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우리나라에서 공공병원의 비중이 전체 병원의 10%가 되지 않는 상황이지요. 이게 바로 빈약한 대한민국의 공공성을 보여줍니다.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jl57854 ай бұрын
국가가 책임지고 운영하는 공공병원의 비율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나라는 한 자리 숫자, 7%입니다. 그러나 캐나다, 덴마크, 아일랜드는 100%이며, 폴란드, 노르웨이, 영국, 스웨덴은 95% 이 상입니다. OECD평균은 70% 이상입니다. 한국의 수준은 OECD 평균에도 턱 없이 못 미치는 것입니다. 영국: 기관수 기준 100%, 병상수 기준 100% (국민건강보험 서비스 중심의 의료 시스템) 캐나다: 기관수 기준 99.0%, 병상수 기준 99.4% (주정부 중심의 의료 시스템) 프랑스: 기관수 기준 45.0%, 병상수 기준 61.5% 독일: (정확한 통계는 변동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의 공공병원을 운영하며, 건강보험 체계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미국: 기관수 기준 23.9%, 병상수 기준 21.3% (민간 의료보험 중심의 의료 시스템)
@GK-os1ri3 ай бұрын
그래서 우리나라가 그 나라들보다 의료혜택이 떨어지나요? 오히려 더 좋지 않나요?
@yoo-rilee14193 ай бұрын
@@GK-os1ri 지금까지는 괜찮았지만 그건 한국이 젊은 나라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진단하더군요. 초고령화가 진행되면 문제점이 나타날 거라고 하는데 이미 응급실 뺑뺑이라던가 지방에서 의사가 없는 상황 등으로 빈약한 공공성의 문제가 나오고 있습니다.
@쪼꼬미-b6y7l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회는 진적에 사업으로 당연시 되엇고 그곳에 가면 가족보다 말걸어 주는 사람도 잇고 연애도하고 그냥 사교장 같은곳 이라고 하더군요 만남의 광장 물론 죄도지어놓고 기도하고 용서받고 와서 다시 죄짓고 그런 시스템 ..., 세금도 안내고 세상 이런 장사가 어디 또 잇것슴니까
@seondonglee9451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박짱-v6f6 ай бұрын
이 강의를 언제 한것인지는 몰라도 24년 7월에 듣고 있는 나는 많은게 공감되지 않네요. 나와 생각이 다르더라도 그사람이 하고싶은 메시지는 이해하려고 하지만 이분은 무슨 말씀을 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습니다.. 모든 문제는 사회 시스템이 문제다 라고 얘기하는 것에는 의문이 드네요. 반대로 현재 사회 시스템이 문제면 어떻게 개선하는게 맞는 거죠?
@다혜박-h3d2 ай бұрын
경쟁이 가족별로 되다보니 자기 팀 ( 가족 또는 가문 ) 이 경쟁력이 있으면 꽃길만 걷는 나라다
@꽃개미-q9p Жыл бұрын
너무좋은 강의네요!
@Lala-om5xk Жыл бұрын
주제에 관심이 끌려 들어왔는데 유난히 이야기 중간중간 효과음?ㅎㅎ과 간간히 음악소리가 들리는것이 재밌네요 사투리억양과 말씀하실때 음량? 크기 말투가 어렵게 들려서 또 다시 들어봐야겠어요 ㅎㅎ계속 음악소리가 많이 들리는 부분이 신기해요
@thatsnotcool00710 ай бұрын
제목이 잘못 됐네요. 현대사회가 아니라 한국사회의 민낯이네요.
@alliswellok3584 Жыл бұрын
꼭 사회시시템의 부재때문에 교회가 많은 걸까? 전통적인 기복적 신앙심과도 깊은 관계가 있을 듯. 성황당이 교회 십자가로 바뀐것 말고는 조선시대의 기복적 신앙심에서 크게 벗어나게 없다. 교회들은 이런 우리 민족의 특징을 적절한 돈벌이로 이용해 먹는 것이고.
@nobroblem1 Жыл бұрын
아는형이 개업식 한다고 초대해서 물어보니 교회 개업식 이랍니다.. 교회나 절 이 면세 도 되고 참 좋은 사업 아이디어 같다는 아이러니 한 생각이 되네요.. 유머로 바 주세요.
