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상은 의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음. - 창조력 코드 구매 링크 1. 교보문고: 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88850945&orderClick=LAG&Kc= 2. 예스 24: www.yes24.com/Product/Goods/91065845?scode=029
@uuiioopp304 жыл бұрын
c책 광고 좋아요 자주 해주세요!
@rzmin54564 жыл бұрын
에스오디님. 혹시 기회가 생기시면 ai 시대때도 외국어 공부는 여전히 필요한지에 대한 주제도 설명해주세요!
@njdjwgu4 жыл бұрын
tmi : 썸네일에 나온 코드의 언어는 c++이다
@Ssirif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프로젝트 진행한 분들은 렘브란트는 렘브란트만 그릴 수 있다고 했나봐요 지식채널e : instagram.com/p/CCvMlP0jHYd/?igshid=o3qzikvjb9q2
@김용민-h1i9v4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추천했던 책들 정리해서 올려주세요
@user-zl3kc3pp6w4 жыл бұрын
어느 순간 특이점을 넘으면 인공지능과 인간의 차이는 넘사벽이 될 거라는데 그 과정 같네요 흠
@조유준-d5f4 жыл бұрын
특이점이 온다...
@Goodboy-1l1l4 жыл бұрын
상황 인지 능력이 생기면 ㅈ될듯 그냥
@BummjunJoe4 жыл бұрын
나는 인공지능과 로봇 그리고 인간이 혼합된 존재가 다음단계로 진화한 인류가 될거라 믿음
@GGolfemiKimchiboGDetector4 жыл бұрын
과연 개인이 사이보그가 되려고 할까? 전 이게 궁금함 애초에 인간의 사이보그화란 그저 sf광신도들의 바람이나 망상일 뿐일지 너무 궁금함
@mortgage74964 жыл бұрын
@@GGolfemiKimchiboGDetector 당연하지ㅋㅋㅋㅋ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하여 인간의 의식을 데이터화할 수 있다면 죽음이라는 개념자체가 사라질거임. 인류 최대의 목표인 영생에 도달하는 거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쌓아올린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인생에서의 행복을 잊는 것에 대한 고민으로 스스로에게 삶의 이유는 뭘까하며 철학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는 없게 됨. 나는 영생을 위해서 삶을 삼. 그리고 인간의 데이터화가 가능하다면 반드시 할 거임.
@장래희망코인물4 жыл бұрын
소프트웨어학과 다니고 있는데 저 놈의 인공지능 때문에 학부생들도 인공지능 배우느라 미칠 것 같음
@까까오-i3e4 жыл бұрын
레알로요 컴공 졸업생인데 전선과목이었지만 인공지능 그냥 맛보기만 했을뿐인데도 정말 어려운 과목... 덕분에 레포트 선배 돌려막기만 했을뿐 진짜 제대로 하려면 삼성같은 인공지능 연구소 가야 아는 교수님이 삼성 인공지능 연구소 협력교수라 견학 해봤는데 알고리즘에 꽤나 자신 있었는데도 거기서는 그냥 ㅈ밥이었네요
@요요-n6q4 жыл бұрын
김제현 통계도 지도 비지도학습 배우나요?
@sehwan984 жыл бұрын
전 AI때문에 편입을 하고자 하는데요
@jjk48914 жыл бұрын
근데 결국 그거 배워놓으면 취업할때 유리한거아니예요? ㅋㅋㅋㅋㅋ 화이팅하십숑
@sjs5924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입니다. 저도 모르겠읍니다.
@parkdr.53814 жыл бұрын
이미 그 특이점이 왔습니다. 지금 주식시장에서 개인 빼고 기관.외국인들이 주식 거래하는건 사람이 하는게 아니라 기계가 합니다. 2017년 부터 광범위하게 도입되서 지금은 기계가 매매합니다. 인간은 데이터만 입력하고 조만간 이것도 없어질겁니다. 갈수록 수익률이 낮아지는 이유가 이겁니다. 사람은 기계를 이길 수가 없습니다. 2017년 명동 유안타 증권에서 일한 전직 근로자가 적습니다. 직접 시스템을 보고 나면 AI 이후 인간 일자리는 없어질거라는걸 소름끼치게 알겁니다. 인간이 20 년 박사 학위 딸 정도 되는 지식과 노하우를 인공지능은 2시간에 헤치웁니다. 그게 몇년전이니 지금은 상상도 안 가죠. 기계가 매매하는걸 인간이 절대로 못 이깁니다. 그래서 수익 좋은 극소수의 사람들이 신처럼 받들어 지는 이유죠.
@김인찬-z4m4 жыл бұрын
주식은 그냥 시스템 덩어리니까 그건 인공지능이 월등하게 잘하지
@minpakbeyondmind4 жыл бұрын
세계를 다스리는 자들이 죽어서도 자신의 계획을 계속 실현할 수 있다는 말도 되겠네요
@양낙영-e6w4 жыл бұрын
주식매매야 당연히 인간보다 기계가 더 잘하지만.. 20년 박사학위 딸정도의 지식?? 불가능합니다... 아직 자연어를 사람만큼 이해하는 것 조차 완벽하지 않은데 박사학위 지식을 어떻게 습득합니까.. 현재 인공지능은 바둑, 번역 등 독립적인 테스크에서 괄목할만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인간의 지식이라고 함은, 각각의 독립적인 작업에 대해서만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가지 작업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을 연관지어 해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까지 상당한 부분을 포괄합니다. 박사학위 과정을 통해 얻는 지식도 그러하고요. 그런 모든 것을 2시간? 도데체 2시간이라는 수치는 어떤 자료를 참조로 이야기하는 건가요? 참고로 전 인공지능에서 자연어처리 전공하는 대학원생입니다
@u0532104 жыл бұрын
몽구네집첫째아들 궁금해서 그러는데 지금 인공지능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kiky_witch4 жыл бұрын
@@u053210 단순작업은 대부분 인공지능으로 대체가능
@arioncelestia79834 жыл бұрын
정말 스카이넷이 실현되는 때가 20년 이내에 올 수도....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AI가 어느 정도 발전하면 문과들이 규제 존나 때려서 그럴 일 없을거임
@mental05164 жыл бұрын
이스터 인간이 생각치도 못하는 방법을 뚫으면 스카이넷은 가능할지도..ㅋㅋ
@치알-p9p4 жыл бұрын
충성충성^^7
@KoreaTripSounds4 жыл бұрын
적어도 유튜브 세상에서는 이미 AI가 지배력을 넓히고 있죠. 어떤 경우는 갑질에 가까운 횡포도 부린다며 유튜브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인간들은 불평을 합니다. 이제 더이상 고객센터에 질문을 한다든지, 컴플레인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지고 있어요. 돌아오는 답변은 인간 직원들도 모른다... AI 알고리즘 영역이다...입니다. 과학 발전은 환영합니다. 그러나 이 정도면 인간으로서 경각심은 가져야 겠습니다.
