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에선 다들 공부에 목숨을 거는데 난 이리 띵가띵가 놀아도 되나 싶어 죄책감이 들지만 공부를 할 마음이 안 드는 아이러니한 상황
@ZI존ZI원3 жыл бұрын
ㄹㅇ 내가 딱 그 생각하고 있었음ㅋㅋㅋㅠㅠ
@user-xv5xq4ip3u3 жыл бұрын
근데 할필요가 없어 안함 꿈이 이쪽이랑 연결이 안되서
@seokkim71963 жыл бұрын
인생은 3라운드임 1라운드 학력전쟁 서열 상위들은 2라운드 시작을 수월하게 할 수있음 2라운드는 취업후 삶 1라운드 낙오하신 분들은 그냥 몸으로 때우고 버틴다는 심정으로 2라운드 버티시면 됌 3라운드는 독립 라운드로 직장생활 이후의 삶 1라운드 우수생이든 낙오생이든 관계없이 누가 승자가 될지 모르는 진검 승부임 그러니 1라운드 망친것에 연연치말고 바로 3라운드에 승부를 보려는 마음으로 2라운드에서 올인하셈 학창시절 공부 전교 1등하던 친구보다 잘 살수 있는 길은 아직도 널리고 널려있음 단지 여러분의 각오가 그 성취를 결정할뿐...
@hillrde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재수각존나날카로움
@백유진-t7f3 жыл бұрын
@@user-xv5xq4ip3u 꿈이 뭔데 공부랑 연관이 없을까
@kmhk59763 жыл бұрын
수능친지 5년이 됐는데 왜 보기만 해도 아직도 숨이 턱턱 막히냐 어휴... 3:44초 우는애 보고 왜 나도 갑자기 눈물이 ㅋㅋㅋ 진짜 힘들었다...
@mireuch57043 жыл бұрын
저때 소팔고 땅 팔아서 자식 공부시키고 그랬지 근데 지금은 그땅 지키고 앉았던 사람들이 더 잘삼 세상이 참..
@리버쓰-x4o3 жыл бұрын
맞는말
@박민우-i7x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
@SangJinKang-s2c3 жыл бұрын
특히 허허벌판이었던 강남이 대규모로 뛰면서부터는 (1978년대부터) 그곳에서 살던 사람들은 사실상 엄청난존재가 되어버림.
@leelee-re4cw3 жыл бұрын
학자금 상품도 최근ㅋㅋ
@yyoung89962 жыл бұрын
@@SangJinKang-s2c 강남 지역 특성상 길이 좋아서 거기에 인프라를 몰빵 하면서 현재의 강남이 탄생하게 됐다는데... 그냥 운이 참 좋았다. 옛날부터 강남에 땅 소유하던 사람들은
@user-djejiwi72djsh3 жыл бұрын
3:33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깨발랄하누
@hiuhriul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ㅋ
@tiki039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귀여우셔 ㅋㅋㅋㅋ
@hammydong27353 жыл бұрын
ENFP..아닐까..
@Yuuwon_3 жыл бұрын
@@hammydong2735 그놈에 mbti
@hammydong27353 жыл бұрын
@@Yuuwon_ 엠비티아이 신물 나셨군요 ㅠ...
@주식-o5k3 жыл бұрын
고성장 시대에 대학 합격이 대기업 취업으로 향했기에 가능하죠. 지금도 최상위권은 전문직 대기업으로 향하지만 예전보다 떨어진 성장동력에 많은 이들이 공시로 향하는 것 같습니다. 또 20년뒤에는 이 공시 열풍을 어떻게 바라볼지... 그때도 공시가 열풍이면 대한민국은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리겠죠.
@cgtasg56013 жыл бұрын
기사를 찾아보니까 20년 전부터 공시열풍이 불었다네요
@nu46863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 많은사람들의 희망직종인 나라는 희망이 없는거라고 하던데.
