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가 중독에 취약해진 근본적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3,026

충코의 철학 Chungco

충코의 철학 Chungco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즘 SNS 중독, 스마트폰 중독, 알콜 중독, 마약 중독 등 각종 중독 문제가 이슈인데요. 오늘은 중독 문제에 대한 제 나름의 철학적 견해를 말씀드려봤습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153
@chungco_phil
@chungco_phil 2 ай бұрын
라이브 방송 보관 채널: 충코의 보관소 www.youtube.com/@chungco_archive - 충코의 책 - 📖 2023~2024 신간 「가장 사적인 관계를 위한 다정한 철학책」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1727769 쿠팡: link.coupang.com/a/buhzcc 📖 2023 「철학자들은 대체 무슨 생각을 할까」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V1 📖 2022 「어떤 생각들은 나의 세계가 된다」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9577626 쿠팡: link.coupang.com/a/buhz5f **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30분~10시 30분 라이브 방송 진행합니다. (방송 진행 못하게 되면 커뮤니티에 사전 공지 합니다!) * 인스타그램: chungco_phil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soleils4256
@soleils4256 2 ай бұрын
중독은 자기 주체성 상실을 의미함. 뇌가 특정대상에 종속된 상황.
@pho6088
@pho6088 Ай бұрын
정확하구나
@user-qg2zj1yh6z
@user-qg2zj1yh6z Ай бұрын
오우 촌철살인 의 문구다 이글 퍼갑니다
@user-qg2zj1yh6z
@user-qg2zj1yh6z Ай бұрын
@@Jior0211 아 그렇구나 오늘알았네 감사드립니다
@user-wj8rv8hp4u
@user-wj8rv8hp4u 2 ай бұрын
중독에 대한 색다른 해석. 흥미롭네요. 감사합니다
@Kongkong0000
@Kongkong0000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중독 , 습관, 루틴은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습관은 100일이면 만든다는데 중독도 내가 알게모르게 반복하다보니 100일동안 형성되도록 둬서 습관이 된게 아닐까 싶은..
@user-cd5kr4le4b
@user-cd5kr4le4b Ай бұрын
나쁜 습관(중독)은 1주일 안에서도 완성 되더군요
@kks5676
@kks5676 2 ай бұрын
모든 중독은 억압에 대한 반발이다 인간의 불안은 그들이처한 억압된 환경때문. 야생동물을 케이지에 가둬보세요 반복적습관적행동으로 자신을 갉아먹잖아요 . 삶자체가 .ㅎ
@user-ye7fj6px4n
@user-ye7fj6px4n 2 ай бұрын
억압에 대한 반발? 억압이 아니라 스스로가 비교질때문에 조급함이 생겨서 그러거임
@5tw3b45tcf
@5tw3b45tcf 2 ай бұрын
모든 인간은 서로, 자연, 우주, 등등에게 억압 받는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억압받는다고만 생각하면 너무 피해의식적인 관점이 되지 않을까요?;
@user-pl3jw3cb5v
@user-pl3jw3cb5v 2 ай бұрын
'쥐 공원' 실험을 보면 이 말이 이해가 갈 겁니다
@5tw3b45tcf
@5tw3b45tcf 2 ай бұрын
@@user-pl3jw3cb5v 쥐 공원 실험은 쥐 몇마리를 큰 쥐 공원에 가둬놓고 쥐들이 원하는건 다 주고 원하는대로 살게 해줬는데 번식하고 잘 살았는데 나중엔 다 서로 물어 뜯고 죽었다는 내용이죠. 근데 지구 전체를 보면 인류가 갇혀있는건 아닌것 같은데요. 가둬진 부분은 그렇게 될 수도 있겠지만... 피해의식적인 생각을 하면 결국엔 자기실현적 예언 같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사회에 나쁜 부분과 좋은 부분이 있겠지만 사회가 분별을 통해 좋은 길을 잘 찾아가는게 중요할것 같네요.
