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유럽인들은 언제부터 식기를 썼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06,738

퍄퍄킴 역사

퍄퍄킴 역사

27 күн бұрын

* 숟가락의 역사, 나이프의 역사, 포크의 역사, 식기의 역사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pyapyakim_history
퍄퍄킴 멤버십 : / @퍄퍄킴

Пікірлер: 201
@anz1004
@anz1004 26 күн бұрын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한 킹덤 오브 헤븐에서도 유럽 왕족부터 기사들까지 모두 손으로 식사를 하는게 아주 적나라하게 고증되었죠.
@AR15AEG
@AR15AEG 23 күн бұрын
돈 한 푼 안 들이고 할 수 있었던 고증이죠 ㅋㅋ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26 күн бұрын
유럽에서 손으로 음식을 먹던 흔적은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다른 음식은 다 도구를 사용해도 빵 만큼은 손으로 떼서 먹는거죠.
@KK-ub6ub
@KK-ub6ub 26 күн бұрын
멍청하긴 ㅋㅋ 빵은 손에 안뭍잖아
@Sicriri
@Sicriri 25 күн бұрын
@@KK-ub6ub 멍청하긴 ㅋㅋ 묻이잖아
@gfkfan
@gfkfan 25 күн бұрын
@@KK-ub6ub 댓글 꼬라지가 딱 지 인생이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5 күн бұрын
빵은 도구를 써서 먹기 불편해요. 오히려 손으로 뜯어먹는 게 자연스럽죠.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25 күн бұрын
@@KK-ub6ub 말본새가 원종남 수준입니다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26 күн бұрын
인도인: 지들도 한때 맨손으로 음식을 먹어놓고 우리에게 왜 이상하게 바라봄???
@Sibasinu
@Sibasinu 26 күн бұрын
'한때'였으니까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6 күн бұрын
사실 아직도 중동을 포함한 플랫브래드 문화권에서는 손으로 식사를 하는게 보편적이죠. 이것은 해당 문화권에서 빵이 어느정도 포장재로서의 역할도 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가 부리또나 샌드위치, 햄버거를 먹을때 수저나 포크를 사용하지 않듯이 말이죠
@YoungbinLee
@YoungbinLee 15 күн бұрын
​@user-jk9cu5mn3w 인도에서 밥 먹을 때 숟가락이 보편화된 건 비교적 최근임.. 원래는 우리가 주먹밥 만들 듯 손으로 뭉쳐서 커리에 곁들여 먹음. 지금도 일부 사람들은 그렇게 먹음
@user-hm9fu5mt7e
@user-hm9fu5mt7e 23 күн бұрын
0:52 볼 빵빵해진 퍄퍄 귀여워요
@dinos119
@dinos119 26 күн бұрын
여담으로 포크는 동양에서도 사용한 흔적이 있는데 중국에서 대락 기원전 2천년 전~후한 시기에 사용된 포크가 출토된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chungsehoflanders9994
@chungsehoflanders9994 26 күн бұрын
고기를 공평하게 자르는 건 지금 시대에도 엄청 중요하지요. . 😅
@user-eg7jh1iv2g
@user-eg7jh1iv2g 26 күн бұрын
😂
@shipduck111
@shipduck111 26 күн бұрын
나썩었나봐 굥평으로 봤어 하 진짜 ㅋㅋ
@anz1004
@anz1004 26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유럽,미국에선 메인 요리인 고기를 호스트가 나눠주는 관습이 남아 있습니다.
@gz9tr2le4b2nsi
@gz9tr2le4b2nsi 26 күн бұрын
​@@shipduck111 뭣
@user-oo3mf9sl8d
@user-oo3mf9sl8d 26 күн бұрын
​@@shipduck111 정치병 심각하네
@user-ub5ui8xi3f
@user-ub5ui8xi3f 26 күн бұрын
지금도 인류의 절반 가까이는 손으로 식사를 하고 있음.
@ulrichkesler1220
@ulrichkesler1220 26 күн бұрын
밥상에선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던 우리네 문명이 더욱 세련되고 훌륭했지요
@KK-ub6ub
@KK-ub6ub 26 күн бұрын
개 헛소리 하지마세요 짜증날라하네
@Aamou_
@Aamou_ 26 күн бұрын
식기를 쓰는 냥이들 커엽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6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지금 우리가 접하는 포크의 형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만들었지요.
