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니 N 화니 시간입니다. 이번 이야기는? 중국 간장에 대한 이야기랍니다. 간장은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양념이지만 외국간장 하면 거부감부터 드는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일단 써 보면? 너무나도 익숙한 느낌에 놀라곤 하죠. 왜냐하면 간장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원리는 비슷~ 하거든요. 중국 간장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추후 장 콘텐츠에 대한 스포 역시 살짝~ 있습니다.
@yasin-mo3eh2 жыл бұрын
1년 여 전에 듣고, 지금 다시 복습하는 기분으로 듣는 거지만, 화니님의 자세한 설명은 어디에서도 듣기 힘든 정말 유익한 정보입니다.
@YuenKim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정성껏 준비해주신 훌륭한 컨텐츠입니다. 늘 그렇듯 후속편에서도 많이 배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황희-w4t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들었어요~
@hahihuhehoooou5 жыл бұрын
어디서 안알려주던 정보를 알기쉽게 알려줘서 정말 좋아요!
@noubon2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인트로 볼수록 매력적이네요 음악도 정말 너무 잘 어울려요ㅎㅎㅎ 화니님의 매력중 정말 큰 매력은 전문지식들은 편하게 전달해주시는게 자꾸만 이채널을 들어오게 되는거 같아요ㅎ
@gorsia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ㅎ 근데 덕질차원으로 하다보니 체력이 늘 부족하더라구요.
@loveag77 Жыл бұрын
중국간장 이번에 처음으로 구매해보려구하는데~ 어떤걸 사야할지 모라서 검색중에 영상 보았어요 정말 도움많이 되었어요 덕분에 중국간장 공부도 되었구요 영상을보니 저는 로추를 사야되겠더라구요 찜닭을할거거든요~ 영상 잘보고갑니다
@Veronica-zu7ui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오늘도 유익하고 꿀같은 정보 편하게 잘 보고 얻어갑니다 ㅎ 화니님께 빚을 지는 느낌?ㅡ항상 감사합니다!
@OSHYOM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 중국 간장들 몇개 있는데 맛만보고 진한거 연한거 분류해서 상황에 맞게 썼었는데 제대로 사용하고 있었었네요 ㅎㅎ 명확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중국 소스류에 대한 호기심이 더 생기게 된 계기가 되었어요!
@정유호-t5g5 жыл бұрын
오늘도배우고갑니다
@남남형제맘2 жыл бұрын
족발만든다고 로추샀는데 한번쓰고 못쓰고있었는데 정보 자세히 알려주셔서 잘쓰겠습니다☺️👍
@gorsia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gkskdi66235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않아도 어제 General Tso 볶음 요리를 만들려고 대만산 생추간장 진간장을 샀는데 한문엔 일자무식인지라 많이 궁금했는데 자세하지만 간단한 설명 고맙게 잘 보았습니다. 태국요리엔 끈적한 sweet soy sauce 가 많이 들어 가던데 가끔씩 캐러멜이나 팜설탕을 잔뜩 넣은 건 아닐까 생각했네요 .
@jpark618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점점 더 말씀하시는 톤도 좋아지고, 발음도 더 좋아지고... 내용은 워낙에 좋고 유익하구요. 화니님 채널 더더더 흥했으면 ㅠㅠㅠㅠ!!!!
@Firstimefeel3 жыл бұрын
많은도움 됬습니다.
@진우연-d3f5 жыл бұрын
설명 짱 !!! 잘 보고 공부하고 갑니다..
@philiphsuful2 жыл бұрын
8:30 계왕님이 좋아하십니다. ㅋㅋㅋ
@미숑-s9w5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단어가 익숙치않아서 좋아요누르고 여러번봐야겠어요 오래준비하신것 같고 정말 깔끔하고 완벽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중국가정식들도 궁금합니다
@샬롬살몬5 жыл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ㅜㅜ 친절하고 이해하기쉬운 설명이에요 늘 감사합니다
@nango3eda5 жыл бұрын
중국에 살고 있어서 마트 갈 때마다 궁금했는데 감사해요!!!!
