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은 1기신도시재건축 기대감으로 30년된 구축아파트들 집값이 떨어지지않고 잘 버티고 있죠…하지만 그 기대감에 의해 호가만 유지될 뿐 고가인식에 거래는 바닥입니다. 이번 총선 지나고 현 재건축, 특히 분담금의 현실에 사람들이 눈을 뜰 무렵 분당 구축아파트들의 가격이 버틸 수 있을지…
@annamber072110 ай бұрын
진심 공감합니다. 국민들을 왜 아사리판에 밀어넣고 있는지……들어간다고 해도 말리거나 안전한 대책을 만들어야 할 정부가….
@만물의아이콘9 ай бұрын
총선때문이겠죠!!
@lliiiiliiiill10 ай бұрын
이런 고퀄 얘기를 해주는 유튜버는 몇 없는듯 자본에 휘둘리지않고 할말 해주는 채부심 넘 감사해요 진짜 국토부 장관감이다!!
@크리티크-z2p10 ай бұрын
이분이 장관한다고 해서 되는 일도 없다 왜냐구? 우리나라는 패거리들이 지배하고 있으니까 패거리가 뭐냐고? 패거리라는 숨은 조직이 있다 이 작자들은 국가가 없다 따라서 국민도 없디 다만 자기네 패거리들의 이익만 있다 패거리의 대표격이 바로 조중동, 대형교회... 아주 많아 대학교도 있지
@awesomy10 ай бұрын
헌집 주면 새집 받는 것은 두꺼비 뿐 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인정해야 함. 새집에 살고 싶으면 당연히 돈을 내야지.
@바람처럼바람처럼-u7g10 ай бұрын
정당한 값을 내면 누가 뭐라나? 입주민인 국민을 사기쳐서 등 쳐먹으니 문제가 된다. 나라의 수명이 다 되어 간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까? 건교부 장관은 응답하라
@바람처럼바람처럼-u7g10 ай бұрын
재건축을 압주민이 일아사 할 문제다. 나머지는 시장원리인 순리에 따라하면 된다. 미친놈들이 대통령 선거 공약 시항으로 만들었다. 사유재산권 침해가 아닌가? 놀부가 제비다리 부질러서 복받으려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대통령 당선자는 답하라!
@user-gu1jz1zn9d10 ай бұрын
공짜로 새집을 받는 것이 아닙니다. 땅을 내주고 새집을 받는겁니다. 재건축전에 내 아파트의 땅(대지지분)이 20평이었다면 재건축후에 새집을 받는 대신 땅(대지지분)이 10평으로 줄어드는거죠. 공짜로 새집을 받는것이 아니라 내 땅 10평을 주고 새집을 받는겁니다. 서울 땅이 평당 약 5천만원 이상하니까 약 5억이상을 주고 새집을 받는것이죠. 이걸 공짜로 새집을 받는다고 착각하면 안됩니다.
@Jdhvvtufhhzbamwkfb10 ай бұрын
그럼 똑바로라도 짓던가 ㅋㅋㅋㅋ
@arankang9 ай бұрын
... 내 집은 뺏지는 말아야지 ㅋ 정부가 강제로 30퍼 뜯어가서 같이 지으라고하고(의무 기부) 어찌저찌 지어내면 지어냈으니까 새삥이니 삥 (돈ㅡ재초환)뜯어가겠다고 하니까 될리가 있나 ㅋㅋㅋㅋㅋㅋ
@김주희-i4p10 ай бұрын
관료로서의 자세. 국민들이 바라는바입니다. 채부심응원합니다! 미국금리인상에 맞춰 금리를 올리지 않아서 원가상승이 가중된것이 아닌가요? 집값을 내리지 않고 인플레인션은 모든 상황을 서민들이 부담하는 것이 아닌지요.
@user-lq2pl2le9k10 ай бұрын
헌집 부수고 새집 지려면 내돈을 내는게 당연하지 언제까지 남의 돈으로 할 수 있을까요
@kyungwonkim436310 ай бұрын
노도강이 젊은층 매수가 많았던 이유는 서울안에 노도강 말고는 살 수 있는 지역이 없었기 때문인듯. 갭으로 사는것보다 걍 들어가는 경우도 많았고.. 비슷한 곳으로는 광명 하안 등..
