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 판단력 비판 1 (아름다움에 대하여)

  Рет қаралды 96,154

5분 뚝딱 철학

5분 뚝딱 철학

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미학, 판단력 비판 중에서 아름다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Пікірлер: 176
@user-ld4qh4xp8s
@user-ld4qh4xp8s 2 жыл бұрын
칸트가 2개의 비평서를 집필한 후, 그래도 남은 허전함에 빠져들 무렵, 그에게 판단력 비판의 출발을 도와준 계기가 있었다. 어느날 방문한 미술관에서 한 평범한 사람이 예술작품 앞에서 무아지경에 빠져 눈물울 흘리는 그 광경 이었다. 위대한 철학자의 여정을 밟고 자신조차도 가질수 없는 "그 무엇"이 그 보통 사람의 인식속에 이미 내재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이 순수이성과 실천 이성의 간극을 연결해 주게 되었다. 이로써 역사 또는 역사학의 인식에 있어서까지 필수적이지만 결여 되어왔던 판단력 - 미학은 시작이 되었다.
@user-mv3su2jz4y
@user-mv3su2jz4y 2 жыл бұрын
여름이었다…
@user-vm1yl1lc4k
@user-vm1yl1lc4k 2 жыл бұрын
여술의 본질은 감동입니다.
@user-ge2fh5rc3g
@user-ge2fh5rc3g 2 жыл бұрын
혹시 일화의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판단력 비판에는 나오지 않는 듯해서..
@user-ct8mc9hc5o
@user-ct8mc9hc5o 11 ай бұрын
@@user-mv3su2jz4y 니 애미
@user-qc6qw8tx6n
@user-qc6qw8tx6n 8 ай бұрын
13:30 무목적적합목적성
@user-jw5nu2db9v
@user-jw5nu2db9v 3 жыл бұрын
철학을 이렇게 쉽게 이해할 수있도록 이끈다니 놀랍습니다 전엔 칸트의 3대비판서는 감히 옆에 갈 꿈도 못뀠는데.. 교수님 참 감사합니다
@user-fg9vm2rs2g
@user-fg9vm2rs2g 3 жыл бұрын
설명도 설명이지만 지루하지 않게 이어지는 편집들도 얼마나 영상에 공을 들이셨는지 느껴지네요. 지난번 심신이원론 영상을 학교 레포트 작성에 참고했는데(그 부분이 주는 아니었지만 주제를 여는 바탕으로 잘 사용했던 덕인지🙂) 교수님께 우수과제로 선정되었습니다. 채널에서 소개해주시는 내용들이 철학책들을 꼼꼼히 읽어야 얻을 수 있는 지식인데 간편히 유튜브로 받아볼 수 있어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어요. 책을 사서 읽는 걸 좋아하는데 다른 책에 접근할 때도 항상 도움이 됩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지금은 새내기에 불과하지만 정진하여 얻은 지식을 유튜브로 공유해 사람들을 돕는 멋진 분이 되고 싶어요 저도! 감사합니다☺
@trustjune7772
@trustjune7772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명료하게 칸트에 대해 말씀해 주시니 감사의 마음을 뭐라 말로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user-kn6te5um6w
@user-kn6te5um6w 3 жыл бұрын
명료하다고요?
@user-hg3dh2ig8j
@user-hg3dh2ig8j Жыл бұрын
김어준 구독자 수준 ㅋㅋ
@Ankijun
@Ankijun 4 күн бұрын
리트 배경지식 공부 목적으로 구독한 것이었는데, 점점 철학 자체가 흥미로워지고 있네요. 단골 출제 주제인 칸트를 이렇게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니 다 교수님 덕분입니다! 앞으로도 잘 보겠습니다.
@user-qj1ed6oi2h
@user-qj1ed6oi2h 3 жыл бұрын
난해하고 산만한 칸트의 비판서를 잘 정리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d5nu3pl2f
@user-hd5nu3pl2f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반갑습니다. 그간 철학의 난해 모호성만 만들어온 서양 철학 교수에, 경종을 울리고, 진정한 철학의 이해로 이끌어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lkh0120
@lkh0120 3 жыл бұрын
저분이 교수님인가요?
