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한 내용 세줄요약 1.지식에는 위상이 있다. 상위 위상은 관계이고 하위 위상은 개별 지식이다. 2.상위 위상인 관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3.공부는 상위 위상인 관계를 장악하는 단순화 과정후 하위 위상인 개별 지식을 정리하는 복합화 과정의 연속이다.
@user-vp9rb6fo9k Жыл бұрын
국어 최소 1등급
@user-oc4ss9lg8n Жыл бұрын
장악하는 단순화 과정이라는 말이 좋네요 감탄했습니다
@달밝은-v3w Жыл бұрын
와♡ 고마워요!!!
@77비기 Жыл бұрын
오~!!!!
@태봉신-v3h Жыл бұрын
좋네요
@배베르나르 Жыл бұрын
공부 좀 안해본사람은 못 알아듣겠네요. 완전 고급편이네요. 평생 공부만 해온 사람. 학자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분이네요.
@띠아맘 Жыл бұрын
1.관계 이해 2.변화 이해 3.삶의 균형 4.패턴 찾기
@araimizan Жыл бұрын
효과적인 공부의 핵심은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연산보다는 관계가 우선이라는 연설자의 주장에 따르면, 실제와 가상 세계 사이의 구분은 불필요하다. 존재하는 것은 모두 관계이며, 관계 자체가 우주다. 문맥을 분리하는 능력은 인간에게 일반적인 지능과 창의력을 제공한다. 연설자는 30년 동안 훈련 세트 이론적 사고를 통해 어떤 책이든 한 두 개의 다이어그램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그것을 어떤 공부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를 공부하는 것입니다. 사물과 계산보다 관계가 먼저옵니다. - 관계는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 사이의 구분보다 더 근본적입니다. - 관계의 집합은 물질과 입자를 통합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물체 간의 관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날 수 있습니다. - 현상의 형성과 해체는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면 변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세부 사항 대신 집합으로 공부하면 복잡한 개념을 더 명확하고 조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집합적 사고를 훈련함으로써 우리는 지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집합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시각이 제한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감정은 논리적 단계와 반복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문제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무엇을 모르는지 인식해야 합니다.
@KKing0120 Жыл бұрын
와…머리에서 막 번개가 치는게.. 여태 무의식적으로 행하던 사고방식이 정의가 되는 느낌도 들고, 사고의 그릇이 더 넓어지는 느낌도 드는게.. 정말 감사합니다..
@Jin-so4pb Жыл бұрын
최근 박문호 박사님의 강의를 몇개 보게 되었는데, 놀랍습니다. 모든 걸 연결하신 지식과 철학이 경의롭습니다.
@stageno2 Жыл бұрын
감정에서 알아차림이 제일 우선이다 그러나 모순인게 알아차린 순간 이미 늦은거라는거다.그 감정이 일어났기때문에 알아차린거라 예측한다는것은 모순.. 그래서 예측하려면 이전기억으로 변화율을 따져봐야한다. 미리 이전기억으로 감정이 일어나기 전에 예측 진짜 무릎을 딱 치는 명강의입니다
@bog.byeonggil Жыл бұрын
변화율이라.... 뜬금없지만 경마쟁이들이 참고해야 할 댓글입니다. 내 닉을 아는 경마쟁이들 지금도 늦지 않다. 어짜피 못 끊을 경마라면 이기는 돈을 따는 베팅을 해야하지 않겠나.
@candleproducer Жыл бұрын
주식투자자들도 명심해야 할 명강의입니다.
@쯔쯔네 Жыл бұрын
이거 육아하는 입장에서 너무 공감했던게, 아이들한테 욱하기 직전에, 평소보다 내가 너무 욱하고 있다는 감정을 알아차린 후에 혼자 죄책감만 많이 갖고 있다가, 호르몬 변화에 의해 그런 시기들이 생겨난다는 걸 깨닫고는 그런 시기가 다가올 때는 '이전기억'으로 욱, 올라오던 것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었어요. 감정을 기술로 새롭게 접근해서 조절해야한다는 말, 너무너무 와닿았어요. 사람이 약을 먹는 것도 그런 거에 속하겠죠? 진짜 무릎 딱 치는 명강의.......
