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도는 짜게 먹어도 괜찮을줄 알았는데 몸에 나타난 이상 증세│한 끼에 이미 나트륨 일일권장량 초과⚠️│짠맛에 중독된 사람들│비만의 원인│귀하신 몸│

  Рет қаралды 265,460

EBS 건강

EBS 건강

Күн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12월 30일에 방송된 <귀하신 몸 - 덜 짜게 먹기만 해도, 나트륨 중독 편>의 일부입니다.
점점 심해지는 나트륨 중독, 서서히 당신의 건강을 망친다!
나트륨은 우리 몸의 건강을 위해 일정량은 꼭 먹어야 하는 필수 영양소지만, 과하게 섭취했을 경우 문제가 된다. 섭취하는 하루 나트륨이 6g 정도만 증가해도 심장질환 사망률은 56%,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36%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만큼 나트륨 중독은 우리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심지어 나트륨 중독은 어릴 때 노출될수록, 그리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심해진다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해지는 짠맛의 악순환, 어떻게 끊어낼 수 있을까?
이처럼 나트륨 중독은 고혈압, 심혈관 질환과 같은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위험한 식습관이다. 그렇다면 짠맛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그동안 몰랐던, 앞으로는 반드시 알아야 할 짠맛의 모든 것! EBS 귀하신 몸 33화 ‘덜 짜게 먹기만 해도 - 나트륨 중독’ 편에서는 나트륨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건강한 식습관과 저염식의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알게 모르게 중독된 짠맛, 어떻게 벗어나야 할까?
프리랜서 PD로 일하고 있는 나눔 님(33세)은 최근 부쩍 늘어난 체중과 나빠진 건강 때문에 고민이 많다. 한편, 최근 비만 판정을 받은 유리 님(42세)은 가족력 질환이 자신에게도 찾아올까 두렵다. 세 아이를 키우며 일까지 하는 ‘워킹대디’ 진욱 님(37세)은 최근 바쁜 일상 탓에 나트륨 함량이 높은 냉동식품, 간편식을 먹는 일이 많아졌다는데... 이들의 고민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맵고 짠 배달 음식만 찾는 아들이 걱정이라는 나눔 님의 어머니. 하지만 어째 본인의 입맛도 더 짜지고 있다는데... 유리 님도 요즘들어 라면과 짠 과자를 자주 찾는 자녀 때문에 걱정이 두배라고! 세 분의 귀하신 몸의 건강 상태를 정밀 검사한 결과, 세 사람 모두 건강 적신호가 발견됐다. 지금 당장 식습관을 바꿔야 하는 상황, 짠맛 중독에서 탈출하기 위해 어떤 솔루션이 필요할까?
‘나트륨 배출을 위해 ’이것‘을 먹어라?’ 건강을 되돌려줄 저염 솔루션과 무너진 체력을 되돌려줄 운동법까지!
짠맛에 빠진 세 분의 귀하신 몸과 시청자들을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뭉쳤다! 원활한 나트륨 배출을 위해 ○○을 먹어라?! 임상영양사가 알려주는 생활 속 나트륨 줄이는 방법부터 고염식으로 인해 무너진 체력을 되돌려줄 코어 운동법,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더 짜게 먹게 되는 이유까지! 시청자가 궁금해하는 정보들이 방송을 통해 공개된다.
각 분야 전문가의 특급 솔루션으로 시작된 ‘덜 짜게 먹기 프로젝트’! 14일 동안의 솔루션 후, 진욱 님은 ‘완전히 딴 사람이 돼서 돌아왔다’는 말까지 듣게 됐다는데..?! 참가자 세 명의 나트륨 중독 탈출기는 30일(토) 밤 9시 45분, EBS 귀하신 몸 33화 ‘덜 짜게만 먹어도- 나트륨 중독’ 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프로그램명 : 귀하신 몸 - 덜 짜게 먹기만 해도, 나트륨 중독 편
✔ 방송 일자 : 2023.12.30

Пікірлер: 500
@소수-t5k
@소수-t5k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1인가구 늘어나는데 마트에서 1인분만 따로 팔았음 좋겠음
@이선희-s4p
@이선희-s4p 5 ай бұрын
라면스프는 줄이는게 맞지만 소금은 짭짤하게 먹어야한다 저염식한다고 약하게 먹다가 오히려 여기저기 몸에 이상증세가 와서 요즘은 질좋은 소금을 많이 먹었더니 몸이 회복됨
@gkim59
@gkim59 6 ай бұрын
짜장면 너무 맛있게 보여서 클릭함... 😅
@효-u3e
@효-u3e 4 ай бұрын
2222
@펭펭-m6j
@펭펭-m6j 3 ай бұрын
나둥
@충새-j2z
@충새-j2z 2 ай бұрын
썸네일 군침 싹도노
@k-onsumaeteu.
@k-onsumaeteu. Ай бұрын
저도요
@jahyunjang
@jahyunjang 7 ай бұрын
소금도 혓바닥을 둔화시키는데에 영향이 있겠지만, 많이 과하게 먹는게 가장 큰 문제같아요. 요즘 아이들도 보면 짠게문제가아니고 성장기를 떠나 정말 과하게 많이 먹어요;; 이미 영양과잉인데 거기에 거진 무조건 챙겨주는 단 간식까지... 어휴,, 성인은 당연 말할 것도 없구요.
@KoreanKiwiGuy
@KoreanKiwiGuy 7 ай бұрын
라면에 스프를 1/3만 넣을거면 라면을 안먹죠..ㅋㅋ
@Coree_연합
@Coree_연합 7 ай бұрын
차라리 끊는게 맞지...라면을 먹을거면 스프 듬뿍 계란 2개 삼양라면 3개 열무김치 캬...😂😂아니면 아예 먹질 말든가
@펩시-g3s
@펩시-g3s 7 ай бұрын
그냥 음식적 쾌락을 끊으면 됨
@បេះដូង-ឡ5ទ
@បេះដូង-ឡ5ទ 7 ай бұрын
라면은 미개한 음식이야. 너무 가난해서 꿀꿀이죽이나 먹던 한국인에겐 특식이었지
@Ddking10023
@Ddking10023 7 ай бұрын
스프는 다 넣규 국물을 3분지 1만 먹으면 되는거자나. 바보들인가.
