 빛의 속도에 가깝게 여행을 하게 되면 거리가 실제로 단축되어서 1억 광년의 거리라고 할 지라도 실제로는 1억년보다 훨씬 짧은 시간으로 여행할 수 있다, 이런 정도로 말씀하신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빛의 시간으로 1억년이 걸리니까 1억 광년으로 정의한 것일텐데 어떻게 빛은 훨씬 더 짧은 시간으로 그 거리를 갈 수 있다는 것인지, 그리고 그렇다면 1억 광년의 거리에 있는 물체는 1억년 전의 모습을 우리가 보고 있는 게 아닌 것인지, 좀 많이 헷갈립니다. 인터넷에서 특수상대성이론, length contraction 이런 말들이 많이 나오긴 하는데 해소가 잘 안 됩니다.
@ohwooflyt Жыл бұрын
특수상대성이론에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는 것 같은데, 절대 전제인 광속불변의 법칙을 이해 후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지연과 길이수축을 생각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genius_ten7777 Жыл бұрын
저도 영화보기 좋아합니다 sf 블래이드 러너도 감상해봐야겠군요 고풍적인? 쇼파와 주변 인테리어가 편안하고 따뜻하며 포근한 느낌이 듭니다 흰색 우주선과 우주복 규칙의 패턴도 마치 ㅇ □ [ ] | _|. 인물화a풍경화a엄마와 아기a독서하는 소년(다중우주론×안드로이드+칼세이건의 일대기?)이군요. Science and Life Like Movies😊 🍩🥧🍰
@e-2694 Жыл бұрын
이분 몇 번 유투브로 봤는데 영화 성향이나 활자 중독은 나와 비슷 하다 못해 똑 같네 ㅎㅎ
@jdy3724 Жыл бұрын
자동차 휠이 클수록 왜 연비가 안좋아지나요? 바퀴의 전체 크기는 똑같아 보이는데
@serenitymoon0 Жыл бұрын
듄 아직 1권 읽고있는데 교수님 대단하세요~~
@이기쁨-m9q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물리와 관련되서 하나 궁금한게 생겼어용 전투기에서 미사일을 발사 할 때, 수평으로 날던 전투기가 빠르게 날면서 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미사일이 더빠르게 날아간다던데... 이건 왜 그런건걸까요? 미사일은 던지는게 아니라 자체 추진으로 날아가서 속도가 일정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가나다라-y7z Жыл бұрын
동체와 붙어있어 관성의 힘이 작용했기때문이죠. 달리는 버스안에서 공을 제자리에 떨어뜨린다하여도 밖에 있는 사람이 보았을땐 버스속도만큼 앞으로 이동한것과 같습니다
세상만사 마음먹기 달렀지요...이 세상(우주) 거대한 거울이라 중생이 믿는대로 그대로 비춰주는것뿐이라고 붓다께서 이천오백년전에 설하셨지요...
@SamuelSmith1221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과 실제 세상이 아무런 차이가 없다면.. 구별에 의미가 있을까?!
@조우영-u4t Жыл бұрын
스페이스 오딧세이 2탄을 만들길 원하지 않았던 큐브릭은 애써 만든 세트 다 부셔버렸죠. 진짜 잘 만든 세트, 기구였는데 말이죠. 그리고 당시 미국정부, NASA는 달 착륙 장면이 필요했고 큐브릭 감독에게 제작을 제안했습니다. 큐브릭은 현실감을 위해 현장(달)에 가서 찍겠다고 해서 달에 가서 찍지 않으면 안 찍는다고 해서 나사가 아폴로 11호를 띄운 건 유명한 얘기죠 😅
@SH-wi4ys Жыл бұрын
에에올 인생 영화…ㅠㅠㅠㅠ
@룸루룸 Жыл бұрын
둘리 얼음별대탐험 리뷰 설명해주시면 정말 대박일듯합니다ㅎ
@룸루룸 Жыл бұрын
제발 둘리 한번만해주세요 ㅎㅎ
@leesunwu5025 Жыл бұрын
숨겨진 명작 13층과 eXistenZ도 재미있습니다^^ 인셉션과 테넷도 명작이죠.
