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책이 널리 소개되길 바라는 마음에 영상에 소개된 책 정보 링크를 걸었는데, 유튜브가 댓글을 삭제한 것 같네요. 뒤틀린 한국의료 -김연희 첫 게스트로 시의적절한 타이밍에 나와주신 것 같아요. 너무나 중요한 이슈인데.. 자극적이고 편향적 정보와 소식에 가늠하기 어려운 가운데, 이런 차분한 관점으로 좀 더 잘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준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하고 건강한 컨텐츠 응원합니다.
@lIlllIIlllIllllllАй бұрын
의사파업 현상황을 깔끔히 요약해보면, 1. 총선용이다? -> 아님. 의대증원 확정 2. 법원에서 인용될거다? -> 의대생 기각, 증원필요성 인정 3. 대병 3월파산설 4월파산설 6월파산설 -> 파산 안함 4. 사직처리 못한다? -> 사직처리 완료, 전공의대표 화남 5. 법원소송 -> 의사들 27전27패중.. 6. 간호법, 공공의대 안된다? -> 간호법 통과완료, 다른 법안들 여야 모두 앞다투어 입법중 의대증원, 필수의료패키지, 독점권한배분 전부 현재진행중이죠. 27년동안 의료수요 폭증할동안 의대는 증원은 커녕 감원했고, 우리나라만큼 의사들이 독점권한 전부 다 쥐고 협박하는 나라가 없습니다 좌우 가릴거없이 박정희 김대중 문재인 전부 의료개혁을 시도했으나 의사 파업때문에 포기함 윤정부가 뚜벅뚜벅 해야할 정책 밀고가는건 정말 잘하는겁니다 의사들이 본인들 이익을 위해서, 환자를 버리면서 까지 인원제한과 독점권한을 사수하려는게 진짜 본질이자 원인입니다. 1. 의대증원 2. 해외의사개방 3. 미국유럽처럼 전문간호사에 권한배분(미용, 처방, 마취 등) 4. 물리치료사 단독개원 등등 다 필요합니다.
@zmfreerooАй бұрын
와 정말 이런 내용은 공영방송에서 해야될 내용 아닌가요?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하시는 김연희 기자님, 정희원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네요.
@promenade-Seoul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이 병원에 자주 가는 이유 중 하나는 빨리 나아야하는 사회이기 때문이기도 한듯해요. 경쟁이 심하고 휴식이 용인되지 않는 사회라서. 학생이 아파도 빨리 나아서 학교, 학원 다니고 과제 해야하고 회사원이 아파도 얼른 나아서 회사가고 눈치 봐야하니. 급히 병원약 먹고 빨리 나아야 하는 바쁜 나라.
@ritnourleeАй бұрын
ㅈ까고 있네 ㅋㅋ 누칼협?
@rbsvtАй бұрын
와 이부분은 생각도 못했는데 정말 맞는 거 같아요 ㅠㅠ 평일에 도저히 시간이 안나서 회사에서 잠깐 병원 가는 것도 눈치 보이고 그것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고 ..
@야옹이-b1dАй бұрын
사람을 자원으로 생각해서 그렇습니다.
@레몬-j8q6kАй бұрын
맞는말씀 공감합니다
@user-ul3vp7mo4kАй бұрын
👍🏻👍🏻👍🏻
@안녕하세요-m8y7oАй бұрын
와 진짜 이런 영상을 유튜브에서 볼 수 있다니 ㅋㅋㅋ… 세상 많이 좋아지긴 했구나… 논하기 어려운 주제인데,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김연희 기자님도 정말 멋있어요. 저같은 소시민들을 일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닐라계절Ай бұрын
서울에서 40년 이상 살다가 김포로 이사하면서 가장 불안했던 게 상급병원이 없다는 거예요. 그런데 2년 정도 살다보니까 지역 의료진에게 신뢰가 생겼습니다. 과잉진료 안 하시면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집니다. 설명도 충분히 해주시고요. 과거의 저를 반성합니다. 저도 시민의식을 더 높이겠습니다. 😊
@-VESPER-Ай бұрын
김포는 그래도 경기도권이니 그정도이죠. 지방도시는......
@바닐라계절Ай бұрын
@@-VESPER- 저도 답답합니다. 최재천 교수님 지적대로 우리 사회에 '숙론'이 사라졌어요.