@qwer-f7i3 жыл бұрын
공시 열풍이 제가 딱 군복무할때 생기기 시작했던 기억이... 이천년초반까지가 대기업 일부공공기관 소개로 비공개특채로 들어가기도 하는 마지막 시기 ㅎㅎ 물론 그 이후에도 있었지만 이전보단 아주 줄어듬.
@user-bf6bl3vb6o3 жыл бұрын
Imf부터 공무원 급상승 했어요 ㅋ
@어에-r7y3 жыл бұрын
@@nu4686 그리스인가 이탈리아엔가는 공무원비율이 40퍼가 넘는다고 함
@성이름-x5h3 жыл бұрын
2:53 와 완전 어른들 말툰데 저시대 10대 말투라니
@user-eq7sr6xp2r3 жыл бұрын
말투 매력있어
@배부른돼지-c2r3 жыл бұрын
낭만좌.. .
@성이름-x5h3 жыл бұрын
@@배부른돼지-c2r ㅋㅋ 프사랑 이름ㅋㅋㅋㅋㅋ 귀여우어어어
@헬창-j1l2 жыл бұрын
낭만 그자체
@NoWoonHyeon7 ай бұрын
강찬석아님?
@정-l8i3 жыл бұрын
이런 사람들이 지금의 50 60대가 되어 우리 부모님이 되셨겠지..사교육을 필수라고 생각하고 대학을 보내려는 생각도 이해가 된다..
@花房白香3 жыл бұрын
80년대에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면 50대라기보단 현재 60-70대겠지
@JOY-ii3kt3 жыл бұрын
@@花房白香 아니요 저때 고등학생이셨던 분들을 말하는 것 같아요
@뽀크롱-w6d3 жыл бұрын
@@JOY-ii3kt 그걸 고려해도 80년대에 20대이셨으면 2021년에는 60대는 되죠
@Seongyounbin3 жыл бұрын
@@뽀크롱-w6d 저희 아빠 87년에 대학 가셨는데 지금 54살인데여?
@뽀크롱-w6d3 жыл бұрын
@@Seongyounbin 80년대 후반에 가셨으니까요
@Fly_Cruising-Altitude3 жыл бұрын
80년대 처럼 고성장 시대에는 대학 합격하면 바로 기업체 쪽으로 취직으로 되는 큰 메리트가 있었지만 지금 시대에서는 인서울권이나 자격증 같은거 있지 않는 이상 취업이 거의 어렵고 2030세대들 대부분 공시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서 대학이 크게 메리트가 있나 싶습니다.... 솔직히 대학은 학생들 졸업하고 취업 되게 좀 도움되는 역할이 되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대학이 학생들 돈 뜯는거 밖에 안되는것 같습니다....
@asd-dg1pq3 жыл бұрын
사실 전국 모든 대학 학생들중 붙는 친구들은 결국 붙는데 100명중 1~10명이 붙는다는 거죠 현우진이 그랬죠 8년안에 대한민국 교육체계가 싹 바뀔거라고 특수 과를 제외하고 대학의 필요성이 사라질 가능성도 있을거같네요 인구도 줄고 공무원 시험도 너무 부각됙ㅎ
@mekopark3201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저 시절 대학 나온 사람들 대부분은 지금의 서민층이 아님 ㅋㅋㅋ 지금으로 치면 최소 건물주 자식들. 우골탑이란 말이 괜히 생겼나. 흔한 시골가면 소도 없어서 사람이 밭갈았는데 그 자식이 공부만 해서 대학을 갈 수 있을리가 없잖 ㅋㅋㅋ 고졸이라도 하면 대단한거임.