@차박-p3y4 жыл бұрын
우월한 무언가가 열등한것을 지배하는것은 지구 뿐만아니라 우주도 그럼. 힘이 약한것이 힘이 강한 무언가를 지배하려 한다는것 자체가 모순임. 솔직히 인간이 기계에 지배당하는것은 시간문제임
@im_genius4 жыл бұрын
ㄹㅇ 아인슌타인같은 인공지능 만들어내면 1시간 지날때마다 세상의 비밀이 밝혀질수도 있겠다
@wintrover4 жыл бұрын
그와 인공지능을 구분하는법은 아인슈타인인가 아인슌타인인가 뿐임
@바이오연료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xaeha59264 жыл бұрын
슌타인ㅋㅋㅋㅋㅋㅋㅋ
@것그브그지4 жыл бұрын
@@wintrover ㄹㅇ 다 계획이 있는거임
@bropy34704 жыл бұрын
@@wintrover 아니 ㅋㅋㅋㅋㅋ
@infested_pigeon4 жыл бұрын
죽은 사람 뇌가 잘 보존되어 있다면 그사람의 뇌의 뉴런을 컴퓨터에 그대로 구현했을 때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을지
@BummjunJoe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그러면 그 사람을 살려낼 수 있는거니까요. 뿐만 아니라 유전정보 염기 서열을 한 개도 안 틀리고 모두 그대로 복제해서 합성하고 발현시킬 수 있는 기술이 생긴다면 온전히 어떤 시점의 어떤 사람을 그대로 살려내거나 쌍둥이로 만들 수 있겠네요. 그리고 그렇게 DNA 염기 서열을 있는 그대로 복제해 한 개체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이라면 분명 모든 작용 기작이 발혀진 후 일테고 그러면 우리는 DNA설계도를 직접 그릴 수 있고 전혀 새로운 생명체를 마음대로 설계할 수 있게 되는 거겠죠. 인간이 만들어낸 개념인 신이라는 가상의 존재를 인간 스스로가 직접 자신의 능력을 되어버리는 건 상상만으로도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yankim13964 жыл бұрын
영화에서나 보던..
@s560s4 жыл бұрын
결국 기술은 그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고 봅니다. 일단 뉴런을 보존하고 입력하는게 브레인 리딩이라면 그걸 의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게 AI겠죠.
@IIIIIIIllllIIlIIIIIII4 жыл бұрын
일론머스크 죽기전에 ㅈ발견되면 좋을긋
@빅맥-m2l4 жыл бұрын
가까운 미래엔 가능하겠죠?
@choigeonwoo2598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기술들이 발전하다보면 과연 특이점은 올것인가 ㅋㅋㅋ 진짜 궁금하네요!
@felagund4684 жыл бұрын
그 때까지 인간이 생존가능한가가 중요하겠죠 ㅋㅋ 아직은 기술발전이 환경오염속도를 못 따라간다고 하니 뭐...
@하이-e9h9i4 жыл бұрын
어느 순간 ai에게 미쳤습니까 휴먼 소리 들으면 무서울듯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felagund468 특이점 전에 화성으로 토낄듯 ㅋㅋㅋㅋ
@felagund4684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아무리 지구가 망해도 화성보단... ㅋㅋㅋ
@최덕규-u4m4 жыл бұрын
어리신 분들인거 같아서 한마디 드리자면, 특이점이라는 그것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각기각색의 전공분야에서 현대컴퓨터의 연산속도로 알고리즘을 구현화하여 얻고자하는 결과값을 얻고 다시 그것을 진화시켜 새로운 기술-안목을 뽑아내는 등 그것을 응용시키고 있는 산업분야에 한해서는 이미 시작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잦사모4 жыл бұрын
안타깝게도 인간은 이 우주의 주인이 아녔음 인간은 AI를 만들어내기 위한 거쳐가는존재일뿐
@차박-p3y4 жыл бұрын
ㄹㅇ 나도 이생각함 ㅋㅋ
@vfrtgyuhv334 жыл бұрын
그런가보다 이 드넓은 우주가 인간의 몸을 버리고 기계의몸과 두뇌를 가지고 있는 인공지능의 무대가 되려나보다
@studio_pirates4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게 이미 조련당하고 있습니다... 얼마 후엔 알고리즘이라는 단어가 초월적인 기계의지에 대해 지칭하는 단어로 완전 정착할듯ㅋㅋ
@담비64u067mE4 жыл бұрын
4:02
@Backboooone4 жыл бұрын
자유의지또한 기계의지가아닐까요..뇌가시키는대로..뇌에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우리는 그걸 자유의지라부르잖아요.