@life-tg6yh Жыл бұрын
여러 다양한 이유로인해서 사람이 심리적으로 힘들면 꼭찾는게 신왕을찾는다 무당을찾아간다던지 교회에 의미없는 기도를 한다던지 효과가잇으면 대한민국 모든국민 백프로다 행복하고 가난하지않겟지 결론 의지할곳을찾는게 그런 교회나 신왕을찾아 의지하고잇는것이고 이러한 현상이 연결고리처럼 이어지는것들이 사회의 시스템 문제 오류로인한 금전 범죄 관계 구설 가난 잘못된교육 서열 이런것들이 사람을 이리만드는게 아닐까싶네요 해외에 비해 유독 한국만 특유에 뭐가잇고 특징도좀 이해안가는것들도많은것같다
@강병민-o7e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비정규직이 고임금인데 왜 우리나라는 비정규직이 저임금인걸까?
@속닥속닥-i8q9 ай бұрын
거짓말 좀 하지 말자 대부분이 정규직이 고임금이다 개도국이 대부분인데 그 나라는 사람이 넘쳐나 근데 무슨 고임금?
@withgratitude23868 ай бұрын
외국에서는 한국처럼 처음부터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는게 아니라 취업한 순간 그냥 정규직입니다. 가끔씩 계약직(비정규직)을 뽑기도 하는데,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안하려고 하겠지요..그래서 돈을 좀 더 올려주면서 모셔? 오는 겁니다.
@고무백8 ай бұрын
외국은 맘에안들면 자르면 됨 그런나라는 정규직이나 비정규직이나 똑같기에 정규직 수가 많은거고 해고가 자유롭지 않은 우리나라나 일본만 해도 정규직 많이 안뽑으려 함 일본은 저출산때문에 취업이 어렵진 않은데 우리나라도 곧이라 금방 일본 따라갈거임ㅋㅋ
@연진-g8t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교회신자도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환자도 많음ᆢ지하철에 공원에 길거리에 온통 환자임
@내개인적인생각2 ай бұрын
ㅜㅠ 다음 생엔 꼭 경쟁 없는 사회에서 태어나길...
@ggugu993 күн бұрын
땅이 저주 받는데는 이유가 있다니까..하여튼 돈이 안되는짓거리만 에휴..4060 세금,상속 세계 탑, 심지어 교회도 세계 탑급인데 나 진짜 어디는 약과 인고지능을 개발하는데 하..눈물밖에 안난다.
@김성진-r4b Жыл бұрын
예수쟁이가 돈이 되거든
@parks12559 ай бұрын
중 고딩 정도 수준만 되어도 모두가 알 수있는 사항들을 무슨 대단한 사회문제를 발견한 것 처럼 나열식으로 늘어 놨네. 소위 자칭 타칭 사회학자라면 이러이러한 문제들이 사회에 만연 되어있어서 약자들이 심대한 불이익을 받고있으니 저러저러하게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해결책도 아울러 내놔야 할 것 아닌가. 문제 제기 하는 것 만으로 사회학자 면허를 자랑한다면 5천만 국민들 중 사회학자 아닌 사람이없다.
@아를-v8v8 ай бұрын
심지어 원인 파악도 오류임
@호올호올9 ай бұрын
종교인 과세 반대한 쪽이 기독교다. 결국 너도나도 돈벌려고 개업하는거지.
@joyonghisumswida5 ай бұрын
신앙의 정도와 상관없이 기독교 대학들이 해마다 졸업시키는 숫자는 어마어마합니다. 종교인이라는 자격증 따는 것이 일반 학과 공부하듯 암기하면 끝나니 문제가 많습니다.