@최윤아-u2f3 жыл бұрын
아니 도대체 어느시대사람이신지;;; 요즘에 대학교 인서울졸업하고 토익 900점넘어도 대기업들어가기 엄청 어려워서 9급 준비하는 인서울 지거국생들 수두룩한데 뭘 알고 말씀하시는건가;;; 요즘에 인서울 나오고 자격증 있다고 대기업 절대 못가요!! 요즘은 토익 900도 개나소나받는시대인데;;;
@TOTO-o1w7f3 жыл бұрын
@@최윤아-u2f 현실은 멜로드라마 의 남자주인공 이 아닌 여러직업의 사람들이 사는데 님이 말한 기준은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님 말대로 어렵게 대기업 들어가도 초임 연봉 알면 이려러고 대기업 들어왔나 싶을걸요 저 시대처럼 공부잘해서 개천에서 용나던 때도 IMF이후부터 외국처럼 계급화 되기 시작하고 그나마 서구에 비해 한국은 기회가 더 있는편이예요 대략 십여년 전부터 부동산 등등 더 계급차가 뚜렷해지더군요
@iyartyab1407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완전히 같은 생각이어서 댜학 진학 안하려고 했는데 부모님이 대학 안가면 호적에서 파버린다 해서 지금 수시는 다 넣고 놀고 있네요. 고3입니다.
@traffic_history3 жыл бұрын
2:33 ㅁㅊ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세계최초 드라이브스루 과외넼ㅋㅋ 차가 좋아야 승차감이 좋고,공부하기 좋을테고, 차에 탁자는있나?
서울대든 연세대든 고려대든 가고 못가고가 멋진게 아니라 그 목표를 향해 결과에 후회 없이 노력하고 최선을 다한 그 모습이 멋진거다 그 자세 하나만 배우면 사회 나와서 못할게 없다 2021년 오늘도 어려운 시국에 대입준비하는 학생 여러분들 힘내세요!
@조롱이-p3x3 жыл бұрын
입에 발린말같아도 살아보니까 이말이 정답인거같아요 사람이 할수있는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하늘에 맡기는거죠
@kmhk59763 жыл бұрын
하고자 하는 자세하고 마인드만 있다면 나중에 나오면 뭔들 못 하겠습니까
@All_white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연대 고대가려는 의지가 그니까 자기 의지인지 사회가 그리 만든건지
@아아아-z9j3 жыл бұрын
현실은 과정보단 결과임
@FrontlineofLiberalAlliance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간절함은 주변 패배자들을 직접 겪어보지 않고는 안생기더라.
@zik302202 жыл бұрын
왜냐하면 저때는 명문대 입학하면 신분상승이 가능한 시기였음, 지금 공부하면 미래 배우자 얼굴이 바뀐다고 말하던 선생님 말씀이 잊혀지질 않는다.
@토끼츄3 жыл бұрын
한문쌤이 말씀하신 게 이 때인가? 과외나 학원 금지였다고 하길래 에 그런 때가 어딨어요~ 했는데... 실제 뉴스 보니 ㄹㅇ 놀랍다
@우우우우-i2f2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고대 의대떨어지고 다음해 전남대의대붙어서 당시 할아버지 할머니한테 호적까지 파일뻔했다는 썰듣고 (경상도분이라 전라권은 죽어도안된다는 이유) 당시 어마어마하게 지역갈등이 심했구나 느낌 대신 한학년 후배였던 엄마만나서 결혼까지하고 의사면허합격한것보다 엄마랑 결혼한게 최고의 이득이였다는..
@cex23062 жыл бұрын
라도면 호적 파일만 하노
@handle-_-.2 жыл бұрын
@@cex2306 이미 파여보셔서 잘 아시나봐요
@Audjfme2 жыл бұрын
@@cex2306 프사랑 하는짓이랑 매칭이 안되노
@pill25232 жыл бұрын
@@cex2306 ㅋㅋㅋ맞긴함 ㅋㅋ 이번 대선으로 또 증명됨 ㅋㅋ 그 지역은 ㄹㅇ 독립시켜야함
@tyutyututyu20332 жыл бұрын
@@cex2306 ㅇㅈ..