@betterlife95249 ай бұрын
10년전에 박문호 박사님을 알게되고 과장 조금 보태면 인생이 바뀌었네요. 박사님 본인도 꾸준히 공부한 바를 나눠주시기 때문에 매년 새로운 시각을 전달해 주시고있어 그 포인트를 쫓아가는것도 즐거움입니다. 정말 대단한 분이십니다.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정회원으로서 목요특강에도 참여해 보세요.
@경희한-o6i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이 계시고 유튜브가 있어서 이런 훌륭한 얘기를 집에서 누워서 듣다니! 이 시대가 고맙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배건-u8y10 ай бұрын
자연,인간,신 그중에 제일은 자연이니, 결국 인간은" 자연이 준 선물" 을 하나하나 풀어가는 존재, 박사님 감사합니다!!
@name-bf3ek Жыл бұрын
어려운 것을 접했을 때 머리가 터져나가는 것 같지만.....그러고 나서 깨닫는 것들이 분명히 있더라고요. 어려운 것을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깨달음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박문호 교수님은.....항상 느끼지만,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아는언니-o2f Жыл бұрын
와.. 와.. 소름이 끼치네요. 얼마나 공부를 하면 이런 통찰력과 인사이트를 갖게 될까요..
@Hangyeoul-s1g Жыл бұрын
1.관계이해 -인과관계 -상관관계 -수반관계 2.변화이해 현상적 변환: 사물과 사물이 현상을 만들어냄 -종류: 감각의 현상성, 지각의 현상성, 의식의 현상성 현상성이란 순간적인 성질을 지님 =감각의 적시성 모든 현상의 만들어지며 분해하는 것은 조건이 있다. 그러므로 인과 연이 연결되어야 현상이 존재한다(불교의 공). 즉, 적어도 사물이 둘 이상이 있어야 현상(조건)이 생긴다 3.삶의 균형 변화가 계속 있어야지 생명이 존재 허나 그 변화의 경계가 있다. 예시) 안전과 유연 안전만 추구 꼰대, 유연만 추구 산만함. 정확성 속도 낮음 정확도 높음 속도 높음 정확도 낮음 이건 질량 보존의 법칙 평균으로의 회귀라는 관점으로 봤을때 많은 현상에 적용되는 예시이다. 나도 그런 걸 경험으로 느꼈다. 4.패턴찾기 공동패턴은 집합론적 사고 모든 문학은 언어학 새로운 학문은 대부분 새로운 언어를 창출함. 5.집합론적 사고 집합(언어), 관계(논리법칙), 현상, 모순 그외의 팁들 1.맥락 분리 우리의 뇌는 맥락을 분리 가능해 학습전이 즉, 다른 책의 맥락을 배우는 책에 적용 가능하다.
@kilee2861 Жыл бұрын
제가 요약해보자면 모든 것은 관계로 지어진다 연산이 핵심이다 그러기에 특정공부를 하기위해선 큰그림에서 관계를 먼저 그리는게 공부의 절반 화살표 시간관계 구체적내용공부는 기본지식공부 맥락은 관계만 알면 자연스레나온다 그리고 동의반복 맥락분리 기억을떠올림
@qwqwqwqwqw458 Жыл бұрын
여러모로 중요한 마인드맵이나 교과서 목차읽기도 결국 이 관계성이라는 같은 맥락일수 있지만 선생님이 알려주신 방법은 그걸 구체적 기호로 표기 하므로서 우리뇌가 더 쉽게 인식하고고 기억할 수 있겠내요. 마인드맵은 관계성을 따지지 않고 뇌의 연상작용을 활용하는 건데 선생님이 말씀하신 이것과 결합시키면 훨씬 효율적일 거 같아요
@이규상-o9r Жыл бұрын
명강의 들으러 왔습니다 진짜 순수한 박사님 존경합니다
@kyungsun1009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유튜부를 있게한 수 많은 사람들 그들의 재능, 수고, 모든 조건들에 감사합니다
@EV-ej3yc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지식과 그에 대한 이해도는 국내 최고인듯.
@jaySeok-z7o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전공으로 오랫동안 공부해왔고, 철학과 인간관계, 그리고 가르치는 방법론에 대해 오랜 고민을 해왔던 제게 가장 깊은 깨달음을 준 강의입니다.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저도 수학과 나왔고, 원리원칙 중요하다고 들은 사람중 한명입니다. 인간관계에도 규칙이 있지않나 혼자 25년동안 고민하다가 부딪히며, 직장생활 깨지고 머릿속에서 지우고 살았는데요ㅜ 이렇게 통쾌하게 수학적으로 접근해주니 너무 후련하고 시원합니다!!!
