팰월드 표절 논란,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Рет қаралды 13,812

콤므의 게임연구소

콤므의 게임연구소

3 ай бұрын

#팰월드 #팔월드 #표절
[게임 디자인 연구소]
대본을 좀 많이 고쳤는데도
확 마음에 들지는 않네요
결론을 여러번 수정했습니다
아무래도 '그냥 표절 게임이다!'로 끝내는 게
영 맘에 안들어서 말이죠
사실 마지막 결론도...
그간 판례를 살펴봤을 때
유사성을 증명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거의 안 합니다...만
이런 행위가 반복된다면
게임 업계에 악영향을 끼칠 거란 건.. 자명하죠
사실 포켓 페어 측이 만든 여러가지 게임들이
표절에 대한 의심을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물론, 팰월드 자체가 가진 긍정적 영향도 있다고 봐서...
애매하네요
뭐든 쉽게 결정 내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조금은 포괄적인 결론을 내렸습니다
좀 애매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넘어가주십셔
---------------------------------------------------------------------------------------------------------------------
[BGM]
🎵아웃트로 음악 - www.youtube.com/watch?v=s-OKq... cool summer
🎵인트로 음악 출처
Audionautix의 Your Intro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아티스트: audionautix.com/
--------------------------------------------------
[Video Source Support]
KZbin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사용하시려면 아래의 출처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웅장하고 멋진 BGM 모음 - • [브금대통령] 웅장하고 멋진 BGM 모음...
▬▬▬▬▬▬▬▬▬▬▬▬▬▬▬▬▬▬▬▬▬▬▬▬▬▬▬▬▬▬▬▬

Пікірлер: 260
@콤므
@콤므 3 ай бұрын
대본을 좀 많이 고쳤는데도 확 마음에 들지는 않네요 결론을 여러번 수정했습니다 아무래도 '그냥 표절 게임이다!'로 끝내는 게 영 맘에 안들어서 말이죠 사실 마지막 결론도... 그간 판례를 살펴봤을 때 유사성을 증명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거의 안 합니다...만 이런 행위가 반복된다면 게임 업계에 악영향을 끼칠 거란 건.. 자명하죠 사실 포켓 페어 측이 만든 여러가지 게임들이 표절에 대한 의심을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물론, 팰월드 자체가 가진 긍정적 영향도 있다고 봐서... 애매하네요 뭐든 쉽게 결정 내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조금은 포괄적인 결론을 내렸습니다 좀 애매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넘어가주십셔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사태 자체가 포켓몬 ip가 너무 커서 생긴거라고 생각합니다. 포덕들이 쉴드친단것도 포켓몬하고 있는 애들이 겜프릭 너나 정신차려라 이러는건 진짜 한번도 못봤고, 게임은 안해봤지만 피카츄 파이리 이정도밖에 모르는 애들이 자칭 포덕이라면서 표절 아니다~겜프릭 게임 못만들잖아~포켓몬보다 훨씬 재밌다~어---른의 포켓몬이지 이러는거 보면 한숨밖에 안나옵니다..저 말 하는 사람 중에서 레이팅 1500+는 있을지 궁금한
@Spicychicken0705
@Spicychicken0705 3 ай бұрын
@@sldjaal 레이팅은 커녕 타입 상성조차 모르는 사람이 절반 이상 일 겁니다ㅋㅋㅋㅋ이제는 뭔 망나뇽도 금색 용이니까 드퀘 표절이내! 이러면서 포켓몬 표절 몰이까지 하는거 보면ㅋㅋㅋㅋ
@rrOoOxUcUx3u3rr
@rrOoOxUcUx3u3rr 3 ай бұрын
포켓몬 표절측 입장이 디자이너가 디자인한것이 아닌 "AI를 이용해 포켓몬과 비슷한 그림을 대량으로 찍어내게 했다" 인데 이게 만약 사실이라면 문제가 될 수 밖에 없고 팰월드 회사측에서는 디자이너를 진짜로 고용해 다시 리디자인을 해야한다는게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rrOoOxUcUx3u3rr
@rrOoOxUcUx3u3rr 3 ай бұрын
무엇보다 팰월드 회사는 큰 자본이 있는 회사도 아니고 공장형 게임을 대량으로 찍어내는 회사다보니 큰 기대는 가지 않네요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Spicychicken0705 드퀘 표절은 진짜 개소리던데ㅋㅋㅋ애초에 안비슷하고 시기도 포켓몬이 빠른
@owo2097
@owo2097 3 ай бұрын
사실 다른 것보다 포켓페어 인력난으로 일시정지 걸린 게 더 문제라고 생각하는 게이머라면 개추 ㅋㅋㅋ
@user-mn5zk2ji1w
@user-mn5zk2ji1w 3 ай бұрын
조용히 개추 누르고갔네ㅋㅋㅋ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어어 이번엔 유기하지마라
@user-ts3zu8ox5x
@user-ts3zu8ox5x 3 ай бұрын
ㄱㅊㅋㅋ
@HoneyTwix
@HoneyTwix 3 ай бұрын
근데 이 새끼들 대놓고 업데이트 안한다는거면 절대 게임 안산다
@rrOoOxUcUx3u3rr
@rrOoOxUcUx3u3rr 3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Practicepanese
@Practicepanese 3 ай бұрын
원신이나 카트라이더의 선례가 있듯이 이 경우에 대해서는 기다릴 필요가 있음 하지만 이 기회에 포켓몬이랑 팰월드를 비교하는 건 성립조차 안 될 싸움을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함 포켓몬의 기술력 문제는 스칼렛 바이올렛에서 상당한 변화를 보여줬고 400마리의 포켓몬을 한 게임에 넣어야 하는 게임의 특성상 닌텐도의 용량 문제인지 게임프리크의 태만함 때문인지는 알 수 없음 팰월드와 포켓몬은 콘솔과 pc의 차이,장르와 목적의 차이로 포켓몬을 맹목적으로 비난하기에는 문제가 있어보임
@user-rn9rj1ph4k
@user-rn9rj1ph4k 3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
@kimdoul9696
@kimdoul9696 3 ай бұрын
이런 표절겜이 일본에서 나왔다는건 당황스러운 일이지만, 사실 중국에서는 수도 없이 많이 나왔었죠. 하지만 전부 도태되어 왔었습니다. 그것은 게이머가 도의적으로 '이런 게임은 하기 싫다' 고 느끼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팰월드도 당연히 자연스럽게 도태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게임프릭이 원조 포켓몬 게임을 거지발싸개처럼 만든다'는 정말 예상도 못한 이유로 오히려 포켓몬스터 팬들이 팰월드를 옹호하는것을 보고 많이 웃었습니다. 팰월드의 성공이 게임프리크가 반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user-ud4fz2rr3o
@user-ud4fz2rr3o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지금 게임프리크는 그런 짝퉁중겜들한테도 밀리는 부분이 꽤됨 게임프리크는 지금까지 너무 방만했음. 경쟁자 없다고 개판으로 만들다 넘어진거지.
@kor_b_yam4215
@kor_b_yam4215 3 ай бұрын
닌텐도 DS로 포켓몬에 추억을 가진 세대가 동숲으로 스위치에 입문했지만 포켓몬으로 연결되진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포켓몬을 그리워하고 팰월드에는 유입이 되었다 이 두가지 사실로 게임프리크의 포켓몬은 발전하기는 커녕 퇴보와 같은 행보를 보였고 팰월드가 잘만든게임이라는건 명백해보입니다 포켓몬 시리즈의 판매량을 보면 팬들의 충성도는 정말 높습니다. 하지만 그런 게임사를 믿는 팬들을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기만하는행태를 보이면 팬들도 당연히 등을 돌리고 심하면 싫어지기까지 하고 충분히 팰월드를 응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포켓몬 팬들이 팰월드 옹호한적이 있노? 자칭 겜안분 포덕들만 옹호하지 진짜 포켓몬 게임하고 있는 애들은 딱히 옹호 안함; 애초에 다른 장르의 게임이라 겜프릭이 정신 차릴 이유도 없고
@Dragon-1209
@Dragon-1209 3 ай бұрын
솔직히 디자인이 표절이지 시스템은 다른겜 표절인데다 법적으로 표절 인정될 가능성도 적어서 이거 보고 겜프릭이 정신차릴 가능성은 0인데
@user-fi4jn1nf2o
@user-fi4jn1nf2o 3 ай бұрын
도의적으로 이런 게임은 하기 싫다 보다는 그냥 재미없어서 안 하는게 더 크지 않나?
@Whatever_will_be
@Whatever_will_be 3 ай бұрын
다양성을 잃어버린 세계라...... 헉, 이거 완전 웹소설계.