@margegunderson91219 ай бұрын
카페에서 지속적으로 펌핑했음
@mundle3214 ай бұрын
노도강이 뭐에요? 노원 도봉 광진이야 강동이야???
@White-px1vb3 ай бұрын
@@mundle321 강서
@정원-x6e10 ай бұрын
채대표님 비판에 적극 동의합니다 민생을 돌보는 정책이 전혀 나오지 않고 있는 현재 답답한 맘이 크네요
@김정숙-z5t3j10 ай бұрын
정확한 통찰력과 인싸이트 넘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방송 보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와 의견 부탁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seohyeon_siha10 ай бұрын
언제나 잘 정리해서 설명해 주셔서 큰 도움 받습니다. 마인드가 참 훌륭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지니-m9x5x10 ай бұрын
자기 분야에서 진짜 공부 열심히 하시는 분 대단합니다
@맛쪼미10 ай бұрын
그 pd수첩인가 몸테크 한다고 부산에 25년된거 친구셋이서 한채씩 산거 생각나네요 ㄷㄷ 그때 버블 절정인데 서로영끌누가더 많이했나 자랑하고 몇억벌었다고 했었는데 근황 ㄹㅇ궁금함
@vldlxh10 ай бұрын
잘살고있으
@정지운-z4j10 ай бұрын
25년이면 새집이죠 머
@니다므그라10 ай бұрын
바닷물 아직 찰텐데...
@정의의최우선은공정10 ай бұрын
@@vldlxh잘살던 못살던 돈 날린건 확실
@heureux612710 ай бұрын
부산이면 좀 그러네
@gracefirst559710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이 맞아요~영리 부동산을 운영하는 유트브들이 영향력을 준겁니다~한참 상계동 분석하는걸 유트브로 보고있는데 뉴스에서 상계동 오른다는 뉴스가 나오더라구요~
@박혜숙-s2p10 ай бұрын
정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pj4kn10 ай бұрын
유익한 컨텐츠 감사합니자
@uljunge10 ай бұрын
정말 중요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Nikkkeair10 ай бұрын
태영 거래정지 4월 부도위기설 시작이군요
@오이히히히10 ай бұрын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yellowking365 ай бұрын
재건축 잘못했다가 알거지되는 조합원들이 생겨나고 있군요 실제 지방에서는 경매에 넘어간 사례가 있어서 재건축 심사숙고 해야 할것 같군요
@dohyunkim365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aeboosim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당
@kereracumulus422310 ай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Cena052410 ай бұрын
장기간 유지보수 가능한 기둥식 구조에 용적률 혜택 주는 식으로 인센티브 구조를 바꿔가야죠
@uncertaintyintheworld56910 ай бұрын
나라가 미쳐 돌아가죠… 의식주에서 식과 주가 온나라 난리네요. 사과 먹기 어렵고, 전세 사기에 재건축/재개발 밀고 당기기로 나라가 시끄럽네요. 수축 사회로 파이가 줄어드니 이제 인간의 본성이 나오는거 아닌가 걱정 스럽습니다.
