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더맨이 치명적인 과학 오류인 이유 (1탄 / 겨울왕국, 인터스텔라, 타이타닉 등)

  Рет қаралды 303,048

범준에 물리다

범준에 물리다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범준에물리다
@범준에물리다 4 ай бұрын
📌영화 속 과학 오류 "2탄" 보러가기 kzbin.info/www/bejne/iIDWhYOPmNyWjKs 📌영화 속 과학 오류 "3탄" 보러가기 kzbin.info/www/bejne/babXZYFtqriXa5o
@돌맹이-l5b
@돌맹이-l5b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교수님이 수업 중간에 해주는 꿀잼 이야기 같아서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ㅋㅋㅋ
@두두등장-y4g
@두두등장-y4g Жыл бұрын
인정
@Peter-zq8pw
@Peter-zq8pw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가끔 나오는 그 꿀잼 이야기들을 몰아서 볼수 있는 ㅋㅋㅋㅋ
@철강팬티-x8x
@철강팬티-x8x Жыл бұрын
수업시간에 재밌는 부분만 모았다😂
@복주머니-s7n
@복주머니-s7n Жыл бұрын
팬입니다헌데청바지남방공부잘하시는분들은모르는옷청바지구독자5만남방구독자5만오르시길기원합니다영상잘보고갑니다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11:34 교수님, 스타워즈의 광선검(정식 명칭은 라이트세이버 입니다.)은 빛으로 만들어진 칼날처럼 보이지만, 세계관 설정상 그건 빛이 아니라 고온고압의 플라즈마를 전기장으로 가두어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플라즈마 절단기(Plasma cutter)를 한손 사이즈로 만든 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서로 칼날을 맞대었을때 밀어내는 것도 자기장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라는 설정입니다.) 물론 플라즈마로 만들었다고 해도 현실에서 영화에서 나오는 장면들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건 마찬가지일 겁니다만, "빛인데 어째서 중간에 멈출 수 있나" 라는 것은 영화 설정을 모르는 분들이 흔히 하시는 오해중 하나입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신다면 '광선검(라이트세이버)'의 연출이 왜 과학적으로 불가능한지에 대해서 '빛의성질'이 아니라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성질'에 기반해서 설명을 해 주시기를 기대하겠습니다. 그쪽으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은 없었기 때문에 정말로 그 방향에서의 전문적인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대머리-c8o 저도 엔간하면 어디가서 오해하면 오해한대로 냅두는 편입니다만, 김범준 교수님이 '광선검은 플라즈마와 자기장이다' 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에 어떤 지식을 알려주실지 궁금해서 첨언했습니다.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성질을 잘 아시는 분께서 광선검의 설정을 알고 나면 어떻게 평가하실지 정말 듣고싶습니다.
@Roo-vy2cI
@Roo-vy2cI Жыл бұрын
이야... 그 뜨거운 플라즈마를 흔들어 대는 와중에 자기장을 걸어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니ㅋㅋㅋㅋㅋㅋㅋㅋ 제다이들은 페이스메이커를 이식한 사람들 한정으론 사신이나 다름없겠네요.
@carlyounsh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Roo-vy2cI 그보다 사실 이런땐 이렇게 해석하는게 편하죠 '저쪽 우주 물리법칙에선 저런가보다 ㅋ' 라고
@류이스
@류이스 Жыл бұрын
@@carlyounsh 그쵸 애초에 포스가 존재하는 세계관이니까요
@김에스더-x4v
@김에스더-x4v Жыл бұрын
우리 인간 기준으로 생각하면 안되죠 과학기술력이 몇만년은 앞서질을텐데요
@überdieBrücke
@überdieBrücke Жыл бұрын
저희 애가 물리학이 뭔지도 잘 모르던 유치원 다닐때부터 물리학자 되겠다더니 지금은 교수님께 전공 수업 듣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전공으로 좋아하는 선생님께 배우는 학생들이 많아요. 멀고 어렵게 느끼던 물리학을 대중에게 나누어 친숙하게 풀어 주시는 것 참 좋습니다.
@hee-jeankim3582
@hee-jeankim358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엘사의 얼음건축비 계산 ㅋㅋ 😂 정말 재미있었어요 역시 교수님의 유투브를 오래 기다린 일인으로서 진짜 좋습니다 ❤
@하늘찍찍이
@하늘찍찍이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는 인천의 '탐화림' 전시회에서 만났던 팬입니다. 세상을 이렇게 명확하고 재미있게 해석하는 거 너무 신선합니다. 진리가 가볍게 다가오는 느낌입니다. 교수님 책을 2권을 샀는데, 정말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잘 듣겠습니다.
@멀티버스-v1l
@멀티버스-v1l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에 과학에 흥미가 점점 높아지네요 너무 재미있어요
@신주현-m2q
@신주현-m2q Жыл бұрын
쁘띠범준 교수님, 교수님 덕에 물리가 더 좋아집니다 감사드려요❤
@dorian0623
@dorian0623 Жыл бұрын
쁘띠교수님 채널은 소재 선정이 너무 훌륭해요... 양자역학 이야길 첫 영상으로 하셨을 때도 그랬지만 모두들 가장 흥미진진해할 소재를 어찌 그리 콕콕 잘 찾으시는지..