@user-ud4fz2rr3o
@user-ud4fz2rr3o 3 ай бұрын
웹소설 초창기가 진짜 대혼돈의 도가니탕이긴 했는데 지금은 그에 완전히 반대된 상태임.... 다 비슷한 장르, 비슷한 내용에 대부분의 소설에서 '이거 전에 읽었던 그거랑 비슷한데?'라는 느낌이 듦...
@Whatever_will_be
@Whatever_will_be 3 ай бұрын
@@user-ud4fz2rr3o 수작은 끊임없이 나오고 있지만 명작이 안 나오는 침체기인데, 그 침체기가 몇년 동안 이어지고 있어서 웹소설 볼 때마다 걱정스러움. 이러다 싹 다 망하는 거 아닌가 싶어서.
@user-ud4fz2rr3o
@user-ud4fz2rr3o 3 ай бұрын
@@Whatever_will_be 지금 보고있는 소설들이 다 4,5백 넘어가고 어떤건 1000화를 넘겼는데 지금은 괜찮지만 나중엔 어쩌나 하는 걱정이 생기는건 사실임... 이걸게 잘가다가 용두사미로 끝난 작품을 꽤나 봐와서....
@backsang
@backsang 3 ай бұрын
​@@Whatever_will_be어떤 작품을 보시길래 그런진 모르겠지만 그런게 없다는 느낌은 딱히 받아본적이 없는데
@Whatever_will_be
@Whatever_will_be 3 ай бұрын
@@backsang 요즘 명작이라 불릴만한 작품이 있음?
@hh1538
@hh1538 3 ай бұрын
사실 법적으로 문제 없어도 도덕적인 문제가 일어날수 있어요 그 문제는 게이머 자신이 내고 자기가 해결해야죠. 뭐 어쩌겠나... '재미있으면 그만' 이라면 그게 정답이겠죠. '재미있어도 찝찝한건 불편'이면 그것도 정답임 사실상 기초적인 양심문제
@user-cn8qj6ll3i
@user-cn8qj6ll3i 3 ай бұрын
고작 느낌의 유사성으로 표절 운운하면 창작을 기반으로 하는 업계는 발전도 없이 망하겠네요.
@user-nd8sl2dw3r
@user-nd8sl2dw3r 3 ай бұрын
이게 우리가 소비자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면 결국 그 게임계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초래함 게임? 재밌으면 좋지. 근데 그 사이의 기본 윤리라도 지켜줬으면 좋겠음.... 개인적으로 포켓몬 같은 게임을 좋아하는 지라 자주 찾아보는데 Temtem 이라는 게임이 실제로 나름 수작이기도 하고 포켓몬과 같은 턴제 전투 그러나 다른 방법을 채용하는 방식으로 나름 잘만든 몬스터 턴제 게임인데 별로 화제가 안되기도 하였고, 이 회사의 타 게임이 이런식으로 다른 게임의 느낌을 가져오는 형식의 개발을 해왔던거로 보면 그간 겜프릭의 아쉬운 행보와 겹쳐서 나온 결과라고 생각함.... 실제로 단물 빠져서 딴겜가는 분들 슬슬 많아 지고있고, 운영방식이 디자인쪽 돈을 덜 뽑아 다른곳에 써서 돈벌려고 하는게 좀.... 그러네요.
@dajhlfhraeolfrr
@dajhlfhraeolfrr 3 ай бұрын
윤리 운운하면 이제 pc로도 가야하나요?
@user-zf6kt6oz7s
@user-zf6kt6oz7s 3 ай бұрын
@@dajhlfhraeolfrr 너무 극단적인데요 그냥 예시를 들면 중국이 우리나라에서 기업 비밀을 빼서 자국에 가져가는 행위는 불법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그 과정이 문제지 이미 외국으로 특허된 정보나 물질들이 나가서 자체 생산을 해도 우리나라 법으로도 세계적으로 불법이 아닌지라 스파이짓을 계속 하는 경우가 있죠 하지만 이게 법적 문제가 없다고 해서 우리가 가만히 있나요? 그렇다고 이게 윤리를 운운하니 pc인가요? 그리고 만약 중국의 스파이짓이 최고조를 찍으면 세상은 어떻게 되겠어요? 원래 생산하고 연구하는 국가들의 기업들은 더 이상 찍어낼 수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싼 값에 중국 기업들이 판매할 테니깐요 하지만 중국 기업이 1위를 찍는다고 연구를 할까요? 아니요 연구를 해본적이 없는데 돌아갈리가 있을까요 연구하고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테고 그게 가능할 땐 이미 그 산업은 병들거나 망가져있겠죠
@user-nd8sl2dw3r
@user-nd8sl2dw3r 3 ай бұрын
@@dajhlfhraeolfrr 애초에 그 일본에서도 외국에서 팔기 위해서는 안에 있는 스크립트 고치고 PC해진답니다 우리나라가 뭔 PC다 뭐다 난리치는거지 솔직히 다른나라겜들 가보면 너무 당연하다는 듯이 나와서 별생각 안들어요 애초에 그 PC라는게 자신이 보고 안받아들일거면서 왤캐 난리치는지 솔직히는 모르겠어요 그냥 아 그런사람이 있구나 하고 알면된다고 생각해요
@Jawssharkother25
@Jawssharkother25 3 ай бұрын
사실 저작권의 경우 저작권 자체는 약간만 달라도 다른 창작물로 인정됩니다그래서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오는 게 아니라 변형을 약간씩 주면 처벌을 피해 가는 게 그 때문이죠 그래서 사실 따지고 보면 디즈니 같이 캐릭터 디자인에 과도하게 신경쓰는 게 오히려 특이한 거죠
@user-fm2mx6ee5z
@user-fm2mx6ee5z 3 ай бұрын
편집 깔끔하고 재미도 적당히 있는건 당연한데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전해주는게 뭔가 멎지고 좋아서 다른 영상도 볼거 같아요.
@Chessecake0218
@Chessecake0218 3 ай бұрын
P: 포켓몬 A: 아크 서바이벌 L: 젤다의 전설 애초에 제목부터 이미 저겜들 모티브했다를 보여주고 있으니 표절이다 아니다 이러지말고 그냥 즐기시죠!
@yeseon1208
@yeseon1208 3 ай бұрын
​@@SuCrab드립이잖아 친구야
@racoon2001
@racoon2001 3 ай бұрын
시스템도 포켓몬(수집)젤다(전투)아크(발전) 다 베낌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그런 시스템들을 하나로 영리하게 잘 엮었음. 이것저것 다 짬뽕시키고도 재밌는 게임을 만든 부분은 충분히 독자적인 부분임. 근데 이게 디자인의 측면으로 넘어가면 할 말이 없어지는 것 뿐이지.
@user-ck9ru7hf1d
@user-ck9ru7hf1d 3 ай бұрын
@@Space-xXx 근데 영리 하긴 개뿔 팰월드 템플릿 자체를 한게임에서 가져온수준인데
@user-et6qm5su6v
@user-et6qm5su6v 3 ай бұрын
이런 댓글창이 주인장이 원하던 거라고 ㅋㅋ
@NanMang
@NanMang 3 ай бұрын
​@@user-ck9ru7hf1d냄새~~
@starlion822
@starlion822 3 ай бұрын
​@@user-et6qm5su6v 조용히 하트 달고 간 주인장ㅋㅋ
@bluetn4
@bluetn4 3 ай бұрын
속이 시원해지는 영상이었어요 생산적이면서도 생각할 여지를 주네요 팰월드는 좋은 게임이에요 하지만 새로운 포켓몬이라도 나와도 기존에 있던 누구누구와 비슷하다고 욕먹을만한 디자인으로 성공 가도만 달린다면 문제라고 봅니다 처벌 받았으면 하면서도 게이머 입장에서는 이 게임이 계속 잘 됐으면 좋겠어요
@pishfish
@pishfish 3 ай бұрын
저작권 위반과는 다르게 표절 같은건 기준을 두기가 상당히 애매함 시스템으로 하자니 그렇게 따지자면 HP나 레벨같은 시스템이 전부 드퀘를 따라한거고 FPS는 전부 둠을 따라한게 되고 디자인으로 하자니 역시 기준을 정하는거 자체가 에로사항임 음악 같은경우는 그냥 몇초동안 멜로디였나 그게 비슷하면 된다라는 기준을 명확히 둘수는 있지만 디자인은 그렇게 못하니
@rrOoOxUcUx3u3rr
@rrOoOxUcUx3u3rr 3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의견으로 무엇보다 걱정되는건 팰월드를 찍어낸 회사가 여러 게임들을 빠르게 만들고 처분하는 공장형 회사라는것이고 디자인과 여러 업데이트를 할만한 인력이 있는것도 아니며 무엇보다 팰들의 디자인 유사성이 사람이 아닌 AI그림의 유사성으로 지목받고있기에 회사가 디자인을 뜯어 고칠 일이 있을지도 모르겠다는겁니다 포켓몬측은 일을 안하고 팰월드라는 게임도 결국 유기될것같은 이 느낌은 뭘까요..?