@jj09jjАй бұрын
사실 피로해서 관심을 두지 않던 주제였는데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특히 기자님 전달력이 대단하십니다
@effect_of_heewonАй бұрын
기자님 너무 멋있어요...... 하나의 전문 분야를 가지고 날카로운 시각을 갖고 또 얘기하시는 것 너무 멋있습니다.
@Sunshine-007Ай бұрын
정희원 교수님 감사합니다 김연희 기자님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을 위해 진심으로 애쓰시고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폭넓은 지식을 국민들에게 알려주시는 귀한 애국자십니다 개인의 욕심보다 공동체를 위한 사회가 잘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6093-i8dkbАй бұрын
저는 지금 의료 민영화가 가장 두려운 것 같아요.. 돈없으면 치료도 못받고 미국처럼 될까봐요
@버들-t3tАй бұрын
의대정원과 관련해서 각자의 입장에서 편향된 이야기들만 봐왔어서 제3자의 시선으로 설명하는 이번 영상이 정말 반갑네요. 책도 읽어보겠습니다.
@cmk5240Ай бұрын
논하기 힘든 주제인데... 감사해요.
@kyrienkim5558Ай бұрын
기자님 열심히 취재해주신 열정에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정말 잘 보았어요. 저는 이미 의사가 된지 오래되어서 의사가 아닌 다른 시점을 잃어버린 것 같았는데, 의료계가 아닌 밖에서 보는 시각은 이렇구나 싶었어요. 넓은 시각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고, 분석하는 모습이 존경스러워요. 말씀도 차분하고 곱게 하셔서 너무 좋습니다. 과거에는 기자가 정말 초엘리트였는데 ㅎㅎ 그 시대 엘리트 기자를 보는 느낌이에요.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fairytale.1234Ай бұрын
긴 영상이지만 잘 보았어요, 기자님이 그간 취재하느라 많이 고생하셨을 것 같아요. 노고에 감사합니다. 균형 잡힌 정보를 취합하고 균형 잡힌 사고를 갖고 사안을 바라봐야겠습니다.
@파랑새-d3zАй бұрын
👏👏👏👏~~대부분의 의사선생님들이 자신의 전문분야 외에는 잘 모르신다는 말 저도 경험을 통하여 많이 느꼈습니다. 정희원 선생님은 예외로 넓은 시야로 관련된 여러분야를 두루두루 아울러 공부하시고 알려 주셔서 너무너무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juwonjeong4792Ай бұрын
그래서 요즘은 그게 단점으로 꼽히죠. 너무 좁은 범위의 자기 전문분야만 파다보니 딱 그것만 하실 줄 안다는 거. 예전만 하더라도 외과의면 이것저것 수술 다 할 줄 알았는데 요즘은 외과 안에서도 각자 할 줄 아는 수술분야가 너무 한정되어 있죠
@fggjtrsawpmАй бұрын
본인은 전문분야라고 할만한 분야는 있고하는소린가
@kyrienkim5558Ай бұрын
저도 점점 너무 세분화된다는 것의 단점에 대해 깊이 동의합니다. 근데 그것도 일종의 소송영향이 있기도 해요. 장중첩만 해도 소아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도 가능하고 내과도 배우기만 하면 가능한데, 점점 소송에서 네 전문분야가 아닌데 왜 손을 댔느냐 식의 판결이 나오면서 기술이 있음에도 시도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제가 전공의 때만 해도 기흉에 대해 흉관삽관이라는 기술이 있었는데, 이걸 꼭 흉부외과 뿐만이 아니라 응급의학과, 일부 내과도 했었죠. 그런데 이제는 흉부외과가 아니면 안하는 것 같더라구요. 더 예전… 제가 학생 때는, 아기도 받아봤고 산모 약처방, 산모 돌보는 법도 많이 배웠었는데 이젠 산부인과 소송리스크가 너무너무너무 커져서 산모는 손도 못 대게되었네요. 그게 산모 뺑뺑이 원인이 된 것 같아요ㅠㅠ 너무 슬픔.
@파랑새-d3zАй бұрын
제가 말한 전문분야 외에라는 뜻은 의사로서의 전공분야 외의 관련된 다른분야가 아닌 우리가 살아가는데에 연결된 세상 상식 내지는 구조를 잘 모르시는 것 같다는 뜻이었네요~~
@파랑새-d3zАй бұрын
@@fggjtrsawpm 제 글의 의미를 오해하신 것 같네요ᆢ
@wonderbigiАй бұрын
바이탈과는 의료소송때문에 아예 기피과가 되었습니다. 형사처벌받고 손해배상해줘야 하는데 누가 하려고 할까요. 거기다가 일단 유죄추정을 한다니ㅜㅜ 바이탈과 의사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가 있어야 합니다.