@user-td2np1sb4n
@user-td2np1sb4n 26 күн бұрын
동양은 삼국시대부터 숟가락 써서 박물관에 고대 숟가락 차고 넘침
@abhsydgdk
@abhsydgdk 26 күн бұрын
역시 귀여움 × 지식전달은 퍄퍄킴이 최고
@user-of3nu2mc5p
@user-of3nu2mc5p 26 күн бұрын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섭정의 식사장면 보면 정말 세 손가락으로 먹더군요 ㅎㅎ
@rokivulovicgood
@rokivulovicgood 23 күн бұрын
따흐앙1!! 레 오나르딜도빈치가노무좋아해벼엄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Le nrdíldebinçiganommeohæpioum
@AR15AEG
@AR15AEG 26 күн бұрын
서유럽은 사실 상 18세기 이후에나 돼서야 제대로 된 커틀러리가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청나라에서 도자기가 전래 및 보급되기 시작한 것과 연관이 깊습니다. 그리고 한 세기 이상이 지나고 나서야 비로소 현재의 우리가 아는 서양식의 식사예절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즉 이 인간들도 자기들이 말하는 "품격있는 식사"를 하기 시작한 것은 정말 얼마 안 됐다는 얘기... 적어도 18세기 이전 유럽 배경에서 수식을 하는 장면이 니온다면 고증 맞음 ㅇㅇ
@KK-ub6ub
@KK-ub6ub 26 күн бұрын
저 시절 동아시아 특히 한국은 개걸스럽게 먹었었음
@jaeunha5
@jaeunha5 25 күн бұрын
@@KK-ub6ubㅋㅋㅋㅋㅋㅋ 무시케~
@user-fq8gy4yn2j
@user-fq8gy4yn2j 25 күн бұрын
@@KK-ub6ub ㅄ
@cuvhowbndlk
@cuvhowbndlk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20세기부터 개인 식기를 썼다네요..
@gQESU3zPZtX3
@gQESU3zPZtX3 25 күн бұрын
​@@KK-ub6ub 일본 농민들은 수탈이 심해서 먹지도 못하고 마비키했다 원종아
@user-iu6bl6ud7e
@user-iu6bl6ud7e 25 күн бұрын
먹을 것 관련 영상은 특히 재밋어
@_Tidian
@_Tidian 25 күн бұрын
이걸 보고나니까 젓가락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1RNG
@1RNG 25 күн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유난히 더 귀엽당
@gt-sx8pw
@gt-sx8pw 24 күн бұрын
캐릭터 너무귀여워요 조만간 가입하려구요
@javaxerjack
@javaxerjack 26 күн бұрын
지금도 유럽에서 중요한 재산이라고 할 수 있는게 은 식기 세트라고 하니까 역사가 상당한 것이죠. 그리고 제 생각에는, 지금 나이프를 왼쪽으로 잡는게 예전의 식사 방법과 관계가 있다고 봅니다. 저 식사를 위해 가져온 나이프가 식사 전용이 아니라 유사시에는 호신용으로도 쓰이는 상황이었습니다.
@symthile
@symthile 25 күн бұрын
나이프는 보통 오른손으로 쥐지 않나요?
@jingjingyee
@jingjingyee 23 күн бұрын
나이프를 왼손에 잡나요?
@Taruwoo
@Taruwoo 26 күн бұрын
퍄퍄김 영상과 함께 즐거운 토요일 밤
@Nagune_Lang
@Nagune_Lang 26 күн бұрын
00:00:20 채널에서 응가 주제로 영상 자주봐서 그런지 다른 용도였다고 하셨을때 설마....하고 생각한 난...더럽혀졌어.ㅠㅠ
@abbag329
@abbag329 25 күн бұрын
나돈데...ㅋㅋㅋㅋ;;;
@aadretin6552
@aadretin6552 26 күн бұрын
바로 따봉
@songes3058
@songes3058 26 күн бұрын
고양이 그림 넘나 귀엽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5 күн бұрын
퍄퍄킴님 식기에 대한 영상 더 만들어 주세요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5 күн бұрын
서양에서 식기류를 커틀러리라고 부르는 게 나이프 때문인가? cut(자르는)하는 도구라는 뜻으로 쓰인 것 같은데 숟가락보다도 접시의 고기덩어리, 도마의 빵덩어리 잘라먹는 게 중요해서 그런가보네.