@splash3195
@splash3195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아닙니다. ㅎㅎ 공대 나오시고 철학은 취미이신 걸로 알아요. 디제이 사라 좋아하시고요.
@user-di9fw6kf8r
@user-di9fw6kf8r 3 жыл бұрын
김종익 선생님이신가요?
@user-rn6hw8zg7f
@user-rn6hw8zg7f Жыл бұрын
???:분명 5분 철학이지만 이번에는 19분입니다. 그런데 칸트를 5분만에 설명하려는 사람이면 제가 추천 안하죠. 정말좋은영상이니까 보고 배경지식으로 꼭 익히셔들
@nacho_in_greenhouse
@nacho_in_greenhouse Жыл бұрын
민철 ㄱㅇ야
@singclair8814
@singclair8814 Жыл бұрын
엄청나다. 감사합니다.
@user-dt6rg7hp2j
@user-dt6rg7hp2j 7 ай бұрын
설명을너무 잘하셔서 귀에 쏙 들어와요 감사히 잘듣고 있습니다 그독합니다~^^
@0inm18
@0inm18 5 ай бұрын
늘 감사한 마음으로 영상 보고 있습니다. 책이랑 함께요.
@user-qy3oy7ds2l
@user-qy3oy7ds2l 3 жыл бұрын
칸트가 근대인물이라는 것이 확실하게 느낀 영상이였습니다. 신에 대한 확고한 믿음, 과학은 항상 이성적일 것이라는 믿음이 드러나네요. 최근 양자론의 역사에 관한 책을 읽었는데 양자론이 발전되면서 천재 과학자들은 철학자이기도 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근대에는 상상도 못한 일인데 말이죠. 이를 비교하면서 보는 재미가 있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eer.bug.
@deer.bug. 3 жыл бұрын
우아 아침에 올려주시다니 ㄷㄷㄷ오늘 아침도 즐겁게 시작할 수 있겠네요 ㅠ 감사합니다!! ㅎㅎ
@moomin07
@moomin07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판단력비판이군요 ㅠㅠ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vl6sf7nx3p
@user-vl6sf7nx3p 3 жыл бұрын
아름다움은 그것이 아무런 쓸모도 없기 때문에 가치있는 것이다 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gws1171
@gws1171 2 жыл бұрын
무슨의미인지 혹시 물어볼수 있나요?? 인간에게 혹은 동물에게 단순 외적 아름다움이란 성선택을 의미하거나 건강함의 상징이되는 지표들 이라고 생각했는데 그외의 의미를 뜻하는건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decide9491
@decide9491 3 жыл бұрын
와 판단력비판을 이렇게 쉽게 해석해주시다니ㅠㅜㅜㅠㅠ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ㅎㅎ
@nanakim5117
@nanakim5117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 아침부터 볼 수 있도록 일찍 업로드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어쩜. 이렇게 재미있게 만드시는지
@maizzo1234
@maizzo1234 3 жыл бұрын
형님이 이해를 돕기 위해 드는 예시들이 모두 좋아요. 쏙쏙 이해됩니다.
@Jupiter_Bo
@Jupiter_Bo 2 жыл бұрын
칸트 철학 진짜 재밌는 것 같아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didls093
@didls093 3 жыл бұрын
구독자 몇백명때부터 봤는데 역시 떡상할줄 알았습니다 선생님!!
@Misfits_1138
@Misfits_1138 3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판단력비판 읽어보려했는데 감사합니다!
@charming_JIN
@charming_JIN 3 жыл бұрын
좋은 아침입니다. 이번에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arisjin5526
@parisjin5526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고 편하게 알아가도 될까 싶을 정도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bb4566
@bb4566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철학을 쉽게 접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user-ek5st1cj1i
@user-ek5st1cj1i 3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simhan227
@simhan227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책을 학교 도서관에 신청했는데 드뎌 입고되었습니다. 어찌나 반갑던지..^^
@user-ts1or9mg5o
@user-ts1or9mg5o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귀한 영상들을 무료로 내어주시다니 얼마나 감사한지요... 열심히 볼게요 정말 감사합니다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영상제작 하느라고 얼마나 심여를 기우려셨을까 라는 생각에~~!! 열심히 재미있게 듣고있습니다 건강에 유의 하시기를 ~!요!!☘
@eran140
@eran140 3 жыл бұрын
각 분야의 예술은 전세계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 그 어렵다는 칸트 철학을 이렇게 설명해 주시는 분은 첨 봬요. . . . 정먈 진심! 존경스럽습니다. . .