@time-ys4ut
@time-ys4ut Жыл бұрын
10여분간 가만히 앉아서 말씀해주시는 컨텐츠임에도 집중하게 되는 것이 교수님의 매력이자 힘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등학교때 물리를 참 못하고 수학만 좋아해서 수학과로 진학했었는데 요즘 물리에 점점 관심이 생기더군요 오래오래 방송해주세요~
@꿍까-q5l
@꿍까-q5l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설명해주시는 영화 속 물리 너무 기다렸어요!!!!!! 금요일 퇴근하고 교수님 영상보며 꿀휴식합니다 ❤
@myungpark652
@myungpark652 Жыл бұрын
저는 미국 뉴저지에서 nail shop을 25년 동안 운영하다가 은퇴한 69살 여성입니다. 구독자의 다양한 직업 연령증에 하나 덪붙이려 써봤습니다. ㅎ 빅뱅후에 양성자 한개와 전자 하나로 이루어진 수소가 결합후 헬륨이 되고 그 후에 양성자 전자의 결합으로 다양한 원자들의 물질이 생겼다는 사실에 큰 지식의 충격을 받고 물리에 관심을 갖다가 어찌어찌 교수님의 팬이 되었습니다. 항상 너무나 감사하게 잘 보겠습니다. 너무 멋지셔요. 영화도 그렇지만 저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을 너무나 재미있게 읽은적이 있습니다. 지구 멸망을 피해 거대한 우주선 파피용을 타고 사람들이 세대를 거듭나면서 그 속에서 인공태양으로 농사도 짓고 에너지도 이용하며 우주를 항해하며 지구와 비슷한 곳을 찾아가는 황당하지만 과학적 상상력이 흥미진진한 내용이에요.
@islep2988
@islep2988 Жыл бұрын
이번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과학자는 딴세상 사람인줄 알았는데 동네 마트 사장님처럼 친근할수도 있는거였네요ㅎ 교수님 너무 좋아요~❤
@킹냥이-r2h
@킹냥이-r2h Жыл бұрын
최근 노벨물리학상 수상내역을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당연히 하나도 내용을 모르겠어요 ..! 혹시 이런 노벨상들에 대해 쉽게 소개해주시는 컨텐츠를 한번 해주시면 어떨까요..?!
@호옹이-e8h
@호옹이-e8h Жыл бұрын
과학이라는것을 정말 사람들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풀어주신 몇몇 분들중에 한분이 우리 쁘띠범준교수님이시죠. 과학이랑은 전혀 친분이 없는 굉장히 어색한 사이였는데 교수님덕분에 조금은 친해진것같습니다ㅎ 앞우로도 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부탁드리겠습니다
@SeokGatto
@SeokGatto Жыл бұрын
교수님..물리학자는 절대 평범하지 않아요...ㅋㅋㅋㅋㅋㅋㅋㅋ
@줜아
@줜아 Жыл бұрын
ㅋㅋ ㅇㅈ
@현-c9g4f
@현-c9g4f Жыл бұрын
물리 하시는 분들 보면 MBTI의 T쪽 능력치 max 찍으신 분들인거같음 ㅋㅋ 수학, 공학, 다른 과학 분야쪽 보다도 더 논리 전개 과정이 지독해서 재밌음 왠지 학교 다닐때도 수학 과학문제 푸는 맛에 다녔을거같은 사람들...
@twou4851
@twou4851 Жыл бұрын
​@@현-c9g4f니까짓게 mbti 같은 유사과학으로 판단을 하는게 레전드다 ㅋㅋ
@현-c9g4f
@현-c9g4f Жыл бұрын
@@twou4851 웃자고 하는 말이죠.. 영상에서도 교수님이 S만 중요한게 아니라 F도 세상을 즐겁게 할수 있다는 의견을 내비치지 않았나요? 참 신기한 열등감이라고 해야될지.. 공격성이 있으시네요
@qqq-yz2qp
@qqq-yz2qp Жыл бұрын
@@twou4851너 T야?
@두라이-r5f
@두라이-r5f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보다 훨씬 경제적인 가격이네요
@I_LOVE_Strokes
@I_LOVE_Strokes Жыл бұрын
병진님, 동의합니다 진짜 너무 비싸뮤ㅠ
@헬라씌
@헬라씌 Жыл бұрын
ㅋ큐ㅠ
@구공-u6l
@구공-u6l Жыл бұрын
겨울 한정이잖아요. 매년 다시 지어야함.