@gamelgar1679
@gamelgar1679 3 ай бұрын
표절논란은 그냥 법에 맡기는게 맞음 대중들의 표절싸움은 그저 정답없는 팬심싸움일뿐임 그리고 원작이 무조건 선하고 표절작이 나쁘다는것도 일차원적인 생각임 결국 시장논리가 최우선이라 뭐가 됐든 잘만들어서 높은 판매량과 고객 유치를 하는게 승리자 2000년 이후 머릿속 시민의식만 올라가서 논란이 많지 현실은 아직 이상하고 거리가 멈
@user-sq5wx5ok2q
@user-sq5wx5ok2q 3 ай бұрын
당장은 감정이 주가 되어 원활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니.. 표절의 정의만이라도 내린다면 법적으로도 대중매체 속에서도 흐름이 원활해지겠죠.
@SilverMountain04
@SilverMountain04 3 ай бұрын
처음에는 포켓몬스터의 팬으로서 화가 났는대 영상을 보니 그럴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sothoth5364
@sothoth5364 3 ай бұрын
저작권 이야기하면 닌텐도 같은 대처가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게임 시스템에는 배끼는걸 허락하지만 디자인 배끼면 가만 놔두지 않는
@PrimalKyogre0309
@PrimalKyogre0309 3 ай бұрын
4:18 포켓몬 일본 기준으로 1996년입니다. 참고로 디지몬 개발진이 디지몬 개발 목표가 포켓몬 졸업자 모여라! 여서 영향을 받은 게임인게 맞습니다
@SiGMA_XVIII
@SiGMA_XVIII 3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eedohei
@leedohei 3 ай бұрын
포켓몬 느낌의 디자인이 과보호되고 있다고 생각해요... 팰월드를 표절로 규정했을 때보다 아니라고 규정했을 때 더 많은 창작물과 창작동기 발생, 소비자의 효용이 클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른 게임의 캐릭터에 비해 특징들이 너무 단순해서 언젠가는 허물어져야할 보호라고 생각해요. 더 비슷한 그래픽의 게임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nameno9348
@nameno9348 3 ай бұрын
디지몬 : ?
@user-ms3hl1bc6t
@user-ms3hl1bc6t 3 ай бұрын
​@@nameno9348 디지몬은 초창기에 이미 표절논란 있었음.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디지몬의 느낌을 주었으면 디지몬 표절이다, 요괴워치의 느낌을 주었으면 요괴워치 표절이다, 드래곤퀘스트의 느낌을 주었으면 드퀘 표절이다. 했을텐데 어디가 과보호라는거죠? 그래픽이 디자인인건 아니잖아요?
@user-uf5ih9jj1m
@user-uf5ih9jj1m 3 ай бұрын
@@Space-xXx 포켓몬의 느낌을 주는 디자인의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이에요. 둥글둥글하고 귀여운 동물, 괴물 형태면 대부분 그 느낌이 나거든요. 이들을 모두 포켓몬의 표절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거죠.
@pododopodo
@pododopodo 3 ай бұрын
​@@user-uf5ih9jj1m 근데 펠월드는 단순히 귀여운 동물 이미지라는 것 뿐 아니라 컬러까지 배껴서 둥글둥글한 동물 + 비슷한 색감 이라서 더 논란이 되는 것 같음 적어도 색감이라도 좀 달랐어야 하지 않나
@hyojungkim6271
@hyojungkim6271 3 ай бұрын
자. 표절 논란이 있어도 포켓페어가 고소미 먹지 않는 이유 1. 닌텐도 측에서 팰월드의 포켓몬 모드를 고소미 먹였다 2. 그 뜻은 닌텐도 측에선 이미 팔월드의 존재를 알고 있다 (애초에 팰월드보다 인기가 적었던 로블록스의 포켓몬 게임도 표절로 그대로 삭제시킨 닌텐도다) 3. 그러나 닌텐도는 팰월드를 표절 논란으로 고소미를 먹이지 않았다 4. 그런 뜻은 이제 팰월드는 표절 논란으로 벌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5. 또한 닌텐도 측에서 팰월드를 고소해도 본인들에게 좋을건 없다
@jihoshin-qy8oh
@jihoshin-qy8oh 3 ай бұрын
내가 봤을땐 팰월드 회사 몸집이 커지면 그때 고소할듯. 지금은 걍 키워서 나중에 소송할까 같은 분위기임. 특히나 천만장 이상 팔렸는데 그 노다지를 보고 닌텐도가 가만히 있지 않을듯. 로블게임 하는 표절했다고 삭제까지 했으니까
@K-electronic
@K-electronic 3 ай бұрын
​@@jihoshin-qy8oh할거면 포켓몬모드 할때 같이 했겠지. 법적으로 입증이 어렵다는 걸 이미 알고있는거임.
@user-uf5ih9jj1m
@user-uf5ih9jj1m 3 ай бұрын
저는 포덕이고 팰월드는 해본 적 없지만 개인적으로 의견 남겨봅니다. 포켓몬 판에서도 팰월드가 표절이냐 아니냐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시스템은 아크, 젤다 등을 참고하긴 했어도 이것은 장르적 유사성이고 팰월드는 위 두 게임에서 자신만의 가벼움을 추가하여 변화를 주었기에 표절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뜨거운 감자인 '디자인 표절 문제'는 어느 정도 수긍합니다. 하지만 영상의 내용과는 다른데, 영상에서는 표절의 이유가 보편적인 이미지와 사람들의 인식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귀여움을 어필하는 몬스터 장르라면 대부분 공유하고 있는 점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팰의 디자인에 표절이라 생각하는 점은 '포켓몬에 변주를 준 디자인' 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같은 모티브를 가졌다고 한들, 느낌 뿐 아니라 디테일한 요소(색감, 같은 패턴의 텍스쳐)가 유사하다는 것이죠. 요약: 1. 시스템은 표절이 아닌 장르의 유사성 때문이라 생각한다. 2. 디자인은 표절을 인정하나, 그것은 영상의 의견과 다르고 디테일한 요소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commitment547
@commitment547 3 ай бұрын
때려잡으면 다시 개똥 퀄리티로만 출시할거같고.... 그렇다고 안때려잡으면 짝퉁들이 날뛰는 상황이 생길거같고.... 많이 애매한 상황인듯
@TitianicColaBear
@TitianicColaBear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요즘 잘되는 컨텐츠들 보면 대부분 잘만든 짬뽕들입니다 대표적으로 게임에선 팰월드는 포켓몬, 젤다, 아크를 잘 합쳤고 애니에선 마슐이 있죠(해리포터, 원펀맨, 강연금) 소비자에겐 더 잘만든 컨텐츠를 소비할 권리가 있죠 그리고 이런 컨텐츠들이 자주 나와야 대기업들이 ip 하나 믿고 횡패부리는 걸 완화하고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허나 문제는 너무 똑같거나 비슷해서 표절같다는 생각이 든다는 겁니다 좋은 컨텐츠들을 만드는 건 좋지만 최소 디자인, 배경등을 색다르게 해야 앞으로 컨텐츠업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생각합니다
@freer499
@freer499 3 ай бұрын
당장 팰월드 켜놓고 있는 나도 이건 표절이 맞다고 봄 이 게임 저 게임 가져왔으면 모를까 한두마리도 아니고 대부분의 팰이 포켓몬과 유사성을 가짐 비슷한 얘기로 다크앤다커라는 유명한 예시가 있음 물론 디자인만 비슷하다와 아예 내용물을 빼왔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어느정도 비유를 할 수 있다고 봄 이게 논란이 크게 안터지는게 시스템 자체를 굉장히 잘 버무렸음 누구는 이거저거 섞어서 민초마라탕 이딴거 만들때 팰월드는 다 넣어서 부대찌개를 만들어서 칭찬을 받음
@Pneo01
@Pneo01 3 ай бұрын
자 이제부터 서로 싸워라(그닥 잘 안싸움)
@kimbacksung_1
@kimbacksung_1 3 ай бұрын
더 이상 게임프리크의 업무태만으로 그럴수있지~ 할 문제가 아님.