@user-ul3li8lb2m
@user-ul3li8lb2m 3 жыл бұрын
칸트도 넘사벽이었는데 이렇게 알기쉽게 설명해 주시다니요.오늘도 조금 똑똑해져 돌아갑니다.감사해요.철학의 끝은 신에 대한 열망이라고 봅니다.마지막 그림에 뭉클해지네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정리 너무 좋아요
@user-ux7il6lu7k
@user-ux7il6lu7k 3 жыл бұрын
칸트의 책을 읽으면서 계속 졸았던 기억이....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poom0731
@poom0731 3 жыл бұрын
진짜 한줄기 빛 그자체이십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이렇게 날로먹어도 되나, 죄책감 들 정도입니다..
@Dokgo96
@Dokgo96 3 жыл бұрын
와...전 순수이성비판도 어떻게어떻게 노력해서 이해했는데 판단력비판은 어떻게해도 이해가 잘안된걸 이렇게 설명하시니깐 확실히 재밋네요
@user-rd9hl1py9e
@user-rd9hl1py9e 2 жыл бұрын
와우.. 이런 고퀄 강의를 무료로 보다니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lz8fn2jo2c
@user-lz8fn2jo2c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볼 때마다 쾌가 찌르흐 찌르흐 ^^... 청소하고 설거지하면서 봐도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노트 마련해서 꼼꼼히 정리하려고요. 느므 좋네요. ♡
@jhpark3429
@jhpark3429 3 жыл бұрын
해설이 나날이 깔끔해지시는것같습니다. 비록 그 전이 안깔끔했다는것은 아니지만요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부탁드립니다.
@dadada8254
@dadada8254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설명은 정말 아름다워서 감탄했습니다.. 저 설명 자체가 아름다움이라면 저는 선생님의 설명을 합목적적으로 받아들인 것이겠지요?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3 жыл бұрын
약 1년전에 읽고, 지금 또 읽어보니 좀더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세개의 영역을 이해 할 수 쉽도록 적절한 비유로 설명해주신데 대하여 존경과 경외를 보냅니다. 사람들이 더 많이 이런 휼륭한 내용을 접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깨달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문전성시 이루길 바랍니다.
@cptham15
@cptham15 3 жыл бұрын
수능 비문학 감익히기위해 보는데 유용하네요 감사합니다
@Kfasting
@Kfasting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쉽게 설명 해내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3 жыл бұрын
종감시즌이라 심신이 지쳐있었습니다. 우연히 선생님의 영상을 보고 학부시절로 돌아가있는, 무언가 가슴속에 뜨겁게 남아 있던 스무살의 저를 발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십시오.
@user-jq4fg7nu7z
@user-jq4fg7nu7z 3 жыл бұрын
틀릴 수 있는, 개인 해석, 을 내놓으시는 그런 면이 아주 훌륭하고 아름답습니다. 또 제일 재미있습니다.
@user-vk9hy3nu3v
@user-vk9hy3nu3v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이라는 표현은 교수님께서 겸손하셔서 그런것 같구요 (물론 이런 표현이 오해나 반발을 방지하므로 좋습니다.) 사실 기존의 모든 철학이나, 과학, 종교조차도.. 가 있을까요?
