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비하, 비방, 욕설, 영상과 무관한 정치적 발언은 자제를 부탁드리며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지하철 N호선의 비밀 구독자 12만때에는 잠시 쉬어갑니다😢
@저1거너트7 ай бұрын
네
@반응개꿀잼7 ай бұрын
붉은색 푸른색 그사이 3초 그 짧은시간~
@dreaaaaam7 ай бұрын
아쉽지만 구독자 상승 속도가 옛날보다 빠르기도 해서 이해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역쟁이님
@납작이_Line_1_Korail7 ай бұрын
네
@mint75307 ай бұрын
앗...... 그럼 당분간 일정 구독자가 달성되면 하는 N호선의 비밀은 못 보겠네요! (그럼 다음은 부산 2호선..... 인가요?)
@apple29077 ай бұрын
낮에 한번 타보면 아마 깜짝 놀랄겁니다. 그냥 노인정임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부산시청 앞 공원가보세요 공원 전체에 그냥 노인분들 밖에 없어요
@shk97327 ай бұрын
인정 ㅎㅎ 40대 이하는 10%도 안되는거 같음 저도 타서 정말 깜놀했음
@hardie23117 ай бұрын
인정 부산= 노인정
@유링게이슈웅7 ай бұрын
@@와기-n5p 아니 평일은 다들 일 하니까 있을 수가 없죠
@와기-n5p7 ай бұрын
@@유링게이슈웅 평일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는데요 ㅋㅋㅋ 평일 주말 모두 그렇습니다
@보노보노-r5h7 ай бұрын
2호선 3호선 4호선이 생기면서 이용자들이 분산됐고 1호선에 밀집되어 있던 상권과 핫플레이스 들이 여러 곳으로 이동하면서 당연히 감소할수밖에 없음 인구 감소도 있었고 상권 이동도 있었고 타 지하철 노선들 개통등 여러가지 요소가 많았음. 그리고 사실상 양산과 김해쪽은 거의 지금은 그냥 부산이라고 봐야 함. 안그래도 뭐 양산 김해는 부산으로 합치자는 말이 나오고 있기도 함
@Gun_Dong7 ай бұрын
돈내고 타는 젊은이들은 다떠나고 돈 안내고 타는 어르신들만 가득하겠구나
@2003년1월생7 ай бұрын
진짜 필요한 어르신들만 타도록 법을 좀 바꿨으면 좋겠다. 그냥 바깥구경할려는 시간 많은 노인들이 대다수
@geny17 ай бұрын
이제라도 비용받아야죠
@mjk63737 ай бұрын
어르신 교통카드 국가가 제공해야함
@강아지고양이-g3o7 ай бұрын
@@mjk6373 ㄹㅇ 복지를 나라가 해야지 왜 교통공사가 함? 그렇게 재정을 통일성 없이 엉망으로 돌리니 개판이 나지.
@인어왕자-m8c7 ай бұрын
GTX-A 대심도 철도 처럼 경로 요금을 받아야 함
@dutchcoffeewater6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she-hh9or7 ай бұрын
어르신들 무료 연령 만 75세로 상향조정해라... 진짜 여름에 바쁜 시간대에 시원하다고 종일 지하철에서 세월아 내월아 앉아서 떠들고 유튜브 보고 있는 분들 너무한 거 아닌가..
@구름따라-d9q7 ай бұрын
그래도 한국 노인빈곤률은 불변의 OECD 1위 입니다. 그래도 그 돈조차 아깝다면 정치인들이 퍼 남발하는 엄청난 국고손실에 눈 크게 뜨세요~
@아로아로라리루이루7 ай бұрын
@@구름따라-d9q아니 노인빈곤률 1위면 빈곤한 노인만 무료로 하면 되지 왜 모든 노인을 무료로 하냐고 ㅋㅋㅋㅋ 대가리 없음??? 20억짜리 건물 있는 노인 지하철비를 왜 월 200 버는 청년이 세금으로 대줘야하냐고 멍청아 ㅋㅋㅋ 생각이라는 걸 좀 해
@김정수-j8i7 ай бұрын
볼일 보러 다니지 할일 없이? 앉아서 ㄱ 글은 사실을 호도 한다
@McDriveMaster6 ай бұрын
@@구름따라-d9q그거 왜 그런지 알아요? 저축안하고 펑펑쓰니까 그래요 ㅋㅋ 잘쓰는쪽은 미친듯이 잘 사는데
@wriggle83326 ай бұрын
@@McDriveMaster 저축할 소득이 남아야 저축을 하던가 하지 ㅋㅋ 괜히 그때 금리가 25% 30% 이랬나 아무도 저축을 안(못)하니까 좀 해달라고 그 말도안되는 금리가 나왔던거 아냐 연금 제도도 정착한 역사가 길지 않고 지금 노인 세대는 여러모로 자식세대가 돌보는거 아니면 답이 없는게 맞는데 자식세대 여유도 많지 않은 편이니 이렇게 될 수 밖에 없지.
부산은 버스 노선도 이용도 같이 비교 해야될거 같아요. 특히나 brt생기고요. 부산은 일부 지역(영도 기장)하고brt라인이랑 지하철 노선이 거의 동일합니다. 물론 인구가 줄어든게 가장 큰 이유겠지만요.
@hihihhiful7 ай бұрын
brt은 훨씬 빠른가요?? (대중교통자주이용하는데/ 출퇴근시간대에 걷더라도 지하철을 타는게낫지않나 항상고민이 돼서요)
@2837aaa7 ай бұрын
@@hihihhifulBRT생기고 빠르긴해요
@msj47447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이죠 단순하게 1호선 있을 때랑 비교하면 안되고 지금은 지하철 뿐 아니라 버스타면 얼마나 빠르게 이동가능한데…
@후후냠7 ай бұрын
옛날 서 모 시장님이 버스 집안이라서 부산시 새금으로 돈 많이 버심...그게 brt임 ㅋㅋㅋ 자랑이 아니다 ㅋㅋㅋ 봐라 지하철 노선하고 겹침 ㅋㅋㅋㅋㅋ 이런 바보 같은 정책을 하는 곳이 부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래도 보수 찍어주는 부산 시민 ㅋㅋㅋㅋ 결국 버스나 지하철이 적자고 그거 전부 부산 시민 세금으로 충당해야함 ㅋㅋㅋㅋ
@geny17 ай бұрын
부산에도 동명목제 국제상사 같은 부산소재 대기업이 있었으나 다 해체 하고 기업이 전무 한게 큰거 같습니다
@Ov6esv7 ай бұрын
부산은 앞으로 더 미래가 없음. 끝없이 추락할것임. 도로가 너무 ㅈ망에다가 넓은부지도 없어서 기업이 생길수가 없음.
@castlep75707 ай бұрын
강서에 넓은 부지 있어용
@Ov6esv7 ай бұрын
@@castlep7570 그 구석탱이 누가 가요...
@maricomkj7 ай бұрын
@@Ov6esv 강서구 부지로 보면 도로망이 잘되어있고 해운대 와의 도로가 직선 거리이기에 실질적으로는 다른 지역보다 가깝기에 구석이라고 하기도 힘듭니다. 그럼으로 도로와 넓은 부지는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그냥 수도권과 그 주변으로 산업이 모일 뿐...결과는 같지만 원인은 틀린 거 같습니다.