@ghks3155
@ghks3155 3 ай бұрын
갠적으로는 캐릭터 디자인은 좀 제재를 강화하야 된다고 생각함 안그래도 요즘 ai로 캐릭터 뽑아내기도 쉬운데 이렇게 가다 결국 디자인 하시는 분들 전멸하고 새로운건 안나오고 기존 디자인을 조금 변경한 ai 디자인만 남지 않을까 걱정임
@htl2music
@htl2music 3 ай бұрын
영상의 도입부가 제가 예전에 만든 아이유 표절 의혹 영상과 너무 비슷하네요. 혹시 표절...? 이라는 건 농담이고요. 😇 음악 표절도 어렵지만 게임 표절 논란은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 영상 즐겁게 잘 봤습니다!
@user-dr2qt2pm8t
@user-dr2qt2pm8t 3 ай бұрын
찐이다
@user-pi9yv9gn8y
@user-pi9yv9gn8y 3 ай бұрын
⁠찐따다
@RaccoonMan
@RaccoonMan 3 ай бұрын
1:35 PS) 인벤토리 소지 제한은 젤다가 아닌 Ark 에서 베껴온 요소기 때문이다.
@space_rabbit
@space_rabbit 3 ай бұрын
팰들이 포켓몬하고 디자인이 비슷해서 표절시비가 있는데 인정받기 불가능함... 국내 즉 대한민국안 이라면 99.99% 표절로 디자인변경이든 벌금이든 판매중지및환불이든 이런 조치가 나오는데 일본이기때문에 나오기 힘듦 어떠한 처벌이 불가능한 수준 이걸 알러면 일본의 파쿠리 문화를 알고 파쿠리관련 판례도 알아야됨 영국에서 만들어진 월리를 보고 일본에서 캐릭터 하나 만든 사람이 있음 다만 차이점은 모자없음,지팡이없음,목길이가김,눈모양다름 이런 차이점이 있어서 표절로 인정안됬음 즉 팽돌이를 참고한 펭키경우 팽돌이 머리랑 이마 투톤 머리에 털 안나와있음 몸통 투톤에 동그라미2개 (파랑,하늘) 눈검은바탕에 작은 흰색원 왼쪽위에 있음 펭키 머리원톤(파랑색단일) 머리털2가닥 나와있음 몸통 오른쪽에 동그라미하나 등 이런 차이점 하나하나가 각 팰에게 있기때문에 표절로 인정받기 힘듦 닌텐도(게임프리크), 포켓페어 전부 일본회사고 일본에 본사가 있으니 표절시비로 고소가 진행되면 일본에서 재판받지 대한민국에서 재판받지는 않음 즉 일본법과 일본의 저작권관련 판례에 따라 결정이됨 트레일러에 이미 펭키를 비롯한 팰들이 공개되었을때 표절문제가 있었으면 닌텐도가 바로 고소했지 포켓페어상대로는 안함 (포켓몬모드 만든 사람은 영상 올라가자마자 바로 고소진행) 닌텐도가 고소를 할 수는 있어도 오랫동안 장고를 할 가능성이 있고 장고끝에 진행/미진행 결정을 하게되는 닌텐도가 장고 할 수 밖에 없음 일본에서 표절로 인정된 사례가 손에 꼽을정도로 극히 적음 우리로 치면 닌텐도가 김앤장을 선임하고 포켓페어가 수임료가 싼 변호사 1명 선임해도 포켓페어 승소일 정도 괜히 고소했다 99.999%로 닌텐도가 패소하다보니 0.001%의 승소확률 가지고 했다 패소라도 하면 자기들이 변호사비용,재판비용까지 다 써가면서 얻는건 아모것도없이 포켓페어랑 팰월드만 노이즈마케팅으로 홍보만 해주는격이라 AI로 만든거다 라고 닌텐도가 소송걸수도 없는게 닌텐도가 직접 포켓페어가 쓴 AI모델을 찾고 팽도리를 넣었을때 바로 펭키가 나오는걸로 입증해야하는데 이것도 문제가 포켓페어가 초기도안 제출하면 그냥 끝임 초기도안으로 사용을 안했다는게 입증이되는거라
@drymax2386
@drymax2386 3 ай бұрын
어그로끌지마라 ㅋㅋ 표절은무슨 롤부터 표절이다 그렇게치면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디자인 자체가 전부뺏긴건데 니가하는게임이면 표절아님?이런애들특 중국이 조금만뺏겨도 표절이라고 욕하면서 자기가하는겜들 무지성 실드 ㅋㅋㅋ디자인자체가99%유사한데
@user-zf6kt6oz7s
@user-zf6kt6oz7s 3 ай бұрын
롤의 시작은 표절이 맞음
@Lilyos
@Lilyos 3 ай бұрын
코나미가 얼마나 레전드냐면 난이도를 정하고 랜덤돌리는게 특허임 근데이건 룰이 아니라서 다 빼야했음
@_bbinto5276
@_bbinto5276 3 ай бұрын
스트리트 파이터2의 장풍과 그 외 커맨드를 특허를 내놨으면 격투게임은 지금만큼 나오지 않았을겁니다. 철권 같은 독자적인 노선을 탄 경우도 있지만 그 시절의 격투게임 대다수가 스파2의 커맨드를 차용했죠. 물론 스파2를 따라하기만 하는 영양가 없는 게임도 나왔지만 다시 보면 재평가를 받을만한 격투게임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가 모바일게임 회사인 호요버스를 별로 안좋아합니다. 게임을 좀 해봤으면 다 보이는 타 게임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데 그걸로 돈 벌어먹고는 또 표절해서 후속작을 내놓았으니깐요. 적당히 버무렸으면 모르겠는데 대놓고 표절을 하니 그런 회사 게임은 도저히 못하겠더라고요. 이렇게 표절논란이 왔던 게임회사 측은 해당 게임의 표절게임이 나올거라는걸 인지 해야합니다. 목소리도 내서는 안됩니다. 원신도 인기가 많으니 다른 게임회사들이 원신 비슷하게 만들거나 하고 있으니깐요. 표절로 흥했는데 자기들 게임 따라했다고 언플을 하면 그건 진짜 양심이 없는겁니다.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엘프가 나오고 오크가 나오는 게임들 전부 톨킨한테 저작권 상납하고 온라인게임들중에 생산하고 집짓고 하는게임은 울티마온라인에 저작권 다 내라 제발좀 이게 표절이면
@user-uu8wq6xv7b
@user-uu8wq6xv7b 3 ай бұрын
모두 알아들었지? 이제 여기서 싸우면 된다
@abyssray
@abyssray 3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스팀에는 이미 비슷비슷한 게임들이 넘쳐나고 있지요. 그런데 노잼 게임은 게이머들한테도 버림 받기 때문에 그들이 게임을 베꼈건 뭐를 했건 망하게 되어있습니다. 굳이 저작권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혼자 알아서 도태되어 사라져갈겁니다. 팰월드가 문제인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게 존나게 재밌다는 점입니다. 표절게임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는건 잘못되기만 한건 아닙니다. 이건 '장르화'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죠. 소울라이크라 불리는 게임들이 있는데 이건 소울 이라는 게임 이름에 like를 붙여서 소울같은 게임이라는 걸 의미합니다. 게이머라면 너무나도 흔하게 접하는 로그라이크라는 장르도 마찬가지입니다. 로그라는 게임과 비슷한 게임이라는거예요. 최근엔 뱀파이어 서바이버와 비슷한 게임들을 뱀서라이크라고도 부르기도 하죠. 팰월드는 포켓몬라이크라는 장르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거구요. 이처럼 문화는 자연스레 영향을 받고 또 무엇인가 첨가되고 변화하면서 발전합니다. 음악이나 영화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흐름이구요. 다만 이것이 산업화되어 돈, 그것도 아주 큰 돈이 되다보니 부당한 손익을 막아내려 법으로 개념화하여 무분별한 표절을 금지하고자 하는거구요. 하지만 무분별한 표절만큼이나 무분별한 특허 역시 심각한 문제라고 봅니다. 영상에 나오듯 지나치게 권익을 독점화시키고 분야의 발전을 저해하죠. 법이란건 사회질서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전제로 하기 마련이고 이를 위해 표절을 불법이라 규정하는건데 무분별한 특허 역시 불법으로 정했으면 좋겠네요. 스승보다 뛰어난 제자를 청출어람이라고 하지요. 도둑이지만 의로운 도둑을 의적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포켓몬 시리즈에 염증과 실망에 빠져있던 팬들은 팰월드에 환호했고 지지부진한 포켓몬을 욕하기도 했습니다. 표절이지만 원본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 팰월드, 청출어람과 의적이란 단어에 어울리는 게임이 아닐까 싶습니다.
