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 앞바퀴 바깥쪽 타이어가 편마모 생기면, 앞바퀴 공기압을 40psi정도로 올려준다. 2. 앞바퀴 안쪽 타이어가 편마모 생기면, 앞바퀴 공기압을 33~35psi정도로 내려준다. 3. 평소에 공기압을 주기적으로 한번은 40 한번은 33~35이렇게 바꿔주면서 탄다. 4. 웅웅소리는 뒷바퀴가 붕붕떠서 바퀴가 이곳저곳 마모되서. 그런데. 본인속도 기준으로 10~20프로 속도 조절하면 좋다. 즉. 타이어 좋고 나쁨의 문제는 아닌것 같다. 5.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높여주고(더워서 팽창한다는 논리보단 마찰열의 영향이 더 크기때문에 타이어에 영향미치는게 크다) 겨울엔 공기압 낮춰주고 접지력 높인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와우^^이렇게 요약해주시네요~~대박 댓글감사합니다 카페님ㅎㅎ 앞으로 저도 더배우고노력하겠습니다~
@푸른-s4x4 жыл бұрын
40넘어가면 똥똥튀고 승차감 잣같아짐요
@이동윤-o3l4 жыл бұрын
뒷바퀴는말고 앞 바퀴 2개만 공기압 조절하라는 말씀이신가요?
@전우진-p8v4 жыл бұрын
@@이동윤-o3l 상황에따른 변화를 이렇게 주면 좋다는 몇가지 노하우를 이야기하셨구요. 앞바퀴만 하라. 이런개념은 아니였어요.
@전우진-p8v4 жыл бұрын
@분노조절장애치료사. 참고할께요^^
@gganarieggjut57484 жыл бұрын
현재 타이어업체 종사자입니다 꿀팁 감사합니다 ~!
@user-yi6jo6fy7y3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 여름철 공기압 작게 넣으시면 승차감 빵점 맗이 넣으시면 승차감👍👍😄😄
@송제원-n5q4 жыл бұрын
인물좋코.야무지고 설명좋코...좋은동생만난 기분입니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우와 감사합니다 형님!! 내년에40인데 제가동생맞지예ㅎㅎㅎ
@송제원-n5q4 жыл бұрын
@@KeumTube 맞습니다.그래도 상당히 젊어보이시네요. 최고에요.
@眞善美4 жыл бұрын
자동차 타이어는 전륜구동은 앞바퀴가 많이 닳고, 후륜구동은 뒷바퀴가 많이 닳습니다.(1톤화물차) 공기압이 규정보다 높으면 타이어 중간이 많이 닳고, 규정보다 낮으면 양옆으로 많이 닳습니다. 여름용 타이어는 4계절용 보다도 그립이 좋으나, 수명이 짧은단점이 있습니다. 스노우 타이어는 열이 많이나는 타이어로 여름에도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데 승차감도 좋지않고 연비도 좋지않아 4계절용이나, 여름용 타이어로 교환해야 합이다.
@power17002 жыл бұрын
마이너스 캠버차량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편마모를 줄이기위해서 공기압을 40주고 제로 토우값을 인으로 주고있습니다 현재 6개월지난시쯤에 지금도 수시로확인하는데 현재 편마모 하나도없고 트레드 날 선곳도 없습니다 가장중요한게 얼라이먼트는 하체정상이고 얼라이언먼트를 아무리잘봐도 언더스티어 피할려고 코너돌때 몸이 쏠릴정도 코너링돌면 타이어 편마모 속도가 의외로 빠르답니다 속도를 줄여서 안정적인 드라이빙이 답입니다
@dwc28563 жыл бұрын
여러가지 타이어에 대한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문제는 공기압 측정이나 보충은 카센터에선 불가한게 현실입니다 저는 엠티비를 타는데 이 자전거용 펌프가 자동차 타이어에 공기를 보충하는데는 안성 마춤입니다 물론 자전거 펌프에 있는 공기압 게이지는 정확하지가 않아서 따로 디지털 공기압 측정기로 체크합니다 또다른 한가지 방법은 요즘 셀프주유소에 가면 타이어 공기압 보충 할 수 있는곳이 있더군요 내차에 대한 관심만 있으면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yanghoonkim10003 жыл бұрын
타이어사용 팁에대해 가장 공감이 가는 강의였어요..^^
@무어또3 жыл бұрын
아는 형님 중고차 샀는데 뒷바퀴에서 속도내면 웅웅소리가 나더라구요 타이어 가게 가니까 그냥 타이어 봐꿔야 된다고만 하고 소리가 뭐때문에 왜 나는진 잘 모르겠다 하고 전 차주가 뭐같이 탄거 같다고만 애기하시던데 그디어 그 원인을 찾은거 같네요 대단하십니다 ㅎㅎㅎ
@changgueher10094 жыл бұрын
초보 운전자들에게 필수 구독 채널 ㅎㅎ 지금 영상들 하나씩 보는데 저 같은 초보운전자에게 정말 좋은 영상들 넘치네요. ㅎㅎ
@dongho11293 жыл бұрын
저도 항상 남들한테 차에 대해 알려주는 입장이었는데 금아님은 진짜네요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우사마-p5v4 жыл бұрын
와 자동차관련일 하시는분인가요?? 꿀팁들 잘보고있습니다. 10년동안 궁금했던 뒷바퀴 웅웅 소리 원인을 처음 알았습니다. 와 진짜 감사합니다 ㅋㅋㅋ 밟아제겨서 그런거였네요ㅋ 사업소가니 토션빔교환하라던데 바꿔도 똑같았거든요
@웅성-g1e4 жыл бұрын
여름, 겨울. 듣고보니 맞는듯 하네요. 👍
@belmo89014 жыл бұрын
진짜 금아행님 팁은 진빼이네예 잘못 알고있던것도 엄청 많네요 감사합니다 행님
@user-yi6jo6fy7y3 жыл бұрын
겨울철은 적게👍👍😄😄
@이태민-t4j4 жыл бұрын
전 겨울 35 여름 40 가을 38 끝 ㅋ 잘보고 갑니다 👍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종결ㅋ
@김태원-b8e4 жыл бұрын
겨울이랑 여름이랑 바뀐거 아니에요?