@momo-wn9ip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너무 공감해요
@lIlllIIlllIllllllАй бұрын
의료소송은 미국이 더 심합니다. 몇백억 배상도 수두룩해요. 그래서 의사들은 배상보험 다들 들고요. 우리나라는 정부가 배상보험 만들어준다니 의사들이 거부하고있죠 ㅋㅋ 보험비 내기 싫다면서요 걍 돈밖에 모르는 족속들이고 손해배상같은거 다 핑계에요 실제로는 의사의 큰 과실이 없으면 처벌 절대 안됩니다. 아기가 여러명 죽어도 의사들은 다 무죄받았어요
@lIlllIIlllIllllllАй бұрын
의료소송은 미국이 더 심합니다. 몇백억 배상도 수두룩해요. 그래서 의사들은 배상보험 다들 들고요. 우리나라는 정부가 배상보험 만들어준다니 의사들이 거부하고있죠 ㅋㅋ 보험비 내기 싫다면서요. 소송같은건 다 핑계고, 실제로는 의사숫자가 너무나도 부족해서 문제인게 팩트이자 문제의 근본 원인입니다. 젼체 의사숫자가 너무나 부족하니 의사가 부족항 특정과들도 생길수밖에 없는거죠. 실제로는 의사의 큰 과실이 없으면 처벌 절대 안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의료진 과실로 추측되는 원인으로 인해 신생아가 여러명 죽었는데 의사들은 다 무죄받았어요
@김석찌이이이인Ай бұрын
기자님이 차분하게 설명을 잘 해주셔서 귀에 잘 들어오네요. 지금 3분 1정도 봤는데 가서 두유라떼 한 잔 타와서 나머지 다 봐야겠습니다. 정말 중요한 내용이예요 다들 꼭 보셨으면 좋겠어요.
@행전s-n5jАй бұрын
민감한 주제인데 감사합니다. 정치 과몰입한 사람들이 몰려오지는 않을까 걱정이네요... 벌써 일부 정치인에 대한 비아냥이 섞인 댓글도 달리고...
@cozyland4023Ай бұрын
김연희 기자님의 한국의료 문제점에 대한 넓은 지평, 균형잡힌 시각과 처방, 그 전의 노고 어린 취재에 감사드립니다. 이런 책을 소개해 주신 정희원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선한 영향력과 전문성을 가진 진지한 분들의 연합된 노력과 지혜로 총체적 난관에 봉착해 있는 한국의료도 해결점을 찾으리라는 조심스런 희망을 가져봅니다.
@이근노-p5l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좋은 내용 잘 시청했습니다. 두 분 우리나라의 보물같은 인재이시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내밥상내맘대로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의료 생태계의 현황이 이해됐습니다 이용자(국민)의 몫(의무와 권리)를 새삼 알게 되었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jaesoonwhite5221Ай бұрын
존경하는 정희원 선생님. 몸 조심하세요. 사랑합니다. 응원합니다.
@hyunyoungkim1879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입니다. 문제의 실체와 해결점을 볼 수 있는것 같습니다.정부와 의료인들만 믿거나, 또 그들에게 불만만 터뜨릴게 아니라, 잠정적환자의 입장에서 기자님이 제안하신 것처럼 보건의료리터러시를 갖추고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 감사합니다.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티라노-p8n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우리 사는 세상이 어떻게 변해갈까요? 무섭기도 하고, 두렵기도 합니다. 40대 초반을 살아가고 부모님이 70대를 넘어서니 병원에 가는 일이 생각보다 잦고, 아버지는 최근 암 수술까지 하셨는데 병원에 다녀올 때마다 의사 선생님들에게 무한 존경심이 생기게 되네요.
