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의 뇌는 작아졌을까? (커진 게 아녔어?)|뇌 진화의 미스터리

  Рет қаралды 752,535

과학드림 [Science Dream]

과학드림 [Science Dream]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잘 아시다시피 인류의 뇌는
수백 만 년에 걸쳐 폭발적으로 커졌습니다.
그렇게 커진 뇌는
인류를 먹이사슬의 가장 꼭대기로 올려다 줬고,
지금도 인류는 커진 뇌를 바탕으로
여타 동물들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죠.
그래서 우리는 미래의 인류를 상상할 때
극단적으로 커진 뇌를 떠올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은, 수만 년 전부터
인류의 뇌가 점점 작아지고 있었다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오늘은 ‘작아진 인류의 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인간 #뇌 #진화
=============================================
[참고 자료]
- Maciej Henneberg, (1988). "Decrease of Human Skull Size in the Holocene."
- 기후 변화 가설: 크리스토퍼 스트링거 박사 인터뷰 bit.ly/3Oywe23
- John Hawks, (2011). "Selection for smaller brains in Holocene human evolution."
- Clark Spencer Larsen et al., (2019). "Bioarchaeology of Neolithic Çatalhöyük reveals fundamental transitions in health, mobility, and lifestyle in early farmers."
- HelenM.Leach, (2003). "Human Domestication Reconsidered."
- A M Balcarcel et al., (2021). "Intensive human contact correlates with smaller brains: differential brain size reduction in cattle types."
- 뇌 축소 가설에 관한 여러 과학자들의 의견: bit.ly/3ye8sD2
- Jeremy M. DeSilva et al., (2021). "When and Why Did Human Brains Decrease in Size? A New Change-Point Analysis and Insights From Brain Evolution in Ants."
- ≪뇌는 작아지고 싶어 한다≫, 브루스 후드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브라이언 헤어, 버네사 우즈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 정보 외장화 및 분업화 관련 기사: bit.ly/3OElZZV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Chonklap
(2)Wild Side
(3)Days Pass
(4)Restless Rebels
(5)Howling at the Moon
(6)Chains

Пікірлер: 1 300
@user-cm3es8uk7m
@user-cm3es8uk7m 2 жыл бұрын
그 지루하다던 과학 영상도 재밌게 만들어서 자주 보게 되네요 ㅎㅎ
@veragon04
@veragon04 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흥미진진했네요~ 생각도 안해본 주제다! 잘보고 갑니다~ 최근에 쓰신 책도 다읽었네요~ 시간상 몇차례 나눠서 읽었지만 집중력있게 잘 봤습니다 왠지 모를 새로움과 가득했던 호기심 해소하는 시간이었던 거 같아요~
@y00011590
@y00011590 Жыл бұрын
저희 학교 인류학 교수님께서 하시던 말씀이 퇴화는 사실상 진화와 같은 개념이고, 진화한다는 것이 단순히 이전보다 나아지는 것이 아닌 그냥 모습과 형질이 바뀌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시던 말씀이 생각나네요.
@user-ml2xp9to6h
@user-ml2xp9to6h 9 ай бұрын
@must5008
@must5008 4 ай бұрын
모습과 형질이 바뀌어 나가는 것 =변화 수 많은 변화중 나머지는 도태되고 현재 생존에 적절한 변화만 남는 것= 진화 과거 생존에 도움이 되었으나 현재는 필요가 없기에 사라져가는 것= 퇴화 변화가 가장 상위 개념이고 진화 안에 퇴화가 있습니다. 그냥 모습과 형질이 바뀌어 나가는건 변화입니다.
@aieshinkim5933
@aieshinkim5933 4 ай бұрын
나도 같은생각이요 즉 변화라고 불러야하고 우리인간도 개개인이 다르게 변화함 공부아니고 경험에서 알아냄
@user-rp7jo2pt1x
@user-rp7jo2pt1x Ай бұрын
좋은 표현이네요 꼬리가 퇴화되었다고 되돌아가는게 아니듯이
@user-cu3yc9tk3f
@user-cu3yc9tk3f 2 жыл бұрын
어릴 적 진화론 배울 때 들었던게 '진화는 특정 방향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라며 뭐였지 말 발굽? 수였나 예시로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인류의 뇌도 무작정 커지는 방향으로만 진화하지 않을 수 있죠. 다만 다시 작아지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가설들이 정말 흥미롭네요...
@user-oj2yo8pn7e
@user-oj2yo8pn7e 2 жыл бұрын
아 저도 그 이야기는 기억에 남는데 아마도 말 발굽이야기가 맞을꺼예요
@hongwon89
@hongwon89 2 жыл бұрын
진화는 눈먼 시계공입니다
@user-dz2ro8mf8c
@user-dz2ro8mf8c 2 жыл бұрын
@@hongwon89 어쨋든 돌아가기만 하면 된다고 ㅋㅋ
@user-qo8rj9gc2c
@user-qo8rj9gc2c 2 жыл бұрын
어떤 방향이든 살아만 남는다면 문제가 없는 것이니...
@Leclerc110
@Leclerc110 2 жыл бұрын
문과라서 그러는데 진화론은 가설임? 아니면 팩트임? 그냥 아무도 본사람도 없으니 근거들만 놓고, 결국 믿음의 영역임??
@l6k007
@l6k007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흥미로운 이론에 대한 논문 기반 영상 감사합니다!
@procyonq
@procyonq Жыл бұрын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마지막 가설 특히!
@user-qg7cs6xp8b
@user-qg7cs6xp8b 2 жыл бұрын
아....알기쉽게 설명하면서도~~~ 고 퀄리티 과학드림 넘흐조아 ~~ ㅎ
@semicolon-
@semicolon- 2 жыл бұрын
흥미있는 주제와 잘 정리된 정보네요. 👍
@user-yn9ln2oz5s
@user-yn9ln2oz5s 2 жыл бұрын
인류가 규모 있는 국가를 형성하면서 국가에 보호를 받으면서 생존을 위한 투쟁이 줄어들고 자기역할에만 충실하면 됐기 때문에 머리는 더 좋아질 필요가 없어진 것. 뇌의 잠재력은 늘어날 필요가 없어지고 주어진 잠재력 안에서만 뇌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jpprs4949
@jpprs4949 2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영상이 자주올라오면 좋겠습니다.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2 жыл бұрын
문명화 전에는 똑똑하지 못하면 생존과 번식이 어려웠지만 문명화된 뒤에는 똑똑하지 않아도 생존과 번식이 가능해졌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마지막 가설과 비슷하네요
@user-gc2ih9im3l
@user-gc2ih9im3l 2 жыл бұрын
총,균,쇠를 보면 뉴기니의 석기를 사용하는 원주민이 현대문명인보다 더 똑똑하다고 하더군요. 문명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똑똑하지 못하면 생존을 못하니까요.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2 жыл бұрын
@@user-gc2ih9im3l 저는 근데 그 부분을 보고 좀 의문이 들었는데 아무래도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우생학에 대한 감정적 거부감이 전제되어 있는 역차별적 주장일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원주민들의 뇌용량을 역사적으로 비교해보면 신뢰감 있는 주장이 될 것 같습니다!