@Udooroo2 жыл бұрын
3:08 미모 무엇 ㄷㄷㄷ
@Umnonymous3 жыл бұрын
우리 학원쌤 학력고시에서 첫 수능때 수능처서 평소보다 많이 안나왔는데 등급컷은 더내려가서 수능 잘친게 되고 쌤동생은 물수능이라 점수는 더 높은데 갈 수 있는데는 더적어졌다던데
@bestchoi74172 жыл бұрын
학원쌤인데 등급이 나오면 얼마나 젊은거야 ㅠㅠ
@Umnonymous2 жыл бұрын
@@bestchoi7417 수능첫시행때 봤다는데
@estazu14802 жыл бұрын
첫수능(1993년)은 등급 같은게 없고 등급이 도입된 첫 수능(2002년)은 년도 차이가 거의 10년 이라서 람머스님이 내용을 조금 잘못 들었을 것 같네요.
@SamsungKimPro Жыл бұрын
2005학년도 수능을 봤었던 사람인데 불과 2001년 까지만 해도 등급제가 아니었고 우리 때도 수능만 등급제였지 내신은 등급제가 아니었음.. 더군다나 1993년 수능이면 학력고사랑 혼선이 잦았을 때임.
@응애나애기뉴비10 күн бұрын
당연한말을 개소리처럼 적어놨노
@Plato_sarmthrow2 жыл бұрын
대학 합격 장면은 언제봐도 뭉클하고 울컥한다.
@sinderelah14943 жыл бұрын
크랩 라떼 시리즈는 음악 듣는 재미가 젤이쥐 ㅋㅋㅋㅋ
@나는멋져-d4r Жыл бұрын
윤시내 - 공부합시다
@다들제얘기좀들어주세3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거 보고있으면 놀고있는거 아니냐?ㅋㅋ
@정이지-r8e3 жыл бұрын
찔리네
@리아카나2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저때부터 인생에서 마냥 놀기만 할수있는 시기는 애초에 없다는거부터 알려주고서 평소에 공부와 취미간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훈련을 시켰으면 대학 왔다고 보상심리로 확 풀어지거나 하는것도 없었을텐데...
@초고순도화탄소3 жыл бұрын
1:31 앞에 눈나 예쁘시다
@Kelin_5833 жыл бұрын
이제 패러다임이 바뀔 때가 온거지.. 대학을 가야할게 아니라 가고싶은 사람만 대학을 가고 대학을 굳이 안가더라도 되는 인식과 패러다임으로 바뀔 때가 왔다. 학력인구는 줄기 때문에 더이상 많은 대학은 필요가 없음. 최상위권으로 가고 싶으면 대학을 가고 대학을 굳이 안가더라도 중간은 살도록 해야하는게 맞다고 본다.
@현두-k9j2 жыл бұрын
근데 좋은 대학 안가면 어떻게 일을 구함?
@IJARI_GOGUMA2 жыл бұрын
@@현두-k9j 그걸 만들라는게 이 일의 요지임 사회적 인식, 대학 이외의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업규모의 다각화,거대화 등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수준의 변화를 요구함 "단기간에는" 사회적 인식 같은 경우는 아주 근소하지만 점점 고학력 졸업장 위주가 아닌 포트폴리오, 경력도 많이 보는 형식으로 변해가는 중이기는 하나 미국이나 여타 인구,자원이 많은 나라처럼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중간은 가게 살려면 적어도 몇십년동안 끊이지 않고 계속 변화해야함 그리고 사회적 인식도 더 바뀌어야함 뭔가 기형적으로 변해가고있는 화이트칼라 편식 현상을 인적자원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공시열풍이 돌고 어중간한 대학의 이론적 교육 받고 어중간하게 인력이 도는건 명백한 망국의 징조임 대학을 바꾸든가 사회를 바꾸든가 뭘 하긴 해야함
@op-km5hs2 жыл бұрын
근데 바뀐다해도 지금 세대는 절대 불가하고 지금 20세대의 손자손녀들이 바꿀 미래임
@alexanderkim89992 жыл бұрын
너도나도 대학교를 다 갈 수 있는것도 문제임 사회 나가보면 지적수준이 평균 이하인 대학생들 많음
지금은 물리치료학과ㆍ치위생학과ㆍ약대ㆍ의대ㆍ치대ㆍ한의대ㆍ수의대ㆍ간호학과ㆍ공대 일부 학과 외에는 대학이 좋은 곳에 취업을 해준다는 명분이 없죠 저 학과들은 대학 커리만 잘 따라가도 취업이 보장 되죠 다른 과들은 각자도생이예요
@nirm57693 жыл бұрын
물리치료 치위생이 겸상하려는거 불편하네...취업이야 가능하지만 '좋은곳'에?