@soangp5805Ай бұрын
피곤해서 관심을 괜히 두지 못하던 사회 문제인 것 같은데, 이렇게 폭넓은 시각으로 다뤄줄 수 있는 컨텐츠를 바라왔었습니다. 두 분께 모두 감사드리고, 이렇게 몽매했던 소시민적인 저의 일면이라도 일깨워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시민 사회의 리터러시.. 공감에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hjm3531Ай бұрын
무척 유익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HEEJAE-d5o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가치관과 모든 행보를 보면서 대한민국에 대한 인류애적이고 관용적인 사랑이느껴져요! 하나하나 설명드리는 것 보다는 저도 교수님 같은 어른이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는 말씀 올리고 싶습니다!!❤
@kje5535Ай бұрын
정말 제목대로 의정갈등 및 한국의료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침 없이 잘 알려주신 듯 해서 너무 감사합니다. 책도 꼭 구입해서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윤정숙-d8nАй бұрын
널리잘알고계시는 교수님모든것에 감사합니다 나이많은우리가 두럽지안게많은 정보부탁드립니다
@Bonabona1-y2dАй бұрын
정말 잘 들었고 시민이 의료시스템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주체 중 하나라는 김연희 기자님 말씀에 매우 동의합니다. 이번 기회에 조금씩 과소비적 의료행태에 대한 자각, 그리고 폭증하는 의료비를 향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정말 비용효율적인 의료시스템을 만들어가려면 무엇이 필요할지에 대한 고민이 점차 확산되었으면 좋겠네요. 당직서는 대학병원 의사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연희 기자님, 정희원 교수님 이런 고급 소식과 정보를 알고 많은 고민을 할수있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tvdfgАй бұрын
의료분쟁에 대해 궁금했던 부분들을 들을수 있어서 너무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구급차타고 병원 뺑뺑이 돌다 결국 치료 못받고 안타까운 상황이 되는 뉴스를 볼때마다 너무 속상한데, 여러가지로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합니다ㅜ 유익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기자님도 감사합니다❤
@ok-yunkim6325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노년내과 환자 안미순의 보호자 입니다 정말 뼈저리게 느끼는 부분과 왜곡 되어버린 삶을 생을 죽음을 되돌아보게하는 기자분의 취재에 메아리가 깊은 울림으로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 단초가 되길 응원합니다 기자님 책 꼭 보겠습니다 이런 자릴 만들어 주신 "안녕하세요? 노년내과입니다"가 담백하고 진실한 보석같은 길라잡이가 되길 기대합니다 정희원선생님 화이팅!
@chestnutygАй бұрын
20대이지만 1차의료에 대한 부분 정말 공감합니다. 대학병원에 가도 협진을 한다고 하시지만, 서로 다른과에서 검진, 검사를 받으면서 분절되어 있다는 느낌, 내 문제는 정작 해결된게 없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돈은 돈대로 나오고요. 그리고 하루종일 병원에 있으면서 너무 피곤하고.. 병원에서 병을 더 키우는 느낌? 20대인 저도 이런데 어르신들은 얼마나 더하실까요... 제발 정치인들 그만 싸우고 이런 중요한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할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김영임-m1dАй бұрын
너무 잘들었어요! 의대정원만 늘리면 되는줄 알았는데 총체적인 문제들이 많군요! 정교수님 김연희 기자님 계속 시민들 교육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Yulyul8383Ай бұрын
저도 의료인이지만 현 의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안은 전문가집단인 의료계가 정확하게 말씀드릴 수 있으나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의 문제인식에 대한 공감과 토론을 통한 의료이용자의 행동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토론의 구심점이 되어야 할 언론, 미디어에서는 자극적인 내용의 기사만 내세우고 있어 안타깝고 씁쓸했는데 참 반가운 책이네요! kbs도 정부가 망가뜨려 현 의료이용의 단골이신 어르신들이 생각하실 기회도 없어진 것 같아 더욱 답답합니다 😭 기자님같은 언론인이 더 많이 있으면 참 좋을 것 같은데요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JzzizisjsnwncjАй бұрын
ㅋㅋ 본인의 말이 앞부분과 뒷부분이 굉장히 반대되는데
@으갸갹-p2mАй бұрын
어휴 ㅉㅉ 의새
@fggjtrsawpmАй бұрын
말하는수준이 의사는아닌거같고 간호사정돈거같음. 의료인이라고 하는사람들은 다 간호사더라. 의사는 그냥 의사라고함ㅋㅋ
@김도윤-o5z3q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현 상황이 걱정스럽습니다...
@haewon_99Ай бұрын
전국민이 꼭 봐야할 영상!