@user-pl3jw3cb5v
@user-pl3jw3cb5v 2 ай бұрын
@@5tw3b45tcf 그건 칼훈의 '유니버스 25' 실험 같아요! (브루스 알렉산더의 '쥐 공원 실험'이 따로 있어요) 쥐들에게 낙원 같은 환경을 제공했더니 쥐들이 먹으라는 약물은(?) 안 먹었다는 실험이 있어요
@user-ob4hg1ce2f
@user-ob4hg1ce2f 2 ай бұрын
뭔가를 자꾸만 합리적으로 설명할수 있고 이해되어야만 한다는 생각이 지배하기 때문... 같이 생각해볼수 있는 주제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chk4681
@chk4681 2 ай бұрын
그런 현상을 설명 한 용어가 방어기제 중에 "주지화" 라는 단어 인 듯 합니다
@NoRaengs99
@NoRaengs99 2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말씀하시는 부분이 제 생각과도 너무 비슷해서 공감이 가네요. 인간은 결국 무언가에 취해서 살아가고 그게 없으면 버틸 수 없는 존재같아요. 무언가에 중독되면서 그게 당연한 상태가 되면.. 있어도 기쁘지 않고 없으면 괴로워지고, 그렇다고 아무것도 중독되지 않고 살아가자니 그 실존적인 공포,공허감을 버틸 수가 없고... 저도 인간이지만 인간은 참 안타까운 생물같아요. 동물 중에서 유일하게 인간만이 가지는 이 자의식 때문인건지.. 정말 독이든 성배 같다고 생각이 드네요..
@Oooowwwww
@Oooowwwww 2 ай бұрын
그냥 제목에 끌려 클릭하게 되었는데 유튜브의 건강한 효능을 진액 그대로 맛보는 것 같은 영상이에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다른 영상도 틀어보면서 개인작업을 이어가보겠어요 ㅎ👍🏻
@heyy_sun
@heyy_sun 2 ай бұрын
완결을 원하지만 미결로 남을 수밖에 없는 또는 완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질문 또는 의심 함으로서 미결로 만드는 인간의 마음을 생각하니.. 한숨이 나오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user-ww7fo7wk3b
@user-ww7fo7wk3b 2 ай бұрын
중독은 텅 비어있다는 인식에 대한 도피에서 비롯된다, 많이 공감됩니다. 개인적으로 혼자 여행을 가면 습관적으로 유튜브를 켜게 되더라고요. 외로워서. 내가 혼자 있다는 거를 외면하고 싶어서. 물론 여행 내내 그렇진 않지만요 😅
@funnist369
@funnist369 Ай бұрын
저는 오히려 책을 읽게 되는거 같아요. 신기하네요.
@user-yw9jl5wu8h
@user-yw9jl5wu8h 2 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내 건강을 해치는 중독을 극복하는 방법 그것을 하지 않아도 지금 당장 내 삶에 완전히 만족 하는 사람이 되는 것 나의 지금 삶이 당장 만족스러울려면 나에게 없는것에 집중하지말고 내가 가진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키운다 (진짜 감정적으로 감사하려는 연습해야됨) 그럼 삶이 만족 즉 행복해진다 그러면 자동으로 내 건강을 더 잘 지키고 싶은, 더 건강해지고 싶은 의지가 생긴다 그러면 내 건강에 나쁜 습관을 고치겠다는 의지가 더 강하게 생기는 것 같다
@Somethinginvisible1
@Somethinginvisible1 2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inmyfree5944
@inmyfree5944 Ай бұрын
생각을 하게되는 좋은 내용❤
@aaa-ff8bj
@aaa-ff8bj 2 ай бұрын
저도 한창 롤에 중독되어 있었을 떄가 있었는데요. 어느날 문득 화창한 날씨의 경치를 보아도 기분이 좋아지지 않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예전의 저는 나뭇잎이 살랑살랑 흔드는거만 봐도 마음이 풍족해지는 기분을 받았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롤을 그만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롤을 하는 시간을 점차 줄여나가니까 예전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생각이 들긴하는데, 지금의 저는 진짜 무언가에 중독되어있는 상태가 아니다라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도대체 남는 시간에 뭘해야할지 모르겠고, 멍만 때리는 것 같에요...다만 집중력이 굉장히 좋아진 것 같고 감정 또한 풍부해진 것 같아요. 재밌는 영화를 봐도 재밌다에서 끝나고 더 봐야겠다 이런생각도 안들고... 게임을 해도 마찬가지에요.
@hermit8197
@hermit8197 2 ай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ilyylm9134
@ilyylm9134 2 ай бұрын
나 자신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수단들.. 요즘은 중독이라는 자체에 많이 관심을 가지다 보니 오히려 그곳으로 빠지는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멍하니 스스로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 필요한 것 같아요.
@user-co7mc4yd6h
@user-co7mc4yd6h 2 ай бұрын
인터넷이나 휴대폰 나오기 전에도 중독은 있었죠. 좋은 중독이냐 아니냐겠죠.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ай бұрын
이런 좋은 영상에 장난스럽게 말하건데 충코 중독은 어캐 치료하나여??? ㅎㅎ
@sthe2437
@sthe2437 2 ай бұрын
텅빔이라는 나의 문제? 현상을 마주하면서 각종 중독거리들로부터 완전히 차단함을 지속적으로 수양하는 체로 살고 있습니다. 없애고 없애다보면 심연에 숨어잇는 진짜나와 만나게 되겟죠. 그 마주함을 모르거나 도피하기 위해서 뭔가를 이용한다면 그것자체가 중독자이지 않을까요
@sanctus722
@sanctus722 2 ай бұрын
멍때려보겠슴다!!