@Bbq109.13 жыл бұрын
@@nirm5769 치위생은 모르겠으나 물리치료학과는 자신 능력만 있으면 진짜 임금 엄청 많이 받고 좋은 곳에서도 데려갈려고 합니다
@Bbq109.13 жыл бұрын
@@nirm5769 물론 약대 의대 이런 곳이랑 같다는건 아닙니다!
@Injeolmimilkmandarine3 жыл бұрын
@@Bbq109.1 맞습니다. 특히 운동치료ㆍ도수치료쪽은 능력에 따라 인센 잘 받으면 꽤 법니다.
@Mailhealth3 жыл бұрын
글쓴새끼 물치과인듯 물치 빡대가리새끼들이 어딜 겸상하려하냐 ㅋㅋㅋㅋㄱ
@일하는페페3 жыл бұрын
139쪽을 다 외울정도 말을 자신있게 할 정도면 그 당시 학구열이 ㄷ ㄷ
@Ppap_Bar.6182 жыл бұрын
그때 시대는 정보 얻기가 힘들어서(족보/알려주는 사람이 없다면 힘듬) 요즘처럼 온라인강의랑 문제집이 있어서 남녀노소 배울 기회가 있는게 감사함
@sngiu18743 жыл бұрын
0:25 어라 이분 혹시 류승룡 배우분? ㅋㅋㅋㅋ
@Costreible3 жыл бұрын
2:10 과외에 스트레스로 머리빠져버린 분의 일갈
@jsb98973 жыл бұрын
빡빡이한테 발언권이 있네...
@리페어맨-o2u3 жыл бұрын
공부가 성적순은 아니지만 무언가에 미치도록 빠져본 사람이 성공한다
@BLike1t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입시 준비해도 전문직이나 공대, 의료계열 아니면 먹고 살기 힘든게 요즘 현실(아니면 외국 나가는 방법 밖에는...)
@BLike1t3 жыл бұрын
@CHIPMUNK다람찌 공대도 그렇군요.. 그건 몰랐네요..
@얼음맥주-k1g2 жыл бұрын
@@BLike1t 공대는 부자는 못되도 밥벌이는 하니까
@텐을사랑하는사람3 жыл бұрын
어무니 아버지가 빡공 하셨구나 나도 열심히 해야지ㅜㅜ
@babtongnim3 жыл бұрын
고3들아.. 대학간다고 힘들었지? 근데 어쩌나.. 이제 시작인데.. 대학에서 학점관리 해야되고.. 졸업 후 취업전쟁.. 대학 붙었다고 끝이 아니더라.. ㅠㅠ
@태양불꽃방패에코3 жыл бұрын
대학보다 좋은직장 취업이더어렵지
@임유빈-j4s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다들 의치한 가려 하는듯…
@akwwjwnjwjwjwwjns58682 жыл бұрын
@@태양불꽃방패에코 그건 니가 공부 열심히 안해봐서 그런거 아니냐
@user-vm3zf8xt7t2 жыл бұрын
@@akwwjwnjwjwjwwjns5868 좋은직장이라 함은 대기업 공사 공무원인데 한전에 들어가기 위해선 면접뿐만이 아니라 쌍기사 기본에 지성을 갖춰 ncs를 풀어내야하고 공무원은 9급 합격자의 평균 공부시간이 2년정도임 물론 이 2년이 하루도 허투로 쓰지 않았을때 보장되는 합격이고요 ㅋ
요즘 공부가 진실된 공부가 맞나 싶다 그냥 의미가 변질된듯 세상 살길 많은데 워낙 공부공부 고리니까 남이 할때 안 하면 낙오자 된다는 생각때문에 하는것 같음 완전 최상위 제외하면 학원다니는것도 남들 하는데 안하면 불안해서 다니는거지 진짜 깨우치려고 가는거 아닌것같음
@SamsungKimPro Жыл бұрын
우리 아버지 연세대 79학번인데 새삼 대단하다고 느껴지네..