@user-hb9ig3ql6o
@user-hb9ig3ql6o 26 күн бұрын
면을 손으로 먹을 거면 왜 만드는겨
@youdieee
@youdieee 26 күн бұрын
보관성 ++++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6 күн бұрын
당시엔 면을 압착해서 삶은 뒤에 손으로 그냥 먹었습니다 우리들이 흔히 사용하는 포크가 대중화가 된 것은 중세시대가 끝나는 15세기 때입니다
@user-si7lx4xw8x
@user-si7lx4xw8x 25 күн бұрын
맛있잖아 한입해
@sungminchoi9242
@sungminchoi9242 23 күн бұрын
시대가 다른거지 미래에는 감자튀김을 손으로 먹을 거면 왜 만드는겨 이럴수도 있음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23 күн бұрын
면류는 중앙아시아에서 전파되었다함.
@MajorSilk
@MajorSilk 21 күн бұрын
0:37 쿵후(Kungfu)의 원조군요~😂
@user-vw7lr4ih7e
@user-vw7lr4ih7e 26 күн бұрын
접시까지 먹는 의미로의 음식도 있으니 그냥 재밌게봅시다^^
@109zagal
@109zagal 26 күн бұрын
AI가 라면 손으로 집어먹는 그림을 그린건 이런 역사적 배경이 있었군요!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6 күн бұрын
사회의 문화적 관성이 얼마나 강한지를 잘 보여주는게 포크의 전파 과정이죠 동양권은 젓가락을 주로 사용해서 참 다행입니다
@bugs_bunny__
@bugs_bunny__ 26 күн бұрын
역시 퍄퍄님은 미시사지ㅎㅎ
@sfk1031
@sfk1031 26 күн бұрын
나무 젓가락은 상당히 오래전에 사용되고 널린게 나무였으니 전쟁하다가 간단하게 꺽어서 만들수 있었지. 청동기가 되면서 젓가락을 쉽게 대량생산했겠지. 조선인들은 다양하게 젓가락을 썼을꺼고 뜨겨운 음식을 먹어야 하니 손으로는 택도 없었지. 뜨겨울때 먹어야 맛이 있는데 나무숫가락은 뜨겨운 음식에 약점이니 구리젓가락이 일상적이였지.
@user-ug2vj9ru2s
@user-ug2vj9ru2s 26 күн бұрын
청동기랑 젓가락이랑은 상관이 없다고 보네요 청동기에 청동으로 젓가락을 만들지는 않았으니까요 청동은 청동기에도 비쌌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제외하면 금속 젓가락 사용은 흔치 않습니다. 잘못된 편견이에요 대부분의 나라는 나무 젓가락을 사용했습니다 옻칠을 하던 후처리를 거치던 해서요. 지금도 쇠젓가락 거의 안씁니다.
@youdieee
@youdieee 26 күн бұрын
​@@user-ug2vj9ru2s조선인이라고 언급하는걸 보니 한반도에만 한정하고 있음, 따라서 금속 젓가락을 언급하는게 틀린게 아님, 근데 나무 젓가락이 왜 열에 약한지는 모르겠는데 가공된 나무가 약해질 정도의 온도면 타버리는 온도가 아닌가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23 күн бұрын
주식이 빵인데 손으로 먹는게 더 자연스럽긴 함. 빵을 스프에 찍어먹기는 포크나 다른 도구보다 손이 편하기도 하고.
@user-rf6sx1ko9h
@user-rf6sx1ko9h 26 күн бұрын
0:40철사장 뭐냐고ㅋㅋㅋ
@NF3F_ollelt
@NF3F_ollelt 23 күн бұрын
면을 손으로 먹다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IlIIIlI
@lIlIIIlI 26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면은 젓가락이지
@user-uy7ke9qh3k
@user-uy7ke9qh3k 24 күн бұрын
30년차 젓가락러로서 뭘 집고 찌르고 썰고 나누던 젓가락이 최고인 것인
@user-mh2xo2cn8q
@user-mh2xo2cn8q 23 күн бұрын
파스타는 포크가 확실히 편하던데 왜그런지는 모르겠음 면이 굵어서 그런가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5:41 어릴때 난 오히려 악마의 삼지창보고 식기용 포크인줄 알음
@user-zu7wp5mw4k
@user-zu7wp5mw4k 26 күн бұрын
젓가락을 남겨주신 조상님들 감사
@HAM-xu6jp
@HAM-xu6jp 14 күн бұрын
중국인임..