@Minerva9087 ай бұрын
70년대에는 나이키 공장도 들어서고 국제상사(프로스펙스)도 위치해서 싼 인건비로 공장이 돌아갔는데 이제 그러한 역할을 중국을 넘어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 하고 있고, 인건비는 높은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는 전무한 실정... 엄궁동 학장동 일대 공단지역 말고는 없고, 항만시설 조선시설도 옛날 이야기고 대기업이라고는 롯데밖에 없으니...
@supykun7 ай бұрын
부산은 간단함: 1. 애초에 (80년대) 부산시청은 영도구를 왕따시키는 등 충동적인 생각을 그대로 실천할 정도로 수준이 나빴음. 2. 같은 시기, 제조산업을 1도 신경 안 써서 품질 가장 괜찮았던 제조는 거의 100% 날아갔지만 대체를 안 줌. 원도심 박살. 3. 부산을 관리해야 했던 정치인들이 시야가 좁아서 92년 중국이 개방할걸 준비 1도 안 해두고 해양산업을 거쎄게 빼앗김. 4. 부산이 중요도시로서의 역할이 가벼워지면서 머릿수가 중요했던 회사들 / 수도권 비해 혜택 1도 없던걸 깨달은 타 회사들 상경하기 시작. 5. 꼬부랑할매 아닌 사람들: "어? 급여가 쥐똥인거 알고보니 도시 자체가 희안하게 돈이 없었네?" 상경하기 시작. 6. 이렇게 30년 지났지만 번번히 시장, 구청장, 국회의원들: "허허 뭐 초고층 아파트 많을수록 좋지 않습니까, 뭐 홈플러스 없앤다고 화내십니까" 7. 전세는 바가지, 급여도 개사기, 도시는 유리궁전 되어가고, 유리궁전들은 유령궁전 되어가고. 희귀한 기장군의 메리트마저 사라지게 될 지경. 부산사람들은 부산에 대한 지역 자부심이 장난 아니고 떠나고 싶지 않은 입장으로서 이 정도의 인구유출은 지난 3-40년 동안 정치인들이 일 여간 못한게 아니라는 뜻임. 부산광역시는 무책임과 동의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님.
@WheyBab7 ай бұрын
맞음 부산사람은 부산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배우고 해서 무슨일이든 부산에서 살고싶은 마음이 첫번째임 근데 부산이 떠나라고 등떠밀고 발로 엉덩이 걷어찬격임
@user-ft8ufvt7h7 ай бұрын
인프라도 문제인데 부산교육도 한몫함 지금 교육 상태만 봐도 다른 지역이랑 차이가 크게 남 대다수 다른 지역은 진보적인곳이 많아서 휴대폰 걷어가는 학교 찾기가 더 힘듦 교복도 다른 지역이 더 이쁜 경우도 많고 체육복 등교해도 뭐라 하는 학교는 잘 없음 근데 부산은 되지도 않는 교복 입으라고 강요하고 추운 날엔 마이 입고 패딩 입어라, 더운 날엔 사복 입지마라가 먼저임 효율을 갖다 버리고 객기를 부려버림 그리고 부산 고등학교 5~60%는 휴대폰 걷어감 야자 강요에 별 도움도 되지 않는 아침 체인지도 하고, 수업 전에 운동장 몇바퀴 돌아서 잠 다 깨는거였으면 이미 등교하면서 잠 다 깼지 별 효율성도 없는 아침 체인지를 해버림;; 이러니 부산 10대들이 다른 지역보고 아 저기는 교복 가지고 뭐라 안 하는구나, 휴대폰 안 걷어가구나 하면서 다른 지역으로 감 부산 학생들 입장으로 보면 짜증날 만 함 지금이라도 10~20대들 인구유출 막을려면 부산교육부터 좀 손 봐야됨
@WheyBab7 ай бұрын
@@user-ft8ufvt7h 학생은 부모님 사는데 그냥 정착하는거라 하등상관없고 일자리문제가 커요
@EmpireProductions17 ай бұрын
광주도 똑같음. 정당 텃밭 특징.
@user-ft8ufvt7h7 ай бұрын
@@WheyBab 학생 입장에선 부산 인식이 그리 좋아보이진 않겠죠… 워낙 부산교육이 보수적이라 성인일때 굳이 부산에 있을 필요도 없고..
@livingkim53117 ай бұрын
지하철이 많이 생길수록 대체도로와 BRT개통으로 줄어드는 것도 감안해야 된다
@yongng697 ай бұрын
지하철이 있는건 괜찮은데 젊은이들이 경기도로 해외로 대구로 서울로 다 빠져나간다는게 절망적인거지 ㅋㅋㅋㅋㅋ 다 시체가 나와도 빨간색이면 찍어주닌깐 부산이 발전이없는거 일할사람을 뽑아서 발전가능성을 해야도니ㅡㄴ데 ㅋㅋㅋㅋ
@spp92967 ай бұрын
부산은 그래도 캐스팅보트에 가까운 지역인데
@djdhfux37 ай бұрын
대구?@@yongng69
@칭찬해-z1g7 ай бұрын
부모들은 부자인데 자녀들은 일자리가 없어 탈부산 하던지 부자 부모덕에 놀고먹는 사람들 많다고 한다.
@신지수-o2y6 ай бұрын
@@yongng69그것도 말이 안되는 게 빨간색 절대 안뽑는 광주랑 전주도 부산이랑 비슷함. 거기다 부산은 정당 지지 비율이 5.5:4:5 비율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음. 당장 전 시장만 봐도 민주당이었는데. 님 정치 성향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으니까 거짓말까지 섞으면서 선동하진말자… 정치로 볼 게 아니잖아
@김태훈-h6u6w7 ай бұрын
꼭 젊은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가는건 아님 김해 양산 거제 창원으로 많이 빠짐 그거 아니여도 부산 사는 아는 사람들 부산에서 다른곳으로 출퇴근 하는 사람도 있고
@TemeraireRenown5 ай бұрын
여기서 이런 개소리를 하네
@user-byujji9 күн бұрын
@TemeraireRenown통계 보면 팩트인데?
@user-kh9cn8rq3x7 ай бұрын
머지않은 장래에 정말 부산인구가 인천에 따라잡히겠네요. 그땐 부산이 어찌 대응할지. 미리 준비하는게 필요한데.....
@user-iw6ss6ym6c6 ай бұрын
한국사람한테 미리란 없다. 몇몇 기득권들 이익만 계속 보장되면 되는 도시가 특히 경상도란걸 아직 모르는 사람 많은듯.