@USA_LOVE-j8o Жыл бұрын
사투리 계속 듣기 속이 안좋아 힘드네.. 그리고 강의 내용에 처음에 교회 얘기는 뭐러 가져다 붙인건지.. 억지로 껴맞추네
@daehyunahn63059 ай бұрын
이사람 교회로 어그로 끌고 시작하네 순수하고 착한 마음도 다 의지박약으로 만들고 진짜 이상한 사람이네
@희망-m5o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어쩌라고? 개인의 보이지 않는 노력을 어떻게 일일이 측정해서 평가할 수가 있는가? 경쟁 자본주의 사회에서 한정된 일자리에 그나마 공정하게 선발하는 방법은 시험 밖에 없다 가난은 나라도 구제하지 못한다고도 했다 100%투명한 나라는 없다 아무리 제도를 잘 만들어도 인간 자체가 생각이 다양해서 일률적으로 규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각자 나라마다 여건도 다르고 동일 비교도 할 수 없다 갈수록 좀 더 좋아지는게 중요하다 그럼 공산주의가 되자는 이야기인가?? 있는 제도나 잘 정비해서 세금이 헛투로 쓰이지 않게 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bromyboysk Жыл бұрын
ㅇㅇ 공산주의 요소를 더 도입하자는 얘기지
@강대국-j6w Жыл бұрын
정도전이 과거시험을 통해 실력있는 자를 뽑아서 나라를 다스리려고 했지만 결과가 어떻냐?
@user-h5c9r11 ай бұрын
30여년 전에 12층에 살았었는데 베란다 밖 풍경이 저랬음.
@바이에른뮌헨-z6o Жыл бұрын
비정규직이 많아서 교회가 많이 생기는것이 아닌데 논점이 이상한듯 돈이 중요한 사람이면 교회에서 목사생활 못합니다 한달에 임대료만 200 주말마다 밥주고 간식주고 목회활동에 봉사활동 하는게 과연 쉬울까요? 빚져가며 투잡뛰고 교회 차리는게 요즘 개척교회 목사입니다 본인만의 시야로 남들을 판단할수는 있으나 정의내리지는 말아야죠 세상은 당신이 보는게 전부가 아닙니다
@화니-h6r11 ай бұрын
생활이 안정적이지 않아서 불안이 높아 기댈 곳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아서 종교로 기댄다는 뜻이 아닐까요 사회가 만든 제도로 인해 간절함이 높아지고요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해야하고 우리 사회에 해결이 돼야 되는 문제들이 많다. 라는 걸 말씀하시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강수현-t3u10 ай бұрын
논점은 여러 갈래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만 믿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이 세상에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범위의 현상들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유퀴즈에 나왔던 의사선생님이 그러시더라고요. 의술을 최선을 다해 행하지만 신의 영역이 있는 것 같다고. 각 분야의 끝을 달리다 보면 인간의 한계를 볼 수밖에 없고 결국엔 전능자의 존재를 믿게된다고 생각합니다. 강의는 인본적으로는 훌륭한지 모르겠으나 신앙을 갖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뭔가 그 단계의 경험없이 자신의 경험과 지식만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풀어나가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Roy-cl2wi9 ай бұрын
저분 안타깝네요. 진짜 예수님을 믿으면 달라질텐데...
@바이에른뮌헨-z6o9 ай бұрын
@@Roy-cl2wi 말함부로 하시지 마시죠 부모님께서 장로교 개척교회 목사십니다
@joonyoon559 ай бұрын
이 분 말씀이 목사의 관점이 아니잖아요. 일반 국민들이 이렇게 힘드니 종교에 기대게 된다는 뜻인데 그걸 비정규직이 많으니 대신 목사라는 직업을 선택한다고 잘못 해석하셨네요
@Shine-fm9pf6 ай бұрын
전국 편의점 보다 많다는 교회유관건물들;
@밥대장-v5i4 ай бұрын
뭐 돈벌려고 창업하는 수준임 ㅋㅋㅋ 지나가다가 목사들끼리 이야기하는거 들었는데 교회 옆에 또들어왔다면서 상도덕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거보고 아 이것들 다 사기꾼이구나 했음
@손순희-v3vАй бұрын
교회가 많으니 이 나라가 부흥과 발전이 있음을 기억 하시기 바람 교회의 감소는 나라가 망해가는증거입니다
@이종렬-i5b Жыл бұрын
머냐이건 다아는 사회문제를? 갑자기 자기가 처음발견한것처럼 ? 사회문제개선할 예기해야지 ㅜㅡ
@HansenglishschoolAustralia Жыл бұрын
제목부터 어그로에.....헬조선 조장 그만 해라. 다른 나라에서 살아 봐라. 한국이 얼마나 휼륭한 점들이 많은지 뼈에 사무치게 알게 될 것이다.