@백은영-o5hАй бұрын
아~ 어려운 주제를 깔끔하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루 빨리 의료분쟁이 해결되기를 기원합니다
@user-uo8iu5dn8kАй бұрын
솔직히 의정 갈등 보면서 시민으로서의 의무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 없었는데,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네요! 질환 가지고 있는 걸로 2차병원에서 작은 수술 2번하고 거기서 몇년째 추적검진하고 있는데 주변 사람들이 대학병원 가봐라 이런 얘기를 많이 하더라구요,,, 그래도 몇년째 잘 봐주고 계시기도 하고, 양성 종양이지 악성 같은 것도 아니라 이런 걸로 큰 병원 가는 건 아닌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제가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영상으로 의료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은주-u9oАй бұрын
두 분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시민의 역할도 명심하겠습니다.
@woody3893Ай бұрын
너무 좋은내용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의료문제가 다층적다 라는 것과 전반적인 문제를 알게되었습니다!
@nyk2101Ай бұрын
이런 퀄리티의 영상이라니 너무 잘 봤습니다 시민 리터러시를 올리는것이 참 중요하겠네요. 더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기 전에 정부에서 제대로된 조정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미디어에서는 정부측 시각을 주로 조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자님같은 분들의 취재에 감사드리며 시민 차원에서 목소리를 낼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생기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구르미하세요Ай бұрын
지금 당장 내일이 아니고 피곤한 문제라 여겨 애써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단편적인 문제가 아니였네요. 시민의 몫이 무엇인지? 나 또한 권리만 생각한 것이 아니였는지?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양질의 내용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충분이 배우고 갑니다!!
@해나가다Ай бұрын
진짜 대박이다... 지성인들의 토론과 나눔.. 진짜 너무멋지고 감사해요ㅜㅜ
@박정은-z8nАй бұрын
이렇게 유익한 영상은 처음입니다 많은걸 생각하게하네요 좋아요 백번누르고싶어요
@ghan3359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간호사이면서 법학공부를 하는 한 시민입니다 관련 분야에 있어 의료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두 분의 대담을 주의 깊게 들었는데요, 결론적으로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 느낍니다.. 그런 공론의 장은 어떻게 마련하면 좋을까요? 기자님 말씀대로 의료공급자, 정부(사회보험시스템), 시민 이 삼각구도에서 논의를 이어나가야 다층적인 해결방안들이 도출될거 같은데 그런 공론의 장이 없어서 아쉬움에 고견을 구해봅니다 저 같은 사람들도 아마 많이 있을거에요 참여하고 싶은데 막상 방법이 없는... 지금 막 떠오른 부족한 제 생각으로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법원 판결이나 형사처벌면책 문제, 보건전달시스템, 기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중 구체적인 시민참여의 방법 등 하나씩 하나씩 다루면서 서로 연결, 종합해서 궁극적으로는 총체적인 의료 문제에 대해 다룰 수 있게 어서오세요 노년내과에 가 의료 공론의 장을 제공하는 단초가 되길 바래봅니다
@히로로-d8tАй бұрын
단순히 의정갈등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지속사능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재 봉착한 의료시스템에 대해 이해하고 주인의식을 갖는게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다같이 잘살기 위해 우리가 다같이 공부하고 풀어나갈 문제네요. 저도 보건의료 리터러시를 키우도록 하겠습니다
@김연-f6tАй бұрын
누군가는 이말을 해주었음 했던 의료계 일어나는 진실과 현재와 미래를 정희원교수님께서 사이렌처럼 영상을 올리신게 뜻밖이고 피로감을 느끼실법도 하신데 배포(?)ㅡㅡ있으심에 대단하시달지 7시간 수면의 힘이신가 싶기도한데 암튼 감사합니당😂
@리겔유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한국의료의 문제를 잘 알게됐어요.
@RINGKАй бұрын
50분이지만 전혀 짧지 않은 영상이었어요. 어려운 내용인데 너무 쉽게 표현해주셔서 이해가 쉬웠습니다. 한 번도 넘기지 않고 집중해서 봤네요! 시민으로서 내가 갖출 것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계속 관심 갖을 것 같아요. 다 보고나니 마음이 답답하지만.. ㅠㅠ 감사합니다!
@jockertar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내용... 깔끔하고 명확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ㅜ
@윤연숙-c5lАй бұрын
0:16 의료문제 다층적으로 접근해서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해결책이 나오길 바랍니다. 이 책. (뒤틀린 한국 의료) 많은 사람들이 봐야겠어요.