@koodogg4 жыл бұрын
@@김태원-b8e 영상 보고 오시죠
@골드손-p4o3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구만......
@stanleyyoon49644 жыл бұрын
금아님... 최근에 알게 됐는데,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tennisserveacademy8550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저 수치는 너무 낮아요,,, 고속이나 장거리 주행이 많으면 90%까지 채우는게 좋더라구요.
@타야얼라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저는 타이어프로라는 업체에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타이어 단층마모에서 추가설명좀 할까해서 글을 남깁니다. 주로 후륜타이어에서 단층마모 (톱니바퀴 마모)현상이 발생되어 주행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데요... 타이어가 지면에 모두 똑같이 맞닿이는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주행방향으로 선두부분와 끌림부위 간의 마모량의 차이로 톱니 형태의 단차 마모가 발생됩니다. 이 단차마모가 계속 누적되면, 단층이 생기고 그 단층으로 인해 단층의 폭이 커지면에 소음으로 올라오는것이지요.. 휠얼라인먼트(차량정렬)이 이상이 없다고해도 단층마모는 생길수있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인 타이어 위치교환으로 주행방향을 바꿔 줌으로써 예방을 할수있습니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네 ^^추가설명 감사합니다선생님~ 많이 가르쳐주십시오~ 항상 낮추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감사합니다 워상님ㅎㅎ
@권기성-g3s3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상식 아주 아주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khankorea39384 жыл бұрын
좋은 팁 잘 봤구요. 타이어 수명두배로 오래쓰는 방법은 머니머니 신사임당 해도 급출발 급정거 안하고 중간 공기압유지하면서 경제속도로 달리면 보통 두배이상 씁니디. 저같은경우 자전거 펌프 슈레더용을 드렁크에 갖고다니면서 일주일헤 한번이상은 꼭 맞춰줍니다.타이어뿐아니라 엔진 미션 모두가 항상 싱싱하죠.마지막으로 엔진오일 팁을 알려드리자면 절대로 헌기차 순정오일 안씁니다.지인이 sk근무하는데 놀라운고백을 들었어요~ 자기들도 안쓰는 가장 저질오일을 따로 만들어 헌기차에 납품한다고 하더라구요. ㅠㅠ
@khankorea39384 жыл бұрын
저는 지난 20년간 세계사를 전공하고 현재 지방의 작은대학에서 역사를 강의하고있는 사람입니다.제가 그동안 20년넘게 세계사를 공부해온 관점에서 한국사를 볼때 가장 의문이 들던 부분이있고 그 부분에 대해 여러분께 알려드려야할 역사학자로써의 의무감이있어 이렇게 댓글로나마 소견을 피력하니 역사에 관심있으신분은 한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수십년간 세계사를 공부해모면서 습득된 몇가지 지식중에 가장 공통적인 현상은 강대국들의 식민정책부분인데요 대표적 식민정책이 바로 (노예신분제도)였습니다..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우리역사에서도 이런 식민정책(노예신분제도)가 있었고 놀랍게도 그 시작은 조선왕조(세종실시)때 전격적으로 실시된 사실입니다.여러분들이 알고계시는 조선왕조 시대 대표적 신분제인 양반상놈제도가 바로 식민제도로써 즉 조선식 노예제도라는 사실입니다.평생 대물림하는 노예신분제도 즉, 조선의 상놈신분제는 서양의 노예제도와 이름만 다를뿐 99%흡사합니다. 이는 세계역사적으로 누구도 부인할수없는 팩트입니다.강점왕조를 유지하기위한 필수적인 제도로써 점령지 통치에 있어 빼놓을수없는 비법이기도 합니다. 그 식민정책중 대표적 제도인 노예제도=노예 신분제도는 반드시 원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전원,천민신분으로 묶어버리는 역할과 기능을 함으로써 이방인 강점왕조의 식민통치를 유지하게 하는 없어서는 안될 식민통치정책입니다.