@user-qy1yw9ki4d
@user-qy1yw9ki4d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는건 지능이 뇌크기와 연관 되있다는 말인데 마지막 가설도 애매 하네요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lohemsssssssssssssssssssssssss 2 жыл бұрын
@@user-qy1yw9ki4d 네 전문가가 아니라 얼마나 연구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시대나 생활환경 같은 고려 요인이 많을테니 여러 대상에 대한 통시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user-et9zg6bz5x
@user-et9zg6bz5x 2 жыл бұрын
저랑 비슷한 생각이신 분이 계시네요. 반갑습니다. 농업화 이후엔 육체노동만 가능하면 자신이 소비하는것보다 더많은 생산을 하기때문에, 지능적으로는 열등하더라도 모두 번식하도록 선택되어 결국엔 지금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인류는 더 지능이 높은 존재만 살아남기보다는, 열등하지만 다양한 모든 유전자가 살아남아 현재의 엉망진창이며 재미있는 세상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합니다.
@traditional_airconditioner
@traditional_airconditioner 2 жыл бұрын
종이의 발명과 인쇄술의 발전으로 책이 상용화되기 전까지 거의 대부분의 이야기는 한 번 듣는 것 만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구전되었다고 하니 확실히 기억력은 감퇴한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마치 뇌의 용량을 책이나 usb 같은 외부로 옮긴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traditional_airconditioner
@traditional_airconditioner 2 жыл бұрын
@Jeremy Van Lewis 아 그럴다면 책은 그 기간이 좀 짧은 감이 있네요 그러면 기록이나 문자 자체 때문일 수도 있겠네요
@김현수2
@김현수2 2 жыл бұрын
@Jeremy Van Lewis 1400년대 구텐베르크 인쇄술의 발명은 인쇄의 비용을 크게 절감해 유럽 사회의 책 유통량을 수백만권에서 수천만권까지 끌어올린 효과를 냈습니다. 이 덕분에 먼 거리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교육 등 인적자본 투자의 효율이 증대됐을 뿐 아니라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빠르게 유럽 전역으로 번역되고 퍼지며 종교개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정도면 상용화가 됐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김현수2
@김현수2 2 жыл бұрын
@수영 구텐베르크식 인쇄술에서 금속활자를 썼다는 단순한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포도 압착용 프레스기를 응용해 저비용으로 빠르게 대량인쇄를 할 수 있게 됐다는 점입니다 구텐베르크는 이런 혁신적인 기계를 고안해냈기 때문에 발명이라고 칭한겁니다
@김현수2
@김현수2 2 жыл бұрын
금속활자는 제작에 큰 비용이 들지만 한번 만들어두면 큰 유지보수비용 없이 대량으로 찍어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대량으로 인쇄를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능력을 지닌 인쇄기의 발명이 선행돼야 합니다 고대 사람들도 금속으로 도장 잘만 파고 다닌 것을 볼 때 단순히 생각하지 못해서 금속활자를 사용을 하지 않았던게 아닙니다
@user-ze6kk9xb8l
@user-ze6kk9xb8l 2 жыл бұрын
@수영 활자만 생각하면 그렇지만 구텐베르크는 인쇄물의 다량 생산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봐도 무방해서 '인쇄술'은 구텐베르크가 발명했다 봐도 무방합니다. 우리나라 금속활자도 따지고보면 한 종의 기록물을 오랫동안 유지하고자 함으로 만들었지 대량 생산이나 다량 생산을 위한 장치는 아니였기 때문에.
@rygssim
@rygssim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어떻게 매번 이런 참신한 주제를 심도있고, 바람직한 견해로 판단하고 분석하는 지 놀랍네요.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thrma0518
@thrma0518 Жыл бұрын
하루하루 말뒤짚는 진화론...믿음이 절실하다
@user-qs3nr7cy3o
@user-qs3nr7cy3o Жыл бұрын
@@thrma0518 성경에서 그랬다 카더라~가 전부인 창조론보다야 ㅋㅋ
@user-hs8hf6kl6w
@user-hs8hf6kl6w Жыл бұрын
99좋아요 못참지
@prococonut
@prococonut 10 ай бұрын
​@@thrma0518 말 뒤집는 거, 확실하게 안 밝혀졌으니까 가설이지. 정확한 근거에 바탕이 된 내용은 이론, 역학등 뒤집어지지 않지.
@fhana97
@fhana97 2 жыл бұрын
썸넬 보고 생각했던 생각이 가장 나중에 나오네... 기억을 기록해서 뇌 저장장치 용량이 줄어서 크기도 작아지지 않았을까 했었는데. 또 농업혁명이 정착생활을 유도하고 이동성을 떨어뜨려서 뇌 크기를 줄였다는 것도 맞을듯. 멍게였나 산호였나, 무슨 바다 생물이 어려서 바다속에 떠다닐때는 뇌가 있는데 어디에 딱 붙어서 정착하면 그 뒤로 자기 뇌를 먹어버린다고 다른 영상에서 봤었는데 그거랑 관련이 있지 않을까?
@user-qq1uw3yn4e
@user-qq1uw3yn4e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쪽에서는 농업혁명이 일어나기 전인데도 뇌가 작아지고 있었다고 영상에 나왔습니다.
@user-jt4sn1yn7t
@user-jt4sn1yn7t 2 ай бұрын
멍게가 유생에서 정착하면 척삭이 없어져용
@user-lm4xs2os1o
@user-lm4xs2os1o 2 жыл бұрын
이번주제도 흥미롭네요 잘보다갑니다^^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2 жыл бұрын
모든 가설들이 다 일리가 있네요 정말 흥미롭습니다!
@hll2701
@hll2701 Жыл бұрын
고립해서 생활하는 원시부족들과 뇌용량 축소율을 비교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네요
@YANGING1044
@YANGING1044 2 жыл бұрын
7월자 과학동아에 실리셨던데... 인터뷰 내용 너무 잘 봤습니다. 화이팅!
@user-iv1hx4kc1s
@user-iv1hx4kc1s 2 жыл бұрын
기대대된닿ㅎㅎ
@slwlfkf99
@slwlfkf99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머리를 탁 치게 하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rl6px9sy3f
@user-rl6px9sy3f 2 жыл бұрын
즉, 스마폰이나 카드등의 편의제공 기기를 사용하면 할수록 사람은 단순해진다. 실제로 네비없이 지도나 물어보며 가는것보다 네비보며 가는게 뇌를 50%덜 쓴다는 얘기도 있었음. 상점에서도 현금으로 계산할 경우에는, 속으로 물건값을 암산하지만, 카드일경우에는 즉시결제가 아니므로 굳이 암산까지 할 필요성이 사라짐. ... 이걸 교육쪽으로 해설할 경우... 한국국민이 현재교육으로는 특정분야에서는 특출날지는 몰라도 전체적으로는 능력이 떨어질거라는 얘기임. 12년동안 문장암기와 해독만 하므로.
@whlqsn1004
@whlqsn1004 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집단을 이루면서 여러일을 혼자해야했던 과거보다 분업화 되었고 그로 인해 뇌의 자극이 줄어들어 작아졌다고 생각했음. 문명사회에 들어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들을 문자화했고 현대사회에 의해서는 모든걸 저장해 볼수 있게 되어 뇌의 자극은 줄어들어 뇌의크기가 더 줄어들고 있는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그게 가장 최근 이론이였군요. 예전에는 전화번호 다외우고 다녔는데 요즘은 내 번호도 가끔 햇갈릴정도라....