@옥탑방고양이-i7p
@옥탑방고양이-i7p 7 ай бұрын
같은 생각 ㅋㅋ
@jokomendoza_official
@jokomendoza_official 7 ай бұрын
출연해주신 일반인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영상으로 도움을 받는 이들이 많습니다.
@uhhytfffffddssthgffrrdh
@uhhytfffffddssthgffrrdh 7 ай бұрын
20-30대에는 저정도는 별문제 안됨 40넘어서부터 시작되는거임ㅎㅎ
@브베타도-q2t
@브베타도-q2t 7 ай бұрын
​@@uhhytfffffddssthgffrrdh 쓰러지든가 심한 복통이든. 사단이 나서 입원후 의사한테 청천벽력 얘기를 들어야지 바뀌지 절대 쳐먹는 습관 안바뀐다 팩트다
@kdyu178
@kdyu178 4 ай бұрын
@@uhhytfffffddssthgffrrdh 30대까지 무료체험, 40대부터 유료로 전환
@sejun5
@sejun5 3 ай бұрын
짜게안먹는것이 좋다는건 알지만 해외나가보면 우리나라 음식보다 더 짠것 천지인데 왜 유독 한국음식이 짜다고할까요? 유럽가면 진짜 못먹을정도로 짠것 많고 가까운 일본만가도 음식이 거의 단짠인데.. 그들은 괜찮은건가요?
@김경애-i9s
@김경애-i9s 4 ай бұрын
우리 몸에 나트륨이 필요해요.여름에 땀날 때 소금 부족으로 쓰러집니다. 과일, 밀가루 음식이 혈당윽 올려요.
@greenk5085
@greenk5085 7 ай бұрын
김태균 목소리 너무 좋아 이 프로그램에 찰똑임
@jhh1002
@jhh1002 6 ай бұрын
그런데 외국 나가보면 음식이 정말 짜서 혀가 얼얼할정도인데 외국음식은 다 고 염식인가요? 궁금하네요
@jeanger8733
@jeanger8733 7 ай бұрын
규칙적인 운동이 건강에 큰 도움. 체중이 조금만 늘어도 몸이 무거워 진 걸 쉽게 알개되 조절하게 됨.
@떵개-o7v
@떵개-o7v 3 ай бұрын
ㅇㅈ함 규칙적인 운동과 눈바디가 매일 필요함
@userganada
@userganada 2 ай бұрын
규칙적 운동을하면 누가 돼지가되요 ㅎㅎ 안하니깐 저렇게 살지지~ 살안찌는 방법은 설탕류 음식 및 가공 음식 만 안먹어도 살안찝니다 ㅋㅋ
@Cowm935
@Cowm935 2 ай бұрын
@@userganada알지만 내 뇌가 자꾸 먹으라고 강요해요…
@morningcoffee6832
@morningcoffee6832 5 ай бұрын
소금을 너무 적게 먹어도 어지럽다~~ 인체 신경 전달 위해서 나트륨 [ 전해질 ] 필요 하기 때문이다!!
@뽀미뿌
@뽀미뿌 7 ай бұрын
혈압엔 확실히 싱겁게 먹어야 하더라고요. 혈압 198찍고 약먹은지 9년차인데 제일 적은 양으로 약도 바뀌었고 완전 정상임. 싱겁게 먹기까지 9년이나 걸렸어요. 입맛 바꾸는거 진짜 너무 힘들어요
@jaeholee3816
@jaeholee3816 7 ай бұрын
라면스프 반만 넣고 먹다보니, 이제는 반만 넣어도 짜게 느껴져요...
@볶음김치-w5q
@볶음김치-w5q 7 ай бұрын
우리가 흔히 자주 먹는 김치찌개나 짜장면 짬뽕이 라면보다 두배 나트륨이 높다!
@세린이-v1t
@세린이-v1t 7 ай бұрын
다이어트 할때마다 먹방다큐만 보게 되네
@soomam2783
@soomam2783 7 ай бұрын
저도 그러지 말아야지...하고 봐요
@요정_a
@요정_a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근데 도움 됨 나도 저렇게 좋아지겠지랑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 이런 심리가 생김 특히 건강 프로 자주 보게 됨
@이건영-y3b
@이건영-y3b 7 ай бұрын
먹방다큐 아닙니다 ㅋㅋㅋㅋㅋ
@Analuisa-k9p
@Analuisa-k9p 5 ай бұрын
@@요정_a저도 건강프로 ㅋㅋㅋㅌ
@김태욱-g5t
@김태욱-g5t 3 ай бұрын
밥따로물따로하세요 내건강은내가지킬수있습니다!
@MyCook123-p3z
@MyCook123-p3z Ай бұрын
순대국 넘 맛나보이는데 양념을 적게 넣으면 괜찮겠죠? 집에서 조리해 먹어야 그래도 나트륨과 멀어지게 될듯해요.
@Jang-amIC_Specter
@Jang-amIC_Specter 4 ай бұрын
동물생체실험을 나트륨만 몸에 이상이 생길 때까지 먹이니까 나쁜 물질로 분류하는 거고 의사들 입장에서는 그런 연구결과가 있으니 마음 껏 드세요 할 순 없는 거지. 무단횡단하다가 사고로 죽을 확률이 0.01%밖에 안 되니까 무단횡단 그냥 하셔도 된다고 권장할 수는 없듯이. 탄수화물이 문제다 나트륨이 문제다로 싸우는데, 보통 단짠단짠 음식처럼 나트륨이 많으면 당류도 많음. 나트륨만 잔뜩 넣은 건 맛이 없어요 단맛으로 비율을 맞추는 거지. 둘은 불가분한 관계임.