문제는,우리역사에서는 유일하게 조선시대 오백년간 실시되었다는 충격적 사실입니다.이런 식민제도가 오백년넘게 존재했다는 놀라운 사실을 깨우친 입장에서 역사학자의 양심으로 이 사실을 국민께 알려드리는 의무감을 양해구합니다.그동안 수천명이나 되는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들중에는 왜 이런 중요한 사실을 깨우친사람이 없었을까? 의문이 아닐수없는데요.저자신도 세계사를 연구하기전까지는 전혀 몰랐습니다.사실이 이러하므로 일반국민들이 이 내용을 이해하기는 더 어려울것이라고 사료되오나,하늘이 도는게 아니라,지구가돈다는 사실은 분명한만큼 알려드려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이렇게 알려드린다는점 깊은 양해를 구합니다. 모든 교과의 기본 교과가 바로 국사라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국사인 이유는 자신을 먼저 보는 내용이기때문입니다.그런데 지금 국사는 생각을 못하게하고 암기만시키지요.이는 종교식 교육으로 주로 암기교육과 시험으로만 평가하는데,역사적으로는 조선(유교사상)의 영향이며 다 아시다시피 조선유교는 중국인교주의 사이비종교로써 전세계에서 우리나라 사람들만 오백년넘게 믿어온 종교로써 현재 국내 종교에도 그 영향이 상당히 큽니다.예를들어,현재 한국의 대표적 종교인 개신교나 불교를 살펴보면 원래 개신교나 불교가 아니라,토착화된 즉, 유교식 개신교,불교라는 사실입니다.혹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을"유교탈레반"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는 우리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무의적으로 유교사상에 깊이 최면되있기때문이라고 사료됩니다. 문제는 이 유교사상은 노벨상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 입니다.즉, 우리나라 백년째 노벨학술상 한 한개도 못받는 사실과 깊은 직접적 관계가 있는 점.(수능암기교육/대졸자90%가짜논문졸업자/가짜대졸자90%/전국대학교수90%가짜논문학위자/가짜교수/무노벨100년 현실). 여러분들이 학교에서 우상하도록 암기세뇌학습당한 조선왕조 즉, 李조선 시대였고 바로,상놈신분제도가 바로 노예제도였다는 사실은"사람의 눈이란 남은 잘 보지만 자기는 못본다.등잔불밑이 어둡다"는 격언과 같이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몸속에 들어와살고있는 질병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무감각하게되는 이치, 뻐꾹이가 자기알을 남의 새둥지에 낳아놓으면 어리석은 새들은 그 알이 자기알인줄알고 키우게되듯이 그렇게 성장한 토착중국인들(이완용후손들 현재 650만/토착중국인/중국전주이씨 시조 이자춘/조선태조 이성계아버지/중국화하족/고려말 난민귀화인)인 조선왕손이씨들 이완용 이세종 이고종 이춘재 이영학등이 바로 이들이며,현재 우리고려인들의 뇌를 해킹해 반짱깨상태로 만들어 지배하고있는 현실임을 자각해주시기비랍니다. 역사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한번,잘생각해보시면 이 중요한 사실을 깨우칠수있다는 사실을 진심으로 말씀드립니다..감사합니다.새해 복 많이받으시길 바랍니다. 안타깝게도 이런 사실을 깨우치고 알리는 역사학회는 서울대(韓국사학과)도아니고 재야 증산도 도 아니고 참역사라는 작은 역사카페 운영자분이 깨우친 놀라운 사실입니다.기존 역사학회는 모두 좀비라는 증거가 됩니다. 현재, 중국과 조선중심의 국사는 노예국사입니다. 끝으로 조선시대 노예제도인 상놈제도는,백제계 일제시대때 폐지되었습니다.현재 국사나 애국개념은 무조건 일본욕하는건데 중국개돼지뇌상임을 알려드립니다. 당신이 이씨가 아니라면 본래 고려인이고 이세종 이순신보다 당신이 더훌륭한 분입니다.펌:참
@user-cp7ie2vk7h4 жыл бұрын
트렁크 밑에 시거잭으로 동작하는 컴프레셔 있습니다 그거 쓰시는게 편해요
@khankorea39384 жыл бұрын
@@user-cp7ie2vk7h 펌프 좋은거얘기하는거에요. 공기압력계가 있는거요~
@user-cp7ie2vk7h4 жыл бұрын
@@khankorea3938 차에 있는 컴프레셔도 압력계 있습니다 압력 빼는 버튼도 있어서 압력 조절이 용이합니다
금아님~ 제가 이번에 타이어를 바꾸려고 하는데 OE 타이어 RE 타이어중에 아무거나 택해도 되겠죠? 어떤 유튜브가 OE를 많이 추천하셔서요...