@sharkmon7330
@sharkmon7330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어요!!!!왜 불가능한지 쉽게 차근차근 설명해주셔셔 너무 좋았어요😁앞으로도 유튜브 화이팅하시고 성공하시길 바랍니다!!과학인데 재밌게 설명해주셔셔 좋네요 😆
@박이한-n1p
@박이한-n1p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출판하신 논문을 쉽게 해설하는 콘텐츠해주시면 진짜진짜 행복할거같아요
@JAEMIN_
@JAEMIN_ Жыл бұрын
썸네일ㅋㅋ 너무 웃기고 내용도 재밌습니다!! ㅎㅎㅎ
@치킨먹는토토로
@치킨먹는토토로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기다렸는데 올라와서 너무 좋네요 !!!!!! ❤.❤ 정말 팬입니다 !!!!! 교수님 덕분에 물리학에 관심이 생겨버렸어요 ㅎㅎ
@ha.0_t
@ha.0_t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보다 채널보다가 보다 나오신 교수님들 유튜브 찾다가 쁘띠교수님 유튜브도 보게된 내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중3입니다!! 오늘 강의도 정말 재밌게봤습니다!! 사실 제가 생명과학에 관심이 많아서 생명과학 관련된 영상을 찾다가 어느덧 물리학 영상까지 찾아보게 되었네요..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적용할만한 물리학을 쉽고 간단하게 요약해서 잘 설명해주시는 것 같아요!! 오늘도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Wkfrl
@Wkfrl 9 ай бұрын
물리학자가되어주세요!!!
@ha.0_t
@ha.0_t 9 ай бұрын
@@Wkfrl 생각해보겠습니다...
@Wkfrl
@Wkfrl 9 ай бұрын
@@ha.0_t 친구의 꿈을 응원합니다. 지금이가장 빛나는 시간이에요!
@ha.0_t
@ha.0_t 9 ай бұрын
@@Wkfrl 감사드립니다!! 진짜 마음이 따뜻해지는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망나뇽-c6s
@망나뇽-c6s Жыл бұрын
범주니 교수님이 좋은건 나이가 어린 사람이건 본인보다 배움이 짧은 사람이건 경청하는 자세와 상대방 의견을 존중하는 자세가 멋져서 좋은거임
@iiiyu
@iiiyu Жыл бұрын
엇 제가 달았던 댓글이 나와서 깜짝놀랐어요 영광입니다^^ '범준에물리다'와 '과학을 보다'까지 업로드되면 꼭 시청하고 있어요.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에대한 궁금증이 많았는데, 교수님의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주시는 설명 덕분에 '어렵지만 재미있다 이해하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ㅎㅎ 이과생이 아니라서 어쩔 수 없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도 있지만, 지식이 하나씩 채워지는 느낌!으로 듣고있습니다:) 재미있는 과학이야기를 즐겁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ingumann
@pingumann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인데 은밀한 취미(?)로 물리학을 공부하고 있어요. 쁘띠범준 교수님 다음에 들려주실 얘기도 기대하고있을게요!!
@Quidam12
@Quidam12 Жыл бұрын
합리적 취미
@38thYun
@38thYun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좋아요 ❤❤❤
@flat_24
@flat_24 Жыл бұрын
와 인트로에 내 댓글 나왔다!!!!! 와 겁나 성덕 된 기분ㅋㅋㅋㅋㅋ 교수님 넘 멋지고 귀여우십니당 ㅋㅋㅋㅋㅋ 이번 주제도 재밌습니다 ㅎㅎㅎ 색다른 시야로 보는 영화이야기 아이디어 좋아요 ㅎㅎ
@KOREA_GTA5
@KOREA_GTA5 Жыл бұрын
매번 유익하고 좋은 지식들 잘 배웁니다. 설명과 얘기를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계속 보게 되네요😁😁
@hanyuudaddy
@hanyuudaddy Жыл бұрын
보다 채널에서부터 좋아했는데 꾸준히 영상 올려주세요!!!
@임성택-y7h
@임성택-y7h Жыл бұрын
너무 어렵지 않게 과학을 풀어주셔서 좋습니다..옛날 어른들한테 구전동화 듣는거처럼..친근하고 재미집니다..
@민병은-j8w
@민병은-j8w Жыл бұрын
쁘띠범준 교수님 너무 좋아요~
@HaeDal_0430
@HaeDal_0430 Жыл бұрын
유튜브 하시는줄 몰랐습니다 재미있게 보고 바로 구독했어요...ㅎㅎ 앞으로도 좋은 영상, 꾸준한 성장 기대하겠습니다
@Playlist-j75
@Playlist-j75 Жыл бұрын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coolfan61
@coolfan61 Жыл бұрын
물리 = 어려운 과목이었는데 교수님 접하고 난 뒤 흥미로운 과목이라는 생각이 계속 드네요👍
@지크리프트S
@지크리프트S Жыл бұрын
보다에서 뵙다가 오늘 처음으로 제폰에 영상이 떠서 구독박고 갑니다!