@jhj374
@jhj374 4 ай бұрын
순댓국은 포장하지말고 그냥 식당에서 먹는게 더 맛있을 것 같은데😅
@김민정-h6j7w
@김민정-h6j7w 3 ай бұрын
먹방 잘 보고갑니당 대리만족짱
@user-tf6oh3vy7k
@user-tf6oh3vy7k 7 ай бұрын
이번에 머리쪽 큰일 격고 라면 치우고 현미 보리 잡곡으로 바꾸고 저염으로 가는중 무조건 4키로 걷기 운동 중이고 정말 하루하루 달라지는게 느껴짐
@PhafarthyiE
@PhafarthyiE 2 ай бұрын
나트륨 초과는 눈에 하나도 안 들어오고 아이 셋 낳아서 키우는 재력밖에 안 보임 .. 너무 대단함..
@참새-g2u
@참새-g2u 2 ай бұрын
삼시세끼 거의 반조리식품, 배달음식, 편의점 도시락, 라면, 짜장면, 짬뽕, 마라탕 이런 거 먹던 사람을 앉혀놓고 완전 건강식만 먹였더니 건강해지더라, 그러니까 나트륨이 문제다!
@star-sapphire
@star-sapphire 7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짜게 먹어도 괜찮다고 생각 함 대신 항상 그렇게 먹으면 안되고, 하루 한끼만 입맛대로 먹고 나머지 두끼는 심심하고 맛없는 건강식으로 먹기 + 물 자주 마시기, 그리고 운동 그게 뭐든 상관없으니 꾸준히 노력해서 체중 조절 신경쓰기 정도
@뽀다닭
@뽀다닭 24 күн бұрын
옛날 자극적인 거 먹고 요새 조금만 짜고 맵고 달고 튀긴 거 먹으면 소화 안되고 토해서 몇 년째 죽, 먹어도 싱거운 된장국, 이런 한식류 만 먹는 중... 라면 같은 것도 소화가 안돼서 먹방으로 대리 만족...
@chojin1111
@chojin1111 7 ай бұрын
대부분 사람들 먹고 싶은거 다먹으면서 살 뺄 궁리하시는데....이제는 짜게가지.... 우선 지방은 진자 안먹어야 빠짐... 잠자기 6-8시간 전에만 안먹어도 정상으로 돌아옴
@sungminlee1320
@sungminlee1320 4 ай бұрын
근데 출연자분들 뭔가 다 너무 귀여우셔요 ㅎㅎ 건강하시길 바라요!
@뽀삐뽀짝
@뽀삐뽀짝 6 ай бұрын
설정이라 다 이해하고 타산지석이다 생각하면 편안함 소금 저 정도 안먹는 한국인 얼마나 된다고
@최우정-x8b
@최우정-x8b Ай бұрын
우리 큰할머니 엄청짜게드셧습니다.92세까지 살다 20년전.하늘로.
@최영훈-p2q
@최영훈-p2q 3 ай бұрын
세상모든음식은 단맛과 짠맛음식 거의모든현대인들은 짠맛이나 단맛에 중독되어있음
@adamada365
@adamada365 6 ай бұрын
국물있는 음식은 건더기만 골라 먹어야....
@mi_dong
@mi_dong 6 ай бұрын
채식, 비건이고 칼륨 함량 높은 것 먹을수록 나트륨도 맞춰서 충분히 먹어줘야 함. 안 그러면 혈액 속의 균형이 안 맞게 됨. 내가 그랬음. 난 짠거는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함. 짠거든 단거든 고기, 동물성 식품을 먹어서 문제가 생기고 그것 때문에 다른 부분에서 극단적인 반응이 나오는거라고 생각함. (혈당이든 혈압이든)
@gtgtpmpm
@gtgtpmpm Ай бұрын
우리아빠 기함할정도로 짜게 드시는데 건강하심. 대신 군것질 일절안하시고 밀가루 배달음식도 안드시고 집밥만 드시는게 다임.
@Cucumber-k4x
@Cucumber-k4x 4 ай бұрын
하... 다이어트중인데 썸내일을 저런걸 해놓고 겁주면 어쩌너... 나오는 사람들 다 행복해보이잖아
@mattdol1779
@mattdol1779 5 ай бұрын
나트륨은 죄 없어요. 같이 먹는 탄수화물, 당이 문제죠.