@大ペコちゃん-e3l5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ご苦労様でした。角煮美味しそうですね👍
@im32945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 잘보고있어요
@하니와우주5 жыл бұрын
와우 ~~~ 영상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먹는요령5 жыл бұрын
와..오래 준비하신 영상이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정말 잘보고 갑니다! 설명을 듣다보면 자연스레 구매욕구가 생기네요..ㅎㅎㅎ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간장+간장을 활용한 양념 종류가 훨씬 다양한 것 같네요! 동파육에 로추가 쓰인다는 것도 이번에 첨 알게 되었는데, 깨알 꿀팁(?) 알게된 것 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당ㅎㅎㅎ 누군가 동파육 만든다고 하면 막 설명하게 될 것 같은 느낌?!
@gorsia5 жыл бұрын
땅이 크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있으며 역사도 오래되다보니 발효음식에 대해서도 그만큼 다양해진 것 같아요. 특정 지역에서나 먹는 장이지만 파인애플장(발효콩과 소금, 빙탕, 파인애플을 넣어 발효), 수박장(수박의 흰 부분과 발효콩, 소금을 넣어 발효), 옥수수장(삶은 옥수수에 발효콩과 소금을 더해 발효)도 있답니다.
@손군5 жыл бұрын
화니의주방은 항상 디테일이 맘에들어요 화테일~
@innifree14695 жыл бұрын
드디어! ㅠㅠㅠ 기다렸습니다.
@Martinelliba5 жыл бұрын
도저히 못참겠다 하나 장만해야겠네요
@hyejinkim78735 жыл бұрын
중국음식중 제일 궁금했던거에요 고맙습니다
@spherulite5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최고 수준의 영상 잘보았습니다 평소에 중국간장에 대해서 궁금했는데 너무 좋습니다
@재자-q9z5 жыл бұрын
와,, 항상 보면서 느끼지만 영상 하나를 위해 공부 엄청 하시는게 느껴지네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AkMfkilla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bj77685 жыл бұрын
로추가 참 맘에 드네요 .셜명을 듣다 보니 사두면 여러 모로 잘 활용될것 같은 느낌 ,,고기 요리나 특히 쏘야 ~ 에 잘 쓰일것 같은 생각 에요 당장 사야 겠써용 ㅎㅎ 감사합니다 .댓글 보니 저만 사고 싶은 생각이 드는게 아니네영 ㅋㅋㅋㅋ
@낙인-m8i4 жыл бұрын
저기에있는 해선간장을 계란볶음밥에 넣으면 겁나 맛있어요.
@leeaf74 жыл бұрын
아무도 설명해주지 않았던 점인데 정말 고맙습니다. 아마추어 홈쿡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hy-uq2fw11 ай бұрын
회에 찍어먹을 간장같은건 어떤거죠? ㅠ 다른간장을 시도해보고 싶어서요 ㅎ
@gorsia11 ай бұрын
미극선 간장이 회랑 잘 어울리더라구요
@violet_2395 жыл бұрын
광고인듯 광고아닌 영상.. 오늘도 지식마니얻고갑니당
@gorsia5 жыл бұрын
예시영상을 보여줘야 하는데, 쓰는 제품들이 해천거라..ㅎㅎㅎ
@샌드맨-m8t5 жыл бұрын
이것은 화학인가 요리인가 ?: 안녕하세요, 화리... 아니, 화니입니다;
@우지은-o9d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fercious5 жыл бұрын
어설프게 알고 있던 중국장에 대해서 잘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gorsia5 жыл бұрын
다음번에는 첨면장 다룰건데 거의 여름 지나간 후에나 가능할듯 해요.(양조쪽은 기간단위가...)