@달리는거북이-w7bАй бұрын
꼭 알아야될부분들인데 영상으로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박이영-m8m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을 잘 듣고 갑니다. 교수님의 지향대로 이채널이 100만 달성하시길 기도할께요 😊
@noname-gm3hhАй бұрын
조아요 먼저 나중 시청 늘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이세리-c6zАй бұрын
샘, 팬이예요!!! 성품, 지혜와 지식으로 인한 콘텐츠의 퀄리티가 항상 믿음이 가요. 홧팅하세요!!
@ewwep23l2jk3j2lАй бұрын
결국 문제는 돈인데,, 고령화때문에 한번은 겪어야 할 진통이고, 갈등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를 이끌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경찰청창살쇠창살-t6hАй бұрын
근데 누워있는 채소들이 너무너무 귀여워요..
@bluesunny8779Ай бұрын
기자한테 선입견 있는데 이렇게 훌륭한 기자님이 계시다니 찬사를 보냅니다 이런 내용은 공중파 TV에 방영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좋은 상식과 정보 감사합니다
@Raymid88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이 KBS 나 MBC 에서 나와야 되는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꾸기이모Ай бұрын
정희원샘 정말 찐이십니다. 책 사놓고 찔끔찔끔 읽고 있는데 독서에 큰 도움에 되네요❤
@김미영-g7dАй бұрын
계속 관심과 걱정이 되는 주제였는데..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많은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ophiachoi6554Ай бұрын
현재 의료상황을 사례와같이 자세히 알려주는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cypressese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inhwakim4119Ай бұрын
우와~~~ 용기 내주셔서 감사해요!
@SANGNYANG16Ай бұрын
직접 유튜브로 쉽게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annechoi3378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연암-r6w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kirstenkleeАй бұрын
한국 의료 시스템이 2000명 이전부터도 필수의료와 지방의료를 필두로 붕괴조짐이 있었던 것도 맞고 건강보험 재정도 곧 고갈되고 있어서 의대정원 찬반이든 뭐든간에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사회적 논의가 되어야 하는데, 그걸 근거도 없는 이천명 정책으로 붕괴되어가고 있는 건물에 기둥보강은 못할망정 폭탄을 터뜨린 게 화가 나는 겁니다…. 이천명 얘기랑 한국의료문제는 아예 따로 얘기되어야 하는 주제 같습니다. 갑분 이천명은 백지화 하고 이런 논의가 되어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영상 시청해야지….. ㅜㅜㅜ
@seicho4153Ай бұрын
의료붕괴의 시작은 민영의료보험 제도의 남용이라 생각합니다 이제라도 빨리 개선해서 필수의료현장에 의사들이 남아있게 해주셔야됩니다. 첫 게스트 너무 궁금했는데 너무 인상적인 분과 이슈여서 공감하고 갑니다~~
@coolcool99_GnaАй бұрын
한국 의료시스템의 다층적인 문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마치 시사인 잡지를 5페이지에 걸쳐 읽는 듯 들을 수 있어 정말 좋았습니다. 특히 의료체계에서 의료공급자, 정부 뿐 아니라 수요자인 일반 시민 또한 짊어져야할 의무가 있다는 말씀에 공감이 됐습니다. 지금 가장 치열하게 논의되는 담론이 단순히 의대 정원을 얼마나 늘리느냐 마느냐에 멈춰있다는 게 안타까워요. 김연희 기자님 글을 좀 더 자세히 읽어보기 위해 책을 우선 구매해야겠습니다. 좋은 인터뷰 정말 감사합니다!