@BUZZI1
@BUZZI1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보느냐라는 관점에 따라 아리송하고 어려울 수 있는 주제를 재미있게 편안하게 이야기 해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쁘띠님!!😊
@ywetjjeop7884
@ywetjjeop7884 10 ай бұрын
대단히 지적인 분이신데, 옆집 아저씨마냥 말투도, 인상도 너무 편안하신 분. 김범준교수님 덕분에 [과학을보다] 너무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범준에 물리다]도 자주 찾아뵐께요
@yuna9315
@yuna931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은 정말 재밌어요! 교수님 덕분에 어려운 과학에 발한짝 떼어봅니다🤩 어려운 내용을 들으며 심신이 안정되는 놀라움을 매번 겪어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ssoongi6295
@ssoongi6295 Жыл бұрын
와아 교수님 체널 만드신 것 정말 축하드려요 🎉🎉🎉 보다에서 쁘띠교수님 입담 너무 재미있으셔서 같이 많이 웃었는데 드디어 교수님 채널도 만드셨네용❤❤❤ 앞으로도 과학을 재밋게 널리널리 퍼트려주세요 업로드 항상 감사합니다!
@h.b_jin
@h.b_ji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혹시 '크로노바이저'라고 알고 계실까요? 타임머신에 관한 음모론인데... 사람이 직접 시간여행을 해서 과거나 미래로 가는것이 아니라, "과거에 발생했던 빛과 음파가 사라지지 않고 어딘가에 있을것이므로 그걸 찾아내서 시각적으로 관측하고 화면과 소리를 TV로 띄워 내겠다"라는 목적으로 진행됐다고 하는데요, 아무렴 이게 1972년에 개발에 성공해서 바티칸 교황청 지하실에 꽁꽁 숨겨뒀다는 음모론을 믿는게 아니라... 이게 이론적으로 가능한 건지 알고싶습니다!! 사실 어떻게보면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도 따지고 보면 과거의 우주를 보는거라 어라...? 싶기는 한데 그건 거리가 어마어마하게 멀어서 거기 있는 빛이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니 그런거라 생각 하지만... 또 다르게 생각해 보면 "그럼 지구의 과거도 어딘가에선 관측될 수 있으니 어떻게든 찾아낼 수 있긴 하겠네"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ㅠㅅㅠ 부탁드립니다!!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5:47 정확히는 행성 자체의 중력은 크지 않아서 그 행성을 공전하는 궤도까지는 쉽게 올라갈 수 있을텐데요, 그 정도의 큰 시간 지연이 생길만큼 블랙홀 가까이 갔다가 빠져나왔다는게 문제가 될 것입니다. 그 행성이 블랙홀 가까이 있었거든요. 아마도 영화 내에서는 인듀어런스호 모선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역학적 에너지를 얻기 위해 블랙홀이나 여러 행성들을 활용해 스윙바이 등을 하는 장면이 생략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
@user34569
@user34569 Жыл бұрын
원래 스필버그안은 그냥 탐사로봇이 관측하는 걸 놀란이 극적인 느낌을 주기위해 사람이 가는것으로 바뀌었죠. 웜홀 여행 자체가 숀킴교수의 희망사항에 가깝고 전체적으로 비약적인 부분이 많죠.
@Mr9dae
@Mr9dae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밀러행성(파도행성)의 행성중력은 지구중력의 1.3배 정도로 묘사됩니다. 큰 파도는 가르강튀아(블랙홀)로 인한 기조력으로 발생하는것으로 묘사되구요 밀러행성에서 발생되는 시간지연 또한 행성중력으로 인한 것이 아닌, 블랙홀에 의한것으로 묘사됩니다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Жыл бұрын
설명의 이해를 돕는 그림이 같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kellySunflower23
@kellySunflower23 Жыл бұрын
설명 참 잘하시고 목소리 참 조으세용
@줜아
@줜아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같은 분들이 많아야 저의 저녁 안주가 늘어납니다. ㅋ 감사합니다. 정말 재밌어요!!
@hanmabaki_0
@hanmabaki_0 Жыл бұрын
김범근 교수님 확실히 양자역학은 어렵던데ㅠ 이런 영상은 되게 재밌네요!
