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언어 접촉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훑어보는, 말하자면 한국어의 회고록입니다. 특설 페이지: www.bungbungnue.com/bisa 제1장에서는 세상에 알려진 한국어에 얽힌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독자 분들께서 역사언어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제2장은 고대 한국어가 주변 언어에 미친 영향과 전근대 시기의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제3장은 고유명의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고대사의 비밀스러운 일면을 들여봅니다. 제4장은 격변하는 근대에 홍수처럼 몰려온 언어의 변화를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검토합니다. 이 책은 한국어의 국제성을 시대 별로 돌아보며 한국어의 위상과 입지의 변화를 조망하고, 이를 통해 언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역사언어학의 놀라운 힘을 체험할 기회를 선사합니다. 한국어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즐거운 행위이지만, 섬세하게 맞춰진 여러 퍼즐 조각들이 짜맞춰지면서 숨어 있던 언어 외적인 사실들이 선명하게 드러날 때 역사언어학의 진가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주변 언어 간의 접촉으로 생겨난 언어교류의 거대한 물결을 통시적으로 탐구하여 소개한 대중서는 여태껏 없었습니다.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는 그 첫 번째 책입니다.
@borachoi60853 жыл бұрын
ㅇㄴ 썸네일만 보면 본인이 아니라 딴사람이 올린 폭로영상 ㅋㅋㅋㅋㅋㅋㅋㅋ 뿌부붕 음악도 좋고 언어 관련도 좋으니까 계속 활동해주세요
@kiev._Russian_Federation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뿌부붕"ㅇㅈㄹ 이 채널 댓글만 보면 존나 병맛 유튜버라고 ㅋㅋㅋ
@sa-lam3 жыл бұрын
인간 성기사 뿌뿌뿡?
@user-sc1rv3lu7t3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q3XOlZesodmii80 뿌부붕 음악
@borachoi60853 жыл бұрын
뿌부붕 향문천 kzbin.info/www/bejne/ZnnIgoOYZ9Ngg6M
@AMoonShapedPoo3 жыл бұрын
@@kiev._Russian_Federation 미하일 글린카
@hufsks13 жыл бұрын
정말로 신기한 것이...학창시절 국어시간에 중세국어 발음을 이 정도로 파고들어가면 태반이 관심없었을텐데...(심지어 시험에 나온다고 해도 나중에 시험공부때 책으로 한번 보자 정도) 많은 분들이 자발적으로 이렇게 재밌게 시청하신다는게...영상컨텐츠의 힘 + 향문천 님의 제작능력에 감탄하게 됩니다. 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dogsnoop553 жыл бұрын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책으로 나오면 다들 안읽을것처럼 ㅋㅋㅋㅋ 영상매체의 힘은 엄청난것 같아요 ㅋㅋㅋ
@motions_world3 жыл бұрын
초면부터 지루한 교과서에서 마주함 vs 항상 재미있는 유튜브에서 마주함 이런 차이가 아닐는지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ㅎㅎ
@kun85463 жыл бұрын
ㄹㅇ 자기가 찾아보면 재밌음
@izumiaco50793 жыл бұрын
이걸로 중간고사 본다고 하면 보기 싫어질걸요?
@hoyeonjeong89753 жыл бұрын
많아봐야 7만명을 넘지 않으니 정확한 비율은 모르겠지만 대충 한학교에 한두명 아닐까요? 그정도는 원래로도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백인수-j5k3 жыл бұрын
컴백무대를 자아비판으로 시작하는 애널 당신은 도다이처이...
@이재-n8u3 жыл бұрын
도다이처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슌-b5n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도다이처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ㅋㅌㅋㅋㅋㅋㅋㅋ
@bandme8128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Dkappa83 жыл бұрын
애널이래 ㅋㅋㅋㅋㅋㅋㅋ
@뚠-h7c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isuy78923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신뢰성을 깎아내는 비판 영상인데 그걸 누가 지적한것도 아닌데 스스로 화두로 삼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신뢰성 있게 느껴짐.. 학계가 끊임없이 기존 학설들의 반증 가능성을 고려하고 새로운 학설을 수용하듯이 새로이 알게된 내용을 빠르게 수용하고 수정하려는 태도는 아주 바람직하다고 생각함.
@sg-cq9tb3 жыл бұрын
정말 심각한 잘못이네요. 벌로 매주 영상 두개씩 올리세요.
@kidandLaPuta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InjeoImimi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h.66883 жыл бұрын
대신 10분짜리 대신에 30분 짜리여도 봐줌
@Conner98073 жыл бұрын
좋은 벌이다.