@sukyoung
@sukyoung 26 күн бұрын
요즘 유럽 엄마들 애들 똑똑하게 키운다고 포크 못쓰게하고 젓가락 쓰게하는 집들도 있습니다 ㄷㄷ
@javaxerjack
@javaxerjack 26 күн бұрын
근데 별 효과 없죠. (그냥 유사과학)
@youdieee
@youdieee 26 күн бұрын
​@@javaxerjack머리가 똑똑해지는건 유사과학에 가까우나, 젓가락과 포크 둘다 쓰는건 언어 하나를 배우는것과 같죠. 쓸데없긴 하지만.. 아시아의 문화에 대해서 하나는 가지는거니까요
@user-tr9sg4eo6v
@user-tr9sg4eo6v 26 күн бұрын
퍄퍄킴님 영상을 좋아하는 팬입니다. 저는 몽골사를 너무 좋아하는데 개인적으로 유튜브에서 칭기즈 칸의 몽골 통일 과정을 볼수없는게 너무 아쉽습니다. 퍄퍄킴님이 몽골 통일 과정을 영상화 해주시면 너무 감사할거 같습니다ㅠㅠㅠ🇲🇳🇲🇳🇲🇳🇲🇳🇲🇳🇲🇳🇲🇳
@user-ee4yo1pv2o
@user-ee4yo1pv2o 23 күн бұрын
캐릭터 굿즈는 안파나요?
@namhwanoseon
@namhwanoseon 26 күн бұрын
수저론은 최근이 아녔군요 그리고 인류의 역사는 반복되는것 이구요. 뭐.. 저는 펄 수저니까 열심히 일해야겠군요!
@hoyhoy312
@hoyhoy312 26 күн бұрын
파스타 맨손으로 먹을려니 뜨거워서 ㅋㅋㅋㅋㅋㅋㅋ
@Kebeb2010
@Kebeb2010 26 күн бұрын
새 영상이다!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26 күн бұрын
동방이나 다른 지역은? 궁금하네요
@Ratatou2
@Ratatou2 26 күн бұрын
제가 들은거로는 모닝빵을 먹을때 나이프를 쓰지말고 포크로 하라고 들었는데 이 자료는 찾기가 여럽네요... 이후 에피소드로 식사예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것이 나오면 재밌읅서 같습니다.
@user-lt7vo8rp8s
@user-lt7vo8rp8s 26 күн бұрын
퍄퍄킴 세계 탐정 제도의 역사도 올려주세요.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26 күн бұрын
동로마: 프랑크와 라틴족은 포크도 안쓰고 밥을 먹어?
@user-rj6yc2ny9t
@user-rj6yc2ny9t 26 күн бұрын
0:32 이거 소림사 같은 데서 숯 같은 뜨거운 것에 주먹 꽂은면서 하는 훈련 아냐? 4:01 폭력적이게도 교정하네..
@user-de2vb1yx1f
@user-de2vb1yx1f 26 күн бұрын
인도인:지들도 식기 사용한지 얼마 안되어 놓곤 우리한테 야만하다고 한거야?