@ssowayoung
@ssowayoung Ай бұрын
꿀잠 자셨나봐요 눈이 팅팅 부으셨네요 ㅎㅎ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Uessay
@Uessay Ай бұрын
젊은 분이신 거 같은데, 통찰력이 대단하심! 오늘 라이브 한 번 볼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제가 일 중독이라서 가능할지 ㅎㅎㅎ
@beautedisto3159
@beautedisto3159 Ай бұрын
티비를 틀어놓는 것처럼 유튜브나 뭔가를 보며 멍 때리는 거죠. 무언가를 잊기 위해 무언가를 입력하는. 평소에 잘 듣고 책도 샀는데 롤 유튜브를 본다는 점에서 동질감을 느껴서 웃음이 나오고 친근함을 느꼈습니다.
@yuuou7542
@yuuou7542 2 ай бұрын
계속 중독될 수록, 집착될 수록 집착을 하고나서 현타가 오면 고통스럽더라고요 필연적으로. 저같은 경우는 3일에 몇 시간은 게임 금단현상이 몇 달이 지속이 됬는데.. 고통스러워서 안하게되는.. ㅋㅋ
@user-ts6nm1qp2h
@user-ts6nm1qp2h 2 ай бұрын
하루종일 강의, 설교류 듣는 것도 중독이겠죠? 유튜브중독??
@user-xx7nz2zc7t
@user-xx7nz2zc7t 2 ай бұрын
모든 쾌락만을 추구하는 남자랑 30여년 살았는데 옆에 있는 사람은 고통 그 자체더라고요 그 집 가족들이 다 비슷했어요 유전적 요인도 있는 듯요
@user-kz2on2gv8e
@user-kz2on2gv8e Ай бұрын
어쩌면 취미를 만드려는것도 건강한 중독을 갖기 위한 노력일수도 있겠네요
@NoRaengs99
@NoRaengs99 2 ай бұрын
10:25 이 부분에서 진격의 거인이라는 만화에 나오는 케니의 유언이 생각나네요. "다들 뭔가에 취하지 않고선 버틸 수 없었던 거다, 결국 다들 무언가의 노예였다..."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2 ай бұрын
유전적 요소도 있다고 봅니다 도박중독과 알코올 중독인 경우를 보면... 전문가들도 예전과 다른 견해로 말씀들 하시고...
@user-hp1mv6kp5k
@user-hp1mv6kp5k 2 ай бұрын
박상륭의 소설 죽음의 한 연구를 보면 텅빈 불모의 공간 유리란 장소가 있으며 그 안에서 주인공은 구도자가 되어 해탈의 경지를향해 많은 본능과 직면하게 되는데 우리는 인간개인의 내면속 심연에서 내가 존재함을 직관하고 경험하는 명상으로서 스스로를 고양하는 시간을 갖는게 중독을 극복하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네요
@user-ge7lt3yg7j
@user-ge7lt3yg7j 2 ай бұрын
박상륭 선생님의 글은 정말 깊어서 좋습니다. 그런데 너무 깊어서 지금의 시대를 사는 보통의 현대인들이 접근하기엔 매우 심오한 면도 있지요. 모두가 자신의 존재를 직관하며 자기를 보는 수행을 한다면야, 이 조급하기 이를 데 없는 사회가 조금 더 여유로이 움직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문제는 다들 너무 바쁘다는 데 있지요.
@vamp_c502
@vamp_c502 2 ай бұрын
충코님이 야외에서 찍어 올리시는 영상 배경을 보면 하이델베르크의 철학자의 길이 떠오르기도 하고 멘델스존이나 슈베르트 음악이 생각났는데 오늘은 중독 이야기 때문인지 그리고 독일에서 4월 1일부터 대마초 허용해서 그런지 길 가다 맡을 수 있는 대마초 냄새가 떠오르네요 ㅋㅋㅋ 죄송 😅 6:50 - 7:10 도파민으로 콩깍지가 벗겨지는 과정, 환승연애, 양다리 등 설명 가능 7:17-7:45 PTSD 정의 7:53 헝가리에서 태어났지만 현재 캐나다 거주. ADHD 연구한 Gabor Maté 9:15- 9:30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보다보면 자주 나오는 말, 아이를 위해서라도 그 고리를 끊어야된다.