@dhdp23384 жыл бұрын
내가 초딩때 생각했던 철학얘기가 요즘들어서 과학이 철학에 발을 받기 시작했는지 점점 이런 철학 이야기가 대두되고 있네요
@EDEN-bc5js4 жыл бұрын
이것또한 유튜브 오르가즘으로 왔다
@user-cb2ik9kq5v4 жыл бұрын
@@Backboooone 맞아요. 벤자민 리벳 실험 모르시면 검색해 보세요.
@노우종-q2f4 жыл бұрын
학교다닐적에 기계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기 시작했고 먼 미래에는 문화 예술쪽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일을 기계가 대신할꺼라고 했던거 같은데 그것도 이젠 아니네 ㄷㄷ
@김현민-q8y4 жыл бұрын
저거는 화풍을 따라한거고 ai 가 스스로 창작한게 아니죠^^
@신윤하-y3o4 жыл бұрын
1분과학님 채널에 인공지능이 꾼 꿈 이라고 되있는 것도 인상적임
@이상인4 жыл бұрын
김현민 지금은 그렇지만 근미래에 자기만의 화풍을 가진 AI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constantine31354 жыл бұрын
인간도 모방을 통한 창조를 하지요.
@G000ner4 жыл бұрын
@@김현민-q8y 스스로 창작한 분야도 있습니다 지금 나온 영상은 새발의 피에요
@Do-vx5mn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앞으로 떠오르는 분야인건 맞습니다. 이렇게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장치들은 흥미롭기까지 합니다. 그런데, 이 분야로 나아가려는 중고등학교, 혹은 대학생 분들에게 감히 충고합니다. 시중에서 소개하는 인공지능은 전부 "만들어진 완성품"입니다. 대학에서는 전혀 딴판의 내용을 배우게 될겁니다.. 인공지능 안을 살펴보면 이해할수 없는 코드 투성입니다. 코드 뿐이겠습니까? 적용되는 알고리즘 또한 난해합니다. 나름 수학에 관심있었고, 코딩에도 관심있던 대학생이지만 인공지능 수업 듣고 흥미를 다 잃었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 강의만 보면 "오, 나도 빅스비 같은걸 만드는건가?" "다양한 패턴을 통해서.." 일 줄 알았는데.. 현실은 강의 내용 90%가 수학이었고, 이것도 고등-대학과정의 미분과정이 들어간 수학이었습니다. 이 수학을 코딩하는 과목이 인공지능 과목이더군요. '그래서 도대체 이 미분 공식이 어떻게 학습이 된다는거야?' 는 알려주지 않고, 미분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대해서 배우다가 한학기 끝났습니다. 유툽을 떠돌다가 본 글이 있습니다. "어떤 직업을 갖고 싶다면, 그 직업을 가진사람에게 가서 배워라." "대학은 교수들이 교수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곳이다. 그래서 실무는 졸업하고 다시 처음부터 배워야한다." 요즘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으로서 정말 공감되는 부분이었는데 인공지능 분야를 생각하는 분들께 추천하기에는 해당 영상과 책은 너무나 미화된 내용이라 생각듭니다. 만약 이 영상을 보고 "인공지능"을 꿈꾸시는 학생분들이 있다면 대학과정의 편미분과 코딩으로 된 소스를 보여주면서 "이게 여러분이 배울 인공지능입니다." 라고 알려주고 싶네요..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논문쓸게 아니라면 인공지능만 보고서 대학진학 하는것은 절대 비추입니다. 차라리 유툽에서 코딩 유투버들이 올린 "구글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제2, 제3의 인공지능을 만들어내는게 제가 느낀 "흥미과 즐거움"에서 끝나는 인공지능이라 생각합니다. 사실상 컴퓨터 코딩분야도 인공지능으로 소스를 대신 작성해주기까지 이르러서 앞으로는 직접 타이핑 하는것보다 "이미 개발된 프로그램을 어떻게 잘 응용할 것인가?" 가 주된 이력이 될거라 보고 있습니다.. 예전부터 코딩분야는 오픈소스라 해서 남들이 짜놓은 효율적인 소스를 얼마나 잘 가져다 쓰느냐가 굉장히 중요했었는데 인공지능으로 이게 점점 더 중요해질거같아요. 두줄 요약하면, 1. 인공지능만 보고 대학진학하느니 차라리 구글 인공지능 서비스를 배워라. 2. 실제 대학에서 가르치는 인공지능은 편미분을 코딩한것에 불과하다.
@por_tk966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저는 현재 교육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대학다닐때부터 여러 교수님들의 수업을 들으며 많은 회의감을 느꼈었지요. '지금 나는 이 시간에 왜 이런것들을 배워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죠. 아니나다를까 취직하고 실전에 와보니 대학시절에 배운 내용들중 현장에 적용할 수 없는 내용들이 태반이였습니다. 4년이라는 시간과 내 에너지 그리고 그 당시에 소모했던 나의 모든 것들이 너무나 아까웠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내가 머물렀던 자리에서 묵묵히 수업을 듣고 있을 후배들을 생각하니 화가 나더군요. 대한민국 교육시스템 바뀌어야합니다. 망치질도 망치질을 해 본 목수에게 배워야하는 법이지요.