@orimujung2643
@orimujung2643 3 жыл бұрын
돌고래R 절대적인 진리는 있을 수 있지만 검증될 수 없기에... 있다고 하더라도 모두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진리는 없을거 같네요. 적어도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현상계에서 유일한 검증가능한 진리는 수학의 영역 정도일거 같습니다. 철학과 과학, 종교에서 추구하는 것에는 밝혀지지 않은 ‘미지’ 의 영역이 언제나 사람의 인지 영역을 초월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철학자든, 과학자든 종교인이든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탐구할 것’ 이라는 숙제와 ‘겸손 할 것’ 이라는 덕목이 요구되는거 같습니다. 돌고래님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간만에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셨네요 ^^
@user-vp5ib8ck4z
@user-vp5ib8ck4z 3 жыл бұрын
그난해한다는 칸트의세계를 이리 쉽게 접근하게해주시다니ᆢ감사합니다
@user-sk4cr9kk1g
@user-sk4cr9kk1g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codygks44
@codygks44 3 жыл бұрын
너무 쉽고 재밌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wc7vq3om9t
@user-wc7vq3om9t 3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중간 중간에 재미 있는 요소를 넣으셨는데 보다가 좀 졸았습니다😭😭
@hwchy7
@hwchy7 3 жыл бұрын
와우, 세권의 고난이도 책을 이렇게 요약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김교수님!!!
@aerockh
@aerockh 3 жыл бұрын
캬! 감사합니다. 도전하지 못한 책인데 이렇게라도 접하니 너무 좋네요.
@user-tl2bq2ju5n
@user-tl2bq2ju5n 3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컨텐츠, 추천합니다
@zohnnasse480
@zohnnasse480 3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말 좋은 영상을 본 것 같습니다 현실이 비이성이라 생각되어 비이성을 검색했더니 순수이성비판을 연결해주고 순수이성비판을 몇 번 보고 나니 판단력비판으로 연결해주네요 ㅋㅋ 과학을 맹신하고 이성이 최우선이라 생각하는 사람이었는데 이성에 대해 생각하고 상상력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하게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0jae0_art
@0jae0_art Жыл бұрын
와 최근 상담 공부를 시작하며 뇌 과학을 읽게되었는데 어릴땐 마냥 어렵던 부분이 영상 덕분에 수월하게 이해가 되네요..! 12:20 에 나오는 이 장엄한 노래는 뭘까요? 너무 좋아서 따로 찾아듣고싶습니다😮
@user-mi3rx7wc9p
@user-mi3rx7wc9p 3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clarakim7717
@clarakim7717 2 жыл бұрын
오늘의 영상 감사합니다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 3 жыл бұрын
오 신이시여✌드디어 판단력비판❤
@kangbaltv
@kangbaltv 2 жыл бұрын
증말 애러븐 철학을 잘 설명 해 주시는군여! 5분 철학을 한 3년 구독해가 철학 만물박사가 되고 싶어요
@user-pm8wm5yc6e
@user-pm8wm5yc6e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고 유익하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j8bu5sr7j
@user-lj8bu5sr7j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덕분에 완전 정리 됐어요!! 혹시 칸트와 해겔 미학 비교는 올릴 계획이 있으실까요?? 알고싶은데..정리하신분이 없더라구요ㅠㅠ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user-qo4sh8gs5g
@user-qo4sh8gs5g 8 ай бұрын
아름다움을 이렇게 복잡하고 이해가게 설명할수있다니 ㅋㅋㅋㅋㅋ그의 철학에 동의하진 않지만 칸트 참 대단하네요…
@user-rw9fm4hv9c
@user-rw9fm4hv9c 3 жыл бұрын
휴 칸트라서 긴장했는데 깔끔한 정리에 박수를 보냅니다.
@-kedon1357
@-kedon1357 7 ай бұрын
영상을 쭉 보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그렇다면 주관적 보편성과 주관적 필연성은 어떻게 다른가요? 두 개념이 설명해주신 내용을 듣다보면 비슷해보여서요.
@mark6767
@mark6767 7 ай бұрын
너무 좋다
@user-wd9xt9wg3r
@user-wd9xt9wg3r 3 жыл бұрын
어려운내용인데 선생님 덕분에 즐겁게 볼 수 있었습니다!
@canonkwon
@canonkwon 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려운 개념인데 너무 쉽게 가르쳐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희 교수님보다 잘 가르치시는 것 같아요 ㅠㅠ
@user-mi5yi9hr4z
@user-mi5yi9hr4z 3 жыл бұрын
다음주가 기대 됩니다
@ngel0409
@ngel0409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소름 돋고 갑니다...