@장진환-z2r4 жыл бұрын
좋은글 감사하게 잘보았읍니다. 앞으로 잘사용 하겠읍니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으면합니다^^
@CoinMG4 жыл бұрын
중고차 이번에 구입하고서 차량 하부 뒤쪽에서 웅웅 소리가 차안에 가득 울려서 오토큐에 점검받았더니 편마모도 심하다고 해서 안쪽만 닳았길래 이유가 이영상에 나온듯 싶네요 먼저 봤으면 노심초사 안했을텐데 좋은영상이네요~
@jjinimon8414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현제 소나타 k5차량 뒷바퀴바 타이아 집에 중고타이어뇨 많이 나오죠. 그거 넣었다 스트레스받은 1인ㅋ
@불라바4 жыл бұрын
역시 👍👍👍
@오혁-m5j4 жыл бұрын
진짜 후덜덜 한 꿀정보
@정광덕-c8s4 жыл бұрын
보기좋아요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JohnB-hm5nf2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은 운전자의 승차감 취향것 하면되고요. 그렇게 해논 공기압을 기온변화에 따라서 일정하게 유지를 잘해줘야 오래탑니다 허벌라게 30 햣다가 40 햇다가 하면 편마모로 금방 닳아버려요 현대기아 전륜 GDI 차량들은 앞바퀴에 더 넣고 뒷바퀴에 덜넣고. 위치교환 쓸따없이 하지말고. 급출발 급정거 정차시 타이어 방향 꺽기만 조심하고 급커브 과속하다가 타이어 옆면 긁어먹지만 않으면 오래 탑니다. 대다수의 운전자들이 공기압을 못맞쳐서가 아니라 더러운 운전습관 탓에 스스로 차를 망가트리고 돈낭비짓 하기때문 카센타에서 흔히 "겨울앤 적게 넣고 여름엔 많이 넣으세요" 하는이유? 그랴야 편마모가 빨라서 호갱님이 또 방문해주시기 때문 공기압이 아니라 타이어 접지면이 계절에 상관없이 일정한 psi를 유지시켜주는것이 핵심 이롷게 할려면 최소 1-2주일마다 공기압 점검해야하고 점검이라는게 장비 갖추고 매번 공기을 넣어쥐야함 매번 주유소에서 기름 넣기도 귀찮은데 그걸 하라고? 현실은 대다수 운전자는 장비도 없고 1년에 한번 주유소에서 점검 할둥말둥 자기차가 235/55/18 인데 45psi 넣어두고 연비 조타며 차 잘나간다고 좋아하는분 많음. 이차의 실제 타이어 접지면은 175/60/18 하고 비슷 급제종시 쭈우악...... 밀림 쿵.....바사삭. 보통 외부기온이 10도 내려가면 타이어공기압은 1psi 내려갔다가 기온이 다시 10도 올라가면 원래 공기압으로 돌아옴. 따라서 한여름에 한번. 한겨울에 한번씩만 공기압은 관찰(?) 하면 타이어가 빵꾸났나? 착각 할수도 잇음. 차량관리를 최소 한달마다 스스로 하시는분들은 1psi씩 늘다가 다시 1psi씩 줄어드는걸 느낄수있음 요즘같이 기온변화가 클땐 1주일마다 잘라짐 여기서 중요한게.... 겨우 1psi인데 별차이 없네? 그냥 타자! 식으로 미루면. 그게 2psi 되고 5psi되고 10psi 되는거임. 1psi차이날때 귀찮아도 재조정해줘야 편마모가 줄어듬 PS 정상적인 새타이어와 새휠이라면 타이어공기압은 1psi이상 변동되지않고 심지어 고정된체 압이 빠지는일이 없음. 고로 1psi이상 줄어드는 타이어는 불량이라고 봐야함.(기온변화 없이) 참고로 모든차는 엘라이먼트가 100퍼 정확하지 않습니다 설사 정확하다해도 전륜 서스펜션 토그 토우각 엠버각에 의해 반드시 편마모가 발생합니다 편마모를 최소로 줄이고 편마모된 타이어를 더 악화시키는걸 방지하는게 최선일뿐
@sjlee9002164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 연비운전만 잘 해줘도 타이어 마모가 적어지는 것 같아요, 공기압을 최대치의 85%정도, 위치교환 준수, 급가속 급제동 삼가고 정속주행만 해도 7만km까지는 타더라구요.ㅎㅎ
저는 1년내내 36psi입니다. 지금까지 이상 없었네요. 오래전 40psi 넣고 다니다가 하체 부품들 부싱 등이 망가져서 이후로는 36입니다.
@휴무중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다사랑-s2z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영상잘 보고갑니다. 좋아요 와 구독 끅 늘럿습니다. 더 좋은영상 부탁드립니다. 파이팅입니다.