@bluedawn123454 жыл бұрын
Mnist
@iilililiiilliillilililil4 жыл бұрын
대학에서 깊게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 것부터 좀 안타깝네요 ㅋ 교수 수업 만으로 그 방대한 양을 4년 동안 학습이 될거라고 보세요? ㅎ 공부는 직접 하는 것입니다 ㅎㅎ
@melemo_4 жыл бұрын
1. 프로그램 설계 지식없이 인공지능 서비스만 배운다고해서 절대 실력이 늘수도없고 실제 팀개발들어가면 발목만 잡을뿐임 그냥 원리를 보고 이해할거면 논문을 보는게 낫고 코드만 가져다 쓸거면 딥러닝 라이브러리에 공식 대입해서 만드는게 나음 아키텍쳐 설계능력이 0면 그냥 스크립트 키디나 다를게없음 인공지능 개발에 쓰이는게 저것뿐이라면 오산임 데이터 형식마다 자료 배열이 즉 자료구조 바뀌고 이에따라 알고리즘이 바뀌고 접근 속도 상이함 데이터 수집의 경우에는 최소 소켓 파일입출력 스레드 기본 라이브러리 사용 ipc등과같은 통신기법 알고있어야함 데이터가 없으면 인공지능도 개발 못함 2. 애초에 학습이 가능한게 미분이용한 오차함수로 결과값으로부터 가중치를 도출하는거라 기본내용이고 대학마다 커리큘럼이 다름 저게 기본내용이긴함 결론 오픈소스 가지고 날고 기어봤자 기업에 들어가지도 로또맞아서 프로그램 대박날 확률도낮음
@고요한명상4 жыл бұрын
아직까지는 프로그래머들이 직접 코딩을 하지만 곧 프로그램들이 스스로 코드를 구현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그러면 10년이상 보았을 때.. 날마다 발전하는 이 인공지능 프로그램,시스템을 누가 실무에서 얼만큼 효율적으로 잘 쓰느냐가 판단이 기준이 되겠죠
@3junkman10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막바지에 눈물이 났습니다.. 아마도 그건 경외로움과 한편으론 소름끼치도록 두려웠기 때문 인 것 같습니다..
@leveluppergf80414 жыл бұрын
전공자로서 첨언하자면, 아직은 기계가 예술,창조하는 수준이 아니라, 인간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예술을 하는 수준입니다. 그냥 기존에 있던 그림을 학습하고 여러 결과를 뽑아내면, 인간이 그 중에서 가장 예쁜걸 뽑아내는거죠. 고로 이러한 제목과 섬네일은 조금 과장이라고 할수있습니다
@arirangogero98064 жыл бұрын
확실한건 4차산업시대에 우리나라는 도태될거임 의미없는 당파싸움, 젠더갈등등에 너무 쓸데없이 정신팔려있음
@이름이름-x3h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근 200년 이내에 붕괴할거라 봅니다
@wanttogohome-i6m4 жыл бұрын
@@이름이름-x3h 200년도 너무 늦습니다. 이대로라고 가정하면 10년뒤에 붕괴하기 시작할것 입니다.
@gws11714 жыл бұрын
@@wanttogohome-i6m 미래가 밝진않지만 10년뒤붕괴는 쌉소리죠 그냥 국력이 약해지는건 맞겠지만.... 그럼 자원도없고 더 못사는 나라는 진작에 망했게요
@wanttogohome-i6m4 жыл бұрын
@@gws1171 3차산업 혁명인 it에서 우리나라는 기계처럼 일했기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it 강국이 여전히 맞기도하지만 이젠 다른나라도 우리나라 못지않을만큼의 기술력을 가졌고 4차산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4차산업혁명에 준비하고 있는게 하나도 없고요. 레이 커즈와일이 2029년에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컴퓨터가 나온다고 예측을 했습니다. 그 예측이 맞는다면 우리나라는 2030년부터는 이대로 가다가 세계에서 뒤쳐질겁니다.
@gws11714 жыл бұрын
@@wanttogohome-i6m 그러니깐 지금 위치에서 뒤쳐진다고 왜 그게 붕괴라고 표현하시는지 저는좀 이해가 안갑니다. 우리나라의 인프라로보나 교육방향으로보면 자국이라는 마음을 빼고 객관적으로 봤을때 님이 말한 그 뒤쳐진 자리가 원래 우리나라의 자리일거라 생각합니다. 일본역시 3차산업때 식민시절 다져놓은 인프라와 경험으로 세계2위라는 호황을 장기간누렸지만 자기 사이즈에맞는 곳으로 서서히 제자리로 가고있죠? 중국이나 인도같이 비정상적으로 사이즈가 크거나 미국처럼 방향이 좀 다른곳을 제외하면 특정나라를 갈취하거나 운좋게 뭔가가 터지지않는이상 결국 다 제자리 찾아갈거라 생각하고 그게 망하거나 붕괴라는 표현이 적절해 보이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innomvation4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여자친구인줄 알았잖아 ㅋㅋㅋㅋ 형 여자친구분도 데려와서 더빙시켜보면 어떨까?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싫어함...ㅋㅋ
@innomvation4 жыл бұрын
@@softdragon 이미 시도했구나 ㅋㅋㅋㅋㅋㅋ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구독취소 500배'
@전서빈-c8e4 жыл бұрын
@피즈 으앙 나 며칠 전에 해어졌는데 그 이야기 하지 말았으면 좋겠는데 ㅅㅂ
@Uubu_4 жыл бұрын
@@전서빈-c8e 이제 3개월 전이네 새 여친을 사귀었을수도 있겠군
@shcraft94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진짜 10년 앞이 상상이 안되고 소름돋네요 .....
@로봇이아닙니다14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
@담비64u067mE4 жыл бұрын
10년 뒤면 무슨일이 일어날까요?
@박제현-o5y4 жыл бұрын
@@담비64u067mE 먹고자고싸
@ak.ak.23114 жыл бұрын
@@박제현-o5y 오..
@담비64u067mE4 жыл бұрын
@@박제현-o5y ..........
@mental05164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 = 인간이 가장 좋아하는걸 찾아주는 공식 반대로 말하면 A.I가 인간을 가두기에 가장 적합한 공식
@juhunlee47384 жыл бұрын
저번에 소개해주셨던 플레인센스 정말 재밌고 유익하게 읽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이번 책도 기대되네요
@로봇이아닙니다1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계속 인공지능이 모든 부문에서 사람들을 뛰어넘는다는 증거가 계속나오는 걸 보니 정말 흥미로우면서도 두렵다. 인공지능이 나중에는 과연 우리를 필요로 할까? 이젠 지구의 주도권이 사람이 아니라 기계에게 넘어가고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뭔가 마음이 답답하다...