@참깨-j8e5 жыл бұрын
요리하면서 간장에 대해 항상 의아 했었는데 이제 어떤 요리에 쓰는지 좀 더 정확해진기분입니다 :))
@킴블루베리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msg와 소금, 감칠맛에 대한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ㅠㅠㅠ
@philiphsuful2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에서 치킨라이스같은거 주문했을때...종지에 같이 나왔던 간장이... 제일 입에 맞던게...우리간장보다 까맣고 끈적하고 진한맛이었는데 (미묘하게 달착함도 있었습니다.)그때 그 간장이 궁금했는데 로추겠죠??
@gorsia2 жыл бұрын
넵, 로추 혹은 오이스터 소스를 섞기도 한답니다.
@ililli1-t8j4 жыл бұрын
설명 깔끔하게 잘하셔서 좋아요!!
@jewss2211 ай бұрын
생추간장을 쓰는 요리가 있다면, 한국의 조선간장(국간장)이나 양조간장을 써도 될까요?
@gorsia11 ай бұрын
조선간장과 생추는 맛이랑 향이 완전히 다르답니다. 때문에 대체제로 쓰시면 안됩니다.
@sdijlse3 жыл бұрын
오 너무 좋은 내용이에요~
@정원-i6z5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화니님영상:)
@eyoukang74433 жыл бұрын
노추랑 생추를 샀는데 궁금해서 들어왔는데 넘나 유익하네요. 중식만 잘하는시는줄 알았는데 유식하시기까지ㅎㅎ 잘배웠습니다. 어려운 단어는 금방 까먹겠지만요ㅎㅎ 근데 생추 쓰이는곳은 더 알아봐야겠어요😅😅😅
해천 해물간장이 맛있어서 해천미업꺼를 보다가 종류가 많아서 뭐가 뭔지 몰랐는데 이제 정리가 좀 되네요~~
@NUDENG731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중국친구가 있었는데 그친구가 계란볶음밥을 집에서 해준적이 있습니다.. 근데 볶음밥이 약간 검갈색 느낌이났고 검은색 간장비슷한게 들어간거로 추측이되는데 .... 절대 한국간장 맛은 아니었습니다.. 향이 독특합니다.. 그친구가 이제 한국에없어서 도저히 뭘 넣었는지 알수가없어요.. 그러다가 어느날 우연히 진강향초라는 흑식초 냄새를 맡아본적 있는데요. 그 볶음밥에서 났던 검은소스냄새랑 똑같았습니다. 그래서 진강향초를 볶음밥에 넣어서해봤는데 향만 그 향이나지 맛은 그냥 식초라 볶음밥을 망쳤었는데요.. 혹시 그 진강향초라는 흑식초랑 향이 똑같은 간장?소스? 가 무엇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gorsia Жыл бұрын
노두유 소량을 볶음밥에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진강식초랑 비슷한 향이라면 그건 또 아닌 듯 해요. 물엿류에서 느껴지는 그 향 맞죠? 혹은 간장에 황주와 같은 술을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었겠습니다. 좀 생소하긴 하지만, 중식에서는 볶음밥에 간장과 소량의 술을 섞어서 양념으로 쓰기도 하거든요. 황주계통의 술은 진강에서 느껴지는 향 같은? 그런 향이 난답니다.
@toughj26685 жыл бұрын
화니님만큼 영상에대해서 신경쓰시고 발전해나가는 크리에이터 정말 손에꼽을정도인것같아요 첫영상때부터 구독하고 영상을 봐온 구독자로써 진짜 응원해요^^
@최연우-u8n5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로추를 사둘까 말까 고민했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니 하나 사서 쓰면 좋을 것 같네요 항상 좋은 영상 좋습니다
@gorsia5 жыл бұрын
넵, 의외로 활용도가 높은 간장이랍니다. 데리야끼 소스만들때 응용할수도 있어요.
@선열-e7v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백선생님보다 화니님이 더좋아요!! 지식배워가요!!
@이영철-j1p5 жыл бұрын
역시 영상의 퀄이 굿굿!