@구라구라-t4o
@구라구라-t4o Ай бұрын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은 다 상관관계가 있는 질환들이라 나트륨이 혈당을 올리는 주범은 아니지만 관리하셔야 합니다
@deweyyy5345
@deweyyy5345 7 ай бұрын
라면 스프 1/3만 넣는건 진짜 너무한다 싶긴 한데 이게 실제로 대부분 국물 라면들 영양성분 보시면 한봉지에 나트륨이 일일 총권장량의 90% 정도 합니다;; 미친수준이죠. 한끼니로 라면 한봉에 김치나 반찬 몇 조각 같이 드셨으면 그날 나트륨은 다 드신거고 남은 2끼니는 소금 한톨도 안들어간 감자 고구마나 생야채 생과일 같은 것만 뜯어먹어야 하는 거죠. 근데 또 너무 걱정 마세요. 이런 라면의 나트륨은 국물까지 남김없이 다 마시는 기준이고, 이 국물에 대부분의 나트륨이 있기 때문에 면과 건더기만 드시고 국물을 안드시는 습관을 가지시면 됩니다. 저도 라면은 국물까지 다 마시는 습관으로 커왔는데 나트륨 줄여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나서는 라면을 먹을때 양배추나 콩나물, 숙주같은 야채를 많이 넣어서 끓여서 면과 함께 풍성하게 먹으면 국물을 마시지 않아도 충분히 배부르더라구요. 야채 때려넣기 꼭 해보세요. 건강한데다가 양도 불어나니 밥을 말아먹는다거나 다른 기름지거나 고칼로리의 곁들일 사이드 디쉬도 생각나지 않습니다. 평범한 라면에 각종야채에서 채수가 나오니까 훨씬 고급진 맛이 나서 맛까지 더 업그레이드 됩니다. 국물까지 다 마셔야 라면이지 국물 포기 못한다구요? 그럼 스프 1/3만 넣고 국물까지 드시면 됩니다. 어쩔수 없어요 둘중 하나는 포기하셔야 합니다;
@K-f8y
@K-f8y 3 ай бұрын
적는다고 수고많았습니다🎉🎉🎉저도읽는다고 수고했네요ㅋ
@jae52
@jae52 7 ай бұрын
국물 안먹고 소식하면 다 해결됩니다 감자 고구마는 당뇨에 인좋다는데 먹을게 없어요 소식만이 살길이다
@inb11
@inb11 7 ай бұрын
나눔님 귀여우시네 이름도 나누미
@choiinsup
@choiinsup 7 ай бұрын
짠게 문제가 아니라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이 문제지.
@jaeholee3816
@jaeholee3816 7 ай бұрын
짠것도 문제고 가공식품 인스턴트도 문제입니다., 가공식품 인스턴트가 아니라 천연 식재료라도 짜면 문제가 됩니다.
@페이1년
@페이1년 6 ай бұрын
이런 사람 특 ) 한식 나트륨 많아서 건강에 안 좋은데 한식이라면 몸에 좋은줄 앎 ㅋㅋㅋㅋㅋ
@북진통일-u4n
@북진통일-u4n 6 ай бұрын
@@페이1년 다른사람의 다른 의견에 ㅋㅋ 거리면서 조롱하는거보니 식견 참 좁은거 티네시네요. 님 외국 오래 있어봤거나 사신적 없죠? 나트륨이 문제가 된다면 서구권 국가들이나 거기까지 갈일 없이 일본이나 중국 다 심혈관 질환이나 성인병으로 죽었겠네요. 미국이야 뭐 나트륨 음식에 쏟는거야 말안해도 그정도는 아실테고, 건강식으로 항상 1등으로 거론되는 지중해식도 한끼에 얼마 나트륨 넣는지 아시면 기겁하시겠네요. 거긴 로컬식당이나 가정식 모두 음 짭짤하네 이 수준이 아닌 헉소리 나오게 짜게 먹습니다. 유럽권, 미국,중남미 국가 사람들이 한국 여행왔을때 음식먹어보고 하는 말이 "한국사람들은 음식에 소금을 많이넣는걸 좋아하지 않는것같아" 라며 돌려 말합니다. 한마디로 자기들이 유튜브나 매체로 듣고 보던것보다 맛없다라는 말을 하는거죠. 제 벨기에 친구 부부도 똑같은말 했었습니다. 한식이 문제인것은 나트륨때문이 아닙니다. 탄수화물이 주식이고 반찬들을 아주 조금 곁들이는 수준의 식사방식, 그리고 반찬이나 찌개,국류에 이상하리 만치 넣기 시작한 설탕이나 당류 조미료들,그리고 지구상에서 한국 일본만 먹는 자포니카 쌀이라는 찰지고 먹기 달달한 혈당 수직상승의 원인인 "백미"가 문제에요. 한국 일본이 왜 당뇨병 폭증하는지 한번쯤 생각좀 해보세요. 두국가 다 주식 메뉴를 달게먹는걸 좋아하고, 정제된 하얀 면을 유독 사랑합니다. 서구권 국가들은 주식 메뉴에는 설탕 안쓰죠. 거의 디저트에만 씁니다. 그 디저트류도 슈퍼 췌장의 크기를 가진 서양인들이 먹으니 별탈이 없는거고, 우리 한국인이나 일본인, 동북아시아 인들의 췌장으로 그런걸 따라하다 당뇨병 폭증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여기서 중국을 제외한 이유는 그 국가는 의료 인프라도 인프라고, 사람들이 자기가 당뇨인줄도 모르고 버티다가 합병증으로 갈때까지 가서 당뇨였던걸 알게되는 케이스가 엄청많아요. 언제 선진국들 길게 여행해보실 기회 생길때 식당 두루두루 다녀보세요. 현지인하고 친해져서 가정식도 드셔보시구요. 현지 로컬식당같은 경우 미국같은 경우나 이탈리아 같은 경우 메뉴판에 해당 음식 나트륨 얼마나 넣었는지 표기되있는곳들 있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충격 받은것은 한끼에 3600mg 나트륨 첨가했다고 당당히 써놓은 폭립 메뉴였는데, 미국 현지인 말로는 뉴욕에는 나트륨 8000mg 음식 메뉴 있다고 해서 얼빵한얼굴로 있었던 기억 납니다. 이탈리아나 지중해 연안국가들도 뭐 8000gm정도는 아니더라도 2천 가볍게 넘는 식사메뉴 많아요.
@김동준-y7j2f
@김동준-y7j2f 6 ай бұрын
진짜 멍청한 소리 ㅡ만해
@곰탱이l8f
@곰탱이l8f 5 ай бұрын
​@@jaeholee3816냉장고 없을땐 장독대 담아 땅에 묻어 한번 먹을 꺼내 먹기 조금 짜게 했음 냉장고가 생겨 조금 싱겁게 만들어요 한식이 적당하게 양념보다 짜게해서 먹고 인스턴트(피자 햄버거 라면)을 먹고 물을 먹지 않고 움직이지 않는 문제다
@옥파르도
@옥파르도 3 ай бұрын
언제 절 촬영하셨죠?