@hyune22144 жыл бұрын
저는 싼타페DM 19인치 순정 타이어 4년 7개월 동안 9만km 탔는데도.. 아직 한계 마모선 까지 트레드20% 가량 남아있습니다. 타이어 앞뒤 교환 총 4번 했네요. 정비소 가면 1~2만은 더 탈수 있다고 하는데 9만 탓다고 하니 놀랍니다.ㅋㅋ 고속도로 위주로 많이 타서 그런가 보네요.ㅎ
얼라이먼트가 잘된차는 위치교체 필요없고요 얼라이먼트 개판인 차를 위치교환만 하면 타이어 빨리 죽습니다.
@tnstlsdl1398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생크림베베4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은 냉간시 기준셋팅인가요?^^;;;
@sis7905 Жыл бұрын
눈에 보일정도의 편마모가 있으면 얼라이먼트를 먼저 보는게 순서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올리비아월세-j7v4 жыл бұрын
지는 차에대한 순환 원리나 그런건 잘~모르겠고요 기냥 원리원칙대로 습기!!!💦건조!!!♨️ 그래서 이젠 꿀팁금아님 말씀대로~ 항시 그렇게 차량건조후 운행을 종료합니다요~ 그리고!!!실내온도 22도 설정도 참~중요한듯 하더라구요!!! 제가 전에 18도 설정에 운행을 했을때보단 차이점이 있음을 느낍니다!!!!ㅋㅋ 감사히지요~~👍🤗👍🤗
@시나몬-s2o4 жыл бұрын
와.. 왜 뒷바퀴에 톱니바퀴마모가 나는가 했더니 그 이유에서였군요. 상대적으로 과속을 좀 하고, 타이어 위치교환을 안했더니 그런 결과가.. 이번에 차량 바꾸면서 애기도 생겨서 매우 부드럽게 운전합니다만, 위치교환은 꼭 때에 맞춰서 해야겠네요 그래서 말인데 고속도로 주행이 80% 이상이고 월 2천키로 정도 타는데 어느 때가 위치교환하기 적절할까요?
@KeumTube4 жыл бұрын
1만킬로~1만5천 정도에 위치변경해주세용^^
@thunderclapss4 жыл бұрын
여러분들 절대 세단으로 오프로드 자갈 돌밭 가지 마세요... 잠시라도 가지마세요.길 잘못들었다가 십분 정도 걸려 빠져나왔는데 , 당장은 괜찮을 지 몰라도 결국 나중에 타이어에서 아작나고 수명 줄어듭니다. 얼라이는 다행이 안나갔지만요. 타이어 울퉁불퉁해져서 소음도 나구요.
suv 차량은 38에서 40 사이면 괜찮을까요? 겨울철에 공기압 자주 빠지길래 40으로 맞추고 주행중 확인하니 42~43 왔다갔다 합니다. 이러면 가운데 트레트 부분이 많이 나갈거 같은데 38 까지 빼야 할까요? 이게 참 주행중 기준으로 보면 38 생각하면 냉간시 36정도 까지 뺴야 하는데 공차 중량이 있어서 어느정도는 넣어야 한다고 해서 매달 매달 고민입니다 ㅋ 공기압을 좀 많이 넣으면 확실히 연비 절약도 되는데 이게 문제는 제동력과 확실히 관계가 있습니다.. 세단 같은 경우는 33이 맞아 보이는데 suv는 확실히 좀 36이상 필요해 보여서.
@KeumTube4 жыл бұрын
38넣으시면됩니다ㅎ 무게하중이있어서 40도 괜찮아요
@mmk90993 жыл бұрын
겨울엔 공기압이 38-39 되더니 요즘엔 40-41로 뜨더라구요. 특별히 공기압을 더 넣고 덜 넣은 적은 없는데, 그냥 이대로 타도 될까요? Suv 미국차입니다
@user-gj2fq1zs7f3 жыл бұрын
5시리즈에는 여름.겨울 몇psi 넣고 다니시나요?