@동해바다-s4f5 жыл бұрын
ㅎㅎ 화니님~~~ 늦은시간에 업로딩이시네요~~
@임몽이-y4j2 жыл бұрын
와 잘보고갑니다 너무감사해용ㅜㅜㅜ
@kingcrimson89295 жыл бұрын
저희동네 중식마켓에 다 있어서 편히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네요 해선간장 한번 써보고 나니 맛이 너무 좋던... 특히 볶음밥 만들때 쓰니 진짜 최고더라고요 근데 로추는 확실히 많이 남아서 어떻게 쓸지가 고민되네요
@Bear-yd1ro4 жыл бұрын
도움 됐습니다.!
@Truth_Choi5 жыл бұрын
화니님의 알려주신 산라탕을 만드려고 하는데 현지맛을 위해선 어떤 간장과 식초를 추천해주시나요?
@gorsia5 жыл бұрын
간장은 일반적인 간장 혹은 생추 권하구요, 식초는 진강식초(흑식초), 라오천추 추천합니다.
@해피바이러스-d3h5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간장떨어져서 무슨 간장쓸지 고민이였는데 좋은정보감사해요 화니님~ 그런데 우리나라 음식조리를할때 감칠맛이좋고 보편적인 요리를할때 좋은간장을 추천해주실수있을까요? 참고로 해선장과 기꼬만간장 우리나라간장들 사용해본적있는데 화니님이 생각하시는 괜춘한간장 추천부탁드려용
@hailongcao4747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해천미업 직원입니다.실례지만 어느 업종이신지 말씀해주실수 있으신가요? 조언이나 제품드리고 싶습니다.
화니의 주방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요리매니아들의 택스트가 될 슬로우푸드와 같은 재대로 만들어진 영상채널입니다 꼭 그 빛을 받는 날이 올꺼예요
@객가산장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늘도 잘 보앗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한식, 가정식, 일식(만), 양식, 베이커리 전문 유튜버들과는 다른 에스닉 푸드 전문 유튜버라서 초창기 시절부터 꾸준히 챙겨보고 반복시청 하고 잇습니다. 덕분에 요리 지식도 꽤 늘었고 요리에 대한 센스도 많이 좋아졌습니다.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가는 것은 분야를 막론하고 고되고 어렵지요. 남들처럼 시청자랑 농담따먹기 하면서 그게 그거인 자취요리, 간편요리 시리즈만 거의 10년째 하고 있더라면, 은은한 조명에 ASMR 마이크 가지고 양식, 베이커리 영상 찍어서 갬성 자극하는 컨셉 무한반복으로 갔더라면 제가 화니님의 영상을 보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채널이 많이 성장한 모습이 보기좋고 앞으로도 번창하실 화니님을 생각하니 제가 기분이 좋습니다. 선생님 저의 그냥 개인적인 바람은. 혹시 중식-동남아-일본 이외의 인도-중동(후무스 잘 봤습니다^^)-아프리카-동유럽,북유럽-북미,남미(칠레 콘 카르데 잘 봤습니다) 같은 더 마이너한 요리도 조금 더 자주 올려주실 수 잇으신지, 빵(슈톨렌^^만드느라 정말 고생하셨어요)이나 쿠키류도 반년에 한번 정도는 올려주실 수 잇으신지 그냥 한번 여쭈어 봅니다. 아니면 세계화된 중식 시리즈 라던지... (궁보계정 잘 봤습니다 ^^)그러니까 약간만 바운더리를 추가해 주시면 채널의 분위기와 포커싱이 한번 더 환기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아무쪼록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gorsia5 жыл бұрын
넵 안녕하세요. 빵이라던가 빵 같은 메뉴는 제작할 계획이 있습니다. 빵을 좋아하는 것도 있고, 다양성이 많은 메뉴다보니 관심이 가더라구요. 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종완-n3u5 жыл бұрын
그럼 첨면장으로 쫌 깊은맛의 미소된장국을 해볼수 있는건가요?