@Mmm-pq1yg Жыл бұрын
뭔가 물리가 터지신 느낌이네요. 저도 더 공부해서 그 수준으로 따라가고 싶습니다. 부럽습니다. ^^
@sujeongpark4371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대상보다 관계가 먼저라는거.
@ssh2322-s1y Жыл бұрын
집합론적 사고방식을 이용해서 개념들을 일목요연하게 관계로 드러낸다. (by 화살표, 사각형, 직선) 1. 전체 큰 그림을 그린다. 2. 그림을 공고히 한다. 3. 관계를 표시한다. (집합과 관계를 그리고 들어가야 함) 내가 가진 지식이 어느 서랍에 들어가 있는 지 알게 되면, 그 지식의 가치가 결정된다.
@gegenuberzeit4262 Жыл бұрын
그 말이 떠오르네요 히브리어에는 현재라는 말이 없습니다 과거와 미래시제 밖에 없습니다 댓글을 쓰는 이 시간도 다 지나가 버리니까요😮
@AlpaAndromeda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능력과 암기력이다. 조중학교때 수학을 잘해도, 고등학교때, 중간밖에 못하는 실력이 된다. 수학문제를 보면, 국어같은 느낌을 들때가 있다. 그것은 언어능력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암기력으로 그문제에 맞는 수식을 찾아 수식을 만들어 풀어내는 것인데, 이 두가지가 제대로 안되면, 문제를 파악이 안되고, 맞는 수식을 대입하기 힘들다. 영어 공부를 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가? 영어단어를 외우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제대로 안된다면, 할 수 있을까? 단어를 모르는데, 독해가 가능할까?
@htuoyeht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공짜로 볼 수 있다는 것에 매사 감사할 뿐이다 진짜 전혀 아깝지 않았던 35분이었습니다 박사님 너무너무 대단하십니다! 분명 너무 당연한 내용 같으면서도 잘 깨닫지 못한채 생활하는 것들이 정말 많다는걸 새삼 느낍니다
@그린-l6i Жыл бұрын
정말정말 대단한 강의 첨으로 감동입니다 홀릭 항상건강하세요
@bitcoin5957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뭔가 배우고 싶다는 내면의 꿈틀거림이 느껴지네요
@doyoungkim3103 Жыл бұрын
대상을 기억하는게 아니라 관계를 보는 것이 중요하고, 세상은 모순된 두가지 상태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므로 집합론적 위계적인 사고를 통해 논리적, 기술적,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이 세상을 인식하는 가장 핵심 사고이다.
@slowstacker135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사님. 내용이 길고 복잡하면 다 보기 어려워하는데 1부 부터 설명 들을수록 감탄하게 되서 4부까지 빠져들었네요. 이제 내 것으로 만들어야 남는건데 그렇게 됐으면 좋겠습니다.
@심장박동해 Жыл бұрын
관계,모순,집합,현상/자동과구성, 안전과유연,속도와정확,추상과구체/직선, 화살표, 사각형의 플로어 다이어그램은 논어에 일이관지로 이해함/불교의 알아차림, 공사상을 수학처럼 연산할 수 있다면 윤회도 설명할 수 있을런지 여하튼 목적지를 가기전에 지도를 만들고 계획을 세우면 2배는 빨리 갈 수 있고 이 지도만드는 방법은 직선, 화살표, 사각형으로 만들어 모듈화 하면 다른 지도와 연결 가능해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으며 응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로 이해했습니다. 슈어
@Page_Jun Жыл бұрын
오마이사이언스!
@noctiss_x Жыл бұрын
허허허, 좋습니다.
@삼공-z2b Жыл бұрын
우주와 사물을 꿰뚫는 자신만의 패턴을 찾으신 거 같습니다. 해당 전공 지식이 없으면 한 문장을 이해하는 것조차 어려워 보이네요 언젠가 저도 박문호 박사님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통찰을 나눌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kilsansa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천재 아니신가요? 감동적입니다 !!