@초코우유-y7n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ㅎ 한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요 타이어 공기압40을 넣게되면 냉간시(장시간 주차후) 40을 넣나요? 아니면 열간시(주행후) 넣나요????ㅎㅎ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주행후 넣으셔도되고 냉간시 넣어도됩니다. 조건이 달라도 + -오차안에들어오는 치수입니다
@JohnB-hm5nf2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은 냉간 기준입니다. 보통 고속주행시 3-5psi 정도 높아졋다가 주차시 다시 냉간으로 내려갑니다
@김고니-o6f3 жыл бұрын
공기압적게넣고 고속으로 많이 달렸더니 뒷타이어가 울퉁불퉁하네요 이걸 앞쪽으로 옮기는건 이미 늦은건가요? 앞으로 옮겨서 타면 혹시 울퉁불퉁한게 골고루 갈려서 평평해지는지 그런 실험이 궁금합니다
@rickychoi54764 жыл бұрын
전륜구동차량에서 주기적인 타이어 위치교환이 꼭 필요한가요? 한 타이어매장 방문했더니, 앞바퀴 최대 마모까지 탄 다음 새 타이어 두짝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설명을 해주더라구요
금아[KeumTube] 이게 정확한 소리를 못잡겠어가지구요 예전에 조수석하체를 맞아서 로우암 쇽업쇼바 등등 부품을 갈았는데 그러고 운전석 로우암도 교체를 했습니다 시간이 조금 지나고 나서부터 운전석 쪽에서 단발음으로 딱 하는 뼈 부서지는 소리가나는데 처음에는 핸들 조향할때 나는것 같더니 이제는 꿀렁일때 정차후 출발시에도 나는 것 같은데 볼트체결이 제대로 안된건지 로우암인지 쇼바마운트인지 쇼바인지 등속조인트인지 도대체 모르겠어서 다 교체하려면 비용이 너무 많이 나가서요 ㅠㅠ 혹시 아시면 도움좀 구하고자합니다 ㅠㅠ
275 30 19 타이어에 적정 공기압 대략 33~35입니다 35만 넣어도 돌덩어리입니다 (사이드월이 조금 두껍고 딱딱한 고속주행용 스포츠 타이어의 경우입니다 일반 승용 타이어는 좀 다를 수 있습니다) (국산타이어 evo3 275 30 19만 하더라도 최고속도 등급이 300km/h over이며 공기압 35면 조금 과장해서 타이어가 돌덩어리입니다) 편평비가 낮은(타이어가 얇은) 타이어일수록 적정공기압의 수치가 낮고 편평비가 높은(편평비 수치가 높은) 타이어 일수록 공기압 수치가 높습니다 275 30 19 타이어에 적정 공기압이 35라면 타이어를 305 25 19나 315 25 19로 바꿨을땐 당연히 공기압을 35보다 적게 넣어야 합니다 타이어를 광폭으로 바꾸고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끼웠는데 공기압을 똑같이 넣거나 더 넣게되면 타이어 접지면의 가운데쪽이 볼록 올라오게 되어 급출발을 하게되면 (타이어의 가운데 부분만 제대로 접지가 되므로) 후륜고출력차량의 경우에 차 뒤꽁무니가 돌면서 핸들 조향이 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다분하고 또한 브레이크를 밟으면 제대로 제동도 되지 않고 제동거리도 길어지게 됩니다 후륜 고출력 차량들 급출발 하다가 차가 돌아서 어디에 쳐박는 동영상들이 많은데 출력에 비해 타이어가 받쳐주지 못한 이유도 있겠지만 적정 공기압보다 과다하게 공기를 많이 넣어서 그런 이유도 있습니다 결론 : 편평비(수치)가 낮고 광폭 타이어 일수록 적정 공기압 수치는 낮아진다 (각 차량의 적정 공기압은 해당 차량의 적재중량과 + 타이어의 편평비에 의해서 정해진다) (자동차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공기압은 승차감을 과하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 연비를 최대한 고려 해 정해진다) (실제적인 각각의 차량의 타이어 적정공기압은 차량의 캠버, 토우값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타이어의 접지면 가운데와 바깥쪽이 균일하게 닳는 상태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이다) (화물차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1톤 트럭이나 코란도 스포츠 칸 같은 차량의 경우 적정 공기압이 45라면 평생 무거운 화물은 싣지않고 혼자 타고 다니겠다면 공기압 40도 과하고 한번이라도 과적해서 1톤트럭에 2톤을 싣고다닐 가능성이 있다면 공기압 50도 부족합니다) 휠 파손 문제는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낀 차량의 경우에 어쩔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지 편평비가 낮을수록 공기를 더 넣어야 한다는건 잘못된거 같습니다 편평비가 낮은 차에 휠때문에 공기압을 적정량보다 더 넣다간 작은 사고 파손으로 끝낼걸 오히려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르르-h1x4 жыл бұрын
차를 좋은걸 타면 편마모 신경 안쓰는데요 ㅎㅎㅎㅎㅎ 폐차시까지 얼라이먼트가 잘나오는 차도 많죠.요즘 최근 5년이내 현대기아차들 신차들 전부 편마모 생기는데 그런 이유나 알아봐주세요???
@파이리-w1g4 жыл бұрын
여름철에 공기압을 빼고 탔는데 잘못알고 있었네요 20인치 미쉐린 올시즌 앞 245 35 뒤 275 30인데 36 괜찮을까요? 그리고 앞바퀴 한쪽 사이드월 나가서 앞 타이어 2짝만 갈았는데 80만 넘어가면 두두두 소리가 납니다.. 특히 노면 좋은곳에서 더 소리가 두드러 지더라구요 타이어 업체에서는 타이어가 어느정도 마모가 되면 소리 없어진다는데 맞는말인가요? 차는 2년 조금 되서 허브때문에 나는 소리는 아닌거 같은데..고견 부탁드립니다
@user-tk9sr7vn8p4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차를 산지 얼마 안된 초보라 그런데요ㅎㅎ 1. 공기압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보려면 계기판에서 화면 넘기면 나오는 화면에서 보는게 맞나요? 2. 공기압 수치 조절은 보통 정비소에 가시나요 아니면 기구? 같은 걸 구매하시나요?