@폼생폼사-e9pАй бұрын
자~알 경청 해습니다~ 모든게 중요한 사안 이지 만. 마지막 기자의 멘트를 들으며 느낀게 70. 80 된 우리는 약을 너무 남용하고 병원도 자주갑니다~~약과 병원을 가면 아프지 않코 병이 다~치료가 될 줄알아요~~노인도 문제. 환자도 문제 의료도 문제...!교수님 저속노화 프로그렘 속에 길이있고 답이 있는데 답답합니다.저는 70인데 수슬도 많이했지만. 지병없고. 약도 잘 먹지 않습니다~~저속 노화 실천을 하려고 노력하고있습니다~~교수님^^고마워요❤
@sukim0418Ай бұрын
바이탈과 의사들 힘들겠네요. 소송에 시달릴 수 있다니
@수기-o6iАй бұрын
내주위 70대이상 어르신들 병원여기저기다니며 시간보내시분들도 더러있드라구요 그분들옆에서볼때 그냥 운동을 전혀안하니 근육이없어서 잠 자고낭션 몸이불편한거인데 그냥 한의원 순방 일주일에 3.4회 ㅠ
@dohamondayАй бұрын
김연희 작가님 이 책 좋아요 의료 문제가 왜 심각한지 이슈별로 잘 정리한 느낌
@hyeajjАй бұрын
의료계 진상 영역 고뇌와 관련하여 돌장사 말씀하시는데, 오늘 노벨 문학상 수상한 한강 작가 책 에서 ‘흰 조약돌’을 침묵의 사물에 비유한 구절이 기상천외하게도 왜 떠올랐을까요? 😂 그러고보니, 의사의 가운도 흰 색이네요~ 현재의 의료 상황을 다면적으로 비춰 주셔서 직시할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귀무Ай бұрын
참으로 감사합니다 응급실 뺑뺑이 급박한 현실로 인해 불안한 우리들인데요ㅡ알려 주고자 하심에 분명히 압박도 있을터인데요 무지한 우리는 감동합니다.🎉
@은수기-t4tАй бұрын
22번째 영상 이런 내용을 유튜브에서 볼수 있다니 수준 높은 영상이네요
@장발장기스칸Ай бұрын
하..희귀성 난치병 폰탄(심장수술)을 하고 관리하면서 사는 20대후반 성인인데 저도 저지만 앞으로 또 태어났거나 태어나게될 아기들은 어떻게할지 참.. 이번에 세종병원가서 주치의 선생님과 대화를 하면서 소아청소년과 같은 곳이 참 암울하구나를 뼈저리 느꼇고 이번정주만 아니라 매 정부마다 힘들게 만드는 정책만 펼쳤더군요ㅠㅠ 제발 환자들과 의사분들 둘다 만족하는 조율이 필요할텐데 지금은 의사분들만 죽이는 느낌 의사가 죽으면 환자는 더 죽을텐데 하.
@fggjtrsawpmАй бұрын
@@장발장기스칸ㅠ마자요 진짜 큰병걸려보면 의사선생님 한명이 너무나 소중함 ㅠㅠ 의사죽이는정책은 안됨 자기가 죽는입장이 되어봐야 다들알거임 ..
@재원-c5iАй бұрын
자기가 안아프고 자기 가족 안아프다고 외면하고 군중심리에 빠져 의사에게 손가락질 하다가 자기가 아파보면 달라질까요? ㅠ 언제 그런 상황 닥칠지 모르는데 큰 소리치는 건 아닐텐데 말입니다 ㅠ
@lmh4336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뒤틀린 한국 의료" 읽겠습니다. 뉴스를 봐도 정부입장 의사입장을 자세히 다뤄주질 않아서 답답했습니다.
@꿈꾸는사람-q2gАй бұрын
PA설명이 수술방 간호사라고만 되어있어요. 추가 설명이 필요할 듯.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시민과 의료계가 같이 노력해야죠!!
@m달링하버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snowball_ingАй бұрын
수가 이슈도 바이탈과는 사람도 적으니 수가 논쟁에서 뒤로 밀리기 십상이고 비급여로 돈 잘되는 피안성(피부과,안과,성형외과)이 경쟁률은 제일 높은게 현실이죠.. 논의했어야하는 타이밍에 탄핵 이슈, 코로나 이슈 등등이 터져 지금 이렇게 하고있는거 같은데 안타깝습니다..
@재원-c5iАй бұрын
전부 선거때 표 받을려고 이용자 머릿수 많은 한의원 탕약등 경증 환자용으로 건강보험 적용 늘려준 여파죠 ㅠ 응급실 갑자기 무슨 일로 갈지 몰라도 그 소수의 긴급한 상황에 빠진 환자를 살려야 선진국이죠 ㅠ 이용하는 사람 머릿수 적으니 역대 정부들이 다 외면하고 미루고 한 것 아닙니까 ㅠ
@locuyulocuyu3952Ай бұрын
열린마음에 많이 공감합니다 어차피 살고 죽는거 남의얘기도 경청하는 자세가 많이많이 필요한듯 합니다
@darae817Ай бұрын
중증질환을 2개나 앓고 있어 현 의료사태를 매우 걱정스럽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성적인 좋은 컨텐츠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정작 행정부에서 정책을 만들고 집행하는 사람들이 기자님 만큼의 고민을 했을지 의문이 드네요 오늘 발표된 의대관련 교육부의 대책을 듣고 보니 더욱 걱정스러운 마음이 드는 밤입니다
@Rothko11Ай бұрын
와 정말 궁금했는데 잘 보고 갑니다. 의료시스템에서 발현되었지만 원인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네요. 외국에 살면서 한국 방문할때마다 의료서비스 감동하면서 이용하고있었어요. 의료진분들께 감사와 존경을 보내고싶네요.