@seonghocheong904610 ай бұрын
국공립 건설공단 같은거 만들어 해외에서 기능인력수입하되 현지에서 oda로 기술훈련시켜 시험쳐서 수준올라온 노동자수입해 노임단가 낮추고 철근 시멘트 조달단가는 물량을 엄청시리 확보해 장기고정가격으로 단가를 낮출 여지가 있는지 연구좀 하는 등등... 주택 건설 분야는 딴거와 달리 공공이 담당해야
@Fullwaters10 ай бұрын
와 여태까지 봤던 재건축 이슈 다룬 유튜버 영상들 중에 단연 최고입니다👍🏻👍🏻 사실 예전엔 이해하기 어려워서 대충 보고 넘어갔었던 내용들인데 이 영상 보고 완전 이해됐어요. 솔루션 제안까지 갓벽🎉
@진후이-q8e10 ай бұрын
권력자 정치인을 꿈꾸는 자들이 국민과 국가를 위하는척하지만 돈과 권력의 맛을 보면 탐욕의 노예가 되기 때문입니다. 입으로는 국민 국민하지만 국가의 미래나 서민의 어려운 삶보다는 자신과 일족의 호위호식을 위하여 끝없는 욕심을 채우기 때문에 대한민국이 이 모양 이꼴이지요. 로또만큼 어려운 좋은 권력자와 정치인 뽑기. 많이 공부하고 생각한 다음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지연용10 ай бұрын
멋있다. ❤❤
@yoon611810 ай бұрын
국토부누 건설사를 구해주자는거죠..본질적 기능을 도외시하고요 그들에게 주거안정따위의 생각은 없답니다..나중에 퇴직하고 그쪽으로 가니까요
@김선덕-h6g9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오쁘루10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궁금함인데 재건축을 조합에서 진행하다가 이권 다툼으로 문제가 생겨 뺏기게 될경우 왜 정부에서 도와줘야하는건가요~?
@user-vv4oz4ud9q10 ай бұрын
재건축 사업장이 너무 많아서 건설사들이 베짱 장사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죠. 공사비 가이드도 없으니 건설사들만 신난 상황입니다. 장모부터 해서 온갖 건설 카르텔과 엮여 있으니까 이걸로 큰 돈 땡기려는 것 같은데 비리 사업장들 전부 폭삭 망해 버리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soul1825010 ай бұрын
총선용 그 이상 이하도 아님.
@MrSimultr10 ай бұрын
궁금해 죽겠는게 있어요.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분양가와 재건축 분담금을 비교하면 이해가 안되요. 지방아파트 철근, 시멘트는 싸구려싸구려 자재일까요? 재건축 자재는 금테라도 두른걸까요? 지방 분양은 싸지만 땅까지 사야하는데... 있는땅에 재건축은 왜 2배 3배 4배까지 비싸게 건축비가 요구될까요?
@숲속정원-z4q10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무진장-w9d10 ай бұрын
양아치 사기판 ....나라 법 정부가 있기는 한가....??개판이여.....양심있는 지식인들이여 깨어 일어나라.......
@user-il6yd7uj1s10 ай бұрын
부동산으로 현정부 욕하는건 양심 디졌나
@엣헴-d8c10 ай бұрын
@bigoneman402댓글 보니까 정치병인거 같은데 양심좀 가져라!
@user-il6yd7uj1s10 ай бұрын
@bigoneman402 조선족주제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신천지 이러네
@user-il6yd7uj1s10 ай бұрын
@bigoneman402 '무주택거지'
@뿌셔뿌셔갈비맛9 ай бұрын
@@user-il6yd7uj1s고속도로 게이트가 있었잖냐? 돌인가?
@구민영-t2r10 ай бұрын
건설사가 아주 깡패네요~~ 칼만 안들었지 그동안 돈 많이 벌어놓고 또 공사비증액 배째라하니... 글구 정부에서 재건축하라고 규제 풀어주면 뭐합니까? 잘사는 동네 강남도 분담금에 난리인데 서민이 사는 대부분의 30년 노후아파트는 재건축은 그림의 떡이고 한다해도 내재산 빼앗기고 사지에 모는 행위입니다 재건축 안하기 운동이라도 해야할 판이네요 정부는 서민을 위한다지만 결국은 건설마피아 만들고 있는 중이네요 어디 무서워서 재건축 하겠습니까?
@think.about.nothing10 ай бұрын
건설사는 망하기 직전입니다. 주가만봐도..