@user-bs2mc5xu5h
@user-bs2mc5xu5h 2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sv1kh9fq3y
@user-sv1kh9fq3y 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뇌의 자극이 적어서 뇌 크기가 줄어드는건 다음 세대로 유전이 안됨. 분업화, 지식의 외장화로 기억력에 대한 진화적 압박이 줄어들었다고 해석하는게 적절할듯
@user-ms9ti4yr7n
@user-ms9ti4yr7n 2 жыл бұрын
@@user-sv1kh9fq3y 혹시 문화적 유전 같은 개념은 없나요? 예를 들어 생물학적 뇌 크기에 관련된 유전자는 그대로 유전되나 분업화 같은 일정한 사회 환경 속에서 개체 대부분 자극의 감소와 함께 뇌의 크기가 일정하게 줄어드는 사회적 적응이 일어나는 현상같이요.
@user-yq2gd1pc4t
@user-yq2gd1pc4t 2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뇌의 자극이 줄어들어 작아진 게 아니라 예전에는 그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큰 뇌를 가진 사람들이 생존에 유리해 살아남으며 그 유전자를 후대로 전달했던 것이고 거고 이제는 그럴 필요 없이 뇌가 작아서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없는 사람도 생존해서 유전자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인류의 뇌가 대체적으로 작아지는 겁니다.
@user-sv1kh9fq3y
@user-sv1kh9fq3y 2 жыл бұрын
@@user-ms9ti4yr7n 오호.. 일리는 있네요. 그 얘길 들으니 하나 생각나는게,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은 뇌 발달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데 사회화, 분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사람 사이에 스트레스 받을 환경이 많이 조성되면서 뇌 크기가 작아졌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특히 현대만큼 인류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적도 없었을테니까요.
@WFALY
@WFALY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채널입니다. 영어자막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Abradolf.Lincler
@Abradolf.Lincler 2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롭네요!!
@user-es5cy5xy6c
@user-es5cy5xy6c Жыл бұрын
티비에서 이 내용 다뤘으면 최소 80분을 넘게 했을텐데 그걸 8분 만에 봤네요~ 굿굿~
@user-nu1dx1dd4b
@user-nu1dx1dd4b 2 жыл бұрын
상아나 뿔을 노리는 밀렵꾼에 의해 죽임을 많이 당한 코끼리와 코뿔소는 상아,뿔이 짧거나 아예 없는 개체가 발견되고있다는데 이런변화가 우리몸에서도 일어나고있었줄을 몰랐네요. (비슷한 예로 적합할지는 모르지만)
@aidiqiuren
@aidiqiuren 2 жыл бұрын
살아남은 개체가 번식하다 보니 그헣게 되는거죠~
@jhlee203
@jhlee203 2 жыл бұрын
@@user-re7yb9lt5g 바로 그거에요. 우리나라에서 머리작은 사람의 번식력이 앞설까요? 그보다는 농경사회로 인한 영양부족이 맞을듯요.
@user-jg1cp4nd3o
@user-jg1cp4nd3o 2 жыл бұрын
@@user-re7yb9lt5g 진화에 성선택만 있는건 아니잖아요.
@Light_ysh
@Light_ysh Жыл бұрын
진화가 반드시 생존에 유리한 개체가 살아남는다기보다 살아남은 개체가 번성하는 구조기 때문에 신체 혹은 환경적인 요소는 더 생존에 유리하게 변해도 전염병이나 얘기치못한 자연재해로 멸종해서 생존에 불리함에도 불과하고 살아남아서 번성하는 구조임. 파충류가 중생대말에 포유류보다 신체적 구조나 환경적 구조로만 봐도 포유류보다 더 유리했음에도 불과하고 얘기치 않게 운석충돌로 멸종당했듯 진화가 유리한 개체만 살아남는다는 얘기는 이미 진작에 반박된 얘기임
@user-ei2jc7ld1i
@user-ei2jc7ld1i Жыл бұрын
오늘따라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이라는 말이 더더욱 와닿네요
@user-jl9py3ft8g
@user-jl9py3ft8g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nb7rm7kh5g
@user-nb7rm7kh5g Жыл бұрын
순간기억과 포식자에 대한 위험감지에 대한 필요가 낮아짐에 따라 열량소모를 줄이기 위해 필요없는 부분이 퇴화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fmgym6378
@fmgym6378 Жыл бұрын
운동기능의 저하와 상실이 원인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문명이 발달될수록 사냥,채집 및 생존에 필요한 움직임들이 줄어들고 몸을 다양하게 움직일 필요가 없어지게 되니 운동 능력이 급격히 저하됨에따라 운동기능에 필요한 뇌 기능도 함께 퇴화하며 뇌용량이 클 필요가 없어진것이죠. 그렇게 생각해본다면 가축화된 동물들의 뇌가 작아진 이유도 납득이 되는 것 같습니다.
@cranberryoh4322
@cranberryoh4322 Жыл бұрын
뭔가 닉넴과 댓글이 일치하는 느낌이에요
@user-jm4qh4jc3i
@user-jm4qh4jc3i 4 ай бұрын
운동기능을 담당하는 뇌영역은 대뇌보다 극히 작습니다. 운동기능과는 상관없어요.
@user-fd4jr6zl5b
@user-fd4jr6zl5b 2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재미있고 책도 정말 재미있어요 존경합니다
@chaesoopcat
@chaesoopcat 2 жыл бұрын
항상 마지막 '감사합니다'가 인상에 남아요 언제나 같은 마음으로 영상 제작해주시기를 응원합니다
@hykim4975
@hykim4975 2 жыл бұрын
반전의 반전이 계속 나오는게 이 영상이 드라마 보다 재밌습니다. 확실히 그럴싸한 게, 모두 한번쯤은 보셨을 거에요. 정말 무식하고 쓸 데 없어 보이는 친구도 어느 한 분야에선 특출난 재능을 가졌다는 거.. 그리고 분업화로 인한 뇌용량 감소의 반작용으로, 창의성에 관심이 커진 건 아닌가 싶습니다. 창의력은 여러 분야를 조합할 때 강력해지는데, 특정 분야에 특화된 사람은 그 분야 외에서 아이디어를 끌어오는 건 힘들어지죠. 효율을 중시해 저장할 것만 저장하는 현 상태가 창의력에 한계를 주었고, 그래서 현대 사회는 부족한 창의력에 관심이 많은 걸지도 모른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ParkVeron
@ParkVeron 2 жыл бұрын
치와와정도의 두뇌크기로 줄어들어도 지금의 지능유지가 가능할까요?? 실제로 코끼리 고래는 고등사고는 하지 못하더라도 인간과 비교할수 없을정도로 기억력이 좋다고합니다 물리적인 뇌크기는 그게 전부가 아니라 할지라도 분명히 지능과 관계있습니다
@user-fo9hs9nh1x
@user-fo9hs9nh1x 2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세상을 보는창 그니까 제발 영상점 마니올려주세여.....기다리다 이런 유튭이 있었은지도 잊고있엇음..ㅠㅠ
@LightHwang07
@LightHwang07 2 жыл бұрын
반도체 처럼 집적화 된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용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dp9372
@dp9372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너무 커져버린 유튜브 시장에서 싸구려 지식 영상이 난무하는 와중에 과학적으로 정교하고 너무 재밌는 알찬 채널입니다 항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user-hn1yf6kj2t
@user-hn1yf6kj2t 2 жыл бұрын
조금만 생각해봐도 전화번호도 다 저장되있고 길도 네비가 알려주고 음식도 파는거 먹으면 되고(독 버섯, 해로운 식물 구분할 지식 필요 없음) '인류 문명'이 스마트해진거 맞지만 '인간 개인'은 더 멍청해진게 맞는거 같음
@user-jt1iw3qh9y
@user-jt1iw3qh9y 2 жыл бұрын
뇌의 크기와 멍청해진 것을 단순비례 관계로 보는건 큰 명제의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지능을 측정하는 아이큐테스트를 과거 인류가 보았다면 현재인류보다 더 뛰어났을까요?