@Springfield990
@Springfield990 Жыл бұрын
5:36 부분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합니다. 인터스텔라에서 나오는 바다 행성, 즉 밀러 행성은 행성 자체의 중력이 세다기보다는, 블랙홀 가르강튀아와 너무 가까워서 중력에 의한 시간 왜곡 현상이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가르강튀아의 중력에 의해서 밀러 행성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파도가 일어나는데, 이때 중력이 너무 쎄서 산과 같은 크기의 (1.2km 높이의) 파도가 일어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만약에 행성 자체의 중력이 강했다면, 산과 같은 크기의 파도 자체가 묘사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실제 영화 상에서 표현되는 밀러 행성 자체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130% 수준 밖에 안 됩니다. 한편 밀러 행성에 착륙하고 탈출할 때 사용된 '레인저' 호, 그리고 만 행성을 탈출할 때 사용한 착륙선(Lander) 모두 자력으로 행성 대기권을 탈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우주선(SSTO)으로 묘사됩니다. 실제로 영화 초반, 주인공 쿠퍼는 레인저 호를 이용해서 지구 대기권을 탈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때 레인저 호 근처에 생긴 중력 이상 현상으로, 레인저 호가 추락하게 되고, 그 사고로 인해 쿠퍼가 파일럿을 은퇴하면서 영화가 시작됩니다. 그래서 지구 중력의 1.3배 수준의 밀러 행성도 충분히 레인저 호만을 갖고서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한편 많은 분들이 쿠퍼 일행이 지구를 탈출할 때는 일반적인 고체 연료 방식의 2단 추진 로켓을 사용했으면서, 왜 밀러 행성과 만 행성에서는 레인저 호와 착륙선만 갖고서 탈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오류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영화 내내 끊임없이 연료 문제가 제기되는데, 만 행성을 탈출한 후에는 연료 부족 문제를 근거로 에드먼즈 행성이 아닌 만 행성으로 도착지를 정합니다. 만 행성을 탈출한 후에는 연료가 거의 고갈되어서, 남은 레인저와 착륙선, 그리고 쿠퍼를 희생하면서 블랙홀에 스윙바이를 하여 겨우겨우 에드먼즈 행성에 도착하는 것으로 영화가 전개됩니다. 한정된 연료로 인해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지구 궤도를 탈출할 때 굳이 레인저 호의 자체 연료를 사용하면서 탈출하는 것은 그리 합리적인 결정은 아니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대신 지구 궤도를 탈출할 때에는 연료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추진 로켓(아마 새턴 V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에 레인저 호를 실어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인듀어런스 호에 배송했다고 보는 편이 더 합리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레인저를 타고서 지구를 탈출하지 '못' 한 게 아니라, 연료를 아끼기 위해 '안' 한 것이라 보는 편이 더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 영화 상에 나온 표현일 뿐이므로 실제 물리학적 사실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xmax2930
@xmax2930 Жыл бұрын
정리 잘하셨습니다. 저도 그부분이 조금 걸렸는데 설명을 무척 잘하셨네요.
@user34569
@user34569 Жыл бұрын
그냥 설정 오류인데 이걸 왜 말 꼬리잡고 반론하는지 모르겠군요. 말씀 하신데로 미래에 지구 130%의 중력을 들락날락 할 수 있는 우수한 엔진이 있다면 연료를 아낄려고 삼단로켓을 쓸 이유가 전혀 없죠. 전기자동차의 시동시에 드는 전기 조금 아낄려고 증기기관 다는 수준인데 오히려 부하가 커져서 연료 절감이 안될 뿐만 아니라 장치들도 더 복잡해져서 사고 위혐만 더 커지는데 이해가 안되네요. 그냥 감독이 관객들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장면을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거지 과학적인 고려가 전혀 안된 부분으로 생각되네요.
@Springfield990
@Springfield990 Жыл бұрын
​@@user34569좋은 지적이지만, 이렇게 이해해볼 수가 있어요. 지구에 탈출하는 데 필요한 연료가 굉장히 많이 든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죠. 지구 중력의 1.3배 수준인 밀러 행성을 탈출할 때 상당히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된 것으로 묘사됩니다. 그래서 에드먼즈 행성에 가는 것을 포기하죠. 당연히 지구를 탈출할 때도, 그의 준하는 연료를 사용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죠. 그렇다면 지구를 처음 떠나올 때부터 이미 밀러 행성 한 번 다녀올 수준의 연료를 사용하는 겁니다. 하지만 로켓을 이용해 배송하면, 그에 해당하는 연료를 온전히 아낄 수 있습니다. 로켓의 연료는 레인저 호 자체의 연료가 아닌, 지구에서 공급된 연료니깐요. 이해하기 쉽게 숫자로 표현해볼게요. 편의상 한 번 행성을 탈출할 때마다 연료 1만큼 일괄적으로 소모된다고 가정할게요. 행성의 중력 수준은 모두 비슷한 것으로 묘사되니, 이렇게 해도 무리는 없습니다. 영화 속에서 밀러 행성과 만 행성을 탈출했으니, 탈출에 2의 연료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인듀어런스가 목성으로 접근하는 비용, 외부 은하계에서 이동하는 비용 등 이런 저런 비용을 전부 합쳤을 때 1정도가 된다고 가정해볼게요(실제 크기는 중요하진 않습니다). 그렇다면 처음 출발 시에 인듀어런스 호, 레인저 호, 랜더 호에 포함된 총 연료량은 3으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지구에서, 로켓을 이용하지 않고 레인저 호를 직접 타고 지구 밖으로 나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구 탈출에도 여전히 1의 연료가 소모되므로, 처음 출발 시 2의 연료만을 가지고 출발하게 됩니다. 단지 로켓을 이용하냐 않느냐의 차이일 뿐인데, 처음 출발 시 연료의 양이 달라졌죠? 그 이유는, 쿠퍼가 우주선을 타고 지구 밖으로 나가기 전, 궤도에 돌고있던 인듀어런스 호(와 이미 붙어있던 착륙선과 레인저 호)에 이미 2의 연료가 들어있었고, 쿠퍼가 탄 레인저 호에 1의 연료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로켓을 사용할 경우 2 + 1의 추가 연료가 공급되지만, 로켓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레인저 호에 있던 1의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오직 2의 연료만 갖고 출발하게 됩니다. ---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면, 이번에는 자동차와 기차에 비유해서 설명해볼게요. 자동차로 목적지 A, B, C로 가는데, 각각 1의 연료가 든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A, C로 가는데 총 어느 정도의 연료가 필요한가요? 경로로 총 2의 비용이 듭니다. 그런데 A, B 사이에는 철도가 놓여져 있어서, 기차에 자동차를 싣고 이동할 수 있다고 해봅시다. 이때 사이에서 기차로 이동하게 된다면, 1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가 B 지점에서 C로 이동하는데, 1의 비용만 사용합니다. 이때 기차가 움직이는데 드는 비용은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그건 자동차가 신경쓸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차는 자동차와 독립적인 계이며, 외부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움직이게 됩니다. 그리고 기차는 다시 A로 돌아갑니다. 즉 기차와 자동차는 서로 독립된 계입니다. 위 비유에서 자동차를 레인저 호, 기차를 지구에서 쏘아올린 로켓, A를 지구, B를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인듀어런스 호, C를 외부 은하계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수학적으로 표현해보자면, 레인저 호와 인듀어런스 호는 하나의 계 A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로켓은, A계 외부에 존재하는 독립된 계 B입니다. 계 B는 외부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움직입니다. A계 자체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로켓이라는 B계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A계의 한정된 에너지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 혹은 설명에 오류를 찾으신다면, 더 질문해도 좋습니다.