@uhappy3996
@uhappy3996 3 ай бұрын
느낌이 중요하면 디지몬을 끌고오면 안되죠 매 시리즈마다 디지몬같다 소리 듣는게 포켓몬인데 ㅋㅋ 그건 그렇고 표절이 게임시장의 침체를 가져온다는 건 동의하기 어렵네요 롤이 도타를 얼마나 표절했는들 롤이 나온게 게임 시장을 침체시켰다고 할 사람은 아무도 없잖아요? 파판이 드퀘를 표절했다 해도 파판이 안나오는게 게임 시장에 도움이 되었을것이라고 말할 사람이 과연 많이 있을까요? 아니면 카트라이더가 마리오카트를 표절해서 마리오카트가 휘청일정도로 피해를 입었나요? 전 특히나 게임업계는 표절에 관대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게임을 비슷하게 만들어도 그래픽 시스템 스토리 등 워낙 다채로운 컨텐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게임의 특성상 유저들의 게임 경험까지 베낄수는 없는 것이고 각 게임마다 고유의 파이를 형성할수 밖에 없다고 봐요. 상표권까지 넘볼정도로 소비자가 혼동되게 만들어서 '포켓몬이다!' 소리가 나올 정도면 업체가 알아서 잡겠고 '포켓몬 닮았다' 수준의 게임이 판을 친다면 로그라이크 소울라이크마냥 포켓몬라이크 게임들로 퉁칠 날이 오겠죠 뭐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일단 대체 어느 매체에서 매 시리즈마다 디지몬 같다는 여론이 형성되는지 잘 모르겠고요, 도타, 히오스, 롤이 왜 서로 다른 게임인지 아세요? 적어도 캐릭터 컨셉과 디자인이 다르고 모션이 다르고 효과음이 달라서에요. 아묻따 그냥 가져다 쓰면 그게 모방이 되는게 아니잖아요? 최대한 구분되고 독자적이려고 노력하고, 기존의 것보다 발전하려는 티라도 내는데 보자마자 "아, 이거 포켓몬이여도 너무 포켓몬인데." 반응이 나오면 누가 플러스 알파가 들어간 모방이라고 생각하겠어요? 게임해보니 약간 닮았다 수준도 아닌거 같은데 말이죠.
@uhappy3996
@uhappy3996 3 ай бұрын
@@Space-xXx 저도 포켓몬이 디지몬 안닮았다고 생각하는데 매 시리즈 그런 분들이 있더라고요 구글에 '디지몬같다' 쳐보세요 몇건이 나오는지 제 의견은 아닌데 영상 3:25 에서 느낌적인 느낌이 중요하다시길래 디지몬 느낌이나 포켓몬 느낌이나 비슷하다는 분들이 많다는걸 알려드렸을 뿐이에요 그리고 도타 롤 포켓몬 팰월드 다 재밌게 한 입장에서 말하는건데 도타랑 롤이 포켓몬과 팰월드보다 비슷하다고 봅니다. 캐릭터 컨셉? 초창기엔 따라만든게 절대 다수였고 맵 디자인? 님 말마따나 약간 닮았다 수준도 아니죠 최대한 구분되고 독자적이려고 노력한다면 되는건가요? 그럼 팰월드도 포켓몬과 구별되게 거점 자동화 생산 헌팅 생존 구별 될만한 요소를 잔뜩 고민해서 넣었네요. 게임 컨셉이 아니라 디자인이 너무 표절인가요? 포덕인 저도 들고 화염방사기로 쓰는 포켓몬이나 기관총 들고 난사하는 포켓몬은 본적이 없는데요? 기존의 것보다 발전이 없었나요? 등에 대포 달고 입으로 하이드로펌프 쓰는 포켓몬 거북왕보다야 어깨에 맨 다연장로켓발사기로 로켓 쏘는 팰월드 헤로롱이 발전한것 아닌가요? 도타랑 롤이 다른 게임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것보다 더 안닮은 팰월드랑 포켓몬도 다른 게임이라고 생각하세요..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uhappy3996 거점 자동화 생산 헌팅 생존 수집 경영 등등은 포켓몬이랑 전혀 다른 타작에서 갖고 온 시스템이고요... 현대식 무기 들고 싸우는건 그냥 포켓몬과 아무 연관성 없는 컨셉인데 진짜로 어떤 미감이 뭐가 바뀌었나요? 장르 자체가 다른 요소를 근거로 들지 말아주세요.
@uhappy3996
@uhappy3996 3 ай бұрын
@@Space-xXx '도타, 히오스, 롤이 왜 서로 다른 게임인지 아세요? 적어도 캐릭터 컨셉과 디자인이 다르고' 라고 하셨는데 팰월드랑 포켓몬도 '현대식 무기 들고 싸우는건 그냥 포켓몬과 아무 연관성 없는 컨셉인데' 컨셉이 다르다고 직접 말씀하셨네요 다른 요소를 근거로 들지 말라고 하시니 직접 말씀하신 것만 근거로 들어 드리겠습니다.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uhappy3996 캐릭터 컨셉과 장르는 전혀 다르지 않나요;;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3 ай бұрын
근데 가만히 생각해 보잖아?? 이거 아크서바이벌이나 마크만 봐도 시스템상 모드로 많이 나와있는데. 상업적으로 쓰이는건 아니지만 펠-포켓몬 표절이라는 문제가 생긴다면, 게임의 모드들도 다 표절논란에 자유롭지 못하게 돼는거 아닌가??
@user-sq5wx5ok2q
@user-sq5wx5ok2q 3 ай бұрын
포켓몬 쪽에서는 여럿 제재를 가한 이력이 있으니까요ㅡ
@CoolguyPN
@CoolguyPN 3 ай бұрын
처음에 팰월드 보고 아크, 포켓몬 등등을 쏙 빼닮은 똥겜이 하나 탄생했구나. 하고 생각했는데, 영상 보니까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6CUR6SED6
@6CUR6SED6 3 ай бұрын
진짜 아크서바이벌에다 포켓몬 그래픽 씌어두고 아케이드성 높인 게임 ㄹㅇㅋㅋ
@int_kim2949
@int_kim2949 3 ай бұрын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오히려 디자인을 베낀거보단 게임성을 베낀것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팰월드가 이정도의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가 게임성이 좋아서지, 디자인이 포켓몬 비슷해서는 아니니까요 (모바일이든 PC든 포켓몬 디자인 복붙해온 짝퉁겜은 많지만 이정도 성공작은 없듯이요) 첫인상(디자인 및 UI)과 초반 일부 시스템을 봤을땐 포켓몬 젤다 등등을 대놓고 표절한 게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게임성은 오픈월드 생존게임 장르들의 것을 더 많이 가져와서 아예 다른게임처럼 느껴졌네요. 사실 최대피해자는 언급도 잘 안되는 이쪽 게임들이 아닐지..
@Jeong.Woo_
@Jeong.Woo_ 3 ай бұрын
소리없이 보니까 너진똑이랑 비슷하네 집중이 잘되는 느낌이있다.
@Trickcurlballpull
@Trickcurlballpull 3 ай бұрын
그거 아십니까? 팰월드 회사가 후속작에 또 할로우나이트랑 닮았다고 표절이 또 터졌습니다 으하핳 존나 재미있어
@user-rb2dw9tt8b
@user-rb2dw9tt8b 3 ай бұрын
몬스터볼, 디자인 표절 님이 몬스터볼 만들어는데 디자인 바꾸고 포켓몬 짬뽕하고 팰이라고 우기면 제작자는 당연히 화날듯
@user-th9qs5je1b
@user-th9qs5je1b 3 ай бұрын
솔까 다른시스템은 몰라도 포덕으로서 팰들의 모습이 포켓몬을 의식하고 만든것이 보여서 표절이 아니더라도 안타까운것같습니다
@user-xq4go6vh9c
@user-xq4go6vh9c 3 ай бұрын
법적으로 문제가 있나? 없으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다른 중국 게임들을 보면 똑같지만 법적으로 문제되는게 없더라도 퀄리티가 않좋거나 유저들이 몰르거나 별로라서 묻히는게 빈번하다 팰월드는 원신이라고 생각할수 있다 원신은 젤다랑 비슷한 느낌을 주지만 원신만의 느낌도 준다 팰월드도 아크랑 플레이는 비슷하지만 팰월드만의 느낌을 준것이다 그리고 유저들은 그러한 플레이가 재밌고 즐겁고 신선하기에 그런 게임을 한다고 생각한다 디자인에 대한 논란은 꼬리표로 남을것이지만 팰월드가 그 꼬리표를 사람들이 잊을 만큼의 게임이 된다면 성공한 게임이다
@rlatpdbs22
@rlatpdbs22 3 ай бұрын
사실 고소 해야되는건 아크서바이벌이 해야되는게 맞지만, 그래픽적으로 포켓몬과 다퉈야 될것 같아서 다들 잊혀지고 있을 뿐...