@옆집뫄뫄씨3 жыл бұрын
진짜...지옥이다
@박민경-p3r3 жыл бұрын
크랩뉴트로채널진짜사랑해요 업뎃얼마나기다렷는지..
@역덕피디3 жыл бұрын
수시보다는 저게 훨씬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보임.
@jkasasv3497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너무해..나 잠깐 유튜브 하는거녀.. 3시간 공부하다 잠깐 유튜브 보겠다는데 이걸 알고리즘 시켜서 날 보게 만들어서 다시 책상에 앉게해?! 진짜ㅠ 😢 공부한다 내가 진짜
@dhy05262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많이 살아본 사람으로써 바라본 한국 교육과정은 너무 기괴함..수능이란게 도대체 왜 있는건지 자라나는 아이들이 미래를 바꾸는건데 ..아마 몇십년이 흘러도 한국은 지금과 똑같을듯 ㅜㅜ
@골뱅이yxxm3 жыл бұрын
시험전날 이걸버는내가 레전드… 공부 더하다 자야되나??…
@user-holycrap12 жыл бұрын
초딩 같은데 놀아 걍ㅋㅋ
@골뱅이yxxm2 жыл бұрын
이제 수능 23일 남은 고3입니다만
@구카-g5k2 жыл бұрын
펙트 대학가도 사회 나가도 공부는 계속 해야된다
@ddagebi3 жыл бұрын
저 치열했던 시절에 지방 구석에서 경기권 대학까지 가시고, 법원까지 들어가신 제 어머니... 존경합니다 어머니
@Arihure2 жыл бұрын
뒤짐?
@ddagebi2 жыл бұрын
@@Arihure 멀쩡히 살아계십니다. 인성검사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손민규-u5d2 жыл бұрын
일기는 일기장에
@ddagebi2 жыл бұрын
@@손민규-u5d ?
@goodsooya6623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열심히 일하고 계시다니 정말 존경할만하네요!
@phillover06097 ай бұрын
1:16 와 ㅎㅎ 배우 류승룡님!! 안녕하세요 ㅎㅎㅎ 이때도 너무 잘생겼어요 ㅎㅎㅎㅎ
@miheelee17913 жыл бұрын
여기 자막 너무 쎈스 있슴 ㅋㅋㅋ
@Disneylover1026 Жыл бұрын
하... 침대에서 뒹굴거리며 유튭이나 보고 있는 내 모습을 보며 현타오신분
@미스테리헌터-u8z9 ай бұрын
지금도 다르지 않아요. 학교에서 학생들이 자기개발 하지 못하도록 잡아놓고 좋은 대학 좋은 학과만 인생의 목표라고 하지요. 대학에 가도 불필요한 것들만 잔뜩 가르치고, 결국 대학나와서도 다시 스펙이라고 취업에 필요한 것을 공부하는데 정작 기업에서는 스펙보다 경험을 중시하지요. 결국 불필요한거 가르치느라 돈쓰고, 배우느라 돈쓰고, 이게 한국 학교의 현실입니다.
@칼라밤나락3 жыл бұрын
근데 과거에도 사교육으로 인한 문제가 있었던 듯... 고려시대에는 최충의 문헌공도를 비롯한 사학이 열풍이었고 조선에서는 서원이 있었으니...사학 열풍도 나름 역사와 전통(?)이 있는 것 같음ㅋㅋㅋ
@127hyp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포비야-m7h3 жыл бұрын
0:13초에 창문을 깨고 무시하며 안으로 들어가는 아저씨 이야 참으로 좋은 시민의식이다
@cooku99842 жыл бұрын
2:46 뷰티풀너드 최제우 닮았..
@you-are-indians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Fugjagavsbsi2 жыл бұрын
역시 강한자만이 살아남는 헬조선…
@newkind_2033 жыл бұрын
3:32 헐 강대구 선생님..?