@shantisatticАй бұрын
정희원 교수님 너무나도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100만뷰가 나와야되는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총체적인 문제를 눈높이에 맞게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초반에 기자님께서 기자님 책은 의사 수를 늘리는 것은 일정 부분 깔고있는 책이라고 하셨는데, 악플 아닌 의견을 드리자면, 의사는 매년 3000명씩 이미 늘어나고 있어, 일단 의사 수를 늘리고 줄이자는 부분, 의대 정원을 늘리고 줄이고의 부분은 1순위의 논의의 대상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그 전에 이미 배출된, 또는 앞으로 매년 배출될 3000명의 의사가, 필수의료영역에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보람을 가지고 종사할 수 있는 방법이 논의의 1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예전처럼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가 경쟁과가 되는 세상이 다시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님 좋은 인터뷰, 좋은 책 무한 감사 드립니다! 혈당스파이크 올라가는 속도로 서점에 가서 책 얼른 읽어보고 싶습니다!
@ab-pz7nt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현장에서 느끼시는 문제의 근본 원인은 결국 사회적 신뢰가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낮은 사회적 신뢰가 사회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거래비용을 지출하게 하는거죠. 그리고 사회적 불신이 가장 높운 세대는 지금 의료수요가 가장 높은 노년세대 입니다. 그들이 경제활동을 하던 청장년때는 사회적 신뢰라는게 있을 수가 없던 시대였습니다. 빽없고 아는게 없으면 당하는게 일상인 시대였고 안타깝게도 그들을 속여서 이익을 가장 많이 얻는건 전문가 집단이었습니다. 그나마 덜 당하려면 끊임없이 의심해야하고 목소리라도 키워야 손해보지 않았습니다. 이런 시대를 살아온 노년세대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면 한 사람의 의사 말만 듣고 의사결정을 하는 건 도저히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다른 영역도 마찬가지 입니다. 항소율, 상고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합니다. 사법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없다는거죠.
@LISANIMNIMАй бұрын
오호...노년세대가 살아온 시대는 그랬군요
@정빈임-j3d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tealatte6251Ай бұрын
준비없는 정책이 얼마나 무서운지 ㅜㅜ 피해는 국민이 고스란히ㅜㅜ 겁나요. 현재 의료 시스템은 한계가 왔고 앞으로 우리나라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Energe-lk9ylАй бұрын
정말 궁금했던 부분이에요! 궁금증이 해소되고 판단의 기준 형성에 도움되었습니다.
@lotushwang1550Ай бұрын
선생님을 꼭 만나고 싶어요.
@soc7194Ай бұрын
우와 전국민의 노화를 저속시키기 위한 교수님의 거시적 노력, 칭찬합니다! 1차 의료와 전문의 연계 시스템이 작동하면 의료사고는 국가가 해주면 됩니다. 뉴질랜드는 의사들은 의료중 일어난 일에 대해서 민사소송을 받지 않습니다. 정부 보험(사고만 보장; 의료사고도 사고로 보고 보장)에서 조사와 논쟁을 처리하고 의사의 의료 잘잘못은 의협에서 조사 처리합니다. 의사들이 소송 걱정없이 진료가 가능. 물론 정부 논쟁 조사위와 의협에 대한 신뢰도가 있어야 가능하지만 ...
@lrichar677Ай бұрын
크게 안터지고 이 정도로 잠잠하다는게 더 공포임.
@이주원-l6eАй бұрын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otuwha5577Ай бұрын
아플까봐 정말 무섭다. 특히 외상사고 날까봐 무서움.
@nosmokingplzАй бұрын
증원에만 매몰되지 않고 여러 시각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을 내어 한번쯤 읽어볼만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제 잔치는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사람들도 건보료의 증가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합니다. 이는 저출생국가의 필연적 숙명입니다. 의료인들의 사법 리스크 해결도 굉장히 중요하고, 필수 의료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의료인들도 지금처럼 정부와 줄다리기 하면서 망언을 쏟아내는 것보단, 더 설득력있는 담론이 꼭 나와야할 것이라고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