@Choco-jn1dl Жыл бұрын
저도 다 연결돼었다는 것을 가슴으로만 느끼고 있었지만 구두로 세밀하게 설명해주시니 아주 프랙티컬 합니다 :-) ❤
@권의륭-c6t Жыл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명쾌히게 하늘이준 분별력을 기르처주어셔서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더욱건강하시고 바른 인간의 생각의길 을 이끌어 하늘끝까지 과학으로 기는 길을 찾을 것이라고믿읍니다
@user-losbdhhm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건강하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user-dt3ji3le8p Жыл бұрын
감정과 학문을 집합론적 관계로 접근하라. 결국 동어반복일 뿐이니 시간의 경제성이 확보된다. 명쾌하고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무슨 말씀이신지 마음으로 확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
@kilee2861 Жыл бұрын
이영상에 우주의 비밀이 담겨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홈런볼볼 Жыл бұрын
수학과 전공했고, 얕은 지식으로나마 정리해봅니다. 원칙 : 인간 ⊂ 관계 ⊂ 자연 (묻지마라, 세상에 절대적인 것) 수학적 접근 4개의 주춧돌 1. 현상화 2. 3. 4. 모순 (모순을 사랑하라) 수학적 접근으로 인간관계 풀이 1. 자연은 관계를 갖는다. 1-1. 인간은 수를 외부에서 찾았다 즉, 인간은 수를 발명한게 아니고, 수를 “발견”한다 = 인간은 수를 “인지”했다 = 수는 관계를 갖는다. 동의반복하여 체계를 갖는다. = 체계 덩어리를 인지했다 = 인간은 수가 “closed”영역임을 알았다 = 갇힌 세상임을 알았다 = “군”을 알았다 = else를 알았다 1-2. 가상세계, 진짜세계는 자연관계에 의해 이벤트된게 맞다. 2.
@통키-d8f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박사님..!❤
@dongsK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추신의신 Жыл бұрын
이런 분이 대한민국인 이라는 것이 감사할 따름입니다 진심 고맙습니다
@De_art700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강의입니다 공학도인 저로서 역사와 감정에 그것을 적용하시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hr4836 Жыл бұрын
와우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후반강의에서 감정 부분의 알아차림과 패턴. 이건 심리학 이론과 기법 중의 하나인데.. 이 강의 내용과 연결되는게. 신기합니다!!
@hadonlee4668 Жыл бұрын
앞에서 무슨소리를 하는지 몰랐는데 23:14 와 이해가 여기서 확되네요 저도 이런식으로 했던거 같아요 엄청 유익한 영상이되었습니다.
@미화김-i3t Жыл бұрын
우~와 대박!!!! 이렇게 귀한강의를 내가 직접듣게 되다니~~~ 너무도 감사드립니다~~~~~^^
@hedda.gabler Жыл бұрын
평생을 연구해오신 내용에 대해 압축적이고도 명쾌한 강의 들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집합론적 관점에서 패턴과 구조를 파악한 뒤 세부로 들어가는 학습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새기게 되었습니다.
@띠아맘 Жыл бұрын
와 이 박사님 정말 똑똑하시다.. 중간중간 이해가 잘안되지만 핵심은 모든 학문이 집합적인 관계로 되어잇으니 관계를 파악하는데에 집중해라는 말.... 휴우 진짜 대단하심와우 영상보는내내 놀라움
@초록물고기-v2o Жыл бұрын
운명적 문과의 입장에서 중간 중간 굉장히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 강의를 집합론적 사고로 바라보면 집합론적사고의 조망- 관계 -기술적 접근- 역설 - 모순 - 균형 대략 이렇게 기억으로 남습니다.
@RoYMiK Жыл бұрын
엄청나네요~! 지금까지 본 유튭 영상 중 탑 3에 들만큼 흥미진진 신나게 보았습니다~!
@uunvoid11 ай бұрын
어려워서 이해하려면 내공을 많이 쌓아야겠다..
@sanghahwang Жыл бұрын
먼저 숲을 보고 나무를 보라는게 핵심이네요ㅎㅎ 즉, 이치를 깨닫고 그 속에 들은 작은 요소를 깨닫는것이 중요하다라는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ㅎㅎ
@GinaQueen Жыл бұрын
발견이죠 모든것이🙏 고맙습니다
@xiuyan1234 Жыл бұрын
볼때마다 감탄합니다. 그동안 따로 알고 있던 지식들이 집합과 관계, 패턴이라는 큰 덩어리 속에서 취합되고 각자의 자리를 찾아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물론 아직 많이 미숙하지만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감사합니다.