@user-cn8jj8cl8i
@user-cn8jj8cl8i 2 ай бұрын
중독이 심하면 무엇인가 계속해서 집착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에 그게 돈이 될수도 있고 게임이 될수도 있고 여자가 될수도 있고 술이 될수도 있고 쇼핑에 될수도 있고 그런것 같습니다.
@Nanun-wt1gi
@Nanun-wt1gi Ай бұрын
말 진짜 잘하신다... 귀정화 하고 갑니다.
@user-zc2dw2xx3l
@user-zc2dw2xx3l Ай бұрын
자기 공허함이 중독을 만든다. 공감합니다
@wood5356
@wood5356 2 ай бұрын
부처는 고통이 없는 선택을 한것일 뿐 중독은 욕망이고 고통이라서 고통없는 삶을 선택한것이다
@jjp9948
@jjp9948 Ай бұрын
맘편히 쉴곳이 없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심지어 집까지 층간소음으로 고통받고 조심해야하니 맘편히 멍때릴곳이 없어요
@Wheeliebo2
@Wheeliebo2 2 ай бұрын
와 중독은 무조건 문제라고만 생각해왔는데 또 다른 관점으로 중독을 바라보게 되네요
@user-ut5dc7rn4j
@user-ut5dc7rn4j 2 ай бұрын
저도 이렇게 말을 논리적으로 잘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냥 책을 많이 읽으면서 생각을 많이 해야 하나요?
@nonamed7163
@nonamed7163 2 ай бұрын
책을 읽어 어휘력과 사고력을 높이는것도 중요하지만 말은 결국 사회적인 능력이라서 사람을 다양하게, 많이 만날수록 늘어나는것 같습니다. 물론 타고나게 말 잘하는 분도 계시고요
@Neokids123
@Neokids123 Ай бұрын
중독의 개념을 몰입의 개념과 뒤섞어 구분하지 못하는 느낌. 중독의 방점은 자기파괴이며, 대부분 타인과 물질이라는 요소가 첨가됨. 중독된 사람이 주로 보이는 심리적 특징은 합리화와 자기기만. 이게 있는 한 자신이 중독상태라는 것을 끊임없이 부정함. 오롯이 타인의 관점만이 그 행동기제들을 중독이라 규정. 때문에 능동의지로 자신이 중독상태라는 것을 깨닫는 상황은 자기파괴까지 이르렀을 때. (사실 그 때도 깨닫는지 어쩐건지는 미묘하지만) 거기까지 도달했음을 절감했을 때에야 능동의지가 발현될 가능성 있음. (대부분 그 때가 되면 늦어있음) 자기파괴 이전까지는 저도 중독이란 걸 알지만 끊을 수가 없어요, 라는 말은 거짓 증언. 영상에서 말하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 하고 있다는 그건 몰입의 영역. 의미의 탐색은 공허를 피하기 위함이라는 사실은 어느 정도 합치하지만, 중요한 건 공허를 회피하는 게 아니라, 그 공허를 채울 자신만의 의미, 쾌를 찾기 위한 것. (쾌락이 아님. 쾌와 불쾌로 나눌 때의 그것.) 니체가 말한 건 그 의미를 찾아 채우는 의지의 영역. 자기파괴 같은 건 여기서는 나타날 수가 없음. 어떤 것도 의미가 없다면, 어떤 것이든 의미가 될 수 있다는 역설적 사실.
@user-eb8qd5du3v
@user-eb8qd5du3v Ай бұрын
빅테크 대기업들이 대놓고 어떻게 하명 사람들의 집중력을 더 잘 빼앗을수 있을까 매일같이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어쩔수 없지 언제나 창이 방패보다 앞서는 법이니까
@azzing_v
@azzing_v 2 ай бұрын
4:45 / 6:40 중독으로 도파민 자극에 절여지면 스스로 그만 두기 힘들어지고 작은거에서 만족감을 얻기가 힘들어질듯🥲🥲 14:00 자아에 대해 고민해보쟈!
@user-k2kdsjfrtd
@user-k2kdsjfrtd Ай бұрын
네 철학과 출신 프리랜서 백수의 합리화 개똥철학 잘들었습니다..😅 여기 댓글들이 더 깊이가있네요..