@dongktoocho2714
@dongktoocho2714 2 ай бұрын
당뇨 혈당이 높게 나와 피검사.소변검사 했더니 당화 혈색소 9.2 나옴 ㅠ ㅠ 술 담배도 않하 는데 야식과 폭식 탄산음료 뚱뚱한 몸 체격 움직이기 싫어함ㅜㅜ 당담의사 샘이 신장 투석 전문의 샘 ㄷ ㄷ ㄷ 지금52세에 바로 잡지 않으면 60-70에 남들 다 놀러 다니고 등산 다닐 때 혈액 투석 받아야 한다고 함 그 말듣고 바로 입원 인슐린 맞는 법 치료 식단과 수시로 재는 혈당 혈압으로 어느 정도 잡고 퇴원 함 그 이후로 야식 금지 탄산 금지 운동 필수 함 너무나 무서운 식습관 생활 습관 입원하고 그 병실이나 아픈 분들 보고 더 느끼고 노력 해서 건강한 몸으로 살아야 겠다고 다짐 합니다.
@bluejin5897
@bluejin5897 7 ай бұрын
영상 속 사람들은 짜게 먹는 게 문제가 아니라 다 몸에 안 좋은 것만 먹고 있네. 칼륨섭취가 많다 싶으면 소금물 먹고 짠거 많이 먹었으면 물마시거나 칼륨 많은 야채 먹으면 되지.
@user-senstive
@user-senstive 3 ай бұрын
결론은 맛없는 음식에 익숙해져야 한다
@supersonny2166
@supersonny2166 3 ай бұрын
순대국밥 먹을 때 짜게 먹으면 어떠하랴 술도 안 마시구만 땀 흘리며 규칙적인 운동만 하면 괜춘할듯
@문재원-b5u
@문재원-b5u 7 ай бұрын
나트륨음식을 끊기는힘들지만 줄이고 조금식먹는게좋을듯
@ksangwoo113037
@ksangwoo113037 7 ай бұрын
다들 알아서 잘 먹기를 바랍니다. 저는 고염식 주의자입니다. 혈압도 120/80으로 아무런 문제도 없습니다. 그냥 잘 살고있어요 단지 탄수화물 / 당분을 적게 먹습니다.
@찐-y8t
@찐-y8t 7 ай бұрын
건강은 자신하는거 아닙니다. 소금은 신장에 안좋아요.
@소녀의일기장-q8g
@소녀의일기장-q8g 7 ай бұрын
​@@찐-y8t그것은 신장 기능이 많이 떨어졌을 때 이야깁니다.
@josephcho8276
@josephcho8276 5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 오랫동안 저염식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쳤습니다. 소금에 대해 제대로 알고,먹으면 건강에 이롭습니다. 실제로 고염식으로 식생활을 바꿨더니,,많이 개선됐어요( 고혈압,변비,소화 불량,,등등) .
@bestpk77
@bestpk77 6 ай бұрын
저희집안도 당뇨에 고혈압에 누나 동생들도 고혈압약을 복용할정돈데 전 싱겁게 먹어서 아직까진 고혈압은 없는데 싱겁게 먹기 진짜 힘들긴 하죠 전에 다니던 직장이 사장하고 나하고 두명이라 사모님이 완전 건강식으로 밥을 해주셔서 그걸 한 8년 먹었더니 자동으로 싱겁게 먹게 된 이유도 있어요 짜고 단맛 가끔먹으면 날아갈꺼 같긴함 ㅋㅋ
@임쏭-p4t
@임쏭-p4t 3 ай бұрын
저도 37살 야간에 술먹는게 정말 독이되네요..건강합시다
@윔호프
@윔호프 7 ай бұрын
나트륨이 문제가 아니라 가공식품,초가공식품이 문제.
@asdasdgs12
@asdasdgs12 7 ай бұрын
나트륨도 문제죠. 당장 대학병원가서 매일 소금물 퍼마셔도 괜찮냐고 물어보세요 ㅋㅋㅋ 절대 안된다고 할겁니다
@이정현-h3j
@이정현-h3j 7 ай бұрын
​@@asdasdgs12아니 정신나감? 누가 소금물을 퍼먹음? 그리고 애당초 소금이 나쁜거면 링거도 놔주면 안됨 제발 생각이라는걸 하세요
@asdasdgs12
@asdasdgs12 7 ай бұрын
@@이정현-h3j 님 말이 앞뒤가 안맞는데요? 생각은 님이 하셔야할듯
@courttiko0324
@courttiko0324 7 ай бұрын
​@@asdasdgs12 비유를 거지같이들고있네 그렇게따지면 다 문제야 나트륨이문제가아니고 초정제탄수화물 가공식품이 문제야
@가온초-조서율
@가온초-조서율 7 ай бұрын
나트륨이 문제가 아니라x 나트륨도 문제인데o
@정회원-v4e
@정회원-v4e 6 ай бұрын
짜장면에 짬뽕이 한큐면... 푸드파이터임??? 짬뽕 하나면 두끼먹는데
@장경복-n2r
@장경복-n2r Ай бұрын
소금 ,두얼굴을 가졌습니다 정말 주의하세요!!
@김금자-x2f6t
@김금자-x2f6t 7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터울이 너무 없이 낳네요 아내가 대단해요 나이먹은 할머니지만 아이들을 셋을 정말대단 합니다
@joneqk9375
@joneqk9375 7 ай бұрын
보통 생각하는 식사를 음식점에서건 집에서건 세끼 다 먹는다면 나트륨 당은 적게 먹고, 식이섬유, 칼륨을 많이 먹는 식단을 하기는 너무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1,2끼는 조리 하지 않은 채소 과일 단백질류를 먹어야 가능 하더라구요. 어렵습니다.