@user-kc5gk2ho2c
@user-kc5gk2ho2c 2 жыл бұрын
ㅋㅋ 전화번호 기억하는 세대보다 스팩경쟁훨씬 심해서 학습은 몇배많이 하는건 이야기 안하지? 기능적으로 달라진것일뿐 더 멍청해진건 아니다 알량한 뇌피셜로 일반화시키지마라
@user-hn1yf6kj2t
@user-hn1yf6kj2t 2 жыл бұрын
@@user-kc5gk2ho2c 멍청하다는 단어때문에 조금 흥분하신거 같습니다. 단어 선택에 대해서는 사과드립니다. 제가 말하고자 요지는 현대의 일반적인 인간과 수천년전에 일반적인 인간이 있다고 가정하면 어느쪽이 더 많은 일을 할까요? 수천년 전의 인간이 훨씬 더 많은일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수천년 전의 일반적인 인간은 사냥꾼, 채집가, 건설자, 대장장이, 길잡이 등등 한 개인이 할수있는(해야만 하는) 일이 훨씬 많다는겁니다. 지금은 직업이 세분화되고 자기일 외에는 딱히 익힐필요도 없지요. 스펙은 말그대로 스펙을 쌓는것이고 책으로 보고 익혔단 한들 실무에 바로 투입되어 다른일 진행이 가능할까요? 누가 조금더 끈기있고 노력하는지 가늠하는 잣대일 뿐이죠. 책이랑 컴퓨터에 있다고 한들 한개인이 그지식을 다 익히고 소유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개인으로 봤을때는 할수있는 일이 줄어든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문자의 발명과 데이터의 저장, 직업의 세분화로 봤을때는 인류는 계속 발전하고 있죠.
@JH-ek5bn
@JH-ek5bn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인간 개인'으로 따지는게 얼마나 의미있나 싶음 수백만년 전부터 도구를 들고, 아예 틀니처럼 몸에 장착해 사이보그화가 되기까지 하는데 스맛폰부터 뗀석기까지 다 떼내고 판단하는게 과연? 이미 문자 발명때부터 넓은 의미에서 뇌의 사이보그화가 되었다고 생각함
@user-hn1yf6kj2t
@user-hn1yf6kj2t 2 жыл бұрын
@@JH-ek5bn 제가 말하고자 하는 부분이 인간 개인은 보잘거 없지만 각 직업이 세분화되고 정보 및 지식이 공유되면서 문명이 발전했다고 말하고 싶은겁니다.
@user-yw6zi6ye3l
@user-yw6zi6ye3l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 인류전체정리 해주세요~~ (인 류영상꿀젬)
@roblox_7788
@roblox_7788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당~
@user-sp1wo1yw8t
@user-sp1wo1yw8t Жыл бұрын
머리 큰 친구 비율 안좋아서 맨날 놀려먹었는데 이제 그만해야겠다..
@FastosoZ
@FastosoZ Жыл бұрын
저도 가축화가설쪽에 비슷한 생각을 떠올려보곤 했는데 인류가 다른 동물들과 가장 다른점은 세대교체과정이 유전과 교육만이 아닌 이미 체계화된 문명수준과 도구들 문자 기록 등이 추가로 연계된다는 점인데.. 즉 1개체가 모든걸 다 소화해내야 했던 시대보다 이미 기록된 지식의 습득과 이미 만들어놓은 도구제작기술등을 통해 시작부터 분업화가 가능해진 시기가 있다는거죠 현대로 예를들면 우리의 아이들은 혼자서 굴러가는 수레를 어떻게 무에서 창조할것인가라는 난이도 높은 작업으로 일생을 낭비할필요가 없는거죠. 이미 차량을 대량으로 생산가능한 환경안에서 태어났으니까요. 어쩌면 이런 문명수준을 넘겨받는 생존방향 때문에 기존의 모든 기록을 받아서 이어가야 하는 특성상 유년기가 길어진 호모 사피엔스가 살아남은건지도 모르구요 여기에 문명의 발달로 인한 개개인의 분업화특성까지 더한다면 딱 한가지만 잘해도 생존이 가능한 그룹이 형성된 테두리 안에서 그저 에너지 소비만 높은 뇌의 크기가 더 이상 커질 이유가 없었던것은 아닐지..
@user-fq7kr4js7n
@user-fq7kr4js7n 2 жыл бұрын
제일 마지막 가설이 영상을 보면서 그러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실제로 저런 가설이 나왔다고 하니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Dinga_
@Dinga_ 2 жыл бұрын
매번 양질의 내용 감사합니다 오늘도 지식이 늘었습니다
@deweyyy5345
@deweyyy5345 2 жыл бұрын
결론이 으스스하네요. 가축화라니.. 하긴 먼 일은 절대 아니죠. 불과 20년 전까지만 해도 가족 친구 친지 전화번호 정도는 당연하게 외우고 있었고, 어디 먼 곳에 가려면 스스로 버스니 지하철이니 생각해서 루트를 정해서 길을 찾아 갔었죠. 월E에서 등장하는 침대와 한몸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이 생각이 나네요. 기계의 발명은 인간에게 자유를 주었다고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인생은 내가 사는 것인지, 하나씩 하나씩 대체해나가며 모든것을 대신해주는 기계가 시는 것인지 존재론적인 불안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Demon_Hunter
@Demon_Hunter Жыл бұрын
제가 공익내부고발을 해야하는 상황에 처해서 주변이나 인연닿는 시민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그래봤지만 다들 덤덤하게 처음 접하는 상황이라 뭐라 답할지 모르겠다는 취지나 타협하라는 말만 하더군요. 그 사람이 원래 시간할애하고 목소리내던 분야(그 사람도 그 분야에서 진행이 잘 안되고 있어서 뾰족한 수를 찾고 있었음) 랑 콜라보하면 시너지가 좋을 수 있는데 그 부분은 검토하거나 검증할 시도조차 없이 '아몰랑' 으로 일관하더군요. ㅋㅋ 가축화 라 말씀하시니 이 일화가 생각납니다.
@firelifeee
@firelifeee 2 жыл бұрын
저는 왜 큰건가요 덜 진화한건가
@yang9759
@yang9759 2 жыл бұрын
진화해서 그나마 그 크기인거 아닐까요
@user-bn7sd1xd3x
@user-bn7sd1xd3x 2 жыл бұрын
아니면 진짜 덜 진화 한거 아닐까요?
@user-lm8yv9kw6t
@user-lm8yv9kw6t 2 жыл бұрын
댓쓴사람죽겠다 그만때려
@user-jg7og4lh4v
@user-jg7og4lh4v 2 жыл бұрын
몸에 비해 큰 거니까 진화가 덜 되서 머리가 큰게 아니라 아니라 몸이 덜 큰 거 아닐까요?
@hyorke7917
@hyorke7917 2 жыл бұрын
덜 진화된거면 오히려 특별해져서 더 이득일 듯
@jongminkim4702
@jongminkim4702 2 жыл бұрын
아으 유익해!