@weird_spreadseat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다
@Resiniferatoxin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뉘어지니까 그냥 안전한 길로 간 것이군요. 아직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연구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치명적인 오류가 아닐 듯 합니다. 진짜 완전히 변이음의 추이를 밝혀냈다면 이전 낭독이 큰 오류가 되겠지만, 그렇지는 않죠. 아무쪼록 이 영상 하나만 보고 향문천이 오류투성이라며 욕하거나 과잉일반화 하지는 말아 주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adenjeong3 жыл бұрын
사실 향문천님이 전달하는 모든 언어학적 지식이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문천님이 콘텐츠가 좋은 이유는 유튜브 내에서 학문적으로 어려운 중세국어나 다른 언어적인 부분을 최대한 쉽게 전하고자 하는 것에 있는 듯 합니다. 순기능이라면 중세국어나 소개해주시는 다른 언어적 컨텐츠에 관심을 갖는 것이고 역기능이 있다면 '향문천이 이렇게 말했는데 영상이나 보고오셈' 하는 잼민이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겠죠ㅋㅋ
@관운장KOR3 жыл бұрын
나는 항문형이 순우리말 보급에 앞장 섰으면 좋겠다. 우리가 하늘은 천이라고 안하는 거 처럼 하늘은 원래 있는 단어니 익숙하지. 근데 똥이 나오는 구멍인 똥구멍을 왜 똥구멍이라 부르면 천박하게 보고 한자를 차용한 항문이라 부르면 고상하게 보냐고. 처음에야 이상하겠지만 이런 향후에는 똥구멍외과 이런게 익숙해졌으면 좋겠어. 순우리말로 모든말이 되었으면 좋겠어
@드키무티3 жыл бұрын
남의 지식이나 기술, 권위를 빌려서 마치 자기 것인양 착각하고 행세하는 인간들은 어디나 있죠.
@보리임금3 жыл бұрын
@@드키무티 반성하고 살겠습니다 ~~~😭😭😭
@료마가간다3 жыл бұрын
@@관운장KOR 순우리말 이라면 15세기 훈민정음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moie.private3 жыл бұрын
@@관운장KOR 항문형..
@살-l9r3 жыл бұрын
결론: 향문천은 현대인이므로 중세국어를 완벽하게 표현하지는 못한다.
@삐넛-d9p3 жыл бұрын
@G G 현대국어로도 항문천아닌가요?
@garnet7543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유일한 해결법은 타임머신이 만들어지길 기도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군요
@사탄들의학교에루시퍼3 жыл бұрын
@G G 우리 게이는 미국인이노
@gk-nj9bi3 жыл бұрын
@@사탄들의학교에루시퍼 항문인이겠쥬
@user-dx5xb7gz7j3 жыл бұрын
@G G 현대(미)국어
@Black_Dove993 жыл бұрын
오류 지적해도 걍 차단하거나 어쩌라고식으로 대응하는 유튜버들이 태반인데 스스로 이렇게 말씀해주시는게 대단하시네요
@지져쓰-s4k3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도 이건 가설이거니, 복원에 대한 시도이니 틀린 부분도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스스로 그 점을 정확하게 알고 있고 이야기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습니다. 내년이나 내후년이나 나중에 다시 시도하시게 되면 그때는 지금보다 더 발전해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있을 듯요. 응원할게요
@user-be2bv8zy6u3 жыл бұрын
자신의 오류를 찾아서 알려주시네.. 참튜버bb 항상 정말 존경합니다ㄷㄷ 사랑해요 그리고 다음 새 낭독 영상도 기대하겟습니다♥
@woo_waaa3 жыл бұрын
저는 생각보다 향문천님 컨텐츠 디자인적인 부분도 엄청 느낌있게 잘만드신다고 생각이 들어요. 컨셉을 만드신건지는 모르겠지만 옛 학문서(논문)에서 많이 쓰는 것 같은 고딕체를 사용해서 더욱 신뢰감을 느낄 수 있다구요!! 결론 : 다시한번 사랑에 빠졌다.
@sung-bullguja3 жыл бұрын
애널스카이 역시 멋집니다 좋은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_KD6-3.73 жыл бұрын
아니 애널스카이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
@intercity0127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쳤냐고
@beethovenkr3 жыл бұрын
학문의 최대장점은 연구될수록 기존가설을 뒤집을수 있다는 점이다
@yt7fhchyej6ehh3 жыл бұрын
한국어 잘하시네요?
@Autumn_Midnight3 жыл бұрын
반증 가능성... 포퍼의 반증주의!
@totok36513 жыл бұрын
과학의 본질 반증가능성!!