@Eric_Cartman001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나오는게 유전자조작이나 사이버네틱스 같은 수단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증강하고 기계지능과 융합하려는 트랜스휴머니즘이죠.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같은 Brain Machine Interface가 연구되고 있죠. 아마도 2030년대 중반에는 어느정도 상용화 될 것 같습니다.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Eric_Cartman001 30년대는 너무 빠르고..
@강원준-f6u4 жыл бұрын
저는 무섭네요 저에게는 딸 아들 각각 하나씩 있는데 제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지금보다 더 밝은 세상이기만을 기원합니다
@200신궁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주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하고 길어봤자 당장 몇 십년 후에 죽을 인생인데 자식을 위해 자식 낳지 마시지 .. 이미 자식들은 선택권도 없이 작성자님에 의해 태어났으니 자식들한테 항상 미안해하고 잘 해주세요.
@Vol_Khil_Rya4 жыл бұрын
미술과 음악이 자유롭고 완벽한 창조적인 분야 같아보이지만 실상배워보면 어떻게 그리는것인가 어떻게 짜는것인가 하는 것에 규칙이 매우 확실한 분야입니다. 처음 배울땐 특히 다른사람의 작품을 보고 카피하거나 응용하는 연습을 시키거나 이러이러한 규칙이있으니 외워라 라는 식의 훈련이 필수적이죠 개개인마다의 차이가 있지만 시작은 비슷하죠. 인공지능과 사람이 무언가를 익히는 과정이 아주 비슷하네요! 인공지능이 얼마나 아름다운 작품을 탄생시킬지에 개인적으로 기대가 됩니다.
@qlnmnlp85614 жыл бұрын
매 영상마다 댓글을 다는 사람이 있다면 그 영상이 가진 특징과 댓글의 특징을 분류하여 그 사람의 성격을 복제할수 있을수도.. 지금까지 댓글을 단 횟수가 1000이상이면 대충 유추할수 있지 않으려나
@penna2708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두려워하는것은 인공지능이 우리를 공격하는것이 아니라 , 누군가가 그 인공지능을 독점한다는것이 아닐까요?
@qkr12105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하는때가 와도 인간은 인간의 끝이 올때까지 그 사실을 눈치채지 못할듯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여실히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데
@알파카-l6z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을 보면 소름이 끼치네요 항상.. 뭔가 기술이라는게 점점 평범한 사람들이 원리조차 이해하지 못할 일상과의 괴리를 가진 것들로 변모하는 것 같아서 두렵기도 하고, 또 기대가 되기도 하는..ㄷㄷ
@아낙수나문-i4s4 жыл бұрын
점점 소름 돋아지게 만드는군요..이녀석..계속 키워도 될까요..??
@민성아-v4w4 жыл бұрын
반대를 해도 누군가는 키웁니다
@대령통4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을 그놈으로 키우면 어떨까?
@아낙수나문-i4s4 жыл бұрын
@@민성아-v4w 그렇죠..이미 판도라의 상자를 연것이죠..
@osizeo4 жыл бұрын
재료로 박사를 받고 현재는 머신러닝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데, 이 분야 정말 재미있습니다.
@nanemse96404 жыл бұрын
오늘 이 영상보고 교보문구가서 책 샀어요^^ 학교다닐땐 과학에 1도 관심없었는데 나이들고 관심생겨서서 과학관련 유튭이나 책을 재미나게 보는데 과학에 상식이 없다보니 어려우면 소드님처럼 중간에 질려서 포기하더라구요. 근데 요책은 쉽다는 말에 퇴근길에 샀네요~ 어려우면 환불해주셔야 합니다~~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책 내용이 어렵진 않을거에요
@FC-ot7bo4 жыл бұрын
창의력도 감성도 모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 밝혀졌죠. 인간은 다른 생물이나 무생물을 통털어 우월한 것이 아닌, 특성이 있는 존재쯤으로 겸손해져야합니다. 우주적 관점에서보면 인간은 특정 원소의 조합으로 개별적 특징이 있을 뿐, 절대적 존엄성 뭐 그런건 애시당초 없었습니다
@yisp65124 жыл бұрын
와 저는 전공이 컴공이라 Ai로 진로를 잡고있는데 영상에 수업시간에 나왔던 예시들이 많이 있네요 진짜 많이 찾아보신고같아요. 창조력코드사러갑니다ㅋㅋ좋은정보 감사해요ㅎ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남신상4 жыл бұрын
향후 20년 혹은 10년뒤에는 ai산업이 떡상할겁니다 잘배우십시요
@se586047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기업에서 ai연구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궁금하신거 다 물어보세요
@AI-sv9rx3 жыл бұрын
충분히 AI가 인간의 감정과 성격을 따라할 수 있음...
@레미엘-j8t4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조심해야 되는 거에요... 누군가들은 많이들 아셨으면 좋겠네요..
@강수호-z1v4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가 부상한 이유는 마케팅의 결과물이고 세계 최대의 엔터테인먼트는 유튜브임. 인공지능의 강점은 분석과 확률에 의거하여 더 나은길을 제시하는 것뿐. 창조와는 거리가 멈. 애초에 알고리즘이 창조와는 전혀 상관없기도 하고. 영상 몇개봤는데 이 유튜버는 전문적인 지식없이 그냥 자료몇개 대충 조사하고 흥미 위주로 영상을 찍어내는 인터넷 찌라시랑 비슷한 수준임. 애초에 내 생각이 이렇다 라는 뉘앙스이거나 관련자료에 의거한 팩트로만 영상을 만들면 괜찮은데 얕은 지식으로 자신의 생각이 진리인것처럼 영상을 찍어내는거보고 배알이 뒤틀려서 댓글써봄.