@homun2873
@homun2873 3 ай бұрын
본격 채팅에서 싸우라고 싸움붙이는 유튜버 (웃자고 한소리 입니다)
@user-sy5wm6jm5q
@user-sy5wm6jm5q 3 ай бұрын
팰월드 보다보면 게임은 예술이 아닌거 같음 어떤 예술계가 표절을 용서함?
@user-sy5wm6jm5q
@user-sy5wm6jm5q 3 ай бұрын
적어도 파쿠리는 맞다고 생각함
@Space-xXx
@Space-xXx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이 논란은 빠와 까의 양극화가 너무 심한거 같음. 못한건 못한거고, 잘한건 잘한건데. 왜 시스템을 잘 만들었으니 디자인 표절을 정당화시키고 디자인 표절이니 게임 자체를 비난하는지;; 특히 "니가 뭘 할 수 있는데, 알빠노" 같은 스탠스 취하고 있는 애들이 극혐.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디자인은 전부 뺏긴게 맞다 그와 별개로 재미는있다 ㅇ 이게팩트고 딴말은 다 빠랑까임
@user-jr4he1ff6z
@user-jr4he1ff6z 3 ай бұрын
포켓몬 얘네는 아예 그 상대가 우리 배꼈음! 이라고 하지 않는 이상 고소를 안때리는데 포알못 왤케 많지...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말 애매하게 하시는데, 디자인이 정확히 동일한 경우 고소를 때리죠. 왜 why, 애매하면 이길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니까요.
@user-jr4he1ff6z
@user-jr4he1ff6z 3 ай бұрын
@@doyunkang1011 그러기엔 당장 플스에 포켓몬만 쳐봐도 짭게임 수없이 나옴. 그리고 그걸 올리는 유튜버도 있음. 당연히 신고도 안먹음. 얘네가 그런거 귀찮아해서 윤겔라사건에서 승소했음에도 카드도 윤겔라 건너뛰는 카드도 나왔고, 애니에서도 한동안 안나왔었음. 좀 티내지 마셈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user-jr4he1ff6z ; 님 말에 따르면 우리 베꼈음!만 안 하면 닌텐도가 고소를 안 한단건가요? 세상 ㅋㅋ
@user-jr4he1ff6z
@user-jr4he1ff6z 3 ай бұрын
@@doyunkang1011 소송 붙잡고 있을 시간에 게임 하나 더 만들어서 파는게 이득이 더 크니까 ㅋㅋㅋㅋㅋ 닌텐도가 정의의 사도쯤으로 보이는거임? 애다 애 ㅋㅋ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user-jr4he1ff6z 20살 언더 예상되는데 포알못 운운하기 전에…. 포켓몬 디자인 고대로 써도 ’우리 베꼈다‘ 안 말했으니까 닌텐도가 고소를 안할거란 생각은 걍 무식한거 아닌가… 고소할 시간에 게임 개발하는게 이득이면 지금까지 한 번도 고소를 안 했어야 말이 맞지 뭔… 지금 이 순간에도 포켓몬 모드, 베꼈다고 말 안 하는 수 많은 팬모드가 고소 당하고 있구만 진짜…자꾸 그 순간만 모면하려는 화법은 어디서 배워먹었는지…
@sdldsmfilem875
@sdldsmfilem875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어느정도 베낀게 사실이겠지만 이걸 표절이라고 인정하면안되지 귀엽고 둥글둥글 간단한그림체를 전부 포켓몬거라고 할게 아닌이상에야,
@user-nz9oz8lq7c
@user-nz9oz8lq7c 3 ай бұрын
포켓몬이랑 디지몬이랑 디자인이 많이 차이난건 초반입니다.... 요즘 포켓몬은 디지몬스러운것들이 생겻습니다 느낌이 아예 다르다고 할수 없습니다..... 록맨 배낀거 아니냐는 포켓몬도 있습니다...
@re_peck5169
@re_peck5169 3 ай бұрын
음식으로 생각해보면 생긴게 비슷하고 맛도 비슷 하다고 하는데 레시피가 같다는 이유로 처벌을 받아야 하는건가요? 게임으로서 시스템을 소량 가져올 수 있고 디자인이 비슷할 수도 있는거죠
@Dragon-1209
@Dragon-1209 3 ай бұрын
팰월드가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를 가져온 게임인건 맞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팰월드에 하나의 재미도 못느껴서 노잼 표절게임이란 생각밖에 안드는데다 제작사가 전작을 유기하고 그 돈으로 팰월드를 제작한거라 팰월드도 뽕을 뽑을만큼 뽑고 언제 유기할지 모르는데 인기가 많은게 신기하게 느껴지네요 여담으로 팰월드 환불하고 돈 보태서 발더게3 재밌게 하는중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애초에 개발자 지금 유기각 보고 있음; 그리고 난 개인적으로 팰월드 재밌게 하고 있는데 3만원게임에 자아의탁해서 표절겜 소리 듣기가 그렇게 싫은지 궁금함..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sldjaal 답을 정해두고 대화를 하는 님을 싫어하는거 아닐까요;;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doyunkang1011 본인이 말귀 못알아먹고 여기서 이러시네;ㅋㅋㅋ참 곤란합니다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sldjaal아 같은 사람이여?ㅋㅋㅋㅋㅋ
@doyunkang1011
@doyunkang1011 3 ай бұрын
@@sldjaal뭐 다른 댓글이랑 무관하게 ‘펠월드는 표절겜’이라고 본인 답 정해두고 사시는 듯 하시는데… 뭐 그럼 대화는 요식행위 같은건가요. 수고하세용
@kor_b_yam4215
@kor_b_yam4215 3 ай бұрын
표절이 계속해서 일어났을 때 게임들이 비슷해져 흥미가 떨어지고 재미없어질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셨는데 반대의 경우도 똑같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로 성역취급받던 포켓몬게임은 4,5 세대에 비해 9세대가 재미있거나 발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적을겁니다. 표절을 옹호하는건 아니지만 휴전이 오래되면 평화의 간절함을 잊듯 팰월드같은 게임이 나와서 잘되는 모습을 보여 게임프리크같이 성역취급받는 게임사들에게 위기감을 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위기로 느끼지도 않겠지만....
@Ryung_Gu
@Ryung_Gu 3 ай бұрын
나는 표절 논란에 있어 '아니다'라는 쪽에 한표 주고 싶은 사람임. 먼저 시작했다 해서, 아직 그 어떤 법적 판결도 조치되지 않은 현 시점에 무죄추정을 떠나 일반 게이머들이 유사성을 느꼈을 수는 있음. 근데 결국 그 '느낌'은 근본적으로 표절이 아니라 봐야함. 적어도, 우리가 그걸 정의살 권리는 없고. 단지 표절 논란으로 조회수 빨아먹으려는 형태로만 보이는 게 너무 많았다. 과연 지금 내가 '표절'이라고 보는 것이, 표절이라고 생각해서 봐서 그런 것인지, 표절로 가스라이팅 당한 것은 아닌것인가.
@Ryung_Gu
@Ryung_Gu 3 ай бұрын
포켓몬이 너무 또 성역화과 되는 것인지 옳은 것인가? 너무 한 방향가지고 편협된 시선을 갖추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user-hs8tc5gd7i
@user-hs8tc5gd7i 3 ай бұрын
표절의 정의를 사람마다 다르게 생각하는 거 같은데, 단순히 딱 봐도 포켓몬을 대놓고 베껴서 팰을 디자인했다는 건 그냥 보면 알잖아 그게 중요한 거 아닌가? 내가 도둑질한 건 맞지만 법적으로는 문제 있는지 없는지가 그렇게 중요함?
@bluecheese7366
@bluecheese7366 3 ай бұрын
공,과는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픈월드 + 서바이벌 + 몬스터 수집 요소를 절묘하게 버무려서 재밌는 시스템을 만든 건 칭찬받아 마땅하지만, 그게 포켓몬을 대놓고 베낀 디자인에 대한 면죄부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설령 이게 '법적으로' 무죄 판결을 받는다 해도, 게임업계에선 이래도 문제없다는 선례를 남겨선 안된다고 봐요.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ㅇㅇ맞음 저런디자인은 아예 걍다뺏긴수준임 한두마리가 아니라 여럿팰이 포켓몬이랑 비슷함 저게 아무문제없으면 이제 그어떤겜들이 인기겜 디자인 ip화 돌려서 내놔도 욕하면안되는거임
@user-bh8eu2qi8o
@user-bh8eu2qi8o 3 ай бұрын
딱히 저작권법이 좋다고 생각되질 않아서 오히려 처벌하지 말아야죠. 저게 처벌되는 판례가 생길까봐 두렵기까지 하네요
@kionz0
@kionz0 3 ай бұрын
이걸로 디자인 표절 되면 서브컬쳐류 갬 죄다 표절이 되는거죠. 그렇개 따지기 시작하면 현존 하는겜 90% 이상은 다 표절에 해당할거입니다.