@옥탑방고양이-i7p
@옥탑방고양이-i7p 7 ай бұрын
맞아요. 생채식을 해야 해요. 하루에 2끼는요. 과일, 통곡물, 생채소요.
@김정아-q8y
@김정아-q8y 6 ай бұрын
나만 국어책 읽는거 같은~안녕히계시고 맛나게 마니 드세요
@orichyu
@orichyu 7 ай бұрын
매식단을 환경호르몬 유발 일회용용기에다 먹는거 걱정안되나? 짜게먹는건 덤이고.
@omyo3522
@omyo3522 Ай бұрын
짠것보다 정제탄수에 당ㅜ섭취가 오지는데
@지니지니-d8h
@지니지니-d8h 7 ай бұрын
한국 음식 나트륨 함량이 높다고 전부 몸에 흡수되는 것도 아니고 다른 나라 음식에 비해 짠편도 아님. 오히려 요즘은 너무 싱겁게 먹어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음.. 방송을 보니 배달음식 인스턴트 식당음식을 많이 먹는게 문제인듯.. 이런 종류의 음식을 많이 자주 먹는 것 자체가 문제지..
@홍대빠박이
@홍대빠박이 5 ай бұрын
내모습임 형 나도 똑같아 숨쉬는것도 힘들다
@표절왕-c1l
@표절왕-c1l 7 ай бұрын
이거보고 라면 하나 끼리러 갑니다
@현정청년
@현정청년 7 ай бұрын
맛있는음식은 유혹이 힘들죠 스파게티도맛있고
@윤감독-l8x
@윤감독-l8x 7 ай бұрын
짠 거 보다는 밀가루를 너무 많이 드시네ㅠ
@김금자-x2f6t
@김금자-x2f6t 7 ай бұрын
우리아들은 라면끓일때 물을 많이부서 끓여주는데 저렇게 먹으면 사실 입맛을 모르고 먹는거다 짜게 먹을 수록 점점더 소금을 넣어야 먹는줄아는데 사실 짠맛을 줄이는게 제일 쉬운건데 인식을 못해서 그런거다 저만큼 량의 국물이면 소금 조미료 엄청 들어간거다 머더라도 국물은 남기면 좋다
@포카라-b2v
@포카라-b2v 2 ай бұрын
짜게먹는것도 안좋지만 애나 어른이나 너무많이 몸에 안좋은걸 자주 먹어 과체중이 된게 더 문제입니다.과식에 운동안하면서 족발,보쌈,,피자,떡볶이...야식에 술,담배.몸 망가지는 시간문제.
@young2023-L
@young2023-L 7 ай бұрын
소금을 많이 먹어서 문제가 아니라, 소금으로 간한 가공식품들을 많이 먹으니 문제죠,,,,, 소금은 죄가 없습니다. 가공식품을 줄이세요,,,, 죄없는 소금 탓하지말고,,,,
@asdasdgs12
@asdasdgs12 7 ай бұрын
대학병원가서 매일 소금물 퍼마셔도 괜찮냐고 물어보세요 ㅋㅋㅋ 대다수의 의대 교수들은 절대 안된다고 할겁니다. 님이 의대 교수들보다 똑똑해요?
@권명옥-v8k
@권명옥-v8k 7 ай бұрын
소금은 죄가 없습니다!!!! 소금 너무 적게 먹으면 다른병 옵니다. 나트륨이 문제가 아니라 사먹는 가공식품이 문제입니다
@leejason7946
@leejason7946 7 ай бұрын
가공식품은 죄가없어요 ㅎ 죄없는 가공식품탓하지말고 ㅎ
@violin7955
@violin7955 7 ай бұрын
소금도 많이 먹으면 고혈압 신장병 생기고 가공식품도 각종 첨가물로 몸에 나쁜데 자기들이 의사도 아니면서 많이 먹어도 괜찮다고 사람들 현혹시키고 사기꾼이 따로 없네
@donghwanhwang2402
@donghwanhwang2402 7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본 방송의 사례자들은 나트륨이 문제가 아니고 탄수화물과 오메가 6 위주의 가공 식품의 과다 섭취, 운동부족, 비만이 더 문제가 되어 보이네요.
@참좋은날이야
@참좋은날이야 22 күн бұрын
크흡.. 나랑 식단이 비슷해 ㅠㅠㅠ 저렇게 짤 줄은 몰랐는데 ㄷㄷㄷ
@emmarose5894
@emmarose5894 7 ай бұрын
짜게만 먹나요? 단짠,맵짠단으로 먹진 않아요? 짜게만 먹으면 어느정도 소금만 들어가도 쉽게 못 먹어요. 집에서 소금간만 해서 먹으면 진짜 얼마 못 먹어요.
@탐구생활-z5v
@탐구생활-z5v 6 ай бұрын
단 짠 좋아했는데 건강 생각해서 싱겁게 먹으니깐 또 거기에 적응하던데. 단 건 한번식 땡기든데 이제 짠건 못 먹겠음.
@왕족-x2q
@왕족-x2q 5 ай бұрын
짠것보다 밀가루가 더문제네~
@lll-jq1bo
@lll-jq1bo Ай бұрын
김치찌개나 김치 많이먹는게 제일 해로움. 강된장도 심각하고 우리나라 위암많은게 김치랑 된장때문에 짜게먹는게 큼. 특히 국물로 짜게먹는게 최악
@supermeshpool
@supermeshpool 4 ай бұрын
짜게 먹어야 됩니다 짜게 먹어야 건강해져요
@suenghyun-cu4px
@suenghyun-cu4px 21 күн бұрын
사람마다 다 다르겠죠? 자기에 맞는 건강법을 찾는게 중요할것 같습니다~
@woong2riya
@woong2riya 7 ай бұрын
합병증이 무섭다면서 식단도 하지않고 운동도 움직임도 없는데 겁이 없는건지 😅😢😂
@정동동-x1o
@정동동-x1o 7 ай бұрын
젊으니까. 젊음은 모든걸 이기지요.