@manifest12113 жыл бұрын
Ode to joy 잘 듣고 있어요 형 언제나 고마워요
@sammyr77793 жыл бұрын
베토벤씨 예술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에도 관심많으신가보네요
@mason76453 жыл бұрын
맹신하면 안되긴 하는데 여기만큼 쉽고 퀄리티 있는 편집으로 깊이있게 볼 수 있는 곳이 없음 ㅠㅠ
@gombo353 жыл бұрын
"그런거 모르겠고 내가읽는거보단 정확하겠지"
@굥문응항상감시합니다 Жыл бұрын
그런거 모르겠고 목소리가 조크등요~
@ksmb23333 жыл бұрын
이런 성찰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중세, 고대 한국어 재연을 보며 이상하다고 느꼈던 게... 21세기에서 17세기까지는 무려 400년의 갭이 있었는데도 사실 겁나 쎈 사투리 정도로 알아들을 수 있는 느낌인데 17세기에서 15세기 까지는 200년의 갭밖에 없는데도, 복원한 언어간 격차가 외국어 수준으로 크게 난다는 거였어요 그 사이 조선전기에 임란 외에 격변이 있었던 것도 아닌데, (차라리 격변은 근대 한국이 더 심했죠) 이렇게 갑자기 언어가 확 변화할 이유를 도통 모르겠더라요. 제가 유일하게 찾은 이유라면, 15세기에 훈민정음이 생긴건데, 단지 표음문자가 생겼단 이유로 언어 습관이 급변할 수 있을까요? 제가 보기에... 15세기를 전후로 복원 발음이 확 달라진 이유는 훈민정음 창제를 전후로 언어학자들이 발음을 복원하는 방법에 차이가 생겨서인거 같아요. 15세기 이후의 발음들은 그나마 훈민정음 베이스로 복원가능한 반면 15세기 이전 발음들은 어떤 분이 댓글로 설명해 주셨듯 중국인 등 외국인이 한국어를 발음나는 대로 적은 사료를, 또 당시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복원할 수 밖에 없었죠. 하지만 우리가 영어를 받아적으며 '디스이즈어 펜'이라고 쓴다고 해서, 그 특유의 억양을 그대로 살리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국인 등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받아적을 때도 한국어 억양까지 온전히 전달하는 대신, 편의상 자신들이 들은 대로, 자신들의 언어 습관에 맞춰 썼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요. 여기서 가장 큰 1차 왜곡이 발생하고, 또 과거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갭도, 레코딩이 없는 한 가설의 영역이지 백프로 정확할 수 없으니 여기서 또 2차 왜곡이 발생할 거에요. 결국 공룡 복원과 비슷한 거 같아요... 혹은 중국어등 외국어의 억양 필터를 끼운 한국어이거나 즉, 개인적으로 천년전 한국어는 한마디도 못 알아먹을 기괴한 외국어일 거라고 상상하는 것 역시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어는 많이 다르겠지만, 언뜻언뜻 알아들을 수 있는 친숙한 느낌은 있을 거로 봐요. 그게 단어이건 발음방식이건. 왜냐면 저도 한때 계속 한국어는 몇백년만 거슬러가면 외계어.. 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살다가, 백년전 한국어 레코딩을 들었을 때, 그 격변의 시기를 거쳤음에도 모든 말을 깔끔하게 알아들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소름돋았거든요. 언어는 의외로 내 선입견만큼 급변하지 않는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고요.
@fish13931 Жыл бұрын
중세국어 낭독은 대부분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발음으로 하고 있는데 15세기와 17세기 발음이 크게 달라진 건 설명이 안되지 않나요? 임진왜란 외에 병자호란도 있었고 크게 바뀔 이유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중국어도 중고한어에서 근고한어로 바뀔 때 몽골의 침략이 있었으니까요.
@성이름-s2i1f Жыл бұрын
@@fish13931 향문천 발성, 발음이 베트남어 비슷해요. 성조도 중국어보단 베트남어에 가깝고요. 다른 분들이 읽은 훈민정음이랑 차이나요. 다문화 가정 자녀 아닐까 추정.
@grapehc3 жыл бұрын
세줄요약 1. 중세국어에서도 변이음이 있었을 것임 2. ㄹ과 치음의 음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음 3. 파열음 받침이 비음동화 현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음
@냠냐랜드3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자아 성찰이다 이런것이 쌓이면 더 훌륭한 컨텐츠를 만들수 있을것이다
@heera77793 жыл бұрын
더더욱 향문천님이 존경스러워졌다. 진짜 자기 오류 인정하는거 너~~~무 대단한 일이에요~~!!!
@으악새-o9p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자기자신과의 싸움을 시작한... ㅋㅋ
@gk-nj9bi3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진다..!
@purplearchmage82963 жыл бұрын
애널이 웅장해진다
@브라우니-n7u3 жыл бұрын
@@purplearchmage8296 애널이 웅장해지면.. 똥을 더 쉽게 눌 수 있겠군.
@체리킴-i5s3 жыл бұрын
애널이 하늘해진다..!