@uncertaintyintheworld56910 ай бұрын
결국 슬럼화가되고 자산 가치가 떨어져야 재건축 재개발이 가능한 시점이 됐네요. 결국 대한민국 욕망의 화로인 부동산 폭발이 일어나야 모두들 제정신으로 돌아올듯…
@여리여리-w2k10 ай бұрын
근거나 갖고 말하세요~~ 건설사 이익율 낮은 사업인데 지어주면 고맙게 생각해야지
@구민영-t2r10 ай бұрын
@@여리여리-w2k 내 아는 지인 두분 입니다 한분은 ㅇㅇ건설사 임원 한분은 단종회사 철근 사장 또 우리 친척 한분 현장소장 그분들이 하는 말입니다 철근으로 돈 남긴다 들었고 인건비 또한 남긴다 들었습니다 다른건 모르겠는데 적어도 2군데해서 실제 사용하는 것보다 적게 들여 돈 남깁니다 그리고 건설사가 얼마 안남긴다면 원가공개를 하면 됩니다 그것도 못하면서 배째라고 공사비 마구마구 올립니까? 얼마나 좋은 자재를 쓰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좋은 내부 자재비도 2010년도 초반에 지은 건물들만 해당사항이지 요즘 지은 건물들은 보기에 그럴듯하지만 예전보다 못하다고 임원이 말합디다 지어주는게 고맙다구요? 누구를 위해서 고맙다 할까요? 건설사 배불려줘서요? 서민들은 겨우 아파트 1채가 다입니다 재건축 하면 너무 좋겠지만 그렇다고 요즘처럼 부르는게 값인 건설사에게 재산 뺏기며 힘들게 살봐엔 안하는게 맞는거고 건설사들은 깡패가 맞습니다
@kjysn210 ай бұрын
누가 강제로 재건축 하랍니까? 다 자기 욕심으로하는거지. 욕심은 성인이 오셔도 중재 안되는거 다 알면서 정부라고 개인욕심을 어쩝니까?
@코코-d2x10 ай бұрын
유익합니다!!!
@swingtrader-jx4gy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모든 면에서 붕괴되고 있는 요즘이네요 ㄷㄷ
@고통과권태사이10 ай бұрын
빨리 성장한만큼 잘못된 과정이 많았으니까요
@user-zjaqoe58tjsxbvr910 ай бұрын
1. 나랏일 하는 분들의 정책 방향성을 도무지 모르겠다. -> 단순히 비꼬는 말이 아니라, 진지하게 그들은 정말로 아무 생각이 없음. 2. 현 정부가 주구장창 재건축을 미는 이유? -> 부동산 경기 부스팅 하기에 가장 확실하고 좋은 수단이라고 생각함. 공사비 증액 이슈 같은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든 꾸역꾸역 해결될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음. 3. 이러한 모든 정책 방향의 기조는 현재 대한민국의 초기득권 계층 모두에게 이해타산이 아주 잘 맞음. 10년 후의 미래에 대한 리스크 이런 건 생각조차 않고 생각하기도 머리 아픔.
@shihtzu486cor10 ай бұрын
아 머리가 너무 깔끔해졌다.... 구렛나루가 아이덴티티였는데
@치킨-d7q10 ай бұрын
감사함다
@joyj886110 ай бұрын
채부심 국토부장관 대환영!!!
@blackjoy31510 ай бұрын
받고 대통령 가즈아~!!
@호기심-s5y10 ай бұрын
채부심님 제가 하고 싶은말 속시윈히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elfonicthe10 ай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ppanghj10 ай бұрын
진짜 유익하다 최고…❤ 업로드 주기도 미쳤어요 감사합니다 🫶🏻
@sjs070110 ай бұрын
커뮤니티 바람잡이 상시 상주하고 있어요.