@드르르륵-l4h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30년의 통찰력을 35분 동안 시청한다고 제것으로 소화하기는 쉽지 않겠죠. 그래도 제가 이해한 인사이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세부적으로 먼저 들어가지말고 집합론적으로 사고하기 -> 집합론적으로 사고하기 위해서 관계 집합 모순 현상 4가지 법칙을 기준으로 이해하기 -> 유럽역사를 예로 유럽에 해당되는 모든 나라의 지도를 그리기 --> 국가는 지질학과 밀접한 관계, 국가간 지리위치로 발생하는 현상과 역사속 관계들 --> 각각의 관계나 현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무언가로 필연성을 발견, 예측이 가능, 모듈화하여 다른 학문에 적용 이 가능 --> 예측을 통해 어떤 현상을 대처 할수 있다 --> 현상의 공통적인 전조증상으로 예측이 가능하나 이미 나타난 상황에 대해서 대처하고자 하는 모순 --> 이같은 집합 관계 현상 모순 4가지 관점으로 이해 ---> 집합론적 사고 저는 이렇게 까지만 이해했습니다. 어렵지만 이런 인사이트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제: 관계가 먼저다 단어와 단어가 있을때 단어의 해석이 먼저가 아니라 단어와 단어사이의 관계가 먼저다 예를 들면 사과와 딸기를 예를 들면 둘다 과일이고, 빨간색이다. 거기서 파생되는 다양한 부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밑으로는 안읽으셔도 됩니다.읽고 싶은 사람만!) 생각의 연결고리가 다른 생각을 만들죠 예를들어 길을걸어가다 나무를 보았다 나무를 자세히보니 열매가 있었다 그 열매는 생전처음보는 열매다 그 열매를 관찰했더니 세모네모동그라미가 합쳐진 모양이다 맛을보았더니 새콥달콥짭잘이다 그 과일을 분석해보았더니 어떤 원소기호로 이루어져있더라 라는것 까지 가게 됩니다 인류의 발전을 보면 물리적 현상을 통해 발견을 하게되고 그 발견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발견합니다 그 관계를 보니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새로운 판도라가 열립니다 공부는 매한가지입니다 우리가 오감과 뇌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체를 인지하고 이해하고 나에게는 좋은 것이다 나쁜것이다 라는 관계까지 만들어갑니다 결국은 학습은 인류가 발전한 모습대로 학습하면 된다는 논리입니다 무작위 암기가 아니라 결국은 이해인데 이해는 단어의 개념이 두루뭉실한상황에서도 관계를 이해하면 그 단어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된다는 거죠 우리 뇌는 관계를 통해 이해하게 프로그래밍 되어있기때문이죠 생물학적으로 들어가면, 관계를 보다보면 도파민이 형성됩니다 암기는 도파민보다 스트레스를 만들지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 우리 뇌의 구조를 활성화 하는겁니다 그게 공부방식의 핵심인듯합니다 ㅎ
@bkim-n3s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장해놓고 다시 보고싶네요
@user-yq5st2ee2n9 ай бұрын
와...설명 너무 감사해요
@Jeje-gq3ef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다 일리야 프리고진의 ^혼독속의 질서^를 이 분은 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논지를 담고 있네요 공부법에 관한 것이 아니라 훨씬 큰 논지를 담고 있네요
@Pain_makes_me_better Жыл бұрын
갓문호 박사님❤ 월말김어준 때부터 존경해오는 박사님 ❤ 역시는 역시군요. 최고 👍
@choch5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요즘 초등생들이 모든 학문의 도입이 이렇게 되어야 청소년기때 멋있게 공부할 수 있을텐데요,. 귀한 우리 아이들 서로 밥그릇싸움만 하는 어른들 속에서 불쌍하네요참!.. 박문호교수님 꼭 건강하세요!❤
@jkr4382 Жыл бұрын
저에게 정말 큰 개념을 깨닫게 하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HwaSeobChoi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인사이트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moonlightsilvery6680 Жыл бұрын
변화율을 이렇게 다양하게 활용하는 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고의 인사이트를 주시네요
@chomama4514 Жыл бұрын
사고력을 키우려면 자연을 이해하라는 말씀인듯...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계절의 변화와 순회. 죽음과 삶 날씨, 동식물의 연계등등 관계와 변화 0으로 돌아가는 균형, 패턴 등등 철학을 이해할 때 사고력이 고차원적으로 오를 수 있다는 말씀인 듯 합니다.