@김세현-o1d3 жыл бұрын
@@브라우니-n7u 존내더러워 ㅅㅂㅋㅋㅋㅋㅋㅋ
@heokjin3 жыл бұрын
똥꼬하늘님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는 모습이 멋있네요
@moongegroom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제 항문천이라고도 안함
@user-oe4kq2cg9b3 жыл бұрын
똥꼬하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bl-oblivion2 жыл бұрын
그 천이 그 천이 아니라고 ㅋㅋㅋㅋㅋ
@해루묵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y5qt6xw7wryu2j4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샘천자 쓰시는거 같은데... 똥꼬천 혹은 애널스트림 죄송해여 ㅠㅠ
@Lunatday3 жыл бұрын
6:41 새롭게 제작해주신다고요? 오히려좋아
@kaaai4963 жыл бұрын
진짜 전생기억 가지고 있는사람이 등장하면 언어학자들이 겁나 좋아하곘네 ㅋㅋㅋㅋ
@submariner64583 жыл бұрын
납치해갈듯ㅋㅌㅋㅋㅋ
@II2458II3 жыл бұрын
@@submariner6458 후욱후욱 그래서 이게 어떻게 읽는 거라고? 말하면 케이크 말안하면 코렁탕
@남승엽-x9r3 жыл бұрын
@@II2458II 케이크 이즈 라이
@60mmmortarcrewfdcs.koreana623 жыл бұрын
그냥 사람들 전생체험 시켜보면 되지않나
@김성태-f7h Жыл бұрын
등장하면 ~ 오호라 역사에 가정법이 있을 수 없다고 했는데 가정법을 동원하면 만사가 풀리지요. 타임머신이 발명 된다면 모든 것이 신 급으로 해결 가능하다나 뭐라나 ...
@김유민-w6w3 жыл бұрын
유럽의 역사와 라틴어를 베이스로 한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 비교역사언어학에만 관심이 있었던 저로써는 향문천님의 채널을 보게 된 뒤 다양한 지역의 언어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특히나 음성학에 대한 흥미가 생겨서 이것저것 찍먹해보며 배워가는 중입니다. 향문천님 덕분에 언어학에 대한 이해가 한층 더 깊어진 것 같아 정말 감사합니다.
@임동주-b8p3 жыл бұрын
4:04 ‘무지개 홍’의 한자는 ‘紅’이 아닌 ‘虹’ 입니다. 해당 한자는 ‘붉을 홍’ 으로 표기한 오타를 발견하여 말씀드립니다.
음성적 실현을 생각하면 외국어 같던 중세국어가 방언처럼 들리네요.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Solemn_Cat3 жыл бұрын
4:08 세가지 학설을 보았을때.. 3번의 케이스를 보고 전 확신했습니다. 분명 중세에도 고대에도 지방?(여기서 말하는 지방은 우리가 흔히 현대에서 사투리로 나누는 지방..)마다 다를것이예요 육진방언의 종성은 분명 일부 조선족의 그것이였는데 저는 그걸 북방 중국어의 영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남부로 갈수록 l 로 재구되는 발음이 강해지고 북으로 갈수록 r이 강해지는 느낌을.... 서론이 너무 길었는데 어찌됐던간에 항문천님이 어떻게 발음하셨던간에 중세국어를 항문천님처럼 발음했던 사람이 없다고도 확신할수 없기때문에 100% 틀렸다 라고 말할수도 없지 않을까요 무튼 사랑합니다
@mondaystudio3 жыл бұрын
항문천이 아니라 향문천이에요
@뭐라할말이없네3 жыл бұрын
@@mondaystudio ? 애널스카이가 본명 아니었음? 찌라시 ㄴㄴ
@dogyunkwon3 жыл бұрын
항문천이다
@jeonghy113 жыл бұрын
항문선생 존함을 모독하지마라
@pi39463 жыл бұрын
중국어가 오히려 r 없고 l만 있는데
@Minaj89683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언어학적 고찰입니다. 볼때마다 감명받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cytokine50703 жыл бұрын
본인의 이전영상 피드백 ㄷㄷ 역시 신뢰는 이런것에서 올라가는거 같습니다 (사실 피드백도 이해하긴 힘들지만)
@나무와바람-h9s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백은 일반적으로 유튜브 영상 편집에 잘 사용되지 않는 서체인데도 불구하고, 영상의 내용 및 분위기와 마치 하나인 듯 잘 어우러지도록 활용되어 정말 인상깊습니다. 언어학뿐만 아니라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이해가 깊으신 것 같습니다. 실례가 안 된다면 6:36 과 7:27 에 나오는 명조체 이름을 각각 알려주실 수 있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시간 될 때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ungbungnue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명조체 폰트는 ‘나리운’이며, 본래는 종서용 서체입니다. 제가 횡서 본문용 명조체 폰트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불가피하게 사용한 것입니다. 영상 속 타이포그래피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NangGu3 жыл бұрын
자기의 것에 잘못된게 있다고 말하는 거. 정말 좋은 자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걸 하기 힘들죠.
@벽을뚫는포신3 жыл бұрын
@@이재혁-o2l 그 문헌이 만들어질 때쯤 있었던 발음이 아님에도 '과거로 가면 말이 통할까?'라는 주제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잘못이긴 합니다.
@최테마3 жыл бұрын
@@벽을뚫는포신 그래도 과거로 가면 말이 안통한다는 건 사실이라는
@gurim_Tokki10213 жыл бұрын
@@벽을뚫는포신 과거로 가면 말이 안 통하는 건 당연합니다. 현대에서도 서울 사람이 남쪽 방언 쓰시는 분과 소통이 어려운데, 방언보다 더욱 말이 다른 과거에서는 더욱이 말이 통할 리 없고, 언어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없더라도 과거의 배경지식이 없다면 대화가 불가능하겠죠.