@leonshim85227 ай бұрын
LG, CJ 등 죄다 부산에 본사가 있었는데 죄다 서울로 가버린게 문제인듯. 삼성 이건희도 초등학교는 부산에서 나왔는데.. 어찌된거냐
@미이하-v6y7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농촌사회라서 영남 호남 등 남부지역 인구가 많았지요
@krauskim76627 ай бұрын
그때야 박정희가 구미-부산 라인에 공장을 죄다 때려 박았으니까
@GreatEmbassy_Seoul7 ай бұрын
그시기에는 지하철이 없었으니 아무상관없는 댓글
@primrose57657 ай бұрын
자갈치, 서면 2000년대 하던짓 보면 정 떨어지지ㅋㅋ
@xvtsusu43097 ай бұрын
21세기에 시대착오적 지역텃세 자부심 꼴뵈기 싫어서 떠난거지 부산살면 무조건 꼴데응원 해야된다 아이가, 우리가 남이가 ㅋㅋㅋㅋㅋ 역겹 ㅋㅋㅋ
@힐드린7 ай бұрын
지금 부산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그런 분위기로 가는 중임 나중에 뭐 어떻게 하려나 모르겠음
@pedric097 ай бұрын
지금 이 나라는 다 뜯어고쳐야함..지자체에서 하는것도 없이 어떻게든 세금 뜯어먹으려고 쓸데없는 정책과 건물 만드는데 돈과 시간 할애하고있음...
@user-qx-p5v7 ай бұрын
인천은 인구가 계속 늘고 있어요.
@htjb10047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Ish3ujj-cm1vs7 ай бұрын
외국인 유튜버 영상 봤는데 서울에 있다가 평일 1박으로 부산에 놀러와서 카페랑 여기저기 돌아다녔는데 바로 뭐랬냐면 여기는 서울이랑 다르게 왜 어딜가도 노인들 밖에 없냐고 하더라 제2의 광역시도시인데....외지인 눈에도 바로 그게 제일 먼저 보였다는 거지..그야말로 노인과 바다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그 외국인 유튜버는 누구고 영상은 어딘가요??
@강푼나-r8z7 ай бұрын
사실임ㅠ
@johanninekim63906 ай бұрын
젊은이들은 다 수도권으로 갔으니..
@댕이일상7 ай бұрын
애궁 유익한정보 항상감사드려요!😊
@인어왕자-m8c7 ай бұрын
BRT개통 이후 부산 지하철 1호선 탑승객들이 확 줄고 대신에 부산 지하철 2,3호선 탑승객이 늘어 난 느낌
@mint75307 ай бұрын
부산 1호선의 마지막 비밀이 드디어! 그나저나 연장이 없다는 것은 상상도 못 했는데.......?
@j6f8j7 ай бұрын
일단 바닷가쪽으로는 갈수없고, 녹산쪽으로 틀기에도 이미 하단녹산선을 그쪽으로 빼는거라 양산쪽으로 중전철 놓는수밖에 없는데 경전철로 가닥 잡은듯요
@chunggakdan7 ай бұрын
@@j6f8j남쪽으론 연장이 불가능하고 남은곳은 북쪽 구간인데 사송을 가는 노선은 이미 경전철로 공사중이고 울산역으로 가는 노선도 경전철로 가닥을 잡고 검토중입니다.
@밤구름-w7u7 ай бұрын
뭔소리? 이미 다대포까지 연장했는데?
@phkair7 ай бұрын
부산 1호선은 BRT와 노선이 거의 겹치는 것이 문제죠. 비슷한 구간을 가는거라면 지하로 내려갔다 다시 올라오고 하는 지하철보다는 버스가 편리합니다. 요즘은 2호선을 이용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는 느낌이네요.
@도쿄타워7 ай бұрын
고향이 부산인데 매우 안타깝네요... 갠적으로 저는 현재 부동산, 정치등으로 인해 무분별한 역과 노선이 생기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합니다... 점점 인구는 줄것인데 적자를 어떻게 해결을 할까요?.... 지금 당장 이득을 위해 후대들에게 짐을 지우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블랙워터-f9h7 ай бұрын
하긴 자꾸 수도권으로 지방 인구 유출이 되는데 이리 되는게 당연하다 보네요 수도권 과밀화의 영향이 이렇게...
@이준희-f8k7 ай бұрын
수도권 과밀화도 맞지만 오히려 625 이후로 부산이 과밀화되었던거라고 봐야죠 평야도 별로 없고 산으로 둘러싸인 곳을 전쟁 때문에 과하게 들이닥쳐 살던 곳이고 이제야 제자리로 돌아가는거죠
@topprospect7 ай бұрын
@@이준희-f8k 이게 맞긴 하죠 하지만 거점개발은 경제성장에 있어서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래도 서울 다음으로 인프라 구축이 잘된 부산과 pk지역을 수도권과 양대 대도시권을 형성하자는거죠 제가 부산사는 대학생인데 애들이 전부다 서울 가고싶어 하고 서울로 갑니다 그 말은 즉슨 서울에서 가정을 차리겠다는건데 지금 서울 아파트 가격으론 애 한명 키우기도 힘든 상황이죠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이준희-f8k지형만 보면 그렇기는 한데, 국토 70%가 산지인 국가에서 서울이라고 딱히 부산보다 특별히 나을 건 없어요. 지자체별 산림율을 비교해보면 서울도 부산이랑 그렇게까지 크게 차이가 나는 편은 아닌데다가 지정학적인 대도시로서는 서울이 아무리 중요해봤자 부산보다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서울은 행정수도로서는 적합하지만 딱 거기까지임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 과연 그럴까요? 서울이 부산보다 훨씬 중요한거 같은데... 전쟁이후로 과밀화된 도시를 재정비 하기를 했나, 도로나 주거공간을 재정비 하기를했나.. 그저 그대로 놔두면서 옆 도시, 옆 동네꺼 뺏겨 빌붙어 사는거잖아요? 그러니 6.25 이후 정상화 되고 부산을 떠나는 사람들이 정말 부산에서 살고 싶어서 떠났으려나요. 미래와 답이 없으니 떠났겠지요.
@와기-n5p7 ай бұрын
@@이준희-f8k 정말 공감합니다. 부산사람들은 이걸 인정을 하지 않으니 더욱 큰 문제지요
@호아-k3m7 ай бұрын
영상잘봤습니다.
@JSH-do5qf7 ай бұрын
이 채널을 보고 있으면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한자성어가 생각남. 철도, 지하철이란 주제를 파고 있으면 우리 대한민국 사회가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 알수 있음
@xvtsusu43097 ай бұрын
서울이나 부산이나 똑같이 인구가 감소한다지만 서울같은 경우 경기도 인천으로 배드타운이 형성되고 그래도 직장은 서울에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자본이 서울권 안에서 돌아가지만 대구 부산같은 경우는 아예 인구부터 수도권으로 유출이 많아서 서울과 대구부산은 케이스부터가 다름
@yj8101047 ай бұрын
부산 지하철의 비밀 마무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씁니다.
@Harenoumi7 ай бұрын
영상에서는 공정한 비교를 위해 다대선 개통 이후에도 다대선 구간의 승객 수를 비교에 반영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2017년 이후 다대선 구간으로부터의 유입 효과도 있어서 노선 전체 승객 수는 코로나 직격탄을 맞기 전까지 계속 증가했습니다. 심지어는 중앙대로 BRT 공사로 도로 혼잡이 극에 달했던 2019년 11월에는 단 1달뿐이기는 했지만 1호선 이용객 수가 2002년 5월 이후 18년 만에 100만 명을 넘기기도 했지요. 개인소득이 증가하면 1인당 통행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영상에서 언급한 대로 네트워크효과도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고령화와 인구감소의 영향이 심해지면 이용객 감소를 피해가기 힘들 것입니다.