@ddefaulvicent359
@ddefaulvicent359 Ай бұрын
중독은 별 문제가 아니라 이상한 것에 중독됨을 인지 못하는 것이 맹점이지 좋은 중독을 찾아나가는 방법을 가르쳐라 중독에 경각심 부각은 오히려 위험을 과민반응하게 만들어 더 위축되어 쪼잔해짐
@NoRaengs99
@NoRaengs99 2 ай бұрын
중독이 되게 부차적인 현상같아요.. 사회에서의 고립, 미래에 대한 불안같은 근본적인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결과로 생기는게 중독같아요
@user-dm5rq3dx9n
@user-dm5rq3dx9n Ай бұрын
사회적문제를 만드는 중독이기때문에 계속 이야기하게 되는거 같음
@goat-qc8kg
@goat-qc8kg Ай бұрын
마약 도박은 예전에도 문제 많았던데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ай бұрын
7:05 ㅋㅋㅋ 이제는 철학자가 과학•뇌과학 이야기 중이네 ㅋㅋㅋ 😂 충코님은 이미 ‘21세기 뇌과학철학자’가 되어버리셨네요. ㅋㅋㅋ 추가로 ‘미래’ 가정이니까 ㅋㅋㅋ 미래학자도 추가 하시죠 ㅋㅋㅋ + 다 섞어서, 어떠신가요?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ай бұрын
10:35 불가능. 완벽한 존재는 없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항상 진리는 없다고 자주 설명 하자나요. ㅎㅎ 또는, 진리가 존재 하더라도, 우리는 모른다고. 현실은 현실이자 진실이다. 환각•시뮬레이션은 영화•드라마 일 뿐이다.
@Infinityisone
@Infinityisone 2 ай бұрын
13:06 오 이거다. 나는 현재, 반복적인 한 사람의, 목소리=울림=운동량으로 변환 중인데, 이 과정들이 결국은, 당신들(기존의 기득권=주로 정치인들)들이 상대성의 우주에서, 나를 인정하지 않으니까, 니네가 나의 가설을 ‘부정’하고 있는 중 이니까, 내가 계속 나의 가설을 이론까지 탄탄하게 만드는 과정들이네… 오 ㅋㅋㅋ 그렇네. 결국은 질문 티키타카구나… (X에서 해시태그 당하는 약 30명의 사람•단체•다국적 정부)에게 보내는 편지.
@user-vz8gl4qx4p
@user-vz8gl4qx4p 2 ай бұрын
근심. 염려가 중독에 빠지게 한다
@SHLee-vp5ey
@SHLee-vp5ey Ай бұрын
유명한 만화에서 봤던 대사가 떠오르네요. "내가… 보아왔던 놈들은…, 다 그랬다… 그 대상은 술이나…, 여자..., 신이기도 했지. 일족... 왕... 꿈... 자식... 힘... 다들 뭔가에 취하지 않고는, 버틸 수 없었던 거야... 다들... 무언가의 노예였어...."
@user-ip6bd8kd5q
@user-ip6bd8kd5q 2 ай бұрын
케니 아커만 그는 도대체....
@user-xs6qe1kt5h
@user-xs6qe1kt5h Ай бұрын
방장님도 결국 대상혁을 벗어날 수 없구나
@soo-hongmin9060
@soo-hongmin9060 2 ай бұрын
실험실 쥐도 알콜중독 시키는 실험 본것 같아요 인간만 의 독특한 현상은 아닌듯합니다 😢
@Y-raise
@Y-raise Ай бұрын
무의미하고 무아인 현실을 마주하면 좀 나아질수도 있겠군요
@anappleofmyeyes
@anappleofmyeyes 2 ай бұрын
화장실 오는 길 내내, 볼 일 보는 내내 충코를 보는 나에 대한 이야기
@anappleofmyeyes
@anappleofmyeyes 2 ай бұрын
1.25배는 기본
@chim_cat2
@chim_cat2 Ай бұрын
13:17 '비어 있는 자신과 마주' 기피 13:48 원래 삶이란 게 다 꽉 채워져 있지가 않음 14:01 그렇다는 건 나 자신을 완결X, 미해결O 15:34 결론 역회피?
@user-pi7um6fc4p
@user-pi7um6fc4p Ай бұрын
멍때리기는 뇌가 휴식을 하는 시간인데 쉴세없이 머리를 쓰면 과부화 걸림 ~
@---hu9me
@---hu9me 21 күн бұрын
마약알콜중독 같은 병적인 중독과 롤드컵 골프같은 취미기호를 같은 단어로 묶어버리니 논의가 산으로간듯.
@cliobooks
@cliobooks Ай бұрын
수도승 얘기는 적절치 않은 듯요. 수도승은 작은 정욕이라도 크게 생각하고, 안 해 야 하는 생각이라고 생각하니 더 죄악이라고 생각했을 것이고, 일반인들은 아무 생각없이 수도승이 생각하기에 죄악이라고 여겼던 것을 행했으리라 생각합니다.