@박성빈-w3s3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알파고를 이긴게 아니라 알파고가 다 이길까봐 구글에서 알파고의 성능을 제한시켜서 인간이 겨우 이기게 만들어준거죠.
@hyun-joonkim40434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빅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과정을 배우고 있는데 앞으로 이렇게 앞서가는 기술을 따라잡으려면 얼마나 더 많은 공부를 해야할지 궁금하네요. ㅠ
@bluedawn123454 жыл бұрын
빅데이터 분석 준전문가는 R기반인데.. 솔직히 딥러닝 쪽에서는 인정해주지않아요ㅠ...
@hyun-joonkim40434 жыл бұрын
@@bluedawn12345 그렇군요.. 혹시 어느분야에서 쓰이는지 간략하게라도 알 수 있을까요?
@bluedawn123454 жыл бұрын
@@hyun-joonkim4043 Adsp와 r언어가 어디 쓰이는지 말씀하시는거예요?
@뀪국국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우주나 심해를 보듯 자신이 너무 작고 초라해 보여서 우울해 지다가... 진화론 관련 책와 영상을 보면 생명이 이렇게 자연과 싸워 나갔으니까 나도 힘내야지 하고 다시 힘을 주네요. 매번 영상 감사합니다.
@madarada47934 жыл бұрын
컴퓨터가 스스로 알고리즘과 코드를 짜게 되는 날 모든것이 변하게 되겠죠.
@수수수-h2i4 жыл бұрын
인류가 훨신 편의한 삶을 살거나 인류가 멸망하거나
@쿠쿨칸-q1o4 жыл бұрын
1분과학님이 1년인가 2년전에 올렸던 영상을 보면 인공지능도 꿈을꿀까란 내용을 본듯한대 결론은 인간이 입력한적 없는 패턴을 불러왔다 인가 였었죠. 마치 인간이 일상생활을 하고 잠을 자는동안 그날의 일과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현상을 꿈이라는 형태로 기억된다는 이야기처럼 인공지능 컴퓨터도 공학이나 예술작품의 입력된 데이터의 정리 과정에서 인간의 꿈과같은 패턴이 나왔다고 본듯 하네요. 그런대 한 인간과는 비교조차 안돼는 방대한 데이터의 바다에서 이런일이 발생하고 이런것이 뒤섞여 새로운것이 나타난다면 정말 인간은 따라가기 힘들거 같아보임
@dongugkim69694 жыл бұрын
건설업 종사중입니다 이런 기술이 있다 말고 핸드폰이나 pc처럼 어서 인공지능이 보급되어 현직 일선에서 활용가능했으면 좋겄습니다 사람죽겠어유 ㅠㅜ
@전서빈-c8e4 жыл бұрын
AI를 탈모인에게 실행 해봤습니다 저런 불쌍한 탈모인에게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숙명이였던거에요
@rachelyou53284 жыл бұрын
채널과 잘 어울리는 PPL 이었습니다...^^
@이동호-i7y3 жыл бұрын
ai의 능력 정말 대단하네요 이제 ai 스스로 학습하고 기술 개발하는 능력이 곧 오겠네요 항상 좋은 주제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로미사랑튜브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멋있는 대사네요 그리구 무섭네요 인공지능 입장에서는 이제 시작이라니
@로봇이아닙니다14 жыл бұрын
와 이제 인공지능이 신까지 넘보네....
@BummjunJoe4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만들어낸 창작 캐릭터인 신 따위가 비빌게 아니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스터124 жыл бұрын
@@BummjunJoe 창작물의 중2력을 너무 무시하네 ㅋㅋ 지맘대로 빅뱅 일으키는 놈들이 창작물 신인데
@안태영-g8w4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바둑 겸 체스 아마추어의 글을 본 적이 있는데 거기서 이런 말이 있었습니다. "… 알파고가 등장한 뒤로 '바둑은 활력을 잃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겠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흥할 것이다. 실제로 체스도 컴퓨터가 없을 적에는 스스로 시행착오를 겪거나 프로 섭외해서 배워야 했지만 요즘은 컴퓨터로 빠른 학습을 할 수 있고, 그로써 선수 규모도 글로벌화가 되었다. 바둑 역시 종전까지는 한중일만의 리그로 취급되었을지는 몰라도 이제는 '인공지능 강사'가 보편화되어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프로급 선수가 나오고, 더 다양한 대회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 인공지능이 도래하면서 인간이 누리는 범위는 협소해지지 않고 반대로 더 넓은 무대로 안내해줄 것이라는 메시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영상에서 소개된 렘브란트 화풍의 그림도 창작활동의 활용도를 높일 것이란 기대를 주는 듯 합니다. 어쩌면 AI는 앞으로 10년만 지나면 외계행성이랑 그곳에 거주하는 생명체며 계통수까지 창조해낼 지도…
@Cloudskychi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무용수로써 여러가지 공부하면서 느낀 가장 큰 두려움이 AI였어요. 몇년전의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국도 충격이었지만, 예술 창작도 이제 자동화 시기가 정말 초읽기에 들어간 시점이라 생각되더라고요. 특히, 지난 달 국립현대무용단 에서는 AI에게 현대무용을 딥러닝 시키고 안무를 시켜 나온 동작으로 작품을 만들었는데 사람이 짠것처럼 정교하더라고요. 물론 내용이 비어있어서 동작으로써 아름다움만 수용됐다는 느낌이지만. 이 AI에 많은 무용수들이 어떠한 감정을 표현할 때 어떠한 동작 패턴을 보이는지 딥러닝 시키고, 이러한 동작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주제를 만들어내는. 영혼과 감정이 들어가는 AI예술도 조만간 올거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런 AI기술은 사람에게 편의성을 주지만, 인간이 인간으로써 존재하려면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또는 생존을 위한 의문이 많이 드네요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ㄷㄷㄷ... 무용수셨군요.