@Springfield990
@Springfield990 Жыл бұрын
​@@user34569아, 그리고 덧붙이고 싶은 게, 전기 자동차에 시동 부하를 아끼려고 증기 기관을 단다는 비유는 훌륭한 생각이지만 오류가 있어요. 위의 설명대로 로켓은 레인저와 분리된 계입니다. 로켓의 구시대 엔진은, 레인저-인듀어런스 호와 같이 가지 않아요. 로켓의 발사 장면을 보시면, 화물(페이로드)가 맨 마지막에 분리되는 장면을 볼 수 있을거예요. 거대한 로켓은 그 자체가 전부 우주에 올라가지 않아요. 연료를 전부 소모하고 나면 1단 로켓, 2단 로켓, 3단 로켓 이런 식으로 분리하고, 마지막에 가서는 페이로드만 궤도에 올라놓고 로켓은 전부 분리되어 대기권으로 추락합니다. 아마 이런 오해가 생긴 이유는, 거대한 로켓 하나가 통으로 인듀어런스 호에 착 하고 붙는다고 생각하셨기 때문인 것 같아요. 실제론 그렇지 않아요 😅😅. 말씀하신 비유로 생각해보면, 전기 자동차가 있고, 그 안에 시동을 위해서 내연 기관이 있는 게 아니라, 전기 자동차를 나르는 내연 기관 트럭이 있다고 보는 게 맞아요. 트럭은 전기 자동차와 분리된 개체이죠. 그러나 전기 자동차의 연료를 모두 보존하면서 실어 나를 수 있어요. 한편, SSTO처럼 우수한 엔진이 있는 것과는 별개로, 여전히 연료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이 질문 역시, 지구를 탈출하는 비용이, 마치 시동을 거는 것처럼 작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그러나 행성 탈출 비용은 작지 않아요. 지구, 밀러, 만 행성 모두 탈출 비용은 비슷할 것이고, 탈출 비용에 사실상 거의 모든 연료를 썼을 거예요. 왜냐면 한 번 우주에 올라가고 나면, 아주 적은 힘만으로도 계속해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의 연료량은 로켓에 비하면 매우 작죠? 그러나 태양계 바깥까지 날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작 지구에서 궤도 위에 올라가는데에는 로켓이라는 어마어마한 힘이 필요해요. 지상에서는 자동차의 시동을 거는 게 매우 작은 일이고, 도로를 달리는 데 많은 비용이 들지만, 우주에서는 반대에요. 출발할 때 대부분의 연료를 소모하고, 일단 궤도에 올라가고 나면 매우 적은 연료만으로 움직일 수 있어요.
@파리패션
@파리패션 Жыл бұрын
쁘티 교수님💛👍👏👏👏👏👏
@갓미첼
@갓미첼 Жыл бұрын
칼럼정독하고있습니다 옆집물리학 화이팅
@bridgerosen5398
@bridgerosen5398 Жыл бұрын
보다 채널보다가 찾아왔습니다 과학을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3p986
@3p98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 궁금한 것이 바다에서는 심부체온이 금방 낮아져 오래 버틸 수 없다고 하셨는데, 바다에서 오랜 시간동안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
@Goomson95
@Goomson95 Жыл бұрын
수온이 아주 낮은 영하의 바다와 수온이 비교적 낮지 않은 바다의 차이겠죠? 영하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지는 않으니까요
@silvermt.1398
@silvermt.1398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여름지나면 해수욕장이 문(?)닫는 거고, 겨울바다에는 입수금지 경고판이 있는거죠,
@Solamon_Eula
@Solamon_Eula Жыл бұрын
여름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수온이 낮은 바다에서는 충분히 얼어죽을 수 있습니다(실제로 꽁꽁 언다는게 아니라 저체온증으로). 피서기에 여러분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이유는 해수욕장에서 안전 범위와 기간을 지정해서 운영하기 때문이죠. 예전 1박2일 같은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 겨울 바다에 입수하는 장면이 지주 나와 익숙하시겠지만 수많은 스텝들이 있고 안전요원도 준비되어있는 상황에서 잠깐 입수하는 것만 가능하다 보시면 됩니다.