@아를-v8v8 ай бұрын
헛소리 그만. 하시고 일단 한국의 교회는 기업의 한 종류임 신도 50명만 돼도 먹고 사는데. 아무 걱정이 없음 종교적 신념때문에 먹사가 되는 경우가 얼마나 될 것 같은가 둘째 이유로는 인간의. 가려운 부분을 잘 긁어 주기 때문임 타 종교에 비해 하느님만 믿으면. 천국 갈 수 있고 아무리 나쁜 짓을 해도 일주일에.한번 교회에 가서 회개하면 죄가 싹 사라진다고 함 이런 남는 장사가 어딨음? 안하면 바본거지 중세 시대에 천국행 티켓을 기독교에서 팔았다는 건 다들 알고. 있을 거임 기독교 자체가 사기지만 그게 한국에 넘어 와서 한국인 종특인 물질 만능주의랑 결합해 주식회사 예수가 된거임
@다혜박-h3d2 ай бұрын
최하층에 불가촉천민들이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 영혼까지 탈탈 털릴 각오를 해야 되는
@정미이-o1p Жыл бұрын
신도30명만 있으면 먹고 산다고 함
@신비-q6s8 ай бұрын
...그말 맞음...
@mk-no7jp8 ай бұрын
교회가 많은 이유?? 자영업이니깐 간판걸고 신도들 모아서 돈을 걷어야지 장사가 되니깐
@joesimon2241 Жыл бұрын
이 방송에서 제일 후진 게스트 같다. 비현실적인 얘기만 줄줄이.... 맥락없는 얘기를 하고 있네.
@yhlee-gee Жыл бұрын
휘둘려 다니는 것에 문제가 더 있는 거 아님? 다 대학가니까 니도 대학갈라고 함? 안가면 안됨? 해외로 가등가, 선택은 다양할텐데.. 아 긍데, 대학은 나와야 되는구나. 해외로 취업을 갈려고 해도. 긍데 요즘 대학 아무나 가기는 할텐데... 줒대 있는 삶을 사느냐, 휘둘려 사느냐의 차이정도 같은데..
@강디오11 ай бұрын
일단 부양해야할 가족이 생기면 물질에서 자유로울수없다! 그래서 목사다운 목사가 드물게되는이유다!
@아를-v8v8 ай бұрын
그나마 신부들이 영혼의 중개인에 가까운 이유
@매운강정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의 메리트는 생산수단을 가질 수 있는 거 아닌가요ㅎ.. 취업하려고 들이는 노력으로 회사를 만들어보는 것도 추천.. 좀 비상식적인 일을 많이 당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이직할 때쯤이나 폐업할 때쯤이나 삼십 대 초중반인데.
@박지현-w5n8 ай бұрын
진짜 옆에 짝퉁이 많기 때문림다~!
@zerocola422 Жыл бұрын
책 몇권 읽고 사회학자구나... 논리가 역술가와 뭐가 다른지 모르겠음.
@윤칼세의생각9 ай бұрын
사회가 상식적이면 종교가 존재하지 않다니? 이게 무슨 논리임?!
@떠들우 Жыл бұрын
편의점보다 돈이 되나보지
@korea_815Ай бұрын
이사람도 김제동 마냥 사회탓하냐. 공공성!?! 어떤 공공성 잘하는 사람들이 좋은대학가는거지 뭐 이런사람이 강의를하냐
@너넙치된거야-r4c Жыл бұрын
교회다니는 사람들 발끈하네
@kim-td6bs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끝까지 보긴 하심?
@h-lx41313 күн бұрын
심각하네 진정성 없이 그저 종교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넘 많아
@jessw7892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에서 젤 돈잘버는 곳은 교회 그리고 사기꾼 이둘은 뭔가 묘하게 닮아있지
@떠나자-k4n11 ай бұрын
개발될때 제일 많은게 교회불빛 다 성당처럼 나무로 했음 보기싫음
@jeonghwanlee24607 ай бұрын
결론이 뭐냐 걍 헬조선??