@Max_Zer03 жыл бұрын
점심 먹으면서 영상을 보고 있으니 가슴이 문천해진다
@challalla3 жыл бұрын
영화, 드라마 같은 데서 라틴어, 고대 노르드어 등 옛 언어를 복원할 때 변이음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보통은 향문천님 예전 영상처럼 대표음으로 통일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모어에서 쓰는 변이음을 복원 발음에서도 별 생각 없이 그대로 쓰지 않나 싶습니다.
@rainysun853 жыл бұрын
국어학 시간에 변이음에 대해 배울 때 '비빔밥'에 등장하는 음소 ㅂ이 모두 다른 발음이라는 걸 알고 충격이었죠. 다시보니 반갑네요. 같은 음소라도 다른 소리로 발음될 수 있음을 보통은 잘 모르고 살죠
@ionhan22463 жыл бұрын
쌍자음이 유성음으로 발음된다는 설도 있던 것 같아요. 훈민정음 해례에서 "ㄱ은 어린 나무이고 ㅋ은 나무가 장성히 자란 것이며 ㄲ은 나무가 늙은 것이다"라고 나와요. 게다가 동국정운 한자음을 보면 쌍자음이 대부분 유성음에 대응되고요. 위 가설이 옳다면 반치음의 음가는 또 달라지겠네요.
@hatsu_haru3 жыл бұрын
전 향문천을 맹신하지 않습니다. 전 항문천을 맹신합니다
@구거학-연세대박사생3 жыл бұрын
학문에 관한 영상을 만든다면 그에 대한 비판은 항상 존재하는 듯합니다. 때로는 학자들 사이에서 거의 이견이 없는 사실에 관해서도 비판을 댓글로 남겨 주시는 분들이 있죠. 더구나 중세국어의 음가에 대해서는 학자들도 증명해 내지 못한 가설 수준의 의견들이 매우 많습니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중세국어의 음가를 그대로 재현하여 읽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그에 대한 비판이 많은 것 또한 당연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을 걱정해서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발표하지 않는다면 학문의 발전은 없었을 것입니다. 향문천님의 영상은 이미 충분히 가치 있습니다(사실 해당 영상이 진실에 가까운가 하는 문제와는 별개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국어학에 관심을 가지게 해 주신 것만으로도 영상의 가치는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의 오류를 보완해 가며 올리시는 앞으로의 영상도 많이 기대하겠습니다!
@성이름-m3u3 жыл бұрын
단어 몇개가지고 한국어와 타밀어가 같다고 염병떠는 애들도 있는 반면 계속 공부하며 고쳐나가는 사람도 있다.
@lemonmilktea54063 жыл бұрын
고대에는 언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서로 간에 의사소통만 되면 문제가 없고, 화자마다 발음이 다른 경우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아서, 고대어를 연구하는 현대인이 고대어의 '변이음'까지 고려하는 건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soheekim743 жыл бұрын
아..학교 다니는 사람은 극소수에 생활반경도 좁고 tv도 없으니 진짜 제각각이었겠군요
@yoonkyun95873 жыл бұрын
@@soheekim74 심하면 마을 단위보다 작을 수도 있겠네요ㄷㄷ
@무허공-z7n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노인들은 그렇습니다. 학교에 다니지 않은 노인들은 제각각 발음하지요. 그래도 대체로 비슷합니다.
@hS-mp3ke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거같아요 ㅋㅋ 저때는 표준어 자체가 없었으니
@SKY-CLEAR3 жыл бұрын
정말 참된 학자십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윤유상-n8b3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영상을 보면 바로 재생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tridish73833 жыл бұрын
굳이 중세국어와 애널스카이가 아니어도 언어에 대한 완벽한 지식은 어디에도 없지 않나 싶네요.
@pitot0philo2073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엄청나게 많은 자료가 남아있는 중세영어정도가 전부죠 그마저도 고대 영어까지는 못가구요
@humanplusscience44493 жыл бұрын
향문천 채널 애독자라면 "오디오가 없던 시절에 대한 추측이니 확실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쯤은 기본으로 깔고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sper15433 жыл бұрын
향문천 채널 애독자X 항문천 애널 애독자O
@RARKROA3 жыл бұрын
결국 녹음기를 들고 타임머신을 타지 않는 이상 모든 발음에 대한 가설은 가설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말이군요...