@choseungyubbehappy10 ай бұрын
지금 정비사업이 진짜 난리도 아닌데 지자체 정부 다 진짜 방관입니다. 하지만 심각성이 메인미디어에는 잘 안나오네요
@Greed-o9j8 ай бұрын
좋은얘기 잘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정부가 나서서 갈등을 조정해야한다는 의견에는 동의를 할수가 없네요. 조합이나 시공사나 본인들 욕심에 쩔어서 집값 올리는데 그렇게 혈안이 되면서 시장의 논리 앞세우면서 정부는 개입하지말라고 할때는 언제더니 서로 죽을것 같으니 이제와서 손바닥 뒤집으며 정부가 개입해서 조정해라? 웃기지도 않네요 그냥 둘다 잘 가세요. 정부가 개입하면 결국은 또 지원책이니 뭐니 피같은 세금 소진될텐데 절대 동의 못합니다
@김깽-f9n10 ай бұрын
노원은 보통 상계동 재건축기대가 더 컸던거같아요. 상계주공8단지 5층짜리 2억하던게 포레나로 주변에서 혼자 새아파트로 바뀌더니 30평대가 호가가 17억까지도 갔던거같아요.(물론 호가지만,, 포레나 근처 대형평수 사람으로서 이지역에 이 평수를 이 가격에 여기를...? 생각이 들정도로 비정상 2만프로로 생각했었습니다. 물론 새아파트지만) 이런 신화를 눈으로 보니 다들 재건축에 들뜨면서 30대가 특히 투자많이한거같아요. 대부분 주공사는 제친구들도 '우리단지 재건축되는거 아니냐' 에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옆에 민간아파트 사시는 주변 어른들은 '저거 통과도 아니고 이제시작이고 최소10년은 넘게걸릴텐대'라는 의견들이 넘쳤었죠. 저희세대는 재건축이라는걸 제대로 못겪어보면서 무조건 빨리 저렇게 8단지처란되겠지란 생각으로 영끌족이 많은듯요ㅡ 상계동은
@행복하세요여러분-x3y10 ай бұрын
재건축,재개발 기대하고 투자했다간 인생 나가리... 이제는 신도시 신축 역세권이 답이다
@voo600210 ай бұрын
초고가 강남지역은 민간이 하고 그 이하 지역들은 차근차근 규제를 풀면서 순차적으로 공공이 들어가서 공급해야 됩니다. 지금 정부가 정말 문제인게 차라리 분담금 덜 드는 리모델링이라도 하라고 밀어주면 알아서 중저가는 교통정리가 될텐데 그 길 틀어막고 몇억씩 내서 재건축하라고만 강요하고 있죠. 리모델링 하면 인근 신축 가격 생각하면 해볼만 한데 재건축 하면 불가능하니까 조합끼리 다툼만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민관합작을 말씀하시는데 그 말이 맞습니다. 중저가 지역 구축 소유주들은 그 길 밖에 없거든요. 정말로 공급을 시키고 싶다면 차라리 공공이 정당하게 비용을 지불하고 안전하고 빠르게 건축한 다음 공공 임대든 분양이든 자기들이 기여한 만큼 해서 공급에 앞장서면 되는겁니다. 앞으로 노후단지가 계속 나오면 정부는 선택지가 없죠.
@쏠이-b7z9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과 헤어스타일 색상 멋집니다 선한 영향력이 널리 퍼져지길 염원합니다~
@gaepopodong10 ай бұрын
유럽처럼 멋진 외관을 만들고 그걸 내부를 계속 보수하는 문화가 생기면 좋겠어요. 그러면 이미 잘 만들어진 걸 부시는게 아닌 다른 지역으로 점점 넓어지니 관광하고 생기고 인프라도 늘 것 같은데 왜 서울 같은 지역만 부시고 다시 짓는지 참 안타까워요.
@투자인내10 ай бұрын
일부라도 아파트 건축비를 공개을 하지 않는이상 시장 분위기에 따라 어쩔수 없이 따라만 다니는 수요자~~
@otyjk48077 ай бұрын
★ 재건축 조합원 부담금 상승원인 1.정부, 지자체에서 세금 왕창 뜯어간다. a. 대지의 8~13%이상 기부채납 해야함.(주변 도로 확포장, 주변 공원 조성후 기부채납 해야 함) b. 일분 분양수입의 상당부분을 법인세 명목으로 삥뜯어감 c.학교용지 부담금 무상 기부해야 함. d.전기,수도 등 주변 인프라 개선 공사비 부담해야 함 e. 단지내 상가, 종교시설,유치원 시설 필요이상 보상필요. 2. 고공사비,고금리, 고사업비용,고재료비 고인건비 독박써야 함 3.조합원 분담금외에 입주후 5개월내 재건축 재초환세 수천만원 이상 납부해야함.(서울아닌 수도권 중소도시에서도 납부해야 함) ※ 재개발은 재건축 대비 삥뜯는 세금적음 ※과거는 모르겠으나 요즘 재건축 대상 Apt 잘못 매입시 지옥 갈수 있음.