@p-l-e
@p-l-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불쌍한 대학생들을 위해 전자기학에 대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험 범위인데 지금이 적기예요!!! 허흑🔥
@집사하느라집못사
@집사하느라집못사 Жыл бұрын
설명도 잘하시고 발음도 정확하시고 예쁘게 말씀하셔서 넘 듣기좋습니다😊 첫 영상 뜨자마자 구독해서 잘보고있어요 보다에서 재미있게봐서 지웅배님하고 김범준님을 구독중입니다ㅎㅎ
@파나-z5s
@파나-z5s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물 행성 탈출하는 부분은 저도 의아했는데 ㅋㅋ 그냥 속으로 블랙홀 중력이랑 상쇄돼서 가능한건가? 하고 말았음
@happylife6060
@happylife6060 Жыл бұрын
구독은 첨부터 했는데,, 바빠서 영상을 지금 보내요.. 반론 교수님~너무 좋은영상 잘 보고 갑니다 ~~화이팅~~
@oh2964
@oh2964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했어요 ^^
@tv-ju7kp
@tv-ju7kp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시청하였습니다.🎉
@power223120
@power223120 Жыл бұрын
과학을보다 에서 뵙고 정말 귀여우신 교수님~개인채널 많이 응원함니다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많이 알려주세요~
@난순이-j6r
@난순이-j6r Жыл бұрын
쁘띠교수님 항상 관심갖고 재밋게 보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joonkim8285
@joonkim8285 Жыл бұрын
과학으로 풀어 주신 영화장면들 다시 한 번 보면서 말씀하신 내용들 복습하면 또 색다르게 보일 것 같습니다.
@윤승빈-k4c
@윤승빈-k4c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전개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구독했습니다 앞으로 계속 해주세요
@물속에던져진코르크마
@물속에던져진코르크마 Жыл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Korone_sukii
@Korone_sukii Жыл бұрын
항상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대섭-c2x
@김대섭-c2x Жыл бұрын
반론!!!!~~ ㅎㅎㅎ 먼가 통계물리학자이신데 ㅋㅋㅋㅋ 댕청한 느낌도 너무 좋아여 ㅎㅎㅎ 잘드시고 ~ 웃을때 해맑으십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
@hogthefat5299
@hogthefat5299 Жыл бұрын
0:46 "평범"하게 물리학자..... 최근 본 말중에 정말 멋있습니다
@Michaeltison-p9k
@Michaeltison-p9k Жыл бұрын
오늘 주제 너무 재밌었어요.. 문과도 즐길 수 있는 과학 이야기 감사합니다
@katkit4978
@katkit4978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쉬운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onlyyours359
@onlyyours359 Жыл бұрын
영화보시는거 좋아하시는구나... 저는 교수님 보는거 좋아해요..ㅎㅎ
@think-positively
@think-positively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펜입니다😊
@박서진-d5u
@박서진-d5u 7 ай бұрын
친절한 교수님😊
@민석이-s6f
@민석이-s6f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초전도체 관련 영상 만들어주면 소원이 없겠네유..😊
@용정현-g1l
@용정현-g1l Жыл бұрын
고1인데 보다 채널 통해서 교수님 설명해주시는거 보고 물리와 과학에 대해 더욱 관심이 생겼습니다 ㅣ!! 건강하세유😊
@최하진-y1o
@최하진-y1o Жыл бұрын
리얼리티나 일상영화물이 아니라면 과학 오류 찾기는 영화감상에 방해가 되겠죠. 과학영화에는 오류찾기가 의미있는 행위일 수 있으나 sf같은 장르는 넓은 포용을 갖고 보는게 좋겠네요 다만 영상은 재밌게 봤습니다. 정말 까려고 만든 영상이 아닌 정보전달을 영화로 삼는다는게 흥미롭네요
@ezlee1071
@ezlee1071 Жыл бұрын
얼음 직접 얼리지 말고, 사서 지으라는 말씀에 피식 하고 웃음이 났어요^^.오늘도 너무나 재미난 물리학 이야기~!
@ariceaya
@ariceay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봤어요!
@리리카-m6s
@리리카-m6s Жыл бұрын
보다보다가 넘어왔어요 ❤ 구독꾹
@콩맨-e1b
@콩맨-e1b Жыл бұрын
너무 오래 기다렸습니다~!!