@TureTaegee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랑은 다르게 저땐 진짜 학벌이 신분상승의 지름길...
@벌꿀오소리-w9b2 жыл бұрын
우리아부지는 태권도로 한체대 스카웃 되셔서 학력고사 대충보셨다네요.........
@cyan_ast48852 жыл бұрын
와..그럼 저때 고3이었던 사람들이 지금 5~60이라는거잖어…;; 지금보다 더 빡세네;;;
@Lifeismeetingandparting2 жыл бұрын
앞서 버스 영상에서 그렇듯.. 강한자만이 살아남을수 있었던 시절.....🙏
@MBDTF-2010-Again3 жыл бұрын
힘내자!!
@herbcare88 Жыл бұрын
1:11 영화배우 류승룡씨네요 ㅎ 당시 암기왕이셨군요 ㅎ
@Ha_ruA2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눈물이 나네 .. 그냥 세월이 흘러온 이런 모든게..
@겅응고양잉 Жыл бұрын
와... 우리 할아버지 서울대 의예 시험 보셨다 떨어지시고 성균관대 교육학인가 어디 들어가셨다 했는데 공부 진짜 잘하신거구나 ㅋㅋㅋ 올해 90이신데..
@붕어빵이조아 Жыл бұрын
우와 진짜 대단하셔요!!
@나는짱-j1t6 ай бұрын
그때는 진짜 고등학교만 나와도 고학력이엇어요 ㅋㅋ
@bunyojojuljalhey2 жыл бұрын
이제 곧 또 수능날이군요.... 불철주야 내달리는 우리 케이 고삼 수험생 여러분 모두 화이팅 ㅜㅜㅜ 원하는 결과 있기를
@hannuritv073 жыл бұрын
나 지금 중2인데 이런거 뚫어낸 사람들 존경할수 밖엔 없을듯
@이정호-b5n3 жыл бұрын
점수가 미래를 좌우하고 무리해서 사교육 시키는것등, 지금도 저때랑 별 다를게 없는데요.
@Hayan_Yeou3 жыл бұрын
나두 대학 나왔지만 사실 졸업장이 뭐 100퍼 먹히는것두 아니구. 진짜 좋은 사회는 굳이 모두가 대학 안가더라두 모두가 인정받구 존중받는 사회 아닐까...
@slwlaodjqdnfkd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 빨갱이 마인드
@cute_sexy2 жыл бұрын
쌉인정...ㅠ 그런 사회가 부디 오면 좋겠다
@murasa42372 жыл бұрын
그건 공산권....대학을 안가도 능력이 있는 사람이 인정받는게 진짜 사회지
@Happieeeeeee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자동차 엔지니어나 수리공들이 의사급으로 존경받던데 기술 하나로 먹고 사는게 대단하다고 해주는 듯 공무원이 희망직종인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는듯
@minon5223 жыл бұрын
언제까지 대학인 인생의 보장이 될거라 생각하나
@기록-o6c2 жыл бұрын
1:14 배우 류승룡이 왜 여기있음???
@HIH_SWFL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저러면..넘 좋겠다
@whatever-it-takes3 жыл бұрын
저희부모님 10대때가 딱 저때였는데 하는애들은 다 몰래몰래 했다 하더라고요ㅋㅋ
@지오폴리틱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cano-rx2qp3 жыл бұрын
대학이 전부였던 시대...
@I라면3 жыл бұрын
나도 엄마한테 붙었어! 하면 막 비명 지르고 같이 뛰어줄 줄 알고 기대했는데, 실제는 그래? 잘했어~ 이걸로 끝이더라.... 저거 진짜 로망이었는데....
@한재윤-z3i2 жыл бұрын
류승룡배우 대박
@Rms192m2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요
@chemistry20233 жыл бұрын
하.. 74일 뒤에..꼬옥..