@jeehyeon Жыл бұрын
듄이..제가 알기론 1권만 영화화 하는 걸꺼에요. 1권 내용을 두 파트로 나눈것으로 알아요
김범준교수님 보다의 사회자 질문중에 빨대는 구멍이 몇개인가? 빨대는 구멍이 한개입니다. 그 한개의 구멍에 구멍의 입구가 2개인것이구요. 지웅배님의 도넛 에서 교수님은 도넛의 몸통을 빨대의 원형화 로 이해하신것같구요. 지웅배님은 도넛의 구멍을 말한거구요.. 하나더 지웅배님이 빨대를 쪼개면 이라고하셨는데 빨대제작을 아주짧게 한개만제작했다고 가정해보세요. 확실한예로 맨홀뚜껑에 물구멍이 5개인데 앞뒤를 따져서 10개의 구멍이라고 하진않습니다. 지웅배님은 도넛의 구멍을 본거구요. 구멍은 위상수학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납작한 찰흙을 손가락으로 한번 관통시키면 1개의 구멍이 만들어집니다. 한번관통에 2개의 구멍이 만들어지진 않습니다. 볼트는 구멍이없고 너트랑 와셔는 구멍이 한개입니다. 두께가 매우두껍고 길이가 매우짧은 1개의 빨대가 되는것이지요. 빨대를 매우앏게 조른다고 생각하지마시고 매우짧은 1개의 빨대를 제작했다고 가정해보시면... 원형 노랑고무줄과 빨대와 손잡이가있는 컵은 위상수학적으로 같다는걸 잠시 까먹으신듯요. 교수님 이론이라면 3차원을 사는 이세상에서 1개(홀수)의 구멍이라는건 존재할수 없는게됩니다. 구멍의 입구가 2개입니다.
@김창경-r7u Жыл бұрын
❤❤❤😂😂😂
@goldenbuglab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이름 HAL은 '헐'로 읽어야 하는 것 아닐까요?
@조우영-u4t Жыл бұрын
원작 영화에서도 할 로 발음했던 걸로 기억해요.
@goldenbuglab Жыл бұрын
@@조우영-u4t 저도 알아요. ㅋㅋㅋ
@abababaTV Жыл бұрын
통속의 뇌 맞습니다.... 머리 통속의 뇌 ㅎㄷㄷㄷㄷㄷㄷ
@425사이로 Жыл бұрын
넷플 ppl 인가여?
@Mexicano-DelioRodriguez6 ай бұрын
그럴리가요
@유니소-q5z Жыл бұрын
저는 생각할수있는 영화 많이봐요.
@싸브래 Жыл бұрын
안주 안먹고 술만 먹으면 살이 찌는지 안찌는지 물리 적으로 설명해주세요
@Ragearima Жыл бұрын
12월 초 : 러브액추얼리 12월 말 : 쇼생크탈출
@cucme14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아니 제작진분들 왜 사진관에서 촬영 하셨어요? 으흠 딱딱한 분위기 타파인가요? 뭔가 이상해요 구닥다리 묵은내 폴폴 거기다 광각으로 찍어서 화자에 집중도 어렵고 아마추어가 기획했나 왜 이래요? 대딩 졸업작품도 이것보단 낫겠어요 인물 부각 없음 배경이 산만 및 구닥다리 냄새 폴폴
@user-zd2no6vd3w Жыл бұрын
ET, 백투더퓨처...
@RabbitFootFoot Жыл бұрын
책을 너무 봐서 걱정이라니... 뭐 이런...
@FictionorGame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몇일 전에 생방송 ‘시간’ 강의 못 들어서 죄송합니다. ㅠㅠ 그 전까지 못자고 정신없이 있다가, 잠들어 버렸습니다. 다시 한번, ‘시간’에 대한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저도 ‘이론 물리학자’가 되고 싶은데, 혹시 한국을 우선 들어가야 할까요? 저는 트윗 Fiction or Theory?에 활동하는 ‘강 희원’ 입니다. 올 한해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FictionorGame Жыл бұрын
물리학 - 9:10 ‘비선형 동역학’ - 비선형 동역학은 선형, aX + B 형태보다 더 복잡한 방정식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ko.m.wikipedia.org/wiki/%EB%B9%84%EC%84%A0%ED%98%95_%EB%8F%99%EC%97%AD%ED%95%99 - 위키피디아 설명: 날씨나 뉴런과 같은 비선형 시스템은 종종 혼란스럽고 예측할 수 없거나 반 직관적 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동작은 무작위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어떠한 규칙에 의해 일어난다 보고 그 규칙을 연구하는학문이다. C = aX + B; C = n!(np*np*etc.)+np; n! = 2 or 2^n; (np*np*etc.) = X; np = B = +3; Then, C = aX + B; C = n!(np*np*etc.)+np; C^2 = (ax+B) + n!(X) + np(3); 흠, 일단 비선형 동역학은, 날씨같은, 유체 역학적인 ‘소용돌이(vortex)’ 또는 카오스 이론, 등; 2차원의 ’선‘의 계산을, a, X, B라는 세가지로 나눈 거 같은데, 일단, 유체 역학이랑 연관.