@user-vg2cu2yy8m
@user-vg2cu2yy8m 26 күн бұрын
이노무식기
@user-fs2xt2yh9y
@user-fs2xt2yh9y 24 күн бұрын
여기서 TMI 중세시대를 배경으로하는 게임에서의 식기가 나오죠 그이유가 15세기에서 17세기를 기준으로해서람니다 뭐 사소한문제라면 의학부분은 초기중세를 따른다는거만빼고요
@goodwind126
@goodwind126 25 күн бұрын
동아시아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ypagm
@ypagm 26 күн бұрын
서양에서는 식기가 제대로 정착했던 것은 근세부터 시작되었구나 중세때부터 시작된 줄 알았는데 영화에서 중세 배경으로 한 몇몇 작품에서 손으로 집어서 먹는 장면을 본 것 같은데
@user-il8bt8py8i
@user-il8bt8py8i 26 күн бұрын
4:06 아니 양손 나이프가 불편해서 포크를 대신 줄거면, 그냥 나이프를 날리면 되잖아ㅋㅋㅋㅋ 왜 죄없는 고기를 날려버리는거야ㅋㅋㅋㅋㅋ
@user-ij1cm2tf2p
@user-ij1cm2tf2p 25 күн бұрын
이세계물에서 이것이 숟가락이라는것이다 할때 통하는게 진실이라니
@user-ed4hc1mx1d
@user-ed4hc1mx1d 2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스폰지에 수저관련 이야기에 로미오와 줄리엣이 손으로 먹는 장면이 나왔구나
@user-xu1ye6ml2s
@user-xu1ye6ml2s 2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쩝쩝 소리를 내서 먹거나 팔을 테이블에 못올리게 하는구나 수틀리면 칼과 포크가 흉기로 돌변하니까
@user-xv6un2ny9g
@user-xv6un2ny9g 25 күн бұрын
참고로 식탁보의 원래용도는 얼굴이나 손닦는 용도라고함
@user-fr6lr5nm1m
@user-fr6lr5nm1m 25 күн бұрын
다음은 동양의 식기문화인가요
@grj3616
@grj3616 26 күн бұрын
식기가 없으면 대신 손 씻는 그릇을 식탁 위에 미리 준비해뒀겠지? 설마 없었을 리가 ㅋㅋㅋㅋㅋㅋ
@petra24_
@petra24_ 26 күн бұрын
핑거볼이 있었다는 얘길 들은것같긴한데,,,
@user-mn4lj7iw3w
@user-mn4lj7iw3w 14 күн бұрын
중국 송나라까지는 중국이 진짜 미친듯이 발전된 나라였는데....
@luansen0
@luansen0 26 күн бұрын
좀 더 시간이 지나면 숟가락과 얇은 집게가 대세를 이루게 됩니다
@manobit
@manobit 26 күн бұрын
숏컷 킹받네요 ㅋㅋㅋ
@jichangji
@jichangji 26 күн бұрын
동양판도 만드실거라 믿습니다
@mayakovskidima3233
@mayakovskidima3233 26 күн бұрын
동로마 공주였나 시집올때 가져온 포크가 암살 도구로 의심받은적도 있었음
@jhshin9413
@jhshin9413 26 күн бұрын
뜨거운 모래대신 뜨거운 물로 철판같은 손바닥 만드는 고대 그리스의 고양이.
@winnie_love_honey00
@winnie_love_honey00 26 күн бұрын
수저가 정착된게 오래된 역사가 아녔군요
@gyujeong9314
@gyujeong9314 Күн бұрын
그러고 보면 유럽이 유별나게 인권, 위생 타령하는게 자신들이 예전에 인권이나 위생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아왔던 것에 대한 자기 방어 기제가 아닌가 싶기도...ㅡㅡ
@parksanggyu1280
@parksanggyu1280 26 күн бұрын
영국에서는 제임스 2세인가 비만이었던 왕이 속보다 포크를 써서 식사를 하면서 식사량을 조절했고, 그걸 계기로 포크사용이 퍼졌다고 합니다. 왕이 쓰니까 고급문화로 여겨지게 된거죠.
@user-ne9yr3oc9h
@user-ne9yr3oc9h 5 күн бұрын
실제로 비만 관련으로 사망한 영국 왕들은 대표적으로 헨리 8세, 앤(안나) 여왕(이분은 임신 실패로 유산도 무지 많이 겪음), 조지 4세가(브리저튼에 나오는 조지 3세의 아들로 추정되는 사람이랄까?) 있다고 하더군요.
@user-ne9yr3oc9h
@user-ne9yr3oc9h 5 күн бұрын
사실상 세상에는 맨손으로도 식사하는 사람들도 많이들 있죠!! 역사적으로 그렇게 거쳐왔으며 사상적이기도 했고요. 왜 우리도 과거에는 맨손으로 밥먹는 이들에 대한 편견도 가져온 것일까요? 한때 우리도 먹을게 별로 없었던 시절도 있었던 시절이 있는데
@2345pok
@2345pok 26 күн бұрын
보고자야지 ㅋ
@user-gf8bu7iw5m
@user-gf8bu7iw5m 25 күн бұрын
빵이나 건조한 음식은 손으로 먹을 수 있지만, 기름기나 수분이 있는 음식, 양념된 음식을 손으로 집어 먹는 것은......