@My-Dear7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놀랐음 서울 2호선 라인 대학 다니다가 부산대 대학원 오니까 지하철 공기부터 다름 노포역 방면 지하철 탈때마다 무슨 제기시장역 수준으로 노인만 가득해서.... 이거보고 아 부산은 진짜 노인과바다구나 절감함
부산에서 지하철 타보면 주말에도 어르신이 절반 이상임 1,2호선은 그나마 나은편이고 3호선은 종합운동장, 사직 처럼 젊은 사람들이 자주 가는 지역이 있음에도 젊은 사람들 보다 어르신들이 정말 많음 부산은 위치상 무역, 제조, 교육, 관광 등 특성화 할수 있는 산업이 많았음에도 무역은 그냥 그렇고, 제조는 김해, 양산에 다 빼앗기고, 교육은 온데간데 없고, 관광이 그나마 조금 남아 있는데 갑자기 뜬금없이 금융을 가지고 들어와서 그 좁은 땅에 대규모 금융단지 계획을 세웠음 그 사이 수많은 젊은이들이 일자리가 없어서 먹거리 찾아 다른 지역으로 다 떠나버렸고 현재까지도 이탈이 가장 많은 지역임 영상 내용 중 북구, 사상구, 강서구, 해운대구, 기장군만 인구 감소가 덜 했던 원인도 해운대야 부자동네니까 새로운 비싼 건물을 많이 지어서 그런거고 북구, 사상구, 강서구 모두 김해, 양산과 붙어있음 김해, 양산에 직장을 가진 사람들이 부산 외곽에 걸쳐서 사는것일 뿐 그쪽 동네가 좀 발전하면 당장 이주 할 사람들임 매일 고속도로 타고 출퇴근 하는거 쉽지 않기 때문임. 특히 부산에서. 출생아도 적은데 떠나는 사람 조차 가장 많으니 부산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음 부산국제금융센터2 건물을 올리고 있으나 BIFC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절반이 부산으로 이주 하지 않고 가족들과 생활반경은 서울에 그대로 두고 아빠만 부산에서 일하는 사람들임 이는 BIFC2가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부산의 힘이 얼마나 빠졌는지는 코로나때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는데 코로나가 어느정도 회복 되었을때 인천, 김포는 일본과 항공이 재개 되었으나 김해국제공항은 한참 후에서야 나리타와 비행기가 뜨기 시작했음 부산이 산업, 관광 등으로 국제시대에 필요한 도시였다면 김포와 동시에 김해도 비행기가 날아다녔겠지 한때 제조, 무역, 뽕(?)으로 유명했던 도시는 체질을 바꾸기 위해선 체계적으로 전환 계획이 있었어야 했지만 수십년을 아무 생각 없이 될대로 되겠지 버려둔 정책 때문에 부산에 살고 있는 부산 시민 전체와 앞으로 부산에서 태어날 아기까지 모두 피해자가 되었음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무역이 그냥 그렇다구요??? 부산신항 근처에 한 번도 안 가보신 듯
@dpswpfql147 ай бұрын
2,3호선도 덕천 부근 가면 노인정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굴마왕7 ай бұрын
글을 좀 짧고 간결하게 요약해라 니 지루하고 재미없는 글을 누가 읽냐
@데드제로7 ай бұрын
이정도 길이의 글도 지루하면 책은 어떻게 읽냐 ㅋㅋㅋ@@너굴마왕
@bf_peitho42267 ай бұрын
부산이 고향이지만 부산에서 일하지 못하고있습니다. 왜냐면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갈만한 회사들은 부산에 없고 창원, 울산으로 가야되니까요. 저도 대학졸업하고나서 부산에서 일하며 살고싶었지만, 일할곳이 없어서 인근도시로 나왔습니다. 8:17 계획과 수정만 20년째라는건 지하철만그런게 아니라 도시의 모든 분야가 다 그런상태인것이 부산입니다. 정치적인 발언은 삼가겠지만, 특정 지역구들은 국회의원 선거가 나와도 40년째 공약이 똑같은곳도 많은곳이 부산입니다. 안타깝습니다. 부산은 산, 강, 들, 바다가 모두 다 있는 정말 좋은도시인데 한해 한해 갈수록 도시가 망가져가고있는게 느껴집니다. 부산에 도로 안좋다고 너무 조롱하지는 말아주세요. 전쟁끝나고 기존에 사용했던 길을 정비없이 그냥 살다보니 이렇게 된게 대다수입니다. 부산에서 그렇게 짓고 살다보니 지금의 계획도시들이 만들어진거고요. 아무쪼록 부산 고향 친구분들 힘내세요.
@kmtn4567 ай бұрын
지역별영상감사합니다~~~~~~~~~~
@ithan68077 ай бұрын
노인과 바다.그것보다 잘 표현하는 말이 있을까 싶다.
@jjomin7 ай бұрын
대기업은 고사하고 중견기업도 전멸하다시피 하는데 일자리 유치에는 소극적이면서 기업이 들어올만한 땅이 나올때마다 아파트 짓기에만 급급...젊은이들 잡기위해 노력해도 아쉬울 판국에 저짓거리 하고있으니...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고사하다고 하기에는 삼성전기가 있기는 함
@HJ-dp6nd5 ай бұрын
1편부터 쭉 다 봤어요 너무 흥미롭고 재밌는 영상 감사해요!! 급행열차는 진짜 생겼으면 좋겠는데..😂
@GirumJangeo7 ай бұрын
부산 출신으로서 참 씁쓸함
@원진-k2w7 ай бұрын
8:09 2호선 급행 설명하실때 구명역 구남역 위치가 바뀌어있습니다
@지테TV역사교양지식7 ай бұрын
기존 노선의 급행화를 하는 과정에서 기존 역들의 벽들을 뜯어내고 추가로 땅굴을 파는 것이... 아무래도 사람들이 이용하는 동안 공사를 추진해야 하니 더 어려운 난이도가 될 것 같아요. 뭐 수도권 1호선이야 처음부터 광역 범위의 노선이었으니 그렇다 쳐도, 다른 노선들은 급행이라는 생각을 언젠가 할지 아무도 몰랐으니... 시대의 변화가 이럴 때 "이 노선도 급행을 했으면 좋았을걸" 이런 생각이 나중에 든다는... 뭐 그런 거 있잖아요. ㅠㅠ
@Korail-wx1fy7 ай бұрын
부산1호선은 비수도권에서 최초, 그리고 아마 유일..하게 량수가 증가한 노선이기도 합니다. 원래 6량이었으나 그게 8량이 되었죠. 이는 1990년대의 일입니다. 또한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롤지를 사용했던 노선입니다. 1985년에 개통했으니 그럴 만도 하겠습니다. 2000년대 중반 모두 LED로 교체되었습니다.
@ore25057 ай бұрын
울산과의 연계도 계획되어있으니 조금 지켜볼 필요는 있을듯 합니다 다만 급행화 일환으로 서구나 동구 일대의 역은 시간대에 따라 2호선처럼 무정차로 통과 시키는 시간대가 생기면 효과는 생기지 않을까요
@희햔하네7 ай бұрын
울산도 박살 나는중이예요. 대학교도 광역시치고 2개밖에 없고, 자동차도 모듈화 진행중이고 중공업도 힘 못 쓰고 화학 공단의 장치산업이라 인원도 별로없고...