@Hoi333
@Hoi333 2 жыл бұрын
역시나 재밌네요 진화?가 혹은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걸리는 최소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지네요
@43rickee
@43rickee 25 күн бұрын
천차만별 입니다. 세대주기의 길이에 따라 짧게는 몇십년, 몇백년, 길게는 몇백만년이 걸릴 수도 있죠.
@43rickee
@43rickee 25 күн бұрын
미국털사대학교에서 제비의 날개길이 변화를 추적한적이 있는데, 불과 12년만에 날개길이가 짧아지는 진화가 발생함을 확인한적이 있고, 600년만에 종분화가 이뤄진 사례도 있습니다. 인간의 경우 뭐 수백만년이죠
@missyoukarlin359
@missyoukarlin359 2 жыл бұрын
과거에는 모든걸 스스로 자기 능력껏 최대한 해내야 했을테니 뇌의 자극과 활용도가 높았나보군요. 현대에는 갈수록 기기의 발달로 모든걸 대신 해주는 기계들이 많아지면서 신체적으로 활용도가 점점 줄어들어 일정부분 퇴화가 되어가고 있는것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user-jm9uq2nv6k
@user-jm9uq2nv6k 2 жыл бұрын
인류는 농업혁명 이후 분업화 하기 전에는 살아남기 위한 모든 기술에 전문가였죠 집으로 쓸 동굴을 찾거나 혹은 집을 만들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구분하며 채집 혹은 사냥하고 이 모든 일들을 단 한 명의 사람이 해낼 수 있었고 그러지 않으면 도태되었지만 정착 생활을 시작한 이후로부터 지금의 인류는 하나만 잘하면 살아갈 수 있게 됐죠 균형잡힌 식사를 하진 못했지만 '전문가가 되지 못하는 사람'이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으며 이러한 생존결과가 축적되어간 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user-gm4dq1yn7c
@user-gm4dq1yn7c 8 ай бұрын
그런듯
@user-xi2jj1uj3b
@user-xi2jj1uj3b 2 жыл бұрын
뇌는 작아지고 싶어 한다 -> 읽고있었는데 이런 영상이 있었군요 재밌게 봤습니다
@user-ut4jw4lx2h
@user-ut4jw4lx2h 2 жыл бұрын
왠지 4번째 가설은 척박한 환경에서 사는 개체가 상대적으로 풍족한 환경에서 사는 개체보다 지능이 높다는 연구랑 연관이 있을 것 같군요
@kakhi0513
@kakhi0513 2 жыл бұрын
머리가 작아지니 얼굴도 작아지고 사랑니가 더 골치 아파지는 거 +움직임이 줄어들면서 뇌의 사용량이 줄어 뇌는 약간의 퇴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wakeupn0ww
@wakeupn0ww 2 жыл бұрын
생존에 위협이 될 정도로 에너지를 낭비하는 수준까지 오다보니(체중의 2%밖에 안되는 뇌가 하루평균 소모되는 에너지중 20% 이상을 소모) 뇌 용량을 키우기 보다는 구조적 효율성을 높이는 쪽으로 진화방향을 바꾼게 아닐런지..
@NfK
@NfK 3 ай бұрын
그만한 효율을 찾을 정도로 영양 공급이 부족하진 않죠
@user-nn9zc1uc1x
@user-nn9zc1uc1x 2 жыл бұрын
우와 신기해요!!
@Andrew-ui1br
@Andrew-ui1br 2 жыл бұрын
I wish there was english subtitles, the animations looks really good, for the thumbnail I can guess what is the video about, but I don't get a thing
@user-bo3qq3ux5k
@user-bo3qq3ux5k 2 жыл бұрын
Learn korean. This video for korean user
@리슬0
@리슬0 2 жыл бұрын
@@user-bo3qq3ux5k learn
@User_nothing522
@User_nothing52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가설이 거의 맞는듯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없고 개개인이 생존하기위해 기민한 뇌를 사용할필요가없었던것 요즘 상아없는 코끼리들만이 생존을 해서 상아없는코끼리만 태어난다는데 그것과 유사할듯 굳이 머리좋고 기억력 좋은 사람은 오히려 남들과 다른 생각을 많이하다보니 집단에 적응하기 어렵고 우울증에 걸리기쉽고 자손을 남기지 않거나 일찍죽을테니 뇌가큰사람은 살아남기어려운 세상이 오래되었던것이지
@winniethepooh5087
@winniethepooh5087 Жыл бұрын
네안데르탈 애들 머리가 오히려 더 컸는데 칼로리 소모가 많았기때문에 현생 인류가 오히려 안 좋은 상황에서 잘 살아남을수 있었다는걸 본거같네. 그리고 원시인들은 기후정보나 별자리, 나무에 남아있는 흔적이나 사냥터같은것들을 일일히 다 기억해야 됐기 때문에 오히려 지금 사람들보다 머리를 많이 썼다는것도 본거같고
@user-eh5ok4wc8r
@user-eh5ok4wc8r Жыл бұрын
예전에 tv에 6.25 참전용사분들 한명씩 소개하면서 옆에 부축한다고 현역군인들도 같이 나왔었는데 참전용사 할아버지들과 비교해서 현역 젊은 군인들이 키도 많이 크고 얼굴도 차이 많이 나게 작더라 몇십년도 안지났는데 체형변화는 엄청 심하다고 느꼈음 근데 수천,수만,수십만년 동안은 환경에 따라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었을지 아직 나온 근거로는 추측하기 너무 힘든게 아닐까?
@user-vh5dx5nh8h
@user-vh5dx5nh8h 3 ай бұрын
그건 영양소 차이(후천적 요소) 입니다. 진화랑은 무관합니다.
@user-eh5ok4wc8r
@user-eh5ok4wc8r 3 ай бұрын
@@user-vh5dx5nh8h 위에도 적었듯이 얼굴 크기 차이도 엄청 많이 나던데요?
@user-vh5dx5nh8h
@user-vh5dx5nh8h 3 ай бұрын
@@user-eh5ok4wc8r 골격근(얼굴 크기) 성장도 당연히 영양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더구나, 방송 한 번 본 거로 유전적 변화의 영향을 재단하기엔 표본 수가 너무 적습니다. 그냥 참전용사께서 작은 두개골 유전자를, 젊은 군인들이 큰 두개골 유전자를 가진, 즉 우연의 산물일 공산도 큽니다.
@puregold7958
@puregold7958 2 жыл бұрын
고래의 뇌는 열을 생성하기 위해 커졌다고 합니다 그렇게 보면 인류 문명의 발달로 인간은 주변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올릴수 있기 때문에 뇌의 크기로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서 뇌가 작아진게 아닐까요? 단순이 저장해야할 정보가 줄어들어 뇌가 작아졌다면 고래의 뇌가 제일 크니 고래는 천재일겁니다
@user-uo6gv6vw1n
@user-uo6gv6vw1n 2 жыл бұрын
오호.. 근데 뇌크기는 몸크기에 상대적인 크키가 중요한거라 뒷부분은 좀,,
@user-sl2xv8bf4f
@user-sl2xv8bf4f 2 жыл бұрын
@@user-uo6gv6vw1n 뇌가 매우작아도 아이큐 120을 유지하는 사람도 있음 그 논리는 심각한 오류가 있는것
@user-sl2xv8bf4f
@user-sl2xv8bf4f 2 жыл бұрын
@@user-uo6gv6vw1n 뇌가 매우작아도 아이큐 120을 유지하는 사람도 있음 그 논리는 심각한 오류가 있는것
@user-rb5xj9ek5i
@user-rb5xj9ek5i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뇌는 커져서 똑똑해질 수 있는 수준을 지나서 이젠 크기가 효율적으로 줄어도 지능의 차이는 없거나.. 생존이나 번식에 유리하게 진화하는게 아닐까라고 생각해봅니다..음식섭취도 비교적 많이 먹어야 생존에 유리했었던 과거와 달리 이젠 필요한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적당히 섭취하는게 더 건강하게 장수하는 방법이 되었으니까요!!