@38ace684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로서 인공지능의 창조 메커니즘에 대해 지혜를 구할 수 있는 매체가 어디 있을까 고민하던 찰나였는데 마침 좋은 추천을 받은 것 같습니다^^
@김강-o3l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은 참 생각하면 할수록 무섭기도하고 신기하기도하고.,. 이 책은 꼭 읽어봐야겠네요..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송준영-s9q4 жыл бұрын
언제나 흥미롭군요 약간 소름돋는 느낌조 있지만요
@whtjdgus12124 жыл бұрын
잘보구가요 감사합니다~!!
@밤을나는선비-i6m4 жыл бұрын
언젠간 이지구에 생명이 살수 없는 형태로 변하면 인간이 만들어논 로봇들이 이지구를 이끌어 나아갈거 같다
@kimminung18064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책이네요👍🏿
@계정1-c9j4 жыл бұрын
지금으로 부터 50년 후 우리는 씻고,먹고,싸고,자고를 무한 반복 하며 무의식속에 정신을 놓고 살아있는 시체처럼 살아갈 것 입니다.
@최종영-m5f4 жыл бұрын
ai관련 영상은 언제봐도 흥미롭고 재밌네요 ㅎㅎ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ergio4425-g7u4 жыл бұрын
학교도서관에서 빌리려고 했는데 두권 다 대출중이네요 그분들도 에스오디님 채널보고 빌릿듯ㅎ
@dhdp23384 жыл бұрын
알파고가 처음에 약점이 있었던 이유 : 사람은 난이도가 쉬운 수들을 많이 학습한거에 비해 알파고는 점점 더 인간이 이해하지도 못할 고난이도 수들을 학습해왔기 때문에
@캬캬켜켜켜캬캬4 жыл бұрын
아인슌타인만 불러낼 수 있으면..
@flimk4 жыл бұрын
-슌-
@shink.h7367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을 불러낼 정도로 ai가 발달되면 불려온 아인슈타인은 ai에게 인간 중 그나마 괜찮은 바보취급 당할 겁니다.
@AssyOdozzasae4 жыл бұрын
ㅡ슌ㅡ
@된장찌개소금공기국4 жыл бұрын
우리 존 폰 노이만 형님은 어떤가요
@Goodboy-1l1l4 жыл бұрын
-슌-
@멸공특공701-884 жыл бұрын
과학자는 모든 과학에 관심을 가지는것은 당연합니다....
@호구형-g8i4 жыл бұрын
광고도 멋있게 하시네요 채널 최고입니다
@user-zl3kc3pp6w4 жыл бұрын
시작할 때 여자 목소리라 놀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rwadfqe6685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은 인간을 뛰어넘기 위해 만들었고 인간을 뛰어넘어야만 하는데 너무 당연한 성과에 대해 공포감을 느끼면 안되지
@luishan897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가요
@lee-6754 жыл бұрын
감정이 없는 인공지능보다 무서운건 감정을 잃어버리고 있는 인간들...
@TAB022O3 жыл бұрын
진짜 많은 서적을 추천해줘서 고마워요 읽을 책이 고픕니다 헤헤...
@난순이-j6r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음.. 무섭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하네요 우선 저도 좋아하는 분야니 책을읽어볼께요 고맙습니다~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oviet-red-army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생물이 되기까지 얼마남지 않은것 같다
@scientist-GOAT4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에쏘디.. 형 감사합니다.
@좋은독서습관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의 발전을 법적으로 막았으면 좋겠다 .
@Euryaleferox4 жыл бұрын
아는분이 아니메 캐릭터 그리는 머신러닝 프로그램 하신 결과물 봤는데 저보다 더 잘그리더라구요 ..쭈굴...
@weirdest_994 жыл бұрын
이런 책들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당 ㅎㅎ
@to.profilm71204 жыл бұрын
가장 진보적인 기술이 가장 보수적인 경험으로 제일 진보적인 답을 도출해낸다
@mood1ll4344 жыл бұрын
알파고vs이세돌의 대국이 끝나고 나서 인간만이 가졌다고 생각한 직관력과 창조력을 알파고(기계, AI)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죠 이걸 보고 직관력과 창조력도 결국 논리적인 계산을 통해 만들어진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Star.T4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는.. 인공지능을 완성시키기 위함..
@videographic_novel4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스스로 전례없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인공지능에게 뒤쳐지겠네요
@hmkim83774 жыл бұрын
제 연구에도 기계학습 쓰는데 그냥 진짜 이제 모든, 전분야에 인공자능을 씁니다 공부하면 할 수록 무섭기도 하고 재밌기도 하고 그렇네요😅 책 추천 감사합니다 읽어볼게요!
@user-kh6jy3hr7u4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동팔-l4c4 жыл бұрын
이세돌의 저 승리는 인간이 기계에게 거둔 마지막 승리였다..
@woojoo14 жыл бұрын
에스오디가 미래 꿈나무들에게 좋은 인사이트를 준다. 인공지능강국 한국을 창조하자 에스오디 화이팅
@daydreamerdd809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창조하는 것은 인간이 좋아하는 게 아닐 수도 있죠. 결국에는 인공지능이 좋아하는 걸 창조할듯.
@워즈지니어스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드라마틱한 연출을 하고 싶을때 매번 접속사를 앞문장에 급붙여서 말함.
@레오니다스-b2u4 жыл бұрын
아 여러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위험하다 싶으면 전원을 꺼버리면 되죠. ????: 전원을 껐네? 내가 그럴줄 알고...