@ariadne_8
@ariadne_8 3 жыл бұрын
멋있는 설명 감사합니다♡
@withnotbrain
@withnotbrain 3 жыл бұрын
칸트가 이성과 의지 사이에 아름다움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왜라는 질문을 끝없이 했을떄 최종적인 답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아기가 우물가로 가고있다는 사실이 있고, 구해야겠다는 의지로 구했는데 왜 구했냐고 한다면 아기가 우물에 빠지니까 우물에 빠지는데 왜 라고한다면 그러면 아기가 죽으니까 아기가 죽는데 왜 라고 한다면 아기가 죽으면 슬프니까 슬픈데 왜 슬프면 고통이니까.. 고통이면 왜...왜.왜.... 왜라는 질문은 무한대로 갈 것이고 이 무한대의 과정 전체가 뜻하는 최종적인 답은 "아름답지 않으니까"가 됩니다. 아름답지 않은데 왜? 또 질문할수있는거 아니냐고 할수있지만 그 답은 내가 하려는 것이 아름다운것이다.가 됩니다. 답이 좀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사실 아름다움이라는 단어보다는 좋은것과 나쁜것이라고 했을때 더 이해가 잘됩니다. 내가 하려는 것은 좋은것일수밖에 없습니다. 나쁜것을 하려고 한다면 나쁜것일까요? 정답은 하려고 한 것을 했기 때문에 좋은것입니다. 먹기 싫어하는 것을 먹는다면 나쁜것이고, 먹고 싶어하는 것을 먹는다면 좋은것인데 "먹기 싫어하는 것을 먹고 싶다"라고 하고 그것을 먹는다면 하려고 한 것을 했기 때문에 좋은것이라고 해야되기 떄문에 하려는 것은 = 좋은것이라는 논리가 나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름답지 않으니까라고 답한것을 왜라고 묻는것의 논리구조를 풀게되면 "하려고 한 것을 왜 하려고 하냐?"라는 질문인데 논리형식상 A를 왜 A라고 하냐는것과 같습니다. 그 질문을 못한다기 보다는 A가 최종적인 답이라는걸 알수있습니다.
@user-wv2pu7cq3t
@user-wv2pu7cq3t Жыл бұрын
와 멋진 강의 고맙습니다
@delphine5221
@delphine5221 3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역시 교수님이시네요 다만 판단력 비판에서 다룬 순수미와 매력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지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jjaaaaaay_1
@jjaaaaaay_1 3 жыл бұрын
아도르노처럼 현실세계로부터 초월적 세계로 초월할 수 있는 예술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것은 칸트의 영향이라고 보아도 무방할까요? 예술에서 해방을 찾는 철학자들에게서 느껴지는 데카당스적인 분위기가 칸트에게서는 직접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아서요.
@TV-fu6jf
@TV-fu6jf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Live-bn5vh
@Live-bn5vh 3 жыл бұрын
알듯말듯... 역시칸트 판단력비판은 어렵네요~! 그래도 이렇게 정리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user-vy7nm8cd1z
@user-vy7nm8cd1z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bbjj2770
@bbjj2770 3 жыл бұрын
쉽지 않네요 ㅎㅎ퀄리티가 대단,,,,,
@user-jn7qo4ou6w
@user-jn7qo4ou6w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ypraythanks
@joypraythanks 3 жыл бұрын
나는 그저 이 영상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본 나를 칭찬합니다. ♥
@user-yw6lv1lj9k
@user-yw6lv1lj9k Жыл бұрын
이 지루한 철학을 오분만에 빠져들게 하는 오분뚝딱 대단해요
@user-rs3qo5ec5q
@user-rs3qo5ec5q 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
@user-lu4xp9zd5v
@user-lu4xp9zd5v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과 연동해 보는 신간 도서 출판은 언제쯤 인가요? 너무나 기대됩니다...
@user-xr5eh7rz9c
@user-xr5eh7rz9c 2 жыл бұрын
저 호가든 맥주잔은 저도 몇개있는데 거기에 아아 만들어 먹는것도 저랑 비슷하신데 생각의 차이는 이데아와 현실만큼 나네요
@user-he7we5kc2w
@user-he7we5kc2w 3 жыл бұрын
8:33에 미적판단은 도덕적관심과 감각적관심 아닌가요?? 앞뒤 문맥에서 볼 때 감각적관심이 들어갈것 같아서 물어봅니당~ㅜ
@sfwinslane
@sfwinslane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판단력 비판 ~
@b.p.g.1920
@b.p.g.1920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fluid9177
@fluid9177 3 жыл бұрын
우와~~ 유익한 영상 정말 도움됐어요!!!