@예진성-e2h3 жыл бұрын
ㄴ 감정을 이입해서 끊임없이 연구하면 구현해낼수 있음 하지만 혼자서는 불가능함
@rntlpbm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마지막의 예문이 자연스럽게 읽는 느낌이 강하네요. 언어학에는 진짜 전혀 관심 없었는데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김성태-f7h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의 예문 낭독은 한국전쟁 이전의 방송 뉴스에서 듣던 서울말과 조금 가까워졌네요. 해방 시기의 한국어 발음과 가깝다는 건 ... 현대 서울말도 그때의 발음에서 꽤나 많이 변했다는 거겠지요. 그러니 600년 전의 훈민정음 낭독이 현재의 말과 많이 다르게 들리는 건 그 정확도 여부를 떠나 자연스런 현상일 겁니다. 정확하든 정확하지 않든 지금과 비슷해야 한다는 건 논리적으로 공감할 수 없는 말이지요.
@moon-cb2hu3 жыл бұрын
너무 오랜만이네요 똑똑이 향문천님 행복하세요~♥♥♥
@rwamoson87643 жыл бұрын
음성적 실현을 고려하기 전 : 와 완전 기계음같애 음성적 실현에 관한 오류를 들으며 : 오 그럼 발음이 꽤 다르게 들릴 수 있겠구나 음성적 실현을 고려한 낭독을 들으며 : 와 완전 기계음같애
@pi39463 жыл бұрын
난 두음법칙 가설 그럴싸한 게 nj>j는 중세 이후에 일어난 변화지만 l>n은 한자음 처음 들어올 때부터 있었던 거 같음. 유리이사금의 儒이 弩로도 표기되거든.
@모자쓴불독3 жыл бұрын
제아무리 고매한 학자도 스스로의 학식에 취해 완고한 입장과 주장을 고집하는데, 젊은 나이에 이런 주장도 할수 있으니 연구자로서의 자세가 완벽합니다.
@jrodgrey513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중세국어가 이상하리만치 어색하다 했습니다ㅎㅎ 이 영상에서 낭독한걸 들어보니 훨씬 자연스럽네요
@sabiro5513 жыл бұрын
이걸 왜 보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빠져든다...
@campsite973 жыл бұрын
오류를 인정하는 학자적 태도를 가진 유튜버가 있다?!?
@그냥-f7u3 жыл бұрын
영상 안올리던게 폐관수련 하고 있어서 그런거였구나... 말없이 사라진 벌로 일주일에 영상 3개씩 올려야하는거 알지?
@소연-u1u3 жыл бұрын
본인의 오류를 인정하는게 쉬운 일도 아닐 뿐더러 그럴 생각도 안 하는 게 대부분인데,, 스스로를 돌아볼 줄 아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덕분에 변이음에 대해서도 알아갑니다:-)
@SPaSX3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발음은 이해가 되는데, 억양은 어떻게 유추 하는건가요? 발음은 따라가되 현대 표준 억양으로 표현하는 건 잘 못 된건가요? 왜 저런 억양으로 표현되는지 궁금합니다.
@kjy85193 жыл бұрын
향문천 -> 항문천 -> 애널스카이 -> 똥꼬하늘 등 그의 존재에는 변함이 없지만 그를 부르는 방식은 수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 짧은 기간에도 이 정도인데 하물며 수백 수천년 전의 단어는 오죽할까..(문자로 표현하는 방식 뿐 아니라 읽는 방법 등도 포함하여) 그런 의미에서 오늘도 돈고를 탁 치고 갑니다
@user-nm7eo2qj7h3 жыл бұрын
학생들과 아주 잘 감상했습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Kim-dackgu3 жыл бұрын
자주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Michaelcoffee3 жыл бұрын
7:29 앞에 “현대 국어와 같을 수도…” 라고 했지만 여전히 중세 국어의 악센트는 ㅎ ㄷ ㄷ 하다 ㅋㅋㅋㅋ
@유튜브채널-p9s3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항1문천님
@아침햇살-x9l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논문 낭독은 함경도 방언이랑 비슷하게 들리네요 엄청 흥미로워요!! 잘 봤습니다
@채승안-y2n3 жыл бұрын
애널스카이님 존경합니다...
@유범새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이분 채널 봤는데 이런 영상이 올라왔네요??? 전 이 채널 영상이 좋아요 KBS다큐같은 것만 봤으면 안그래도 좁은 제 역사적 그리고 언어학적 식견이 훨씬 더 좁아졌을겁니다... 이렇게 소개해주는 언어 채널의 존재가 참 귀중해요 자기비판적이고 반성하는 모습도 좋네요 앞으로도 힘내주세요~!
@stayawayfromUTB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세종당시 시대로 가면 훨씬빨리 익숙해질거라 생각듭니다. 아마 한달만 살면 편안하게 들릴듯요 ㅎ
@ldq05080-imtheqiqi3 жыл бұрын
ㄴㄴ... 고려시대료 가보시면
@야쏘-j7o3 жыл бұрын
진짜 에널스카이는 뭐하는 사람일까 정말 머학원생인가 ㄷㄷ
@sammyr77793 жыл бұрын
다루시는 내용, 말투 보면 ㄹㅇ 전공자느낌남
@frankiefurts3 жыл бұрын
사실 이과라는게 반전
@sammyr77793 жыл бұрын
@@frankiefurts ㄹㅇ??