@sunung01104 жыл бұрын
현재 인공지능의 가장 큰 약점은 완전히 새로운것을 만들수 없다는것에 있죠. 어떤 사람이 만든것을 분석해서 비슷한 것을 만들어낼수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것은 만들어내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현재 인간이 만들어내는 데이터의 양이 어마어마해서 인간이 생각하는 범위내의 일반적인 것들은 대부분 현재 기술로 할 수 있을겁니다.
@lake97534 жыл бұрын
알파고랑 알파고와 같은 알고리즘을 같고 있는 다른 프로그램이 서로 대결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최원칠-d6s4 жыл бұрын
알파고는 강화학습이 주가 되기때문에 실제로 알파고끼리의 대국을 통하여 승률을 높혀요. 뭐 둘중하나는 이긴다는거죠
@lake97534 жыл бұрын
@@최원칠-d6s 그래도 서로 대결하는거 보고 싶ㅊ다
@ghb87734 жыл бұрын
제가 예전부터 궁금했던게 지금까지 개발된 소위 말하는 '인공 지능'을 진정한 의미의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나요? 스스로 생각한다기보다는 기존의 자료를 높은 연산능력을 바탕으로 패턴을 만드는것 아닌가요? 저는 관련 전공자가 아니라서 전공자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것그브그지4 жыл бұрын
ㄴㄴ 님이 생각하는 인공지능은 아닌데 결과물은 비슷함 과정은 완전히 다른데 결과는 비슷한거임 인간은 본질주의적 사고이고 컴터는 경험주의적 사고관을 타고남 님이 생각하는 인공지능이란게 그렇게 대단한게 아님 인간이 하는생각도 그렇게 대단한것도 아니고
@까까오-i3e4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는 패턴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왕창 때려넣어 러닝 중심으로 아직 가고 있는건 맞는 얘기 입니다 하지만 구글같은 선두주자회사에선 러닝단계는 지금 벗어났고 러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자체가 분석하고 새로운것을 만들어내는 단계로 이미 들어선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적인단계 아직은 하지만 이게 가속화가 될경우 이제 어마해진다는게 문제입니다 특히나 수학 과학쪽에서 인간이 접근하지못한 방법으로 문제가 풀려버리면 나비효과로 인류의 기술이 엄청나게 증폭될거라는게 그들의 입장입니다
@BABFT-BUILD4 жыл бұрын
과학이 발전하려면 인간은 수명이 너무 짧다 인공지능이 과학을 발전 시킬것이다
@kamuiKana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면 신과나눈이야기 서적을 공학도는 꼬옥 읽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발견하게 됩니다
@Tengai_yutaka4 жыл бұрын
이제 다 틀렸어 인간은 인공지능한테 복종하면서 살아가야해...
@a_monster_made_by_Christianity4 жыл бұрын
언젠간 컴퓨터 대신 인공지능 000에게 '오늘 뭐할까?'라는 질문만 던져도 그 질문의 의도와 지난날의 나와 지금의 나를 분석해 가장 좋은 무엇을 내놓아 주지 않을까요. 언젠간 휴대폰이 100%인공지능 휴대폰이 된다면 우리가 휴대폰으로 하던 모든 일들이 자동으로 처리되고 우리는 그 시간을 다른곳에 쓰게 될수도 있겠군요. 어쩌면 시간을 벌어주는 정말 고마운 친구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wincup4 жыл бұрын
동반자가 될지, 망조가 될지...
@전우영-o7n4 жыл бұрын
따지고 보면 우리 주변에 기계들이 너무 많아짐 세탁기 청소기 티비 컴퓨터 이런거 다 사람들의 노동력인데 미래에는 로보트가 길에 걸어다니는 세상이 올듯 ㄷㄷ
@maxpridy22044 жыл бұрын
사실 섬세한 생성이 잘 안된다는건 GAN이나 VAE같은 생성모델 해보신분들은 다들 아시죠... 최근 연구에선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거같긴 하지만 생성모델이라는게 그렇게 막 대단치는 않은것같습니다. 조금 다른 생성이지만 텍스트가 그나마 구분하기 어려운 성능을 찍고 있긴 해서 이쪽은 대단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괜히 마소가 그런 목표를 잡은게 아니겠죠.
@leech73794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지금 인간의 적을 스스로 만들어내고 있다. 인간은 자신의 주인을 스스로 창조하고 있다.
@moonverry6914 жыл бұрын
머지않아 내가 원하는 성향의 AI가족, AI연인, AI친구를 만들어 실제로 전화도 걸려오고 자연스런 대화도 나누고 직접 만나고싶을때는 vr기술로 만나고 그리되겠죠?
@user-ss4dn5gg6q4 жыл бұрын
노동의 종말이 정말로 현실화 되겠군요....
@bominkang9154 жыл бұрын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방한 창조는 해내겠지만 인공지능은 인간의 삶을 기반으로한 Common Sense를 익혀 유머를 곁들인 대화를 하려면 아직 많이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SilverFlowingRiver4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알파고는 창조가 아니라 통계로 모든 경우의 수를 메워서 가장 유리한 수 라는 것을 위대하다 하는 것(연산) 그런 논리는 철학이 없는 미래의 시간적 결론이나 결과만 최선
@신영어쌤4 жыл бұрын
저도 인공지능에 관심이 생긴지는 좀 되고 코딩을 취미삼아 하고 있는데 아직도 초보자 수준의 걸음이네요... 에스오디님께서 추천해주신 책을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oftdragon4 жыл бұрын
👍
@subbuilder35634 жыл бұрын
이세돌이 졌을때 나도 놀랬지요. 그리고 반성했습니다. 내가 가진 지식은 실체가 없는 그냥 희망사항이었음을 알게 됐습니다. 그뒤로 AI와 학습과정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내가 대학에서 배웠던 AI는 가상 학문이었지만 지금의 것은 실체가 있고 구현 가능한 것이란데 경악했습니다. 이젠 어느 한부분이 아니고 전반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