@gorsia5 жыл бұрын
첨면장은 미소와 풍미가 많이 달라서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첨면장은 호기발효를 해 색도 짙고, 미묘한 산미가 나는 반면, 일본의 미소는 혐기발효(일본은 으깬 콩과 코지, 소금을 섞어 단지에 꽉꽉 눌러담은 후 김이나 다시마로 덮어 그대로 둡니다. 즉 공기나 햇빛을 쪼여주지 않아요.)를 하기에 고소한 맛과 단맛 위주로 나게 된답니다.
@장종완-n3u5 жыл бұрын
와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채널 번창하세요~
@RoyZoe4 жыл бұрын
첨면장, 황두장 활용 컨텐츠가 있음 좋겠습니다. 뭔가 티저 비슷하게 떡밥을 던져주셨는데 아직 관련 영상이 없다는 ㅋㅋㅋ ㅜㅜ
@gorsia4 жыл бұрын
일전에 황두장 짜장면 먹방 영상에서 황두장 짜장면 만드는 장면이 나왔었답니다.
@아비터할배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중국요리에서 간장을 태우듯이 한 숟가락정도 둘러주는게 대충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gorsia5 жыл бұрын
상당히 오래전부터 쓰던 기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몇몇 장들은 의도적으로 발효를 중단시키기 위해 가열을 해주는데요.(생추를 생추상태로 유지시켜야 하니) 이때 향기가 짙게 나는 것을 보고 요리할때 시도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tomadream5 жыл бұрын
오 중식에 대한 지식이 정말 해박하신거 같아요 구독 누르고 갑니닷!
@g.dragon95914 жыл бұрын
간장별로 어떤지 어떻게 사용되지는에대한 영상인지알았는데 너무 디테일이...
@whc7942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그런데 로추 라고 표현하시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노두유의 노(老)처럼 두음법칙을 적용하면 노추가 맞을 것 같은데 말이죠.
@gorsia5 жыл бұрын
노추가 맞긴 한데... 노(틀담의 꼽)추가 생각나버려서...(..역시 4차원..ㅎㅎㅎ) 로추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조민양4 жыл бұрын
로추로 갈수록(나이가 오래될수록) 짠맛도 진해지나요??
@gorsia4 жыл бұрын
짠맛 보다는 미묘한 쓴맛이 난답니다.
@junhwanchoi61345 жыл бұрын
화니님 항상 영상잘 보고있고, 또 저는 저번에 나눔이벤트때 당첨되서 로추도 잘 쓰고있습니다. 그런데 로추로 간을하려할때 많이 넣으면 안된다고하시는게 쓴맛때문에 그런가요? 제가 찜닭을할때 간을 간장으로 맞추는데, 간장7:로추4의 비율로 맞추고, 그외의 짠맛이 나는 재료는 굴소스 조금? 정도입니다. 또한 야끼소바를 만들때 기존의 간장량이 10이라치면 이것도 진간장과 로추를 5:5로 섞어서 사용했는데...(색을 위해서) 진간장과 로추의 비율이 7:4나 5:5이면 너무 과한건가요? 어느정도로 맞추는게 가장 이상적일까요? 저도 아메리칸 차이니즈에 관심이 많아서 비프 호펀등을 만들때도 외국 레시피를 검색해보니까 간장2:로추1정도라서, 로추를 그냥 팍팍썼거든요...
맑은 국에 쓴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국간장과 비슷한 포지션인것처럼 느껴질수 있지만, 향 부분에서 좀 더 가볍기에 범용성이 높답니다.
@뜨억뽀옦끼4 жыл бұрын
황먼지미판에 들어가는 간장은 뭔지 알 수 있을까요ㅠ?
@gorsia4 жыл бұрын
일반적인 간장+노두유 조합입니다.