@user-qz7lp5bp3k
@user-qz7lp5bp3k 18 күн бұрын
I have ten forks!
@helookscool
@helookscool 15 күн бұрын
천해....
@rawlsk14
@rawlsk14 25 күн бұрын
유럽이 선진국이고 아시아 나라들을 자신들보다 후진국이라고 무시하는 경향이 지금도 있을건데 전체 역사를 보면 유럽이 선진국 반열에 오른 건 최근 몇백년에 불과함...그전까지는 유럽이 아시아에 비해 미개한 곳이었음..
@user-vx4gy7pg1k
@user-vx4gy7pg1k 25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식민역사를 통해 막강한 부를 축적했고 그 효과가 100년이상 갔다고 보는 견해도 상당함
@user-xd3il1jd3x
@user-xd3il1jd3x 24 күн бұрын
그리스 로마는요.. 동양이 서양보다 앞섰다고 말하기 어렵군요
@t89.7musd7skejf-
@t89.7musd7skejf- 23 күн бұрын
그건 좀 너무 쇼비니즘적인 생각이네요.. 그리스나 로마 문화만 봐도 동아시아가 앞섰다고 볼 수 없어요… 특히 이탈리아반도의 로마 이전의 에르투리아만 봐도 국가적인 형태만 못 갖췄을 뿐… 상당히 발달된 문명을 가졌어요… 영국이나 프랑스 네덜란드 서유럽 켈트문화도 로마에 비하면 떨어졌을 뿐이지 당대 세계적으로 봤을 때 나름 발달했고 중세초기에는 로마문화가 소실되었지만, 영국 남부에서 발견된 Sutton hoo 유적지나 초기 프랑크 유적만 봐도 동아시아에 비해 미개하다고 하기 힘드네요.. 7세기 일본 발굴 유적을 보면…. 일본보다는 서유럽 게르만 문화가 앞선 느낌이네요.. 뭐 당시 중국 당나라나 신라문화는 매우 선진적이긴 했지만.
@user-ee1kp3zh4n
@user-ee1kp3zh4n 23 күн бұрын
로마제국이라고 아시나요
@HAM-xu6jp
@HAM-xu6jp 14 күн бұрын
중세시대에도 1인당 소득은 유럽이 더 높았음
@ivlsizz
@ivlsizz 26 күн бұрын
서유럽에서 포크 사용자 비판은 동로마 사람 비난하던 이야기 그대로내요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25 күн бұрын
저때는 잘 씻지도 않던 시절이었으니 병걸리기 더 쉬웠겠군.....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신은 위생관념을 깜빡함
@user-mm4jw3td6e
@user-mm4jw3td6e 26 күн бұрын
젓가락이 진짜 편한데
@rubeejjang
@rubeejjang 25 күн бұрын
중세 길거리보면 돌바닥에 뭔 흙이 저리많고 물기가 흥건할가했드니 똥오줌였....
@yorshigol85
@yorshigol85 23 күн бұрын
영국서 유학할 때 인도 친구네 집 따라가서 저녁 먹은 적 있는데 우와... 그냥 밥도 아니고 카레로 비벼진 밥을 손으로 먹는데 ㄹㅇ 기분 이상하더라 ㅋㅋㅋ 먹고 나서 손 씻을 때도 좀 눈치보였음 다들 손수건으로 쓱 닦고 끝 오메... 난 쉬마렵다고 화장실 가서 거기서 빡빡 문질러 씼었지
@yangwmo
@yangwmo 26 күн бұрын
교황만두인줄 썸네일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오타남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교황은 악귀
@abbag329
@abbag329 25 күн бұрын
재밌네!^^
@TNT5TNT
@TNT5TNT 26 күн бұрын
그놈의 종교 때문에 손으로 음식먹다니, 칼을 밥먹을 때 쓰는것도 진짜 어이없는거지
@jungkouho
@jungkouho 25 күн бұрын
종교때문에 손으로 먹었다기보다는 금속이 귀했던거죠. 중세 유럽은 나무몽둥이와 돌팔매질로 전쟁하던 시기입니다.