@파묘-h6x Жыл бұрын
제 인생최고의 멘토십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raraha2213 Жыл бұрын
와....이런 사람이 천재구나...........감탄합니다
@Mykw-b1j Жыл бұрын
유튜브라는 존재가 있음에 감사하게 됩니다. 이런 귀한 강의를 시간지불만으로 들을 수 있다니요.👍
@포물 Жыл бұрын
👍👍👍😁😁😁
@jinnykim88 Жыл бұрын
매번 박문호 박사님 강의를 들을때마다 경외심을 느낌니다!!
@이람-i1g Жыл бұрын
wow.., 지금것 존재하는 모든 동영상 강의중에 최고의 영상입니다. 백번은 반복해서 봐야 할 것 같내요..오늘 첫 번째입니다. 그동안 해오신 말씀들이 종합적으로 정리해주시내요. 감사합니다.
@두차이햄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강의를 들으면서 중간에 멈추거나 혹은 나중에 다시 보거나 한 적이 단 한번도 없습니다. 한번 재생하면 끝까지 보게 됩니다. 박문호 박사님의 화법이 그만큼 매력적이라는 겁니다.
@sehaoh283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구독했습니다
@산식김-z5x Жыл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를 각성하는 귀중한 공부시간입니다! 놀라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중고사업유튜버 Жыл бұрын
예시가 많아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결국 균형을 잡고,이면을 보고, 본질을 찾고 패턴화, 관계성을 찾으라는거군요.
@이승후-p1x Жыл бұрын
진짜 박사다 이 사람은
@산식김-z5x4 ай бұрын
선생님! 굉장히 귀중한 내용의 강의에,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여연심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최고입니다~
@화성에서온베이지 Жыл бұрын
굉장한 인사이트가 있는 가르침입니다... 이건 진짜 가르침입니다. 감사합니다
@rtboa111 Жыл бұрын
감히 학습에 관점만 떼어서 요약해 봅니다. 1. 모든 것은 관계, 집합으로 표현 가능하고 이를 통한 실재는 현상이다. 2. 인간이 만든 모든 학문은 결국 언어를 만드는 것이며 그 언어는 곧 객체간의 관계를 표현한다. 3. 어떤 학문을 배워 나갈 때 그 학문을 이루는 객체들에 대한 관계정의를 먼저 한다면 학습에 있어 굉장한 도움이 된다. 코페르니쿠스적인 통찰에 깊이 감탄하고 갑니다.
@mjcho9396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영화 한 편을 본 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kukyeonhwang3371 Жыл бұрын
우선 이 영상을 만드신 분과 박문호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정말 말이 안 나올 정도로 매우 충격적인 영상이네요. 저 연세에 거침없이 본인의 지식을 표현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삶에 대한 통찰력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고, 이런 게 진정한 라이프 해킹이 아닌가 싶습니다.
@혜윤-x7r Жыл бұрын
와..알것같으면서도 단번에 이해가 되는건 아니지만 알듯말듯하면서 조금이라도 알아들어지는게 신기하네요. 이런개념을 문득 떠올려본적있는데 확신을 가지고 직관적으로 얘기해주시니 많은 생각이 듭니다. 8:18 재밌어요
@혜윤-x7r Жыл бұрын
12:39 여기도재밋당!!
@혜윤-x7r Жыл бұрын
20:22
@혜윤-x7r Жыл бұрын
예측은 미분을 통해서만 알 수있다.. 29:25
@혜윤-x7r Жыл бұрын
31:34 감정은 기술적문제다 분류를 하면 된다. 조절하면 된다. 일어나기전에 조절하면 된다. 그 힌트는 변화율을 통해서 관찰해라. 감지!
@혜윤-x7r Жыл бұрын
34:12 여기가 영상의 가장 핵심적인 파트네요. 34:15 지식의 가치가 결정하는 방법.
@ilwonlee9103 Жыл бұрын
캬. 뭔가 어렴풋하게 느끼고 있던 것들을 명확하게 정리해 주시네요.230826.