@zeta602
@zeta602 7 ай бұрын
20대때는 뭐 콜라 피자한판은 기본으로 먹죠 게임하면서
@yaku6295
@yaku6295 7 ай бұрын
진짜 뒷목잡고 한번 쓰러지면 정신차리고해요. 그전까지는 못느끼는 사람 많음
@렉슈-j2e
@렉슈-j2e 7 ай бұрын
나트륨이 문제일까요 활동량과 운동이 문제일까요?
@박키야-c6e
@박키야-c6e 3 ай бұрын
천일염vs맛소금
@김소란-d2j
@김소란-d2j 6 ай бұрын
안좋은 소금을 먹어서 그럼 좋은소금 먹으면 좀 많이 먹어도 괜찮아요
@미향변-s2e
@미향변-s2e 7 ай бұрын
아이들입맛은아직도몸의소화기관에서모든것을받아들이기때문에 무엇이든맛이잇어 아무것나잘먹은편이라 소금도적절하게 간을해주시면좋을듯아이들이입맛이최고정확할때의나이잇쟎아요나이가들면싱거운지짠지미각이둔탁하여 맛의감각을잃어표현을잘할수없는 나이가되지만아이들은아직도미성숙한시기라마의점도를최고잘파악하고정확도를알아가는시기에요
@탐탐미
@탐탐미 7 ай бұрын
운동하고 적당하게 먹으면 뭐 상관없어요.
@김덕희-k3m
@김덕희-k3m 7 ай бұрын
운동하면서 적당히 먹는게 젊을때는 괜찮은데 나이들어가면서 여기 저기 아프면 젊을때 건강을챙기걸 하는생각이들어요
@aniworld3178
@aniworld3178 7 ай бұрын
@@김덕희-k3m 근데 운동하면서 적당히먹으면 나이들어서도 건강할텐데요 ㅋㅋ..
@hojudez
@hojudez 7 ай бұрын
적게 먹을수록 좋음
@hongkonggaibar2964
@hongkonggaibar2964 6 ай бұрын
​@@김덕희-k3m근력운동을 안하고 동네마실 돌아놓고 운동했다고 착각한거 아닐까요?
@정지안-p9d
@정지안-p9d 2 ай бұрын
안좋다 인식있어 아예 안드시는분도 계신데 나트륨도 필수 영양소.: 과해지는게 문제. 혈압이 높으신분은 자제해야하고 아니면 적당히 드시면됨.
@sungukkim6857
@sungukkim6857 7 ай бұрын
정말 피나는 노력이 이제는 수반되어야
@morningcoffee6832
@morningcoffee6832 6 ай бұрын
음식을 짜게 먹으면 자기도 모르게 더 많이 먹게 된다!! 그래서 비만 체형이 된다!!
@유지영-u4f
@유지영-u4f Ай бұрын
양념이 문제가아니라 그릇이문제네~ 미세플라스틱
@advance4488
@advance4488 5 ай бұрын
도데체 소금의 진실이 어느게 맞는거냐고요? 병원에서는 0.9% 소금물을 바늘로 꽂아 투약 하는 이유는?
@user-e5m6f
@user-e5m6f 7 ай бұрын
몸 타고난 거 아니면 건강하게 먹어라 나중에 엿되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kkj5100
@kkj5100 4 ай бұрын
애들 둘이상 특히 세명 있는 가정 부터는 국가에서 많은 혜택을 줘야!!!!
@dayday5852
@dayday5852 7 ай бұрын
짜게 먹어서가 아니라 가공식품과 외식음식에 많이 들어있는 인공조미료 정제소금 때문이다.그리고 추가로 부족한 수분섭취다.
@브베타도-q2t
@브베타도-q2t 7 ай бұрын
고로치
@jaeholee3816
@jaeholee3816 7 ай бұрын
짠것도 문제입니다. 왜 다들 짠게 문제가 아니라고 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천연소금에 천연 재료라도 짜면 문제가 됩니다.
@김현-u6j
@김현-u6j 7 ай бұрын
@@jaeholee3816 who 나트륨 권고량 지구상에 몇개나라 지키고 사는지 예좀 들어 보실래요? 세계 장수촌 음식들도 하나같이 다 소금간 많이 해서 먹습니다. 그 건강식으로 대표되는 지중해식도 가서 드셔보면 아시겠지만 헉 소리 나오게 짜요. 신장이 선천적,후천적 이유로 안좋으신분들, 당뇨병 합병증으로 단백뇨나 혈뇨 나오시는분들, 만성 신부전 투석 전단계나 투석 환자 제외하곤 오히려 저염식해서 컨디션 박살나고 만성 탈수 전해질 부족이라고 병원에서 말하는 아이러니... 전해질이 뭔지는 아시겠죠? 그리고 현대인들 카페인 이뇨작용 오지는 음료들 달고 살거나 자주 마시는데 이 전해질 탈수증상 달고사는 한국인들은 오히려 소금 넉넉히 쳐서 먹어야합니다. 진짜 문제가 되는건 고 탄수화물 식단,정제 탄수화물로 대충때우는 끼니, 과당 설탕 들이부은 음료와 외식, 한국 일본 중국 3국 공통 문제점인 음주+자극적인 안주 폭식이 진짜 문제입니다.
@andykim2599
@andykim2599 7 ай бұрын
저 수염은 아무나 기르는게 아닌데…
@RickyKang1217
@RickyKang1217 6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짜게먹어도 괜찮음 다만, 몸둥아리 움직이기 싫어하면 문제가 될뿐
@violin7955
@violin7955 5 ай бұрын
님이 의사도 아니고 이런 무책임한 댓글 진짜 한심합니다. 님 댓글 보고 사람들이 짜게 먹다가 병 걸리면 님이 책임지실 겁니까?