@뜨억뽀옦끼4 жыл бұрын
화니의 주방 감사합니다!☺️
@angelinus354 жыл бұрын
모르고로추를샀어요ㅜㅜ장조림할건데. . .ㅠ그냥반품해야겠네요
@gorsia4 жыл бұрын
장조림에 쓰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간장 대부분에 로추 약간 넣어서 색과 향을 더해주는 정도가 좋아요
@gamato115 жыл бұрын
미스터추에서 뿜었네용 ㅋㅋㅋ
@xpark17395 жыл бұрын
강추 ㅋㅋ
@leehan1052 жыл бұрын
중국 유튜브의 볶음요리 보니까 라이트와 다크 소이소스, 그러니까 생추와 노추를 같이 넣기도 하더군요 그냥 간장 하나만 넣지 않고 굳이 생추 노추 섞어쓰는 이유가 뭔지... 그리고 울나라에서 중국요리할 때 들어가는 해선장은 이금기 해선장처럼 쌀국수에도 넣어 먹는 해선장인지 아님 해산물이 조금 들어간 해선간장을 말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gorsia2 жыл бұрын
좀더 복합적인 맛을 위해서 랍니다. 노추의 경우 약간의 씁쓸한 맛이 있는데요. 이 미묘한 쓴맛이 볶음요리에 고소한 맛을 더해주기도 해요. 간장을 블랜딩해서 쓰는? 약간 그런 느낌이라 보시면 된답니다. 그리고 해선장은 쌀국수에 들어가는 그 해선장이랍니다. 북방쪽에서는 잘 안쓰지만 남방에서는 종종 쓰이기도 해요.
@junincanada4216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화학 수업을 듣고 온 기분...ㅋㅋ 중국 간장 맛 관련 질문이 있는데요. 해외생활 중이라 한국 간장을 구할 수가 없어 그냥 마트에서 일반 중국간장만 어쩔수 없이 쓰고 있는데, 확실히 한식 레시피대로 만들면 그 간장향 때문에 맛이 좀 이상해지는 것 같아요 ㅠ 중국간장으로 한식을 만들 때 맛을 안버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 간장에 뭐라도 좀 타야 하는지...
@gorsia5 жыл бұрын
양조 시 주 재료에 따라 맛이 크게 바뀌기 때문에(곰팡이 종류도 있지만 주재료의 영향이 큰 편입니다.) 완벽하게 극복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마늘즙 등등을 넣어서 향을 덮는 방법이 그나마 쓸만하답니다. 중국요리에서는 의도적으로 마늘 풍미를 내기 위한 목적이 아니면 마늘을 많이(우리나라처럼 항상) 넣진 않거든요.
@junincanada42165 жыл бұрын
@@gorsia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말씀하신 것 처럼 그냥 다른 향을 팍팍 내봐야겠네요...
@Firstimefeel3 жыл бұрын
댓글달아주셔서 감사해요.동영상참조하러 왔습니다
@양인영-b3j5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 사람들은 아밀'라아제'라고 안부르고 아밀레이스라고 배운다고 하더라구요 ㅎㅎ
@crazydog3295 жыл бұрын
선댓글💕💕
@자히아5 жыл бұрын
설마 만드나했음 왠지 이유튜브는 그럴거같아서ㅎ
@김영환-w6v5 жыл бұрын
카라멜이 인체에 해롭지는 않나요?
@gorsia5 жыл бұрын
별로 좋지 않다고 합니다. 때문에 로추의 경우 좀 오래된 장유회사 제품을 쓰는게 좋아요. 오래전부터 만들던 회사들은 오래 묵혀서 색을 만들거든요.
@김영환-w6v5 жыл бұрын
@@gorsia 아 그렇군요 오래 되면 카라멜 색소 없이도 색이 나는군요. 감사합니다.
@사슴-u8r5 жыл бұрын
헉헉.. 초고노추라는것이 로추이군요... 얼마전에 이벤트로 받은것이 있어서 당연히 일반간장처럼 무식하게 쓰고있었네요..
막연한 궁금증인데 두반장,해선장,노추,xo소스,굴소스 등등 중국계 소스&장류를 일반인이 구매함에 있어 가장 쉽고 접근성 좋은 제품이 "이금기"제품인데, 이 이금기 제품이 믿을만한 제품인지(좋은 원료,방부제 최소화,넣지말아야할것 넣지말기,식품공장내 위생 등등을 총체적으로) 모르겠네요. 예를들어 양식의 경우 aop.igp.dop등의 지역인증(?) 품질 보장 마크가 있고 관련 제조사 정보도 어느정도 찾을수 있는데 반해 이금기는 그저 중국 최대규모의 식품회사라는것 밖에는..