차 운전석 문쪽 보시면 권장 공기압 표시되어있슴돠. 보시고 가까운 정비소 , 셀프는 세차장에도있구여. 정비소가셔서 공기압 맞춰달라카면 공짜로 봐줌돠~
@darae84124 жыл бұрын
행운의 알고리즘 구독안하면 손해인 체널👍🙏💕 꿀팁정보 감사합니다 고속도로 창문 대박임 👍
@펭귄-b6o4 жыл бұрын
댓글은 잘 안다는편인데 참 유익하고 좋은영상 많이올려주시네요 많은 정보부탁드려봅니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ㅎ
@한겨울-e4g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ㅋ
@해피바이러스-764 жыл бұрын
웃음밖에 안나온다...얼라이 잘못된것을 공기압으로 균형 맞춘다네...그럼 한쪽 치우치면 반대쪽 공기압 10PSI로 자동 얼라이본다고 할사람이네 공기압이 낮았어도 똑같이 균형있게 마모가 안된것이 얼라이먼트 때문이지 공기압 때문인가? 근본적으로 원이이 무엇때문인지 정보를 줘야 정보가 되는것이지 게다가 자막에는 고수만의 비법이라고 자막은 또 머여....에휴. 정말 유튜브 네이년 지식인 이후 어쳐구니 정보가 넘쳐난다.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공기압 50으로한번 계속 타보시면 아마 타이어사이드는 평생새것같으실겁니다. 얼라이먼트 스러스트각은 아시죠? 설명은 드렸으니 도움되었으면합니다^^감사합니다~~
@해피바이러스-764 жыл бұрын
@@KeumTube 공기압이 높으면 좋은점과 연비 롤링개선타이어 수명연장 장점은 있지만 통통거리는 딱딱한 승차감과 차체 부싱과 하체의 소모성부품의 내구성짧아짐과 실내 차체부품등의 잡소리 유발등 안조은점도 많다는것을 모르시나요? 자동차 생산차 메뉴얼에 흔히 타는 소나타급 그랜저급 차에 적정 공기압이 왜 31~33줄 아시나요? 차량을 가장 안정적이고 승차감과 접지가 타이어와 현재차에 가장 적합하게 제작된 수치의 권장 공기압인겁니다. 과속을 하면 압력으로 보통 33넣은차는 38가량 5기압정도가 올라가게되고 45정도 가 일반적인 맥스로 넣는기준입니다. 그러면 고속시 압력 50까지 올라가게되고 타이어 최대 psi 한계가 보통 50까지 명시되어있어 기본 50을 넣는것은 그이상을 이용하게되는것인데 그냥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는 정보를 알려준다 생각하지 말고 계시하지 않는게 정상 아닌가요? 내참 세상에 편마모를 타이어 공기압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말이되는소리요? 정상 얼라이에서 공기압이 낮았다면 사이드가 약간더 넓은범위로 더 빨리 마모되는것 맞지만 한쪽으로 편마모가 되는건 캠버나 얼라이이의 문제이지 공기압때문이 절대아니죠. 에휴....유튜브한다고 컨텐츠 부제 구걸도 정도것하세요.
@성이름-k5b7s4 жыл бұрын
@@KeumTube ㅋㅋ웃고 갑니다.. 유튜브 번창 하십시요.
@user-cp7ie2vk7h4 жыл бұрын
형님...상대적으로 구동륜의 마모가 심한것 처럼 트랙션이 많이 걸리는 쪽이 마모가 빠른건 사실이잖아요... 물론 후륜차라도 급제동 급선회가 잦은 차는 앞이 더 빨리 닳기도 하지만요... 일반적으로 선회시 캠버 중립일 경우 바깥쪽 바퀴에 트랙션이 걸리고 바퀴도 바깥방향이 더 빨리 닳습니다 그런데 요즘엔 세단들은 캠버가 마이너스로 나오잖아요? 어르신 운전만 하니 안쪽이 더 빨리 닳긴합디다... 30PSI 초반으로 압 낮추니 내측 편마모가 완화되는거 직접 겪어봤어요... 저 1년에 5만씩 운전하고 타이어는 10만 전후로 교체합니다
@송영진-d6o3 жыл бұрын
35에 맞춰도 주행하다보면 38 39까지도 올라가더라구요 공기압이 너무 높으면 안될거 같은데 기준치가 33에서 35인 이유가 있겠죠
@효정하연아빠5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궁긍했던 부분이였는데
@KeumTube5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정필님^^ 또 많은정보 전달해드리겠습니다~항상안전운전하십시오ㅎㅎ
@브라질냔왁싱2 жыл бұрын
중형세단(k5)타는데 공기압 38 4계절 맞춰서 다니는데 괜찮을까여??
@uvs3835 Жыл бұрын
4계절 공기압은 36이 적당합니다.