@hofffnung7 ай бұрын
부산이랑 울산이랑 개멀던데. 메가시티 운운하기엔 거리부터 너무 멈. 태화강-벡스코가 53km 정도고 중간에는 별거 없고. 반면 부전마산은 비슷한 50km라도 해운대부터 해서 부전-사상-김해-창원-마산 이 구간이 거리도 중간중간 인구도 많고 사상터미널, 김해공항, 강서, 장유, 창원, 마산이라 물갈이 잘될 것 같은데, 동해선은 통근전차 넣어주고 이쪽엔 계획이 없는지 의문
@hofffnung7 ай бұрын
@@희햔하네 힘을 쓰고 못쓰고를 떠나서 공단 출퇴근하는 애들은 지하철 잘 안탐. ㅋㅋ
@와기-n5p7 ай бұрын
@@hofffnung 메가시티 부산에서 기획하고 울산, 경남에서 차버린 사업 아닌가요? 지리적으로 너무 멀고 메리트도 없는데 굳이 할 필요가 없죠.
@판다곰-i2v7 ай бұрын
답없습니다 ㅋㅋㅋㅋㅋ
@-rtn00014 ай бұрын
양산1호선은 2년내로 곧 개통할거같고 사상하단선은.....그냥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게 더 빠를거같기도....?
@다마스-t2o7 ай бұрын
저도 부산 살고 직장이 역근처지만 버스로 출퇴근합니다. 버스가 훨씬 더 편해요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버스는 코 앞에서 신호 걸려서 짜증나서 그냥 지하철 이용합니다. 특히 승객들이 늦장 부릴 때마다 짜증납니다.
@ahramnuripark7 ай бұрын
역명 변경중 가장 압권이 부산역 이었는데..영문표기가 PUSAN-YOK이라고 되어 있었던...지금이야 BUSAN STATION이지만..그시기가 기억상으론 영문표기법 개정 시기(2000년초반)였던걸로 기억됩니다.
@강승부사나이7 ай бұрын
나도 부산출신이지만 그냥 일자리가없음. 대기업하나도없고 이렇다할 공기업도 몇없는데 제조업 기업들 유치할 생각안하고 정치하는 놈들 관광도시 만들겠다 헛소리나 하고있으니 젊은 인구가 다빠져나가지. 대구나 광주에 비해 정치색도 많이 옅어진편인데 어느쪽을 뽑아도 똑같음
@반다비-p6z7 ай бұрын
수도권 1호선처럼 대형차량 10량으로 만들면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초코음료수7 ай бұрын
그러면 배차간격을 10분넘게 했겠죠
@프레디-f8d7 ай бұрын
8량도 충분해요
@루이-u8n7 ай бұрын
ㅇㅈ 충분하죠
@jylee20g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ㅎㅎ 평소 KTX(전 창원으로 KTX 산천)와 SRT 소식으로 본 채널을 구독과 좋아요를 한 스포츠 팬입니다 ㅎㅎ 사실 전 연고가 경남권이니 경북권 소식까지 함께 보네요 ㅎㅎ 부산은 저도 노령화 인구가 가장 걱정이네요 ㅠㅠ 창원은 SBRT 버스로 바뀌었는데 비광역시에 현 특례시로 보면 이것도 낭비가 아닌가 싶네요 ㅠㅠ 현재 창원도 인구가 점점 수도권 과밀화가 세네요 ㅠㅠ 각종 기사와 데이터를 통한 교통체계 정리에 감사하며 수고 많으십니다 ㅎㅎ
@나이트메어-e8x7 ай бұрын
창원시민입니다. S-BRT 때문에 창원시민들 불만이 터지기 직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마 정권 바뀌면 특검 시작될거라고 보고 있네요
@heypraise3 ай бұрын
노인 무료 이용도 정도껏 하셔야지 젊은이들 다 서있고 요금만 부담시킴
@블리프7 ай бұрын
1호선 이용객이 줄어드는건 좀 충격이네요
@킹졸7 ай бұрын
근데 비수도권 압도적 1위
@후후냠7 ай бұрын
@@킹졸 돈 안되는 노인네들 뿐임....
@보현조-l6p26 күн бұрын
65세 어르신 지하철무료 승합차도 원인 지허철요금인상도 원인이 있답니다
@ichich-y12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더 이상 도시철도 더 지으면 안 됩니다. 인구가 없는데 시설 유지가 안 됩니다.
@PARK-n1j7 ай бұрын
거기에 비정상으로 싼 운임도 한 몫하죠. 최소로 유지하려면 지금 운임의 3배는 내야 할겁니다
@ichich-y127 ай бұрын
@@PARK-n1j 사실 이용객 입장에서는 부담되지만 맞는 말 입니다. 낮은 운임 > 세금으로 메꾸기 > 근데 저출산 고령화로 세금 부족하면 > 결국 민영화 되던지 폐선 입니다. 아니면 뉴욕처럼 관리가 안 되던지 결국 공공제 도시철도를 지키려면 요금을 더 내야 합니다.
@HYKim-o3n7 ай бұрын
시골에는 더이상 짓지마라
@HYKim-o3n7 ай бұрын
시골에 더이상 짓지마라. 서울인프라나 늘려라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HYKim-o3n대한민국을 더더욱 빨리 멸망의 길로 가속화 시키고 싶으면 그렇게하기를...
@최병택-k9i7 ай бұрын
부산이 다른 도시보다 인구 감소폭이 크군요. 왜 그런지 다음영상에서는 그걸 한번 다뤄 주세요.
@심수용-x5o7 ай бұрын
지방 사람들 상당수가 서울로 떠나가면서, 지방소멸은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이야깃거리입니다. 부산도 예외는 아니네요^^ 부산도 1995년 이후 매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집돌이-d4g7 ай бұрын
특히 1호선이 지나는 지역인 서부산쪽이 인구 감소가 심하죠
@비앙키7 ай бұрын
부산에 거짓말 안하고 대중교통 출퇴근 시간 빼면 젊은 사람 없음 진짜 과장 안하고 90~95%가 노인임. 길에도 젊은 사람들 노는 특정 구역만 빼면 길에 돌아 다녀보면 80~90%가 노인들 밖에 안보임. 또 집 앞이 공원인데 그냥 노인 천지임. 도시 자체가 그냥 죽은 도시 처럼 활기가 없고 칙칙하고 진짜 우울함. 어쩌다가 내 또래의 사람들이 보이면 반갑기 까지 함. 거짓말이나 과장 하나도 안하고 진짜 관심있게 보면 저정도로 심각함. 그냥 도시 자체가 노인들만 모아놓은 도시 라고 생각하면 됨.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그건 평일 기준이구요. 그리고 명지쪽은 젊은 사람들 많을겁니다.
@비앙키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평일 기준이든 어떤 기준이든 그만큼 젊은 사람이 없기 때문에 평일에도 안보이는거. 그리고 명지는 애초에 인간 자체가 많이 없음. 휑함. 젊은 사람은 사직동에 많음. 거기는 아이들 부터 학생들까지 많음. 딱 거기 빼놓고 부산 자체는 그냥 노인 도시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비앙키없다고 하기에는 평일 대낮에도 서면 가까이 갈 수록 전동차 내부도 북적입니다만..