@임상혁-l6p
@임상혁-l6p Жыл бұрын
생각도못한이야기 너무재미있네요 ㅎㅎ
@문지학-k6b
@문지학-k6b Жыл бұрын
SF영화의 가장 중심에는 발전한 과학 기술이 아니라 휴머니즘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어떤 과학의 아름다운 법칙에도 결국 인간 혹은 인간성에 관한 주제가 베이스로 있어야 성립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일뿐이며 sf영화와 과학(science)은 구분 되어진다고도 생각합니다 공부는 싫어했지만 궁금한건 많았던 저같은 어른이들이 아 이거 알고 싶었는데 하는 문제들의 해답을 쉽고 간단히 알려주시니 좋네요
@야심유심
@야심유심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에 교수님을 알게됐으면 인생이 달라졌을거 같네요 어려운 과학을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은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calm7143
@calm7143 Жыл бұрын
영상 편집자가 있어서 예시 영화 장면들 나오고 설명하시는 모습이 그림으로 또 표현이 되면 도파민 뿜뿜 빠져나갈 수 없는 채널이 될것 같아요, 전 이미... 도파민 중독으로 영상이 심심해 보여서 제 생각을 남겨보아요 ㅎㅎ
@김동현-c5t6q
@김동현-c5t6q Жыл бұрын
물리학을 전공하고 관련 업계에서 일을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채널을 기다려왔습니다 앞으로도 재미도 있고 유익한 영상 부탁드립니다👍
@히프노스-n1q
@히프노스-n1q Жыл бұрын
쁘띠 범준 ㅋㅋㅋ 진짜 귀여우세요~^^ 교수님 덕에 과학이 즐거워지고 있어요~감사합니다~~
@solisam_
@solisam_ Жыл бұрын
역시 계산하시면서 설명해주실때의 그 .. 어지럼증,멀미 가 좋네요 ㅋㅋㅋㅋㅋㅋ 이맛이야❤
@sc-xb9ye
@sc-xb9ye Жыл бұрын
너무 팬입니다~!!
@황병만-k4x
@황병만-k4x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저는 원했습니다. 겨울왕국의 얼음성을 헌실적으로 짓게 되었을때 어떨까 혹은 스파더맨이 거꾸로 있는것이 가능할까? 뭐 과학을 심도있게 공부하신 분들이야 가볍게 넘기시겠지만 과학에 관심이 있지 계산이 떨어지는 저같은사람은 이런 소재의 과학이야기를 엄청 좋아합니다.
@명숙김-y1e
@명숙김-y1e Жыл бұрын
책 출간도 축하드립니다. 얼른 읽어보려고 주문하고 기다리는 중입니다--😂😂
@cielogrey
@cielogrey Жыл бұрын
엘사는 역시 돈많은 여왕님이었네요ㅎㅎ
@syjjlgus
@syjjlgus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시청합니다 감사합니다!!♥
@wonwoo88
@wonwoo88 Жыл бұрын
초승달 그믐달 이야기는 진짜 ㅎㄷㄷ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이 와닿네요..
@MaticsMath-zj7om
@MaticsMath-zj7om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저는 교수님을 '과학을 보다'에서 처음 뵜는데요! 쁘띠범준 교수님이 설명해주시는 물리수업 너무 재밌어요!!
@worldnuri
@worldnuri Жыл бұрын
너무재미납니다..^^쁘띠범준❤
@user-nonamebutexist
@user-nonamebutexist Жыл бұрын
인트로부터 설레네요 ㅋㅋㅋㅋ
@접기염뽀짝_유주
@접기염뽀짝_유주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어요!
@_LeBlanc
@_LeBlanc Жыл бұрын
0:29 굳이 0편이라고 숫자 쓰시는거 보니 천상 과학교수님😂
@katehuh6366
@katehuh6366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교수님! 큰 도마뱀 같은(가이코) 것들이 벽에 붙어서 돌아 다니는 경우도 있잖아요? 발바닥에 빨판 같은것이 있어서 붙어있는걸로 아는데요 그럼 스파이더맨도 그렇게 가정을 한다면 벽에 붙어서 다니는 것이 가능하지 않나요?
@pangtu96
@pangtu9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채널 구독했어요. ^^ 유튜브도 거의 첫 댓글! 너무 재밌게 말씀해주셔서 보다 채널도 보게 됐는데요. ^^ 목소리도 너무 좋아요!
@user-janmar3204
@user-janmar3204 Жыл бұрын
오.. 궁금했던 것들을 몇개 알게됐어요
@minseoklee7051
@minseoklee7051 Жыл бұрын
6:46 ~ 6:59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요 물 1kg을 얼리는데 필요한 에너지( 10^5 J)가 원폭의 1/10 이라는 것인가요? 아니면 물 1000m^3를 얼리는 것이 원폭의 1/10 이라는 것인가요? 편집상 전자로 받아드려야하는데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습니당
@user-bsjkdk627sokvjf83h
@user-bsjkdk627sokvjf83h 16 күн бұрын
물 1000m³가 원폭 1/10이라는 것이고 물 단위kg당 10⁵J인 거죠. 대충 계산하면1000 m³ × 1000 kg/m³ ×10⁵ J/kg =10¹¹J
@sllee6652
@sllee6652 Жыл бұрын
주제부터가 너무 재밌어요
과학자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할까? | 범준에 물리다
30:13
범준에 물리다
Рет қаралды 715 М.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BAYGUYSTAN | 1 СЕРИЯ | bayGUYS
36:55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듣기만 해도 흥미로운 영화 속 과학 상식들 | 범준에 물리다
1:56:48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