@Collaintp6 ай бұрын
헬무새 종특
@kanatahn5 ай бұрын
외로워서 기댈 곳으로 헌금 내는 ⛪️
@kim-td6bs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게 대체 교회랑 뭔관련임?
@뻑뻑이 Жыл бұрын
몰지 그냥(영상 안봄) 교회는 사회악이란거지 그러니 개독개독 하는거 아냐?
@김아름-g9x Жыл бұрын
교회의수가 의미하는것이 절박함으로 기도하는 사람들이 많다는것을 의미한다고 하시네요. 강의 초반에 흥미를 끌려는 이유가 아니었을까요? 사회가 안정적이라면 절박함으로 기도하는 사람이 줄어들겠지요..ㅜ
@kim-td6bs Жыл бұрын
@@김아름-g9x 그 이유 때문에 교회가 많은것 이다라고 볼수 있는것도 아니고요 아마 힘들어서 교회 다니는 사람들의 비율은 전체중에 거의 없을겁니다 공공성이 확보되어야 하는것과 관련해서도 여러의견이 나올수 있는 부분입니다 듣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수 있는 부분이라고 봅니다 저분의 개인적인 생각을 관객에게 납득시킬려고 어거지로 끼워넣은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김세븐-j4o9 ай бұрын
5@@김아름-g9x
@윤-q7q Жыл бұрын
뭔소릴 하고 싶은거지?? 사회적문제라고 하는데 자본주의국가의 자연스러운 상태를 이상하다고 하네 ㅋㅋ 좋은 학교도 돈도 좋은병원도 국가가 다 해줘야된다는 식의 이상한 사람 ㅋㅋ
@윤-q7q8 ай бұрын
@gabrialjo ㅋㅋㅋㅋㅋ 공부를 해야 이해가 되는 영상인가요????ㅋㅋ 재미있으신분이네. 너무 무식해서
@윤-q7q8 ай бұрын
@gabrialjo ㅋㅋㅋㅋ 들떨어진자의 신념은 역시 무서워...ㄷㄷㄷ
@광안리해변7 ай бұрын
이게 공공성 탓인가ㅋㅋㅋㅋ 또 해줘 타령이야?
@ejl73837 ай бұрын
아무나 목사되는 시스템이문제
@박지현-w5n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재림그리스도 안상홍님께서 오셔기 덕분임다~!
@여이병예7 ай бұрын
당신들 때문에 십자가의 도를 모르는 사람들한테 욕을 먹는 겁니다
@dadahoo44022 ай бұрын
강의 별로임
@해선의신 Жыл бұрын
참나... 의료공공성이.없어서 교회가.이정도면 다른 나라는? 온땅이.교회여야하는거 아냐?
@종철-i2c Жыл бұрын
시간 낭비 했네 뻔한 얘기
@김찬수-r4w7 ай бұрын
현세구복을 바라는 교인은 차라리 무당에게 상담받으세요.
@캠핑캠프6 ай бұрын
김제동꽈 아니길....
@캠핑캠프6 ай бұрын
김제동 빙의 ...??? 나락 갑니다.. .
@여이병예7 ай бұрын
십자가의 의미를 잘 모르는 말씀만 하시네요
@peterjun88897 ай бұрын
어휴 ㅎ
@젼-l6p9 ай бұрын
교회가 교회인가?
@스맥크트10 ай бұрын
예수님 하나님 사랑합니다 아멘
@zerozero79979 ай бұрын
교회 예를 든건 좀 어거지로 끌어다 붙인거 같은...다른 예시가 더 좋을거 같은데
@jongrea13148 ай бұрын
지껄이면 다 강의?
@해선의신 Жыл бұрын
노동이 불안정한데 세금외에 헌금까지 내냐? 완전 돌팔이논리
@bubble2305 Жыл бұрын
비정규직 노동자는 민노총 귀족노조땜이죠...공공성이 인간의 모든것을 해결하는게 아니죠? 이 강의와 비슷한 수준 개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