@leonardogene Жыл бұрын
많은 공부가 됐습니다.. 매우 흥미로운 정보였습니다. ^^ 박 박사님의 통찰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박기철-g9h Жыл бұрын
초반부를 들으며 양자역학의 "관측은 전자들의 상호작용이다"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hahahohoaaha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되는 부분입니다 소름 돋는게 감정이 기술적 문제라는 설명과 불에 비유하는 부분에서 더더욱 양자역학이 떠올랐습니다..
@myeongsoo_1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나오시면 일단 종이 펜 들고 앉아서 듣습니다. 그냥 날려듣기에는 너무 아까운지식들이거든요
@housewifebeginner1518 Жыл бұрын
언젠가는 이해하고 싶습니다
@hyesu6785 Жыл бұрын
분과되어있는 학문을 통섭해야 하는 이유와 그 방법론으로 집합론적 사고, 궁극의 지점인 관계, 모순, 현상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의 구분 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알면 알수록 대단하신 분. 오늘 강의에서 말하는 사고법을 연습해 가면서 조금이나마 닮아가고 싶습니다🙏
@달밝은-v3w Жыл бұрын
정말 근사한 분들입니다 부러워요 ㅎ
@w-1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지식이라서 제가 따라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gyk3193 Жыл бұрын
유레카~~~~대단합니다. 이렇게 지식을 나눠줘서 정말 감사합니다....
@김공감-p2p Жыл бұрын
명괘해서 좋습니다. 앞으로 공부의 방향성을 얻은 기분입니다.
@orter4829 Жыл бұрын
현재까지 등장한 패턴화중에 가장 상위개념이네요. 대단하십니다. 분류된 여러 항목에서 상위의 통합개념을 찾는 작업은 필시 다수의 표본이 필요한데, 학습이라는 카테고리의 다양한 표본을 학습하는 과정부터 넘사벽인데 거기서 패턴을 발견하신건 엄청난 통찰력이십니다. 저도 꼭 익히고싶습니다!
@orter4829 Жыл бұрын
@@논리적잼민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학문이 하루아침에 뚝딱 만들어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관점과 철학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을 들여 이루어낸 성과를 비하하시려는 의도는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이번에 등장한 상온 초전도체 LK-99 역시 기존의 이론과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었고, 이에 대해 학계도 기존의 이론에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에 대한 반발을 가진 그룹과 새로운 시각이라는 점에 대한 참신성에 높은 점수를 주는 그룹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인생을 쏟아 만들어진 결과물이니만큼 긍정적인 면을 보려고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parkjeonggyu6401 Жыл бұрын
@@논리적잼민이 그럼 님이 나와서 설명해주세요..
@유하람-y4u Жыл бұрын
@@논리적잼민이어색한 한국어 표현으로 보였던 게 혹시 뭐가 있을까요?
@seongmin_choi1123 Жыл бұрын
@@parkjeonggyu6401 틀린말은 없는데 과하게 반응하시네요
@intelligent-tech-tateatsu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일본에사는건후라고합니다. 동영상 감사합니다. 아직 내용에 이해가 어렵지만, 대단한 내용에 감탄하고있습니다. 또 다른 동영상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watching1577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 존경합니다 고맙습니다
@대발이-v3f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강의 내용이 인사이트를 주고 충격을 주는 내용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on_mars Жыл бұрын
이건..하버드 대학원에나 가야 들을 수 있는 강의 아닌가요?우와..진짜 대가십니다.
@유유-s5w3p Жыл бұрын
수학 발견이란 말씀에 찬성 입니다
@Maria-fi7ux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너무나 많은것을 깨닳아 놀라울뿐입니다. 위대한발견을 이렇게 공부했으니 너무감사합니다
@theworld4369 Жыл бұрын
모든 학문을 독학으로 통달하고 창의적 논리로 재정립하는 천재 과학자. 존경스럽기보다 경외스럽다. 사람의 범주에서 벗어난 지능 소유자.
@wdt6377 Жыл бұрын
보통 나무를 보지말고 숲을 보라고 하는데 숲을 넘어 지구, 우주적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거대한 하나의 패턴을 찾는 느낌이네여
@라니-g6c8 ай бұрын
정말 잘 들었습니다 저도 집합론적사고로 접근하는 연습부터 해보겠습니다
@inima_art Жыл бұрын
자연이 연산을 한다. 관계와 집합, 모순과 현상 4가지 범주로 집합론적 사고를 한다. 지적 쇼킹입니다. 아껴서 있다 잘 들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