@Iminlove579
@Iminlove579 9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탄수화물충족이 어려워졌고 지금은 쉽습니다. 대신 양질의 영양소는 물가가오르면서 비싸지고 가난한 사람은 과일야채섭취를 줄이고 비만으로 나아가는... 돈이 수명을 가르는
@새별㐅
@새별㐅 2 жыл бұрын
무손실 압축코덱을 생각하면 편한게 화질은 같지만 용량은 더 작은 PNG와 같이 어차피 작아도 충분한 능력을 낼 수 있으니 굳이 뇌가 커져서 머리가 무거워지기보단 작아지는게 편하죠. 더 작은 부피로도 더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으니
@user-qe2tf4iz6q
@user-qe2tf4iz6q 2 жыл бұрын
그얘기가 아니라 더 생각할거리 신경쓸거리가 적어저서 인류가 멍청?해졌다가 포인트 아닌가요?
@user-qo8rj9gc2c
@user-qo8rj9gc2c 2 жыл бұрын
@@user-qe2tf4iz6q 신경 쓸 것은 현대가 더 많죠. 그리고 뇌는 공부를 하고 생각을 하기 위해 생긴 것 만은 아닙니다. 절대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은 운동이나 불수의근의 움직임, 호르몬, 반사와 같은 '몸의 움직임'이죠.
@새별㐅
@새별㐅 2 жыл бұрын
@@user-qe2tf4iz6q 점점 멍청하게 진화되었으면 지금 이런 폰이나 컴도 못만들었을거고 미적이나 Sin 함수도 몰랐겠죠
@user-qe2tf4iz6q
@user-qe2tf4iz6q 2 жыл бұрын
@@user-qo8rj9gc2c 그럼 말씀하시는게 현대인은 몸의움직임이 줄어들었기에 뇌의 용량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하시는건가요?
@user-qe2tf4iz6q
@user-qe2tf4iz6q 2 жыл бұрын
@@새별㐅 그건 문자의 발명으로 기억하지 않고도 지식들이 축적이되니까 그것을 기반으로 발전할수 있는거 아닌가요? 예전에비해 현대에 쓰여지는 뇌의부분이 다를 수 있어도, 영상에서 말하는 문자의 발명으로 기억할거리가 줄어든거랑, 분업화로 일이 단순해진건 뭐라고 설명가능한거죠?
@user-gq2kg9zs4h
@user-gq2kg9zs4h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가설은 내가 상상한 내용과 비슷하네 인류는 더이상 스스로 모든걸 생각하고 판단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서 뇌가 에너지 써가며 뭘 하기 보단 선조들의 경험 같은걸 배우고 따라만 하면 되니 (그 바탕에는 말이나 문자 등의 발달이 있겠지만) 뇌가 점점 작아지게 되는게 아닐까 했는데 근데 난 왜 머리가 큰거지
@user-nz4dv5sc5v
@user-nz4dv5sc5v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Jangsahaja
@Jangsahaja 2 жыл бұрын
06:11 약간 어그로성 다분한 내용이었지만 한 책에서는 인간이 멍청한 개체가 주로 살아남는 선택압을 받아서 그렇다고 하더라구요. 권력자한테 대들면 끔살이다 보니 멍청한 쪽이 살아남기 쉬웠다나. 책 제목이 바보 어쩌구였는데 기억이 안나네요.ㅎㅎ
@user-pk5lg6un8w
@user-pk5lg6un8w 2 жыл бұрын
설득력이 있어!
@user-ds4bh1kt4o
@user-ds4bh1kt4o 2 жыл бұрын
혹시 책 제목이 바보의 세계...?
@hjl5785
@hjl5785 2 жыл бұрын
현실은 모르는 것이 약이고, 부패한 사회에서 선악 판단하면 힘만들고 일만 못하고, 암기 반복 잘하고 시키는 것 잘하면 돈 잘벌고, 애 많이 놓은 자가 승자라는 것인가? 뇌의 어느 부분이 축소되었는지 보면 답이 나올 듯?
@user-ei7rc8jt7h
@user-ei7rc8jt7h 2 жыл бұрын
군대만 봐도 맞말이긴하네..
@ngt578
@ngt578 2 жыл бұрын
아 이거 본거 같아요
@Tontonjung519
@Tontonjung519 2 жыл бұрын
뇌 크기는 작아졌지만 똑같은 효율을 내기 위해 뇌 주름의 수도 많아지고 더 깊어지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도 드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user-jp6ic9hp9v
@user-jp6ic9hp9v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뇌의 크기보단 그 치밀함이 더 중요하죠. 실제로 용량이 더 큰 인류가 멸망했다는 사례를 보았을때 알수가 있죠.
@SangDo_Kim
@SangDo_Kim 2 жыл бұрын
듣고 보니 그럴 듯함. 고래가 슈퍼 초지능이 아닌 것처럼.
@DemianVonFrios
@DemianVonFrios 2 жыл бұрын
지금 컴퓨터나 스마트폰처럼 소형화 됐다고 보면 되겠네요. 성능은 더욱 좋아지고
@k-ottogi
@k-ottogi 2 жыл бұрын
@@DemianVonFrios 전화번호 열개도 못기억하는데 성능은 무슨 ,,
@user-abcd3f
@user-abcd3f 2 жыл бұрын
@@k-ottogi 전화번호 하나로 보면 그렇긴 한데 옛날 사람들 보다는 우리가 갖고 있는 정보량이 더 많기는 할것 같아요. 옛날에는 내 주변, 내가 사는 마을 정도가 내 지식의 한계였지만 지금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출처가 전 지구적이니까요.
@quellesteine
@quellesteine 2 жыл бұрын
4번 가설도 뭔가 걸리네요. 농업가설을 반박하면서 제시된 호주,남아프리카는 문자와 분업화 또한 다른지역보다 덜했을텐데요.