@마이클셈벨로
@마이클셈벨로 7 ай бұрын
진짜 쌉 개소린게.. 소금 탓이 아님. 짜게 먹는다고 더 먹는 것도 아님. 항상 매번 꼭! 단맛과 정제 탄수화물과 나쁜 지방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임. 샐러드에 올리브유 잔뜩 뿌리고 소금 팍 쳐서 짜게 먹으면 고지혈증 비만이 옴? 진짜 개같은 논리임.
@yanagi9874
@yanagi9874 7 ай бұрын
고혈당이 천천히 질병을 만든다면 저혈당은 한 번에 훅 갑니다. 그렇듯이 고나트륨도 당연히 문제가 있으나 '싱겁게 먹기'한다고 저나트륨 장기간 유지되면 한 번에 훅 갑니다. 적당한 수치가 유지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적당량을 어떻게 유지하느냐가 문제.
@이거북-u5w
@이거북-u5w 7 ай бұрын
지금 혈당얘기하고 있나요?? 나트륨 얘기 하고 있는데 자다가 봉창…
@권명옥-v8k
@권명옥-v8k 7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염식 하면 한번에 훅가요 ~
@user-gmlqja
@user-gmlqja 7 ай бұрын
​@@이거북-u5w혈당하고 나트륨하고 관계가 있으니까 그렇죠
@yanagi9874
@yanagi9874 7 ай бұрын
한국의 문맹률이 올라간다던데 그 원인과 결과는 이렇습니다.
@야당댁
@야당댁 6 ай бұрын
당만 끊어도 살은 금방빠짐
@하리-k8d
@하리-k8d 4 ай бұрын
계속 싱겁게 먹다 소금 조금만 타도 겁나 짜던데...습관이 중요함
@lucid9504
@lucid9504 7 ай бұрын
술안드시는거만해도 ㄱㅆㅅㅌㅊ네여
@미누-l4t
@미누-l4t 4 ай бұрын
쩐거 먹으면 그만큼 신장이 배출하기위해 무리를 하게되는데 방법은 땀흘려서 운동 하는거 밖에 없다
@dvdsxcxvdx
@dvdsxcxvdx 3 ай бұрын
걍 땀좀 흘리고 물좀 많이 마시면 나트륨 좀 많이 먹어도 됩니다. 애초에 우리나라 나트륨 기준치가 지나치게 빡빡한거고 우리나라 고혈압기준도 다른나라에서는 정상기준입니다.
@unchong1455
@unchong1455 13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아이한테 라면을주나요
@belutina3659
@belutina3659 7 ай бұрын
출연한 분들 먹는거 보면 죄다 기름진 거만 먹음. ㄷㄷ 기름진거 먹을 때 알고 있어야 하는게, 기름진 맛은 같은 짠맛이라도 덜 느껴져서 소금을 더 많이 넣음. 기름진 국물요리나 시시한 후라이드 치킨에도 소금이 엄청 드간다. 내가 이런것들 집에서 요리해보면서 알게 됨. 소금을 많이 넣었다고 생각해서 조리해놓고 맛보면 싱거움. 그래서 기름진 거라곤 계란 후라이 말고는 안해먹음..
@슈비슈바-w4w
@슈비슈바-w4w 7 ай бұрын
짜게 먹는게 문제가 아니라 식품첨가물 범벅의 가공식품 섭취가 문제인듯.
@K-truckdriver
@K-truckdriver 6 ай бұрын
소금이 안좋은게 확실한건가요? 안탑깝네요
@gtgtpmpm
@gtgtpmpm Ай бұрын
웃긴건 의사들도 잘모름.나쁘다고하면 다 그렇구나 함. . . 자기가 직접아파봐야 그때되서 알지. . . 다들 책으로 공부하셔서 모름
@오니봉-t2i
@오니봉-t2i 7 ай бұрын
웹소설로 밥먹고 사는 글쟁이입니다. 대기업 직장인 월급 만큼은 버는데 식대비와 병원비 나가고 몸 골병들어가는 거 생각하면 그냥 일반 직장인이 훨씬 낫습니다....... ㅠ.ㅠ 첫번째 사연자 이나눔씨와 비슷한데..........글 쓸때 원칙이 5000자 털기전엔 밥 안먹어요. 밥먹으면 졸립고 다시 스토리 몰입하기가 힘들어서 믹스커피 보통 2~3봉다리 컵에 타서 수시로 먹으면서 무조건 5000자 (한편) 마무리하고 밥먹어요. 그 밥이란게 99%가 배달음식입니다. 식비만 한달에 150만원 정도 나갑니다....... 고도비만은 덤이구요. 저도 제발 한편만 대박나서 이 생활 청산하고 싶지만..........이렇게 버틴지 7년째입니다..............
@triump3411
@triump3411 6 ай бұрын
직업이 문제가 아니라 배달음식이 문제인 거네요.
@산토리니-p7m
@산토리니-p7m Ай бұрын
믹스커피 말고 카누로 바꾸세요. 배달음식은 샐러드로 주문하세요.
@sinamondark6001
@sinamondark6001 7 ай бұрын
매일 같은 조건으로 체중을 재면서 기준을 정해서 그 체중에 맞춰서 식사량을 조절하면 체중을 유지할 수 있죠.. 실천하기는 어렵겠지만요.
@금빛김
@금빛김 14 күн бұрын
저나이 에 큰일입니다
My scorpion was taken away from me 😢
00:55
TyphoonFast 5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의사도 모르는 기적의 간 청소법이 SNS에서 화제?
6:08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두부'로 골다공증 완치?
26:01
바른건강
Рет қаралды 580 М.
[Full] 귀하신 몸 - 36화 이유 없이 아프다면? 만성염증
47:57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936 М.