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라인 0:42 cell 올려두기 1:03 cover 올려두기 1:16 플라즈마로 cover의 표면 이물 제거 1:30 절연테이프 부착 2:37 cell을 직렬(48V) 스택 3:38 플라즈마로 이물제거 4:07 플라즈마로 모듈 부착부 이물제거 4:34 모듈 부착부에 접착제 도포 4:56 모듈 Cover조립 5:18 모듈 완성 5:36 cell to cell 절연 측정 5:43 테이핑이 된 cell의 조립 시작 5:51 플라즈마로 표면 이물 제거 6:16 cell to cell 접착제 도포 7:01 셀 6개 연결 7:32 6S2P(6직렬, 2병렬) 연결 8:16 cell terminal을 busbar로 연결 8:30 cell to busbar를 laser로 용접 8:46 Cover를 붙이고 모듈을 완성 9:43 모듈을 pack에 8개 배치 10:13 module to module 연결 10:39 96Ah 4V cell 12*8=96개 11:21 Pack을 완성하고, 충전
@Jjw-c4q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는 10:39 94Ah로 나오는데 뭐가 맞는거죠?
@jh99845 жыл бұрын
제조공정에 대한 공부중인데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iron48765 жыл бұрын
공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s-mx4cy5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자동화로봇들 보니까 대단하다는 말밖에
@dragonkim5153 жыл бұрын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봅니다. 감사합니다.ㅋ
@MusicOfHeartHealing5 ай бұрын
이번 벤츠 전기차 화재는 어느 회사 배터리를 쎴냐?가 중요하겠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게 배터리 셀을 모듈화 하는 공정에서 불량없이 조립하고, 차에 오류 없이 장착하는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지금 이영상으로 알게 되네요... 그리고 배터리를 통제하는 BMS 시스템이 오류 없이 작동을 해야 된다고 보는데 중국산 배터리 품질 문제가 있겠지만 배터리 불량 탓만 하기에는 배터리 모듈 공정이 복잡하고 정교하네요 혹시 그 화재난 eqe차량을 조립 과정에서 벤츠 측에서 불량 낸게 아닌가 싶네요 저의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 엔지니어TV님 생각은 어떠세요?
@kwangeunbaek73834 жыл бұрын
엘쥐나 삼성SDI 같은 업체는 배터리 셀 제작 업체인가요? 아니면 모듈 팩 공정까지 모두 다 수반하나요? 모듈 팩 공정은 완성차 업체 공장에서 진행하는 건가요?? 궁금합니다ㅠ
@gyle30685 жыл бұрын
플라즈마를 쏘여주는 이유는 이물제거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이는 플라즈마의 어떤 기능(효능) 때문인가요? (단순히 고온이라서 이물제거가 가능한건가요?)그리고 만약 플라즈마로 이물 제거를 해주지 않는다면 예상되는 Potential Failure는 무엇무엇이 있나요?
@eng_tv5 жыл бұрын
plasma 고온으로 태우는 겁니다. 배터리 cell 은 음극으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Cell to Cell 은 절연이 필요한데 셀 사이에 이물이 있으면 절연 테이프를 뚫거나 절연이 약해지면 누설 전류가 생겨서 열이 나게 됩니다.
@심준현-y2f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3:32에 모듈들고가서 레이져 용접하는건가요? 만약 레이져 용접이라면 어떤부분을 용접하는 건가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레이저 용접은 사이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하고(일체형도 있음, 영상에는 없내요), 3:32 영상은 레이저 용접이 아니고 졀연이 필요한 면에 플라즈마로 이물을 없애는 겁니다.
@심준현-y2f4 жыл бұрын
6:39에는 커버 assy를 사람이 loading 해주는 건가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다만 최근 라인들은 대부분 자동으로 합니다.
@심준현-y2f4 жыл бұрын
@@eng_tv 감사합니다!
@songbillionaire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05:24 이후 모듈과 상단커버(버스바) 사이에 레이저 용접과정이있나요 ?
@eng_tv4 жыл бұрын
busbar는 배터리 터미널과 레이저 용접을 해야 하고 상단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볼팅을 합니다.
@imskyline853 жыл бұрын
플라즈마 공정입니다
@성원최-k7g3 жыл бұрын
다들 똑같은 팩인거 같은데 같은 팩이 다른 모델의 차량에 들어가도 되는건가요?
@eng_tv3 жыл бұрын
그런 기술이 전기차 플랫폼 platform 입니다. 동일 플랫폼이면 교환 가능하게 됩니다.
@로얄-q5y4 жыл бұрын
혹시 궁금해서 질문하는데 배터리 모듈,팩 품질검사(신뢰성검사)는 전자학과도 연관성이 있나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배터리는 전지 전자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회로가 들어가기 때문에 연관이 있습니다.
@youngbeom813 жыл бұрын
모듈과 팩에 쓰이는 프레임은 어떤 소재를 사용하나요?
@박진-e3p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ptappta88334 жыл бұрын
한팩당 6s2p라고 자막이 나오는데 그럼 한팩당 24v이면 8개팩 모두 직렬로 연결해도 해도 192v밖에 안되는데 밑에는 400v가 기본이라고하면 어디가 맞나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EV는 보통 48V 12S 400V 가 기본이 맞습니다. 6S2P는 하이브리드 용으로 많이 적용됩니다.
@pptappta88334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군요 !. 전기차 시대인데 이런 사이트가 아직 많이 없고 저 공정도 설명이 없이 영상만 있어서 찾아보니 여기에 제대로 설명이 나와서 유심히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