@jungmr.4903 жыл бұрын
금아님 금아님도 Bmw타시는거 같은데 제차도 520d인데요..혼자타고다니는편이고요. 4짝다 245.45.18 100v인데요. 문짝에 붙어있는 표기보면 앞32psi 뒤35psi이더라구요. 이렇게 앞뒤 다르게 꼭 넣어야하나요? 만약 다르게 넣어도 된다면 금아님 얼마넣고다니시는지요? 표시된곳이 앞뒤가 다르게 표기되어 햇갈리네요..좀알려주세용
@KeumTube3 жыл бұрын
메뉴얼값대로 해주시면좋겠지만 매일 우리가 맞출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동일하게 38정도 맞춰놓고 34정도까지 떨어지면 다시 38정도 세팅을합니다~ 공기압센서가 있기때문에 수시로 체크만하고 너무자주 주입은 하지않습니다~
@jungmr.4903 жыл бұрын
@@KeumTube 38은 한번도 안넣어봤는데 승차감은 어떤가요?
@야생화-r8h4 жыл бұрын
타이어트레드가많이남았는대요 8년정도됬어요미세갈라지은있어요 더다도되나요?
@건박이4 жыл бұрын
앞바퀴가 많이 닳아서 뒷바퀴와 위치교환을 했는데, 이 때부터 웅웅 소리가 나는데 어떻게 응급조치해야할까요??ㅠㅠ 이렇게 뻐티다가 네개 한 번에 바꿀 계획인데 소리가 좀 거슬려서요ㅠㅠ
@yoonnine914 жыл бұрын
중고차 하나 업어와가 두달 가까이 타고 있습니더 고속도로 달릴때 우---웅 하면서 100km넘으니 꼭 소리가 나더라고요 왼쪽 앞바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뒤였는가 봅니더 ㅎㅎ 평소에 밟고 댕기는 스타일이 아인데 타이어가 골고루 갈릴때까지 기다리야 되는수 밖에 없는겁니까~?ㅠ
@KeumTube4 жыл бұрын
한번나면 그냥타시다가 다음에 타이어 교환하실때 얼라이먼트 제대로보시고 타시면됩니다^^
@yoonnine914 жыл бұрын
금아[KeumTube] 감사합니더~ 장마 온다카던데 비 조심하시고예~~^^
@강된장국4 жыл бұрын
멀티링크 차량 뒷타이어 안쪽이 양쪽 다 더 닳았는데요 뒤에도 공기압 조정하면 될까요? 아니면 뒷타이어 양쪽의 위치를 바꾸면 될까요?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좋은질문주셨네요ㅎㅎ 뒷타이어의 안쪽이 닳는다고 해서 양쪽위치 바꿔도 안쪽으로 배치됩니다.아니면 타이어벗겨서 서로교환하면 되지만 그러면 타이어 인,아웃 이 바껴버립니다 비추입니다. 제가 말씀드린바와같이 과속등이나 사람많이태우거나 하시면 뒷 쇼바가 쑥쑥 내려가죠(다운스프링이나 사제다운쇼바장착해도마찬가지) 거기서 얼라이값 캠버각이 -로 많이들어갑니다. 그래서 안쪽이 닳는것인데. 사람많이태우지않고 과속도 안하신다면 얼라이먼트정확하게 보시면 잡힙니다ㅎㅎ 토우값이 약간벌어졌거나 캠버값이 조금들어갔을겁니다. 스르스트각 정확하게 맞추면됩니다~댓글감사합니다 장국님^^
@강된장국4 жыл бұрын
@@KeumTube 그렇군요! 뒷 좌석엔 가족들이 항상 타고있어서 편마모가 생겼나봅니다 ! 얼라이보러 한번 가야겠네요~ 친절한 설명 잘 보고갑니다^^
@@KeumTube 40넣고 달리면 고속주행시(여름철) 44 45까지 tpms 상 나타나고 물론 오차는 잇겟지만 암튼 체감상 통통 튀기던데요 ㅎㅎㅎ 여름철 줄이는게 아닌 오히려 늘리는가여? 미쉐린 피렐리증 스포츠 타이어도 그럴가요 접지력 마찰력대비 기준을 명확히 모르겟네용 ㅎ
@삼이-w2j4 жыл бұрын
제 차량 타이어는 max psi가 40으로 적혀 있던데 40 안넘기는게 좋을까요~?
@KeumTube4 жыл бұрын
35~40정도넣으시면 될것같아요
@삼이-w2j4 жыл бұрын
금아[KeumTube] 감사합니다~!
@흙기사-y1q4 жыл бұрын
앞뒤 바퀴의 공기압을 다르게도 하던데, 예컨데 앞 40 뒤 36쯤으로 하더군요. 앞쪽의 하중이 더 걸려서 이렇게 하는걸까요?
@KeumTube4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죠ㅎㅎ
@2283sh4 жыл бұрын
비오는날 타면 조금다나요?
@KeumTube4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마찰력이 덜하죠ㅋ
@terrynoh57334 жыл бұрын
금아행님 써머타이어 겨울주행 괜찮을까요? 수입차 첨타봐서 이제 알아보는데 윈터타이어 있는곳이 없네요...비엠 카페서도 윈터 못구해서 궁금해하시는분들이 많은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