@어썸-y1r10 ай бұрын
맞어요커뮤니티에서 법인꺼엄청쑤쎳어요단체로
@ninehappy836310 ай бұрын
공구리 사기꾼들과 투기꾼들 장난질은 끝났음 문제는 노후 공구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합리적인 방법은 쓰러질 때까지 살면서 조금씩 고쳐쓰다 끝나는 것이죠
@발품-b9n9 ай бұрын
1기 신도시 재건축 거의 불가능 하지만 3기 신도시 랑 밥그릇 싸움 한쪽은 망할듯 ㆍㆍ 옛날 개나리 아파트 재건축 실패 조합 부도 나서 전재산 다잃었는데 재건축 지금 들어가면 건설 ㆍ시행사 빨대에 목 밀어넣는 상황ㆍㆍ
@sanglee787710 ай бұрын
건설사=칼 안든 강도 기존엔 땅값이 비싸 분양가 오를수 밖에 없다고 하더니 이젠 땅값도 안드는 재건축에 건설비를 몇배를 요구하는거냐 심지어 100채->200채로 만들어 팔아먹으면 신규 100채는 땅값도 지불 안하고 팔아 먹는건데
@skj612910 ай бұрын
계약할때 공사비 증액 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음. 맘에 안들면 계약 해지하고 다른 건설사 찾으면 되는데 어차피 못구함. 지금 건설사들 다 망하게 생겼구만 뭔 날강도래 ㅋㅋ
@쿰척쿰척-p2u7 ай бұрын
@@skj6129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니까 혐오할 대상이 필요한거고. 갖고있는 지식 수준으로는 건설사밖에 모르니까 무조건 건설사 잘못이다. 이렇게밖에 논리회로가 안돌아가는거임. 세상엔 이런사람들이 반 이상이라는걸 인정 하고 가야됨.
@보라보라-c9h10 ай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좋아요 꾹 눌렀어용
@pj4kn10 ай бұрын
기만이 전략인가보네요 !
@joneqk937510 ай бұрын
재개발도 문제인게, 요즘 새로 시작한다는 아파트들 보면 생각보다 용적률을 너무 높여서 지을려고 하는것 같아요. 사업성이 더 높아지는 건 맞을 수 있지만, 보유할 가치는 더 떨어지는 아파트가 되는거죠. 뭔가 개발이 필요한 지역들도 가치 있을 지역도 있긴 할텐데, 그렇게 돈 들여서 지어도, 최근의 부실시공 생각하면 그것도 아찔하고...
@sealjune9 ай бұрын
건설사가 조합원들 상대로 마지막으로 한탕하는거죠 아파트 보유할 가치?는 이제 없어요 차후에 헐고 더 높이 짓기엔 이제 사업성이 없잖아요 인구가 줄고있는데 삼십년후엔 과연?
@joneqk93759 ай бұрын
@@sealjune 저는 수도권 안에서도 부동산 격차가 커질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요즘 또 돌아가는거 보면 재개발/재건축을 할수 있느냐도 그 요소가 될것 같아요. 일단 돈이 많이 드니, 그 단지들 모여 있는 곳들은 격차가 높은 쪽에 있을 것 같구요.
@봉택오5 ай бұрын
내용 충실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전국탕수육찍먹연합10 ай бұрын
곧 20 만인데 미리 축하드리구요. 채상욱님 늘 응원해요😊
@run-away.10 ай бұрын
낡은 아파트가 비싸지는게 이상한거죠.ㅜㅜ땅값도 내려야 합니다.😊
@sean_pk01510 ай бұрын
앞전에ㅜ아무 노력없이 새집 받았던 사람들이 댓가를 치러야 그게 정의 아닐까요?