@hanjoon_74
@hanjoon_74 3 ай бұрын
포켓몬 게임들이 최근 실적이 좋지 않다고 들었는데 개인적으로는 팰월드의 성공이 포켓몬 프렌차이즈의 게임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으면 좋겠네요.
@neighborsbear
@neighborsbear 3 ай бұрын
옛날 포켓몬만 아는 사람이 지금 포켓몬 보고 포켓몬 아닌데 하고 디지몬 같은데 하는 느낌은?
@user-default-value
@user-default-value 3 ай бұрын
논리정연한게 지직이며 영상도 재미있어 좋아요랑 구독 누르겠습니다!
@daenlevel2823
@daenlevel2823 3 ай бұрын
일본법을 기준하여 일본에서의 판례를 예시로 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중간에 우리나라 법이라고 언급하신 부분이 있는데 편집하셔야할 것 같아요.
@OnionBread
@OnionBread 3 ай бұрын
이미 다식은 떡밥을....
@user-kq3ew8hg9k
@user-kq3ew8hg9k 3 ай бұрын
근데 법은 다른나라 기준으로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팰월드 우리나라게임도 아닌데요 그러니까 그나라 기준으로 그나라 법으로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daenlevel2823
@daenlevel2823 3 ай бұрын
아쉽긴해요. 팰의 디자인 느낌만 바꿨어도 좋았는데
@sim-_sim
@sim-_sim 3 ай бұрын
느낌이 표절이면 노래에서 비틀즈 레릿비코드쓴 노래는 다 표절임
@user-Bixby
@user-Bixby 2 ай бұрын
초토리 윈드디어같이 양심 뒤진 디자인 보고도 이러냐ㅋㅋㅋ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 3 ай бұрын
디자인이 비슷하다고 하지만 동일한 디자인은 없고, 각 캐릭터의 모티브는 자연계의 동물들에게 따온 건 동일하니 각 모티브가 같은 팰이나 포켓몬은 어느정도 비슷함을 공유하는게 맞기도 하죠. 애초에 완전한 순수 창작은 없죠. 같은 모티브에 귀여움을 추구하느냐 디자인 하다 보면 비슷하게 나올 수 밖에 없고.
@dmild3425
@dmild3425 3 ай бұрын
사실 포켓몬도 드퀘 때문에 가려운 부분이 있죠.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드퀘표절충 왔노;;
@Dora_Dinosaur
@Dora_Dinosaur 3 ай бұрын
포켓몬 디자인은 드퀘가 아니고 울트라맨을 가져와야 맞음 특촬에 영감을 받만든 포켓몬 많음 드퀘 표절이라고 인터넷에 떠도는건 모티브 생물이 같으니 비슷한거지 몬스터 화풍이 달라서 솔직히 크게 닮지도 않음
@dmild3425
@dmild3425 3 ай бұрын
@@sldjaal 짭월드충 왔노
@dmild3425
@dmild3425 3 ай бұрын
@@Dora_Dinosaur 디자인에 관련된 이야기가 아니고 시스템에 관련된 이야기 입니다
@Dora_Dinosaur
@Dora_Dinosaur 3 ай бұрын
@@dmild3425 몬스터가 동료가 된다는게 드퀘쪽이고 시스템은 드퀘보다는 마더
@user-tg7mw6rq2s
@user-tg7mw6rq2s 3 ай бұрын
너무 딱딱하게 반응하면 역으로 발전이 없어지는거지
@user-qs1fu8ow2g
@user-qs1fu8ow2g 3 ай бұрын
아크 서바이벌이 표절 신고는 그러려니 하는데 포켓몬이 표절 신고하면 이 새끼들 요즘 포켓몬 게임 거지같이 만들면서 갓겜을 죽이려고 하네 라는 생각이 더 많이드네요. 제대로된 포켓몬 게임 만들라고!!!!!
@user-xm5zn8og9l
@user-xm5zn8og9l 3 ай бұрын
포켓몬=펠 보스,플레이어모습=젤다 나머지=아크서바이벌
@KR-or4nz
@KR-or4nz 3 ай бұрын
게다가 법적으로 하고싶어도 일본 법으로 해야....
@user-bq7ek7dw3j
@user-bq7ek7dw3j 3 ай бұрын
젤다도 인벤 제한있는...
@user-vk9wo8qm9w
@user-vk9wo8qm9w 3 ай бұрын
그렇게 커버쳐도 이건 좀 선넘었긴 함 아무리 게임방식(?)은 아크서바이벌이어도 플로라디노 빙천마 아누비스 제트래곤 로빈몽 초토리 볼때의 충격이 잊혀지지않음;; 심지어 팰월드는 아직 얼리억세스임..더 베낄 수 있다는 소리이기때문에 빨리 처벌 내려야함
@_bbinto5276
@_bbinto5276 3 ай бұрын
당장 게임프릭이 암 소리도 안내고 있는데 포켓몬을 좋아하거나 알고 있는 유저들이 표절이라고 수십 수백 수천 얘기 해봐야 공식이 표절이라고 말하지 않는 이상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면 닌텐도는 원신이 젤다 표절했다고 소송을 걸었어야 했죠. 하지만 그냥 가만히 있습니다. 그저 도의적으로 표절이 눈에 띄어서 게임을 안하는 유저, 나는 재밌을거 같으니 시작하는 유저만 남는겁니다.
@user-vk9wo8qm9w
@user-vk9wo8qm9w 3 ай бұрын
@@_bbinto5276 이때까지의 짝퉁게임들과 팰월드와 다른점은 빠른시간 안에 엄청난 기록을 달성한건 좋은 일이지만 이 게임은 얼리억세스에요 포켓몬을 한마리라도 더 베낄 수 있단 말임
@_bbinto5276
@_bbinto5276 3 ай бұрын
@@user-vk9wo8qm9w 대놓고 포켓몬 가져다가 쓴 게임들은 다 철퇴맞고 사라졌습니다. 근데 팰월드는 팰월드에 대한 입장 하나만 올리고 이후에는 묵묵부답입니다. 이미 게임 내에 검은색 뮤츠라고 해도 무방한 디자인이 게임 데이터로 존재합니다. 억지로 꺼내면 대부분은 다 정상작동하고 있고요. 이 팰 역시 카피 했다는 느낌은 부정할수 없는데 이것조차 나오고나서 이거 표절임! 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표절이 아닌겁니다. 팰월드 옹호가 아니라 실제로 게임 프릭이 대응을 안해서 그런겁니다. 포켓몬 카피 하나든 백이든 늘려도 공식이 가만히 있으면 의미가 없는겁니다.
@NanMang
@NanMang 3 ай бұрын
아크도 게임취급 해줘ㅠ
@user-xl3in3jv5c
@user-xl3in3jv5c 3 ай бұрын
현직 게임 개발자로 표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장르적 유사성을 극한으로 끌고간 것은 맞지만 표절로 딱 판정하기에는 걸리는 부분이 너무 많고, 그럼에도 팰월드=표절이라고 하면 사실 닌텐도 세가 블리자드 넥슨 유비소프트 모든 회사가 표절이라는 식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고 그렇다고 해서 이 표절논란이 무슨 의미있는 결론을 가져올 것인가? 하면 닌텐도는 소송까지 해가면서 막아도 이익을 볼 게 없으니 소송은 안 할 것이고, 그렇다면 그냥 결론없는 무한한 논쟁만 이어질 뿐이거든요. 표절은 결국 법이 인정 안해주면 논쟁, 논란으로만 이어질 뿐이다보니 따지는 자체가 에너지 낭비가 된 느낌이네요.
@user-xl3in3jv5c
@user-xl3in3jv5c 3 ай бұрын
그리고 영상 말미에 나온 디자인 표절이라는건 불가능한 판결이라고 봅니다. '화풍' 자체가 고유하다고 판결이 내려지면 그게 '팰월드는 표절입니다 ㅎㅎ'를 넘어서 야수파, 입체파같은 미술사조에서도 화풍을 가지고 표절이라고 해야하는 상황이 옵니다. 그래서 딱히 팰월드가 법적인 의미에서의 표절이라고 생각치도 않습니다. 카피의 의도가 엿보이느냐와 표절판결(=유죄)인가는 전혀 다른 범주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CHZZK_NAVER
@CHZZK_NAVER 3 ай бұрын
표절 인정 받으려면 보스가 "이 세계의 파괴를 막기 위해 이 세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사랑과 진실, 어둠을 뿌리고 다니는 팰월드의 감초, 귀염둥이 악당" 이 정도는 하고 번개냥이 번개 번개 냥 정도는 해야 할 듯
@TitianicColaBear
@TitianicColaBear 3 ай бұрын
@@CHZZK_NAVER이거 누가 팬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면 재밌을듯ㅋㅋㅋㅋ
@user-rr3rk7fz1b
@user-rr3rk7fz1b 3 ай бұрын
팰의 디자인적으론 표절 같아 보입니다
@Practicepanese
@Practicepanese 3 ай бұрын
​​@@user-rr3rk7fz1b실버디 조금 많이 닮은 얘 있긴 하더군요
@coingoblin
@coingoblin 3 ай бұрын
솔직히 디자인이 전혀 다르더라도 펠스페어(포켓몬볼 역할)은 도의적인 문제가 다분해 보입니다.