@user-kk6pn2zm7f
@user-kk6pn2zm7f 26 күн бұрын
고대에도 식기를 쓰려 했는데, 현대에도 식기를 쓰지 않는 곳들은 종교적 영향 때문일까...?
@jackpotnice
@jackpotnice 26 күн бұрын
동아시아에서 식기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Drand_Just
@Drand_Just 25 күн бұрын
기원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perico5634
@perico5634 26 күн бұрын
손가락 데여서 안아팠을까나......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6 күн бұрын
아니 당시에 나이프와 포크로도 식사를 안하고 손으로 했다면 얼마나 더러웠다는거야 ㄷㄷ
@user-bs9td3nb6w
@user-bs9td3nb6w 26 күн бұрын
이제는 떵에서 음식으로 종목변경? ㅎㅎ
@user-qi2jw8bo9h
@user-qi2jw8bo9h 26 күн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지
@Suggestions12
@Suggestions12 26 күн бұрын
군무원의 역사역할이야기해주세요 112트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천사가 와서 말했는데 요즘은 신께서 말씀하시길 신체로 먹으면 바이러스라는 징벌내리고 포크 사용해도 봐주심
@user-tave-money
@user-tave-money 2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소고기로 인해 로마가 멸망했다는거죠?
@MyEyeSand
@MyEyeSand 26 күн бұрын
인도에는 왜 숟가락과 포크가 전파되지 않았을까요? 아직도 손가락을 고집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youdieee
@youdieee 26 күн бұрын
인도에는 수 많은 민족과 거대한 영토가 있고, 지금도 유럽처럼 퍼지는 중이라고 한다면 어느정도 설명이 되겠죠. 인도의 부족과 문화는 방대하고 변화가 쉽지 않으니까요. 식기를 사용하는 인도인들도 있고 사용하지 않는 인도인들도 있으니 어느정도 맞을거에요.
@user-ee1kp3zh4n
@user-ee1kp3zh4n 23 күн бұрын
걔네도 우리처럼 밥이랑 반찬이랑 국먹었으면 수저 썼을거임
@woongjinchang9652
@woongjinchang9652 25 күн бұрын
어차피 스파게티를 손으로 먹을 수 밖에 없던 사람들은 스파게티를 노상에서 사먹던 가난한 사람들인지라....
@user-gx9hk8gt3k
@user-gx9hk8gt3k 26 күн бұрын
중세 유럽인들은 식사하러 칼 2개를 갖고 다녔으니 무장한 상태로 돌아 다녔네. ㅋㅋ!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 26 күн бұрын
쇠로 된 젓가락과 수저는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일본왕가에서는 일반화!!! 중국 일본은 나무젓가락!! 일본왕가는 백제왕가의 후손들!!
@byzantina6974
@byzantina6974 25 күн бұрын
근데 진짜 신의 징벌이었던거임 !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나 신 싫은데...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종교인?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난 차라리 징벌 택
@Yoro_story
@Yoro_story 26 күн бұрын
(이미 폭파된 게시물을 대신하여 올라온 영상입니다)
@Record..
@Record.. 25 күн бұрын
이래놓고 자기들은 우아하다고 한 겨? 우아함은 아시아가 먼저인 듯
@user-ij1lu1tq9e
@user-ij1lu1tq9e 21 күн бұрын
아시아도 하긴 그렇죠
햄버거 세트, 왜 하필 감자튀김일까🥄 | 돈슐랭 / 14F
8:34
14F 일사에프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고대 서양의 미친 기술들
8:57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415 М.
Each found a feeling.#Short #Officer Rabbit #angel
00:17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인류는 이 미친 질병을 어떻게 극복했을까?
12:30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641 М.
물고기 잡아서 만든 세계 패권국
8:10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107 М.
신생대 연대기: 大포유류의 시대(공룡의 몰락부터 인류의 등장까지)
13:37
왜 고기를 못 먹게 했을까?
9:07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649 М.
공부를 가장 싫어했던 왕 ㅋㅋ
9:38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805 М.
음식 취향이 특이했던 조선의 왕들
9:26
퍄퍄킴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한국인이 김을 먹게 된 뜻밖의 이유🥄ㅣ돈슐랭 / 14F
9:24
Each found a feeling.#Short #Officer Rabbit #angel
00:17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