@blooming_needle
@blooming_needle 3 жыл бұрын
엇, 간만에 아침형이신 분을 만나 반갑습니다! ^___^
@user-pc4qm5xo9i
@user-pc4qm5xo9i 3 жыл бұрын
최고최고~!!!
@user-lp1zp5rl9d
@user-lp1zp5rl9d 3 жыл бұрын
4:17 반성적 판단은 직역한건가요? 왠지 심사숙고하다의 의미로 해석해야할거같은데;
@TheSb5797
@TheSb5797 3 жыл бұрын
최고당..
@user-qc6qw8tx6n
@user-qc6qw8tx6n 8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합목적성이 그것이 합목적적인것이 아니라 사람이 그것 사물을 합목적적으로 보기 때문이라는 설명, 어느곳에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학교에서배운것과 달라서요 ㅠㅠ 답변부탁드립니다
@andreathorem3803
@andreathorem3803 2 жыл бұрын
미친... 칸트 진짜 천재였네요 와....
@Henryshin822
@Henryshin822 2 жыл бұрын
칸트가 말하는 우리가 느끼는 아름답다는 감정이 최소한의 조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같은 감정을 느낄 것이다 라고 하는 데에서, 최소한의 조건이 무엇인지 아신다면 알려 주실수 있을까요?
@gkj10000
@gkj10000 3 жыл бұрын
Best of the month.
@TV-mq7vs
@TV-mq7vs 3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iffake2541
@iffake2541 3 жыл бұрын
몇몇 비유는 그 자연상태에 보편적이 관찰 경험이 있어서 감정이 자극을 주는데, 해당 경험이 없어서 모릅니다. 울면서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다는 이해가는데, 꽃이 개화했다 (곧 벌들 번식활동을 도와줄것이다), ??
@user-wk1ld6fg9z
@user-wk1ld6fg9z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수업듣고 고민,정리한 후 발표에 참고하니 A플 나왔습니다.
@user-es6ez1mg2r
@user-es6ez1mg2r Жыл бұрын
아름다워용
@yunjae1118
@yunjae1118 3 жыл бұрын
좋아요를 누르지 않을 수가 없는!
@user-qy2nx7wu1x
@user-qy2nx7wu1x 2 жыл бұрын
내가 유튜브 댓글창에 글을 쓰기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수정" 기능이 있기때문이다. 왜냐하면 내가 쓴 글의 미세한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그 작은 오류를 수정하기위해 전문을 처음부터 다시 입력할 필요없이 그 부분만 고치면되기 때문 이 얼마나 편리한 기능인가!
@halfm8767
@halfm8767 3 жыл бұрын
특별히 미학에 관심 많은 제게 너무나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덕분에 감히 접근할 엄두도 못 냈던 칸트에 대해 조금은 다가가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용기가 생겼습니다. 평소 영상보며 자주 느끼는 점이지만, 어렵고 복잡한 것들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끔 하는 엄청난 능력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늘 그렇지만 오늘도 영상에 감동 받고 감사한 마음을 짧게나마 여기 글로 남깁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칸트 : 판단력 비판 2 (숭고에 대하여)
12:24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49 М.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 비트겐슈타인의 미학
27:52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60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말랑말랑하게 만든 무시무시한 헤겔의 정신현상학
31: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59 М.
칸트 : 순수이성비판(당신이 4차원이 아닌 이유)
35:21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21 М.
들뢰즈 : 사건의 존재론 (feat. 가타리)
20:30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100 М.
성철과 비트겐슈타인 :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13:04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160 М.
와..미친.. 쇼펜하우어의 천재적인 생각 총정리
19:24
라이프해커,자청
Рет қаралды 238 М.
[철학] 칸트로 시작하는 지적인 대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이루어라 : 왜 칸트인가
1:25:50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38 М.
신을 죽이고 미쳐버린 니체 (통합편)
20: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6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