@tall66317 ай бұрын
부산2호선도 해주세요! 아님 인천1호선?
@이현학-v3f7 ай бұрын
비단 부산뿐만 아나라 지방 광역시의 지하철도 서서히 감소 중...
@jaeguncho86387 ай бұрын
부산이 고향이고 결국 돈벌러 상경한 사람으로서 매번 얘기가 나오지만 수도권에 준하는 일거리나 임금 없으면 돌아가고 싶어도 못갈것 같습니다. 몇달에 한번씩 부산 가면 갈 때마다 고향동네에 어르신밖에 안계시는데 아파트만 그렇게 재개발하는지. 지하철도 마찬가지고. 뭐 그렇습니다
@S-moto-77 ай бұрын
아버지 친구분이 퇴직하고 할일 없이 아침부터 무임 승차권으로 동해선 타고 부산 울산 왕복하는게 일상이랍니다. ㅡㅡ 노인들만 남는 부산은 앞으로 답이 없지 싶네요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부산시청앞 공원이 어르신들 핫플이더라구요. 노름부터 버스킹까지 아주 잔치입니다
@shsifjsbzuaj7 ай бұрын
서울도 경기 인천으로 빠진거라 결국은 유동인구는 더 늘었는데 부산은 상황이 다름 경남으로 빠진 인구도 있지만 청년층이 다 수도권으로 가서 갈수록 무료 전철이 되는게 제일 문제임
@chunggakdan7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은 죄다 수도권으로 가고 20년 사이에 부산인근에 장유, 율하, 물금, 정관같은 대단지 신도시가 많이 생겨서 배드타운이 옮겨간거죠. 그러니 시내에 돌아다니는 사람이 없는 것
@@유지-q8r그건 중앙정부에서 서울 중심의 정책들을 펼쳐셔 그런겁니다. 서울은 행정수도로서는 제격이기는 하나, 지정학적으로 대도시로서는 부산보다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하하-j3e7 ай бұрын
아마 인구 감소로 수도권 제외 지방은 다 힘들겠지만 특히 경상도 쪽은 그동안 인프라 깔아 놓은게 많아서 20년 뒤면 아마.... 관리비 엄청 나올듯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20년 뒤면 수도권도 이런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 합니다. 수도권 불패도 출산율이 최소 1초반 이상은 나와줘야 어느정도 의미가 있는 이야기임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그걸 몇십년 전부터 못고치고 있는데;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와기-n5p그러니까 수도권도 예외는 아니라니까 ㅋㅋㅋㅋ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난독증인가 ㅋㅋ 그걸 예전부터 겪고 못고치는 부산을 말하는거잖아 ㅋㅋ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와기-n5p대한민국 전체가 저출산으로 부산과 비슷한 문제를 겪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미중 간 신 냉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음. 현 출산율로는 수도권이라고 해서 이런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이야기인데 이걸 못 알아먹네;;
@성현우-x6l7 ай бұрын
부산 토박이에 대학교 가면서 지하철 타는 학생으로서 느끼는 건데, 할매할배들 ㅈㄴ 시끄럽다. 지네 집 안방이가. 전화 소리 개 크고, 특히 자갈치역에선 생선 비린내 ㅈ된다. 한번은 서면역에서 자기 교회친구 만났다고 바로 앞에 사람 앉으려는데 그 사람 무시하고 바로 앉질 않나. 늙어도 곱게 늙어야지 무슨 개같은 땡깡을 부려대고. 지금 누리는 것들이 다 지금 어르신들의 피땀인건 알겠는데 에티켓은 지켜라 ㄹㅇ. 나이 쳐먹고 부끄럽지도 않은가. 부산인이라는 것에 나름 바다와 함께 자라왔다는 낭만(?), 자부심이 있는데 이런 모습 보면 지하철 들어가기만 하면 스트레스 확 쌓인다. 이제 출산률도 낮아지면 점점 노인만 많아지는데, 이런 개같은 노친네만 많아지면 진짜 문제다. 폐교되는 초등학교를 시니어 스쿨로 바꿔서 에티켓, 전자기기 등 과거의 영광이 아닌 현재에 발맞출 수 있게 재교육이 절실하다고 느낀다. 그렇게 노인들의 인식도 조금 바뀌면 분명 사회 여러 분야에서도 변화가 생길 것 같다.
@omega177787 ай бұрын
안 그래도 사람이 어르신 외엔 거의 없는 고령화가 됨과 동시에 심지어는 이번 해에 요금 인상까지 겹쳐서 3000원으로는 절대로 탈 수 없는 금값 열차가 된 게 참 씁쓸할 따름입니다..
@PARK-n1j7 ай бұрын
그게 왜 금값이죠??? 비정상적으로 싼게 문제 아닌가요????
@sjskeggf83547 ай бұрын
무슨 금이 그렇게 쌈? ㅋㅋㅋ
@colt70577 ай бұрын
@@sjskeggf8354 ㅋㅋㅋㅋㅋㅋㅋㅋ
@김정열金廷烈-l6p7 ай бұрын
수인분당선에도 "개포동" 이라는 역이 있는데 이것도 "동"자를 넣은 경우입니다. 일괄성없이 마음대로 넣다 뺐다가 진행된것입니다.
@gurorapid7 ай бұрын
보통 코레일은 일반철도역 포함해서 중복되면 역명을 다르게 하는데요 경북선에 개포역이 있어 개포동이라 한것으로 보입니다 평촌역이 원래 벌말역이었던것도 마찬가지이구요. 사실 여기에 소개한 제기동 신설동 등 서울지하철과 코레일은 역명 정하는 주체가 다르기도 합니다😀
@김정열金廷烈-l6p7 ай бұрын
@@gurorapid 경북선에 개포역이라고 있는가 보군요. 저는 새삼 개포동역이라고 해서 왜 동을 붙였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30303-c7 ай бұрын
부산 인구가 줄어드니까 1호선 이용객들도 줄어드네요. 어르신들이 많이 타네요.
@제임스본드3세7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tui3ksgk2yxh7 ай бұрын
부산도 서울도 도심에서 외곽 변두리로 인구가 이동했네요
@디안-d3s7 ай бұрын
부산가서 지하철 타보고 딱 느낀게 노인들 밖에 없다 였는데 진짜였구나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출퇴근 시간에도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네 그렇더라구요. 시청앞 공원은 그냥 어르신들 잔치 공원이던데요?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와기-n5p그렇다고 대답하는거보니까 한 번도 이용해본 적 없는 사람이구나...
@또치-g3t7 ай бұрын
역명 관련, 처음 1호선 개통 당시 일괄적으로 '동'자를 붙였다기 보다는, 실제 시민들이 부르는 지명을 역명으로 지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양정역이나 초량역은 초기 개통 당시 '동'자가 붙지 않았죠(이후 초량역은 초량동역으로 개명했다가 일괄적으로 '동'삭제 시기에 초량역으로 돌아왔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부산 사람들이 실제로 양정동을 지칭할 때 '양정동' 이라고 안하고 '양정'이라고 하거든요. 초량도 마찬가지 (ex 내 양정 산다, 부산역은 초량에 있다 아이가) 반면 다른 역명 지명은 보통 동을 붙여서 지칭합니다. (ex 연산동에서 만나자, 남포동 가자, 토성동에 있는 부산대학병원) 신평 연장 때부터 '동'자를 안붙였다기 보다는, 그 동네 지명(신평, 하단, 당리, 괴정)은 사람들이 보통 '동'을 안붙이고 말해요.