@user-dl1wo2gm6l3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면서 현타를 느끼고 이걸 적으면서 한번더 현타를 받습니다
@joshuakim55053 жыл бұрын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 가나 못해서 그저그런 대학 가나 취업 힘든거는 똑같은거 아닌가 뭐 좋은 대학 가면 진짜 발톱 때만큼 유리한거는 있음 학창 시절 학생의 본분을 다한거니까 근데 그거 뿐임 어차피 일시켜보면 다 똑같거든 그래서 요즘은 공부 보다 본인이 잘하게 있으면 그거 하는거도 나쁘지 않다고봄
@09musuri712 жыл бұрын
진짜 목숨걸고했었지...
@이지수-h7k3 жыл бұрын
저 땐 대학가면 끝날줄 알았지 .. 대학이 끝이 아니라 대학원... 대학원으로 끝이 아니라 취업전선.. 남자기준 나이 30이면 아주 준수한 나이 하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하고 최악은 고시생활로 전락.. 합격의 즐거움에 너무 좋아하지마라 작은동산 하나 넘은 거다 화이팅 2030
@jhaha579142 жыл бұрын
내일 시험인데 유튜브로 노가리하다가 하필 이게 알고리즘에 뜨네...
@정지훈-i9y3 жыл бұрын
와.......할말을 잃었다 진짜 저때 저분들은 공부 앞에서 라때는 말이야를 말해도 되는거 아니냐?
@pineapplech.5749 Жыл бұрын
"잘배워야 잘산다" 이말이 왜이리 슬프냐
@객관적감상평3 жыл бұрын
3:09 엄청난 미인
@mekopark3201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거암? 저때 대학을 갔다는거 자체가 왠만한 동네에서 방귀 꽤나 뀐다는 수준임. 저땐 한창 울나라 방직돌아가고 하던때라 그 수준을 살펴보려면 지금의 방직산지 보면됨.
@luckypark20113 жыл бұрын
공부도 적성이지 억지로 한다고 되나..자식한테 강요하지말자. 공부가 전부가 아니다
@없어요-o2h2 жыл бұрын
3:32 그래서 군대 잘다녀왔음??
@남성가족부-o9c2 жыл бұрын
3:08 누구임? 저 시기에 완전 초미녀인데?
@망곰택연3 жыл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할게요...
@화가난뱁새 Жыл бұрын
시대에 따라 적용되는 시너지가 다르니까 보고 자극받을 학생들이 있을까 매리트가 다름 또 이런 영상보고 라떼는 저렇게 공부했다니 뭐니 바로 틀 딱딱소리들어요~
@닿닿 Жыл бұрын
오프닝의 공성전 시퀀스를 보면서 나는 아직 멀었구나... 더 강해져야겠다 생각이 듭니다.
@cgtasg56013 жыл бұрын
2:14 근데 공산주의 북한도 아니고 마약거래도 아닌데 일개 개인의 영리행위를 국가가 막는게 말이 됨?
@doubled12413 жыл бұрын
저때는 군부정권이니 뭐...
@넝담크3 жыл бұрын
그 누구보다 공산주의를 반대하면서 그 누구보다 공산주의처럼 행동했던 놈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넝담크3 жыл бұрын
@Oops! 모든 공산주의 국가는 반드시 독재를 하기 때문에 공산주의는 독재와 유사한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
저당시는 좋은 대학은 곧 좋은 직장으로 직결되는 구조였음. 그땐 서연고로 대기업들이 우리 기업으로 들어오라고 설명회까지 직접 열 정도였으니까.. 지금은? 순수하게 서연고 학벌만 가지고 대기업 입사는 택도 없다. 지금 현세대의 한국의 청년들은 굉장한 오버스펙을 쌓는 중이다 이말이야..
@sda65472 жыл бұрын
0:25 류승용
@himchangwag76772 жыл бұрын
대학에 목숨 걸 필요가 없다는 걸 졸업하고 깨달았다
@mytripdiary68013 жыл бұрын
1:10 형이 왜 거기서 나와...?
@ImJyoon3 жыл бұрын
저때 학생분들 인터뷰할때 하는 말이 지금이랑 똑같네 ㅋㅋㅋ 참.. 슬프네 나도 몇년뒤면 수능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