@FictionorGame Жыл бұрын
최근 제가 하기 시작한, 궁극의 철학적인 질문들을, 영화를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 중 실현 가능한 가능성이 있는 ‘미래’의 인류의 모습이 무엇인지, 한번 찾아보고 싶습니다! 16:25 ‘라그랑주 역학’ - 수학자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기존의 고전역학을 새롭게 수학적 형식화하여 그의 논문 을 통해 1788에 발표한 이론이다. ko.m.wikipedia.org/wiki/%EB%9D%BC%EA%B7%B8%EB%9E%91%EC%A3%BC_%EC%97%AD%ED%95%99 - 위키피디아 뉴턴 역학에서는 외부에서 물체에 미치는 힘에 중점을 두고 벡터량들을 주로 다루지만, 라그랑주 역학은 물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같은 스칼라량에 중점을 두고 운동을 기술하고 있다. 오 이런게 있었구나… 그러면, 이거는 운동의 내부계의 ‘운동’과 ‘위치’를 계산하는 ‘수학’ 공식인건가요? 뉴턴의 법칙은, 하나의 시스템 속의 두개의 물체가 ‘작용’ ‘반작용’, 즉,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2차원의 선의 개념인 것인가? 맞는거 같은데… 대학교가서 물어보면서 공부하고 싶네 ㅠㅠ
@FictionorGam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라그랑주 방정식을 조금 더 깊이 공부 하여야 될 것 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교수님!
@WhoareweWedontknow Жыл бұрын
우리 이제 재미있는 게임 시작합시다. 교수님 그리고 한국 기득권들.
@cau95an Жыл бұрын
누가 본인 얘길 듣고싶어하나요? 지인들빼고 서론이 깁니다
@DALZZI_ Жыл бұрын
테드 창... 창식이..? 피자집 하는 창식이...
@비련초야하상목화-j6q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서재에들어가서 문잠그고 보시는거... 좋아하는 배우 누구인가요
@Uber00091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교수님도 클레멘타인은 싫어 하시지 않을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
@jinin1887 Жыл бұрын
테드창 하시니 오정세 생각나네요 ㅋㅋㅋ
@JohnNa-q9y8 ай бұрын
아니, 창식이가 아닌데 왜 테드창인거야?
@이장아들-j7m Жыл бұрын
3차원만 인식하는 인간들이 시물레이션을 논하는게 맞나
@brynarieddie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도 인식할 수 없고 쿼크도 전자도 인식할 수 없는데 과학을 논할 수 없나요? ㅋㅋㅋ 이건 무슨 서리지
@Darkz5w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뜻도 모르는넘들이 ㅋㅋㅋㅋㅋ
@슈퍼다람쥐-i3o Жыл бұрын
테드 창 = 창식이? 약팔던 창식이가 테드 창인데요 ㅋㅋ
@PonyboyKim Жыл бұрын
안 본 사람 없는 다 유명한 영화만 숨은 명작 소개인 줄 ㅜㅠ
@희희-v1t Жыл бұрын
저는 아예 처음들어보는것도 많았어요 일반화 하지 마셔요 ㅠ
@brc1794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일본 애니메이션에 거부감이 없으시다면 공각기동대(1995년), 슈타인즈 게이트 보시고 감상 들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재밌게 본 SF애니메이션인데 물리학자분이 보시고 감상 말해주시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근데 아직 그런 영상이 한국인 영상엔 없더라고요.
@alexna2235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도 돈벌려 이따구 광고를 찍는거 좋게 안보인다....무슨 넷플릭스를 본다고 참나.....
@명종이-d1v Жыл бұрын
ㅡ실제하느님 ㅡ환인 ㅡ 이채널은 방문하지 말도록하라! ㅡ실제하느님 ㅡ환인 ㅡ ㅡ우주창시자ㅡ 서명 이 명종 하느님
@jijhiit Жыл бұрын
아래쪽에 매장 쇼핑 뭔가요? 광고 보기 싫어서 구독 취소하고 싫어요 갑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