확실히 부산 1호선 타면 어르신들만 가득임. 서울 경기 1호선하곤 차원이 다른 고령화 도시임..
@Ray-ny3cn7 ай бұрын
인구감소가 문제가 아니고 부산지하철 노선 자체가 문제가 많음. 해운대 살고 주로 가는역이 초량이나 부산대역인데 이게 지하철로 가기 넘나힘듬. 차로 가는거랑 시간이 2-3배 차이남. 부산은 서울에 비해 차도 덜 막히고 주차할 곳도 많아서 차가 있는 사람은 구지 지하철을 이용하려고 하지 않음. (서울은 차 있어도 지하철 필수) 중고딩들이 간다고 해도 출퇴근 시간 아니면 그냥 대려다주고 말지 20분거리를 3번 경유해서 1시간넘게 가야함
@kimseongil--74497 ай бұрын
노인과 바다로 불리는 부산에 새로 철도가 생기기엔 정말 어려울것 같습니다.
@sower377 ай бұрын
일단 부산에서 새 철도 노선이 생길 구간 자체가 별로 없음... 지금 계획안도 대부분 부산이 아니라 김해 양산 울산이랑 연계하는 광역전철계통.
@2003년1월생7 ай бұрын
강서구에 하나도 없긴함 강서구가 인구가 유일하게 인구가 유지증가되는데
@정훈이의생물7 ай бұрын
부산 5호선 공사중이긴 합니다.
@wlxsud7 ай бұрын
급행열차 얼른 시행됐으면 좋겠네요...
@초코음료수7 ай бұрын
부산에는 왜 순환선계획이 없나요?
@gurorapid7 ай бұрын
도시 구조가 한쪽이 바닷가인데 순환선을 놓긴 힘든 구조 아닐까요? 사실 3호선이 순환선은 아니지만 그 역할을 한다 볼 수는 있죠.
@helloh4257 ай бұрын
하단 남포 서면 광안 해운대까지 도시구조가 일자구조입니다 ㅎㅎ
@프레디-f8d7 ай бұрын
순환선은 대구같은 곳에 있어야 좋을 듯요.
@AllOfem7 ай бұрын
*"산"*
@eunhalee72017 ай бұрын
내륙이 아닌 해안가라서 순환선 건설이 불가능합니다
@은하수-s4q7i7 ай бұрын
예전엔 서면 남포동이 젊은이들이 모이는 곳이 였다면 시대의 흐름에 여러곳에 분산된 젊은이들의 모임 장소가 있어 큰 영향이 있을것 같네. 그리고 날이 갈수록 자동차가 엄청 많아졌다.
@후후냠7 ай бұрын
이래서 노인네들 정치를 못하게 해야함.....현실 파악을 못함.....
@느린곰-d9t7 ай бұрын
고향이 부산이라 부모님 다 돌아가시고 저번 주 4년만에 가보니 야 토요일 인데도 서면 포장마차 촌 사람 많이 없음 정말 쇠락해 가는게 느껴짐
부산은 시민 스스로 자초한거라고 봐야지 일안하고 4년 내내 쳐 놀면서 국민세금으로 억대 연봉이나 챙겨가는 놈들을 교체 할 생각은 안하고 묻지마 찍어주니 일 하겠냐고 그냥 쳐 놀아도 4년 뒤에 또 찍어주는데 어떤 국회의원이 일 하겠냐고 그러니 시장이라는 인간은 기업이나 공장 유치는 커녕 오페라 하우스 같은 희대의 개삽질이나 하면서 해외나 놀러다니지 부산은 사실상 끝났다 왜냐면 노인들만 남았거든 노인들 투표때 마다 몰표 주는거 감안하면 부산은 회생 불능이다
@이자용-d1f7 ай бұрын
앞으로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할 텐데, 천문학적인 돈으로 GTX, 신규 지하철 계속 짓는 거 보면 답답할 뿐이다.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사용해야할 돈을 엉뚱한 곳에 낭비하는 느낌이다.
@user-pv9559toto7 ай бұрын
부산은 출장으로도 가 보고, 코로나때 여행하러 여러번 가 보면서 느낀거지만 안타깝게도 태생적으로 너무 지형이 안좋고, 이를 발전시키는 도시계획도 엉망인데 그 동네 정치인 행정가도 인허가 비리에 물들다보니 보니 결국 바다를 낀 낡은 베드타운 지방도시로 전락해버린듯 합니다. 장기적인 인사이트를 가지고 리모델링을 했다면 송도까지는 아니었어도 특색있는 항만도시로 발전될 수 있었을거 같은데, 이젠 오션뷰 초고층 아파트 장사나 하는 동네로 전락한 느낌입니다.... 저 해운대 마천루들 이제 30~40년 지나면 다 흉물될텐데 나중에 어케 될런지 궁금하네요 ㅋ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그럼 뉴욕, 홍콩에 있는 마천루들도 흉물인가요??? 게다가 뉴욕은 이미 오래 전 부터 대도시였는데 님 말대로면 송도도 세월이 흐르면 흉물되는건데요 ㅋㅋㅋ
@user-pv9559toto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송도와 부산의 차이점은 마천루가 아니라 기업과 국제학교 유치죠.... 서울로의 교통이 불편함에도 일자리, 교육요건에 지속적인 신규 아파트 공급을 통해서 매력도를 높이니 모래만 날리던 황무지가 이만큼 자리를 잡은겁니다. (포스코그룹이 일괄 주도적으로 버티고 개발 역할을 한것도 크다고 생각함) 반면에 부산엔 거주용 주상복합에 고작 들어와봐야 호텔? 레지던스? 전망대? 이게 도시의 자생력을 가지는 역할이 될까요?
@user-pv9559toto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뉴욕과 홍콩은 낡은 도시지만, 그 도시들은 금융과 문화의 중심지였기에 발전했던 도시였죠. 중국으로 반환되어 예전의 아시아의 자유금융도시로서 매력을 잃은 홍콩이 지금 어떻게 쇠락해가는지 보면 알수있지 않나요? 이미 중심은 싱가폴이나 도쿄로 다 넘어간 추세죠. 우리는 찌끄레기도 못받아먹고 있고요.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user-pv9559toto송도에도 마천루들이 있고, "시간이 지나면 흉물" 이러기에 한 소리인데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시네요. 시간이 지난다고 해도 보존 자체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명물은 명물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광안대교도 세월이 흐르면 흉물이어야 맞지요.