@fh-xg6er
@fh-xg6er Жыл бұрын
영상보면서 계속 개미 생각했는데 후반부에 나오네요
@volibear112
@volibear112 2 жыл бұрын
그냥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생각인데, 우리나라가 생활 수준이 지난 몇십 년동안 급속도로 개선됐잖아요? 옛날 사진의 얼굴들, 저 어렸을 때 사진의 얼굴들, 지금 아이들의 얼굴들 보면 확연히 변화가 있어요. 옛날 사진에는 광대가 크고 머리가 크고 눈이 작아요. 그리고 저 어렸을 때 사진은 눈은 좀 커지고 광대가 줄어들지만 얼굴은 큰 차이가 없거든요? 근데 요즘 아이들이나 저보다 어린 사람들 보면 머리가 작고, 눈은 크고, 광대 튀어나온 사람 거의 없고, 피부가 깨끗하고 하얘요. 특히 머리 작은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게 가장 놀랐어요. 머리 사이즈는 성형으로 되는 게 아니잖아요? 이러한 변화가 어떤 생활습관의 변화와 연관되는지, 왜 이런 변화가 생기는지 되게 궁금하더라고요. 제가 느낀 것이 저만의 착각이 아니라면, 나중에 과학자, 의학자들이 밝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pj3ii1jq9q
@user-pj3ii1jq9q Жыл бұрын
진지하게 정말 능지가 처참해졌구나 싶어서 걱정된다... 지금의 내 몸은 진화되면서 효율을 따진 결과겠지만 뭔가 도리어 댕청이가 된 것 같아 더 공부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오늘도 너무 유익하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튜브 롱런하세요!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워요
@알비노
@알비노 2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주장이나 원리가 다른분야에서 수십년 뒤에 밝혀지는걸 보면 가능한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샘플의 수가 충분한지 모르겠네 그리고 완벽히 기억의 외장화가 이루어지면 공각기동대 같은 모습이 되는건가?
@ripyung5990
@ripyung5990 2 жыл бұрын
ㅎㅎ 흥미로운 가설이네요... 생각해보면 어릴때는 명절에 시골내려가는것도 지도보면서 다녔는데 요즘은 네비게이션을 쓰죠.. 요즘 지도만보고 내려가라그러면 절대 못갈것같아요. 마지막 가설이 이런느낌이 아닐까싶네요 ㅎㅎ
@DemianVonFrios
@DemianVonFrios 2 жыл бұрын
대신 요즘 애기들은 아이패드 스마트폰 우습게 쓰죠 초딩때는 코딩도 배우고
@---xb6fx
@---xb6fx 2 жыл бұрын
실압근을 넘어선 실압뇌 ㄷㄷ
@user-yr6dh4qe5p
@user-yr6dh4qe5p 6 ай бұрын
스트레스 때문에 인류가 스스로 두뇌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게 아닐까요? 어렸을 땐 공부 스트레스, 어른이 되면 직장 스트레스, 결혼해도 스트레스, 온라인 게임을 해도 스트레스... 우리 두뇌가 허구헌날 스트레스만 받다보니 우리 스스로 두뇌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게 아닐까요?
@ltk108
@ltk108 2 жыл бұрын
인류는 지금도 진화 중인 것 일까요?? 아니면 퇴화를 하는 것 일까요?? 영화 코드명j에서처럼 인간의 뇌나 신체에 메모리 장치를 이식해서 자유롭게 원하는 정보를 넣고, 빼거나 혹은 매트릭스처럼 뇌와 신경에 원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넣을 수 있는 기술이 나와 서 누구나 원하는 정보, 언어 능력자가 되고 싶다면 돈만 주면 전 지구의 언어를 뇌에 입력 해주는 식으로 하게 된다면 우리 인간의 뇌의 크기가 더 줄어들게 될까요?? 그리고 영화 업그레이드에서처럼 사고나 선천적 장애로 몸이 풀편한 사람들의 몸에 칩과 기계 적 장치나 나노봇을 이식하는 식의 처치로 신체적 능력을 업그레이드 시키는게 일상이 된다면 인간의 진화과정에도 영향을 주게 될까요?? 아니면 영화 써로게이트처럼 누구나 집에서 편하게 고글을 쓰고 앉아서 원격으로 인간형 사이보그를 조작해서 대신 출 퇴근을 하게 된다면 나중에는 인간의 신체가 바뀌게 될까요?? 궁금하긴 하네요... 아!! 지난주에 교보문고에서 책을 구입 했네요... ㅋㅋㅋ
@sdda1985
@sdda1985 2 жыл бұрын
뇌는 작아지는데 왜 내머리는 큰거임?
@user-dc3rr5zk7c
@user-dc3rr5zk7c Ай бұрын
ㄹㅇ
@fustang_yj4145
@fustang_yj4145 Ай бұрын
ㄹㅇ
@ehfhfhsk
@ehfhfhsk Ай бұрын
몸도 그만큼 작아서?
@Gubam2
@Gubam2 Ай бұрын
대가리 크다고 똑똑한 건 아니더라.
@sdda1985
@sdda1985 Ай бұрын
@@Gubam2 줜나게 고맙수다ㅋ
@eugenedelacroix5081
@eugenedelacroix5081 2 жыл бұрын
선사시대보다 역사시대 초기에 뇌 용적이 줄었다고 한다면, 고대 중세보다 정보의 외장화와 분업화가 압도적으로 진전된 현대인이 고대 중세 인류보다 뇌용적이 작아졌다는 추론도 가능할까요?
@NfK
@NfK 2 жыл бұрын
글세요...1000년은 포유류의 진화에서 그리 긴 시간이 아니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michaelcho9205
@michaelcho9205 2 жыл бұрын
개체 별로 다를 꺼 같아요 왜냐하면 중세에 비하면 현대인 인구수가 너무 많아서.... 똑똑하게 진화된 개체들은 분명 중세 인류보다 훨씬 똑똑한데 멍청한 쪽으로 진화된 쪽은 훨씬 더 멍청하겠죠. 제 생각엔 인류도 몇만년 지나면 종 나뉠듯 ㅋㅋㅋ
@sep5072
@sep5072 Жыл бұрын
@@NfK 유의미합니다. 선택압이 어느정도 강하게 가해졌냐에 따라 충분히 유의미한 변화를 가합니다.
@user-om7hd9mi3n
@user-om7hd9mi3n Жыл бұрын
@@michaelcho9205 종분화가 일어나기에는 민족간의 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고 더 활발해질거라서 분화는 사실상 불가능하지않나 생각해봅니다
@michaelcho9205
@michaelcho9205 Жыл бұрын
@@user-om7hd9mi3n 백인들은 모르겠는데 일단 동양인이랑 흑인은 나뉠 꺼 같아요.. 저 미국 사는데 이미 흑인들을 다른 종이라고 느끼거든요... 지능이나 인성 및 성향 등등...
@MOSES1LIM
@MOSES1LIM 2 жыл бұрын
먼미래에는 거의 중앙컴퓨터와 뇌 또는 신체전부가 연결된상태로 살거나 발전된 유전자공학으로 인해 자연적 진화의 굴레를 완전히 부수고 오히려 모든 방면에서 인간의 관점에서 더 우월해지거나 하겠지
@hanheelee2383
@hanheelee2383 2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user-du2mp1tw3j
@user-du2mp1tw3j 2 жыл бұрын
요즘것들이 한심해지기 시작한게 3천년 전부터라는 아주 교훈적인 영상이군요!
@jwoohyun582
@jwoohyun582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자기가축화현상이 가장 그럴싸하다고 생각합니다
@jwoohyun582
@jwoohyun582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개인이 뇌를 일일이 쓸 필요가 없어지면서 뇌도 줄어드는 것 역시 근육도 사용하지 않는 근육이 작아지는 거와 비슷하지 않을까요
@swte4840
@swte4840 2 жыл бұрын
만약 마지막 가설대로라면 미래 인류는 뇌 외에 다른 장기 기관들이 할 일까지 문명의 힘으로 대체하면서 한 수억년쯤 지나면 다시 단세포생물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상상해봅니다😅
@user-cu3yc9tk3f
@user-cu3yc9tk3f 2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과학드림 님 저는 폭탄먼지벌레와 교살자 무화과나무, 라플레시아, 각종 식충식물의 기원이 너무나 궁금합니다.. 언젠가 흥미롭게 볼 수 있기를...