@user-uf5ih9jj1m
@user-uf5ih9jj1m 3 ай бұрын
몬스터 수집형 게임에서 무언가를 던져서 맞춘다 식이 제일 흔한 거라서 그건 장르적 허용으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user-uf5ih9jj1m3번흔들ㄹ리는거까지 똑같던데 걍 ㅁ모든걸 뺏김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그럼 이제 모든게임들이 전부 다뺏길듯 디자인 ip로 돌려서
@starlion822
@starlion822 3 ай бұрын
셊곖쵮곲읪횞삾콦낪밊값 만든 맚듒를 하는 사람인데...콦낪밊의 게임은 거르는게 맞스빈다...
@user-xj1is9du7l
@user-xj1is9du7l 3 ай бұрын
솔직히 포켓몬이든 젤다든 비슷한건 그냥 아크가 제일인거같음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포켓몬 찾기전에 둘리랑 연관성부터 찾아봐라 좀 둘리 집안일하지 밥하지 마법도 부리지 헌팅도하지 고길동이랑 희동이가 잘못했네 표절은 무슨
@user-lk4lt9bc3y
@user-lk4lt9bc3y 3 ай бұрын
콤하
@user-vy6vt6lz9h
@user-vy6vt6lz9h 3 ай бұрын
디자인을 전부뺏긴게 문제임 ㅇㅇ
@KuroJun94s
@KuroJun94s 3 ай бұрын
표절충들 따지는거 들어보면 젤다의 전설의 경우도 ... 링크, 피터팬 (객ㄱ... 아니 용기를 담당) 특유의 녹색 의상과 뾰족귀 (피터팬 사실 인간. 하이랄 인도 뾰족귀의 인간. 즉 엘프와는 무관하다는 공통점까지도 있음) 나비 비스므레한 뭔가가 존재함 젤다, 웬디 달링 (지혜를 담당) 반드시 여성, 파란색, 드레스 차림 반드시 납치당함. 가논, 후크 (꼰ㄷ... 아니 힘을 담당) 주인공 일행보다 덩치 큼. 꼭 빨간색이 들어감. 악역임. ... 이런 식으로 표절이라 우길 수도 있겠네? ㅋㅋㅋ
@user-zf6kt6oz7s
@user-zf6kt6oz7s 3 ай бұрын
근데 그 논리 그대로 가면 제가 '삼성 제품을 그대로 만들되, 로고만 삼성에서 샘성으로 바꾸면 표절이 아니다.' 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건 명백한 표절이잖아요 원래 표절과 모티브는 종이 한 장 차이 밖에 나지 않고 다들 표절이 되기 싫기 때문에 그 종이 한 장 차이를 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차별점을 두는지 아시잖아요? 따라서 저는 이걸 얼마나 차별하려고 노력했으며 그 결과가 어떤지를 봐야한다고 봅니다.
@juminlee6318
@juminlee6318 3 ай бұрын
팰월드가 그럼 표절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거임? 시스템적으로는 그럴수 있겠다 쳐도 디자인적으로는 솔직히 표절이 맞음.. 무슨 말도 안되는 억지 끼워 맞추기를 팰월드 디자인 표절 논란이랑 비교하네
@HAMS766
@HAMS766 3 ай бұрын
맛있어.
@TheNewYorkStockExchange
@TheNewYorkStockExchange 3 ай бұрын
팰ㅋㅋ
@Louis_louiss
@Louis_louiss 3 ай бұрын
그냥 아크를 하자
@mysky9119
@mysky9119 3 ай бұрын
절도겜 닼닼도 잘되게 생겼는걸 뭐~ 그냥 한 잔 해~
@impostergodzilla7193
@impostergodzilla7193 2 ай бұрын
ㅈ월드
@2NTiTy
@2NTiTy 3 ай бұрын
근데 팰월드가 도덕적으로도 표절이라는 인간 중에 롤이랑 롤토체스는 표절 아니라는 인간들 여럿 있었어서 ㅋㅋㅋ 걍 닌텐도 갓겜부심임 도덕적 가치? 그딴거 아님ㅋㅋㅋㅋㅋㅋ 걍 도덕적으로 우월한 나를 전시하고 싶은거 뿐임
@user-cy9ij4ru9c
@user-cy9ij4ru9c 3 ай бұрын
ㅋㅋ 포켓몬보다 더 재밌는데 어떻게 표절임?? 게임프리크 제발 정신이나 차렸으면 ㅋㅋㅋㅋㅋㅋ
@fucking_china
@fucking_china 3 ай бұрын
더재밌으면 표절이아니다 기적의논리노 ㅋㅋㅋㅋㅋ
@sldjaal
@sldjaal 19 күн бұрын
포켓몬 해보지도 않으셨으면서 그걸 어떻게 아심?(진짜모름)😊
@user-hh6bq5rs6k
@user-hh6bq5rs6k 3 ай бұрын
드퀘나 포켓몬이나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3 ай бұрын
게임 계의 디즈니 게임 프리크
@user-uh4ly4ey3f
@user-uh4ly4ey3f 3 ай бұрын
난 펠월드가 표절같아서 좀 아니꼬움
@user-ur7xg7iz8u
@user-ur7xg7iz8u 3 ай бұрын
재미 있으면 그만!!!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어디가 표절이라는건지 대체 ;;; 포켓몬도 다른 시스템을 많이 가져와서 팰월드 자체가 표절일수 없습니다. 그리고 팰월드를 만든 회사의 전 작들을 봤을때 시스템은 절대로 표절일수 없고 디자인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냥 느낌 비슷하다고 표절이라니요 ㅋㅋㅋ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아이디어를 가져왔다고 해서 표절일수 없다는건 이미 포켓몬 자체도 타사 게임들 표절일수 있습니다. 애초에 성립 자체가 안됩니다. 디자인이 유일하게 표절이냐 마냐의 문제인데 귀엽다 생긴게 비슷하다정도로 ㅋㅋ 디자인이 표절이 나옵니까 ? 이거 논쟁 하는거 자체가 의미가 없습니다.
@sldjaal
@sldjaal 3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정신병이네..눈 달렸으면 표절이라고 해야 하는데 뭐 꼬부기 피카츄 이런애들밖에 몰라서 뭐가 표절인지도 모르는거임?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sldjaal 이바보야 포켓몬도 다른거 표절이란 소리다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sldjaal 우엥 우엥 배그는 어떻게 생각해 ? 그게임도 개 표절인데
@user-uu1ub7eu1s
@user-uu1ub7eu1s 3 ай бұрын
@@sldjaal 롤은 어떻게 생각하는데 ㅋㅋㅋ??? 롤은 아예 시스템이 모 게임을 그대로 가져다가 썻느데?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 3 ай бұрын
디지몬부터 까고 팰월드 까면댐.
표절 논란에도 역대급 흥행, 사람들은 왜 팰월드에 빠져드는가?
24:02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진정한 '우주 탐험'을 연출한 게임
10:17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4,7 М.
알고보면 소름돋는 원신 결말 추측 설명회
28:08
[림버스 컴퍼니] 진 출혈덱
3:55
브램
Рет қаралды 8 М.
가장 빠른 이사 방법 정리, 거점 공중 이사, 팰월드 팔월드
9:56
PoEasy 쉽고 편한 게임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116 М.
인디 게임 주제에, 이 정도의 재미를!!
9:00
콤므의 게임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2,4 М.
돌 35만개로 건물 딱 “한채” 짓기 | 팰월드 건축
7:08
JHANDS 제이핸즈
Рет қаралды 56 М.
МОЙ ПИТОМЕЦ КАКАШКА ВЕДЁТ СЕБЯ СТРАННО!! (Bou's Revenge)
14:47
ShadowPriestok - Евгений Чернявский
Рет қаралды 741 М.
Lp. Последняя Реальность #86 ТЕЛО АВТОМАТОНА [Дилан] • Майнкрафт
33:53
MrLololoshka (Роман Фильченков)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BLAST Premier Spring Final 2024 Presented by Revolut: Semifinals
7: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