@user-pv9559toto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아 마천루 얘기 하신거면, 뉴욕 보시면 이미 100년 넘은 건물들 리노베이션 하고 있죠. 근데 대부분 철콘 건물들에 사무용이라 투자사들이 리노베이션해서 매각하거나 임대수익으로 회수가 가능하죠. 반면 홍콩의 초고증 아파트들은 점점 노후화되고 가격도 살인적인데 대체거주지를 찾기 불가능해서 내부 인테리어 리모델링 말곤 변경이 불가능해서 점점 슬럼화 되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홍콩 고층아파트 검색만 해보셔도 많이 보실수 있어요. 관짝집 닭장집 이런게 설마 부산에서 나오진 않겠지만, 건물이 낡고 동네가 매력을 잃은 이후에는 아예 슬럼화 되겠지요.... 과거의 구룡성채, 최근의 충킹맨셩 같이.... (영도나 구시가지 언덕배기만 가도 이미 폐가가 넘쳐나고 있던데요)
@산비가락7 ай бұрын
지금 1호선 어르신들이 20대때 1호선 젊은이들 이다...자연스럽게 흐르는 시간은 인간도 변화시키고 지역도 나라도 변화시키는것은 당연한 이치~
@gamza1237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참 뭔가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이용객이라고 하면 "유료" 이용객을 말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무상"으로 탑승하는 인원도 포함되는 인원일까요? 실제로 체감적으로는 10년전보다 지금의 부산지하철이 더 빡빡하고, 사람많고, 만원지하철이라고 느낀적인 한두번이 아니라서.. "아 사람들이 지하철을 참 많이 이용하구나"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용객 감소폭이 컸군요.
@gurorapid7 ай бұрын
네 모두 다 포함한 수치입니다~
@tepaniseo56997 ай бұрын
부산 울산 창원 지방대도시도 수도권으로 인구유출은 피할수 없음. 예를들어 울산에서 취업연령대 청년이 5만명이라면 현대계열사나 하청업체 그리고 정유업계 좋은직장에 들어갈수 있는 인원이 많아야 2천명 될까 모르겠네요. 대졸 고소득직은 얼마 안될거고 그중에서 제조업이다보니 여성젊은이들은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대부분이 다 빠져나갈거 같습니다. 평균소득이 높다는 울산마져 청년층의 유출이 계속되는데 부산은 더 심각할듯. 지방인구감소는 불가피한 시대흐름이라고 봅니다.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불가피한 시대 흐름이 아니라 가피한 시대 흐름입니다. 미국 중국을 보면 지방에 있는 대도시가 행정수도보다 큰 사례가 있습니다.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자본이 모이지 않는데 어떻게 가피해;; 지금도 부산에서 경남으로 다 일하러 매일같이 나가잖아
팩트는 부산 청년들이 부산에는 일자리가 없어 양산 김해로 출퇴근 했지만, 신도시가 생기고 아파트가 많이 생겨서 거기서 정착 해버림. 그리고 사회 초년생들은 일자리 찾으로 서울로 가버리고. 탈 부산 가속화
@OO-zm4qm7 ай бұрын
부산에 30년 가까이 살고 있습니다. 일자리가 없어요 진짜 너무 심함 그나마 쓰레기 같은 일자리라도 얻을려면 김해나 양산으로 나가야 합니다. 그나마 양질의 일자리 얻을려면 거제나 창원쪽으로 가야 합니다. 부산이 살아날려면......뜬금포지만 엘시티 관계자들을 날려야 합니다 부산의 암같은 존재들을 없애지 않는한 부산의 미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산에 재계발재건축 하는곳이 100군데가 넘는데 왜 그런지는 다 이유가 있죠
@정우-u7h7 ай бұрын
아무리 봐도 부산은 지방자치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heejinpark95266 ай бұрын
지난 달에 부산 다녀왔는데 1, 3호선은 확실히 나이든 분들이 많고, 2호선에는 젊은 사람들이 꽤 보이더라고요
@흔적-r8d7 ай бұрын
수도권보다 비싼 부산 요금 대책이 필요함
@user-iw6ss6ym6c6 ай бұрын
2찍 열심히 했고 앞으로도 열심히 할거니까 선택했으니 그냥 받아들이고 감수하고 살면됨. 아 ~앞으로 기회봐서 진보탓으로 돌리면됨.
@evaggongchi7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쏠리는 가장 큰 이유가 예체능, 예술 쪽이기 때문인 것 같음.. 부산에 방송국이랑 메이져 엔터테인먼트 회사 유치할려고 해봐라
@HDC-gg1ph5 ай бұрын
ㅇㅇ ktx 생기고 지역 간 왕래가 잦아지면서 지방 사람들이 서울 인프라(문화, 의료 등)를 직접 체험하면서 격차 느끼게 된게 크다고 봄. 일자리 같은 문제도 있지만, 기차타고 가서 직접 체험하면 눈 뒤집어지거든.
@theghst51477 ай бұрын
부산1호선이 알짜구간들은 쌈뽕하게 잘 다니던데
@초코음료수7 ай бұрын
유일한약점은 해운대신시가지를 안가는거
@user-generated51237 ай бұрын
@@초코음료수 거기까지 지나면 너무 혼잡하죠
@정훈이의생물7 ай бұрын
@@초코음료수 1호선 노선 짜던 70년대엔 해운대 개발은 장기계획이었고, 1호선이 거길 가려면 선형이 매우 불량해집니다.
@mjk63737 ай бұрын
2호선이 지나가는곳@@초코음료수
@djfdmadi7 ай бұрын
@@초코음료수 부산사람 입장에선 해운대 갈 일 ㅈ도없긴 함.
@jhh79337 ай бұрын
인구 감소도 감소지만 1호선 주변 지역들의 유동 인구 감소가 가장 결정적일 겁니다 부산의 중심이 서면과 광복동에서 해운대와 광안리로 옮겨간 영향이 가장 큼 서울 6호선이 인기 없는거랑 비슷한 이유죠
@나이트메어-e8x7 ай бұрын
부산의 최대 단점 첫번째 대기업이 없다. 두번째 행정관료 중에 매크로 매니저 스타일이 없다.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삼성전기:예???
@와기-n5p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삼성전기가 뭐죠???????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와기-n5p모르면 검색이라도 해보세요. 검색도 할 줄 모르나???
@구름산책-t4b7 ай бұрын
노인들에게도 비용을 받았으면 좋겠어요. 저도 내고싶습니다.
@정재학-x2s7 ай бұрын
역쟁이님 수원발ktx 랑 수원-평택쪽 고속선 공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관련 영상 만들어주시길 기대할게요 ㅎㅎ
@twinkleyelll7 ай бұрын
탑승객 수가 줄면 그만큼 여유도 생기고, 앉아 갈수 있으니 좋죠. 긍정 마인드를 가집시다.
@퇘깽이7 ай бұрын
그럴 수밖에 없는 게 1호선이 지나가는 곳들 보면 사람들이 선호하는 동네가 몇 없음 대략 구서에서 부전 정도 빼면 전부 기피 주거 지역임 상대적으로 2,3호선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을 지나가고
@붕어빵-c5w7 ай бұрын
본인 뇌피셜이죠?? 2호선도 해운대, 광안리, 사상 정도 빼고는 딱히 1호선 연선 지역들보다 크게 나을 것도 없고 3호선도 수영 정도만 겨우 건질만한 입지입니다.
@hofffnung7 ай бұрын
@@붕어빵-c5w 화명은 괜찮지 않나? 물론 2호선도 동부산(해수동) 아닌 구간이 많기 때문에 뇌피셜 맞긴 함 ㅋㅋㅋ 그보다는 2호선 서부구간은 김해나 양산발 유입수요 때문일듯 하고, 1호선 남쪽 구간은 기껏해야 거제에서 들어오는 수요인데 김해 양산에 비하면 새발의 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