@연암-r6w10 ай бұрын
귀한영상 감사합니다
@숲속정원-z4q10 ай бұрын
입주자들이 어수룩하고 우상향 발전시기에는 입주자 건설사 분양권자 모두 윈윈이었으나..... 입주자들이 똑똑해져 건설사와 이권을 칼날처럼 다투고~ 분양받을 사람들의 이익분은 축소되는 흐름에 따른 결과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리 세대(50~600대)가 독식해버린 거 같습니다. 다음 세대 분량까지
@Nancy-ul8yn10 ай бұрын
정부부처가 부동산 가격을 올리려 하는듯 느껴져요 ㅜㅜ 몇몇 고가아파트 살리려는 정책 ㅜㅜ 각자 도생하라는건지 ㅠㅠ
@쏠이-b7z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헤어스타일 잘 어울리십니다~ 세상을 정화하는 멋진 내용으로 함께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3purpleflowerify3 ай бұрын
주변에 재건축 한다고 조합원 아파트는 7년째 주변 정리중..
@이상현-f3f7w10 ай бұрын
무슨국가가 합니까? . 구축하고 신축은 원래 차이😮가 많이났어야죠, 정책 대실패로 괜히 집값 이빠시 띄워놓은게 원흉이죠
@jktt940610 ай бұрын
양산 문,,ㅋ
@bunny_papa10 ай бұрын
결국 정비 사업 진행 안된다는건 서울내 추가 공급은 쉽지 않다. 그냥 팩트만 보면 됨. 정부 욕하고 뭐하고 할 필요가 없음. 그냥 그 영향이 어떻게 될지만 생각하면 됨.
@신현-y1b10 ай бұрын
정책에 따라 혜택 보는 곳, 손해 보는 곳이 뻔한데 가만 있으라니요? 바보입니까?
@고통과권태사이10 ай бұрын
채상욱 선생님 지금 무정부상태에요. 그러니 갈등,싸움,분쟁을 조정 못해요. 각자도생시대
@포로리야-j1q9 ай бұрын
구독목록 보고 ㅋㅋ웃고 갑니다.
@미벨짱10 ай бұрын
최고다잉❤
@럽-r9x10 ай бұрын
누구 세금깎아주고 부족한거 부동산 취득세 등등으로 메꾸려면 집값떨어지면 안되지~~~~~
@purplerose37889 ай бұрын
믿고봅니다 🎉🎉
@soup_with_bear9 ай бұрын
겨우 30년 밖에 안 된 아파트 재건축 필요 없습니다. 주차장만 확충하면 됩니다
@abcde-k3p10 ай бұрын
재건축이 쉽지 않으면 앞으로 분양가가 더 오르려나요...
@해적왕-l2r10 ай бұрын
사업성 없는 재건축 부지..꽝나면.. 서울 대지지분많고 용적률 낮은 곳은 급상승할듯..
@ordovices744010 ай бұрын
그런 곳이 남아 있나?
@나야나-p4z10 ай бұрын
분당빌라단지
@greenavenger10 ай бұрын
재건축을 온실가스 감축과 연계하는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물론 새로 지을 때 들어가는 건축자재인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상당하지만, 이후 거주할 때 아낄 수 있는 에너지도 어마어마합니다. (목조건축이 탄소저장 기능이 뛰어난데, 우리나라는 목조가 너무 적어서 안타깝습니다. 요새 목조고층건물도 많던데) 태양광 ESS 전기차 충전구역 의무화하고, 가스난방 금지하고 전기히트펌프로 바꿔야 합니다. 고단열로 에너지 효율 높이는 것도 당연히 해야 할 일. 지금 재건축 논의하면 2030년 전후로 완공될텐데, 2050년까지 고작 20년 남습니다. 이 신축건물에서 여전히 가스를 쓴다는 것은 매우 끔찍합니다. 건물 단위로 탄소중립을 하여, 탄소중립 건물이 모이면 탄소중립 마을이 되고, 도시가 되고, 국가 단위로 탄소중립 달성할 수 있습니다. 건물이 탄소중립의 시작인 이유이고, 재건축할 때 반드시 이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groovnvibe10 ай бұрын
❤
@hlee32710 ай бұрын
현재의 재건축정책은 오히려 다들 정신 차리게 한다고 생각 합니다. 박원순 시장 동안 고의적으로 억눌려져 있던것을 다 풀고 나니 다들 정신 차리는 거고 가격은 떨어지게 되어 있는 거죠
@벨로아-i8f9 ай бұрын
맞아요 부동산커뮤니티가 문제임 투자종용
@bongjjo608510 ай бұрын
채부심. 대통령 출마하시면 찍어드릴게요❤❤❤
@wwiel92479 ай бұрын
집값오르면 분양가도 오를테고 그러면 재개발 진행되겠죠.