@frankiefurts3 жыл бұрын
@@sammyr7779 QnA에 나와요
@jazzycozzy3 жыл бұрын
아 똥꼬연못이라고
@책쪼아먹는학헌3 жыл бұрын
와 누에가 웬만한 유튜버들보다 자료조사가 철저해... 빠져든다
@김이박-u8t3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향문천 님의 낭독을 들어보니 꽤 중세국어가 친숙하게 들렸습니다. 어쩌면 우리말은 의외로 잘 변하지 않은 걸지도 모르겠네요....
@ahg1263 жыл бұрын
같은 언어니까여. 언어능력 좋은 사람은 저시대로 돌아가서 두세달만 있어도 유창하게 잘할듯.
@9bril4pril3 жыл бұрын
난생 처음 들어본 개념, 변이음.. 왜 내 외국어가 어색한지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luv59973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더 정확하고 좋은 영상 기대할게요
@성욕이없는남자3 жыл бұрын
맹신하지 않고 항문천님의 좋은 콘텐츠 늘 잘 보고 있습니다.
@kurw402mn3 жыл бұрын
컴백영상을 자아비판으로 시작하네 도대체 애널 그는...
@dokdoiskoreanterritory72263 жыл бұрын
새롭게 제작할 낭독영상이 정말 기대되네요 ㅎㅎ 하루빨리 볼수있길 !!
@보글보글라면천사3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다큐 나레이션해도 엄청잘하실듯ㅠ
@별의정원진주추모공원3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어떤분이십니까? 목소리와 지식이 너무나도 매칭이됩니다.! 멋지다는 말밖에 할수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Iluvus173 жыл бұрын
비빔밥으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바로 갔어요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Stand_In_Line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돌아오셨군요ㅠㅠ
@건전한무채색3 жыл бұрын
ㅜㅜ
@Choi_siwon3 жыл бұрын
오류를 찾아내며 자신과의 싸움을 시작한 붕붕누에...
@daenoss863 жыл бұрын
ㄹㅇ 학자적 자아 비판이다 자극적인 영상이 범람하는 유튜브에서 진주같은 향문천
@hangwrromax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사례 소개 감사합니다. 덕분에 오늘도 또 하나 찾아냈읍니다. 깨달음) 한국어 화자에겐 소리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소리를 기반한 지식의 인지 과정이 아주 안정적 언어 기반 기술이 된 결과로 소리의 사소한 차이나 오류를 극복하고 지식 수준의 전달에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그런 오류 극복의 기술과 숙달 수준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게 훈민정음과 언어과학 맞춤법의 교육 훈련 결과죠.
@hangwrromax Жыл бұрын
한국어 화자에겐 소리 품질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좀 틀려도 부족해도 잘 보완하고 소통을 잘한다. 한국인의 대화 속도와 전달성이 유난히 좋은 이유를 알 것 같읍니다. 좀 더 기술적 분석을 할 방법을 찾은 것 같아 감사합니다.
@hangwrromax Жыл бұрын
대화는 완벽한 소리 편성을 요구하지 않읍니다. 정확한 의도만 전달되면 충분하죠. 그래서 갸~가 갸갸가? 라는 대화가 훌륭하게 성립하는 이유죠.
@Neky_Hina3 жыл бұрын
말도 안 되는 독자연구(천지인 어쩌고 뭐가 뭐를 이끄는 게 이치에 맞느니 어쩌니 하면서 세종이 직접 저술한 방점 해설마저 잘못된 것이라 하는 그 유사학자... 이 채널 관심 있게 보시는 분들이면 대충 아실 듯)로 읽는 게 아닌 이상에야 적어도 정식으로 재구된 발음을 읽는 데 치명적인 오류란 없습니다. 재구된 발음도 결국 학설일 뿐이기 때문에 단지 가장 합리적으로 도출한 결과라 할 수 있을 뿐, 맞지 않을 수도 있고, 정확히 재구했다 한들 그저 특정 계층이나 지역의 방언에 불과할 가능성 역시 아주 큽니다. 그뿐 아니라 한두 차례 확인되는 예시들은 유행어 등 일시적인 현상이었을 가능성 역시 있고요.
@pellyryu23443 жыл бұрын
저는 거기가 어딘지 모르겠군요 다행입니다 시력 보호를 위해 앞으로도 알고리즘이 안 알려주기를
@문경락-l8d Жыл бұрын
자료 감사드리며 늘 행복하시길.......
@재현-r6y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세계를 빛내는 최고의 언어학자가 되었으면 합니다.
@polycarpkim112 жыл бұрын
스스로를 경계하고 발전하는 모습이 멋집니다. 한가지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영상 마지막에 들려주신 낭독영상에서 발음이 함경, 평안도와 비슷하다고 느꼈는데요. 당시에도 지방방언들이 있었을거 같은데 낭독하신것은 서울말을 기준으로 만드신 건가요? 감사합니다.