@user-jo8ik4jb2b
@user-jo8ik4jb2b 2 жыл бұрын
내가 공부를 못한게 나 때문이 아니라는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g1ix5vj6c
@user-tg1ix5vj6c 2 жыл бұрын
21년의 가설이 맞다면 이건 진화에 의한 뇌 크기 축소가 아니라, 후천적인 영향에 의하여 뇌 크기가 축소된 것이고, 거꾸로 분업화 환경과 다른 방식의 삶, 즉 다양한 활동을 하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면 뇌 크기가 줄지 않을 수 있다는 뜻? 맞냐 틀리냐와는 별개로 다각도에서 대구리를 굴려주는게 더 도움이 될테니까 다들 짱구 빡세게 굴리며 살죠.
@user-oy7yu8vg7v
@user-oy7yu8vg7v 2 жыл бұрын
뇌의 크기 또는 용량은 사고의 정도와 육체의 운동성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닐까? 인간이 사고를 많이 함으로 인해서 뇌의 크기또는 용량은 점차 커져갔으나 인간 사회의 발전에 따라 사지와 손발 관절 그리고 근육의 사용 정도가 줄어 듬으로 인해 뇌크기가 조금 작아진 것이라면 얼추 맞는 것 같은데...
@_a_b_c
@_a_b_c 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올라올때마다 아흑 흥분이..
@wolfwind1741
@wolfwind1741 2 жыл бұрын
요즘 인터넷 댓글들 보면 뇌 크기가 줄고 있는게 맞는 거 같아요
@user-hk3un7sz5z
@user-hk3un7sz5z 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인터넷 유행어만 봐도 '무지성' 이라는 접두어를 붙인 농담이 많죠 그만큼 지식의 외장화가 정점인 시기인듯
@felluca1
@felluca1 2 жыл бұрын
후대로 갈수록 점점 더 뇌가 퇴화될것같다는 생각. 그러나 합리적인 사고만큼은 퇴화되지 않았으면 함. 미래엔 스스로 철학과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적어지고 소수 또는 AI가 다스리기 쉬운 사회가 될것같다는 암울한 전망이..
@user-dy8fb2oy3b
@user-dy8fb2oy3b 2 жыл бұрын
주변에 한숨나오는 사람들을 보고 '진화가 덜된 것들' 이라고 생각했는데 잘못생각했네요 진화가 더된 것들이었네
@NAMUtakesallaway
@NAMUtakesallaway 2 жыл бұрын
현대 학문은, 특히 한국에서, 굉장히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사람이 이기기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가르치는 부분에 대해서 "왜?" 라는 질문을 던질 시간에 다음 페이지 한장 더 외우고 문제푸는게 그 사람의 "시험 성적" 에 더 기여하죠. 왜 지금 나한테 이걸 가르치지?? 라고 진지하게 심각하게 고민하고 다른걸 시도했다가는 그 고민만큼 그 사람은 망합니다. 학문에서조차, 우린 어느정도 가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게 맞는거 같네요.. 그리고 그런 순종적인 사람은 사회에서도 어느정도 상대적으로 환영받죠. 리더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좀 얘기가 다르겠습니다만... 아래 댓글처럼 과거 고대~ 중세 시대에도 소위 말해 "대가리 굵은" 사람들은 서로 경쟁에서 패배했을 때 승자가 가차없이 제거했을 것이고, 상대적으로 순종적이고 안전한 자들은 순종을 댓가로 수를 늘릴수 있었을 겁니다. 사람들은 일부러라도 소위 처세술을 배워서 순종적인 척 해야만 했고 그런 사람들이 지혜롭게 여겨졌죠
@NAMUtakesallaway
@NAMUtakesallaway 2 жыл бұрын
(+)물론 여기서 학문은 학석사까지 얘기고 진짜 최전선에 있는 박사급 이상분들은 끊임없이 왜 를 연구하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그분들이 과연 인류전체의 통계에 영향을 줄정도로 큰 집단인가를 따져보면.. 아닐겁니다..
@abfppjnpmn
@abfppjnpmn 2 жыл бұрын
현재 영리한 사람이 고대 그리스 시대로 가면 평균적인 지능밖에 되지 못한다는 학자의 얘기를 들어봤는데 인류 지능 저하로 검색하면 기사가 여럿 나오고 서구에서는 플린효과가 사라진지 꽤 됨 이디오크라시는 이미 오래전부터 계속 진행중
@user-fg6ni9ji3c
@user-fg6ni9ji3c 2 жыл бұрын
요즘 지잡대 학생들 한글 쓴 거랑,, 능지많은 거 보면 그런 것 같아요
@abfppjnpmn
@abfppjnpmn 2 жыл бұрын
@@user-fg6ni9ji3c 확실히 가능성은 있지만 제가 본 다른 글에 의하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아직도 플린 효과가 나타난다는 얘기가 있었어요 어쩌면 유럽 국가들의 지능 저하는 무슬림 이민자의 폭증과 무관하지 않을지도 몰라요
@sklee7071
@sklee7071 2 жыл бұрын
포유류가 추운지역에 살게되면 추위를 방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적게 하기 위해 몸집이 보통 커지는 방향으로 커지는 데 머리도 같이 커진 것으로 보임. 몸에 비해 머리만 너무 작거나 너무 커면 안되므로 몸집이 커지는 만큼 머리도 커지는 거죠.
@user-abc27
@user-abc27 2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hoisis
@hoisis 2 жыл бұрын
전에 어떤 영상에서 한 교수님이 하신 말씀에 감명받아 마무리 멘트로 쓰신다했어요
@user-qy7vj9ir3d
@user-qy7vj9ir3d 2 жыл бұрын
컴퓨터의 크기가 계속 작아지고 있는게 오버랩 되네요 ㅋㅋ 영상 잘 봤습니다~
@kkk2067
@kkk2067 2 жыл бұрын
근대에 들어 의무교육이란 게 생겼으니 이제 다시 뇌의 크기는 커질 것 같은데.
@user-ux1vo7hr5d
@user-ux1vo7hr5d 6 ай бұрын
모두 다 설득력있게 들리네요 꼭 하나의 가설만이 진리이기보단 제시된 가설들의 내용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일어난 결과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user_na505
@user_na505 Жыл бұрын
헐 마지막 무섭다😢
사라진 유전자는 인류를 어떻게 진화시켰을까?
9:30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705 М.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THEY made a RAINBOW M&M 🤩😳 LeoNata family #shorts
00:49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17 МЛН
최초의 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생명의 기원
8:15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왜 북극에 사는 펭귄은 없을까?|펭귄의 기원과 진화
7:05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신이 만들었다기엔 너무 엉망으로 설계된 인체! (ft.실패한 진화?)
8:01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사람을 먹으면 안 되는 매우 과학적인 이유!
7:32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불가능한 진화!|왜 바퀴 달린 동물, 날개 달린 유인원은 없을까?
8:13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달랑 2개의 잎으로 수천 년을 사는 식물!|웰위치아의 비밀!
6:10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인간의 뇌는 위험한 도박을 했다 | 뇌 가소성, 뇌과학 이야기
9:18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ПОКУПКА ТЕЛЕФОНА С АВИТО?🤭
1:00
Корнеич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Samsung Galaxy Unpacked July 2024: Official Replay
1:8:53
Samsung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