@빠른생활10 ай бұрын
용기있는 상욱이형 독립하고 점점 멋있어 지는 듯 부동산전문가로서 정계진출 응원합니다~!
@비주류-f9i10 ай бұрын
재건축의 계약서 자체가 좀 문제가 있을 듯하네요....체인지 오더를 저렇게 공사비 좀 올랐다고 엄청 증액하고 배째라 하는 건 결국 계약서상의문제일 듯....건설사야 다른 곳에서 빵꾸난거 때우기 좋은 호구 물은 셈이고......ㅋ
@이케아친구10 ай бұрын
상계주공5단지는 최고가 8억인데 기자가 9억으로 의도적으로 기사를 쓴거 같아요
@user-skypro9 ай бұрын
시공사 놈들 이주시키고 철거한 다음 공사비올려달라고 하면서 공사를 늦추며 비용이 계속 증가하게 만드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그래야 협상이 되죠..
@삼각김밥-n4j10 ай бұрын
관이 개입하면 안되죠. 그들 찍어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자유"시장 경제에 맞게 "잘"하고 있는데요?ㅋ
@뿌셔뿌셔갈비맛9 ай бұрын
😂그렇죠. 근데 건설사는 정부와 은행이 적극 개입해서 살리고 있으니 내로남불이죠 ㅎㅎㅎ국민들만 불쌍
@봉순옥-j7q9 ай бұрын
재건축조합은 건설사와 계약시 어떠한 인건비 자재비 인상시에도 추가 인상비부담없게 계약서 잘쓰야합니다 아닐시 건설사에서 현장스톱시키고 유치권 행사 들어갑니다 답답한건 집주인조합원들이겟죠
@sealjune9 ай бұрын
그런특약 없으면 재건축 자체가 이뤄지지않죠 건설사들도 자선사업할수는 없잖아요
@아침이슬-aaaaaaa10 ай бұрын
재건축 재개발 발표난발로 시너지효과가 사라지고있습니다
@최영훈-q8m10 ай бұрын
재건축비가 비싸다라고 하는 건설사의 말을 그대로 믿는가? 그냥 조합은 어쩔 수 없이 돈을 내야하니 배째라 공사비 올리는거라우~
@litey32279 ай бұрын
그냥 무너지는 부동산을 어떻게든 떠받치고 싶은것
@spigip546710 ай бұрын
이해가 안가는게 왜 아파트만 짓기위해 상가건물 단독주택을 제대로 싯가로 평가안해주고 수용해가면서 아파트만 지어대냐 이거에요? 빌라 몇평가진 사람들만 우대해서 쪽수많다고 유리해지는 이런건 애초에 위헌 아닌가요?
@wwiel92479 ай бұрын
주택가격 펌핑정책이면, 이제 집 사도 되는건지요? 그리고 집값은 언제부터 집값오를까요?
@구자현-c8u10 ай бұрын
원자재값 다시 내려갔는데 왜 소비시장단에선 아직도 반영이 안되지?
@Sweet-surrender10 ай бұрын
결국 남양주 진주아파트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조합원들.
@user-wp8dn1dv9e10 ай бұрын
서초구에 구축 사고 싶었는데 이거 보고 맘이 싹 가셨어요….
@Libre2460110 ай бұрын
경매 갭투자 적극 추천하던 모 부동산재테크 주인 요즘 선량한 부동산 재테크 전도사로 행세하는 거 보면 역겨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