@djEjsrmfldna
@djEjsrmfldna 2 ай бұрын
저도 최근 주식 중독으로 고생하고 있는 친구가 있어서 중독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었는데, 반가운 영상이네요. 대부분의 인간은 무엇인가에 중독되어 있지 않나, 라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그게 도박이나 마약이면 위험하게 느껴질 뿐인 거겠죠. 저만 해도 유튜브 영상 시청 중독이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충코님은 부처님 같은 분들은 중독이 아닌 것처럼 말씀하셨지만, 부처님이야말로 심각한 중독자라고 보는 관점도 가능할 것 같구요. 제 친구 중에는 일중독인 친구가 있는데요. 본인 말로는 일을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자존감을 지킬 수 있기 때문에, 그토록 일에 몰입하게 된다고 하더라구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alanyu4309
@alanyu4309 Ай бұрын
팽이가 중력을 거슬러 서있는 이유는 돌기 때문이다... 중독의 대상이 생산적이냐, 소모적이냐 문제이지, 중독 자체의 문제는 아니지않을까 ?
@doors2888able
@doors2888able 2 ай бұрын
쾌락을 향한 지향성을 지식으로 설명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왜냐면 지식의 본질은 대타자의 주이상스일뿐이니까요.
@user-te5qm8uu8b
@user-te5qm8uu8b Ай бұрын
반은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의 결과이고 반은 욕심이 부르는 재앙이지
@59APPA
@59APPA 2 ай бұрын
중독이 아닌데 중독을 이해할수 있을까
@user-gm7tm6wh3c
@user-gm7tm6wh3c 2 ай бұрын
중독 좋죠...공부중독 걸리면 좋을듯...
@user-rs6dv5te1r
@user-rs6dv5te1r 2 ай бұрын
중독 마져도 고맙다
@user-il9pu1tf8y
@user-il9pu1tf8y Ай бұрын
중독성 반대편은 무기력함
@user-uc9kv5gw2i
@user-uc9kv5gw2i 2 ай бұрын
루이스 C. K. 인간이 되는 순간
@user-dj8yz3sv6r
@user-dj8yz3sv6r Ай бұрын
떨이 안되서 그렇지뭐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2 ай бұрын
중독이 내가 사랑하는 그 어떤 것을 할 때는 긍정적인 거지만. 무언가 회피하기 위해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다른 것에 빠지는건 나쁜 중독입니다. 그러니까 중독을 문맥에 따라 이해해야 하는데, 중독 자체를 문제 삼는다는건 진짜 멍청한거죠
@ryan99999
@ryan99999 2 ай бұрын
좋은 중독이란건 없어요. 단어 자체가 (中毒)이고 부정적인데, 몰입이라는 단어가 어울리죠. 단어 뜻도 모르면서 문맥이니 멍청하다느니 ㅇㅈㄹㅋㅋㅋㅋㅋㅋ본인이 멍청한건 모르죠?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2 ай бұрын
@@ryan99999 욕도 맥락에 짜라 좋고, 나쁨이 나르죠. 님은 욕쟁이 할머님 욕하면 고소미 먹일듯. 우리나라가 왜 믄해력이 꼴찌인지 님 보면 알 것 같습니다
@ryan99999
@ryan99999 2 ай бұрын
@@user-bl4nc4fg5g 민기야 형이 알려주잖아. 님에 점 하나 붙이면 남이 되는거고 단어를 정확하게 쓰는게 맞는거지 지가 개떡같이 말해놓고 찰떡같이 알아먹으라면서 문해력 운운하는게 니 수준이야. 넌 메타인지가 터진거같은데 .. 너같은 애가 누구 가르치면 승질부터 내는 부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ryan99999
@ryan99999 2 ай бұрын
@@user-bl4nc4fg5g 민기야 그래서 형이 알려주잖아. 아다르고 어다르다고 단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라니까? 본인이 개ㄸ같이 말해놓고 찰떡같이 알아듣길 바란다음 문해력을 운운하네 ㅋㅋ이게 니 수준임
@ryan99999
@ryan99999 2 ай бұрын
@user-bl4nc4fg5g 민기야 니가 쓴 단어가 적절하지 않다고 형이 알려주잖아.. “아”다르고“어” 다르다는 말 몰라? 올바른 단어를 사용하라고. 개떡같이 말해놓고 찰떡같이 알아듣지 못한다고 문해력 운운하는거 개웃기네 ㅋㅋㅋ메타인지 터졌누
@user-ie3mr4vc8n
@user-ie3mr4vc8n 2 ай бұрын
sns중독, 알콜, 마약중독은 자기파괴적 중독이기 때문에 나쁩니다. 롤 관전 중독, 체스 중독은 상대적으로 괜찮습니다
@iamasexyguy
@iamasexyguy 2 ай бұрын
현대인 들은 모든 것에 대한 통제감을 너무나 얻고 싶어, 중독을 없애는 것에 또 중독이 돼 버린게 아닐까 ....