@김성태-f7h Жыл бұрын
해방시기의 한국어 방송을 들어보면 지금의 한국어 서울말 방송과 말이 상당히 다르게 들립니다. 서울말이 이 정도로 변했으니 방언까지 고려하면 "너 정체가 뭐니?" 알기 어려울 것 같아요.
@peterjung4506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흥미로움!! 아름다운 우리말의 상상력!!
@aramleemiller35493 жыл бұрын
다 필요없고 향문천님 목소리듣는게 좋아서 듣봅니다.
@yeon0911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채널
@iik72303 жыл бұрын
저도 초기 중세국어에서 초성 ㅇ이 종성 뒤에 위치할 때는 ɣ이라는 변이음으로 발음된다는 점이 신기했어요!😮 그리고 제가 본 교재엔 ㅅ계 합용 병서, 예를 들어 ㅺ를 k'라 했는데 sk로 발음하신 것도요! 새롭게 낭독하신 중세국어에서 초성 ㄹ을 l 말고 ɾ, 셕을 sjək가 아닌 ʃək 등으로 바꾸셨다는 점도 눈에 띄네요^^ 신기하고 멋있어요 찐팬입니다😍
@xortnekt3 жыл бұрын
애널스카이의 자아성찰 좋습니다😀
@이도-j9i3 жыл бұрын
똥구멍하늘?
@이도-j9i3 жыл бұрын
@@andofleika 향문천을 영어로 옮기면 aroma letter spring(한자가 하늘 천이 아니라 샘 천)이겠죠. 애널이라니! 원댓글 단 사람 정말 예의 없네요.
@Minsang1st3 жыл бұрын
@@이도-j9i 이 채널 처음왔냐
@이도-j9i3 жыл бұрын
@@Minsang1st 아뇨. 근데 너 왜 반말? 향문천님에게 애널이라고 하면서 하늘 천과 샘 천도 구분 못하는 놈에, 익명이 보장된 곳이라고 특정인에게 반말하는 놈도 있네?
@이도-j9i3 жыл бұрын
@@andofleika 향문천님도 이걸 허용하신 건가요?
@user-lo6ci4pw7q3 жыл бұрын
우리의 김치라고 발음하지만 일본인에게 킴치로 들리는 것과 비슷한 오류인가 보네요. 그렇다고 우리가 듣기에 김치와 킴치는 완전히 다른 발음인데 말입니다. 그리고 삼각형 모양의 없어진 자음은 일본어의 ざ행 발음과 유사한 발음이었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김깡깡-l4u3 жыл бұрын
유성음 무성음 대립이 있는 언어 (영어, 일본어 등)에서는 우리나라 어두의 ㄱㄷㅂㅈ가 ㅋㅌㅍㅊ로 들립니다..! (실제로 한국인들이 어두 ㄱㄷㅂㅈ를 약간 무성음처럼 발음해요 그래서 보면 약한 무성음 킴치가 정확하게 듣는거긴 합니다..)
@shine5937 Жыл бұрын
음가를 정확하게 콕콕 집어 발음해서 더 신비하게 들리는 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ssbrk3 жыл бұрын
향문천의 이름을 맹신하면 안됩니다 사실 항문천일 수도 있습니다.
@앨리스-s7z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ㄷㄷㄷ 👍👍👍👍👍👍👍
@candleproducer Жыл бұрын
뭐가 대단해요. 예를 들어 볼께요. 편지를 쓴다고 과정해 봅시다. 우리가 대화할때 편지처럼 하나요. 특히 사투리같은 경우. 글과 말은 완전히 달라요. 이 양반 아직도 글공부를 쪼까 더 햇삐야 아라먹겠고마이.
@Cat.my482 Жыл бұрын
@@candleproducer정그러시면 당신이 가서 저거 읽어보세요
@candleproducer Жыл бұрын
@@Cat.my482 답답한 소리하지 말구요. 조선초기 한글편지가 있어요. 님이 보세요. 내가 헛소리 하는지 보시면 알 겁니다. ... 언어가 다른 집단과 전쟁이든 뭐든 인적 교류가 그닥 일어나지 않았다면 언어가 별로 변할게 없어요. 전화나 인터넷이나 있던 시대도 아니고...
@phoenix-id6xd3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 볼수록 향문천은 내 이상형이야.
@태양의밭관리자사딸라3 жыл бұрын
깜쏴함뉘돠 쏴뢍헤이요우 요눼과즁궤 랑 비슷한 상황이군요. 마지막 낭송은 꼭 최종병기 활에서 들은 만주어 발음 같습니다...
@SeungYoon99963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생각
@chicken0403 жыл бұрын
만주어랑 북방어는 유사합니다. 예전 태조때엔 여진족과 함경도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했다고 하니까요
@inuuyuu58473 жыл бұрын
항문..아니 향문천님 정말 오랜만이에요 ㅠ ㅠ 오시자마자 이런 오류를 알려주시다니.. 향문천님 너무 대단하세요 사랑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