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적으로 이사야서와 마찬가지로 Mashal(מלך):문학적 장치 이라는 것은 빗대어 누구와 누구를 비교하고 있는지 찾아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두로왕 자체로 보기에는 본문의 서술이 인간 존재에 대한 죄라고 하기에는 ‘하나님의 자리’에 앉는, 그것도 ‘바다’라고 나오는 것에 주목해야 하지요. 하늘의 신, 바다의 신.. 두로 왕은 바다의 신을 섬기고 있었던 것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바다 가운데서.. 죽게…’라는 구절이 나오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 다음 구절부터는 인간에 대한 얘기가 아니지요. ‘네가 옛적에 하나님의 동산 에덴에 있었다…’ 두로왕이 에덴동산에 있었던 적이 없지요. 근데 왜 본문은 두로왕이 있다고 이야기하는가가 포인트이지요. 두로왕을 어떠한 존재와 빗대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요. 두로 왕 자체로 성경본문을 해석한다면 말이 안되는 구절이지요. 두로 왕과 빗대어진 어떤 존재를 말하고 있는 것라고 해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지요. 빗대어 진 존재가 누구일지의 가능성은 열려있지만, 이것을 단순히 두로 왕이라고 말하기에는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것이 아닐까요….
@lan.theologyАй бұрын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오히려 반대로 빗대는 것은 신화를 바탕으로 두로왕을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고대 근동 당시의 왕들은 많은 이들이 자신을 신격화하는 경우들이 있었기 때문에 두로왕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지만 하나님은 그것을 비난하셨지요. 마찬가지 의미로 두로왕이 에덴 동산에 있었기 보다 에덴의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에 빗대어 두로왕을 향한 심판을 말씀하신 것이라 생가했습니다. 더 넓은 의미에서 에스겔 25-32장은 이방 나라에 대한 심판의 맥락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갑자기 사탄 이야기가 등장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있었습니다. 아울러 사탄의 타락에 관한 이야기는 아무리 빨라도 에녹 1서쯤 그러니까 기원전 2세기쯤은 돼야 하는데 과연 에스겔시기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알고 있었을까라는 의문도 있었습니다. 저도 좀 더 고민해 보겠습니다.
@Schooldog3yrАй бұрын
@@lan.theology ①본문의 두로왕 자신이 자신을 신격화했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②본문 이야기가 단순히 두로왕을 저격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넓습니다. 이야기의 플로어가 바뀐다고 볼 수 있지요. ③14절 '너는... 그룹'; 세라핌 이라고 나오지요. 두로왕은 알 수 있는데 14절의 이 존재는 누구인가 하는 것이지요. 에덴동산에 있었다? 범죄하였다? 이 부분에서 두로왕은 적용이 안되지요. 두로왕과 이 묘사의 존재의 공통점은 범죄이지요. ④그럼 이 존재는 누구인가? 에덴동산에 누가 있었었나? 그리고 왜 이 본문은 '덮는 그룹'을 이야기하나? 그 답을 찾는 것이 본문 해석의 키로 작용하겠지요. ⑤"'사탄'-창3장(뱀)-중간기 문서들이 말하는 한 존재"를 연결시키는 건 에스겔 본문의 1차 독자들의 고려 대상이 아니니까 그 경우의 수는 제외해야 본문 자체가 풀린다고 봅니다.(공부의 장을 열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Mr-ih4hqАй бұрын
@@lan.theology 사탄 이야기가 기원전 2세기부터라는 주장은 근거가 뭘까요? 창세기도 그전에 있었고 심지어 불경도 그전에 있었는데요. 고대부터 뱀 드래곤 사탄의 이야기는 서로 혼재되어 전해져 왔습니다.
@김태형-k9y1iАй бұрын
두로왕에 대해 한 구절 나오고 에덴에서 아담이 쫓겨 날때 화염검을 가지고 지켜던 그룹이 나오고 그외 28장 전체가 사탄을 이야기를 하고 있는것으로 볼때 사탄의 정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맏다고 봅니다
@흰돌-g2bАй бұрын
맞아요 이동영상 올린분 참으로 안타깝네요
@Mr-ih4hqАй бұрын
칼뱅이 훌륭한 분이신건 맞지만 그렇다고 바울과 같이 하나님의 계시를 받은 사도는 아닙니다. 신학 전공자도 아니고 인문학 하신 분이고요. 칼뱅이 이렇게 설명했어요 하는 건 그냥 참고 정도 하면 되는 외경보다도 권위가 낮은 주관적 설명으로 보아야지요.
@lan.theologyАй бұрын
칼뱅을 언급한 것은 이 본문을 역사적 맥락으로 봐야한다는 해석을 했고, 저도 그에 동의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랬습니다. 초대 교부들부터 시작해서 어떤 사람들이든 모두 당시의 역사와 맥락에 속해 살아가는 해석자들이기 때문에 저도 그들의 모든 해석이 다 옳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