@gun3951
@gun3951 2 ай бұрын
되도 않는 도파민 중독이란 용어가 불티나게 팔리는걸 보면 그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user-jp9ob2ri5n
@user-jp9ob2ri5n 2 ай бұрын
오....
@NoRaengs99
@NoRaengs99 2 ай бұрын
짧은 문장인데 되게 와닿네요. 통찰력 ㄷㄷ
@pjw9247
@pjw9247 Ай бұрын
유물론적 사고라는 명분으로 자기 책임으로 벗어나고 싶어하는게 아닐까
@user-lq7zx1dl5c
@user-lq7zx1dl5c 2 ай бұрын
중독이 만드는 결과를 간과해서는 안되겠지요. 중둑이 어떤 형태로 자아의 습성이 되었건, 그 습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는 대체로 배타적인, 비사회적인, 비인간적인 형태를 가지는 것을 유의해 봐야 할 것입니다. 물론 중독도 중독 나름이라는 분별적 요소도 있을 수 있어, 정도의 차이에 따른 해석도 있겠지요. 중독을 유연하게 보자는 [충코]님의 논지도 그런 해석 속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현대 인간의 보편적 인식에 있어 '중독'은 '건전치 못한 파행의 습성'을 일컫음을 말하는 것이며, 그 이유는 곧 자신과 타인의 삶에 피해를 주는 상황이 현실에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알콜중둑, 도박중독, 마약중독, 흡연중독, 성도착증 등이 아니겠습니까? 이들 중 그 어느 것 하나 자신과 타인에 대해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고 설명될 수 있겠습니까? 위의 극단적인 요소들만이 아니라, 과연 중독으로 갖는 평화가 있을까요? 있지만, 있어보이는 가성일 뿐이지 않을까요? 중독은 자신을 여는 일이 아니라, 자신을 잡아 가두는 일입니다. 그 자체로서 이미 중독은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가 없습니다. 중독으로써 무너지는 이성, 지각, 인간과 사회적 관계, 삶과 인생...... 이 엄연한 사실이 있고보면, 이 관점에 입각하여 중독을 해석하는 일이 더 중요한 일이 아닐까요? 자신의 빈 곳을 채우는 일이 '중독'으로서만이 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건전한 습성'이 되는 무언가를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일이 우선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중독을 유연하게 보고, 중독의 여지를 주는 일 보다 말이지요.
@user-cg5yi7rz2r
@user-cg5yi7rz2r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sns중독
@user-bl2yl3fu8e
@user-bl2yl3fu8e Ай бұрын
나는 인터넷중독 스마트폰중독 배달음식 중독이다
@user-sj6rz5se5f
@user-sj6rz5se5f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튜브끊고 채널추천 안하겠습니다.
@user-zd5of9iu2v
@user-zd5of9iu2v Ай бұрын
충코님도 성경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아시겠지만 기독교인이 중독을 죄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하나님에게 짓는 죄가 아니라 스스로 악한 상태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욕정을 품게되면 타인의 신체를 상상하고 그 사람을 탐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체우려 합니다. 혹은 타인에 대한 분노를 상상속에서 그 사람을 폭행하거나 죽이려는 마음이 듭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고 이를 허용함으로 강간이나 실제로 살인을 저지를 수 있게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성경에는 생각하는 것 조차도 죄라고 나와있는 것이구요. 올바른 생각을 하며 사는 삶은 스스로 청결하거니와 하나님이 보시기에도 그러하기 때문이죠.
@user-hs9bv3my6l
@user-hs9bv3my6l 2 ай бұрын
내가 하나님께 항상 기도하는부분이 이런 생활속의 도파민 중독인데 물론 난 교회 안다녀요
@user-im4hz6is3f
@user-im4hz6is3f Ай бұрын
일상 생활에 지장 없으면 문제 없는데 지나치게 심각한거처럼 얘기 하는듯
@xlwpu0efdwer
@xlwpu0efdwer 2 ай бұрын
안해도 상관없는 체스나 바둑을 중독으로 보는건 좀 아닌 듯..