@gorsia3 жыл бұрын
이금기, 해천미업 등 중국의 대기업 제품들은 믿을만한 제품입니다. 일단 두 회사 모두 HACCP 인증을 받았구요, No GMO , No MSG 상품 군까지 있습니다.(이금기의 그린 팬더 굴소스는 No MSG 제품) 또한 이러한 회사들 제품의 경우 '수출' 할 경우 수출국의 규정에 맞게 레시피를 수정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관계자 분에게 직접 들었습니다. 이금기 제품 중에 나온 지는 오래되었지만, 한국에 최근에 출시된 제품들이 제법 있는데요, 저러한 부분 때문이라고 하네요. 한국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데 빼버리면 상품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되고 그럼 별도로 개발을 해야 하는데 해당 국가의 시장이 충분하지 않으면 출시를 포기할 수 밖에요. 중국을 대표하는 회사의 경우 정부에서 철저하게 관리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여긴 먹을 걸로 장난치다 걸리면 사형...대기업 총수 입장에서 관리를 빡시게 할 수 밖에 없죠.) 오히려 좀 작은 브랜드 쪽이 첨가물을 넣는 경향이 강하더라구요. 예를 들어 큰 회사들은 밀봉 및 멸균기술이 좋아 소르빈산나트륨(방부제)를 넣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유통이 가능하지만, 작은 브랜드의 경우 그러한 기술 미흡으로 첨가를 하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죠. 다만 중국의 대기업 식품을 구매할 때는 총판 혹은 대리점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들어온 것인지, 보따리 장사꾼을 통해 들어온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라벨이나 성분표 등에 한글이 아닌 중국어가 쏼라쏼라 쓰여있는지 그것만 체크하시면 된답니다.
@네시스제3 жыл бұрын
@@gorsia 감사합니다. 덕분에 한시름 놨네요. 그런데 마지막 문단은 공식적으로 들어와서 한글화 되어있는 제품을 구매하는게, 보따리상들이 들여온 중국어 그대로 씌여진 제품들보다 유통기한이나 보존상태, 수출국 규정 등에서 더 좋다는 말씀이신가요?
@gorsia3 жыл бұрын
넵, 보따리 정식으로 유통된 제품이 아닌 보따리상의 제품의 경우 중국현지에서 쓰이는거라 중국기준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한국의 마라탕집이 중국 현지의 그것과 맛이 좀 다른데요, 이러한 이유때문도 있답니다. (한국에서는 화자오, 마자오 등 볶아서 발아방지를 시킨 향신료만 가능.. 그러나 향신료는 로스팅하면 휘발성 있는 향이 오래가지 못함)
@gottfriedj94765 жыл бұрын
와 중국 공장은 스케일이 엄청나네요...
@gottfriedj94765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유익하고 전달력이 좋네욥
@gorsia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reatdixk5 жыл бұрын
ㄷㄷ 중국음식 너무 잘아셔서 중국분인줄 알았네요......
@HoS_Joa5 жыл бұрын
이제 중국집에서 친구들한테 아는척할 수 있음
@vision100year5 ай бұрын
좀더 정확하게 이야기 해주시면 더 좋을텐데. 잘 못알아 들어서 몇번을 들어야 해서. ㅠㅠㅠ
@gorsia5 ай бұрын
그래서 자막 넣은 거에요. 자막 작업에 3시간 넘게 걸립니다. ㅠㅠ
@jhm14125 жыл бұрын
ㅋㅋ
@manmusss4 жыл бұрын
잠시 안보다가 오늘 오랫만에 봤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분장을 하신 것인지 아님 화장을 하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히 허거덕 했습니다. 화면 안보고 소리만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