@user-sz4vi6ys2o
@user-sz4vi6ys2o 2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 원초적인 욕구를 좇는 게임중독 도박중독 이런거랑 같이묶는건 좀 아닌듯. 그것보다 한차원 높거나 좀더 고상한 대상에는 중독이란 단어를 안붙이지
@user-dt1oz4dp3b
@user-dt1oz4dp3b 2 ай бұрын
독이 돼야 중독이라 생각합니다
@ammamm9874
@ammamm9874 2 ай бұрын
오?!
@moneysmith6681
@moneysmith6681 2 ай бұрын
옳다
@dmtdailymorningtennis29
@dmtdailymorningtennis29 Ай бұрын
갑자기 끊었던 담배가 땡김. 한 대 피러 나갑니다.
@soo-hongmin9060
@soo-hongmin9060 2 ай бұрын
난충코중독? 😅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Ай бұрын
충코에 중독
@user-xs7hh8ng7h
@user-xs7hh8ng7h 2 ай бұрын
제갈건
@mufama9995
@mufama9995 Ай бұрын
중독의 최고 원인은 휴대폰이다
@user-rh4yj8nq3m
@user-rh4yj8nq3m Ай бұрын
기승전 외노자
@user-bl2yl3fu8e
@user-bl2yl3fu8e Ай бұрын
나는 인터넷중독 스마트폰중독 야동중독인듯
@pokachicken
@pokachicken 2 ай бұрын
1. 중독은 정신이 굴복한다는 철학적관점이 2. 아동학대의 공허함이 중독유발 3. 도파민의 문제 4. 중독은 자연스러운현상. 일상에 피해주지않는다면. ,
@antwoorddie
@antwoorddie Ай бұрын
ㄸㄸㅇ 중독
@tweju2146
@tweju2146 Ай бұрын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내용이 좀… 걍 중독은 한마디로 생활의 중독입니다. 한번 했을때 좋아서 몇번 더 하다보면 그게 중독되는 과정입니다. 한번만 한다고 해서만 중독이 되는게 아닌 담배처럼 난 중독이 아니야 라고 할때부터 중독. 또 한국이 특히 중독이 심한 이유는 특히 늦바람이 블어서 그런듯 하네요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2 ай бұрын
솔직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민주화의 급격한 후퇴와 독재화, 검찰-언론-사법 카르텔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문제도 중요하겠지만 국가 전체가 퇴보하면 나머지는 답이 없습니다. 물론 국가가 발전한다고 나머지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는 건 아니지만 국가 자체가 독재로 퇴보하면 아예 답이 없거나 해결할 기회 자체가 아예 없음.
@spinoffnote
@spinoffnote 2 ай бұрын
솔직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정치병 환자라고 생각합니다.
@hera7242
@hera7242 2 ай бұрын
쉰내..
@11lluminati
@11lluminati 2 ай бұрын
​@@spinoffnote 이 정도를 병적이라고 생각하니 너희들 대표들이 저 모양인기라
@user-tj5ml4fb4b
@user-tj5ml4fb4b 2 ай бұрын
그럼 그렇게 잘난 민주당 정권때는 저런문제가 없었나요 ?😂😂​@@11lluminati
@11lluminati
@11lluminati 2 ай бұрын
​@@user-tj5ml4fb4b 그러면~ 하고 말 돌리기 그렇게 생각하니 너희들 대표가 저 모양인기라
@lkh0120
@lkh0120 Ай бұрын
어차피 옛날부터 사람들은 티비중독에 쩔어 있었음
@privatenumber2299
@privatenumber2299 2 ай бұрын
🏛️ The primary concern of an individual should be self-actualization and survival. Addiction should be better recognized as a personal choice. Following the Portuguese case might offer the ultimate solution to many social and personal issues, as its positive effects have already been field-proven.
우리가 남의 고통을 즐기는 이유
32:30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53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603 М.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책 2만 권 보유자 이동진 : "자기계발서 조심하세요"
32:2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234 М.
'외모 강박주의' 대한민국 사회
37:01
타일러 볼까요?
Рет қаралды 397 М.
니체와 불교 : 유럽의 붓다가 되고자 했던 니체, 그 이유는 무엇인가?
24:26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266 М.
무한경쟁 사회에서 모두가 승리하는 방법
25:50
타일러 볼까요?
Рет қаралды 218 М.
MBTI는 과학의 탈을 쓰고 있다 (+이동진 본인 MBTI 분석)
29:26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178 М.
성별갈등이 극심한 청년 세대. 남자들의 진짜 불만은 무엇일까?
29:54
평균 올려치기의 나라, 한국인의 삶이 살기 힘든 이유
26:22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391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